KR101279367B1 - 색조화장료용 무기분체를 표면처리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색조화장료용 무기분체 - Google Patents

색조화장료용 무기분체를 표면처리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색조화장료용 무기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9367B1
KR101279367B1 KR1020100096308A KR20100096308A KR101279367B1 KR 101279367 B1 KR101279367 B1 KR 101279367B1 KR 1020100096308 A KR1020100096308 A KR 1020100096308A KR 20100096308 A KR20100096308 A KR 20100096308A KR 101279367 B1 KR101279367 B1 KR 101279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s
inorganic powder
powder
color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6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4919A (ko
Inventor
조익현
홍성호
최재안
김은숙
최용문
Original Assignee
이스트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스트힐(주) filed Critical 이스트힐(주)
Priority to KR1020100096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367B1/ko
Priority to JP2011209458A priority patent/JP2012077082A/ja
Publication of KR20120034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4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12By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처리된 색조화장료용 무기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색조화장료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마이카, 세리사이트 등 색조화장료의 안료로 사용되는 무기분체를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인 디스테아릴디모니움 클로라이드(Distearyldimonium Chloride)로 처리함으로써 무기분체의 표면을 개질하여 사용감이 우수하고 성형성이 좋은 색조화장료용 무기분체를 제조하며, 이를 색조화장료의 제조에 이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색조화장료용 무기분체를 표면처리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색조화장료용 무기분체{METHOD OF SURFACE-TREATING POWDER FOR COSMETICS AND SURFACE-TREATING POWDER FOR COSMETICS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색조화장료용 무기분체를 표면처리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색조화장료용 무기분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마이카, 세리사이트 등 색조화장료의 안료로 사용되는 무기분체를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인 디스테아릴디모니움 클로라이드(Distearyldimonium Chloride)로 처리함으로써 무기분체의 표면을 개질하여 사용감이 우수하고 성형성이 좋은 색조화장료용 무기분체를 제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색조 화장료는 신체의 일부분, 주로 얼굴에 도포하여 색채를 나타내는 것으로 피부 결점을 은폐하고, 피부색을 변화시켜 입체감과 색채감을 부여하는 보정과 미화를 주요 목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색조 화장료의 표면 개질 기술 및 제조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보정과 미화의 주목적을 충족시키면서 피부에 도포 시 균일하게 펴 발리며 산뜻하고, 매끄러운 사용감을 주는 색조화장료 제품의 개발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색조화장료에 사용되는 안료는 사용목적에 따라 탈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무수규산, 질화붕소 등의 체질안료와 산화철, 감청, 알루미늄레이크, 울트라마린 등의 착색안료, 이산화티탄, 산화아연과 같은 백색안료로 나눌 수 있으며 색조화장료에서는 이런 안료들의 성질을 고려하여 사용 목적에 따라 혼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색조화장료에 사용되는 안료들은 퍼짐성, 피부 친화성, 피부 결점 은폐력, 흡유성, 피부 감촉, 피부 보호성 등 여러 가지 기능이 요구되고 있으나, 이러한 기능을 어느 한 가지 안료의 사용만으로 얻을 수 없어, 혼용하여 사용하거나, 분체 표면을 다양한 표면개질제를 통해서 개질해 줌으로서 복합적인 기능을 부여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에 관한 연구 중에 린스에 포함되어 모발에 매끄러운 사용감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색조 화장료용 무기분체의 표면개질제로 사용하는 경우에 차별화된 사용감이 부여되며, 프레스 파우더에 적용시 성형성이 향상된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표면처리 되어 사용감이 우수하고, 성형성을 향상시키는 색조화장료용 무기분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표면처리 된 상기 무기분체를 포함하여 퍼짐성과 마무리감촉 등의 사용감이 우수한 색조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인 디스테아릴디모니움 클로라이드(Distearyldimonnium Chloride)로 표면처리되어 상기 디스테아릴디모니움 클로라이드가 무기분체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 10중량% 코팅되어 이루어지는 색조화장료용 무기분체가 제공된다. 상기 색조화장료용 무기분체는 탈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무수규산 또는 질화붕소이고, 바람직하게는 마이카 또는 세리사이트이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유화조의 뜨거운 물에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디스테아릴디모니움 클로라이드를 넣고 습식공정에 의해 용해시키는 단계와; 마이카 또는 세리사이트로 된 색조 화장료용 무기분체를 넣고 교반하여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교반된 혼합물을 감압 여과기로 여과하는 단계와; 상기 여과된 여과물을 온수에 넣어 분산시키는 단계와; 상기 분산된 분산물을 다시 감압여과하여 온수를 흘려 세척하는 단계와; 고온에서 건조한 후 해쇄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조화장료용 무기분체를 표면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기분체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인 디스테아릴디모니움 클로라이드로 표면처리되어 개질되므로, 이를 포함하는 색조화장료는 매끄러운 사용감을 나타내며 압축 성형시 뛰어난 성형성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색조화장료의 성형성 테스트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색조화장료용 무기분체는 탈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무수규산, 질화붕소와 같은 체질안료를 의미한다. 색조용 화장료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체질안료인 마이카와 세리사이트로 실험을 진행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색조화장료의 무기분체를 표면처리하여 개질하는데 사용되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디스테아릴디모니움 클로라이드이며 아래의 화학식으로 표시된다.
Figure 112010063918046-pat00001
디스테아릴디모니움 클로라이드는 무기분체표면을 개질하여 분체의 매끄러움, 즉 퍼짐성을 향상시키며, 압축성형하여 색조화장료를 제조하는 경우에 성형성을 높이는 기능을 한다. 상기 색조화장료는 투웨이 케이크, 파우더 팩트, 페이스 파우더, 아이섀도우, 파우더 블러셔 또는 이외에 압축성형하여 사용하는 모든 형태의 색조 화장료의 제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상기 디스테아릴디모니움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습식공정에 의하여 색조화장료용 무기분체를 표면개질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유화조의 뜨거운 물에 디스테아릴디모니움 클로라이드를 넣고 완전히 용해시킨다. 상기 표면처리제가 완전히 용해되면 마이카나 세리사이트와 같은 색조 화장료용 무기분체를 넣고 혼합한다. 혼합이 끝나면 감압여과기로 여과하고, 다시 온수에 넣어 분산시킨다. 이를 다시 감압여과하여 온수를 흘려 세척한다. 고온에서 2시간 정도 건조한 후 분쇄한다.
상기와 같이 표면처리된 무기분체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분체의 안식각을 측정하였다. 안식각은 분체의 퍼짐성과 관련되는 것으로서, 매끈매끈한 사용감은 분체 원료의 퍼짐성에 의해 발현되는 바, 색조 화장료에서 매우 중요한 평가요소가 된다. 안식각 측정결과, 본 발명에 따라 표면처리된 무기분체는 표면처리 전의 무기분체와 안식각 값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분체의 매끄러움, 즉 퍼짐성이 향상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표면처리된 무기분체를 포함하는 색조화장료를 압축성형하여 성형성을 비교해 본 결과, 표면처리된 무기분체로 성형된 색조화장료는 표면처리되지 않은 무기분체로 성형된 색조화장료 보다 우수한 성형성을 나타내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무기분체의 표면처리
무기분체로서 마이카를 사용하여 표면처리 하였다. 먼저 유화조의 75℃ 물에 디스테아릴디모니움 클로라이드 1g을 넣고 완전히 용해시켰다. 상기 표면처리제가 완전히 용해된 후 마이카(인도 Micafab사, Alba 325) 999g을 넣고 교반하여 혼합시켰다. 혼합이 끝나면 감압여과기로 여과하고, 다시 온수에 넣어 분산시킨다. 이를 다시 감압여과하여 온수를 흘려 세척한다. 고온에서 2시간 정도 건조한 후 해쇄(解碎) 하였다.
실시예 2:무기분체의 표면처리
무기분체로서 세리사이트를 사용하여 표면처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표면처리하였다.
먼저 유화조의 75℃ 물에 디스테아릴디모니움 클로라이드 1g을 넣고 완전히 용해시켰다. 상기 표면처리제가 완전히 용해된 후 세리사이트(일본 三信세리사이트사, Sericite FSE) 999g을 넣고 교반하여 혼합시켰다. 혼합이 끝나면 감압여과기로 여과하고, 다시 온수에 넣어 분산시킨다. 이를 다시 감압여과하여 온수를 흘려 세척한다. 고온에서 2시간 정도 건조한 후 해쇄(解碎) 하였다.
시험예 1:표면처리된 무기분체의 안식각 측정
상기 실시예 1, 2에서 제조된 무기분체에 대하여 안식각을 측정하였다. 일반적으로 분체의 퍼짐성을 알아보는 평가방법으로서 분체의 안식각(Angle of Repose)을 측정한다. 안식각의 측정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어서 동일 원료라 하더라도 측정법에 따라 그 값이 달라지는데 여기서는 안식각 측정장치인 Powder Tester(일본 Hosokawa사 제조)를 사용하여 기준판 위에 적체된 분체의 안식각과 쌓여있는 분체에 충격을 가하여 분체의 무너짐 정도를 측정하여 분체의 퍼짐성을 측정하였다. 충격 전, 후의 안식각 값의 차이가 클 수록 분체의 매끄러움, 즉 퍼짐성이 좋은 것을 나타낸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세리사이트 마이카
표면개질 전 표면개질 후 표면개질 전 표면개질 후
안식각 충격 전 50.6° 48.0° 50.7° 38.2°
충격 후 36.8° 19.1° 34.0° 17.1°
차이값 13.8° 28.9° 16.7° 21.1°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표면개질 후의 무기분체의 안식각 차이값은 표면개질 전의 무기분체의 안식각 차이값 보다 크게 나타났다. 이는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에 의한 표면처리에 의하여 표면개질이 이루어져 분체의 퍼짐성이 향상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시예 3 및 비교예 1:파우더 팩트의 제조
아래 표 2의 조성으로 색조화장료인 파우더 팩트를 제조하였다.
Phase 성분 실시예 3 비교예 1
A 탈크 17.05 17.05
세리사이트 - 25.00
표면처리된 세리사이트(실시예 2) 25.00 -
마이카 - 15.00
표면처리된 마이카(실시예 1) 15.00 -
질화붕소 7.00 7.00
실리카 5.00 5.00
우레탄 파우더 4.00 4.00
나일론 6.00 6.00
PMMA 5.00 5.00
B 이산화티탄 3.00 3.00
울트라마린 0.06 0.06
흑색산화철 0.06 0.06
적색산화철 0.60 0.60
황색산화철 0.95 0.95
C 방부제 0.18 0.18
유기 자외선차단제 3.00 3.00
D 실리콘 오일 8.00 8.00
E 향료 0.10 0.10
먼저 원료 A, B상을 평량하였다. 이어 원료 C, D상을 평량한 후 75℃로 가열하였다. 액상인 C, D상을 A, B상 혼합물에 분무하였다. 이어 이를 분쇄한 후 성형하였다.(성형압력 65Kg/cm2, 5sec)
시험예 2:사용감 평가
상기 실시예 3과 비교예 1로 만들어진 파우더 팩트의 실제 사용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20대에서 30대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2주간 사용하게 한 후, 퍼짐성, 밀착력, 지속력, 감촉, 가루날림, 커버력 등 총 6가지 항목에 대하여 평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퍼짐성 가루
날림
밀착력 커버력 마무리
감촉
지속력 평균
비교예 1 3.4 3.7 3.9 3.5 3.2 3.9 3.57
실시예 3 4.4 3.6 3.8 3.5 4.3 3.8 3.88
1: 아주 나쁨, 2: 나쁨, 3: 중간, 4: 좋음, 5: 아주 좋음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표면처리된 무기분체를 사용한 실시예 3의 경우 더 우수한 사용감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퍼짐성과 마무리 감촉에서 상당히 우수한 품질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3:성형성 평가
상기 실시예 3과 비교예 1로 만들어진 파우더 팩트의 성형성을 평가하였다. 두 개의 샘플을 동시에 바닥에서 5cm, 10cm, 15cm, 20cm, 25cm, 30cm 높이에서 떨어뜨려 성형성의 유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30cm의 높이에서 떨어뜨렸을 경우의 사진을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3의 파우더 팩트의 경우 30cm의 높이에서 떨어뜨렸을 경우, 가장자리의 일부분만 파손이 발생하였으나, 비교예 1의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파손정도가 심한 것을 볼 수 있어 본 발명의 표면처리된 분체를 사용하는 경우에 제품의 성형성이 크게 향상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Claims (4)

  1. 유화조의 뜨거운 물에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디스테아릴디모니움 클로라이드를 넣고 습식공정에 의해 용해시키는 단계와;
    마이카 또는 세리사이트로 된 색조 화장료용 무기분체를 넣고 교반하여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교반된 혼합물을 감압 여과기로 여과하는 단계와; 상기 여과된 여과물을 온수에 넣어 분산시키는 단계와;
    상기 분산된 분산물을 다시 감압여과하여 온수를 흘려 세척하는 단계와;
    고온에서 건조한 후 해쇄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조화장료용 무기분체를 표면처리하는 방법.
  2. 청구항 제 1항에 따라 제조된 표면처리된 색조화장료용 무기분체.
  3. 삭제
  4. 삭제
KR1020100096308A 2010-10-04 2010-10-04 색조화장료용 무기분체를 표면처리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색조화장료용 무기분체 KR101279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308A KR101279367B1 (ko) 2010-10-04 2010-10-04 색조화장료용 무기분체를 표면처리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색조화장료용 무기분체
JP2011209458A JP2012077082A (ja) 2010-10-04 2011-09-26 表面処理されたメークアップ化粧料用無機粉体及びこれを含むメークアップ化粧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308A KR101279367B1 (ko) 2010-10-04 2010-10-04 색조화장료용 무기분체를 표면처리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색조화장료용 무기분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4919A KR20120034919A (ko) 2012-04-13
KR101279367B1 true KR101279367B1 (ko) 2013-07-04

Family

ID=46137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6308A KR101279367B1 (ko) 2010-10-04 2010-10-04 색조화장료용 무기분체를 표면처리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색조화장료용 무기분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2077082A (ko)
KR (1) KR10127936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7581B1 (ko) 2016-10-27 2018-04-10 윤기훈 복합 안료, 복합 안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847580B1 (ko) 2016-12-28 2018-04-10 윤기훈 파우더리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
KR101859284B1 (ko) 2016-09-07 2018-05-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밀착성 및 발림성이 동시에 향상된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1928032B1 (ko) 2018-05-10 2018-12-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밀착성 및 발림성이 동시에 향상된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20200049137A (ko) 2018-10-31 2020-05-08 이스트힐(주) 색조 화장료용 코팅 분체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1279A (ja) * 2012-11-16 2014-06-05 Daito Kasei Kogyo Kk 表面処理粉体及びその粉体を配合した化粧料
KR101767207B1 (ko) 2012-11-30 2017-08-11 (주)아모레퍼시픽 생체친화성 고분자로 코팅된 무기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4381142A (zh) * 2021-12-21 2022-04-22 上海创元化妆品有限公司 一种烷基硅氧烷和二硬脂基二甲基氯化铵双重处理粉体及其生产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8775A (ko) * 1999-08-23 2001-03-15 성재갑 열 민감성 양이온성 리포솜을 함유하는 모발용품 조성물
JP2001335410A (ja) * 2000-05-23 2001-12-04 Kose Corp 粉体化粧料
JP2006199645A (ja) 2005-01-21 2006-08-03 Shiseido Co Ltd 粉末化粧料
US20080305057A1 (en) 2007-06-07 2008-12-11 Damage Control Technologies, Inc. New and improved skin treatment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86309A (ja) * 1985-06-12 1986-12-16 Shiseido Co Ltd 固型メーキャップ化粧料
JP2006036981A (ja) * 2004-07-28 2006-02-09 Topy Ind Ltd 表面処理非膨潤性合成雲母粉体、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該粉体を配合した化粧料
JP2006199644A (ja) * 2005-01-21 2006-08-03 Shiseido Co Ltd 粉末化粧料
JP5536373B2 (ja) * 2008-07-11 2014-07-02 株式会社 資生堂 粉末化粧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8775A (ko) * 1999-08-23 2001-03-15 성재갑 열 민감성 양이온성 리포솜을 함유하는 모발용품 조성물
JP2001335410A (ja) * 2000-05-23 2001-12-04 Kose Corp 粉体化粧料
JP2006199645A (ja) 2005-01-21 2006-08-03 Shiseido Co Ltd 粉末化粧料
US20080305057A1 (en) 2007-06-07 2008-12-11 Damage Control Technologies, Inc. New and improved skin treatment system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284B1 (ko) 2016-09-07 2018-05-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밀착성 및 발림성이 동시에 향상된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1847581B1 (ko) 2016-10-27 2018-04-10 윤기훈 복합 안료, 복합 안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847580B1 (ko) 2016-12-28 2018-04-10 윤기훈 파우더리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
KR101928032B1 (ko) 2018-05-10 2018-12-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밀착성 및 발림성이 동시에 향상된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20200049137A (ko) 2018-10-31 2020-05-08 이스트힐(주) 색조 화장료용 코팅 분체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4919A (ko) 2012-04-13
JP2012077082A (ja) 201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9367B1 (ko) 색조화장료용 무기분체를 표면처리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색조화장료용 무기분체
CN101355923B (zh) 包括干涉色颜料的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30086779A (ko)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6742344B2 (ja) 紫外線遮断効果に優れた化粧品の製造方法
EP3166576B1 (en) Cosmetic composition
KR101630825B1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38786B1 (ko) 색조 화장료용 코팅 분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01586A (ko)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스타치를 함유한 수분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4339185A (ja) 干渉色薄片状タルク及びそれを配合した化粧料
JP3241535B2 (ja) 有機−無機複合顔料を配合してなる化粧料
WO2012120916A1 (ja) ベースメイク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78370B1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94638B1 (ko) 개질된 분체의 제조방법
JP5947083B2 (ja) 固形粉体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7490348B2 (ja) 粉末化粧料
CN105492076B (zh) 着色护肤组合物
KR100803940B1 (ko) 기능성 파우더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및 그의제조방법
JP4070356B2 (ja) 化粧料
KR20100056716A (ko) 실리카 복합 안료를 함유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47580B1 (ko) 파우더리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
KR20160110710A (ko) 무정형 실리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파우더형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92951B1 (ko) 화장료용 표면개질 안료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68521B1 (ko) 피부 친화성 및 발수성 부여를 위한 화장료용 1-step 복합 표면 개질 안료 및 그 제조 방법
KR100855883B1 (ko) 화장료용 표면개질 안료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3494339B2 (ja) セリシン被覆粉体、及びこれを配合して成る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