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5883B1 - 화장료용 표면개질 안료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화장료용 표면개질 안료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5883B1
KR100855883B1 KR1020070060470A KR20070060470A KR100855883B1 KR 100855883 B1 KR100855883 B1 KR 100855883B1 KR 1020070060470 A KR1020070060470 A KR 1020070060470A KR 20070060470 A KR20070060470 A KR 20070060470A KR 100855883 B1 KR100855883 B1 KR 100855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gment
cosmetic composition
talc
water
mod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0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선
신동출
Original Assignee
김지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선 filed Critical 김지선
Priority to KR1020070060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58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5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58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8/00Organic pigments surface-modified by grafting, e.g. by establishing covalent or complex bonds, in order to improve the pigment properties, e.g. dispersibility or rheology
    • C09B68/40Organic pigments surface-modified by grafting, e.g. by establishing covalent or complex bonds, in order to improve the pigment properties, e.g. dispersibility or rheology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nature of the attached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개질 안료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기 화학식 1의 PCA 디메치콘(CAS No. 179005-03-9)으로 표면개질함으로써 내수성, 펴발림성 및 부드러움성이 우수하도록 제조한 표면개질 안료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44610769-pat00001
상기 식에서, x는 88이고, y는 14이다.
표면개질 안료, 내수성, 펴발림성, 부드러움성

Description

화장료용 표면개질 안료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Surface modified pigments and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면개질 안료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기 화학식 1의 PCA 디메치콘(CAS No. 179005-03-9)으로 표면개질함으로써 내수성, 펴발림성 및 부드러움성이 우수하도록 제조한 표면개질 안료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44610769-pat00002
상기 식에서, x는 88이고, y는 14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에 사용되는 안료들은 내수성이 약해 땀에 의해 화장이 쉽게 지워지고 얼룩이 생기며, 색상이 어둡게 변하는 단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안료들을 화장료 조성물에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안료의 내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코팅제로서, 메치콘, 디메치콘 및 스테아로일 글루타메이트 등의 아미노산 및 알킬실란을 사용하여 표면개질 안료를 제조하였으나, 메치콘 처리 안료는 피부 친화성이 부족하고 건조하여 만족스럽지 못하며, 디메치콘 처리 안료는 펴발림성은 우수하지만 번질거림이 만족스럽지 못하고, 스테아로일 글루타메이트 등 아미노산 처리 안료는 내수성과 펴발림성이 부족하며, 알킬실란처리 분체는 발수력과 피부 부착성은 우수하지만 펴발림성과 피부를 부드럽게 하는(emollient) 느낌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코팅제를 혼용하여 사용하여도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 공정이 복잡하여 경제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내수성이 우수하면서도 펴발림성과 부드러움성이 우수한 3가지 기능을 모두 갖고 있는 안료를 개발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상기 화학식 1의 PCA 디메치콘으로 안료의 표면을 개질시킴으로써 내수성이 우수하고 펴발림성과 부드러움성이 우수한 표면개질 안료를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화학식 1의 PCA 디메치콘(CAS No. 179005- 03-9)으로 표면개질한 표면개질 안료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44610769-pat00003
상기 식에서, x는 88이고, y는 14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기 화학식 1의 PCA 디메치콘(CAS No. 179005-03-9)으로 표면개질한 표면개질 안료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7044610769-pat00004
상기 식에서, x는 88이고, y는 14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표면개질 안료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9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안료를 표면개질하는데 사용되는 PCA 디메치콘은 유니케마사(Uniqema)의 제품으로 지금까지는 피부, 두발 등에 적용하여 윤활제의 역할을 하는 원료로서 사용되어 왔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PCA 디메치콘을 파우더의 표면개질을 위한 용도로서 처음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표면개질 안료는 PCA 디메치콘으로 표면개질됨으로써 디메치콘에 의한 우수한 내수성 및 펴발림성과 다른 말단의 PCA에 의한 부드러움성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표면개질 안료의 제조과정을 살펴본다.
안료의 표면개질 방법에는 습식법과 건식법이 있다. 습식법은 먼저 탈크, 세 리사이트, 마이카, 이산화티탄, 카올린, 실리카 및 알루미나 등의 화장료용 안료를 이온수에 분산시킨 후 교반하고, 이 분산액에 에틸알코올에 완전히 용해된 화학식 1의 PCA 디메치콘을 가하여 교반한 다음 냉각한다. 처리된 분산액에서 물과 에틸알코올을 감압 여과하여 제거하고, 120℃에서 24시간이상 열풍건조하여 표면을 개질하여 표면개질 안료를 얻는다.
한편 건식법은 탈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이산화티탄, 카올린, 실리카 및 알루미나 등의 화장료용 안료를 고속 또는 저속 교반기로 교반하며, 이소파라핀, 핵산, 에틸알코올 및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유기용제에 완전히 용해시킨 화학식 1의 PCA 디메치콘을 분무, 건조하여 표면 개질 안료를 얻는다.
상기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표면개질 안료는 화장료에 사용되는데 그 사용량은 그 제형에 따라 적당량으로 선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9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8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즉 0.05 중량% 이하일 때는 효과를 감지하기 힘들며, 90 중량% 까지 사용하여도 물성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
본 발명에 의한 표면개질 안료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은 페이스 파우더, 콤팩트 파우더, 케익 섀도우 및 투웨이 케익 등과 같은 고형분말 화장료 또는 분말화장료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려는 것이며,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 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질량(g)
1. 탈크 97.5
2. 이온수 400
3. PCA 디메치콘 2.5
4. 에틸 알코올 7.5
<제조방법>
1) 이온수를 60℃로 가열하고, 3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탈크를 가하여 분산시켰다.
2) 에틸 알코올에 PCA 디메치콘을 넣고 완전히 용해하였다.
3) 상기 1)을 300rpm으로 교반하면서, 상기 2)를 신속히 투입하였다.
4) 상기 3)을 35℃까지 급속 냉각하였다.
5) 상기 4)를 감압 여과하여 물과 에틸알코올을 제거하였다.
6) 상기 5)의 고형분을 120℃에서 24시간 열풍 건조하였다.
7) 상기 6)을 분쇄하였다.
[실시예 2]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질량(g)
1. 탈크 97.5
2. PCA 디메치콘 2.5
3. 에틸 알코올 7.5
<제조방법>
1) PCA 디메치콘을 에틸 알코올에 희석시킨 다음 탈크를 헨쉘 믹서(Henschell Mixer)나 리본 믹서에 넣고 교반시키면서 분무시켜 주었다.
2) 상기 1)을 5~20분간 교반하였다.
3) 상기 2)를 50℃에서 열풍 건조하여 에틸 알코올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4) 상기 3)을 분쇄하여 표면개질된 탈크 분말을 얻었다.
[시험예 1]
1) 내수성
실시예 1-2, 표면 개질되지 않은 탈크(비교예 1), 메치콘으로 표면 처리된 탈크(비교예 2) 및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탈크(비교예 3)를 사용하여 하기의 방법에 따라 각각의 내수성을 비교하였다.
100㎖ 비커에 물을 20㎖씩 넣고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을 각각 1g씩 물에 넣은 다음 같은 조건으로 흔들어주어 물속에 현탁 정도를 관찰하여 비교하였다. 평가 방법은 물에 안료가 현탁되지 않은 내수성이 우수한 상태를 5로하고, 안료가 물에 분산되어 불투명해진 상태를 1로 하는 방법으로 하기와 같이 5단계로 나누어 내수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 평가기준 >
1: 물에 안료가 현탁되어 불투명한 상태, 물상부에 안료가 남아있지 않음.
2: 물에 안료가 현탁이 상당히 된 상태, 물상에 젖지 않은 분체가 최초 투입 안료의 1/3 가량 남아있음.
3: 물에 안료가 꽤 현탁한 상태, 물 위에 젖지 않은 안료가 1/2 가량 남아있음
4: 물에 안료가 약하게 현탁된 상태, 물 위에 젖지 않은 안료가 2/3 가량 남아있음
5: 안료가 물에 현탁되지 않은 투명한 상태
2) 펴발림성
실시예 1-2, 표면 개질되지 않은 탈크(비교예 1), 메치콘으로 표면 처리된 탈크(비교예 2) 및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탈크(비교예 3)를 20대 초반부터 40대 중반까지 전문 패널 요원 5명이 1개월간 사용하게 한 후 펴발림성을 하기의 평가 기준과 같이 5단계로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평가는 5점 만점을 기준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사용감이 좋은 것이다.
< 평가기준 >
1점 : 매우 못하다.
2점 : 꽤 못하다.
3점 : 보통이다.
4점 : 꽤 좋다.
5점 : 매우 좋다.
3) 부드러움성
실시예 1-2, 표면 개질되지 않은 탈크(비교예 1), 메치콘으로 표면 처리된 탈크(비교예 2) 및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탈크(비교예 3)를 20대 초반부터 40대 중반까지 전문 패널 요원 5명이 1개월간 사용하게 한 다음 부드러움성을 5단계로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평가는 5점 만점을 기준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부드러움성이 좋은 것이다.
내수성 펴발림성 부드러움성
실시예 1 5 5 5
실시예 2 5 5 5
비교예 1 1 2 2
비교예 2 5 2 2
비교예 3 5 3 3
상기 표 3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2 및 비교예 2-3의 표면개질 안료들은 내수성은 모두 강하게 나타나지만, 메치콘으로 표면처리한 비교예 2의 안료의 경우 펴발림성과 부드러움성이 좋지 않았다. 한편, 실시예 1-2의 안료는 펴발림성과 부드러움성이 모두 우수하게 나타났다.
[시험예 2]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에서의 안료들을 각종 메이크업 제품(표 4 및 표 6)에 투입한 후, 내수성, 펴발림성 및 부드러움성을 평가하였다. 평가방법은 20대 초반부터 40대 중반까지의 전문 패널 요원 5명이 1개월간 사용하게 한 후 각 평가 항목을 시험예 1과 동일하게 5단계로 하여, 5명의 평균을 구하여 표 5 및 표 7에 나타내었다.
페이스 파우더
성분 제조예 1 제조예 2 비교 제조예 1 비교 제조예 2 비교 제조예 3
1. 실시예 1 잔량 - - - -
2. 실시예 2 - 잔량 - - -
3. 비교예 1 - - 잔량 - -
4. 비교예 2 - - - 잔량 -
5. 비교예 3 - - - - 잔량
6. 세리사이트 20 20 20 20 20
7. 나일론파우더 5 5 5 5 5
8. 실리카비드 5 5 5 5 5
9. 이산화티탄 1 1 1 1 1
10. 스쿠알란 1 1 1 1 1
11. 방부제 0.1 0.1 0.1 0.1 0.1
12. 향료 소량 소량 소량 소량 소량
<제조방법>
1) 성분 1~9을 헴머타입 분쇄기로 1회 분쇄하였다.
2) 상기 1)을 고속 혼합기에 넣고, 5분간 고속 혼합하였다.
3) 상기 2)에 성분 10~12를 혼합 가열하여 분무 투입하였다.
4) 상기 3)을 고속 혼합기로 5분간 고속 혼합하였다.
5) 상기 4)를 헴머타입의 분쇄기로 2회 분쇄하였다.
페이스 파우더의 평가
제조예 1 제조예 2 비교 제조예 1 비교 제조예 2 비교 제조예 3
내 수 성 4.2 4.2 1.0 4.2 4.2
펴발림성 4.5 4.5 2.1 2.0 3.0
부드러움성 4.8 4.7 2.1 2.0 3.2
파우더 화운데이션
성 분 제조예 3 제조예 4 비교 제조예 4 비교 제조예 5 비교 제조예 6
1. 실시예 1 잔량 - - - -
2. 실시예 2 - 잔량 - - -
3. 비교예 1 - - 잔량 - -
4. 비교예 2 - - - 잔량 -
5. 비교예 3 - - - - 잔량
6. 세리사이트 20 20 20 20 20
7. 나일론파우더 5 5 5 5 5
8. 실리카비드 5 5 5 5 5
9. 이산화티탄 5 5 5 5 5
10. 스쿠알란 2.5 2.5 2.5 2.5 2.5
11. 디메치콘 2.5 2.5 2.5 2.5 2.5
12. 방부제 0.1 0.1 0.1 0.1 0.1
13. 향료 소량 소량 소량 소량 소량
<제조방법>
1) 성분 1~9을 헴머타입 분쇄기로 1회 분쇄하였다.
2) 상기 1)을 고속 혼합기에 넣고, 5분간 고속 혼합을 실시하였다.
3) 상기 2)에 원료 10~13을 혼합 가열하여 분무 투입하였다.
4) 상기 3)을 고속 혼합기로 5분간 고속 혼합하였다.
5) 상기 4)를 헴머타입의 분쇄기로 2회 분쇄하였다.
파우더 화운데이션의 평가
제조예 3 제조예 4 비교 제조예 4 비교 제조예 5 비교 제조예 6
내 수 성 4.3 4.3 1.0 4.2 4.1
펴발림성 4.5 4.4 2.2 2.0 3.1
부드러움성 4.8 4.7 2.1 2.1 3.3
상기 표 5 및 표 7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PCA 디메치콘으로 표면개질한 안료를 함유하는 화장료는 메치콘이나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으로 표면개질한 안료를 함유하는 화장료보다 펴발림성 및 부드러움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표면개질 안료는 화학식 1의 PCA 디메치콘으로 표면개질시킴으로써 내수성, 펴발림성 및 부드러움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표면개질 안료를 함유시킴으로써 내수성, 펴발림성 및 부드러움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었다.

Claims (3)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PCA 디메치콘으로 표면처리된 표면개질 안료:
    [화학식 1]
    Figure 112007044610769-pat00005
    상기 식에서, x는 88이고, y는 14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탈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이산화티탄, 카올린, 실리카 및 알루미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화장료용 안료임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개질 안료.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기재된 표면개질 안료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90 중량%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70060470A 2007-06-20 2007-06-20 화장료용 표면개질 안료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55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470A KR100855883B1 (ko) 2007-06-20 2007-06-20 화장료용 표면개질 안료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470A KR100855883B1 (ko) 2007-06-20 2007-06-20 화장료용 표면개질 안료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5883B1 true KR100855883B1 (ko) 2008-09-03

Family

ID=40022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0470A KR100855883B1 (ko) 2007-06-20 2007-06-20 화장료용 표면개질 안료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58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5395B1 (ko) 1999-03-06 2001-03-15 서경배 화장료용 안료의 표면개질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개질된 안료를 함유하는 화장료
KR20010093007A (ko) * 2000-03-28 2001-10-27 김광수 세라마이드 및/또는 유사 세라마이드의 복합체가 표면처리된 메이컵용 화장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50090243A (ko) * 2004-03-08 2005-09-13 코스맥스 주식회사 고밀착성 분말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0723632B1 (ko) 2006-03-23 2007-06-04 로제화장품 주식회사 미백용 페이스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5395B1 (ko) 1999-03-06 2001-03-15 서경배 화장료용 안료의 표면개질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개질된 안료를 함유하는 화장료
KR20010093007A (ko) * 2000-03-28 2001-10-27 김광수 세라마이드 및/또는 유사 세라마이드의 복합체가 표면처리된 메이컵용 화장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50090243A (ko) * 2004-03-08 2005-09-13 코스맥스 주식회사 고밀착성 분말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0723632B1 (ko) 2006-03-23 2007-06-04 로제화장품 주식회사 미백용 페이스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2178B1 (ko) 신규한 아미노산 실리콘 폴리머들, 그의 제조방법, 아미노산 실리콘 폴리머로 표면개질된 화장료용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색조화장료 조성물
KR102225684B1 (ko) 메이크업용 압축 파우더의 제조방법
CN101891969A (zh) 颜料混合物
EP3166576B1 (en) Cosmetic composition
JP7322287B2 (ja) 高疎水性、にじみの少ない着色澱粉粉末とその調製方法及び応用
JP2010163373A (ja) 複合処理粉体及び化粧料
KR102138786B1 (ko) 색조 화장료용 코팅 분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855883B1 (ko) 화장료용 표면개질 안료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92951B1 (ko) 화장료용 표면개질 안료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P3285718B1 (en) Soli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tarch, mica and natural colourants
JPH0699281B2 (ja) メ−クアツプ化粧料
JP3923206B2 (ja) 化粧料
CN112842958A (zh) 一种能长效持妆的水嫩保湿两用粉饼的制备方法
JPH01172312A (ja) 化粧料
KR101309937B1 (ko)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JP3877886B2 (ja) 化粧料
KR101608816B1 (ko) 친수성기를 가진 알킬실란으로 표면처리된 분체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117084931A (zh) 一种含蚕丝蛋白的粉体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01233741A (ja) メイクアップ化粧料
KR101286785B1 (ko) 클러스터 인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88911B1 (ko) 화장료용 기능성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3976931B2 (ja) 化粧料
KR20010019581A (ko) 화장료용 안료의 표면개질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개질된 안료를 함유하는 고형분말 화장료
JP2001233733A (ja) 油性化粧料
KR20150136745A (ko) 화장료용 표면처리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