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816B1 - 친수성기를 가진 알킬실란으로 표면처리된 분체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친수성기를 가진 알킬실란으로 표면처리된 분체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816B1
KR101608816B1 KR1020130129902A KR20130129902A KR101608816B1 KR 101608816 B1 KR101608816 B1 KR 101608816B1 KR 1020130129902 A KR1020130129902 A KR 1020130129902A KR 20130129902 A KR20130129902 A KR 20130129902A KR 101608816 B1 KR101608816 B1 KR 101608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ed
cosmetic composition
powder
alkylsilane
makeup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9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9391A (ko
Inventor
이언엽
홍원기
김동명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9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816B1/ko
Publication of KR20150049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9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61K8/585Organosilic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수성기를 가진 알킬실란으로 표면처리된 분체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종래 사용되는 표면 처리되지 않은 분체 대신 친수성기를 가진 알킬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분체를 사용하여 분산제 없이도 물에 대한 분산성이 우수하여 안정도가 우수하고 색이 균일하게 도포되며 입자감 없이 부드러운 발림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친수성기를 가진 알킬실란으로 표면처리된 분체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OIL IN WATER 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PIGMENT COATED WITH ALKYLSILANE HAVING HYDROPHILLIC GROUP}
본 발명은 친수성기를 가진 알킬실란으로 표면처리된 분체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종래 사용되는 표면 처리되지 않은 분체 대신 친수성기를 가진 알킬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분체를 사용하여 분산제 없이도 물에 대한 분산성이 우수하여 안정도가 우수하고 색이 균일하게 도포되며 입자감 없이 부드러운 발림성을 제공하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로부터 분비되는 땀, 눈물, 피지 등의 분비물은 화장을 망가뜨리는 원인이 되며, 특히 햇빛차단제, 메이크업 화장료에 있어서는 화장료에 배합되어 있는 유제(油劑)에 피부로부터 분비된 피지까지 가해지면서, 화장료의 분체를 젖게 함으로써, 화장을 망가뜨리는 가장 큰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수중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에는 착색을 위하여 산화티탄과, 황색, 적색 및 흑색의 산화철 등의 무기안료를 사용하고 있다.
기존의 수중유형 메이크업 조성물의 경우에는 표면처리되지 않은 산화티탄과 산화철을 수상에 분산하여 사용하는데, 이때 물에 대한 분산성이 떨어져서 무기안료를 장시간 안정하게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일정량 이상의 분산제가 필요하다.
그 일례로 대한민국특허 제1102647호에는 미리 유상 성분에 소수화 처리 분체를 분산하여 비즈밀 등의 습식 분산기로 처리한 분산액을 수상과 호머믹서 처리함으로써 사용 감촉 및 피부상에 도포 후의 분체의 분산성이 우수한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공하되, 특정 유상 성분에 대해 특정 분산제를 사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분산제를 다량 사용하게 되면 그에 따른 사용감이 나빠지게 되며 무기안료를 장시간 수상에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기술은 쉽지 않다. 따라서 균일하지 않은 분산은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피부에 도포 시 입자감이 느껴지며 균일하게 도포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 메이크업 제품에는 분체가 갖는 물성의 단점을 개선하고, 나름대로의 기능을 부여하는 표면처리의 방법이 사용되어 왔는데, 대표적으로는 금속비누 처리, 실리콘 처리, 불소계 오일 처리, 아미노산 처리, 왁스 처리, 오일 성분 처리, 레시틴 처리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표면처리 안료들은 내수성 부여, 화장 지속성, 부착력, 사용성 개선 등의 물성 개선이 주목적이었다.
최근에는 분자 내에 반응성 부위를 가지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으로 처리한 기술이 다수 보고되고 있는데, 이것은 상기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이 분체의 표면과 화학결합을 형성하기 때문에, 분체 표면의 질을 개선하는 동시에 표면활성을 봉쇄하기 위한 목적으로 유효하므로, 용제계의 화장료에 사용하여도 분체의 표면으로부터 처리제의 이탈없이, 표면처리에 의하여 화장료에 특성변화를 일으키는 것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일례로, 일본 특허 제2719303호 공보에 있어서는 분체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12∼60중량부로 표면처리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개평7-196946호 공보에서는 직쇄상의 편말단 알콕시변성 실리콘을 사용한 표면처리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반응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에 의한 분체처리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기술이지만, 어떤 경우에도 분체 표면의 활성을 봉쇄하는 효과가 충분하지 않고, 특히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계의 처리제(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디메틸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에 있어서는 분체를 표면처리한 후에도 미반응의 Si-H가 잔존하기 때문에, 이 분체를 화장료에 배합한 경우, 화장료의 액성의 조건에 따라서는 수소가스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반응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계로 표면처리된 종래의 분체에는 우수한 면이 있으나, 제형이 다른 모든 화장료에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며, 특히 표면활성의 봉쇄, 내수성, 내피지성 등에 있어서 더욱 처리효과를 향상시킨 표면처리 분체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의 안정성 및 사용감을 개선하기 위하여 주력한 결과, 친수성기를 가진 알킬실란으로 표면처리된 분체들을 포함하여, 제형 안정정도, 도포 균일성 및 발림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친수성기를 가진 알킬실란으로 표면처리된 분체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착색제 성분이 분산된 수상성분에 유상성분이 함유된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친수성기를 가진 알킬실란으로 표면처리된 분체를 착색제 성분으로 함유한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98521878-pat00001
(상기에서, 상기에서, R1은 C1∼C4알킬기이고,
Figure 112013098521878-pat00002
은 PEG 작용기이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서, 분체가 친수성기를 가진 알킬실란 0.1 내지 10 중량%로 표면처리된 것을 포함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체가 표면처리된 산화티탄, 표면처리된 탤크 및 표면처리된 산화철의 혼합형태를 함유한 것이다.
이때, 상기 표면처리된 산화티탄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25 중량%로 함유되고, 상기 표면처리된 탤크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면처리된 산화철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의 안정성 및 사용감을 개선한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친수성기를 가진 알킬실란으로 표면처리된 분체들을 포함한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종래 표면처리하지 않은 분체에 비해 물에 대한 분산성이 강화되어 안정도가 우수하고, 수상에 매우 고르게 분산되기 때문에 뭉침없이 고르게 도포되었으며, 입자감 없는 부드러운 발림성 및 도포의 균일성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친수성기를 가진 알킬실란으로 표면처리된 분체 및 미처리된 분체에 대한 외관을 관찰한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친수성기를 가진 알킬실란으로 표면처리된 분체를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도 평가에 대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착색제 성분이 분산된 수상성분에 유상성분이 함유된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친수성기를 가진 알킬실란으로 표면처리된 분체를 착색제 성분으로 함유한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98521878-pat00003
(상기에서, 상기에서, R1은 C1∼C4알킬기이고,
Figure 112013098521878-pat00004
은 PEG 작용기이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서, 친수성기를 가진 알킬실란으로 표면처리된 분체는 기상에 의한 반응이나 유기 슬러리에 의한 표면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수득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실시한 방법으로는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이 CH3인 알킬실란을 사용하고, 친수성기를 가진 알킬실란 화합물을 물 또는 에탄올 또는 물과 에탄올의 혼합액으로 녹인 실란 용액을 분체가 혼합된 혼합기에 투입하여 충분히 혼합되도록 교반한다. 이후, 분체 혼합액을 110∼160℃로 가열 처리하여 친수성기를 가진 알킬실란으로 표면처리된 분체를 수득한다.
본 발명의 분체는 친수성기를 가진 알킬실란 함량이 0.1 내지 10 중량%로 표면처리된 것을 바람직하며, 상기 범위는 표면처리 후 물에 대한 분산성이 최적화되도록 선정된 것이다. 이때, 0.1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표면 처리가 되지 않아 분산이 용이하지 않으며, 반면에 10중량%를 초과하면, 분체 간의 응집현상으로 인하여 피부 도포시 뭉침 현상과 사용감 저하가 발생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친수성기를 가진 알킬실란으로 표면처리된 분체(우) 및 미처리된 분체(좌)에 대한 외관을 관찰한 사진이다. 그 결과, 표면처리되지 않은 분체는 물에 충분히 분산되지 않아 상층액에 그대로 부양된 것을 관찰할 수 있는 반면에, 본 발명의 친수성기를 가진 알킬실란으로 표면처리된 분체(우)는 전체 용액상 안정되게 분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된 착색제 전성분에 친수성기를 가진 알킬실란으로 표면처리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분체로서 산화티탄, 탤크 및 산화철에 적용하고 있으나, 통상의 이 기술분야에서 동일목적으로 사용되는 분체라면 특별한 한정 없이 적용 가능할 것이다. 그 외 적용될 수 있는 분체의 일례로는 산화아연, 벤가라(red ocher) 등의 안료나 마이카(mica), 세리사이트(sericite)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할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분체는 표면처리된 산화티탄, 표면처리된 탤크 및 표면처리된 산화철의 혼합형태가 함유될 때, 고온, 저온 및 사이클 안정성 평가에서 안정도가 우수하고 색이 균일하게 도포되며 입자감 없이 부드러운 발림성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표면처리된 산화티탄이 커버력을 낼 수 있도록 입자 사이즈가 400 내지 600 nm인 것이 바람직하고,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25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표면처리된 산화티탄의 함량이 0.5중량% 미만이면, 커버력이 제대로 나타나지 않고, 25 중량%를 초과하면, 산화티탄의 배합 한도를 초과하게 된다.
또한, 표면처리된 산화철은 색에 따라 함량이 결정되나,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다. 이때, 0.01중량% 미만이면 원하는 색이 제대로 구현되지 않고, 10중량%를 초과하면 색이 너무 진해서 메이크업 조성물로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에서 수상성분인 정제수 함량은 화장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땀이나 눈물 등의 수용성 물질에 의하여 일어나는 화장유지의 악화를 개량하고, 또는 피부 중의 수용성 성분이나 피지 성분 등을 잃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피부의 보호효과를 지속시키려는 발수성 향상의 목적에 적합하다.
이에, 정제수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9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중량%로 함유된다. 이때, 10 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물 함량이 적어 색소의 분산성이 좋지 않고 수분감이 느껴지지 않아 사용감이 나빠지고, 90 중량%를 초과하면 물 함량이 지나치게 많아 분체나 오일 등의 다른 원료 배합에 차질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친수성기를 가진 알킬실란으로 표면처리된 분체를 착색제 성분으로 함유한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색소를 함유한 수중유형 메이크업 베이스 또는 파운데이션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친수성기를 가진 알킬실란으로 표면처리된 분체를 포함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도 평가에 대한 사진이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친수성기를 가진 알킬실란으로 표면처리된 분체가 수상성분에 대한 친화도가 높아 고르고 안정하게 분산됨으로써 고온 및 저온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고, -5℃ 내지 40℃를 24시간 순환하는 사이클 조건에서도 안정성이 확인된다.
또한, 수상성분에 대한 친화도가 높아지므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색의 차이가 적고 색상이 균일하게 도포되므로, 입자감 없이 부드러운 발림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1> 표면처리된 분체 제조 1
친수성 알킬실란으로서 메톡시 피이지-10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DYNASYLAN 4150)을 정제수에 희석시킨 후, 산화티탄 분체를 헨쉘 믹서(Henschell Mixer)에 넣고 교반시키면서 분무시켜 준비하였다. 이때, 상기 교반은 1500rpm에서 3∼5분간 수행하고, 상기 교반된 분체는 110℃에서 열풍으로 건조하여 정제수를 완전히 제거하고 이를 분쇄하여 표면개질된 분체를 얻었다.
< 제조예 2∼3> 표면처리된 분체 제조 2∼3
상기 실시예 1의 산화티탄 대신에,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탤크 또는 산화철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Figure 112013098521878-pat00005
< 실시예 1>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제조 1
하기 표 2에 제시된 1) 착색제 성분을 수상성분에 분산 혼합하여 80℃로 가온하였다. 상기 80℃로 유지된 상태에, 유상성분을 서서히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상기 공정 다음, 냉각한 후 완전 탈기시켜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비교예 1∼2 및 실시예 1의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3098521878-pat00006
< 실험예 1> 제형 안정도 평가
상기에서 제조된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비교예 1∼2 및 실시예 1의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각각을 40g씩 취해 50℃의 고온 항온조, -5℃ 내지 40℃를 24시간 순환하는 사이클 챔버 및 5℃의 저온 항온조에 넣은 후, 일주일 동안 제형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13098521878-pat00007
상기 표 3의 결과로부터 확인된 바와 같이, 친수성기를 가진 알킬실란으로 표면처리된 분체를 포함하는 실시예 1은 표면처리되지 않은 분체를 포함하는 비교예 1의 경우보다 고온, 저온 및 사이클 안정도의 모든 평가에서 우수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친수성기를 가진 알킬실란으로 표면처리된 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 상기 표면처리된 분체가 수상에 대한 친화도가 더 높아 고르고 안정하게 분산됨으로써 온도에 대한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친수성기를 가진 알킬실란으로 표면처리된 산화티탄과 처리되지 않은 탤크 및 산화철을 함께 사용한 비교예 2의 경우에는 분체끼리의 상용성이 좋지 않아 고온과 사이클 조건에서 색소띠가 나타나 안정도가 오히려 나빠지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 실험예 2> 도포 균일성 평가
상기에서 제조된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도포 균일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박 부위(3×3 ㎠)에 비교예 1∼2 및 실시예 1의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각각을 20 ㎎씩 도포하고 5분간 방치한 후 도포 부위 중 3곳을 임의로 선택하여 색차계(Spectrophotometer)로 측정하였다. 이어서, 명도(L)와 채도(a, b)값의 표준 편차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3098521878-pat00008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친수성기를 가진 알킬실란으로 표면처리된 분체를 포함하는 실시예 1의 조성물은 표면처리를 하지 않은 분체를 함유하는 비교예 1의 경우보다 명도 및 채도 값의 편차가 작은 값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친수성기를 가진 알킬실란으로 표면처리된 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 상기 표면처리된 분체가 수상에 대한 친화도가 더 높기 때문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명도 및 채도 값의 편차가 작게 관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교예 2는 친수성기를 가진 알킬실란으로 표면처리된 산화티탄과 표면처리하지 않은 산화철을 동시에 사용한 조성물의 경우, 산화티탄은 균일하게 분산되지만 산화철 색소들이 일부 분산이 균일하지 않아 명도 및 채도 값이 높게 관찰되었다.
< 실험예 3> 사용감 평가
상기에서 제조된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도포시 발림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전문패널을 대상으로 비교예 1∼2 및 실시예 1의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입자감 및 발림성에 대한 사용감을 관능 평가하였다.
평가된 최고값 5점을 기준으로 구분하고, 그 평균값을 하기 표 5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13098521878-pat00009
상기 표 5의 결과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친수성기를 가진 알킬실란으로 표면처리된 분체를 포함하는 실시예 1의 조성물은 표면처리하지 않은 분체를 함유하는 비교예 1의 조성물보다 도포 시 입자감이 느껴지지 않아 우수한 발림성을 보였다.
반면에, 분체의 주를 이루고 있는 산화티탄이 친수성기를 가진 알킬실란으로 표면 처리되었으나, 산화철은 표면처리되지 않은 성분을 함유하는 비교예 2의 조성물은 불균일하게 분산된 색소 입자로 인해 도포 시 입자감을 발생시켜 발림성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에서 살펴본 봐와 같이, 본 발명은 친수성기를 가진 알킬실란으로 표면처리된 분체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의 친수성기를 가진 알킬실란으로 표면처리된 분체들을 포함한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종래 표면처리하지 않은 분체에 비해 물에 대한 분산성이 강화되어 안정도가 우수하고, 수상에 매우 고르게 분산되기 때문에 뭉침없이 고르게 도포되었으며, 입자감 없는 부드러운 발림성 및 도포의 균일성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6)

  1. 착색제 성분이 분산된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착색제 성분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친수성기를 가진 알킬실란 0.1 내지 10 중량%로 표면처리된 분체이고, 상기 분체가 표면처리된 산화티탄, 표면처리된 탤크 및 표면처리된 산화철의 혼합형태로 분산되어,
    50℃의 고온 및 -5℃ 내지 40℃를 24시간 순환하는 사이클 조건에서 제형 안정성이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5113888223-pat00010

    상기에서, R1은 C1∼C4 알킬기이고,
    Figure 112015113888223-pat00011
    은 PEG 작용기이다.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된 산화티탄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25 중량%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된 탤크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된 산화철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0130129902A 2013-10-30 2013-10-30 친수성기를 가진 알킬실란으로 표면처리된 분체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608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902A KR101608816B1 (ko) 2013-10-30 2013-10-30 친수성기를 가진 알킬실란으로 표면처리된 분체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902A KR101608816B1 (ko) 2013-10-30 2013-10-30 친수성기를 가진 알킬실란으로 표면처리된 분체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391A KR20150049391A (ko) 2015-05-08
KR101608816B1 true KR101608816B1 (ko) 2016-04-04

Family

ID=53387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9902A KR101608816B1 (ko) 2013-10-30 2013-10-30 친수성기를 가진 알킬실란으로 표면처리된 분체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88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279B1 (ko) * 2020-06-25 2020-12-22 코스맥스 주식회사 메이크업 밀착력 강화 및 묻어남 방지를 위한 양이온성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elest Co. 카탈로그 사본. 2012.03.14. Tailoring Surfaces for Cosmetic Innovation (http://www.gelest.com/goods/PDF/Brochures/HybridFluids2012.pd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391A (ko) 2015-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5990B1 (en) Cosmetic composition having fluorosilane coated particulates
CN105456048B (zh) 一种疏水疏油的化妆品颜料粉末的制备方法
US5470562A (en) Cosmetic pigment coating and method of application in nail polish
CN107648059A (zh) 无蜡膏状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3513866B2 (ja) 親水化処理顔料及びこれを含有する組成物
JP2010185073A (ja) 鮮やかな外観色と干渉色を有する二色性顔料
US20060225617A1 (en) Surface-treated pigmen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1766682B1 (ko) 우레탄 파우더를 포함하는 에멀젼 바인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08816B1 (ko) 친수성기를 가진 알킬실란으로 표면처리된 분체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138786B1 (ko) 색조 화장료용 코팅 분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49589A (ko) 표면이 개질된 화장료용 안료 및 개질된 안료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108618979A (zh) 颜料粉末
KR20110021455A (ko) 개질된 분체의 제조방법
KR101394638B1 (ko) 개질된 분체의 제조방법
KR101762246B1 (ko) 실리카로 표면처리된 무기안료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5947083B2 (ja) 固形粉体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08815A (ko) 눈화장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84418B1 (ko) 성형성이 향상된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309937B1 (ko)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JP6348690B2 (ja) 高機能色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H01172312A (ja) 化粧料
JP2001002524A (ja) 化粧料
JP2005232279A (ja) 疎水化処理酸化亜鉛粉末の製造方法
KR102395903B1 (ko) 화장료 조성물
KR100992951B1 (ko) 화장료용 표면개질 안료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