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6682B1 - 우레탄 파우더를 포함하는 에멀젼 바인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우레탄 파우더를 포함하는 에멀젼 바인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6682B1
KR101766682B1 KR1020100116834A KR20100116834A KR101766682B1 KR 101766682 B1 KR101766682 B1 KR 101766682B1 KR 1020100116834 A KR1020100116834 A KR 1020100116834A KR 20100116834 A KR20100116834 A KR 20100116834A KR 101766682 B1 KR101766682 B1 KR 101766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emulsion binder
weight
water
b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6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5223A (ko
Inventor
오혜연
최재욱
최영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00116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6682B1/ko
Publication of KR20120055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5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6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66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7Polyureth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레탄 파우더를 포함하는 에멀젼 바인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의 파우더 성분을 결합시키기 위한 에멀젼 바인더로서, 수상부 및 유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상부는 오일, 왁스 및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상 성분과, 우레탄 파우더를 포함하는 에멀젼 바인더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에멀젼 바인더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량의 파우더 성분(펄 등)을 함유시켜도 성형 안정성이 확보되고, 가루날림 현상이 줄어들며, 피부 부착성 및 지속성이 높으면서도 개선된 발색력 및 사용감을 갖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우레탄 파우더를 포함하는 에멀젼 바인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MULSION BINDER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UREATHANE POWD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우레탄 파우더를 포함하는 에멀젼 바인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료 조성물의 파우더 성분을 결합시키기 위한 바인더를 조성함에 있어서, 우레탄 파우더를 포함하는 에멀젼 제형으로 조성함으로써, 다량의 파우더 성분을 함유시켜도 성형 안정성이 확보되고, 가루날림 현상이 줄어들며, 피부 부착성 및 지속성이 높으면서도 개선된 발색력 및 사용감을 갖게 할 수 있는 에멀젼 바인더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상기 에멀젼 바인더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메이크업 등의 화장료 조성물은 베이스 성분으로서 파우더(powder)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파우더 성분으로는 나일론, 실리카, 실리콘계 파우더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최근, 메이크업 제품의 트렌드는 강한 펄감과 함께 화사한 색상 표현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메이크업 등의 제품에는 파우더 성분으로서 펄(pearl)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화를 위해 상기 파우더 성분을 결합시키는 바인더(binder)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바인더는 일반적으로 탄화수소계, 에스테르계, 트리글리세라이드계 및 실리콘계 등의 오일이 사용되며, 대략 5 ~ 10중량%(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 정도 사용되고 있다. 바인더는 경우에 따라서 왁스류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파우더류의 화장료 조성물,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은 펄, 나일론, 실리카 등의 파우더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메이크업 등)은 일반적으로 프레스 제형과 크림 제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파우더류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에 따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프레스 제형의 경우, 가루날림 현상과 색상의 지속성 문제, 그리고 성형 안정성 등의 단점이 있다. 그리고 크림 제형의 경우, 부드러운 발림성의 장점은 있으나, 피부 부착성이 떨어지고 기름진 사용감이 나타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파우더류 화장료 조성물은 최근 트렌드화되고 있는 펄의 함량을 극대화할 수 없다. 예를 들어, 프레스 제형에서 펄의 함량을 극대화할 경우, 펄 입자간의 반발력과 펄 입자의 큰 크기로 인하여 원하는 수준의 성형 강도를 나타내기 어렵다. 그리고 파우더 성분으로서 사용감을 위해 나일론, 실리카, 실리콘계 파우더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성형성의 문제로 함량을 극대화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펄 등의 파우더 성분을 최대 50중량%까지 함유시킬 수밖에 없었다.
한편, 성형성을 위해 바인더로서 오일이나 왁스를 과량으로 사용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케이킹(caking) 현상이 발생되어 화장료의 사용감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위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고자, 바인더로서 오일 이외에 점증제나 휘발성 솔벤트 등을 혼합하는 방법이 시도되었으나, 이 경우에는 파우더와 바인더 간의 상용성 문제로 인해 제형화에 어려움이 있고, 발색력 및 사용감에 대한 개선의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량의 파우더 성분을 함유시켜도 성형 안정성이 확보되고, 가루날림 현상이 줄어들며, 피부 부착성 및 지속성이 높으면서도 개선된 발색력 및 사용감을 갖게 할 수 있는 에멀젼 바인더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상기 에멀젼 바인더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의 파우더 성분을 결합시키기 위한 에멀젼 바인더로서,
수상부; 및 유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상부는,
오일, 왁스 및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상 성분과,
우레탄 파우더를 포함하는 에멀젼 바인더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의 파우더 성분을 결합시키기 위한 에멀젼 바인더의 제조방법으로서,
(1) 물을 포함하는 수상부를 얻는 단계;
(2) 오일, 왁스 및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상 성분과, 우레탄 파우더를 포함하는 유상부를 얻는 단계;
(3) 상기 수상부와 유상부를 혼합하여 유화시키는 단계; 및
(4) 상기 유화된 에멀젼을 안정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멀젼 바인더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수상부는 보습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습제는 폴리올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파우더 성분; 및
상기 파우더 성분을 결합시키는 바인더를 포함하되, 바인더로서 상기 에멀젼 바인더를 사용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Ⅰ) 물 오일, 왁스 및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상 성분 및 우레탄 파우더를 포함하는 에멀젼 바인더를 준비하는 단계; 및
(Ⅱ) 파우더 성분 및 상기 에멀젼 바인더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료 조성물의 파우더 성분을 결합시키기 위한 바인더로서, 우레탄 파우더를 포함하는 에멀젼 제형으로 조성되어, 우수한 제형적 특성을 갖게 한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제형에서는 성형 안정성 등의 이유로 파우더 성분(펄 등)을 최대 50중량%까지 사용하지 못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우레탄 파우더를 포함하는 에멀젼 바인더에 의해, 우수한 성형 안정성 등을 갖게 하면서 펄 등의 파우더 성분을 50중량% 이상의 높은 함량을 도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관에서의 강한 펄감과 내색에서의 화사한 펄감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아울러, 가루날림 현상이 줄어들며, 피부에 얇고 부드럽게 밀착되어 피부 부착성 및 지속성이 높으면서도 개선된 발색력 및 사용감을 갖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습제로서 폴리올을 포함하는 경우, 촉촉함 등의 우수한 보습 효과를 갖게 함은 물론, 상기 우레탄 파우더와 혼화성이 좋아 향상된 제형적 특성을 갖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멀젼 바인더는, 화장료 조성물의 파우더 성분을 결합시키기 위한 바인더로 사용되며, 수상부 및 유상부를 포함하는 에멀젼 제형을 갖는다.
상기 수상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상 성분,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물을 포함한다. 수상부는 물 이외의 다른 수상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수용성 탄화수소계(알콜류, 케톤류 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상부는, 바람직하게는 보습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보습제는, 보습 효과가 있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으며, 보습제는 예를 들어 오일류(식물성 및/또는 동물성 오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올을 포함하면 좋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습제는 폴리올로 구성되거나, 다른 보습 성분(오일류 등)과 폴리올의 혼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습제로서 폴리올을 사용하는 경우, 촉촉함 등의 우수한 보습 효과를 갖게 함은 물론, 아래에서 설명하는 우레탄 파우더와 혼화성이 좋아 에멀젼의 제형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폴리올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프로판디올(Propanediol), 디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및 펜틸렌글라이콜(Pentylene glycol) 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있다.
상기 유상부는 (a)유상 성분, 및 (b)우레탄 파우더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상부는 에멀젼 제형을 위한 성분으로서 오일, 왁스 및 계면활성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a)유상 성분과, 제형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b)우레탄 파우더를 포함한다. 상기 유상부는, 바람직하게는 (a)유상 성분으로서 오일과 계면활성제를 동시에 포함하면 좋다. 이때, 상기 계면활성제는 제형 내에서 에멀젼화제의 용도로도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에스테르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및 실리콘계 오일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구체적인 예를 들어 헥실라우레이트(Hexyl laurate),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트리에칠헥사노인(Triethylhexanoin) 및 디세테아릴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Dicetearyl dimer dilinoleate) 등의 에스테르계 오일 폴리부텐(Polybutene)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ene) 등의 탄화수소계 오일 페닐트리메치콘(Phenyl trimethicone) 및 디메치콘(Dimethicone) 등의 실리콘계 오일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을 사용할 수 있으나, 오일의 종류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왁스는, 예를 들어 에스터계, 실리콘계 및 하이드로 카본계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왁스는, 구체적인 예를 들어 파라핀,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오조케라이트, 세레신, 폴리부텐계 및 천연 왁스(카나우바 왁스 및 칸데릴라 왁스 등) 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을 사용할 수 있으나, 왁스의 종류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계면활성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솔비탄류, 아미드류, 아민류 및 이들의 유도체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계면활성제는 솔비탄모노올레이트, 솔비탄모노라우릴레이트, 라우릴 디에틸 아민 옥사이드, 야자유 알킬디메틸아민 옥사이드, 야자유지방산 디에탄올 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 아미드 및 이들의 유도체 등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계면활성제는 다른 예를 들어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PEG-100 스테아레이트(Stearate),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Polyethylene Glycol Monoisostearate), 세테아릴 올리베이트(Cetearyl Olivate), 소르비탄 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 수소화된 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아라치딜 글루코시드(Arachidyl Glucoside), 세테아릴 알코올(Cetearyl Alcohol), 세테아릴 글루코시드(Cetearyl Glucoside),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 80 및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 60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을 사용할 수 있으나, 계면활성제의 종류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b)우레탄 파우더는 본 발명에 따른 에멀젼 바인더의 제형적 특성 개선을 위해 함유되는 것으로서, 이는 (a)유상 성분과 혼화되어 화장료의 성형 안정성 및 물성 등의 제형적 특성을 개선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에멀젼 바인더는, 수상부와 유상부가 유화된 에멀젼 제형을 가지되, 상기 (b)우레탄 파우더와 (a)유상 성분(오일, 왁스 및/또는 계면활성제)의 상호 작용으로, 화장료의 가루날림 현상, 피부 부착성, 지속성, 발색력 및 사용감 등을 개선하면서, 성형 안정성을 향상시켜 화장료의 파우더 성분(펄 등)의 함유량을 극대화시킨다. 아울러, 수상부에 보습제로서 폴리올이 포함된 경우, 상기 (b)우레탄 파우더는 폴리올과 혼화성이 좋아 에멀젼의 제형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b)우레탄 파우더는 분말 상으로서, 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우레탄기를 가지는 화합물이면 좋다. 상기 (b)우레탄 파우더는, 구체적으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OH기를 가지는 화합물이 우레탄 신장반응에 의하여 합성된 이소시아네이트기/OH그룹 중합체이면 좋으며,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OH기를 가지는 화합물은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로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노르보난디이소시아네이트(NBDI), 토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TDI),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 및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으로부터 선택될 있으며, 상기 OH기를 가지는 화합물은 예를 들어 폴리올계, 에스테르계, 에폭시계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b)우레탄 파우더는, 바람직하게는 무기-우레탄 파우더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b)우레탄 파우더는 무기물(예를 들어, 실리카 등)과 우레탄 중합체의 착화합물로서, 무기물-이소시아네이트기/OH그룹의 중합체를 사용하면 좋다. 이러한 무기-우레탄 파우더로서, 예를 들어 실리카-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트리메칠올헥실락톤 크로스폴리머(Silica-hexamethylene diisocyanate(HDI)/Trimethylol hexyllactone crosspolymer), 및 실리카-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폴리프로필렌 글라이콜(PPG)/폴리카프로락톤 크로스폴리머(silica-hexamethylene diisocyanate(HDI)/polypropylene glycol(PPG)/ Polycaprolactone crosspolyme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b)우레탄 파우더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구체적인 예를 들어, 상기 실리카-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트리메칠올헥실락톤 크로스폴리머, 및 실리카-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폴리프로필렌 글라이콜(PPG)/폴리카프로락톤 크로스폴리머 외에,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트리메칠올헥실락톤크로스폴리머(polymethylsilsesquioxane-hexamethylene diisocyanate(HDI)/Trimethylol hexyllactone crosspolymer) 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b)우레탄 파우더는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에멀젼 바인더는 수중유형(O/W형) 또는 유중수형(W/O형)이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상보다 수상 성분이 많은 O/W형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멀젼 바인더는 조성 함량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수상부 40 내지 95중량부에 대하여 유상부 5 내지 6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즉, 상기 수상부와 유상부는 40 ~ 95 : 4 ~ 60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좋다. 이때, 유상부의 함량이 5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가루날림 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6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케이킹(caking) 현상이 발생하여 제형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멀젼 바인더는, 바람직하게는 수상부 60 내지 90중량부에 대하여 유상부 10 내지 40중량부(즉, 수상부 : 유상부 = 60 ~ 90 : 10 ~ 40의 중량비)를 포함하는 것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상부 70 내지 80중량부에 대하여 유상부 20 내지 30중량부(즉, 수상부 : 유상부 = 70 ~ 80 : 20 ~ 30의 중량비)가 좋다.
또한, 상기 (b)우레탄 파우더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에멀젼 바인더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2 ~ 2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b)우레탄 파우더의 함량이 0.2중량% 미만일 경우, 이의 함유에 따른 효과(성형 안정성, 가루날림 현상, 피부 부착성, 지속성, 발색력 및 사용감 등)가 미미할 수 있으며, 20중량%를 초과할 경우 에멀젼의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b)우레탄 파우더는, 바람직하게는 에멀젼 바인더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상기 수상부에 보습제(폴리올)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보습제(폴리올)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에멀젼 바인더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 1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보습제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일 경우, 이의 함유에 따른 보습 효과(촉촉함 등)가 미미할 수 있으며, 10중량%를 초과할 경우 에멀젼의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a)유상 성분으로서 오일(또는 왁스)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에멀젼 바인더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a)유상 성분으로서 계면활성제는 에멀젼 바인더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0.5 ~ 10.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오일(또는 왁스)의 함량이 너무 적거나 많으면 제형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계면활성제의 경우 이의 함량이 적으면 유화가 어렵고, 너무 많으면 과잉 함유에 따른 상승효과가 그다지 크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에멀젼 바인더는 상기 수상부와 유상부 이외에, 필요에 따라 기타 부가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가 성분은, 예를 들어 에멀젼화제, 에멀젼 안정화제, 점증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차단제, 안료, 향료 및 방부제 등의 기능성 성분이나 첨가제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부가 성분의 구체적인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부가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유상부에 먼저 혼합된 후, 수상부와 혼합, 유화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에멀젼 바인더의 조성 함량에 있어서 보습제, 유상 성분 및 우레탄 파우더의 함량을 제외한 잔량은 물(및 첨가제 등의 부가 성분)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에멀젼 바인더는, 화장료 조성물의 파우더 성분을 결합시키기 위한 바인더로 사용되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에멀젼 바인더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멀젼 바인더의 제조방법은,
(1) 수상부를 얻는 단계:
(2) 오일, 왁스 및 계면활성제로부터 하나 이상의 (a)유상 성분과, (b)우레탄 파우더를 포함하는 유상부를 얻는 단계;
(3) 상기 수상부와 유상부를 혼합하여 유화시키는 단계; 및
(4) 상기 유화된 에멀젼을 안정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1)단계는 적어도 물을 포함하도록 수상부를 얻는다.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보습제를 더 포함하도록 수상부를 얻는다. 이때, 가열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상기 (1)단계는 물과 보습제를 혼합한 다음, 가열하여 수상부를 얻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물과 보습제를 혼합하여 가열하는 경우 보습제가 물에 균일하게 용해될 수 있다. 가열 온도는 60 ~ 90℃가 바람직하다. 가열 온도가 60℃ 미만인 경우 균일한 용해가 어려울 수 있으며, 90℃를 초과하는 경우 물이 휘발될 수 있다. 가열 온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 80℃가 좋다. 아울러, 상기 보습제는 폴리올을 포함하는 것이 좋으며, 폴리올의 구체적인 종류는 상기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2)단계는 (a)유상 성분과 (b)우레탄 파우더를 혼합한 다음, 가열하여 유상부를 얻는 것이 좋다. 상기 (a)유상 성분과 (b)우레탄 파우더의 구체적인 종류는 전술한 바와 같다. 이때, (a)유상 성분과 (b)우레탄 파우더의 혼합 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가열하는 경우, (a)유상 성분과 (b)우레탄 파우더의 혼합성이 좋아질 수 있다. 가열 온도는 40 ~ 100℃가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상부의 온도와 동일 또는 유사하면 좋다. 가열 온도가 40℃ 미만인 경우 균일한 혼합이 어려울 수 있으며, 100℃를 초과하는 경우 유상 성분의 휘발이 발생될 수 있다. 가열 온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90℃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 80℃가 좋다.
상기 (3)단계에서는 수상부에 유상부를 첨가하거나, 유상부에 수상부를 첨가한 후, 교반을 통해 유화시킬 수 있다. 이때, 수상부와 유상부의 혼합 시, 기타 부가 성분이 첨가될 수 있다. 부가 성분은, 예를 들어 에멀젼화제, 에멀젼 안정화제, 점증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차단제, 안료, 향료 및 방부제 등의 기능성 성분이나 첨가제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부가 성분의 구체적인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부가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유상부에 먼저 혼합된 후, 수상부와 혼합, 유화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3)단계, 즉 수상부와 유상부의 유화 혼합 과정에서는 균일한 에멀젼 제형을 갖도록 가열을 진행해도 좋다. 이때, 가열 온도는 60 ~ 90℃가 바람직하다. 가열 온도가 60℃ 미만인 경우 균일한 유화가 어려울 수 있으며, 90℃를 초과하는 경우 물이 휘발될 수 있다. 가열 온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 80℃가 좋다.
아울러, 상기 (3)단계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상부 40 내지 95중량부에 대하여 유상부 5 ~ 60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수상부 60 내지 90중량부에 대하여 유상부 10 내지 4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상부 70 내지 80중량부에 대하여 유상부 20 내지 30중량부로 혼합하여 유화시키는 것이 좋다. 그리고 보습제, (a)유상 성분 및 (b)우레탄 파우더의 구체적인 배합 비율에 있어서, 에멀젼 바인더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함량이 되도록 혼합하는 것이 좋다.
상기 (4)단계는, 상기 (3)단계에서 유화시켜 얻어진 에멀젼을 안정화시키는 단계로서, 이는 예를 들어 상온 방치 또는 냉각을 통해 진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화된 에멀젼 25 ~ 50℃로 냉각시켜 안정화시키는 것이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45℃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 40℃로 냉각시켜 안정화시키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파우더 성분, 및 상기 파우더 성분을 결합시키기 위한 바인더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바인더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에멀젼 바인더가 사용된다.
상기 파우더 성분은 분말 상으로서, 이는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무기물 입자, 유기물 입자 및 무기/유기 복합 입자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우더 성분은 피부에 도포되어, 예를 들어 색상(색조) 표현, 화사함, 입체감, 보습 효과, 미백 개선, 주름 방지, 자외선 차단, 노화 방지 및 펄감 등의 기능을 가질 수 있는 것이면 좋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상기 파우더 성분은 펄, 탈크, 마이카, 합성마이카, 티타네이티드 마이카, 실리카, 세리사이트, 나일론, 산화철,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 polymethyl methacrylate) 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면 좋다. 이들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펄, 탈크, 마이카, 실리카, 나일론 및 산화철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면 좋다.
본 발명에서 파우더(분체),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우레탄 파우더와 상기 파우더 성분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500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파우더는, 예를 들어 1 나노미터(㎚) 내지 200 ㎛, 좋게는 1 ㎚ 내지 80 ㎛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슬러리 제형으로 성형하는 경우, 파우더 성분 45 내지 85중량부에 대하여 에멀젼 바인더 15 내지 5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즉, 파우더 성분과 에멀젼 바인더는 45 ~ 85 : 15 ~ 55중량비로 혼합되면 슬러리 제형에 유리하다. 이때, 에멀젼 바인더의 함량이 15중량부 미만인 경우, 파우더 성분이 에멀젼 바인더에 충분히 습윤되지 않아 제형 안정성이 떨어지고, 원하는 슬러리 제형의 형성이 어려울 수 있다. 그리고 에멀젼 바인더의 함량이 5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점도가 낮아 슬러리 제형의 형성이 어렵고, 서로 엉겨 사출 과정에 제약이 따르며 성형 공정이 어렵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파우더 성분 55 내지 80중량부에 대하여 에멀젼 바인더 20 내지 45중량부(즉, 파우더 성분 : 에멀젼 바인더 = 55 ~ 80 : 20 ~ 45의 중량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바람직한 범위에서는 슬러리 제형 형성에 양호하고, 성형성이 좋아 메이크업 등의 파우더류 화장료 제조에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향료, 방부제, 안료, 솔벤트(solvent), 점증제, 자외선 차단제 및 산화방지제 등의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능성 성분이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기능성 성분이나 첨가제의 구체적인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Ⅰ) 에멀젼 바인더를 준비하는 에멀젼 바인더 준비단계; 및
(Ⅱ) 파우더 성분 및 상기 에멀젼 바인더를 혼합하는 혼합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Ⅰ)에멀젼 바인더 준비단계는 상기한 바와 같은 수상부 및 유상부를 포함하는 에멀젼 바인더를 준비한다. 구체적으로, 물 유상 성분 및 우레탄 파우더를 포함하는 에멀젼 바인더를 준비한다. 이때, 상기 유상 성분은 오일, 왁스 및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며, 이러한 유상 성분과 우레탄 파우더의 구체적인 종류 및 함량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Ⅰ)에멀젼 바인더 준비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에멀젼 바인더의 제조방법, 즉 상기 (1)단계 내지 (4)단계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에멀젼 바인더를 제조하여 준비할 수 있다.
상기 (Ⅱ)혼합단계에서 사용되는 파우더 성분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슬러리 제형으로 성형하는 경우, 상기 (Ⅱ)혼합단계에서는 파우더 성분 45 내지 85중량부에 대하여 에멀젼 바인더 15 내지 55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파우더 성분 55 ~ 80중량부에 대하여 에멀젼 바인더 20 ~ 45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Ⅱ)혼합단계에서는 향료, 방부제, 안료, 솔벤트(solvent), 점증제, 자외선 차단제 및 산화방지제 등의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능성 성분이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기능성 성분이나 첨가제의 구체적인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Ⅱ)혼합단계는 파우더 성분 및 에멀젼 바인더를 혼합하여 제1차 교반하는 제1 교반단계 및 상기 제1차 교반된 혼합물을 제2차 교반하는 제2 교반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교반단계는 제1 교반단계보다 높은 속도로 교반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파우더 성분과 에멀젼 바인더를 혼합하여 제1차 저속 교반하고, 이후 속도를 증가시켜 제2차 고속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차 저속 교반에 의해 파우더 성분이 에멀젼 바인더에 파우더 성분이 천천히 습윤되고, 제2차 고속 교반에 의해 균일한 혼합이 이루어져 화장료의 안정된 제형화가 도모된다.
보다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파우더 성분을 2종 이상(예를 들어 펄, 탈크, 마이카, 실리카, 나일론 및 산화철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으로 혼합 사용하는 경우, 상기 파우더 성분을 헨셀 믹서를 이용하여 혼합하고, 이후 에멀젼 바인더와 혼합할 때에는 고점도 믹서 사용하는 것이 파우더 성분(펄 등)의 손실을 최소화하는데 바람직하다. 이때, 고점도 믹서 안에 파우더 성분을 먼저 투입하고, 이후 에멀젼 바인더를 함량 비율에 맞추어 투입한 다음, 제1차 교반(저속 교반)하여 파우더 성분을 에멀젼 바인더에 천천히 습윤시키고, 이후 제2차 교반(고속 교반)하여 제형을 완성하면 좋다.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제1 교반단계(저속 교반)는 예를 들어 100 rpm ~ 800 rpm의 속도로 약 30초 ~ 5분 동안 진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교반단계(고속 교반)는 1,000 rpm ~ 5,000 rpm의 속도로 2분 ~ 20분 동안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Ⅱ)혼합단계 이후에 진행되는 것으로서, 혼합물 중의 물을 제거하는 수분제거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Ⅱ)혼합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에는 물이 포함되어 있는데, 수분제거단계를 물을 휘발시켜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수분제거단계는 필요에 따라 진행되는 부가 단계로서, 이는 고점도를 요구하는 화장료 제품, 예를 들어 고형 화장료(분말 제품)나 메이크업(색조 제품, 아이섀도, 마스카라 등) 등과 같은 제품의 제형화에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분 제거(휘발)는 혼합물로부터 물(수분)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Ⅱ)혼합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보다 고점도를 갖도록 일정량 수분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수분제거단계는, 예를 들어 상온 방치나 건조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건조를 통해 물을 휘발시켜 제거하는 것이 좋다. 건조는 오븐 또는 열풍 건조를 통해 진행될 수 있다. 이때, 건조 온도는 40℃ 내지 90℃가 바람직하다. 건조 온도가 40℃ 미만인 경우 건조 효율이 떨어지며, 90℃를 초과하는 경우 휘발되는 물 및 솔벤트의 양이 급속하게 늘어나 가루날림 현상이 발생하고, 성형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건조 온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가 좋으며, 이러한 저온에서 약 2시간 내지 15시간 동안 천천히 진행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이러한 수분제거단계(건조)는 혼합물을 적정한 형상으로 성형하기 위한 성형틀에서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메이크업 제품으로서 색조 화장품, 아이섀도, 마스카라, 블러셔, 팩트 등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료 조성물의 파우더 성분을 결합시키기 위한 바인더를 조성함에 있어서, 수상부와 유상부(오일, 왁스 및/또는 계면활성제)를 유화시킨 에멀젼 제형으로 조성하되, 우레탄 파우더를 포함시킴으로써, 다량의 파우더 성분(펄 등)을 함유시켜도 성형 안정성이 확보되고, 가루날림 현상이 줄어들며, 피부 부착성 및 지속성이 높으면서도 개선된 발색력 및 사용감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습제로서 폴리올을 포함하는 경우, 촉촉함 등의 우수한 보습 효과를 갖게 함은 물론, 상기 우레탄 파우더와 혼화성이 좋아 향상된 제형적 특성을 갖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예시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에멀젼 바인더 제조 >>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하기 [표 1]에 보인 조성(성분 및 함량)으로 에멀젼 바인더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통상적인 에멀젼 제형의 제조방법에 따르되, 유상에 우레탄 파우더를 혼합한 다음, 이 혼합물을 수상에 혼합 유화시켜 수중유형(O/W) 에멀젼 바인더를 제조하였다. 이때, 수상은 물(정제수)에 폴리올(부틸렌글라이콜 등)을 첨가한 다음, 70℃에서 가열, 용해시켰다. 또한, 유상을 70℃로 가열시킨 다음, 상기 수상에 첨가한 후, 교반시켜 유화시켰다. 그리고 유화물을 35℃로 냉각 안정화시켰다. 하기 [표 1]에서, 실시예 2-2 및 실시예 2-3은, 실시예 2-1과 대비하여 우레탄 파우더의 종류와 폴리올(보습제)의 종류를 달리하여 사용한 것이다.
< 에멀젼 바인더의 조성, 단위 : 중량% >
비 고 성 분 실시예 비교예
1 2-1 2-2 2-3 1

수 상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부틸렌글라이콜 - 5.0 - 3.0 -
프로판디올 - - 3.0 - -
펜틸렌글라이콜 - - - 2.0 -



유 상
트리에칠헥사노인 7.5 7.5 7.5 7.5 7.5
디세테아릴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 6.0 6.0 6.0 6.0 6.0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6.0 6.0 6.0 6.0 6.0
세테아릴알코올 0.5 0.5 0.5 0.5 0.5
스테아릭애씨드 0.5 0.5 0.5 0.5 0.5
우레탄 파우더(1) 5.0 5.0 - 5.0 -
우레탄 파우더(2) - - 5.0 - -
우레탄 파우더(3) - - - 2.0 -
*우레탄 파우더(1):
실리카-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트리메칠올헥실락톤 크로스폴리머
*우레탄 파우더(2):
실리카-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PPG)/폴리카프로락톤 크로스폴리머
*우레탄 파우더(3):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트리메칠올헥실락톤 크로스폴리머
<< 화장료 조성물(메이크업)의 제조 >>
[실시예 3 내지 4, 및 비교예 2 내지 3]
상기에서 제조한 수중유형(O/W) 에멀젼 바인더를 이용하여, 하기 [표 2]에 보인 성분 및 함량으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실시예 3 및 실시예 4(4-1, 4-2 및 4-3)의 경우, 탈크, 실리카, 나일론 가루 및 펄을 포함하는 파우더 성분을 헨셀 믹서에 투입한 다음,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그리고 상기 파우더 성분의 혼합물을 고점도 믹서에 넣은 다음, 여기에 상기 실시예 1 및 2(2-1, 2-2, 2-3)에서 제조한 O/W 에멀젼 바인더를 [표 2]에 보인 함량으로 투입하였다. 이후, 먼저 약 200rpm의 저속으로 약 2분간 저속 교반(제1차 교반)시킨 다음, 고점도 믹서의 회전속도를 증가시켜 약 1500rpm의 고속으로 약 10분간 고속 교반(제2차 교반)시켰다. 다음으로, 상기 저속/고속 교반된 화장료 조성물을 70℃에서 약 10시간 동안 건조시켜 화장료 조성물 내에 포함된 물을 서서히 휘발시켜 소성 타입의 메이크업 제형을 제조하였다.
이때, 하기 [표 2]에 보인 바와 같이, 실시예 3의 경우에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에멀젼 바인더를 사용한 것이며, 실시예 4-1, 4-2 및 4-3은 각각 상기 실시예 2-1, 2-2 및 2-3에서 제조한 에멀젼 바인더를 사용한 것이다.
한편, 비교예 2 및 비교예 3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종래의 방법으로 파우더 성분과 바인더를 혼합 및 건조시켜 제조하였다. 이때, 하기 [표 2]에서 바인더는, 비교예 2의 경우에는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에멀젼 바인더로서, 우레탄 파우더와 폴리올이 포함되지 않은 것을 사용한 것이다. 그리고 비교예 3의 경우에는 바인더로서 종래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오일을 사용한 것이다. 이러한 비교예 3의 화장료 조성물은 종래 프레스 제형의 아이섀도 처방이다.
< 화장료 조성물의 조성, 단위 : 중량% >
비 고 성분 실시예 비교예
3 4-1 4-2 4-3 2 3

파우더
성분
탈크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실리카 3.0 3.0 3.0 3.0 3.0 3.0
나일론 가루 2.0 2.0 2.0 2.0 2.0 2.0
산화철 1.0 1.0 1.0 1.0 1.0 1.0
60.0 60.0 60.0 60.0 60.0 60.0



바인더
에멀젼 바인더(실시예 1) 30.0 - - - - -
에멀젼 바인더(실시예 2-1) - 32.0 - - - -
에멀젼 바인더(실시예 2-2) - - 30.0 - - -
에멀젼 바인더(실시예 2-3) - - - 32.0 - -
에멀젼 바인더(비교예 1) - - - - 35.0 -
페닐트리메치콘 - - - - - 5.0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 - - - - 3.0
디세테아릴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 - - - - - 2.0
<< 화장료 조성물의 물성 평가 >>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메이크업)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소비자(여성) 패널 테스트를 통해 비교 평가하였다.
20 ~ 30대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메이크업)에 대하여 가루날림 현상, 색상 표현력(외관 색상 및 발색력), 성형 안정성, 밀착감, 촉촉함 및 지속성 등을 관능 평가하게 하였다. 이때, 각 평가 항목에 대하여 아래의 [표 3]에 따른 기준에 따라 평가하게 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 평가 기준 >
5 매우 우수
4 우수
3 보통
2 나쁨
1 매우 나쁨
< 평가 결과 >
평가 항목 실시예 비교예
3 4-1 4-2 4-3 2 3
가루 날림 4 4 4 5 4 1
외관 색상 5 5 5 5 4 2
발색력 5 5 5 5 3 2
성형 안정성 5 5 5 5 5 1
밀착감 5 5 5 5 4 2
촉촉함 4 5 5 5 3 2
지속성 4 4 4 4 4 2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실시예 3 내지 4)가 종래의 경우(비교예 3)보다 가루날림, 외관 색상, 발색력, 성형 안정정, 밀착감, 촉촉함 및 지속성 등 모든 특성에서 월등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2의 경우, 유상 성분들이 적정 함량으로 에멀화되어 종래의 비교예 3보다는 우수한 특성을 보이나, 우레탄 파우더가 첨가되지 않아 실시예 3 및 4보다는 낮은 특성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실시예 3과 실시예 4를 대비해 보면, 폴리올을 첨가한 실시예 4의 경우가 촉각함 특성에서 양호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을 통해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우레탄 파우더(및 폴리올)를 포함한 수중유형 에멀젼 바인더를 이용한 경우, 화장료 조성물(소성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등)의 가루날림 현상, 색상 표현력(외관 색상 및 발색력), 성형 안정성, 밀착감, 촉촉함 및 지속성 등의 제반 특성이 개선됨을 알 수 있다.
또한, 파우더 성분(펄 등)을 종래의 경우에는 성형 안정성의 이유로 최대 50중량%까지 함유시키지 못했으나, 상기 실시예들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60중량%를 함유시켜도 성형 안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우레탄 파우더와 함께 폴리올을 동시에 포함시킨 경우, 촉촉함 등의 사용감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26)

  1. 화장료 조성물의 파우더 성분을 결합시키기 위한 에멀젼 바인더로서,
    수상부; 및 유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상부는,
    오일, 왁스 및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상 성분과,
    상기 에멀젼 바인더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의 우레탄 파우더를 포함하는 에멀젼 바인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는 보습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젼 바인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폴리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젼 바인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판디올,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및 펜틸렌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특징으로 하는 에멀젼 바인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파우더는 무기-우레탄 파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젼 바인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파우더는 실리카-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트리메칠올헥실락톤 크로스폴리머, 실리카-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폴리프로필렌 글라이콜(PPG)/폴리카프로락톤 크로스폴리머, 및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트리메칠올헥실락톤 크로스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젼 바인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멀젼 바인더는, 수상부 60 내지 90중량부에 대하여 유상부 10 내지 4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젼 바인더.
  8. 삭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에멀젼 바인더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젼 바인더.
  10. 화장료 조성물의 파우더 성분을 결합시키기 위한 에멀젼 바인더의 제조방법으로서,
    (1) 물을 포함하는 수상부를 얻는 단계;
    (2) 오일, 왁스 및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상 성분과, 상기 에멀젼 바인더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의 우레탄 파우더를 포함하는 유상부를 얻는 단계;
    (3) 상기 수상부와 유상부를 혼합하여 유화시키는 단계; 및
    (4) 상기 유화된 에멀젼을 안정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멀젼 바인더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는 물과 보습제를 혼합한 다음, 가열하여 수상부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젼 바인더의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유상 성분과 우레탄 파우더를 혼합한 다음, 가열하여 유상부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젼 바인더의 제조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수상부 60 내지 90중량부에 대하여 유상부 10 내지 40중량부를 혼합하여 유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젼 바인더의 제조방법.
  14. 삭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에멀젼 바인더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가 되도록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젼 바인더의 제조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폴리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젼 바인더의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판디올,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및 펜틸렌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젼 바인더의 제조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파우더는 무기-우레탄 파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젼 바인더의 제조방법.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파우더는 실리카-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트리메칠올헥실락톤 크로스폴리머, 실리카-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폴리프로필렌 글라이콜(PPG)/폴리카프로락톤 크로스폴리머, 및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트리메칠올헥실락톤 크로스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젼 바인더의 제조방법.
  20. 파우더 성분; 및
    상기 파우더 성분을 결합시키는 바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는, 제1항 내지 제7항 및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에멀젼 바인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파우더 성분 55 ~ 80중량부에 대하여 에멀젼 바인더 20 ~ 4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2. (Ⅰ) 물; 오일, 왁스 및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상 성분; 및 에멀젼 바인더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의 우레탄 파우더를 포함하는 에멀젼 바인더를 준비하는 단계; 및
    (Ⅱ) 파우더 성분 및 상기 에멀젼 바인더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Ⅰ)단계는, 제10항 내지 제13항 및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에멀젼 바인더를 제조하여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Ⅱ)단계는, 파우더 성분 55 ~ 80중량부에 대하여 에멀젼 바인더 20 ~ 45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Ⅱ)단계는,
    파우더 성분 및 에멀젼 바인더를 혼합하여 제1차 교반하는 제1 교반단계; 및
    상기 제1차 교반된 혼합물을 제2차 교반하는 제2 교반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교반단계는 제1 교반단계보다 높은 속도로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Ⅱ)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 중의 물을 제거하는 수분제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00116834A 2010-11-23 2010-11-23 우레탄 파우더를 포함하는 에멀젼 바인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66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834A KR101766682B1 (ko) 2010-11-23 2010-11-23 우레탄 파우더를 포함하는 에멀젼 바인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834A KR101766682B1 (ko) 2010-11-23 2010-11-23 우레탄 파우더를 포함하는 에멀젼 바인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223A KR20120055223A (ko) 2012-05-31
KR101766682B1 true KR101766682B1 (ko) 2017-08-10

Family

ID=46270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6834A KR101766682B1 (ko) 2010-11-23 2010-11-23 우레탄 파우더를 포함하는 에멀젼 바인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66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3619B1 (ko) * 2012-11-08 2019-08-23 (주)아모레퍼시픽 에멀젼 바인더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140081293A (ko) * 2012-12-21 2014-07-01 코웨이 주식회사 워터 드롭 고타입 화장료 조성물
KR102033449B1 (ko) * 2013-03-29 2019-10-17 (주)아모레퍼시픽 파우더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37454A (ko) * 2017-09-29 2019-04-08 (주)아모레퍼시픽 프라이밍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34717B1 (ko) * 2019-10-29 2021-12-03 코스맥스 주식회사 가용화된 수상을 함유하는 반 고형상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484753B1 (ko) * 2020-09-29 2023-01-05 코스맥스 주식회사 고점도 오일 바인더를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3250A (ja) * 2004-01-27 2005-08-11 L'oreal Sa 固形脂肪相を有するコンパクトパウダータイプの化粧品組成物
JP2009286748A (ja) 2008-05-30 2009-12-10 Shiseido Co Ltd 水中油型乳化化粧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3250A (ja) * 2004-01-27 2005-08-11 L'oreal Sa 固形脂肪相を有するコンパクトパウダータイプの化粧品組成物
JP2009286748A (ja) 2008-05-30 2009-12-10 Shiseido Co Ltd 水中油型乳化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223A (ko) 201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105485T2 (de) Verfahren zur Verlängerung der Dauer mindestens eines kosmetischen Effekts und/oder einer pflegenden Wirkung einer kosmetischen Zusammensetzung, kosmetische Zusammensetzung und ihre Verwendung
KR102033449B1 (ko) 파우더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66682B1 (ko) 우레탄 파우더를 포함하는 에멀젼 바인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65883B1 (ko) 오일 함유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EP0548694B1 (en) Oil-based solid cosmetic composition
KR20160102762A (ko)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88446B1 (ko)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45018B1 (ko) 천연색소를 함유하는 유중수형 립메이크업 조성물
KR102013619B1 (ko) 에멀젼 바인더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2898234B2 (ja) 柔軟なペースト形状の無水化粧品組成物およびその調製方法
DE60100487T2 (de) Verwendung in der Kosmetik von einem Organopolysiloxan als Geliermittel sowie eine kosmetischen Zusammensetzung dieses enthaltend
JP4864414B2 (ja) 油性固形化粧料
KR101566826B1 (ko) 커버력과 보습력이 우수한 파우더 조성물
KR20180053225A (ko)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211896B1 (ko) 발림성이 우수한 매트 타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081994A (ko) 청량감과 펄감을 제공해주는 스틱형 메이크업 화장료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70051582A (ko) 수중유 에멀젼을 포함하는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EP3248589A1 (en) Makeup cosmetic
KR101340274B1 (ko) 파우더 화장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41554B1 (ko) 고융점 및 고광택 성능을 갖는 고형 화장료 조성물
KR20090126031A (ko) 유중수 유화물을 바인더로 사용하는 분백류 색조 화장료의제조방법
KR101483974B1 (ko) 실리콘/실리카 복합 파우더를 함유한 유중수 메이크업화장료 조성물
JP4920203B2 (ja) 油性固形化粧料
KR102094295B1 (ko) 균질한 무늬 형성이 가능한 메이크업 화장료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6509056A (ja) モリンガ・エステル、化粧品および薬剤、ならびにそれらを製造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