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937B1 -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9937B1
KR101309937B1 KR1020110069046A KR20110069046A KR101309937B1 KR 101309937 B1 KR101309937 B1 KR 101309937B1 KR 1020110069046 A KR1020110069046 A KR 1020110069046A KR 20110069046 A KR20110069046 A KR 20110069046A KR 101309937 B1 KR101309937 B1 KR 101309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composite powder
cosmetic composition
cosmetics
tal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9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8345A (ko
Inventor
공수성
윤전윤
김동명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9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937B1/ko
Publication of KR20130008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8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9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9Arecaceae, Palmae or Palmaceae (Palm family), e.g. date or coconut palm or palmett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는, 오르비그니아 올레이페라 씨드 오일 및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리에이트/올리에이트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색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COMPOSITE POWDER FOR COLOR COSMETICS AND COLOR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르비그니아 올레이페라 씨드 오일(Orbignya Oleifera Seed Oil) 및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리에이트/올리에이트(Glyceryl Citrate/Lactate/Linoleate/Oleate)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색조 화장료는 신체의 일부분, 그 중에서도 얼굴에 도포하여 피부의 결점을 엄폐, 은폐하고 아름다운 색상을 부여하여 피부색을 보정하고 피부를 미화시킨다. 또, 상기 색조 화장료는 보습과 함께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고,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색조 화장료는 크게 화장 부위에 따라 투웨이 케이크, 파운데이션, 페이스 파우더 등의 페이스 메이크업군과 립스틱, 아이새도, 네일제품 등의 부분 색조화장료로 분류할 수 있으며, 제형에 따라 유화형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등의 유화 타입과 스킨커버, 립스틱 등의 분산 타입, 및 투웨이케익, 페이스 파우더등의 파우더 타입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색조 화장료는 원료는 착색안료, 백색안료, 체질안료, 펄안료 등의 분체 부분과 이를 분산시키는 기제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고, 양자의 배합 비율을 변화시킨 여러 종류의 제형이 있다. 기제에는 유동 파라핀, 바세린, 왁스류, 스쿠알란, 합성에스테르 등의 유분과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보습제, 계면활성제 등이 있다.
상기 색조 화장료는 화장 효과라는 관점으로부터 특히 피복성과 착색성이 중요하며, 이 기능은 분체 부분에 의존하는 경향이 크다. 백색안료는 제품의 색조 조정과 피복력을 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체질안료는 착색안료의 희석제로서 색조를 조절하고 동시에 피부에 대하여 퍼짐성, 부착성, 땀과 피지의 흡수성과 관계있는 사용감촉, 그리고 광택 등의 마무리를 조정한다.
상기 색조 화장료는 퍼짐성, 밀착성, 및 지속성의 우수함이 요구되고, 나아가 피지, 수분 등에 의해 변색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며, 오일 흡수능에 의해 화장 후 피부가 당겨지지 않는 건조감 방지 등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실리콘, 알킬실란, 불소, 아미노산, 키토산, 금속염 등으로 표면처리를 하여 제조하였다. 그러나 실리콘, 알킬실란 등으로 표면 처리한 것은 실리콘류의 낮은 표면장력 특성으로 퍼짐성 및 재응집 방지에는 효과적이나, 가루날림 및 피부 부착성이 떨어지며, 건조함이 증대되고, 수소가스 발생으로 인해 내용물의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키토산, 금속염으로 표면처리 할 경우, 피부 친화성 및 건조감은 해결될 수 있으나, 피지나 땀 등에 의해 파우더가 눅눅해지고 뭉침 발생을 해소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불소화합물은 그 분체의 발수, 발유성을 부여하여 화장붕괴를 차단하였으나, 사용감촉면에서 평활성 및 부착성이 저조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N-모노 장쇄 아실염기성 아미노산으로 분체의 표면를 처리하는 것이 있으나 이 역시 피지에 따른 뭉침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즉, 표면 처리를 통해 체질안료의 특성을 향상시키고자 다양한 시도가 있었으나, 파우더의 건조함과 부착성, 화장지속성 등의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부 건조감이 없으면서 사용감이 좋고 퍼짐성이 우수한 색조 화장료용 조성물과 이에 포함되는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피부에 대한 부착성과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색조 화장료 조성물과 이에 포함되는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는, 오르비그니아 올레이페라 씨드 오일 및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리에이트/올리에이트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에서 상기 오르비그니아 올레이페라 씨드 오일의 함량 및 상기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리에이트/올리에이트 혼합물의 함량은 각각 0.1 ~ 10.0중량%일 수 있다.
상기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는 탈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탈크는 상기 오르비그니아 올레이페라 씨드 오일 또는 상기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리에이트/올리에이트 혼합물에 의해 표면 처리될 수 있다. 상기 탈크는 1 ~ 20㎛의 평균 입도와 60㎖/100g의 오일 흡유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에서 상기 탈크의 함량은 90.0 ~ 99.0중량%일 수 있다.
상기 오르비그니아 올레이페라 씨드 오일은 30℃ 이하의 융점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색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색조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의 함량은 10 ~ 30중량%일 수 있다.
상기 색조 화장료 조성물은 탈크, 마이카, 세리사이트, 실리카,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PMMA, 우레탄, 및 보론 나이트라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색조 화장료에서 파우더의 건조감이 없어지고, 사용감이 좋아질 수 있다. 피부에 대한 퍼짐성과 부착성이 향상될 수 있다. 화장 지속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는, 오르비그니아 올레이페라 씨드 오일 및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리에이트/올리에이트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색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색조 화장료용 조성물은, 상기 오르비그니아 올레이페라 씨드 오일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탈크에 의한 피부 건조감을 방지할 수 있는 등 높은 피부 친화력과 우수한 사용감을 가질 수 있고, 우수한 퍼짐성을 가질 수 있다. 또, 상기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리에이트/올리에이트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피부에 대한 우수한 부착성과 화장 지속성을 가질 수 있다.
< 실시예 >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정제수에 에탄올을 첨가하여 80~85℃로 승온시킨다.
(2) 상기 (1)의 승온된 정제수와 에탄올의 혼합액에 1~20㎛의 평균입자 크기를 갖는 탈크를 첨가하여 호모 믹서로 30분간 교반한다.
(3) 상기 (2)의 혼합물에 수산화물, 예를 들어, 수산화 나트륨을 첨가하여 pH를 9 ~ 12로 조절한다. 등전점을 가지고 있는 산화물계의 고체 안료는 등전점 전/후의 pH에서 특이한 거동을 보인다. 상기 고체 안료는 등전점보다 높은 pH영역에서는 안료 입자의 표면전하가 음으로 하전되고, 등전점보다 낮은 pH영역에서는 양으로 하전되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2)의 혼합물에 수산화물을 소량 첨가하여 pH를 9 ~ 12로 조절함으로써 안료의 표면 전하를 음전하로 변하게 하여 피복될 물질이 효과적으로 피복될 수 있는 조건이 만들어질 수 있다.
(4) 상기 (3)의 pH가 조절된 혼합물에 염화물, 예를 들어, 염화 마그네슘을 첨가하여 15분간 교반한다. 상기 염화물의 첨가에 의해 1가염이 다가 염화되어 상기 탈크의 표면에 처리되는 물질의 반응성이 향상될 수 있다.
(5) 상기 (4)의 염화물이 첨가된 혼합물에 오르비그니아 올레이페라 씨드 오일을 첨가하여 30분간 교반하고, 여기에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리에이트/올리에이트 혼합물을 첨가하여 30분간 호모믹싱한다. 이에 의해 상기 탈크는 상기 오르비그니아 올레이페라 씨드 오일과 상기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리에이트/올리에이트 혼합물에 의해 표면 처리되어 피복된다.
(6) 상기 (5)의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여 12시간 정치 후 이를 수세 여과하고, 열풍 건조하고, 분쇄한다. 이에 의해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가 제조된다. 상기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는 상기 오르비그니아 올레이페라 씨드 오일과 상기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리에이트/올리에이트 혼합물에 의해 표면 처리된 탈크를 포함한다.
아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되는 원료의 함량을 변경하여 상기 제조 방법으로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를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 1
(g)
실시예 2
(g)
실시예 3
(g)
실시예 4
(g)
1. 정제수 600.0 600.0 600.0 600.0
2. 에탄올 15.0 15.0 15.0 15.0
3. 탈크 95.0 95.0 90.0 95.0
4. NaOH 1.0 1.0 1.0 1.0
5. MgCl2·6H2O 3.0 3.0 3.0 3.0
6. 오르비그니아 올레이페라 씨드 오일 5.0 - 5.0 4.0
7.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리에이트/올리에이트 혼합물 - 5.0 5.0 1.0
색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탈크, 마이카, 세리사이트, 실리카,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PMMA, 보론나이트라이드,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 산화철, 및 방부제를 혼합 분쇄한다.
(2) 헥실 라울레이트, 식물성 오일, 라놀린, 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디메치콘을 혼합하여 80℃로 승온시킨다.
(3) 상기 (1)의 혼합 분쇄물에 상기(2)의 혼합물을 분사한 후 2회 분쇄한다. 분쇄된 파우더를 60mesh 여과망을 이용해 1회 여과한 후 성형 접시 위에 일정량 충진하고 성형천을 대어 120psi 압력으로 3초간 타정한다.
아래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의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를 이용하여 색조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은 실시예 1의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를 포함하고, 실시예 6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은 실시예 2의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를 포함하고, 실시예 7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은 실시예 3의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를 포함하며, 실시예 8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은 실시예 4의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를 포함한다. 비교예 1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를 포함하지 않는다.
성분 실시예 5
(중량%)
실시예 6
(중량%)
실시예 7
(중량%)
실시예 8
(중량%)
비교예 1
(중량%)
1. 탈크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2. 마이카 10.0 10.0 10.0 10.0 10.0
3. 세리사이트 15.0 15.0 15.0 15.0 15.0
4. 실리카 8.0 8.0 8.0 8.0 8.0
5. 이산화티탄 5.0 5.0 5.0 5.0 5.0
6. 산화아연 4.0 4.0 4.0 4.0 4.0
7. PMMA 4.0 4.0 4.0 4.0 4.0
8. 보론나이트라이드 2.0 2.0 2.0 2.0 2.0
9. 실시예 1의 복합 분체 20.0 - - - -
10. 실시예 2의 복합 분체 - 20.0 - - -
11. 실시예 3의 복합 분체 - - 20.0 - -
12. 실시예 4의 복합 분체 - - - 20.0 -
13. 산화철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14. 방부제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15. 헥실 라울레이트 3.0 3.0 3.0 3.0 3.0
16. 식물성 오일 2.0 2.0 2.0 2.0 2.0
17. 라놀린 1.0 1.0 1.0 1.0 1.0
18. 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1.5 1.5 1.5 1.5 1.5
19. 디메치콘 1.5 1.5 1.5 1.5 1.5
<실험예>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색조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상기 실시예 5 내지 8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과 상기 비교예 1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20 ~ 30세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30일간 사용하도록 한 후, 사용 효과를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보습감, 터치감, 부착감, 지속성, 덧바름성으로 항목을 구분하여 각 항목에 대하여 최소 1점부터 최대 5점까지 부과하도록 하여 항목별 평균치를 구하고 상기 항목별 평균치를 더하여 합계를 구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보습감 터치감 부착성 지속성 덧바름성 합계
실시예 5 4.1 4.0 3.4 3.1 3.3 17.9
실시예 6 3.1 3.2 3.7 3.5 2.9 16.4
실시예 7 3.0 3.1 3.2 2.9 3.0 15.2
실시예 8 3.9 4.2 4.2 3.9 3.7 19.9
비교예 1 3.4 3.4 3.4 2.9 3.1 16.2
평가 기준 - 5: 매우 우수함, 4: 우수함, 3: 보통, 2: 나쁨, 1: 매우 나쁨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를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은 제품의 보습감, 터치감, 부착성, 지속성, 및 덧바름성의 전 항목에서 우수한 품질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탈크,
    오르비그니아 올레이페라 씨드 오일 및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리에이트/올리에이트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되,
    상기 탈크는 상기 오르비그니아 올레이페라 씨드 오일 및 상기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리에이트/올리에이트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에 의해 표면 처리되며,
    상기 오르비그니아 올레이페라 씨드 오일의 함량 및 상기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리에이트/올리에이트 혼합물의 함량은 각각 0.1 ~ 10.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크는 1 ~ 20㎛의 평균 입도와 60㎖/100g의 오일 흡유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에서 상기 탈크의 함량은 90.0 ~ 99.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르비그니아 올레이페라 씨드 오일은 30℃ 이하의 융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
  7. 제 1 항,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를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색조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의 함량은 10 ~ 3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9. 제 7 항에 있어서,
    탈크, 마이카, 세리사이트, 실리카,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우레탄, 및 보론 나이트라이드를 더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20110069046A 2011-07-12 2011-07-12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1309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046A KR101309937B1 (ko) 2011-07-12 2011-07-12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046A KR101309937B1 (ko) 2011-07-12 2011-07-12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345A KR20130008345A (ko) 2013-01-22
KR101309937B1 true KR101309937B1 (ko) 2013-09-17

Family

ID=47838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9046A KR101309937B1 (ko) 2011-07-12 2011-07-12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99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261B1 (ko) * 2019-07-19 2021-07-06 코스맥스 주식회사 피부 밀착력이 우수하고, 매끄러운 발림성 및 폭신폭신 부드러운 사용감을 갖는 고형상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0399A (ko) * 2009-11-30 2011-06-08 (주)아모레퍼시픽 입술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0399A (ko) * 2009-11-30 2011-06-08 (주)아모레퍼시픽 입술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345A (ko) 2013-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2178B1 (ko) 신규한 아미노산 실리콘 폴리머들, 그의 제조방법, 아미노산 실리콘 폴리머로 표면개질된 화장료용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색조화장료 조성물
KR101212905B1 (ko) 간섭색 안료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KR20160102762A (ko)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88446B1 (ko)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284426B1 (ko) 에탄올, 물, 및 글리세린의 혼합 용제를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료
KR101823022B1 (ko)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스타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쉐이딩용 수분산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US20060024375A1 (en) Powders coated with specific lipoamino acid composition and cosmetics containing the same
US20060225617A1 (en) Surface-treated pigmen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2138786B1 (ko) 색조 화장료용 코팅 분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309937B1 (ko)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CN112915037A (zh) 一种防水眼影湿粉及其制备方法
KR20120049589A (ko) 표면이 개질된 화장료용 안료 및 개질된 안료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2001279126A (ja) 酸化鉄−ビスマス化合物複合顔料及びこれを配合した化粧料
JPH02300109A (ja) メイクアップ用皮膚化粧料組成物
JPS6327418A (ja) 化粧料
KR100795686B1 (ko) 화장료용 표면 처리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KR101803403B1 (ko) 아이-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4944476B2 (ja) メイクアップ化粧料
KR101264530B1 (ko) 일라이트 복합 기능성 분체를 함유한 고 보습 파우더 타입 색조 화장료 조성물
JP3388659B2 (ja) メーキャップ化粧料
CN112842958A (zh) 一种能长效持妆的水嫩保湿两用粉饼的制备方法
CN109862867B (zh) 水润感优异的彩妆化妆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803940B1 (ko) 기능성 파우더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및 그의제조방법
KR20160110710A (ko) 무정형 실리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파우더형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08816B1 (ko) 친수성기를 가진 알킬실란으로 표면처리된 분체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