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5395B1 - 화장료용 안료의 표면개질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개질된 안료를 함유하는 화장료 - Google Patents

화장료용 안료의 표면개질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개질된 안료를 함유하는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5395B1
KR100285395B1 KR1019990007427A KR19990007427A KR100285395B1 KR 100285395 B1 KR100285395 B1 KR 100285395B1 KR 1019990007427 A KR1019990007427 A KR 1019990007427A KR 19990007427 A KR19990007427 A KR 19990007427A KR 100285395 B1 KR100285395 B1 KR 100285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tty acid
pigment
modified
fluorine
silicone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7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9652A (ko
Inventor
송동혁
이영익
신달식
Original Assignee
서경배
주식회사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배, 주식회사태평양 filed Critical 서경배
Priority to KR1019990007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5395B1/ko
Publication of KR20000059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9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5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53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3/00Treatment in general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C09C3/12Treatment with organosilic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료용 안료를 표면개질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안료를 함유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 화장료용 안료의 표면을 하기 일반식 (Ⅰ)의 불소치환 실리콘폴리머 지방산 에스테르로 표면개질하거나, 불소치환 실리콘폴리머 지방산 에스테르로 표면개질된 안료를 N-지방산-L-아미노산으로 2차 처리하는 것에 의해 내수성, 내유성 및 피부밀착감이 우수하고, 화장료내에서의 상용성이 우수한 안료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Ⅰ)
식중, R은 에스테르 결합된 탄소수 12 내지 18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이고,
n은 20,000∼50,000이며,
X와 Y는 n/1,000∼n/5,000이다.

Description

화장료용 안료의 표면개질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개질된 안료를 함유하는 화장료{A method for modifying surface of cosmetic powder and make-up cosmetics containing powders modified thereby}
본 발명은 화장료용 안료를 표면개질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안료를 함유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화장료용 안료 표면을 하기 일반식 (Ⅰ)의 불소치환 실리콘폴리머 지방산 에스테르로 표면개질하거나, 불소치환 실리콘폴리머 지방산 에스테르로 표면개질된 안료를 N-지방산-L-아미노산으로 2차 처리하는 것에 의해 내수성, 내유성 및 피부밀착감이 우수하고, 화장료내에서의 상용성이 우수한 안료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Ⅰ)
식중, R은 에스테르 결합된 탄소수 12 내지 18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이고,
n은 20,000∼50,000이며,
X와 Y는 n/1,000∼n/5,000이다.
일반적으로 화장료에 사용되는 안료들은 내수, 내유성이 약하여 땀이나 물, 피지 등에 의해 화장이 쉽게 지워지고 얼룩이 지는 현상이 있으며, 피부의 피지, 땀 등에 대한 배척력이 약해서 화장막이 떨어져 나가는 등의 지속성이 약한 단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안료들은 화장료에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수, 내유성이 우수한 실리콘 또는 불소 화합물 등으로 표면을 처리하고, 피부에 대한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피부 친화성이 매우 우수한 아미노산 또는 그 유도체로 표면을 개질하여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실리콘 처리안료는 내수성은 우수하지만 피지에 대한 내유성이 부족하고, 피부에 대하여 건조한 감촉이 있는 단점이 있고, 불소화합물 처리안료는 내수, 내유성은 매우 우수하나, 피부 밀착력이 매우 떨어지고, 화장이 무겁고 갑갑하게 느껴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분자내에 인산염 등의 다양한 친수성기를 합성시킨 불소화합물을 표면처리제로서 개발하였지만, 이 표면처리체로 처리한 안료들 또한 피부밀착력이 부족하며 화장이 무겁고 갑갑하게 느껴지는 단점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한편, 이러한 표면개질 안료를 화장료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안료 자체의 특성도 중요하지만, 다른 오일성분들과의 상용성도 중요하다. 즉, 다른 성분들과의 상용성이 좋지 않으면, 안료들이 서로 뭉치거나 배척을 하기 때문에 화장막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압출 성형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으므로, 안료의 표면개질시 화장료내에서 표면개질된 안료와 다른 오일성분과의 상용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실리콘 처리안료는 다른 오일성분과는 상용성이 좋지 않으므로 실리콘 오일만을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불소화합물 처리 안료는 거의 모든 종류의 오일과 상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아미노산 등으로 2차 표면처리를 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으나 불소계 화합물 자체가 이러한 방법을 적용하는데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 실리콘 또는 불소화합물로 안료를 표면개질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연구를 거듭한 결과, 하기 일반식 (Ⅰ)의 불소치환 실리콘폴리머 지방산 에스테르로 안료의 표면을 개질하는 경우, 분자내에 불소기를 함유하므로 내수성 및 내유성이 뛰어나고, 실리콘 특유의 높은 윤활성을 가지므로 피부에 대한 밀착감과 성형성이 우수하며, 또한 지방산이 결합되어 있어서 다른 오일과의 상용성 또한 우수하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Ⅰ)
식중, R은 에스테르 결합된 탄소수 12 내지 18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이고,
n은 20,000∼50,000이며,
X와 Y는 n/1,000∼n/5,000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수성, 내유성이 우수하고, 다른 오일성분들과의 상용성이 좋으므로 피부에 대한 밀착감이 우수하고, 압축성형이 잘되는 표면개질 안료를 제공하기 위한 안료의 표면개질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방법에 의해 개질된 표면개질 안료를 함유하는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안료의 표면개질 방법은 화장료용 안료를 하기 일반식 (Ⅰ)으로 표시되는 불소치환 실리콘폴리머 지방산 에스테르로 처리함을 특징으로 한다.
(Ⅰ)
식중, R은 에스테르 결합된 탄소수 12 내지 18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이고,
n은 20,000∼50,000이며,
X와 Y는 n/1,000∼n/5,000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면개질 방법은 불소치환 실리콘폴리머 지방산 에스테르로 표면개질된 안료를 N-지방산-L-아미노산으로 2차 처리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는 상기한 방법에 의해 표면개질된 표면개질 안료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80중량%의 양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안료를 표면개질하는데 사용되는 불소치환 실리콘폴리머 지방산 에스테르는 실리콘 폴리머의 메틸기에 불소가 결합되어 있으며, 지방산과 에스테르 결합을 하는 구조로써, 분자내에 불소기를 함유하므로 내수성 및 내유성이 우수하고, 실리콘 특유의 높은 윤활성을 가지므로 피부에 대한 밀착감과 성형성이 우수하다. 또한, 지방산이 결합되어 있어서, 메이크업 화장료에 쓰이는 각종 오일에 대한 친화력이 우수하여 밀착력과 성형성이 더욱 상승된다.
한편, 본 발명의 표면개질 방법은 불소치환 실리콘폴리머 지방산 에스테르로 1차 처리된 안료를 N-지방산-L-아미노산으로 2차 처리함으로써, 피부 밀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N-지방산-L-아미노산은 L-알지닌, L-아스파라긴, L-글루타민, L-라이신과 같은 L-아미노산의 아민기에 탄소수 12 내지 18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이 아마이드 결합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안료의 표면개질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표면 개질방법에는 습식법과 건식법이 있는데, 습식법은 먼저, 탈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질화붕소 등의 화장료용 안료를 이온수에 분산시킨 후 60℃에서 교반하고, 이 분산액에 유기용제에 완전히 분산된 불소치환 실리콘폴리머 지방산 에스테르액을 적가한 후 교반하고 급냉한다. 처리된 분산액에서 물과 용제를 감압여과하여 제거하고, 120℃에서 24시간 이상 열풍 건조하여 표면을 개질하여 표면개질 안료를 얻는다. 한편, 건식법은 안료를 고속교반기로 빠르게 교반하며 불소치환 실리콘폴리머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불소치환 실리콘폴리머 지방산 에스테르와 알코올계 유기용제의 분산액을 분무, 건조하여 표면개질 안료를 얻는다.
상기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표면개질 안료는 화장료에 사용되는데 그 사용량은 그 제형에 따라 적당량으로 선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총 중량에 대하여 0.05∼80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본 발명에 의한 표면개질 안료를 함유한 화장료는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파우더 파운데이션, 크림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트윈케이크, 립스틱 등과 같은 제형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각 제형의 화장료에 있어서, 상기한 표면개질 안료 이외의 다른 성분들은 기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성분 함량 (g)
1. 탈크 195
2. 이온수 800
3. 불소치환 실리콘폴리머 리놀렌산 에스테르 5
4. 이소프로필알코올 50
5. N-라우로일-L-라이신 5
<제조방법>
1) 성분 2를 60℃로 가열하고, 2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성분 1을 가하여 분산시켰다.
2) 성분 4에 성분 3을 넣고 50℃로 가열하여 완전용해시켰다.
3) 상기 1)을 200rpm으로 교반하며 상기 2)를 신속히 투입하였다.
4) 상기 3)을 35℃까지 급속냉각하였다.
5) 상기 4)를 감압하에서 여과하여 물과 이소프로판올을 제거하였다.
6) 상기 5)의 고형분을 120℃에서 24시간 동안 열풍건조하였다.
7) 상기 6)에 성분 5를 첨가한 후 고속혼합기로 고속분산시켰다.
8) 상기 7)을 분쇄하였다.
실시예 2
성분 함량 (g)
1. 탈크 195
2. 불소치환 실리콘폴리머 리놀렌산 에스테르 5
3. 이소프로필알코올 50
4. N-라우로일-L-라이신 5
<제조방법>
1) 성분 3에 성분 2를 넣고 50℃로 가열하여 완전용해시켰다.
2) 성분 1을 200rpm으로 교반하며 상기 1)을 신속히 투입하였다.
3) 상기 2)를 35℃까지 급속냉각하였다.
4) 상기 3)을 감압하에서 여과하여 이소프로판올을 제거하였다.
5) 상기 4)의 고형분을 120℃에서 24시간 동안 열풍건조하였다.
6) 상기 5)에 성분 4를 첨가한 후 고속혼합기로 고속분산시켰다.
7) 상기 6)을 분쇄하였다.
실시예 3
성분 함량 (g)
1. 탈크 97.5
2. 불소치환 실리콘폴리머 리놀렌산 에스테르 2.5
3. 이소프로필알코올 25
<제조방법>
1) 성분 2를 성분 3에 넣고 50℃로 가열하여 완전용해시켰다.
2) 성분 1을 200rpm으로 교반하며, 상기 1)을 신속히 투입하였다.
3) 상기 2)를 35℃까지 급속냉각하였다.
4) 상기 3)을 감압하에서 여과하여 이소프로판올을 제거하였다.
5) 상기 4)의 고형분을 120℃에서 24시간 동안 열풍건조하였다.
6) 상기 5)을 분쇄하였다.
실시예 4
성분 함량 (g)
1. 탈크 195
2. 이온수 800
3. 불소치환 실리콘폴리머 스테아린산 에스테르 5
4. 이소프로필알코올 50
5. N-라우로일-L-라이신 5
<제조방법>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비교예 1
성분 함량 (g)
1. 탈크 97.5
2. 불소화합물(퍼플루오르알킬인산에스테르염) 2.5
3. 이소프로필알코올 25
* 퍼플루오르알킬인산에스테르염: CnF2n+1(CH2CH2O)mPO=O[NH2(CH2CH2OH)2]3-m
<제조방법>
1) 성분 2를 성분 3에 넣고 50℃로 가열하여 완전용해시켰다.
2) 성분 1을 200rpm으로 교반하며, 상기 1)을 신속히 투입하였다.
3) 상기 2)를 35℃까지 급속냉각하였다.
4) 상기 3)을 감압하에서 여과하여 이소프로판올을 제거하였다.
5) 상기 4)의 고형분을 120℃에서 24시간동안 열풍건조하였다.
6) 상기 5)를 분쇄하였다.
비교예 2
성분 함량 (g)
1. 탈크 97.5
2. 불소화합물(퍼플루오르알킬인산에스테르염) 2.5
3. 이소프로필알코올 25
4. N-라우로일-L-라이신 2.5
<제조방법>
1) 성분 3에 성분 2를 넣고 50℃로 가열하여 완전용해시켰다.
2) 성분 1을 200rpm으로 교반하면서 상기 1)을 신속히 투입하였다.
3) 상기 2)를 35℃까지 급속냉각하였다.
4) 상기 3)을 감압하에서 여과하여 이소프로판올을 제거하였다.
5) 상기 4)의 고형분을 120℃에서 24시간동안 열풍건조하였다.
6) 상기 5)에 성분 4를 혼합한 후, 고속혼합기로 고속분산시켰다.
7) 상기 6)을 분쇄하였다.
비교예 3
성분 함량 (g)
1. 탈크 97.5
2. 실리콘폴리머(디메치콘) 2.5
3. N-라우로일-L-라이신 2.5
<제조방법>
1) 성분 1을 고속혼합기에 정치하고 고속혼합시켰다.
2) 상기 1)에 성분 2를 안개분무시켰다.
3) 상기 2)를 분쇄하였다.
4) 상기 3)을 고속혼합기에서 정치하였다.
5) 상기 4)에 성분 3을 넣고 고속혼합시켰다.
6) 상기 5)를 분쇄하였다.
<시험예 1>내수성 및 내유성
물과 유동파라핀을 이용하여 실시예 1∼4와 비교예 1∼3에서 제조한 표면개질 안료들의 액체에 대한 젖음성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시험관에 액체(물 또는 유동파라핀) 20㎖를 넣고, 안료 0.1g을 가하여 격렬하게 30회 흔들어 섞고, 30분동안 정치한 후의 외관을 관찰하였다. 평가방법은 완전하게 안료상과 액체상이 분리된 상태를 5로 하고, 안료가 액채중에 분산되어 불투명한 상태를 1로 하는 방법으로 5단계로 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2>사용감
20대 초반부터 40대 중반까지의 전문판넬 요원 5명이 1개월간 사용한 후, 사용감을 5단계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평가는 5점 만점을 기준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사용감이 좋은 것이다.
발수성 발유성 사용감
실시예 1 5 5 5
실시예 2 5 5 5
실시예 3 5 5 5
실시예 4 5 5 5
비교예 1 5 4 3
비교예 2 5 4 3
비교예 3 5 3 3
상기 표 1로부터, 실시예 및 비교예들의 표면개질 안료들은 내수성은 모두 강하게 나타났지만, 실리콘으로 처리한 비교예 3의 안료의 경우 내유성이 좋지 않았다. 한편, 사용감면에서는 실시예의 안료가 모두 우수하게 나타났다.
<시험예 3>
실시예 1∼4 및 비교예 1∼3에서 제조된 표면개질 안료들을 각종 메이크업 제품(표 2, 표 4 및 표 6)에 투입한 후, 내수성, 내유성, 지속성, 밀착감 및 사용감을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은 20대 초반부터 40대 중반까지의 전문판넬 요원 50명이 1개월 동안 사용하게 한 후, 내수성, 내유성, 지속성, 밀착감 및 사용감을 5단계로 평가하게 하여, 50명의 평균을 표 3, 표 5, 표 7에 나타내었다.
파우더 파운데이션
성분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비교제조예 1 비교제조예 2 비교제조예 3
1. 실시예 1 to 100 - - - - - -
2. 실시예 2 - to 100 - - - - -
3. 실시예 3 - - to 100 - - - -
4. 실시예 4 - - - to 100 - - -
5. 비교예 1 - - - - to 100 - -
6. 비교예 2 - - - - - to 100 -
7. 비교예 3 - - - - - - to 100
8. 나일론파우더 5.0 5.0 5.0 5.0 5.0 5.0 5.0
9. 전분 3.0 3.0 3.0 3.0 3.0 3.0 3.0
10. 이산화티탄 3.0 3.0 3.0 3.0 3.0 3.0 3.0
11. 마이카 25.0 25.0 25.0 25.0 25.0 25.0 25.0
12. 스쿠알렌 0.5 0.5 0.5 0.5 0.5 0.5 0.5
13. 디메치콘 0.8 0.8 0.8 0.8 0.8 0.8 0.8
14. 방부제 0.1 0.1 0.1 0.1 0.1 0.1 0.1
15. 향료 소량 소량 소량 소량 소량 소량 소량
<제조방법>
1) 성분 1∼11을 헴머타입의 분쇄기로 1회 분쇄하였다.
2) 상기 1)을 고속혼합기에 넣고, 5분간 고속혼합을 실시하였다.
3) 상기 2)에 원료 12∼15를 혼합 가열하여 분무 투입하였다.
4) 상기 3)을 고속혼합기로 5분간 고속혼합하였다.
5) 상기 4)를 헴머타입의 분쇄기로 2회 분쇄하였다.
파우더 파운데이션 평가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비교제조예 1 비교제조예 2 비교제조예 3
내수,내유성 4.6 4.8 4.7 4.7 4.7 4.5 3.7
지속성 4.8 4.8 4.8 4.8 4.1 4.1 3.6
밀착감 4.9 5.0 4.8 5.0 3.8 4.0 3.8
사용감 4.7 5.0 4.8 4.8 3.6 3.9 4.0
크림 파운데이션
성분 제조예 5 제조예 6 제조예 7 제조예 8 비교제조예 4 비교제조예 5 비교제조예 6
1. 세레신 4.0 4.0 4.0 4.0 4.0 4.0 4.0
2. 파라핀 2.0 2.0 2.0 2.0 2.0 2.0 2.0
3. 스쿠알란 20.0 20.0 20.0 20.0 20.0 20.0 20.0
4. 라놀린 2.0 2.0 2.0 2.0 2.0 2.0 2.0
5.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3.0 3.0 3.0 3.0 3.0 3.0 3.0
6. 향료 0.2 0.2 0.2 0.2 0.2 0.2 0.2
7. 방부제 0.2 0.2 0.2 0.2 0.2 0.2 0.2
8. 이산화티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9. 산화제이철 0.4 0.4 0.4 0.4 0.4 0.4 0.4
10. 황색산화철 1.0 1.0 1.0 1.0 1.0 1.0 1.0
11. 흑색산화철 0.2 0.2 0.2 0.2 0.2 0.2 0.2
12. 실시예 1 10.0 - - - - - -
13. 실시예 2 - 10.0 - - - - -
14. 실시예 3 - - 10.0 - - - -
15. 실시예 4 - - - 10.0 - - -
16. 비교예 1 - - - - 10.0 - -
17. 비교예 2 - - - - - 10.0 -
18. 비교예 3 - - - - - - 10.0
19. 프로필렌글리콜 4.0 4.0 4.0 4.0 4.0 4.0 4.0
20. 황산마그네슘 0.5 0.5 0.5 0.5 0.5 0.5 0.5
2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크림 파운데이션의 평가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비교제조예 1 비교제조예 2 비교제조예 3
내수,내유성 4.5 4.6 4.5 4.5 4.6 4.6 3.7
지속성 4.7 5.0 5.0 4.8 4.7 4.5 3.4
밀착감 5.0 4.9 4.8 5.0 4.0 4.2 4.0
사용감 5.0 4.8 4.8 4.9 3.8 4.0 4.2
립스틱
성분 제조예 9 제조예 10 제조예 11 제조예 12 비교제조예 7 비교제조예 8 비교제조예 9
피마자유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세레신 5.0 5.0 5.0 5.0 5.0 5.0 5.0
칸데릴라납 11.0 11.0 11.0 11.0 11.0 11.0 11.0
경화유 3.0 3.0 3.0 3.0 3.0 3.0 3.0
옥틸팔미테이트 5.0 5.0 5.0 5.0 5.0 5.0 5.0
라놀린 4.0 4.0 4.0 4.0 4.0 4.0 4.0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탄 0.5 0.5 0.5 0.5 0.5 0.5 0.5
산화제이철 0.5 0.5 0.5 0.5 0.5 0.5 0.5
황색4호알루미늄레이크 0.2 0.2 0.2 0.2 0.2 0.2 0.2
실시예 1 10.0 - - - - - -
실시예 2 - 10.0 - - - - -
실시예 3 - - 10.0 - - - -
실시예 4 - - - 10.0 - - -
비교예 1 - - - - 10.0 - -
비교예 2 - - - - - 10.0 -
비교예 3 - - - - - - 10.0
향료 0.2 0.2 0.2 0.2 0.2 0.2 0.2
립스틱의 평가
제조예 9 제조예 10 제조예 11 제조예 12 비교제조예 7 비교제조예 8 비교제조예 9
내수,내유성 4.8 5.0 5.0 4.9 5.0 4.7 3.5
지속성 5.0 5.0 5.0 5.0 5.0 4.0 3.5
밀착감 5.0 4.9 4.8 5.0 3.8 4.1 4.0
사용감 5.0 4.8 4.8 4.9 3.7 3.8 4.1
상기 표 3, 표 5 및 표 7로부터, 불소치환 실리콘폴리머 지방산 에스테르로 표면개질하거나, 불소치환 실리콘폴리머 지방산 에스테르로 1차 표면개질한 후, N-지방산-L-아미노산으로 2차 표면개질한 안료를 함유하는 화장료는 실리콘으로 표면개질한 안료를 함유하는 화장료보다 내수성, 내유성 및 지속성이 우수하며, 불소화합물로 표면개질한 안료를 함유하는 화장료보다 밀착감 및 사용감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불소치환 실리콘폴리머 지방산 에스테르로 표면개질하거나, 불소치환 실리콘폴리머 지방산 에스테르로 1차 표면개질한 후, N-지방산-L-아미노산으로 2차 표면개질한 안료는 내수성, 내유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다른 오일성분과의 상용성이 좋으므로, 밀착감 및 사용감이 우수하고, 압축 성형 또한 잘 된다.

Claims (5)

  1. 화장료용 안료를 하기 일반식 (Ⅰ)으로 표시되는 불소치환 실리콘폴리머 지방산 에스테르로 처리하여 표면개질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료의 표면개질 방법.
    (Ⅰ)
    식중, R은 에스테르 결합된 탄소수 12 내지 18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이고,
    n은 20,000∼50,000이며,
    X와 Y는 n/1,000∼n/5,000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치환 실리콘폴리머 지방산 에스테르로 표면개질한 안료를 N-지방산-L-아미노산으로 2차 처리하여 표면개질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N-지방산-L-아미노산은 L-아미노산의 아민기에 탄소수 12 내지 18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이 아마이드 결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L-아미노산은 L-알지닌, L-아스파라긴, L-글루타민 또는 L-라이신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표면개질된 안료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8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KR1019990007427A 1999-03-06 1999-03-06 화장료용 안료의 표면개질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개질된 안료를 함유하는 화장료 KR100285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7427A KR100285395B1 (ko) 1999-03-06 1999-03-06 화장료용 안료의 표면개질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개질된 안료를 함유하는 화장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7427A KR100285395B1 (ko) 1999-03-06 1999-03-06 화장료용 안료의 표면개질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개질된 안료를 함유하는 화장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9652A KR20000059652A (ko) 2000-10-05
KR100285395B1 true KR100285395B1 (ko) 2001-03-15

Family

ID=19575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7427A KR100285395B1 (ko) 1999-03-06 1999-03-06 화장료용 안료의 표면개질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개질된 안료를 함유하는 화장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53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883B1 (ko) 2007-06-20 2008-09-03 김지선 화장료용 표면개질 안료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883B1 (ko) 2007-06-20 2008-09-03 김지선 화장료용 표면개질 안료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9652A (ko) 200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1551A (en) Oil-based solid cosmetic composition
EP0966263B1 (en) Transfer-resistant color cosmetic composition
KR101083956B1 (ko) 화장용 파우더
KR20010036197A (ko) 신규한 아미노산 실리콘 폴리머들, 그의 제조방법, 아미노산 실리콘 폴리머로 표면개질된 화장료용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색조화장료 조성물
JP3572258B2 (ja) インジゴイド型化合物を含有する化粧品用組成物
KR19990013446A (ko) 필름 형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신규 화장품 조성물
JP3513866B2 (ja) 親水化処理顔料及びこれを含有する組成物
US20060225617A1 (en) Surface-treated pigmen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H10316536A (ja) 改質粉体及びそれを配合した化粧料
JPH02295913A (ja) 固型粉末化粧料
KR100285395B1 (ko) 화장료용 안료의 표면개질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개질된 안료를 함유하는 화장료
JPS6169709A (ja) 化粧料
JP3496133B2 (ja) 改質粉体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4142812B2 (ja) 化粧料
JPH01172312A (ja) 化粧料
JPH08283605A (ja) 改質粉体および配合化粧料
JPH08133928A (ja) 化粧用粉体及び該粉体を含有する化粧料
JP5615106B2 (ja) 表面処理粉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H0445483B2 (ko)
JP4082809B2 (ja) 油性固形化粧料
JP4282147B2 (ja) 化粧料
KR100992951B1 (ko) 화장료용 표면개질 안료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23636B1 (ko) 화장료용 안료의 표면개질 방법, 이 방법에 의한 표면개질안료, 및 상기 표면개질 안료를 함유하는 화장료
JP2000212024A (ja) 化粧料
JP3567958B2 (ja) 固型粉末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