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446A - 필름 형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신규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필름 형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신규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446A
KR19990013446A KR1019980023903A KR19980023903A KR19990013446A KR 19990013446 A KR19990013446 A KR 19990013446A KR 1019980023903 A KR1019980023903 A KR 1019980023903A KR 19980023903 A KR19980023903 A KR 19980023903A KR 19990013446 A KR19990013446 A KR 19990013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compound
formula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3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5302B1 (ko
Inventor
라멩롤랑
가벵필리쁘
프랑크푸르트크리스
Original Assignee
로스트까뜨린느
로레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스트까뜨린느, 로레알 filed Critical 로스트까뜨린느
Publication of KR19990013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5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53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onic acid derivatives; Sa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3/00Manicure or pedicur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3/00Manicure or pedicure preparations
    • A61Q3/02Nail coat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주제는 화장용 및/또는 피부용으로 허용가능한 분산제에 하기 성분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및/또는 피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a) 일종 이상의 필름 형성 고분자;
(b)시트르산의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되는 일종 이상의 화합물;
(c) 하기 화학식 (2)에 상응하는 것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
(여기서, α는 메틸기의 오르토 혹은 파라 위치를 나타내고 R 과 R′는 동일하거나 다르며, 수소 원자 혹은 C1-C6알킬기를 나타낸다).

Description

필름 형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신규 화장품 조성물
본 발명은 신규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최소한 하나의 필름 형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케어 (care)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신규 조성물은 기존의 기술에 비하여, 특히 조성물의 유동성, 적용의 용이성, 필름의 균일성, 건조 속도, 필름의 내구성, 광택, 황변에 대한 내성, 내광성 및 열안정성에서 향상된 성질을 보인다.
필름 형성 고분자는, 예로서 손톱 와니스, 래커, 마스카라와 같은, 많은 화장품 형태에 필수적인 구성물이다. 필름 형성 고분자는 피부, 머리카락 및/또는 손톱의 표면위에 필름의 형태로서 화장품을 바르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준다. 보통은 최소한 하나의 가소제 화합물을 필름 형성 고분자에 첨가하며, 이 가소제 화합물은 화장 필름위에 유연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왜냐하면 필름 형성 고분자만를 사용하면 빨리 닯아 없어지는 딱딱하고, 깨지기쉬우며, 약한 필름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가소제를 첨가하게 되면 때때로 황변현상, 빛과 열에대한 조성물의 불안정성, 광택 및 유동성의 부족과 같은 다른 단점들을 초래하게 된다.
실제로, 필름 형성 고분자와 조합하여 가소제로서 N-에틸-o,p-톨루엔술폰아미드 (오르토 및 파라 이성질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손톱 와니스 조성물들은 알려져 있고, 특히 EP-154,679 공보에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러한 조합물은 빛과 열에 노출되었을 때에 급격히 황변하고 불안정해지는 단점을 보인다.
필름 형성 고분자와 조합되는 가소제로서 예를 들어 트리부틸 아세틸시트레이트와 같은 시트레이트를 사용하는 것도 역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US-5,227,155 공보를 참조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조성물은 광택과 유동성이 없고 바르기가 어렵다.
본 발명은 기존 기술에 비하여 향상된 성질을 보이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출원인은 필름 형성 고분자를 화학식 (1) (하기)에 해당하는 시트르산의 에스테르 및 화학식 (2) (하기)의 화합물과 함께 조합함으로서 놀랍게도 기존 기술의 그러한 단점을 극복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주제는 화장용 및/또는 피부용으로 허용가능한 분산제에 하기 성분:
(a) 최소한 하나의 필름 형성 고분자;
(b) 하기 화학식 (1)에 해당하는 시트르산의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되는 최소한 하나의 화합물:
(여기서, R1, R2과 R3는 동일하거나 다르며, 수소 원자 혹은 포화 또는 불포화, 선형, 분지형 혹은 고리형, C1-C30알킬 사슬을 나타내며, R1, R2과 R3중에서 최소한 하나는 수소원자 이외의 것이며, R4는 수소원자 혹은 R′4-CO-기를 나타내고 여기서 R′4는 포화 또는 불포화, 선형, 분지형 혹은 고리형, C1-C8알킬기를 나타낸다);
(c) 화학식 (2)해당하는 것들로부터 선택되는 최소한 하나의 화합물:
[화학식 2]
(여기서, α는 메틸기의 오르토 혹은 파라 위치를 나타내고 R 과 R′는 동일하거나 다르며, 수소 원자 혹은 포화 또는 불포화, 선형, 지분형 혹은 고리형, C1-C6알킬기를 나타낸다)
을 함유하는 화장용 및/또는 피부용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제는 속눈썹, 눈썹, 피부, 입술, 머리카락 혹은 손톱에 상기의 조성물을 적용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는 속눈썹, 눈썹, 피부, 입술, 머리카락 혹은 손톱의 화장 및 화장품 처리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 점막, 속눈썹, 눈썹, 머리카락, 피부 (눈꺼풀, 볼), 입술 혹은 손톱에 아주 쉽게 퍼지며 기존 기술에 비하여 빠르게 건조하고 향상된 내구성과 광택을 보이는 균질한 필름을 얻을 수 있게 한다. 그러한 조성물은 황변현상이 일어나지 않게하고 빛과 열에 대하여 안정하다.
필름 형성 고분자는 하기:
- 케라틴 가수분해물 및 술폰 케라틴과 같은 케라틴 유도체;
- 음이온성, 양이온성, 양쪽성 혹은 비이온성 키토산 혹은 키틴 유도체;
- 히드록시에틸셀룰로우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우스, 메틸셀룰로우스, 에틸-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우스 혹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스와 같은 셀룰로우스 유도체, 뿐만아니라 4가 셀룰로우스 유도체; RS 혹은SS계의 니트로셀룰로우스와 특히 니트로셀룰로우스계 1/4RS, 니트로셀룰로우스계 1/2RS, 니트로셀룰로우스계 1/2SS와 니트로셀룰로우스계 3/4RS를 특히 들 수 있다;
- 폴리아크릴레이트 혹은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아크릴 중합체 혹은 공중합체;
- 아크릴, 스틸렌, 아크릴-스틸렌 및 비닐 형의 수지;
- 메틸 비닐 에테르와 말레산 무수물의 공중합체 혹은 비닐아세테이트 와 크로톤 산의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비닐 피롤리돈 및 비닐 공중합체;
-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SO3M 관능기를 수반하는 단량체를 함유하는 물에 분산가능한 알키드 수지 및/또는 음이온성 폴리에스테르 아미드 (M은 수소원자, 암모니윰 이온 NH4 +혹은 Na+, Li+, K+, Mg2+, Ca2+, Cu2+, Fe2+혹은 Fe3+이온와 같은 금속 이온을 나타낸다). US-3,734,874, US-4,233,196와 US-4,304,901 공보에서 언급한 중합체를 특히 들 수 있다;
- 지방 사슬을 함유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와 에폭시에스테르 수지;
- 폴리우레탄 중합체, 특히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혹은 양쪽성의 폴리우레탄, 폴리우레탄 -아크릴, 폴리우레탄 -폴리비닐피닐리돈,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폴리우레탄 , 폴리우레아, 폴리우레아-폴리우레탄 및 그 들의 혼합물;
- 다음과 같은 천연 기원의 임의로 개질된 중합체;
·아라비아 고무, 구아 검 (guar gum), 크산탄 유도체 혹은 카라야 고무 (karaya gum);
·알기네이트 (alginate) 및 카라기네이트 (carrageenate);
·글리코아미노글리칸, 히알루론 산 및 유도체;
·쉐락 수지 (shellac resin), 산더럭 검 (sandarac gum), 담마르 (dammar), 엘레미 (elemi) 혹은 코팔 (copal);
- 아릴술폰아미드-포름알데히드 혹은 아릴술폰아미드-에폭시 계의 수지, 특히 상표명 Santilite MHP 과 Santolite MS 80% 로 알려진 수지;
- 폴리 (비닐 아세테이트)의 분산액, 폴리우레탄 의 분산액, 아크릴 중합체 혹은 공중합체의 분산액 및 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분산액과 같은 합성 수성 분산액;
에서 선택할 수 있다.
하기 화학식 (1)에 해당하는 화합물은:
[화학식 1]
여기서, R1, R2과 R3는 동일하거나 다르며, 수소 원자 혹은 포화 또는 불포화, 선형, 분지형 혹은 고리형, C1-C30알킬 사슬을 나타내며, R1, R2과 R3중에서 최소한 하나는 수소원자 이외의 것이며, R4는 수소원자 혹은 R′4-CO-기를 나타내며 (여기서 R′4는 C1-C8알킬기를 나타낸다)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알려진 화합물이다.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 트리에틸 아세틸시트레이트 혹은 트리(2-에틸헥실) 아세틸시트레이트를 들 수 있다.
화학식 (2)의 화합물은 기술분야에 당업자에게는 알려진 화합물이다. 상업적으로 구득이 가능한, 예로서 상표명 Santicizer 8 이라는 이름으로 몬산토 회사로 부터 구득이 가능한 N-에틸-o,p-톨루엔술폰아미드 (오르토와 파라 이성질체의 혼합물)을 특히 들 수 있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조합물에서, 필름 형성 고분자 (a), 화학식 (1)의 화합물(b) 및 화학식 (2)의 화합물(c)은 하기 관계식:
1〈 (a) / [(b) +(c)]〈 4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a) / [(b) +(c)]〈 2.5
을 만족시키는 양으로 존재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조합물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b) 및 화학식 (2)의 화합물(c)이 하기 관계식:
0.3〈 (b)/(c)〈 3
더욱 유리하게는
0.8〈 (b)/(c)〈 1.5
을 만족시키는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및/또는 피부용 조성물은 속눈썹, 눈썹, 머리카락, 피부 (눈꺼풀, 볼), 입술 혹은 손톱을 화장하는 것과 필연적으로 관련된 조성물, 즉 아이 라이너, 마스카라, 겔, 크림, 머리카락용 래커 혹은 폼, 립스틱, 손톱 와니스, 손톱 케어 기초물 및 마무리 혹은 탑-코트 화장품이다.
조성물을 속눈썹, 눈썹 및/혹은 머리카락에 바르고자 하는 경우에, 필름 형성 고분자는 케라틴성 섬유위에 조성물의 접착이 좋을 수 있도록 하는 양을 사용한다. 이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중량에 관하여 0.1 내지 25 중량%의 범위, 유리하게는 1 내지 10 중량%의 범위의 양으로 필름 형성 고분자를 포함한다.
조성물을 손톱에 바르고자 하는 경우에, 와니스 혹은 손톱 케어 기본물의 필름 형성 고분자는 조성물의 총중량에 관하여 2 내지 40 중량%의 농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 중량%의 농도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된 가소제 (화학식 (1)의 화합물 (b)와 화학식 (2)의 화합물 (c))외에, 화장품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가소제, 예로서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 벤질 벤조에이트, 디아밀 프탈레이트, 캄포(camphor), 디부틸 프탈레이트와 같은 가소제를 역시 포함하도록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제공할 수 있다.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덧붙여 최소한 하나의 통상의 안료 혹은 염료와 같은 착색제를 포함할 수 있다. 안료는 염료에 비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매질에 불용성인 아주 작은 입자들로 구성된 천연 및 합성 물질이며, 그것의 주 기능은 착색을 시키는 것이다. 다른 형태의 안료는 무기안료, 금속성안료, 유기안료, 레이크 (lake) 혹은 진주박안료 (pearlescent pigment)로 구별된다. 레이크는 불용성 입자위에 흡착되는 염료이며, 조합물은 사용하는 매질에 근본적으로 녹지않고 남아 있는다. 진주박안료 (pearlescent pigment)는 무지개색의 혹은 광택의 효과를 주기위하여 빛을 산란 혹은 반사하는 천연 또는 합성 물질이다.
염료중에서 코치닐 카민 (cochineal carmine) (CI 75 470)과 같은 천연 유기 안료 혹은 할로산, 아조 혹은 안트라퀴논 염료와 같은 합성 유기 안료를 들 수 있다. 황산 구리와 같은 무기 안료를 역시 들 수 있다. 무기 안료중에서 금속산화물 특히 지르코늄, 세륨, 아연 혹은 크롬 산화물 (CI 77 288), 티타늄 이산화물 (CI 77 891), 흑색, 황색, 적색 및 갈색 철 산화물 (CI 77 499, CI 77492 혹은 CI 77491), 망간 바이올렛 (CI 77 742), 울트라머린 블루 (CI 77 007), 철 불루 (CI 77 510), 크롬 수화물 (CI 77 289), 은 분말 혹은 알루미늄 분말을 들 수 있다.
유기안료중에서 카본 블랙 (CI 77266) 혹은 D C 레드 (CI12085)를 들 수 있다.
레이크는 예를 들어 알루미나입자, 황산 바륨 입자, 송진입자 등에 흡착된 유기염료의 금속염 (특히 Al, Zr, Ca 혹은 Na)으로 일반적으로 구성된다.
레이크중에는 아래의 이름으로 알려진 것을 들 수 있다:
D C 레드 21 (CI 45 380), D C 오렌지 5 (CI 45 370), D C 레드 27 (CI 45 410), D C 오렌지 10 (CI 45 425), D C 레드 3 (CI 45 430), D C 레드 7 (CI 15 850:1), D C 레드 4 (CI 15 510), D C 레드 33 (CI 17 200), D C 옐로 5 (CI 19 140), D C 옐로 6 (CI 15 985), D C 그린 5 (CI 61 570), D C 옐로 10 (CI 77 002), D C 그린 3 (CI 42 053), D C 불루 1 (CI 42 090).
진주박 안료중에는 비스무스 옥시클로리드 혹은 티타늄 산화물, 철 산화물 혹은 천연 안료로 피복된 운모 예를 들어 유색의 티타늄 산화물로 피복된 운모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착색제의 총량은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약 60 중량% 사이에 있고, 특히 0.05 내지 30 중량% 사이, 보다 특히 0.5 내지 5 중량% 사이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화장품에서 통상적인 추가의 충진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충진제는 천연 혹은 합성의 물질이며, 그것의 주 기능은 조성물의 물리화학적 (유변학적, 기계적, 광학적) 및/혹은 화장용 성질을 개질하는 것이다. 충진제는 건조상태에서 무색이거나 혹은 다소 백색이다. 충진제는 결합제에 분산되었을 때 사실상 투명하다.
충진제중에는 일반적으로 40 ㎛ 이하의 크기를 갖는 입자의 형태로서 사용되는 수화 마그네슘 실리케이트인 탈크; 탈크는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을 갖고 있으며 특히 부드러운 감촉 때문에 사용된다; 2 내지 200 ㎛,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0 ㎛의 크기, 0.1 내지 5 ㎛,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3 ㎛의 두께를 갖는 플레이크의 형태로 공급되는 변화되는 조성을 갖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인 운모; 운모는 천연산 유래 (예, 무스코비트, 마가리트, 로스코에리트, 레피돌리트 혹은 바이오티트) 혹은 합성 유래일 수 있다; 운모는 일반적으로 투명하고 피부에 새틴 (satin) 외관을 주도록 하여 준다; 전분, 특히 쌀 전분; 실리카; 일반적으로 30 ㎛이하의 크기를 가지며 지방 물질에 관하여 흡수 성질이 좋은 등방성 모양으로 제공되는 수화된 알루미늄 실리케이트인 카오린; Nylon (상표명) (특히 Orgasol) 및 폴리에틸렌 분말; Teflon(상표명) ; 질화붕소; Expancel(상표명)(Nobel Industries) 혹은 polytrap(상표명) (Dow Corning)과 같은 공중합체 미세구형 입자와 실리콘 수지 미세 입자 (예, Toshiba산 Tospearls (상표명)); 10 ㎛이하의 크기를 갖는 입자의 형태로서 부드러운 느낌을 갖고 매트(matt)외관을 갖게 하여 주는 침전된 탄산 칼슘; 특히 향기를 고착시키는 성질을 갖는 탄산 마그네슘 혹은 하이드로카보네이트; 8 내지 22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의 탄소원자를 갖는 유기 카르복실산 유래의 금속비누 (metal soap), 예를 들어 아연, 마그네슘 혹은 리튬 스테아르산염, 아연 라우레이트, 마그네슘 미리스테이트 등; 이러한 비누는 일반적으로 10 ㎛이하의 크기를 갖고 있는 입자의 형태로 존재하며 부드러운 느낌을 갖고 있으며 피부에 분말의 접착을 증대시켜 준다.
제재의 형태에 따라서, 충진제는 조성물에서 0.01 내지 90 중량%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중유(oil-in-water) 혹은 유중수(water-in-oil)의 형태로 특히 제공될 수 있으며, 유기 혹은 수성 용매 매질에서 용액의 형태로서, 혹은 유기 혹은 수성 용매 매질에서 현탁액의 형태로서 혹 다르게는 겔 혹은 무스 (mousse)의 형태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형태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순서는 당해 기술에 당업자에게는 잘 알려져 있다.
조성물이 에멀션 형태로 사용될 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당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계면활성제는 조성물의 총중량에 관하여 0.01 내지 30 중량%를 구성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제조는 조성물의 총량에 관하여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0 중량%의 비율로 음이온성 혹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음이온성 혹은 비이온성 에멀션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독으로 혹은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중에는 하기 화합물의 알카리 금속염, 암모늄염, 아민염 혹은 아미노알콜 염을 들 수 있다:
- 알킬 술페이트, 알킬 에테르 술페이트, 알킬아미드 술페이트와 에테르 술페이트, 알킬아릴 폴리에테르 술페이트 혹은 모노글리세리드 술페이트,
- 알킬술포네이트, 알킬아미드 술포네이트, 알킬아릴술포네이트, α-올레핀 술포네이트 혹은 파라핀 술포네이트,
- 알킬 술포숙시네이트, 알킬 에테르 술포숙시네이트 혹은 알킬아미드 술포숙시네이트,
- 알킬 술포숙시네메이트,
- 알킬 술포아세테이트 혹은 알킬 폴리글리세롤 카아복실레이트,
- 알킬 포스페이트/알킬 에테르 포스페이트,
- 아실사르코시네이트, 알킬폴리펩티데이트,알킬아미도폴리펩티데이트, 아실리세티오네이트 혹은 알킬라우레이트.
모든 이러한 화합물에서 알킬 혹은 아실기는 일반적으로 12 내지 18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사슬을 나타낸다.
다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올레산, 리시노올레산 (ricinoleic acid), 팔미트산과 스테아르산, 코코넛 오일 산 혹은 수소첨가된 코코넛 오일 산과 같은 지방산의 염과 아민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아민염으로 구성된다.
다음을 역시 들 수있다.
- 아실기가 8 내지 20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아실락틸레이트,
- 하기 화학식에 상응하는 폴리글리콜 에테르 카르복실산:
Alk-(OCH2-CH2)n-OCH2-COOH
(치환기 Alk가 12 내지 18의 탄소원자를 갖는 선형사슬에 해당하고 n이 5 내지 15 사이의 정수임).
단독으로 혹은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중에는 특히: 폴리에톡실레이트, 폴리프로폭실레이트 혹은 폴리글리세롤레이트 알콜, 알킬페놀 및 8에서 18의 탄소원자를 포함한 지방사슬를 가지는 지방산을 들 수 있다. 에틸렌 옥사이드와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공중합체, 에틸렌과 프로필렌 옥사이드와 지방족 알콜의 축합물, 폴리에톡실레이트 지방 아미드, 폴리에톡실레이트 지방 아민, 에탄올아미드, 글리콜의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의 임의로 옥시에틸렌화된 지방산 에스테르, 수크로스의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지방산 에스테르, 글루코오스의 인산 트리에스테르 혹은 지방산 에스테르를 역시 들 수 있다. 이 범주에 오는 다른 화합물은 α-디올, 모노알콜, 알킬페놀, 아미드 혹은 디글리콜아미드와 글리시돌 혹은 글리시돌 전구체와의 축합물이다. 주로 사용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에톡실레이트 스테아릴, 세틸스테아릴과 오레일 알콜과 같은 폴리에톡실레이트 혹은 폴리글리세롤레이트 알콜이다.
특히 잘 사용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아민 스테아레이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겔 형태, 폴리아크릴산 유도체와 같은 하나 혹은 많은 수용성 고분자의 수용액 혹은 수성/알콜 용액 형태, 혹은 Goodrich 회사로부터 나온 Pemulens(상표명)과 같은 유화제를 사용하여 겔에 오일을 분산시켜 수득하는 에멀션화된 겔의 형태로 역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추가로 염기화제, 산성화제, 습윤제 및 수용성 활성 성분 뿐만아니라, 연화제, 방부제, 금속이온 봉쇄제, 방향제, 증점제, 응집제 혹은 응집 고분자로부터 선정한 표준 배합제를 함유할 수 있다.
사용되는 증점제는 천연산 혹은 합성제일 수 있다. 천연 증점제중에는 아라비아 검 (gum), 구아 검 혹은 로커스트 빈 (locust bean) 검과 같은 여러 종류의 검을 들 수 있다. 합성 증점제로는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우스 혹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우스와 같은 셀룰로우스 유도체, 전분유도체, 4 가 암모니늄기를 갖고 있는 셀룰로우스 에테르 유도체, 양이온성 다당류, 아크릴 혹은 메타아크릴 고분자의 염, 폴리엔 혹은 폴리실록산을 들 수 있다.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폴리에틸렌 글리콜 스테아레이트 및/혹은 디스테아레이트를 혼합하여 혹은 인산 에스테르와 지방 아미드의 혼합물로 조성액을 증점하는 것이 역시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오일상은 에멀션의 총중량에 관하여 0.1 내지 50 중량%를 나타낼 수 있다. 그 것은 오일 및/또는 왁스로 구성될 수 있다. 왁스와 오일은 식물성, 동물성, 광물성 혹은 합성 유래의 것일 수 있다.
식물성 오일에는, 조조바 오일 (jojoba oil), 올리브 오일, 스위트 알몬드 오일, 아보카도 오일 (avocado oil), 코코넛 오일, 맥아 오일, 옥수수 오일, 야자 오일, 참기름, 콩기름, 아르간 오일 (argan oil), 달맞이꽃 오일, 버리지 오일 (borage oil) 및 방향유 (essential oil)을 들 수 있다.
동물성 오일중에는 특히 생선 오일을 들 수 있다. 광물성 오일중에는 액상 파라핀과 이소헥사데칸을 들 수 있다. 합성 오일중에는 에틸과 이소프로필 팔미트산염, 2-에틸헥실 팔미트산염, 이소프로필, 부틸 또는 세틸 미리스테이트와 같은 알킬 미리스테이트, 헥실 스테아레이트, 옥탄산과 데칸산의 트리글리세리드, 세틸 리시놀레이트와 스테아릴 옥탄산염, 실리콘 오일, 과플루오르화된 오일 혹은 플루오르화된 실리콘 오일을 들 수 있다.
오일상은 더욱이 안료, 광차단제, 산화방지제, 방부제와 친유성 활성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따라서, 고형으로, 반죽 형태로, 액상 화장품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 무수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에서 95 중량%에 해당하는 결합제 (binder)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제중에는 동물성, 식물성 혹은 합성 오일 혹은 오일과 왁스의 혼합물 그리고 특히 밍크 오일, 거북이 오일, 콩기름, 포도 씨 오일, 참기름, 옥수수 오일, 평지씨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목화씨 오일, 아보카도 오일, 올리브 오일, 캐스터 오일, 조조바 오일, 땅콩 오일 등; 액체 파라핀, 스쿠알렌, 페트로라툼 (petrolatum) 등의 탄화수소 오일;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트산염, 부틸 스테아레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이소노닐 이소노네이트, 2-에틸헥실 팔미트산염, 2-헥실데실 라우레이트, 2-옥틸데실 팔미트산염, 2-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 디(2-에텔헥실) 숙시네이트, 디이소스테아릴 말산염, 2-옥틸도데실 락트산염, 글리세롤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디글리세롤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등과 같은 에스테르; 폴리메틸실록산, 폴리메틸페닐실록산, 지방산으로 변형된 폴리실록산, 지방족 알콜로 변형된 폴리실록산, 폴리옥시알킬렌으로 변형된 폴리실록산, 플루오르화된 실리콘 등과 같은 실리콘 오일; 플루오르화 및/또는 유기플루오르화 (organofluorinated) 오일; 미리스틱 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헤닉 (behenic)산, 올레산, 리이루산 (linoleic acid), 리이렉산 (linolenic acid), 이소스테아르산 등과 같은 고급 지방산; 세탄올, 스테아릴 알콜, 올레일 알콜 등과 같은 고급 지방족 알콜; 왁스는 특히 카르나우바 왁스, 칸델릴라 왁스, 밀랍, 고래 왁스, 라노린, 미세 결정성 (microcrystalline) 왁스 등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결합제는 피부와 접촉할 때에 증발하나 피부에 바를 때에 조성물의 퍼짐을 증대시켜 주기 때문에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유용한 휘발성 오일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오일로 여기서 알려진 그러한 전착제 (spreading agent)는 일반적으로 25 ℃에서 최소한 0.5 밀리바아 (즉 50 Pa)의 포화 증기압을 갖는 오일이다.
발명의 조성물에서 전착제로서 작용할 수 있는 휘발성 오일중에는, 예를 들어 헥사메틸디실록산, 시클로펜타디메틸실록산 혹은 시클로테트라메틸실록산과 같은 실리콘 오일, Galden(상표명) (Montefluos)의 이름으로 팔리는 것과 같은 플루오르화된 오일, Isopar(상표명) (E, G, L or H; Exxon Chemical)의 이름으로 팔리는 것과 같은 이소파라핀 오일을 들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무수의 혹은 수성의 손톱 와니스 혹은 손톱 케어 기본물의 형태로서 역시 제공될 수 있다. 유익하게는, 조성물을 손톱에 바를 때에,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가소제의 총량이 2 내지 20 중량%, 유리하게는 5 내지 15 중량% (화학식 (1)의 화합물 (b), 화학식 (2)의 화합물 (c) 및 임의의 다른 가소제)가 되게 가소제를 포함한다. 조성물이 무수의 손톱 와니스 혹은 손톱 케어 기본물의 형태로서 공급되었을 때에, 용매계는 와니스의 총중량에 대하여 약 55 내지 90 중량%에 상당한다. 이러한 용매계는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2-메톡시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메틸 아세테이트, 아밀 아세테이트와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와 같은 여러 휘발성 유기 용매의 혼합물, 혹은 에탄올 혹은 이소프로판올과 같은 알콜로 구성된다. 용매계는 헥산 혹은 옥탄과 같은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거나 혹 다르게는 톨루엔 혹은 자일렌과 같은 방향족 탄수화물을 와니스의 총중량에 관하여 10에서 35 중량%의 비율로서 역시 포함할 수 있다. 와니스의 필름 형성 물질은 와니스의 총중량에 관하여 5에서 20 중량% 사이의 농도로 존재한다. 손톱 케어 기본물과 와니스 조성물에 보통 사용되는 필름 형성 물질중에는 RS 혹은 SS계 니트로셀룰로우스와 특히 니트로셀룰로우스계 1/4RS, 니트로셀룰로우스계 1/2RS, 니트로셀룰로우스계 1/2SS 및 니트로셀룰로우스계 3/4RS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와니스는 와니스의 총중량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0 내지 15 중량%의 범위의 농도로 존재하는 수지를 역시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되는 여러 수지중에는, 아릴술폰아미드-포름알데히드 혹은 아릴술폰아미드-에폭시 계의 수지, 특히 Santolite MHP(상표명) 과 Santolite MS 80(상표명)의 이름으로 알려진 수지를 특히 들 수 있다.
손톱 와니스 혹은 손톱 케어 기본물이 수용액 형태로 공급되었을 때에, 필름 형성 물질, 증점제, pH 조절제, 가교제, 기포발생억제제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표준 첨가물이 첨가될 수 있는 합성의 필름 형성 물질의 분산액을 포함한다. 합성의 수성 분산액으로서 특히 폴리(비닐 아세테이트)의 분산액, 폴리우레탄의 분산액, 아크릴 중합체 혹은 공중합체의 분산액과 폴리(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의 분산액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합성의 수용 분산액은 와니스의 약 10 내지 80 중량%에 해당한다. 필름 형성 물질중에는 수용성 셀룰로우스 유도체를 특히 들 수 있다. 본 발명에따른 와니스는 와니스의 총중량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0 내지 15 중량%의 범위의 농도로 존재하는 수지를 역시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수지중에는 아크릴, 스틸렌, 아크릴레이트-스틸렌과 비닐계의 수지를 특히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수 혹은 수성 손톱 와니스는 예로서 U.V. 차단제와 같은 손톱 와니스에 보통 사용되는 보조제를 역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실시예 1: 손톱 와니스 조성물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다음을 포함하여 제조된다.
니트로셀룰로우스 19 %
N-에틸-o,p-톨루엔술폰아미드 6 %
트리 부틸 아세틸시트레이트 6 %
안료 1 %
헥토리트 1.2 %
이소프로필 알콜 8 %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합 100 %을 위한 잔량
실시예 2: 비교 시험
시험한 배합물:
배합 A 배합 B 배합 C
니트로셀룰로우스 20 % 20 % 20 %
N-에틸-o,p-톨루엔술폰아미드 12 % - 6 %
트리부틸 아세틸시트레이트 - 12 % 6 %
에틸 아세테이트/부틸 아세테이트 (50/50) 합 100 %을 위한 잔량 합 100 %을 위한 잔량 합 100 %을 위한 잔량
A-황변현상 연구
45 ℃에서 1 내지 4 주 동안 저장 후에 황변현상을 눈으로 평가하였다.
각 샘플을 0 에서 10 까지의 등급으로 평가하였다:
0 = 착색 없음
10 = 매우 황색
결과를 하기의 표:
배합 A 배합 B 배합 C
1 주 1 1 1
2 주 2 1 1
3 주 3 2 2
4 주 4 2 2
에 나타냈다.
그리하여 두 가소제의 조합은 황변현상에 매우 좋은 내구성을 보이며, 반면에 단독으로 사용된 N-에틸-o,p-톨루엔술폰아미드는 급격히 황변하는 조성물을 부여함을 알았다.
B-광택 (gloss)의 측정
Byk Gardner 회사에서 구입한 마이크로 트리 그로스 그로스미터 (Micro Tri Gloss Glossmeter)를 60 °각도에서 사용하여, 광택을 측정하였다.
아래에 기술한 배합 A, B 와 C 에 관하여 이러한 측정을 수행하였고, 적색안료를 중량으로 1 %를 추가하여 배합 A, B 및 C로부터 유래한 배합 A', B'와 C'에 관하여 이러한 측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배합 A 배합 B 배합C
광택 80.9 69.8 80.1
배합 A' 배합 B' 배합C'
광택 81.7 75.1 80.3
이러한 시험으로부터 두 가소제의 혼합물은 우수한 광택을 얻게하여 주고, 반면에 단독으로 사용된 트리부틸 아세틸시트레이트는 평균의 결과를 얻게하여 준다는 것이 알았다.
최소한 하나의 필름 형성 고분자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신규 화장품 및 케어용 조성물은 유동성, 적용의 용이성, 필름의 균일성, 건조 속도, 필름의 내구성, 광택, 황변에 대한 내성, 광 및 열에 대하여 안정성에 대하여 향상된 성질을 보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 점막, 속눈썹, 눈썹, 머리카락, 피부 (눈꺼풀, 볼), 입술 혹은 손톱에 아주 쉽게 퍼지며 기존 기술에 비하여 빠르게 마르고 향상된 내구성과 광택을 보이는 균질한 필름을 얻을 수 있게 하며 황변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하고 빛과 열에 대하여 안정하다.

Claims (24)

  1. 화장용 및/또는 피부용으로 허용가능한 분산제에 하기 성분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및/또는 피부용 조성물:
    (a) 1종 이상의 필름 형성 고분자;
    (b) 하기 화학식 (1)에 상응하는 시트르산의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
    [화학식 1]
    (여기서, R1, R2과 R3는 동일하거나 다르며, 수소 원자 혹은 포화 또는 불포화, 선형, 분지형 혹은 고리형, C1-C30알킬 사슬을 나타내며, R1, R2과 R3중에서 하나 이상이 수소원자 이외의 것이며, R4는 수소원자 혹은 R′4-CO-기를 나타내고 여기서 R′4는 포화 또는 불포화, 선형, 분지형 혹은 고리형, C1-C8알킬기를 나타낸다);
    (c) 하기 화학식 (2)에 상응하는 것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
    [화학식 2]
    (여기서, α는 메틸기의 오르토 혹은 파라 위치를 나타내고 R 과 R′는 동일하거나 다르며, 수소 원자 혹은 포화 또는 불포화, 선형, 분지형 혹은 고리형, C1-C6알킬기를 나타낸다).
  2. 제 1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이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 트리에틸 아세틸시트레이트 혹은 트리(2-에틸헥실) 아세틸시트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화학식 (2)의 화합물이 N-에틸-o,p-톨루엔술폰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필름 형성 고분자 (a), 화학식 (1)의 화합물 (b) 및 화학식 (2)의 화합물 (c)이 관계식:
    1〈 (a) / [(b) +(c)]〈 4
    를 만족하는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필름 형성 고분자 (a), 화학식 (1)의 화합물 (b) 및 화학식 (2)의 화합물 (c)이 하기 관계식:
    1.5〈 (a) / [(b) +(c)]〈 2.5
    를 만족하는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화합물 (b)와 화학식 (2)의 화합물 (c)이 하기 관계식:
    0.3〈 (b)/(c)〈 3
    를 만족하는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화합물 (b)와 화학식 (2)의 화합물 (c)이 하기 관계식:
    0.8〈 (b)/(c)〈 1.5
    를 만족하는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속눈썹, 눈썹, 머리카락, 피부, 입술, 및/또는 손톱을 화장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조성물의 총중량에 관하여 0.1 내지 25 중량%의 범위의 양으로 필름 형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썹, 눈썹, 피부, 입술 및/또는 머리카락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조성물의 총중량에 관하여 1 내지 10 중량%의 범위의 양으로 필름 형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썹, 눈썹, 피부, 입술 및/또는 머리카락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11.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조성물의 총중량에 관하여 2 내지 40 중량%의 범위의 양으로 필름 형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12. 제 11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조성물의 총중량에 관하여 5 내지 25 중량%의 범위의 양으로 필름 형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1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60 중량% 범위의 양으로 일종 이상의 착색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제 13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0.05 내지 30 중량% 범위의 양으로 일종 이상의 착색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제 14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5 중량% 범위의 양으로 일종 이상의 착색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6.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수중유(oil-in-water) 혹은 유중수(water-in-oil) 에멀션의 형태, 유기 혹은 수성 용매 매질에서 용액의 형태, 유기 혹은 수성 용매 매질에서 현탁액의 형태, 혹은 겔 혹은 무스의 형태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7.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무수의 손톱 와니스 혹은 손톱 케어 기본물의 형태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8.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수성의 손톱 와니스 혹은 손톱 케어 기본물의 형태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9. 청구항 제 17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2 내지 20 중량%의 범위에 해당하는 가소제 총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0. 청구항 제 19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의 범위에 해당하는 가소제 총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1. 제 1항 내지 9항과 제 13항 내지 16항중 어느 한항에 따른 조성물을 속눈썹, 눈썹, 피부, 입술 혹은 머리카락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썹, 눈썹, 피부, 입술 혹은 머리카락의 화장 방법.
  22. 제 1항 내지 9항과 제 13항 내지 16항중 어느 한항에 따른 조성물을 속눈썹, 눈썹, 피부, 입술 혹은 머리카락에 바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썹, 눈썹, 피부, 입술 혹은 머리카락의 화장품 처리 방법.
  23. 제 1항 내지 8항과 제 11항 내지 20항중 어느 한항에 따른 조성물을 손톱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의 화장 방법.
  24. 제 1항 내지 8항과 제 11항 내지 20항중 어느 한항에 따른 조성물을 손톱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의 화장품 처리 방법.
KR1019980023903A 1997-07-01 1998-06-24 필름형성고분자를포함하는신규화장품조성물 KR1002953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708281A FR2765478B1 (fr) 1997-07-01 1997-07-01 Nouvelles compositions cosmetiques comprenant un polymere filmogene
FR9708281 1997-07-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446A true KR19990013446A (ko) 1999-02-25
KR100295302B1 KR100295302B1 (ko) 2001-07-19

Family

ID=9508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3903A KR100295302B1 (ko) 1997-07-01 1998-06-24 필름형성고분자를포함하는신규화장품조성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6110447A (ko)
EP (1) EP0894490B1 (ko)
JP (1) JP2993934B2 (ko)
KR (1) KR100295302B1 (ko)
AT (1) ATE211902T1 (ko)
BR (1) BR9802585A (ko)
CA (1) CA2241357A1 (ko)
DE (1) DE69803148T2 (ko)
ES (1) ES2172093T3 (ko)
FR (1) FR2765478B1 (ko)
PL (1) PL3271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65478B1 (fr) * 1997-07-01 2000-03-03 Oreal Nouvelles compositions cosmetiques comprenant un polymere filmogene
US6605751B1 (en) 1997-11-14 2003-08-12 Acrymed Silver-containing compositions, devices and methods for making
ATE327779T1 (de) * 1999-12-30 2006-06-15 Acrymed Methode und zusammensetzungen für verbesserte abgabevorrichtungen
US6342209B1 (en) * 2000-05-04 2002-01-29 Revlon Consumer Products Corporation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film forming polymers plasticized with esters and malic acid
EP1213025A1 (de) * 2000-12-06 2002-06-12 Laboratoires Serobiologiques(Societe Anonyme) Kosmetische und/oder dermopharmazeutische Zubereitungen enthaltend Extrakte aus den Blättern der Pflanze Argania spinosa
US6485731B2 (en) * 2001-01-08 2002-11-26 Revlon Consumer Products Corporation Method for improving integrity of cosmetic films
FR2823108A1 (fr) * 2001-04-09 2002-10-11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 sulfonamide
FR2825621B1 (fr) 2001-06-12 2003-09-05 Fiabila Composition cosmetique pour les ongles, sans phtalate, sans camphre ni solvant aromatique
US6921529B2 (en) * 2002-07-29 2005-07-26 Joseph C. Maley Treatment modality and method for fungal nail infection
US8486426B2 (en) * 2002-07-29 2013-07-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dermal conditions
US20040185018A1 (en) * 2003-02-03 2004-09-23 Patil Anjali Abhimanyu Nail enamelcompositions and methods
AU2005280443B2 (en) * 2004-07-30 2011-02-03 Avent, Inc. Antimicrobial silver compositions
US8361553B2 (en) 2004-07-30 2013-01-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etal nanoparticle treated surfaces
CN101010004B (zh) 2004-07-30 2012-10-03 金伯利-克拉克环球有限公司 抗微生物的装置和组合物
WO2006034249A2 (en) 2004-09-20 2006-03-30 Acrymed, Inc. Antimicrobial amorphous compositions
FR2895905B1 (fr) * 2006-01-11 2012-06-08 Durlin France Plastifiant pour vernis a ongles d'origine naturelle
EP2015722B1 (en) 2006-04-28 2016-11-16 Avent, Inc. Antimicrobial site dressings
US7625966B2 (en) * 2006-11-14 2009-12-01 Meguiar's Inc. Anhydrous protectant chemical composition
EP2077138A1 (fr) * 2008-01-02 2009-07-08 International Lacquers S.A. Composition cosmétique anhydre
DE102009042727A1 (de) * 2009-09-23 2011-04-07 Bayer Materialscience Ag Haarkosmetik-Zusammensetzung, enthaltend Nitrocellulose-Polyurethanpolyharnstoff-Teilchen
EP2609160B1 (en) 2010-08-27 2015-05-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tective coating composition
WO2014176275A1 (en) 2013-04-22 2014-10-30 Creative Nail Design, Inc. Nail coatings having enhanced adhesion
US10532020B2 (en) 2012-08-22 2020-01-14 Revlon Consumer Products Corporation Nail coatings having enhanced adhesion
US9636294B2 (en) 2015-03-03 2017-05-02 L'oreal Long-wear mascara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D61596A (ko) *
GB1225544A (ko) * 1968-10-29 1971-03-17
FR2151654A5 (en) * 1971-09-08 1973-04-20 Kodak Pathe Plasticised resin coated sheets - becoming pressure sensitive after heating
JPS54138134A (en) * 1978-04-14 1979-10-26 Isehan Kk Aromatic nail enamel
US4749564A (en) * 1984-03-16 1988-06-07 Chesebrough-Pond's, Inc. Nail coating compositions having high pigment content and low viscosity
US4740370A (en) * 1984-03-16 1988-04-26 Faryniarz Joseph R Process for preparing nail coating compositions
NZ210059A (en) * 1984-03-16 1988-02-12 Chesebrough Ponds Nail polish lacquer
JPS61210020A (ja) * 1985-03-15 1986-09-18 Shiseido Co Ltd 美爪料
US5066484A (en) * 1990-04-30 1991-11-19 Revlon, Inc. Nail enamels containing glyceryl, glycol or citrate esters
US5227155A (en) * 1990-04-30 1993-07-13 Revlon Consumer Products Corporation Nail enamels containing glyceryl, glycol or citrate esters
US5145671A (en) * 1990-04-30 1992-09-08 Revlon, Inc. Nail enamels containing glyceryl, glycol or citrate esters
US5225185A (en) * 1990-04-30 1993-07-06 Revlon Consumer Products Corporation Nail enamels containing glyceryl, glycol or citrate esters
US5145670A (en) * 1990-04-30 1992-09-08 Revlon, Inc. Nail enamels containing glyceryl, glycol or citrate esters
US5100944A (en) * 1990-08-14 1992-03-31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Use of ethylene glycol diacetate in waterborne adhesives
FR2765478B1 (fr) * 1997-07-01 2000-03-03 Oreal Nouvelles compositions cosmetiques comprenant un polymere filmogene
IN187860B (ko) * 1997-08-27 2002-07-06 Revlon Consumer Prod Cor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80756B1 (en) 2001-08-28
KR100295302B1 (ko) 2001-07-19
DE69803148T2 (de) 2002-07-18
FR2765478B1 (fr) 2000-03-03
US6110447A (en) 2000-08-29
ATE211902T1 (de) 2002-02-15
PL327118A1 (en) 1999-01-04
JP2993934B2 (ja) 1999-12-27
ES2172093T3 (es) 2002-09-16
BR9802585A (pt) 2000-12-12
JPH1171221A (ja) 1999-03-16
FR2765478A1 (fr) 1999-01-08
CA2241357A1 (fr) 1999-01-01
EP0894490B1 (fr) 2002-01-16
EP0894490A1 (fr) 1999-02-03
DE69803148D1 (de) 2002-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5302B1 (ko) 필름형성고분자를포함하는신규화장품조성물
JP3001831B2 (ja) 液晶着色剤を含有する化粧品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
EP1787628B1 (en) Oily cosmetic preparation
JP3388194B2 (ja) 一部不揮発性の液体脂肪相中の非フィルム形成性ポリマ―粒子分散物を含む転移のない化粧品組成物
JP3590731B2 (ja) 化粧料における光互変色材の用途と該色材を含む化粧料
JP3758885B2 (ja) 新規な顔料を含む化粧品組成物
KR20000035348A (ko) 폴리머 입자의 분산액 및 특정 유동제를 함유하는묻어나지 않는 화장용 조성물
JPH107520A (ja) 微小顔料を含有する化粧品組成物
KR19990063331A (ko) 액체 지방상에 중합체 입자의 분산물을 포함하는 묻어나지 않는 화장품용 조성물
US6403107B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hydrophilic continuous phase containing bismuth vanadate
KR19990063208A (ko) 액체 지방상중에 분산된 중합체 입자를 함유하고 장기간 정착성을 갖는 미분 화장 조성물
KR20040093445A (ko) 피지 흡수성 분말 및 낮은 임계 표면 에너지를 갖는분말을 함유하는 화장용 조성물
JP3217311B2 (ja) 無機光互変化合物を含有する化粧品組成物
KR100392266B1 (ko) 피롤로피롤에서 유도된 안료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특히 메이크업 조성물
JP2003113042A (ja) 水中油型メ−キャップ化粧料
JP2012184207A (ja) 油性アイライナー化粧料
JP3753172B2 (ja) 泡沫状アイメークアップ化粧料
US10835476B2 (en) Mascara compositions including vinylpyrrolidone homopolymer and inorganic particulate
WO2001058420A1 (fr) Utilisation, dans les compositions cosmetiques, de polyorganosiloxane fonctionnalise comme agent mouillant et dispersant des particules minerales
MXPA98004448A (en) New cosmetic compositions that comprise a filmog polymer
FR2788969A1 (fr) Utilisation, dans les compositions cosmetiques, de polyorganosiloxane fonctionnalise comme agent mouillant et dispersant des particules solides hydrophobes en phase organique
JP2006143591A (ja) 化粧料
JPH08198728A (ja) 油性メイクアップ化粧料
KR20050045322A (ko) 기능성 복합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000039468A (ko) 고보습 지속형 립스틱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