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7629B1 -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7629B1
KR101277629B1 KR1020090129874A KR20090129874A KR101277629B1 KR 101277629 B1 KR101277629 B1 KR 101277629B1 KR 1020090129874 A KR1020090129874 A KR 1020090129874A KR 20090129874 A KR20090129874 A KR 20090129874A KR 101277629 B1 KR101277629 B1 KR 101277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livestock
unit
feed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9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2797A (ko
Inventor
송준익
전병수
전중환
강희설
Original Assignee
이완섭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완섭,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이완섭
Priority to KR1020090129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7629B1/ko
Publication of KR20110072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25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209Feeding pens for pigs or cattl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1Ear-tags
    • A01K11/004Ear-tags with electronic identification means, e.g. transpon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6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for animals, e.g. electronic devices, transponder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58Automatic devices with endless screw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58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는 군사 우리 내에 설치되며 가축이 통과하는 통로를 입구측과 출구측이 기설정된 각도로 굴절되게 형성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상기 통로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입구측으로 진입하고자 접근하는 가축의 정보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 상기 제1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가축 정보에 따라 상기 가축이 상기 통로로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통로의 입구를 개폐하는 입구 개폐부; 상기 통로의 굴절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통로로 진입한 상기 가축에게 기설정량의 사료를 자동 공급하는 자동 급이부; 상기 자동 급이부 일측에 설치되어 가축이 공급된 사료의 취식 여부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 상기 통로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사료를 먹고 상기 통로의 출구측으로 진행한 상기 가축이 상기 자동 급이부쪽으로 역행하는 것을 막도록 상기 통로의 출구측을 폐쇄하는 출구 폐쇄부; 상기 통로의 입구측에서 상기 입구 개폐부와 상기 자동 급이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감지부를 통해 상기 가축이 취식 완료 신호가 감지된 후 기설정된 시간 이상 지체시 상기 가축을 상기 통로의 출구측으로 강제 퇴출시키는 강제 퇴출부; 및 상기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2 감지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2 감지부의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입구 개폐부, 상기 자동 급이부, 및 상기 강제 퇴출부를 운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군사용 우리 내에 사육되는 가축들을 자동으로 사양(飼養)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가축, 임신돈, 군사, 통로, 자동 급이부, 강제 퇴출부, 출구 폐쇄부, 감지부, RFID 판독기, RFID 태그

Description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DEVICE OF MANAGEMENTING A BREEDING FOR LIVESTOCK GROUP HOUSING}
본 발명은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가축 군사용 우리 내에 설치되어 가축들을 자동으로 사양(飼養)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축산 산업의 집약화는 생산비 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목표로 가축의 생활 공간이 점차 절어들게 하였고, 행동 제약을 가져와 가축의 복지 상태가 불량해지는 결과를 가져왔다.
특히, 최근 동물 복지 차원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임신돈의 스톨 수용은 양돈 산업 집약화의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임신돈의 스톨 수용은 관리의 편리함과 임신 중 유산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기는 하지만, 임신돈의 생활 공간을 제약함으로써 나타나는 이상행동들에 의해 돼지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동물 행동을 제한하여 생산성 을 올리고자 하는 시도와는 상반되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양돈 선진국인 EU 국가들은 이미 동물 복지 차원에서 스톨 사육을 대체할 수 있는 방법으로 수정 4주후부터 분만 7일 전까지 군사 우리에서 임신돈을 사육하는 것을 법안으로 권고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가축 군사 시설과 함께 군사 시설의 단점인 관리의 불편함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가축의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사양 관리할 수 있는 사양 관리 장치의 개발이 절실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축 군사용 우리 내에 설치되어 가축들을 자동으로 사양(飼養)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는, 군사 우리 내에 설치되며 가축이 통과하는 통로를 입구측과 출구측이 기설정된 각도로 굴절되게 형성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상기 통로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입구측으로 진입하고자 접근하는 가축의 정보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 상기 제1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가축 정보에 따라 상기 가축이 상기 통로로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통로의 입구를 개폐하는 입구 개폐부; 상기 통로의 굴절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통로로 진입한 상기 가축에게 기설정량의 사료를 자동 공급하는 자동 급이부; 상기 자동 급이부 일측에 설치되어 가축이 공급된 사료의 취식 여부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 상기 통로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사료를 먹고 상기 통로의 출구측으로 진행한 상기 가축이 상기 자동 급이부쪽으로 역행하는 것을 막도록 상기 통로의 출구측을 폐쇄하는 출구 폐쇄부; 상기 통로의 입구측에서 상기 입구 개폐부와 상기 자동 급이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감지부를 통해 상기 가축이 취식 완료 신호가 감지된 후 기설정된 시간 이상 지체시 상기 가축을 상기 통로의 출구측으로 강제 퇴출시키는 강제 퇴출부; 및 상기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2 감지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2 감지부의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입구 개폐부, 상기 자동 급이부, 및 상기 강제 퇴출부를 운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강제 퇴출 장치는 상기 통로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가동 실린더; 및 상기 제1 가동 실린더의 로더 단부에 링크 결합되며 상기 통로에 잔류중인 상기 가축의 대퇴부를 밀거나 타격하여 강제 퇴출시키도록 하는 퇴출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감지부는 상기 가축에 채워진 RFID 테그에 저장된 상기 가축의 고유 번호를 인식할 수 있는 RFID 판독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입구 개폐부는 상기 통로의 입구측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2 가 동 실린더; 상기 통로의 입구 양측에서 서로 여닫히게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입구 개폐문; 및 상기 제2 가동 실린더의 로터와 상기 입구 개폐문를 연결하며, 상기 제2 가동 실린더에 의해 상기 입구 개폐문을 여닫도록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로의 입구측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입구 개폐부를 통해 진입한 상기 가축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량 측정부는 상기 통로 입추측 바닥과 동일 높이로 설치되는 계측 플레이트; 및 상기 계측 플레이트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계측 플레이트 상측에 올려진 가축의 중량을 측정하는 제1 로드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동 급이부는 상기 통로의 굴절부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급이 고정 프레임; 상기 급이 고정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는 구유; 상기 급이 고정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구유로 공급할 사료를 저장하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부에 설치되어 회전량에 따라 기설정된 량의 사료를 이송시키는 이송 스크류; 상기 이송 스크류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스크류를 통해 이송된 사료를 담는 계량 용기; 상기 계량 용기를 상기 고정 프레임에 고정하는 고정바에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계량 용기로 공급된 상기 사료의 중량을 측정하는 제2 로드셀; 상기 계량 용기에 인접하게 상기 고정바 일측에 설치되는 제3 가동 실린더; 및 상기 계량 용기의 하측을 설치되어 상기 제3 가동 실린더에 의해 상기 계량 용기 내에서 채워져 기설정된 중량의 사료를 상기 구유로 공급하도록 개폐하는 댐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자동 급이부는 상기 급이 고정 프레임의 하부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4 가동 실린더; 및 상기 제4 가동 실린더에 의해 상기 구유의 전면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급이 고정 프레임에 힌지 고정되는 구유 개폐 플레이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감지부는 상기 급이 고정 프레임의 상기 구유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구유 상부로 진입한 상기 가축의 머리 부분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 센서인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출구 폐쇄부는 상기 통로의 출구측에서 상기 자동 급이부쪽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되며 순차적으로 여닫히도록 설치되는 제1 폐쇄문 및 제2 폐쇄문; 상기 제1 폐쇄문과 상기 제2 폐쇄문을 닫히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 및 상기 제1 폐쇄문와 연동하며 상기 제2 폐쇄문이 순차적으로 여닫히도록 하는 연동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로의 출구측 단부에는 상기 가축의 퇴출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출구 방향 전환부가 구비되고, 상기 퇴출 방향 전환부는 상기 통로의 출구측 단부에서 상기 가축의 퇴출 방향을 양측으로 제1 출구와제2 출구로 양분하도록 설치되는 출구 분할 프레임; 상기 출구 분할 프레임 상측에 고정 설치는 제5 가동 실린더; 및 상기 제5 가동 실린더에 의해 상기 제1 출구 또는 상기 제2 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방향 전환 프레임에 힌지 고정되어 방향 전환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축은 임신 4주부터 분만 1달전까지의 임신돈인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에 따르면, 가축의 군사 우리 내에 설치되어 가축의 정보에 따라 가축이 통로를 출입하면서 자동 급이부를 통해 공급된 가축 마다 공급된 기설정된 량의 사료를 먹을 수 있도록 군사 우리 내에 사육되는 가축들에 대한 사양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는 프레임부(10), 제1 감지부(20), 입구 개폐부(30), 중량 측정부(40), 자동 급이부(50), 제2 감지부(60; 도 7 참조), 출구 폐쇄부(70), 강제 퇴출부(80), 출구 방향 전환부(90), 제어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프레임부(10)는 가축 군사용 우리 내에 설치되어 한 마리씩 가축이 통과하며 자동 공급된 사료를 먹을 수 있는 통로(11)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가축은 군사 우리 내에서 자유롭게 행동을 할 수 있도록 해야하는 임신 4주부터 분만 1달전까지의 임신돈(200)인 것을 예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반드시 임신돈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정한 공간의 우리 내에서 사양되는 다양한 종류의 가축들에 모두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프레임부(10)는 통로(11)가 입구측와 출구측이 평면상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대략 120°의 각도를 가지고 굴절되게 형성되며, 대략 1m 내지 1.2m 높이를 가진 양쪽 측벽 프레임(12, 13)이 대략 55cm 내지 60cm의 폭을 가지고 서로 이격 되며 나란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프레임부(10)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11)는 자동 급이부(50)가 구비되는 굴절부를 기준으로 편의상 제1 감지부(20), 입구 개폐부(30), 중량 측정부(40), 및 강제 퇴출부(80)가 설치되는 입구측 통로(11a)와 출구 폐쇄부(70) 및 출구 방향 전환부(90)가 설치되는 출구측 통로(11b)으로 구분한다.
도 3은 도 2의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의 제1 감지부에 대한 작동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감지부(20)는 통로(11) 입구측에 설치되어 통로(11)로 진입하려는 임신돈(200)의 정보를 감지 및 확인하도록 구성되며, 감지 및 확인된 정보를 제어부(100)로 전송하도록 제어부(100)와 통신 케이블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감지부(20)는 RFID(Radio-Frequency Identifiaction) 판독기(2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여기서, RFID 판독기(21)는 라디오 주파수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임신돈(200)의 귀에 설치한 RFID 태그(25)로부터 할당된 임신돈의 고유 번호를 감지하여 제어부(100)로 전달함으로써, 임신돈(200)에게 제공할 사료량에 따라 통로(11)로 진입할 수 있는 출입 여부를 결정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RFID 판독기(21)는 통로(11)의 입구측에서 양측 벽면 프레임(12, 13)의 상측을 가로 질러 고정되는 제1 가로 프레임(14)상에 설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RFID 판독기(21)는 군사 우리 내에 사양되는 가축들에 의한 파손이 적고, 가축에게 채워진 RFID 태그(25)와 무선 통신을 통해 정보 인식이 가능한 입구측 통로(11a) 어디에 설치하더라도 무방하다.
도 4는 도 2의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의 입구 개폐부의 개폐 상태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입구 개폐부(30)는 가동 실린더(32; 이하, 제2 가동 실린더라 함), 입구 개폐문(31), 연결바(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가동 실린더(32)는 상기한 제1 가로 프레임(14) 상에 고정 설치되어, 연결바(33)를 통해 로더 단부에 연결된 입구 개폐문(31)을 개폐하도록 한다.
여기서, 입구 개폐문(31)은 통로(11)를 이루는 양측 벽면 프레임(12, 13)의의 입구측 전단부에 각각 여닫힘 가능하게 힌지 고정되는 한 쌍의 여닫이문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어부(100)의 개폐 신호에 따라 제2 가동 실린더(32)에 의해 입구 개폐문(31)이 여닫히며 통로(11) 입구을 개방하여, 임신돈이 입구측 통로(11a) 내부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2의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의 중량 측정부를 작동 상태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중량 측정부(40)는 입구측 통로(11a)의 바닥에 설치되는 계측 플레이트(41)와, 계측 플레이트(41) 하측에 설치되는 제1 로드셀(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계측 플레이트(41)는 입구측 통로(11a)의 바닥면과 동일 높이로 이루어지며, 제1 로드셀(42)은 계측 플레이트(41)의 하측에 설치되어 계측 플레이트 위에 올려진 임심돈(200)의 중량을 측정하도록 한다.
한편, 제1 로드셀(42)은 제어부(1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어부(100)에 저장된 임신돈(200)의 중량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시킬 수 있도록 하거나, 변화된 임신돈(200)의 중량에 따라 자동 급이부(50)를 통해 공급되는 사료량을 가감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는 도 2의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의 자동 급이부를 확대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자동 급이부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자동 급이부(50)는 통로(11)의 굴절부 일측에 설치되어 입구측 통로(11a)로 진입한 임신돈(200)에게 기설정된 량의 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자동 급이부(50)는 급이 고정 프레임(50a), 구유(51), 호퍼(52), 이송 스크류(53), 계량 용기(54), 제2 로드셀(57), 가동 실린더(56; 이하, 제3 가동 실린더라 함), 댐퍼(55), 가동 실린더(59; 이하, 제4 가동 실린더라 함), 구유 개폐 플레이트(5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급이 고정 프레임(50a)은 통로(11)의 굴절부에서 외측 벽면 프레임(13)쪽에 연결되게 설치되며, 하측에는 임신돈(200)이 먹을 수 있도록 사료를 담는 구유(51)가 고정 설치되고, 상측에는 구유(51)로 공급할 사료를 담아 저장하는 호퍼(52)가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이송 스크류(53)는 호퍼(52)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어부(100)에 의해 가동 제어되는 구동 모터(53a)에 의해 회전하며 회전량에 따라 기설정된 량의 사료를 개량 용기(54) 쪽으로 이송시키도록 한다.
개량 용기(54)는 이송 스크류(53) 하측에서 고정바에 의해 급이 고정 프레임(50a)의 내측 벽면에 고정 설치되며, 이송 스크류(53)에 의해 이송된 사료를 담아 제2 로드셀(57)로 중량을 측정하도록 한다. 한편, 제2 로드셀(57)은 고정바에 일측에서 제어부(100)와 통신 케이블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고정 설치된다.
제3 가동 실린더(56)는 계량 용기(54)와 인접하게 고정바에 고정 설치된다. 댐퍼(55)는 계량 용기(54)의 내부 하측을 설치되어, 제3 가동 실린더(56)에 의해 계량 용기(54) 내부에서 담겨 계측된 기설정된 량의 사료를 구유(51)로 공급하도록 개량 용기(54) 하부를 개폐한다.
따라서, 제어부(100)에서 입구측 통로(11a)로 진입한 임신돈(200)에게 할당한 량의 사료를 호퍼(52)로부터 이송 스크류(53)를 통해 계량 용기(54)로 이송시킨 후, 계량 용기(54)에 담긴 사료 중량을 제2 로드셀(57)로 측정하여 정확한 중량의 사료가 구유(51)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4 가동 실린더(59)는 급이 고정 프레임(50a)의 내측 벽면에 고정 설치되고, 구유 개폐 플레이트(58)는 제4 가동 실린더(59)에 의해 상기한 구유(51)의 상측 전면부를 개폐하도록 급이 고정 프레임(50a)에 힌지 고정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구유(51)에 기설정된 량의 사료가 공급되면 제4 가동 실린더(59)를 통해 구유 개폐 플레이트(58)를 열어 임신돈(200)이 구유(51)에 공급된 사료를 먹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2 감지부(60)는 상기한 자동 급이부(50) 일측에 설치되어 임신돈이 공급된 사료를 다 먹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감지부(60)는 상기한 급이 고정 프레임(50a)의 구유(51) 상측에 설치되는 적외선 감지 센서(61)인 것을 예시한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적외선 감지 센서(61)를 통해 구유(51) 내부로 진입한 가축의 머리 부분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임신돈(200)의 일정 패턴의 움직임을 파악해 추가적인 사료 공급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1)는 임신돈(200)에게 공급되는 하루 사료 공급량이 600g이라고 가정하면, 200g씩 3회로 나누어 공급하도록 기본 설정된다. 그러나, 임신돈(200)가 식욕이 왕성하여 1회 공급되는 200g 사료가 부족한 경우 구유(51)가 설치된 급이 고정 프레임을 머리로 치거나 하는 일정 패턴의 움직임을 통해 추가 지급을 요구하게 되고, 이 경우 제2 감지부(60)의 적외선 감지 센서(61)를 통해 임신돈(200)의 움직임을 파악하여 나머지 회차분의 사료량을 추가 지급하도록 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100)는 제2 감지부(60)를 통해 임신돈(200)이 제공된 사료를 다 먹고 난 이후, 입구측 통로(11a) 내에 잔류하는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도록 있도록 한다. 즉, 임신돈(200)의 통로내 잔류 시간은 사료 공급후 적외선 감지 센서에 의해 추가적인 임신돈(200)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순간으로부터 카운트될 수 있다.
도 8은 도 2의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의 출구 폐쇄부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의 (a) 내지 (e)는 도 8의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의 출구 폐쇄부의 작동 상태를 확대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출구 폐쇄부(70)는 출구측 통로(11b)에 설치되어, 사료를 먹고 통로(11)의 출구측으로 진행한 임신돈(200)이 자동 급이부(50)쪽으로 역행하는 것을 막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출구 폐쇄부(70)는 제1 폐쇄문(71), 제2 폐쇄문(72), 코일 스프링(74, 75), 및 연동바(7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제1 폐쇄문(71) 및 제2 폐쇄문(72)은 통로(11)의 출구측에서 상기 자동 급이 부(50)쪽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여닫히도록 이중으로 나란하게 설치된다.
코일 스프링(74, 75)은 출구측 통로(11b)의 양쪽 측벽 프레임(12, 13)의 상측을 가로질러 연결하는 제2 및 제3 가로 프레임(15, 16)으로부터 각각 제1 폐쇄문(71) 및 제2 폐쇄문(72) 상측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폐쇄문(71)과 상기 제2 폐쇄문(72)을 닫히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연동바(73)는 제3 가로 프레임(16) 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폐쇄문(71)와 연동하며 상기 제2 폐쇄문(72)이 순차적으로 여닫히도록 한다.
따라서, 자동 급이부(50)을 통해 공급된 사료를 먹은 임신돈(200)이 제1 문을 열고 통로(11a)의 출구쪽으로 진행하게 되면, 연동바(73)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며 제2 폐쇄문(72)을 잡고 있던 연동바(73)의 출구측 단부가 들리면서 제2 폐쇄 문(72)이 열릴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임신돈(200)이 순차적으로 제2 폐쇄문(72)을 열고 출구측으로 진행하게 되면, 제1 폐쇄문(71)이 코일 스프링(74)에 의해 닫히면서 연동바(73)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연동바(73)의 출구측 단부가 코일 스프링(75)에 의해 닫힌 제2 폐쇄문(72)이 다시 열리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출구 폐쇄부(70)를 이루는 제1 폐쇄문(71)과 제2 폐쇄문(72)이 이중문 형태를 이루며, 이를 통과해 출구측으로 빠져나간 임신돈(200)이 다시 자동 급이부(50)쪽으로 재진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출구 폐쇄부(70)는 상시 개방된 통로(11)의 출구측을 통해 역진행 방향으로 임신돈(200)이 진입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도 2의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의 강제 퇴출부의 작동 상태를 확대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강제 퇴출부(80)는 입구측 통로(11a)의 입구 개폐부(30)와 자동 급이부(50) 사이에 설치되어, 임신돈(200)의 기설정된 통로 잔류 시간을 초과하게 되면 통로(11)의 출구측으로 강제 퇴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강제 퇴출 장치(80)는 가동 실린더(82; 이하, 제1 가동 실린더라 함) 및 퇴출바(8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가동 실린더(82)는 대략 입구 개폐부(30)가 설치되는 제1 가로 프레임(14)과 자동 급이부(50)가 설치되는 절곡부 사이에서 양측 벽면 프레임(12, 13) 사이를 가로 질러 설치되는 제4 가로 프레임(17) 상에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제4 가로 프레임(17)은 제1 가로 프레임(14)에 설치되는 제2 가동 실린더(32)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제1 가로 프레임(14)보다 낮은 높이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퇴출바(81)는 제1 가동 실린더(82)의 로더 단부에 링크 결합되며 상기 입구측 통로(11a) 내에 잔류중인 임신돈(200)의 대퇴부를 밀거나 또는 타격하여 강제 퇴출시키도록 한다.
도 11은 도 2의 도 2의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의 방향 전환부의 작동 상태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출구 방향 전환부(90)는 출구측 통로(11b)의 단부에 설치되어 출구 폐쇄부(70)를 통과한 임신돈(200)의 퇴출 방향을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퇴출 방향 전환부(90)는 출구 분할 프레임(91), 가동 실린더(93; 이하, 제5 가동 실린더라 함), 출구 전환 플레이트(9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출구 분할 프레임(91)은 출구측 통로(11b)의 단부에서 임신돈(200)의 퇴출 방향을 제1 출구와 제2 출구로 양분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제5 가동 실린더(93)는 상기한 출구 분할 프레임(91) 상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방향 전환 프레임에 힌지 고정되는 출구 전환 플레이트(92)가 상기 제1 출구 또는 상기 제2 출구를 폐쇄하도록 가동시킨다.
한편, 출구 방향 전환부(90)는 자동 급이부(50)를 통해 공급된 사료를 먹고 나가는 임신돈(200)의 출구 방향을 결정하여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출구 방향 전환부(90)에 의해 하루 사료 공급량을 모두 먹은 임신돈(200)은 제1 출구를 통해 군사 우리의 제1 구역으로 나가도록 하고, 하루 사료 공급량을 다 채우지 못한 임심돈(200)은 제2 출구를 통해 제1 구역과 분리된 제2 구역으로 나가도록 하여, 하루 사료 공급량을 다 채운 임신돈(200)이 통로(11)의 입구측으로 재진입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가축 군사용 사양 관 리 장치(1)는 제어부(100)를 통해 군사 내에 사육중인 임신돈들(200)의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각각의 임신돈들에 대한 정보에 따라 적당한 사료 공급량을 산정하여 자동 공급할 있도록 운전 제어하여 군사 우리내에 사육되는 임신돈들의 관리를 게 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의 제1 감지부에 대한 작동 상태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의 입구 개폐부의 개폐 상태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의 중량 측정부를 작동 상태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는 도 2의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의 자동 급이부를 확대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자동 급이부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의 출구 개폐부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의 (a) 내지 (e)는 도 8의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의 출구 폐쇄부의 작동 상태를 확대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2의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의 강제 퇴출부의 작동 상태를 확대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2의 도 2의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의 방향 전환부의 작동 상태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주요 도면 부호의 설명>
1: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 10: 프레임부
11: 통로 11a: 입구측 통로
11b: 토출측 통로 12, 13: 측벽 프레임
14, 15, 16, 17: 가로 프레임 20: 제1 감지부
21: RFID 판독기 25: RFID 태그
30: 입구 개폐부 31: 입구 개폐문
32: 제2 가동 실린더 33: 연결바
40: 중량 측정부 41: 계측 플레이트
42: 제1 로드셀 50: 자동 급이부
51: 구유 52: 호퍼
53: 이송 스크류 54: 계량 용기
55: 댐퍼 56: 제3 가동 실린더
57: 제2 로드셀 58: 구유 개폐 플레이트
59: 제4 가동 실린더 60: 제2 감지부
61: 적외선 감지 센서 70: 출구 폐쇄부
71: 제1 폐쇄문 72: 제2 폐쇄문
73: 연동바 74, 75: 코일 스프링
80: 강제 퇴출부 81: 퇴출바
82: 제1 가동 실린더 90: 출구 방향 전환부
91: 출구 분할 프레임 92: 출구 전환 플레이트
93: 제5 가동 실린더 100: 제어부
200: 임신돈

Claims (11)

  1. 군사 우리 내에 설치되며 가축이 통과하는 통로를 입구측과 출구측이 기설정된 각도로 굴절되게 형성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상기 통로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입구측으로 진입하고자 접근하는 가축의 정보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
    상기 제1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가축 정보에 따라 상기 가축이 상기 통로로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통로의 입구를 개폐하는 입구 개폐부;
    상기 통로의 굴절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통로로 진입한 상기 가축에게 기설정량의 사료를 자동 공급하는 자동 급이부;
    상기 자동 급이부 일측에 설치되어 가축이 공급된 사료의 취식 여부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
    상기 통로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사료를 먹고 상기 통로의 출구측으로 진행한 상기 가축이 상기 자동 급이부쪽으로 역행하는 것을 막도록 상기 통로의 출구측을 폐쇄하는 출구 폐쇄부;
    상기 통로의 입구측에서 상기 입구 개폐부와 상기 자동 급이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감지부를 통해 상기 가축이 취식 완료 신호가 감지된 후 기설정된 시간 이상 지체시 상기 가축을 상기 통로의 출구측으로 강제 퇴출시키는 강제 퇴출부; 및
    상기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2 감지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2 감지부의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입구 개폐부, 상기 자동 급이부, 및 상기 강제 퇴출부를 운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강제 퇴출 장치는,
    상기 통로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가동 실린더; 및
    상기 제1 가동 실린더의 로더 단부에 링크 결합되며 상기 통로에 잔류중인 상기가축의 대퇴부를 밀거나 타격하여 강제 퇴출시키도록 하는 퇴출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제1 감지부는,
    상기 가축에 채워진 RFID 테그에 저장된 상기 가축의 고유 번호를 인식할 수 있는 RFID 판독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입구 개폐부는,
    상기 통로의 입구측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2 가동 실린더;
    상기 통로의 입구 양측에서 서로 여닫히게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입구 개폐문; 및
    상기 제2 가동 실린더의 로터와 상기 제1 개폐문를 연결하며, 상기 제2 가동실린더에 의해 상기 입구 개폐문을 여닫도록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통로의 입구측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입구 개폐부를 통해 진입한 상기가축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량 측정부는,
    상기 통로 입추측 바닥과 동일 높이로 설치되는 계측 플레이트; 및
    상기 계측 플레이트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계측 플레이트 상측에 올려진 가축의 중량을 측정하는 제1 로드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자동 급이부는,
    상기 통로의 굴절부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급이 고정 프레임;
    상기 급이 고정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는 구유;
    상기 급이 고정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구유로 공급할 사료를 저장하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부에 설치되어 회전량에 따라 기설정된 량의 사료를 이송시키는 이송 스크류;
    상기 이송 스크류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스크류를 통해 이송된 사료를 담는 계량 용기;
    상기 계량 용기를 상기 고정 프레임에 고정하는 고정바에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계량 용기로 공급된 상기 사료의 중량을 측정하는 제2 로드셀;
    상기 계량 용기에 인접하게 상기 고정바 일측에 설치되는 제3 가동 실린더; 및
    상기 계량 용기의 하측을 설치되어 상기 제3 가동 실린더에 의해 상기 계량 용기 내에서 채워져 기설정된 중량의 사료를 상기 구유로 공급하도록 개폐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가축 군사용 사용 관리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자동 급이부는,
    상기 급이 고정 프레임의 하부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4 가동 실린더; 및
    상기 제4 가동 실린더에 의해 상기 구유의 전면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급이 고정 프레임에 힌지 고정되는 구유 개폐 플레이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
  8. 제6항에서,
    상기 제2 감지부는,
    상기 급이 고정 프레임의 상기 구유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구유 상부로 진입한 상기 가축의 머리 부분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 센서인 것을 포함하는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출구 폐쇄부는,
    상기 통로의 출구측에서 상기 자동 급이부쪽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되며 순차적으로 여닫히도록 설치되는 제1 폐쇄문 및 제2 폐쇄문;
    상기 제1 폐쇄문과 상기 제2 폐쇄문을 닫히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 및
    상기 제1 폐쇄문와 연동하며 상기 제2 폐쇄문이 순차적으로 여닫히도록 하는 연동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
  10. 제1항에서,
    상기 통로의 출구측 단부에는 상기 가축의 퇴출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출구 방향 전환부가 구비되고,
    상기 퇴출 방향 전환부는,
    상기 통로의 출구측 단부에서 상기 가축의 퇴출 방향을 양측으로 제1 출구와제2 출구로 양분하도록 설치되는 출구 분할 프레임;
    상기 출구 분할 프레임 상측에 고정 설치는 제5 가동 실린더; 및
    상기 제5 가동 실린더에 의해 상기 제1 출구 또는 상기 제2 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방향 전환 프레임에 힌지 고정되어 방향 전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
  11. 제1항에서,
    상기 가축은 임신 4주부터 분만 1달전까지의 임신돈인 것을 포함하는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
KR1020090129874A 2009-12-23 2009-12-23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 KR101277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874A KR101277629B1 (ko) 2009-12-23 2009-12-23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874A KR101277629B1 (ko) 2009-12-23 2009-12-23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797A KR20110072797A (ko) 2011-06-29
KR101277629B1 true KR101277629B1 (ko) 2013-07-30

Family

ID=44403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874A KR101277629B1 (ko) 2009-12-23 2009-12-23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76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077B1 (ko) * 2013-10-10 2015-10-19 대한민국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0479550Y1 (ko) * 2014-01-17 2016-02-11 김성도 경광등에 의한 오작동 자동감지가 가능한 축산사료 자동정량급여장치
KR20160058631A (ko) 2014-11-17 2016-05-2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육성비육돈 자동급이 관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747B1 (ko) * 2012-02-01 2012-05-03 (주)원팩 사료 정량 공급장치
KR101318657B1 (ko) * 2013-05-02 2013-10-16 김성도 축산사료 자동정량급여장치
CN103503787B (zh) * 2013-10-10 2015-07-08 深圳市润农科技有限公司 自动力牲畜智能饲喂系统
CN105475150A (zh) * 2016-01-20 2016-04-13 深圳市慧农科技有限公司 牲畜自动饲喂系统及牲畜饲喂方法
CN107439392A (zh) * 2017-08-22 2017-12-08 道真仡佬族苗族自治县忠情牧业有限公司 一种肉牛养殖圈舍
KR101958407B1 (ko) * 2018-01-31 2019-03-14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축사의 역진입 방지 및 다개체 진입 방지용 게이트
KR102130012B1 (ko) * 2018-07-03 2020-07-03 주식회사 다운 자동급여기용 게이트 프레임
WO2021034765A2 (en) * 2019-08-16 2021-02-25 John Irvine Feed intake system
KR102492606B1 (ko) * 2020-08-24 2023-01-27 주식회사 이모션 가금류 사료 측정을 이용한 증체율 산출 시스템
KR102430522B1 (ko) * 2020-08-28 2022-08-10 주식회사 다운 가축선별용 자동 게이트프레임
CN113016636B (zh) * 2021-04-16 2022-06-24 郑州市农业综合行政执法支队 一种畜牧饲养舍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7840A (ja) * 1995-10-23 1997-04-28 Fujihira Kogyo Kk 家畜の個体別作業装置
JPH11506303A (ja) * 1994-12-28 1999-06-08 アルファ ラヴァル アーグリ アクチエボラゲット 家畜管理用装置および管理方法
US6341582B1 (en) 1998-09-28 2002-01-29 Babson Bros. Co. Livestock sorting system
KR200411081Y1 (ko) 2005-12-30 2006-03-15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돼지용 사료섭취량 조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6303A (ja) * 1994-12-28 1999-06-08 アルファ ラヴァル アーグリ アクチエボラゲット 家畜管理用装置および管理方法
JPH09107840A (ja) * 1995-10-23 1997-04-28 Fujihira Kogyo Kk 家畜の個体別作業装置
US6341582B1 (en) 1998-09-28 2002-01-29 Babson Bros. Co. Livestock sorting system
KR200411081Y1 (ko) 2005-12-30 2006-03-15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돼지용 사료섭취량 조사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077B1 (ko) * 2013-10-10 2015-10-19 대한민국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0479550Y1 (ko) * 2014-01-17 2016-02-11 김성도 경광등에 의한 오작동 자동감지가 가능한 축산사료 자동정량급여장치
KR20160058631A (ko) 2014-11-17 2016-05-2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육성비육돈 자동급이 관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797A (ko)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7629B1 (ko)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
EP3402323B1 (en) Highly automated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to measure, monitor manage and control grazing environment and animals
CN105475150A (zh) 牲畜自动饲喂系统及牲畜饲喂方法
US7129423B2 (en) Automatic livestock weighing system
US20100031891A1 (en) Device for dispensing feed
KR101373321B1 (ko) 애완동물 자동먹이 공급장치
KR101557077B1 (ko)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 및 방법
EP1230849B1 (en) An arrangement for managing a herd of animals
CN205455240U (zh) 牲畜自动饲喂系统
KR20110092518A (ko) 모돈의 자동 급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22035A (ko) 돈용 사료급여장치
US20020007799A1 (en) Feed metering device
KR200470419Y1 (ko) 모돈 자동 군사 급이기
EP2497360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dividually checking and feeding animals without (working) identification label
KR102308380B1 (ko) 자동 높이 조절 급수 시스템
KR101741000B1 (ko) 소 생체정보에 의한 생체리듬 음악을 제공하는 사료급여시스템
KR101992431B1 (ko) 대가축용 사료섭취량 조사장치
KR101995758B1 (ko) 돼지 선별 돈사 및 이를 이용한 돼지 선별 방법
JP3221671U (ja) 体重計測選別機
KR20230080720A (ko) 모돈 컨디션 관리기
KR101273280B1 (ko) 돈사 급이기용 급이량 조절기구
KR102364583B1 (ko) 돼지 발정 측정 장치
CN217089103U (zh) 一种单体猪精准饲喂站
US20200128787A1 (en) Feeder
KR20130125452A (ko) 사료섭취량 조사장치용 게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