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077B1 -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077B1
KR101557077B1 KR1020130120835A KR20130120835A KR101557077B1 KR 101557077 B1 KR101557077 B1 KR 101557077B1 KR 1020130120835 A KR1020130120835 A KR 1020130120835A KR 20130120835 A KR20130120835 A KR 20130120835A KR 101557077 B1 KR101557077 B1 KR 101557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livestock
exit
feeding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0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2080A (ko
Inventor
이준엽
전중환
최동윤
김혁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30120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077B1/ko
Publication of KR20150042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25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05Stable partitions
    • A01K1/0017Gates, do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가축들의 군집용 우리 내에 설치되어 가축의 급이를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는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는, 양측에 수직벽체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벽체 중 일측에 통로폭 방향에 따라 벽체가 이동되는 이동프레임이 장착되며, 가축이 진입할 수 있는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진입통로부; 상기 진입통로부 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입구의 일측에서 진입 구역에 접근하는 가축의 정보를 감지하는 접근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입구문 구동장치에 의하여 개폐되는 입구문 장치: 상기 진입통로부의 끝단부에 설치되며 사료를 저장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로부터 사료공급부를 통하여 사료를 공급받는 사료 급이통 및 사료급이통 주변에 설치되는 급이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급이장치부; 상기 진입통로부와 상기 급이장치부의 경계부 벽체에 설치되는 출구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진입통로부의 가축의 진행동선에 대하여 100~ 130도의 각도로 가축이 퇴출할 수 있는 퇴출 통로를 제공하는 퇴출통로부; 및 상기 접근 감지센서로부터 가축의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입구문 구동장치에 개폐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가축의 정보에 따라 해당 가축의 전진 진행만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 프레임의 이동폭을 조정하는 이동신호를 출력 제어하는 제어장치;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 및 방법{fee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livestock group housing}
본 발명은 가축들의 군집용 우리 내에 설치되어 가축의 급이를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는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축사는 가축관리의 능률화와 자연의 기상(氣象)으로부터 가축을 보호하는 두 가지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축사의 요건은 위치 방향, 통풍, 채광, 환기 및 보온이 양호하고 사료주기, 청소, 위생관리에 적절한 설비가 갖추어져야 한다.
축사의 크기나 구조는 수용하는 가축의 종류나 두수(頭數)에 따라서 단사방식(單飼型方式)과 군집형 방식(群集型方式)으로 크게 구별한다. 전자는 번식용의 종축을 수용하는 경우에, 후자는 육성 중인 가축 또는 생산가축(비육돈, 젖 짜는 소등)을 수용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최근에는 다두사육(多頭飼育) 형태의 보급에 따라서 관리노력의 생력화(省力化)를 목적으로 하는 축사형태가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축사에서는 자동 급이기를 장착하여 축사 관리에 따른 인건비를 줄이게 된다.
이러한 자동 급이기에 대한 선행문헌으로는 국내 등록 특허 10-0470454호 (돼지 사료공급을 위한 자동 조절 급이기)가 있다.
국내 등록 특허 10-0470454호에서는 시간에 따라 돼지에게 사료를 공급하는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이를 돼지들이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게 되고, 또한 간단한 구조에 의해 돼지가 사육되는 다수의 돈방에 각각 급이기를 마련하여 사료의 공급이 가능하게 되므로 자돈사, 육성비육사, 모돈사 등 각 돈방에 사육되는 돼지들에게 자동으로 사료를 제한 무제한 급여함과 동시에 사료 허실을 방지하고 또한 사료 섭취량의 기록이 가능한 돼지 사료공급을 위한 자동 조절 급이기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군집형 축사의 경우 임신돈 및 후보돈의 분리 관리가 필요로 하고 있으나, 각 돈방 마다 급이기를 설치하면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가축의 개별 특성에 맞도록 거주용 축사 영역과 구획 분리되고 통합적으로 자동 관리될 수 있는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가 요구된다,.
국내 등록 특허 10-0470454호 (돼지 사료공급을 위한 자동조절 급이기)
본 발명은 진입통로부의 통로 폭을 진입 가축의 크기에 맞추어 전진 동작만을 수행할 수 있도록 폭 조정 기능을 가지며 자동으로 급이 관리 및 퇴출을 유도할 수 있는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가축들의 군집용 우리 내에 설치되어 가축의 급이를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는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는, 양측에 수직벽체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벽체 중 일측에 통로 폭 방향에 따라 벽체가 이동되는 이동프레임이 장착되며, 가축이 진입할 수 있는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진입통로부; 상기 진입통로부 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입구의 일측에서 진입 구역에 접근하는 가축의 정보를 감지하는 접근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입구문 구동장치에 의하여 개폐되는 입구문 장치: 상기 진입통로부의 끝단부에 설치되며 사료를 저장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로부터 사료공급부를 통하여 사료를 공급받는 사료 급이통 및 사료급이통 주변에 설치되는 급이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급이장치부; 상기 진입통로부와 상기 급이장치부의 경계부 벽체에 설치되는 출구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진입통로부의 가축의 진행동선에 대하여 100~ 130도의 각도로 가축이 퇴출할 수 있는 퇴출 통로를 제공하는 퇴출통로부; 및 상기 접근 감지센서로부터 가축의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입구문 구동장치에 개폐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가축의 정보에 따라 해당 가축의 전진 진행만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 프레임의 이동폭을 조정하는 이동신호를 출력 제어하는 제어장치;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의 제어장치에서 급이 관리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의 진입통로부 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입구의 일측에서 진입 구역에 접근하는 가축을 감지하는 접근 감지센서로부터 접근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기 제어장치가 상기 접근 감지센서 신호로부터 가축의 정보를 인식하고, 급이가 필요한 가축인지를 판단하여, 급이가 필요한 가축이면, 상기 진입통로부의 입구문 구동장치에 입구문 열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가축의 정보로부터 상기 가축의 복폭에 맞추어 상기 진입통로부의 이동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이동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진입통로부의 진입완료 구역에 설치된 도착센서로부터 도착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입구문 구동장치에 입구문 폐쇄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도착신호를 판단하여 급이가 필요한 가축이라고 판단이 되면, 급이구 개폐장치를 급이장치부의 내부측 방향으로 열리도록 급이구 개폐장치 열림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급이장치부의 사료 급이통 주변에 설치된 급이 감지센서로 부터 전송된 급이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가축의 적정 사료 공급량을 판단하여 상기 적정 사료 공급량을 상기 사료 급이통에 공급하도록 상기 급이장치부의 사료공급부에 사료 공급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가 사료 공급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동시에 상기 진입통로부의 상부측에 설치된 퇴출몰이장치의 퇴출몰이 패드를 가축의 후면에서 하강하여 가축의 엉덩이 뒷부분에 위치하도록 상기 퇴출몰이 패드 하강 제어신호를 상기 퇴출몰이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사료급이통에 설치된 급이 상태센서로부터 급이 상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급이구 개폐장치에 급이구 개폐장치 폐쇄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가 급이구 개폐장치 폐쇄 제어신호를 전송한 이후에 설정된 시간이 지나도록 상기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의 퇴출통로부의 퇴장완료구역에 설치된 퇴장센서로부터 퇴출 감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퇴출몰이 패드를 천천히 밀어서 상기 가축을 서서히 퇴장하도록 하는 퇴출제어신호를 상기 퇴출몰이장치부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퇴출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퇴출몰이 패드를 상부측 대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퇴출몰이 패드 복귀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의 급이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진입 가축의 최근 입력된 폭에 근거하여 진입통로부의 통로 폭을 진입 가축의 크기에 맞추어 한 개체만 통과할 수 있도록 가감하여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2방향으로 분리 퇴출되는 출구에 의하여, 분리 사양이 필요로 하는 무리들을 서로 다른 출구에서 분리 구획된 우리로 분리하여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구문 장치는, 입구의 어느 일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하나의 구동 실린더에 의하여 두 개의 여닫이 문이 내측으로 여닫을 수 있게 됨으로써, 입구문 구동장치가 적은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며 경제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구문의 개폐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퇴출몰이 패드의 상, 하 이동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퇴출몰이장치부의 전, 후 이동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2개의 출구통로부를 가진 군집형 축사의 급이관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군집형 축사의 급이관리 장치의 제어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장치의 모돈 관리시스템에 대한 제어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참고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의 제어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1)는 진입통로부(10), 급이장치부(20), 출구통로부(70, 80)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6을 참조하면,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1)는 제어장치(2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장치(200)는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1)에 직접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 관리사에 설치되어 원격 유, 무선으로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1)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1)는 군집용 축사의 우리 내에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1)는 군집용 축사의 우리 내에서 임신돈, 후보돈 및 일반돈 중 어느 하나를 격리할 수 있는 구획 경계부에 설치될 수 있다.
진입통로부(10)는 군집용 축사의 우리 내에 설치되어 한 마리씩 가축이 통과하여, 급이장치부(20)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진입통로부(10)는 입구문 장치(30), 접근 감지센서(11), 이동프레임부(25), 도착센서(12), 촬영부(71)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구문의 입구 개폐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구문 장치(30)는 입구문(31)과 입구측 일 측면에 설치된 입구문 개폐장치(10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구문 개폐장치(100)는 상기 진입통로부 입구의 어느 일측 기둥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실린더(101), 상기 일측 여닫이문을 힌지 고정시키는 제1힌지축(111), 상기 타측 여닫이문을 힌지 고정시키는 제2힌지축(112), 상기 제1힌지축(111)의 일측 원주바(121)와 회전이 자유롭도록 연결된 상기 구동실린더의 실린더바(103), 상기 제1힌지축(111)의 타측 원주바(122)와 제2힌지축(112)의 일측 원주바(123)를 회전이 자유롭도록 연결되는 연결로드(102)를 포함한다.
입구문 장치(30)의 입구문(31)은, 상기 하나의 입구 개폐장치(100)에 의하여 입구 측 양 측면에 각각 내측으로 여닫힘 가능하게 힌지 고정되는 두 개의 여닫이 문 형태로 이루어진다.
구동 실린더(101)는 입구의 어느 일 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구동실린더(101)와 제1힌지축(111)의 일측 원주바(121)에 연결된 실린더바(101)를 통해 제1힌지축(111)을 회전시킨다.
또한, 제1힌지축의 타측 원주바(122)는 제2힌지축(112)의 일측 원주바(123)와 연결로드(102)로 연결된다.
그리고 입구문(31)은 상기 제1힌지축(111), 제2힌지축(112)에 힌지 고정되는 두 개의 여닫이 문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구문장치(30)는, 입구의 어느 일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하나의 구동 실린더에 의하여 두 개의 여닫이 문이 내측으로 여닫을 수 있게 됨으로써, 입구문 구동장치가 적은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며 경제적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실린더(101)는 제어부(250)의 입구문 개폐 제어신호(221)에 따라 구동 제어되며, 진입통로부(10)의 입구문(31)을 개방함으로써, 진입 가축이 진입통로부(10)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근 감지센서(11)는 진입통로부(10)의 입구 측 일측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근 감지센서(11)는 입구 측 근방에서 접근하려는 가축에 장착된(통상 귀 부분에 RFID 인식용 칩이 장착됨) RFID 태그를 인식할 수 있도록 RFID 인식부(Radio-Frequency Identifiaction Reader)가 채용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장치(200)는 입력부(251), 제어부(250) 및 출력부(252)를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접근 감지센서(11)는 입구측에 접근하려는 가축을 인식하면, 그 접근 감지센서 신호(201)를 제어장치(200)의 입력부(251)로 전송한다.
제어부(250)는 상기 접근 감지센서 신호(201)를 판독하여 진입 가축의 고유번호로부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1)에 진입할 수 있는 출입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출입 여부는 가축의 종별, 급이 횟수 및 급이량 등을 상기 제어부(250)의 군집용 축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제어부(250)가 이를 비교하여 판단하게 된다.
예를 들면, 사료를 섭취하지 않은 모돈이면 입구문(31)을 개방하도록 제어를 하여 출입을 허용하며, 사료를 섭취한 모돈이면 입구문(31)이 열리지 않도록 제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장치(200)는 접근 감지 센서신호(201)의 판독결과 미등록 태그를 부착한 돼지가 접근하면 경광등(미도시됨)을 동작시키고, 데이터베이스에 새로이 등록번호가 지정되어 입력될 수 있다.
경광등은 상기 진입통로부(10)의 전면 또는 제어장치(2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군집용 축사 데이터베이스에는 사육하는 가축의 종별, 급이 횟수 및 급이량, 신체 사이즈(좌우 폭 및 높이), 발육 상태(년령, 임신 여부, 후보돈, 임신돈 및 모돈 여부)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축적되어 저장된다.
진입통로부(10)는 양측에 수직벽체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벽체 중 일측에 통로폭 방향에 따라 벽체가 이동되는 이동프레임(25)이 장착된다.
제어장치(200)의 제어부(250)는 접근 감지센서신호(201)에 의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진입 가축의 크기에 맞추어 이동프레임부의 이동프레임(25)을 이동시키는 이동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진입 가축의 최근 입력된 폭에 근거하여 이동프레임부는 진입통로부(10)의 통로 폭을 진입 가축의 크기에 맞추어 한 개체만 통과할 수 있도록 가감하여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입통로부(10)의 통로는 진입 가축 한 개체만 전진 진행할 수 있으며 진입통로부(10)의 통로 내에서 좌, 우로 눕거나 방향을 반대로 전환되지 않도록 일정 폭으로 조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돈의 경우, 이동프레임(25)은 100[mm]의 변동 폭으로 통로의 크기를 변경한다.
도착센서(12)는 진입통로부(10) 공간 말단부에 위치하며, 진입가축이 진입통로부(10)의 진입완료구역에 가축이 도달한 것을 감지하여 제어장치(200)에 도착센서신호(202)를 전송한다.
제어부(250)는 도착센서 신호(202)가 입력되면, 입구문 개폐장치(100)에 열려있는 입구문(31)이 닫히도록 입구문 "폐쇄"(close)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250)는 진입 가축이 출구통로부(70)를 통하여 나갈 때까지 더 이상의 진입 가축의 다른 태그를 인식하지 않게 된다.
상기 도착 센서(12)는 RF센서, 적외선감지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진입통로부(10)는 촬영부(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71)는 상기 도착센서 신호(202)가 입력되면 진입 가축을 촬영하여 영상신호(207)를 제어장치(200)로 전송한다.
제어장치(200)의 제어부(250)는 상기 영상신호(207)를 분석하여 진입 가축의 체장, 흉위, 전폭, 후폭, 복폭 등 부위별로 그 크기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진입통로부(10)는 체중측정부(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체중측정부(17)는 진입통로부(10)의 바닥의 일부를 체중 측정용 플레이트로 설치하여 진입가축이 통과할 때마다 체중을 측정하게 된다.
체중측정부(17)는 진입 가축의 체중을 측정하여 그 체중신호(209)를 제어장치(200)로 전송한다.
제어장치(200)의 제어부(250)는 상기 체중신호(207)를 분석하여 자료를 업데이트하고 체중 단계별로 급이량을 조절하도록 제어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진입통로부(10)는 초음파 센서로 이루어지는 등지방측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등지방 측정 신호(210)를 제어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진입통로부(10)는 적외선 온도계를 이용한 체온측정부를 더 포함하며, 체온측정 신호(211)를 제어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진입통로부(10)의 끝단부에 급이장치부(20)가 설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급이장치부(20)는 진입통로부(10)로 진입한 진입 가축에게 기 설정된 량의 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급이장치부는 음용수공급부(40), 사료 급이통(61), 사료공급기(60), 급이 감지센서(15)를 포함한다.
또한, 급이장치부에는 급이공간부(21) 및 구유 공간부(22)를 더 포함한다.
급이 공간부(21)는 진입 가축의 몸통이 위치하는 공간이며, 구유 공간부(22)는 진입 가축의 머리부분이 위치하여 급이를 하는 공간이다.
상기 급이장치부의 입구에는 급이구 개폐장치(63)가 장착된다.
상기 급이구 개폐장치(63)는 진입통로부(10)의 도착센서(12)에 의하여 진입 가축이 특정되어 진입이 확인되었을 때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도착센서의 도착신호로부터 급이가 필요한 가축으로 판단되면, 상기 급이구 개폐장치를 상기 급이장치부의 내부측 방향으로 열리도록 제어신호를 보낸다.
사료급이통(61) 주변에는 급이 감지센서(15)가 설치된다.
급이 감지센서(15)는 상기 급이장치부의 내부측으로 가축의 주둥이가 접근되면, 급이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제어장치(200)로 전송한다.
급이 감지센서(15)는 가축의 머리 부분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적외선 감지 센서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제어장치(200)는 급이 감지센서(15)로부터 전송된 급이 감지 신호에 의해 가축의 정보를 인식하여 급이 이력 및 체중 단계를 분석하여 가축의 적정 사료 공급량을 판단하고, 음용수량 제어신호(227)와 급이량 제어신호(228)를 각각 음용수 공급장치와 사료공급장치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료 급이통(61)은 정면 중앙에 위치하거나, 또는 중앙에서 약 45도 각도의 앞쪽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료 급이통(61)은 사료 급이통 내의 사료량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센서 등 급이 상태센서가 장착되며, 상기 급이 상태센서는 공급된 사료량과 진입 가축이 급이한 후 남은 사료량을 감지하여 급이 상태신호(208)를 제어부(200)에 전송한다.
제어부(200)는 상기 급이 상태신호(208)로부터 특정 가축에게 공급한 사료량 및 급이한 사료량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료 급여량 설정은 관리 프로그램에서 관리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상기 체중측정신호(209) 데이타를 바탕으로(예를 들면 모돈 체중의 %) 급여할 수도 있고 또는 사전에 임신일령에 따른 사료 급여량을 프로그래밍하여 급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설정된 사료와 물이 공급되면, 진입 가축이 사료를 섭취하는 시간 동안 음용수 공급장치와 사료공급장치는 대기 상태로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료 급여 방법은 일일 급여량을 첫 진입과 동시에 한번에 섭취하도록 급여하거나 또는 일일 수회 나누어 진입하여 급여하도록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급이장치부(20)는 마커표시부(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입 가축의 사료섭취가 완료되면 관리자 설정에 따라 마커표시기(41)가 작동하여 모돈 가축에 필요한 표시를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백신 접종에 대한 모돈 확인 등 필요에 의하여 특정 돼지를 무리로부터 구별하기 위하여 잉크로 진입 가축의 몸체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장치(200)는 급이감지신호(204), 급이 상태신호(208)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로부터 진입 가축이 급이를 모두 끝났음이 감지될 때에는 급이가 끝난 가축의 머리를 밀어내도록 상기 내부측 방향으로 열려진 급이구 개폐장치(15)를 외부측으로 밀어서 닫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급이장치부(20)는 퇴출몰이장치부(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퇴출몰이 패드의 상, 하 이동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퇴출몰이장치부의 전, 후 이동을 도시한 것이다.
도 3,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퇴출몰이장치부(41)는 가축의 엉덩이를 후면에서 밀어주도록 평판 또는 전면이 움푹한 곡면판으로 형성된 퇴출몰이 패드(401), 상기 퇴출몰이 패드(401)를 지지하는 퇴출패드 지지대(402), 상기 퇴출패드 지지대를 상하로 구동시키는 상하구동장치(403), 상기 진입통로부의 천장 부위에 설치되며, 상기 상하구동장치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상하구동장치를 전후로 구동시키는 전후구동장치(41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장치(200)는 급이 감지센서(15)로부터 가축이 급이장치부에 도달하였음이 감지되면, 상기 전후구동장치(411)와 상기 상하구동장치(403)를 제어하여, 상기 퇴출몰이 패드(401)가 가축의 후면에서 하강하여 가축의 엉덩이 뒷부분에 위치하도록 제어한다.
제어장치(200)의 제어부(250)는 진입 가축이 급이를 모두 끝났음이 감지된 시점부터 사전에 프로그램밍된 설정된 시간이 지나도록 퇴장센서(19)로부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퇴출 진행에 대한 제어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경광등 작동과 함께 퇴출제어신호(225)를 상기 퇴출몰이장치부(44)로 전송한다.
퇴출몰이장치부(44)는 상기 퇴출제어신호(225)에 의해 전후구동장치(411)를 앞으로 전진하도록 동작시켜서, 가축의 엉덩이 뒷부분에 위치되었던 퇴출몰이 패드(401)를 천천히 밀어서 급이를 끝낸 가축을 서서히 퇴장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전후구동장치(411)의 전진속도는 가축이 스트레스를 받지 않을 정도로 천천히 동작하도록 제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험치에 의하면 전후구동장치(411)의 전진속도를 10 ~ 100 mm/ sec의 속도 범위 내로 할 때, 모돈이 자연스럽게 전진 동선이 유지되면서 출구통로부(70, 180)로 이동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출구통로부는 진입통로부를 기준으로 가축 우리 군의 배치에 따라 좌측 출구통로부(70) 또는 우측 출구통로부(180)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좌측 출구통로부(70) 또는 우측 출구통로부(180)는 진입통로부(10)의 가축 진행 동선 방향을 기준으로 약 120도 ± 10도 의 각도로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출구통로부(70, 180)는 출구 가이드 판(91, 92), 출구 역지판(171, 81) 및 출구문 전환판(175, 85)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출구통로부(70, 180)에는 가축이 출구 가이드 판(91, 92)을 완전히 통과한 것을 감지하는 출구 이동감지센서(18, 19)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구통로부(70, 180)에는 출구통로부(70, 80)를 가축이 완전히 퇴장된 것을 감지하여 제어장치로 퇴장센서신호(206)를 전송하는 퇴장센서(19, 89)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장치(200)는 는 상기 출구 이동감지센서(18, 19)의 출구이동신호(205) 또는 상기 퇴장센서(19, 89)의 퇴장센서신호(206)가 입력되면, 퇴출몰이장치부(44)의 동작을 멈추고 퇴출몰이 패드(401)를 다시 상부측의 원래의 대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제어신호를 보내고, 개방되었던 상기 출구 가이드 판(91, 92)을 폐쇄하도록 출구 가이드 판 구동장치(미도시됨)에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위와 같은 제어장치(200)의 출구 가이드 판 구동장치 제어신호에 의하여 출구 가이드 판(91, 92)이 폐쇄됨으로써, 급이를 끝내고 출구측으로 진행하는 가축(모돈)이 다시 급이장치부(20)쪽으로 역행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출구 이동감지센서(18, 19)의 출구이동신호(205) 또는 상기 퇴장센서(19, 89)의 퇴장센서신호(206)가 입력되면, 이후에는 다시 진입통로부(10)의 접근 감지센서(11)가 동작을 시작하여 다른 가축의 진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출구통로부(70, 80)는 출구 역지판(71, 8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출구 역지판(71, 81)은 출구 방향 쪽으로는 스프링의 탄력을 진행하는 가축이 밀어서 쉽게 열리게 되며 반대방향으로는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퇴장센서(19, 89)는 상기 출구 역지판(71, 81)에 연동되어 퇴장센서신호를 발생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출구 역지판(71, 81)은 출구 측 통로에 설치되어, 급이를 끝낸 가축이 진행도중 다시 급이장치부(50)쪽으로 역행하는 것을 막도록 구성된다.
출구통로부(70, 180)의 끝단에는 출구문 전환판(75, 85)이 설치된다.
출구문 전환판(75, 85)은 출구 측 통로의 끝에서 좌, 우 출구 중 어느 한쪽만 개방되도록 전환되는 구조로서, 급이를 끝낸 가축의 진행 방향을 농가의 돈사 구역 배치에 따라서 좌, 우 측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2개의 출구통로부를 가진 군집형 축사의 급이관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1)는 2개의 출구통로부(70, 80)로 구성되며 상기 2개의 출구통로부(70, 80)는 진입 가축이 진입통로부(10)를 거쳐서 자연스럽게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진입통로부(10)의 가축 진행 동선 방향을 기준으로 약 120도 ± 10도 의 각도로 좌, 우로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와 같이 2개의 출구통로부(70, 80)에 의하여, 분리 사양이 필요로 하는 무리들을 서로 다른 출구에서 분리 구획된 우리로 분리하여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출구통로부(70, 80)는 가축의 구분(임신돈, 모돈, 후보돈)을 위하여 다른 우리로 구분하여 퇴출 방향을 전환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출구문 전환판(75, 85)은 동일한 가축군이 급이 형태를 선택하는데 구분하기 위한 무리를 구역별로 구분하는데 효과적이다.
예를 들면, 임신돈, 모돈, 후보돈의 경우는 우리를 별도로 구분하여 사양관리 되고 있으므로 다른 쪽 우리에 적합한 방향 전환을 위하여 진입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퇴출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제1, 2출구통로부(70, 80)를 이용하게 된다.
한편, 임신돈 무리의 경우, 사료 공급량을 모두 채운 먹은 임신돈과 그러지 못한 임신돈은 동일한 우리 내에서 구분되도록 함으로써, 사료 공급량을 모두 채운 먹은 임신돈의 재진입을 막아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급이 관리 장치(1)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501에서 모돈이 군집형 축사의 진입 구역 내에 도착하면 접근 감지 센서(11)가 동작하여 접근 감지센서 신호(201)를 제어장치(200)로 전송한다.
단계 502에서 제어장치(200)는 상기 접근 감지센서 신호(201)로부터 가축의 정보를 인식하여 급이가 필요한 가축인지를 판단하여, 급이가 필요한 가축이면, 상기 입구문 구동장치인 구동실린더(101)에 입구문 열림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단계 503에서 구동실린더(101)는 상기 제어장치(200)로부터 입구문 열림 신호를 받아 입구문(31)을 개방한다.
한편, 502단계에서 제어장치(200)는 상기 접근 감지센서(11)로부터 가축의 정보를 인식하여 급이를 완료한 가축이 접근된 것으로 판단되면, 다시 501단계로 복귀한다.
또한, 제어장치(200)는 상기 접근 감지센서(11)의 접근센서신호(201)에 의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진입 가축의 복폭에 맞추어 이동프레임부의 이동프레임(25)을 이동시키는 이동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단계 504에서 이동프레임부는 상기 제어장치(200)의 이동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진입 가축의 최근 입력된 폭에 근거하여 진입통로부(10)의 통로 폭을 진입 가축의 크기에 맞추어 한 개체만 통과할 수 있도록 가감하여 조정한다.
단계 505에서 가축이 진입통로부(10)에 진입하여 가축의 진입완료 구역에 가축이 도달하면, 도착센서(12)가 동작하여 도착신호를 제어장치(200)로 전송한다.
단계 506에서 제어장치(200)는 상기 도착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입구문 구동장치인 구동실린더(101)에 입구문 폐쇄 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구동실린더(101)는 입구문 폐쇄 신호를 받아 개방되었던 입구문(31)을 폐쇄하게 된다.
단계 507에서 제어장치(200)는 상기 도착신호를 판단하여 급이가 필요한 가축이라고 판단이 되면, 급이구 개폐장치를 상기 급이장치부의 내부측 방향으로 열리도록 제어한다.
단계 508에서 가축이 진입하여 상기 급이장치부의 내부측으로 상기 가축의 주둥이가 접근되면 급이 감지센서(15)가 동작하여 급이 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단계 509에서 제어장치(200)는 급이 감지센서(15)로부터 전송된 급이 감지 신호, 도착신호에 의해 가축의 정보를 인식하여 가축의 적정 사료 공급량을 판단하고, 상기 사료공급부가 상기 적정 사료량을 상기 사료 급이통(61)에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장치(200)는 급이 감지센서(15)로부터 가축이 급이장치부에 도달하였음이 감지되면, 퇴출몰이장치의 퇴출몰이 패드(401)가 가축의 후면에서 하강하여 가축의 엉덩이 뒷부분에 위치하도록 제어한다(단계 510)
가축이 사료급이통(61)에서 급이을 하게 되면 급이 상태센서는 급이 상태 신호를 발생시킨다(단계 511).
제어장치(200)는 상기 급이 상태신호를 수신하여 급이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이 되면, 급이가 끝난 가축의 머리를 밀어내도록 상기 내부측 방향으로 열려진 급이구 개폐장치(63)를 외부측으로 밀어서 닫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단계 512).
제어장치(200)는 진입 가축이 급이를 모두 끝났음이 감지된 시점부터 사전에 프로그램밍된 설정된 시간이 지나도록 퇴장센서(19, 89)로부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퇴출 진행에 대한 퇴출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퇴출몰이장치부(44)로 퇴출 제어신호(225)를 전송한다(단계 513).
퇴출몰이장치부(44)는 상기 퇴출 제어신호(225)에 의해 전후구동장치(411)를 앞으로 전진하도록 동작시켜서, 가축의 엉덩이 뒷부분에 위치되었던 퇴출몰이 패드(401)를 천천히 밀어서 급이를 끝낸 가축을 서서히 퇴장하도록 유도한다(단계 514).
제어장치(200)는 퇴장센서(19, 89)의 퇴장 센서신호(206)가 입력되면, 퇴출몰이장치부(44)의 동작을 멈추고 퇴출몰이 패드(401)를 상부측 대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제어신호를 보낸다(단계 515)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장치(200)의 모돈 관리시스템에 대한 제어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화면에서 수동으로 표시되는 부위를 터치하게 되면 수동 제어화면으로 전환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화면 중 수동으로 전환된 제어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앞문"으로 표시된 부위를 누르게 되면 앞문을 개폐할 수 있다.
"몰이상하" 버튼은 퇴출몰이 패드를 상하로 동작시키며, 또한, "몰이전후" 버튼은 퇴출몰이 패드를 전후로 동작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사료배출1"은 사료 공급모터를 동작하여 필요한 사료량을 공급하고, "사료배출2"는 첨가 사료공급 모터를 동작하여 첨가 사료를 공급하게 된다.
"격리판"은 출구 역지판을 동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도착센서"는 포토센서로 모돈이 감지되면 동작표시색이 나타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8을 참조하면, 접근 감지센서에서 모돈이 인식되고 급이단계를 거치면서, 모돈의 돈번호, 사료설정량, 사료섭취량, 체중이 화면에 표시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진입통로부
11: 접근 감지센서
12: 도착센서
15: 급이 감지센서
19, 89; 퇴장센서
20: 급이장치부
25: 이동프레임
41: 퇴출몰이장치부
61: 사료급이통
63: 급이구 개폐장치
70, 80, 180: 출구통로부
75, 85: 출구문 전환판
100: 입구문 개폐장치
401: 퇴출몰이 패드
200: 제어장치

Claims (13)

  1. 양측에 수직벽체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벽체 중 일측에 통로폭 방향에 따라 벽체가 이동되는 이동프레임이 장착되며, 가축이 진입할 수 있는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진입통로부;
    상기 진입통로부 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입구의 일측에서 진입 구역에 접근하는 가축의 정보를 감지하는 접근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입구문 구동장치에 의하여 개폐되는 입구문 장치:
    상기 진입통로부의 끝단부에 설치되며 사료를 저장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로부터 사료공급부를 통하여 사료를 공급받는 사료 급이통 및 사료급이통 주변에 설치되는 급이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급이장치부;
    상기 진입통로부와 상기 급이장치부의 경계부 벽체에 설치되는 출구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진입통로부의 가축의 진행동선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가축이 퇴출할 수 있는 퇴출 통로를 제공하는 퇴출통로부; 및
    상기 접근 감지센서로부터 가축의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입구문 구동장치에 개폐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가축의 복폭 정보에 따라 해당 가축의 전진 진행만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 프레임의 이동폭을 조정하는 이동신호를 출력 제어하는 제어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퇴출통로부는 120 ± 10도 의 각도로 좌, 우로 설치되고,
    상기 퇴출통로부에는 좌, 우 출구중 어느 한쪽으로만 개방이 되는 출구문 전환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급이 감지신호에 의해 인식된 가축의 정보에 따라 가축 우리군을 구분하여 상기 출구문 전환판을 좌측 또는 우측 출구로 전환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문 장치는
    상기 진입통로부 입구의 어느 일측 기둥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실린더;
    일측 여닫이문을 힌지 고정시키는 제1힌지축;
    타측 여닫이문을 힌지 고정시키는 제2힌지축;
    상기 제1힌지축의 일측 원주바와 회전이 자유롭도록 연결된 상기 구동실린더의 실린더바; 및
    상기 제1힌지축의 타측 원주바와 상기 제2힌지축의 일측 원주바를 회전이 자유롭도록 연결되는 연결로드; 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의 구동실린더에 의하여 상기 진입통로부 입구의 양 측면에서 각각 내측으로 여닫힘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통로부에는 가축의 진입완료 구역에 가축이 도달한 것을 감지하는 도착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도착센서의 도착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입구문 장치를 닫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급이장치부의 입구에는 급이구 개폐장치가 장착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도착센서의 도착신호로부터 급이가 필요한 가축으로 판단되면, 상기 급이구 개폐장치를 상기 급이장치부의 내부측 방향으로 열리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급이 감지센서는 상기 급이장치부 입구측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급이 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된 급이 감지신호에 의해 가축의 정보를 인식하여 가축의 적정 사료 공급량을 판단하고, 상기 사료공급부가 상기 적정 사료량을 상기 사료급이통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급이통에는 사료의 섭취량에 따라 급이 상태신호를 발생시키는 급이 상태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급이 상태신호를 입력받아 가축이 적정사료에 대한 급이를 완료하였음이 판단되면, 급이가 끝난 가축의 머리를 밀어내도록, 내부측 방향으로 열려진 급이구 개폐장치를 외부측으로 밀어서 닫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 통로부에는,
    가축의 엉덩이를 후면에서 밀어주도록 평판 또는 전면이 움푹한 곡면판으로 형성된 퇴출몰이 패드;
    상기 퇴출몰이 패드를 지지하는 퇴출패드지지대;
    상기 퇴출패드 지지대를 상하로 구동시키는 상하구동장치; 및
    상기 진입통로부의 천장 부위에 설치되며, 상기 상하구동장치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상하구동장치를 전후로 구동시키는 전후구동장치; 를 포함하는 퇴출몰이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급이 감지신호로부터 가축이 급이장치부에 도달하였음이 판단되면, 상기 전후구동장치와 상기 상하구동장치를 제어하어 상기 퇴출몰이 패드가 가축의 후면에서 하강하여 가축의 엉덩이 뒷부분에 위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퇴출통로부에는 가축의 퇴출 진행을 감지하는 퇴장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급이 상태신호를 입력받아 가축이 적정사료에 대한 급이를 완료하였는지를 판단한 후, 상기 퇴장센서로부터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퇴출 진행에 대한 제어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가축의 엉덩이 부위에 위치한 퇴출몰이 패드를 전진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퇴출몰이 패드의 전진 속도는 10 ~ 100 mm/se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
  12. 삭제
  13.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의 제어장치에서 급이 관리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의 진입통로부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입구의 일측에서 진입 구역에 접근하는 가축을 감지하는 접근 감지센서로부터 접근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접근 감지센서 신호로부터 가축의 정보를 인식하고, 급이가 필요한 가축인지를 판단하여, 급이가 필요한 가축이면, 상기 진입통로부의 입구문 구동장치에 입구문 열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가축의 정보로부터 상기 가축의 복폭에 맞추어 상기 진입통로부의 이동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이동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진입통로부의 진입완료 구역에 설치된 도착센서로 부터 도착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입구문 구동장치에 입구문 폐쇄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도착신호를 판단하여 급이가 필요한 가축이라고 판단이 되면, 급이구 개폐장치를 급이장치부의 내부측 방향으로 열리도록 급이구 개폐장치 열림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급이장치부의 사료 급이통 주변에 설치된 급이 감지센서로 부터 전송된 급이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가축의 적정 사료 공급량을 판단하여 상기 적정 사료 공급량을 사료 급이통에 공급하도록 상기 사료공급부에 사료 공급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가 사료 공급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동시에 상기 진입통로부의 상부측에 설치된 퇴출몰이 장치의 퇴출몰이 패드를 상기 가축의 후면에서 하강하여 엉덩이 뒷부분에 위치하도록 상기 퇴출몰이 패드 하강 제어신호를 상기 퇴출몰이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사료급이통에 설치된 급이 상태센서로부터 급이 상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급이구 개폐장치에 급이구 개폐장치 폐쇄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가, 급이구 개폐장치 폐쇄 제어신호를 전송한 이후에 설정된 시간이 지나도록 퇴출통로부의 퇴장완료구역에 설치된 퇴장센서로부터 퇴출 감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이 되면, 상기 퇴출몰이 패드를 천천히 밀어서 상기 가축을 서서히 퇴장하도록 하는 퇴출제어신호를 상기 퇴출몰이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퇴출 감지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이 되면 상기 퇴출몰이 패드를 상부측 대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퇴출몰이 패드 복귀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퇴출통로부는 120 ± 10도 의 각도로 좌, 우 양측으로 설치되며, 상기 퇴출통로부에는 좌, 우 출구중 어느 한쪽으로만 개방이 되는 출구문 전환판이 장착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급이 감지신호에 의해 인식된 가축의 정보에 따라 가축 우리군을 구분하여 상기 출구문 전환판을 좌측 또는 우측 출구로 전환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
KR1020130120835A 2013-10-10 2013-10-10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557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835A KR101557077B1 (ko) 2013-10-10 2013-10-10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835A KR101557077B1 (ko) 2013-10-10 2013-10-10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080A KR20150042080A (ko) 2015-04-20
KR101557077B1 true KR101557077B1 (ko) 2015-10-19

Family

ID=53035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0835A KR101557077B1 (ko) 2013-10-10 2013-10-10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0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7362A1 (de) * 2017-01-06 2018-07-12 Kormatec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individuellen überwachung einer gruppe von tieren, insbesondere mastschweinen in gruppenhaltung
KR102176641B1 (ko) * 2020-04-08 2020-11-09 이유식 자동 닭사육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6425292B2 (en) * 2016-09-30 2022-02-10 Precisionzx Inc. System and method for feeding animals
CN108617512A (zh) * 2017-03-15 2018-10-09 天津奥群牧业有限公司 一种物联网称重分栏设备
KR102403814B1 (ko) * 2019-12-13 2022-05-3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개체별 착유정보 기록 시스템
KR102238916B1 (ko) * 2020-10-16 2021-04-13 주식회사 세움건설 가축 유도 시스템
KR102365502B1 (ko) * 2021-03-18 2022-02-18 김도연 가축용 양방향 안전 유도몰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방향 가축 안전 몰이 방법
KR102564271B1 (ko) * 2022-12-20 2023-08-08 지금강(주) 가축 유도 및 관리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081Y1 (ko) 2005-12-30 2006-03-15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돼지용 사료섭취량 조사기
KR101200099B1 (ko) * 2011-11-28 2012-12-24 주식회사 범아시스템 통합 모돈사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70689B1 (ko) 2011-03-17 2013-06-04 대한민국 돈사 급이기용 돼지 선별기구
KR101277629B1 (ko) * 2009-12-23 2013-07-30 이완섭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081Y1 (ko) 2005-12-30 2006-03-15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돼지용 사료섭취량 조사기
KR101277629B1 (ko) * 2009-12-23 2013-07-30 이완섭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
KR101270689B1 (ko) 2011-03-17 2013-06-04 대한민국 돈사 급이기용 돼지 선별기구
KR101200099B1 (ko) * 2011-11-28 2012-12-24 주식회사 범아시스템 통합 모돈사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7362A1 (de) * 2017-01-06 2018-07-12 Kormatec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individuellen überwachung einer gruppe von tieren, insbesondere mastschweinen in gruppenhaltung
KR102176641B1 (ko) * 2020-04-08 2020-11-09 이유식 자동 닭사육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080A (ko) 201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7077B1 (ko)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 및 방법
JP4219381B2 (ja) 飼育動物個体群の管理システム
KR101277629B1 (ko)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
US202200612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recting livestock animal
JP4330105B2 (ja) 搾乳用動物を飼育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EP1121014B1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automatic milking and feeding of animals
KR101200099B1 (ko) 통합 모돈사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514228A (ja) 動物の自動搾乳装置および方法
CN203233848U (zh) 育肥猪分栏器
CN205585009U (zh) 挤奶隔间
JP2000508167A (ja) 家畜を自動搾乳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10314290B2 (en) Feeding station for farm animals, in particular for pigs
KR101368942B1 (ko) 돈사 급이기용 몰이기구
KR102049871B1 (ko) 비육돈용 생체정보 계측용 출입구 제어시스템
BE1000327A4 (nl) Inrichting voor het op afroep voederen van varkens.
KR20120106101A (ko) 돈사 급이기용 돼지 선별기구
KR101741000B1 (ko) 소 생체정보에 의한 생체리듬 음악을 제공하는 사료급여시스템
KR20210007575A (ko) 자동 높이 조절 급수 시스템
KR101995758B1 (ko) 돼지 선별 돈사 및 이를 이용한 돼지 선별 방법
KR102185540B1 (ko) 상하 이동 급이 장치
KR101992431B1 (ko) 대가축용 사료섭취량 조사장치
CA2596137A1 (en) Method for operating a feeding station for animals
NL2003561C2 (nl) Voerstation voor het automatisch doseren van voer aan vee.
KR20240073515A (ko) 자율주행 사료 공급 장치
WO2013187820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automatically feeding milk producing anim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