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8916B1 - 가축 유도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축 유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8916B1
KR102238916B1 KR1020200133898A KR20200133898A KR102238916B1 KR 102238916 B1 KR102238916 B1 KR 102238916B1 KR 1020200133898 A KR1020200133898 A KR 1020200133898A KR 20200133898 A KR20200133898 A KR 20200133898A KR 102238916 B1 KR102238916 B1 KR 102238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induction
moving
gui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석용
이혜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움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움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움건설
Priority to KR1020200133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9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00Pasturing equipment, e.g. tethering devices; Grids for preventing cattle from straying; Electrified wire fenc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4Devices for impeding movement; Devices for impeding passage through fencing, e.g. hobbles or the like; Anti-ki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들을 지정된 장소로 무인으로 유도시켜 줌과 동시에 축사장 바닥을 청소하도록 구현한 가축 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바닥 위에 위치하여 전측으로 이동시 바닥의 이물질을 청소하고, 후측으로 이동시 가축을 지정된 장소로 유도시키는 유도장치; 유도장치 양측에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수직이동장치; 및 수직이동장치 상단에 연결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수평이동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축 유도 시스템 {Cattle Guidance System}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가축을 지정된 장소로 유도시키는 가축 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가축들을 지정된 장소로 무인으로 유도시켜 줌과 동시에 축사장 바닥을 청소하도록 구현한 가축 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축사장에서 많은 가축을 축사장에 가두어 놓고 사육을 하게 된다. 그러다 보니 가축들의 배설물이 축사장에 쌓이게 되어 가축의 질과 축사장의 위생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축사장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가축들을 다른 장소로 유도하여 몰아넣고, 청소를 해야 하는데, 이때 가축들을 유도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가축들의 사료급이, 건강체크, 예방접종, 착유와 같은 작업을 위해서는 특정 장소로 가축을 이동시켜야 하는데, 종래에는 사람이 가축들을 때리거나 하는 등 억지로 몰아넣는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이러한 일은 많은 인력과 시간이 걸리며, 가축들의 스트레스로 인한 육질이나 우유질의 저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축사장 시스템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특허 출원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58407호(2019.03.14. 등록)는 축사의 역진입 방지 및 다개체 진입 방지용 게이트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축사의 급이시설 입구에 설치되는 것으로, 가축이 들어오는 입구와 출구가 형성되고 가축의 이탈을 방지하는 울타리를 형성하는 게이트 프레임과 게이트 프레임의 입구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축이 미는 힘에 의해 개방되는 입구 도어와 가축의 후퇴를 방지하고 하나의 개체만 게이트 내부로 들어가도록 게이트 프레임의 입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입구 도어와 9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진입방지 도어와 입구 도어와 진입방지 도어를 연결하여 진입방지 도어가 입구 도어에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하는 탄성 연결부재와 입구 도어를 고정하거나 입구 도어의 고정을 해제하고 입구 도어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도어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도어 고정부재는 실린더 또는 직동이송장치, 및 작동 링크를 포함하되, 실린더는 게이트의 측부에 고정 설치되며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인가되는 압력을 이용하여 로드를 전후 이동시키고, 직동 이송장치는 마그네틱 솔레노이드 리니어 스테이지를 포함하고, 작동 링크는 그 일단이 입구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타단은 실린더일 경우 실린더의 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직동이송장치일 경우 리니어 스테이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축사의 역진입 방지 및 다개체 진입 방지용 게이트는 가축이 게이트에 진입할 때 입구 도어에 연동하여 진입방지 도어가 이동하여 가축의 후방을 막아줌으로써 가축이 뒤로 물러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두 마리 이상의 가축이 게이트 내부로 진입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각 개체에 대한 정량 공급 및 위생적인 급이가 가능하게 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35577호(2016.07.04. 등록)는 가축 몰이용 프리 펜스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가축을 일정 방향으로 유도하여 이동시키는 가축 몰이용 프리 펜스에 있어서, 축사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서 회전하도록 결합된 권취롤과, 상기 권취롤에 구비된 오디오장치, 그리고 상기 권취롤의 원상회복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복귀수단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권취롤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연결되고, 끝단부를 축사의 타측에 고정 가능한 시트 및 상기 시트의 양측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전기 자극을 발생시키는 전압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본체의 권취롤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연결된 시트를 이용하여 가축들을 일정방향으로 쉽게 유도하여 이동시킬 수 있으며, 프리 펜스를 이용한 격리 공간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특히 음악 등을 틀어서 가축 몰이로 인해 가축이 받는 스트레스를 저감시킬 수 있고, 전기자극을 통해 돼지와 같은 굴토성을 갖는 가축이 시트 밑으로 통과하거나 땅을 파서 도망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가축의 백신 접종, 체중 측정, 능력 검정, 단미, 이표장착 등을 쉽고 빠르게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가축을 특정장소로 유도시키는 작업과 청소를 사람이 직접 작업해야 하므로, 불편하고 어려웠으며, 가축을 유도한 후에 사람이 직접 청소하기 때문에 축사장 청결과 관리에 시간과 효율이 떨어지며, 효과적인 축사장 가축들의 관리와 청결을 유지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58407호 한국등록특허 제10-1635577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축들을 지정된 장소로 무인으로 유도시켜 줌과 동시에 축사장 바닥을 청소하도록 구현한 가축 유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바닥 위에 위치하여 전측으로 이동시 바닥의 이물질을 청소하고, 후측으로 이동시 가축을 지정된 장소로 유도시키는 유도장치; 상기 유도장치 양측에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수직이동장치; 및 상기 수직이동장치 상단에 연결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수평이동장치를 포함하는 가축 유도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유도장치는, 상측 양쪽으로 상기 수직이동장치에 연결되어 전후이동으로 가축을 지정된 장소로 유도시키는 유도부; 및 상기 유도부에 연결되어 하부에 바닥의 이물질을 청소하는 청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유도장치는, 상기 유도부의 하측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어 상기 청소부를 탈부착 하기 위한 복수개의 탈부착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축 유도 시스템은, 상기 수직이동장치 하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유도장치를 탈부착하기 위한 탈부착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직이동장치는, 공기를 주입받거나 배출함에 따라 상기 유도장치를 상하이동시켜 주기 위한 공압실린더부; 상기 공압실린더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공압실린더부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주입부; 및 상기 공압실린더부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공압실린더부의 공기를 배출시켜주는 공기배출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직이동장치는, 유류를 주입받거나 배출함에 따라 상기 유도장치를 상하이동 시켜주기 위한 유압실린더부; 상기 유압실린더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유압실린더부에 유류를 주입하기 위한 유류주입부; 및 상기 유압실린더부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유압실린더부의 유류를 배출하기 위한 유류배출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평이동장치는, 상기 수직이동장치를 양측에 고정 설치해 주는 몸체부; 상기 수직이동장치 상부에 위치해서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부; 및 상기 몸체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레일부에 치합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를 따라서 회전 운동하여 상기 몸체부를 전후로 이동시켜 주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축 유도 시스템은, 전측에 위치하여 가축이 통로에 들어오기 전 가축의 건강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가축 건강체크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축 유도 시스템은, 전측에 위치하여 가축을 사워해주기 위한 샤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축 유도 시스템은, 상기 샤워기에서 기 설정된 후측방향에 설치하여 가축을 건조해주기 위한 건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로는, 가축들을 지정된 장소로 무인으로 유도시켜 줌과 동시에 축사장 바닥을 청소하도록 구현한 가축 유도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무인으로 가축들을 지정된 장소로 편안하고 쉽게 유도할 수 있으며, 이에 축사장 청결과 관리에 시간과 효율이 향상시킬 수 있으며, 효과적인 축사장 가축들의 관리와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축 유도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유도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수직이동장치를 제1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수평이동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축 유도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축 유도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축 유도 시스템(10)은, 유도장치(100), 수직이동장치(200), 수평이동장치(300)를 포함한다.
유도장치(100)는, 바닥 위에 위치하고, 양측에 수직이동장치(200)를 연결 형성하고, 전측으로 이동시 바닥의 이물질을 청소하고, 후측으로 이동시 가축을 지정된 장소로 유도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수직이동장치(200)는, 유도장치(100)가 전측으로 이동하며 가축을 전측으로 유도할 때, 지면에서 유도장치(100)의 상단까지 높이가 최소 150cm 이상 상승시켜 가축이 유도장치(100)를 넘어 도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직이동장치(200)는, 유도장치 양측에 연결되고, 상단에 수평이동장치(300)를 연결 형성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수평이동장치(300)는, 수직이동장치 상단에 연결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가축 유도 시스템(10)은, 유도장치(100)를 이용하여 가축들을 지정된 장소로 무인으로 유도시켜 줌과 동시에 축사장 바닥을 청소하도록 구현함으로써, 무인으로 가축들을 지정된 장소로 편안하고 쉽게 유도할 수 있으며, 이에 축사장 청결과 관리에 시간과 효율이 향상시킬 수 있으며, 효과적인 축사장 가축들의 관리와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가축 유도 시스템(10)은, 가축을 무인으로 지정된 장소에 유도하여 사료급이나 착유, 샤워, 예방접종 등을 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가축 유도 시스템(10)은, 탈부착장치(400)를 더 포함한다.
탈부착장치(400)는, 수직이동장치(200) 하단에 고정 설치되어 유도장치(100)를 탈부착해 준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탈부착장치(400)는 유도장치(100)에 체결 분리시킴으로써, 부러지거나 더러워진 유도장치(100)를 다른 유도장치(100)로 교체할 수 있기에, 유도장치(100)를 관리하는데,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가축 유도 시스템(10)은, 건강체크기(500)를 더 포함한다.
건강체크기(500)는 가축 이동 시스템의 전측에 위치하여 가축이 통로에 들어오기 전 가축의 건강상태를 체크한다.
일 실시 예에서, 건강체크기(500)는 열화상카메라를 구비하여 가축의 열을 체크 분석함으로써 건강을 체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건강체크기(500)는 가축에게 무선형 센서를 장착하여 가축의 걸음걸이를 촬영 분석함으로써 건강을 체크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건강체크기(500)는 가축에게 위장 캡슐을 먹여 가축의 체온, 위산 산도 등을 체크하여 건강체크기(500)에 전송함으로써 가축의 건강을 체크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건강체크기(500)는 가축의 꼬리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건강을 체크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건강체크기(500)로 가축의 건강이상을 발견하면, 축사 관리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가축 유도 시스템(10)은, 샤워기(600)를 더 포함한다.
샤워기(600)는 전측 통로 입구에 위치하여 가축을 샤워해준다.
일 실시 예에서, 샤워기(600)는 스프링클러를 구비하여 가축에게 물을 뿌려 샤워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샤워기(600)는 자동 온도조절기를 더 구비하여 날씨, 온도에 따라 물의 온도를 조절하여 가축에게 뿌려줄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샤워기(600)는 가축의 샤워가 끝나면, 스프링클러가 정지되며, 수평이동장치(300)가 전측으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가축 유도 시스템(10)은, 건조기(700)를 더 포함한다.
건조기(700)는 샤워기(600)에서 기 설정된 후측방향에 설치하여 가축을 건조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길이는 3m~6m 사이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건조기(700)는 팬의 회전으로 가축을 건조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건조기(700)는 열선을 더 구비하여, 기온이 낮은 겨울에 가축이 건조시 체온이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건조기(700)는 가축의 건조가 끝나면, 건조기(700)가 정지되며, 수평이동장치(300)가 전측으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유도장치와 탈부착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유도장치(100)는, 유도부(110), 청소부(120)를 포함한다.
유도부(110)는, 상측 양쪽으로 수직이동장치(200)에 연결되어 전후이동으로 가축을 지정된 장소로 유도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유도부(110)는 상면 양측에 체결홀(111)을 더 구비하여 수직이동장치(200)와 고정 결합되게 할 수 있다.
청소부(120)는 유도부(110)에 연결되어 하부에 바닥의 이물질을 청소하는 청소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청소부(120)는, 고무, 플라스틱 등과 같은 재질로 바닥에 닿는 하측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유도장치(100)는, 탈부착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탈부착부(130)는, 유도부(110)의 하측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어 청소부(120)를 탈부착 하기 위해 복수개로 더 구비된다. 여기서, 기 설정된 간격은 50~100cm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탈부착부(130)는, 관통홀(131), 볼트(132), 너트(133)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131)은 유도부(110)의 하측에 형성되고 청소부(120) 상측에 형성되어 두 관통홀(131)의 중심선이 일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볼트(132)는 관통홀(131)을 관통하게 체결되어 유도부(110)와 청소부(120)를 부착시킬 수 있다.
너트(133)는 관통홀(131)을 관통 설치된 볼트(132)에 결합되어 유도부(110)와 청소부(1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탈부착부(130)는, 관통홀(131)에 테이퍼 핀을 관통 고정시켜 유도부(110)와 청소부(120)를 부착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관통홀(131)은 내부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걸림핀을 관통 고정시킬 때, 걸림턱에 결합되어 유도부(110)와 청소부(120)를 부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테이퍼 핀과 걸림핀은, 도 2에서 설명한 볼트(132)와 유사하므로, 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탈부착부(130)는, 볼트(132)와 너트(133)로 체결 분리시킴으로써, 부러지거나 더러워진 청소부(120)를 다른 청소부(120)로 교체할 수 있음으로써, 청소부(120)를 관리하는데,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탈부착장치(400)는 로드체결홀(401), 유도체결홀(402), 유도체결볼트(403)를 포함한다.
로드체결홀(401)은 탈부착장치(400)의 중앙에 홀로 형성되며, 내면이 암나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도체결홀(402)은 로드체결홀(401)의 외측에 홀로 형성되며, 내면이 암나사로 이루이져, 수직이동장치(200)를 관통하며 체결하여 수직이동장치(200)와 탈부착장치(400)를 고정 체결시킬 수 있다.
유도체결볼트(403)는 탈부착장치(400)의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유도체결홀(402)과 체결홀(111)을 관통하며 체결되어, 탈부착장치(400)가 수직이동장치(200)와 유도장치(100)를 고정 체결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수직이동장치를 제1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수직이동장치(200)는, 제1예로 공기실린더부(210), 공기주입부(220), 공기배출부(230)를 포함한다.
공압실린더부(210)는 공기를 주입받거나 배출함에 따라 유도장치(100)를 상하이동 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공압실린더부(210)는 실린더로드(211)와 체결부재(212)로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로드(211)는 공압실린더부(21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공압실린더부(210)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거나 배출됨에 따라 상하이동을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212)는 실린더로드(211) 하측에 수나사 형태로 형성되어, 로드체결홀(401)에 관통하며 체결될 수 있다.
공기주입부(220)는 공압실린더부(210)의 일측에 연결되어 공압실린더부(210)에 공기를 주입한다.
일 실시 예에서, 공기주입부(220)는 공압실린더부(210) 상측에 연결되어 공기 주입하면 실린더로드(211)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공기배출부(230)는 공압실린더부(210)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어 공압실린더부(210)의 공기를 배출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공기배출부(230)는 공압실린더부(210) 하측에 연결되어 공압실린더부(210)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켜 실린더로드(211)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수직이동장치(200)는, 도 3에서 설명한 공압실린더부(210), 공기주입부(220), 공기배출부(230) 대신에, 제2예로, 유압실린더부, 유류주입부, 유류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압실린더부, 유류주입부, 유류배출부는, 도 3에서 설명한 공압실린더부(210), 공기주입부(220), 공기배출부(230)와 유사하므로, 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는다.
유압실린더부는 유류를 주입받거나 배출함에 따라 유도장치(100)를 상하이동 시켜준다.
유류주입부는 유압실린더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유압실린더부에 유류를 주입한다.
유류배출부는 유압실린더부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유압실린더부의 유류를 배출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수직이동장치(200)는, 도 3에서 설명한 공압실린더부(210), 실린더로드(211), 채결부재(212) 대신에, 제3예로, 전동모터, 로프, 훅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동모터, 로프, 훅은, 도 3에서 설명한 실린더부(210), 실린더로드(211), 채결부재(212)와 유사하므로, 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는다.
전동모터는 수평이동장치(300)에 고정 설치되어, 전력에너지를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준다.
로프는 전동모터에 연결되어, 전동모터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하이동 한다.
훅은 일측은 로프에 고정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유도장치(100)에 고정 연결되어 유도장치(100)를 상하이동 시킨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수평이동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수평이동장치(300)는 몸체부(310), 레일부(320), 동력부(330)를 포함한다.
몸체부(310)는 수직이동장치(200)를 양측에 고정 설치해준다.
레일부(320)는 수직이동장치(200)의 상부에 위치해서 전후방향으로 설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레일부(320)는 I형강, C형강, ㄱ형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레일부(320)는 랙기어(321)를 더 포함한다.
랙기어(321)는 레일부(320)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어 동력부(330)에 치합될 수 있다.
동력부(330)는 몸체부(310)에 고정 설치되고, 레일부(320)에 치합 설치되어 레일부(320)를 따라서 회전 운동하여 몸체부(310)를 전후로 이동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동력부(330)는 모터(331)와 피니언기어(332)로 형성될 수 있다.
모터(331)는 레일부(320)의 측면에 위치하여 몸체부(310)에 고정 설치된다.
피니언기어(332)는 모터(331)에 연결 고정되며 랙기어(321)에 치합되어 모터(331)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수평이동장치(300)를 전후이동 시켜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동력부(330)는, 도 4에서 설명한 랙기어(321)와 피니언기어(332) 대신에, 제2예로, 휠 가이드와 휠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휠 가이드와 휠은 도 4에서 설명한 랙기어(321), 피니언기어(332)와 유사하므로, 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는다.
휠 가이드는 레일부(320) 하측에 고정 설치되어 동력부(330)에 결합될 수 있다.
휠은 모터(331)에 연결 고정되며, 휠 가이드에 연결 설치되어 모터(331)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수평이동장치(300)를 전후이동 시켜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 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가축 유도 시스템
100: 유도장치
110: 유도부
111: 체결홀
120: 청소부
130: 탈부착부
131: 관통홀
132: 볼트
133: 너트
200: 수직이동장치
210: 공압실린더부
211: 실린더로드
212: 체결부재
220: 공기주입부
230: 공기배출부
300: 수평이동장치
310: 몸체부
320: 레일부
321: 랙기어
330: 동력부
331: 모터
332: 피니언기어
400: 탈부착장치
401: 로드체결홀
402: 유도체결홀
403: 유도체결볼트
500: 건강체크기
600: 샤워기
700: 건조기

Claims (5)

  1. 바닥 위에 위치하여 전측으로 이동시 바닥의 이물질을 청소하고, 후측으로 이동시 가축을 지정된 장소로 유도시키는 유도장치;
    상기 유도장치 양측에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수직이동장치; 및
    상기 수직이동장치 상단에 연결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수평이동장치를 포함하되,
    전측에 위치하여 가축이 통로에 들어오기 전 가축의 건강상태를 체크하는 건강체크기;
    전측 통로 입구에 위치하여 가축을 샤워해주는 샤워기; 및
    상기 샤워기에서 기 설정된 후측방향에 설치하여 가축을 건조하는 건조기를 포함하는 가축 유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장치는,
    상측 양쪽으로 상기 수직이동장치에 연결되어 전후이동으로 가축을 지정된 장소로 유도시키는 유도부; 및
    상기 유도부에 연결되어 하부에 바닥의 이물질을 청소하는 청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유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장치는,
    상기 유도부의 하측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어 상기 청소부를 탈부착 하기 위한 복수개의 탈부착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탈부착부는,
    상기 유도부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청소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관통홀;
    상기 관통홀에 관통되게 체결되어, 상기 유도부와 상기 청소부를 부착시키는 볼트;
    상기 볼트에 결합되어, 상기 유도부와 상기 청소부를 고정시키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유도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동장치 하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유도장치를 탈부착하기 위한 탈부착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유도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동장치는,
    공기를 주입받거나 배출함에 따라 상기 유도장치를 상하이동시켜 주기 위한 공압실린더부;
    상기 공압실린더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공압실린더부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주입부; 및
    상기 공압실린더부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공압실린더부의 공기를 배출시켜주는 공기배출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유도 시스템.
KR1020200133898A 2020-10-16 2020-10-16 가축 유도 시스템 KR102238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898A KR102238916B1 (ko) 2020-10-16 2020-10-16 가축 유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898A KR102238916B1 (ko) 2020-10-16 2020-10-16 가축 유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8916B1 true KR102238916B1 (ko) 2021-04-13

Family

ID=75482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898A KR102238916B1 (ko) 2020-10-16 2020-10-16 가축 유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9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97587A (zh) * 2023-11-21 2024-01-16 青岛法牧机械有限公司 一种具有通风降温功能的畜禽养殖舍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156Y1 (ko) * 2001-04-28 2001-10-12 김경희 애완동물 목욕 및 미용 보조장치
KR20030043871A (ko) * 2003-05-09 2003-06-02 박명희 자동차용 자동 브레이크 에어실린더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20120106100A (ko) * 2011-03-17 2012-09-2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돈사 급이기용 몰이기구
KR101475696B1 (ko) * 2014-09-17 2014-12-24 (주)우리비앤비 도축 부산물 처리 장치
KR20150042080A (ko) * 2013-10-10 2015-04-2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635577B1 (ko) 2015-10-02 2016-07-04 주식회사 송강 지엘씨 가축 몰이용 프리 펜스
KR20170094881A (ko) * 2016-02-12 2017-08-2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가축 상주시용 축사분뇨 수거이송장치
KR101958407B1 (ko) 2018-01-31 2019-03-14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축사의 역진입 방지 및 다개체 진입 방지용 게이트
KR20200099645A (ko) * 2019-02-14 2020-08-25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부착물 제거기능을 구비한 소각시설용 반응탑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156Y1 (ko) * 2001-04-28 2001-10-12 김경희 애완동물 목욕 및 미용 보조장치
KR20030043871A (ko) * 2003-05-09 2003-06-02 박명희 자동차용 자동 브레이크 에어실린더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20120106100A (ko) * 2011-03-17 2012-09-2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돈사 급이기용 몰이기구
KR20150042080A (ko) * 2013-10-10 2015-04-2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475696B1 (ko) * 2014-09-17 2014-12-24 (주)우리비앤비 도축 부산물 처리 장치
KR101635577B1 (ko) 2015-10-02 2016-07-04 주식회사 송강 지엘씨 가축 몰이용 프리 펜스
KR20170094881A (ko) * 2016-02-12 2017-08-2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가축 상주시용 축사분뇨 수거이송장치
KR101958407B1 (ko) 2018-01-31 2019-03-14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축사의 역진입 방지 및 다개체 진입 방지용 게이트
KR20200099645A (ko) * 2019-02-14 2020-08-25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부착물 제거기능을 구비한 소각시설용 반응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97587A (zh) * 2023-11-21 2024-01-16 青岛法牧机械有限公司 一种具有通风降温功能的畜禽养殖舍
CN117397587B (zh) * 2023-11-21 2024-05-28 青岛法牧机械有限公司 一种具有通风降温功能的畜禽养殖舍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1050B2 (en) Automatic animal retrieving platform assembly
US3810442A (en) Milking system
KR102238916B1 (ko) 가축 유도 시스템
EP2375886A1 (en) A rotary parlour for milking of animals
CN107891027A (zh) 一种宠物狗玩具皮球清洗设备
US3019763A (en) Mobile milking house and milk room
US4951608A (en) Brisket bar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positioning and movement of cows in a milking parlor
JP3877335B2 (ja) 家畜飼育用小屋
US8061303B2 (en) Animal isolator
US6213052B1 (en) Device and method for milking animals
CA1333765C (en) Head restraint for a livestock squeeze chute
US3536045A (en) Automatic elevated back-in milking barn
EP0560438A2 (en) A milking machine for automatically milking animals
WO2022048183A1 (zh) 粪沟清洗装置
US6779484B2 (en) Milking system
JPH0775496B2 (ja) 家畜誘導装置
CN111183920B (zh) 利用笼体实现禽类排泄物收集及快速出笼的方法
CN110545662B (zh) 驱逐设备和设置这种装置的挤奶设施
GB2355639A (en) Scraper cleaning system
CN112353524A (zh) 畜牧养殖用可降低养殖人员工作疲劳度的药浴装置
CN219781234U (zh) 一种户外快速逮捕羊装置
CN218604440U (zh) 一种饲养栏
CN217905644U (zh) 一种母幼生猪一体式养殖机构
US20080202430A1 (en) Milking station and method for milking
RU2234835C1 (ru) Установка доильная выдвижна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