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5502B1 - 가축용 양방향 안전 유도몰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방향 가축 안전 몰이 방법 - Google Patents

가축용 양방향 안전 유도몰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방향 가축 안전 몰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5502B1
KR102365502B1 KR1020210035155A KR20210035155A KR102365502B1 KR 102365502 B1 KR102365502 B1 KR 102365502B1 KR 1020210035155 A KR1020210035155 A KR 1020210035155A KR 20210035155 A KR20210035155 A KR 20210035155A KR 102365502 B1 KR102365502 B1 KR 102365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way
livestock
fence
entrance
co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5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연
김식
Original Assignee
김도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연 filed Critical 김도연
Priority to KR1020210035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55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00Pasturing equipment, e.g. tethering devices; Grids for preventing cattle from straying; Electrified wire fenc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ly releasing several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4Devices for impeding movement; Devices for impeding passage through fencing, e.g. hobbles or the like; Anti-kick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가축용 양방향 안전 유도몰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방향 가축 안전 몰이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중, 가축용 양방향 안전 유도몰이장치는 일측에는 케이지(1)가 위치하는 제1 출입구(110)가 마련되고, 다른 일측에는 수송차량(2)이 위치하는 제2 출입구(120)가 마련된 원형의 유도울타리(100); 상기 유도울타리(100)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410); 상기 수직프레임(410)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상기 유도울타리(100)의 내부 중심 방향으로 수평 설치되는 다수의 상,하부 수평프레임(420); 상기 상,하부 수평프레임(420)의 내향측 말단에 상,하단이 지지되는 축부재(200); 및 상기 축부재(200)에 힌지블록(210)을 매개로 힌지 결합된 채, 상기 축부재(200)를 중심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각도 제한 없이 자유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2 출입구(110,1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함과 함께 상기 유도울타리(100) 내의 소들을 제1 출입구(110)로 유도몰이 하는 역할을 병행하는 부채꼴 형상의 제1 스윙게이트(310); 및 상기 축부재(200)에 상기 힌지블록(210)을 매개로 힌지 결합된 채, 상기 축부재(200)를 중심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각도 제한없이 자유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 출입구(120)를 개폐함과 함께 상기 유도울타리(100) 내의 소들을 제2 출입구로 유도몰이 하는 역할을 병행하는 부채꼴 형상의 제2 스윙게이트(3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출입구(110)의 바닥면에는 가축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계근대가 설치되며, 계근된 중량값은 근방에 연동되게 마련되는 엘이디 전광판을 통해 출력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축용 양방향 안전 유도몰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방향 가축 안전 몰이 방법{Two-way safe guided drive for livestock and two-way safe sheepdog method using same}
본 발명은 가축용 양방향 안전 유도몰이장치에 관련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소(가축)를 수송차에서 케이지로 또는 케이지에서 수송차로 상차할 때, 수송차와 케이지의 중간에 설치되어 소무리를 일방향으로만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가축용 양방향 안전 유도몰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방향 가축 안전 몰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소를 수송차에서 케이지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케이지에서 수송차로 이동시킬 때는 작업자가 완력으로 끌어서 이동시켜야 했다. 이 과정에서 소가 저항하는 경우 작업자의 안전에도 문제가 있었고, 소가 상해를 입어서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수송차와 케이지 사이에 안전유도몰이장치를 설치하여 여러 마리의 소를 일렬로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전 안전유도몰이장치(10)의 제1 예로서, 소를 유도하기 위한 원호형의 울타리(11)와, 상기 울타리(11)의 일측에 마련된 입구(11a)와, 상기 울타리(11)의 다른 일측에 마련된 출구(11b)와, 상기 울타리(11) 내에 270°이하의 범위로 스윙 가능하게 설치되어 울타리의 내부로 유도된 소가 출구(11b)를 통해 빠져 나갔을 때 되돌아오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평판형의 스윙게이트(12)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제1 예의 안전유도몰이장치(10)는 소를 입구(11a)에서 출구(11b)로 유도하는 일방향 유도만 가능하고, 출구(11b)에서 입구(11a)로의 역방향 유도는 불가능하였다. 그 이유는, 역방향 유도를 위해서는 도 1에서와 같이 스윙게이트(12)를 초기 지점에 위치시켜야만 출구(11b)와 입구(11a)가 모두 개방된 상태가 되는데, 이 경우, 출구(11b)에서 입구(11a)로 향하던 소가 출구로 되돌아 갈 수 있어서 역방향 유도가 어려운 구조적인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도 2는 종전 안전유도몰이장치(20)의 제2 예로서, 소를 유도하기 위한 원형의 울타리(21)와, 상기 울타리(21)의 일측에 마련된 입구(21a)와, 상기 울타리(21)의 다른 일측에 마련된 출구(21b)와, 상기 울타리(21) 내에 360°로 스윙 가능하게 설치되어 울타리의 내부로 유도된 소가 출구(21b)를 통해 빠져 나갔을 때 되돌아오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평판형의 스윙게이트(22)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제2 예의 안전유도몰이장치(20)는 상기 스윙게이트(22)가 도면상 6시 방향에 위치할 경우 입구(21a)와 출구(21b)가 모두 개방된 상태이므로 입구(21a)에서 출구(21b) 또는 출구(21b)에서 입구(21a)로 소를 유도할 수는 있으나, 스윙게이트(22)의 일측에 틈새(도면상 A부분)가 발생하게 되는 구조이므로 소의 일렬 몰이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문헌 1 :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1140호(2001.07.23,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를 수송차에서 케이지로 또는 케이지에서 수송차로 상차할 때, 수송차와 케이지의 중간에 설치되어 소무리를 일방향으로만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가축용 양방향 안전 유도몰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가축용 양방향 안전 유도몰이장치를 이용하는 양방향 가축 안전 몰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의 일관점에 따르면,
일측에는 케이지(1)가 위치하는 제1 출입구(110)가 마련되고, 다른 일측에는 수송차량(2)이 위치하는 제2 출입구(120)가 마련된 원형의 유도울타리(100); 상기 유도울타리(100)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410); 상기 수직프레임(410)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상기 유도울타리(100)의 내부 중심 방향으로 수평 설치되는 다수의 상,하부 수평프레임(420); 상기 상,하부 수평프레임(420)의 내향측 말단에 상,하단이 지지되는 축부재(200); 및 상기 축부재(200)에 힌지블록(210)을 매개로 힌지 결합된 채, 상기 축부재(200)를 중심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각도 제한 없이 자유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2 출입구(110,1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함과 함께 상기 유도울타리(100) 내의 소들을 제1 출입구(110)로 유도몰이 하는 역할을 병행하는 부채꼴 형상의 제1 스윙게이트(310); 및 상기 축부재(200)에 상기 힌지블록(210)을 매개로 힌지 결합된 채, 상기 축부재(200)를 중심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각도 제한없이 자유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 출입구(120)를 개폐함과 함께 상기 유도울타리(100) 내의 소들을 제2 출입구로 유도몰이 하는 역할을 병행하는 부채꼴 형상의 제2 스윙게이트(3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출입구(110)의 바닥면에는 가축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계근대가 설치되며, 계근된 중량값은 근방에 연동되게 마련되는 엘이디 전광판을 통해 출력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가축용 양방향 안전 유도몰이 장치가 제공된다.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제1, 2 스윙게이트(310,320)의 상단에는 상기 유도울타리(100)의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330)가 마련되어, 상기 손잡이(330)를 이용하여 유도울타리(100)의 외부에서 상기 제1, 2 스윙게이트(310,32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상기에 기재된 가축용 양방향 안전 유도몰이 장치를 이용하는 가축 안전 몰이 방법으로, 상기 제1, 2 출입구(110,120)가 개방된 상태로부터, 수송차량(2)에서 하차하는 소들이 제2 출입구(120)를 통해 유도울타리(100)의 내부로 모두 유입되면, 상기 제1 스윙게이트(310)가 제1 출입구(110)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소들이 제1 출입구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몰이하고, 소들이 상기 제1 출입구(110)를 통해 모두 이동하면 소들이 되돌아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출입구(110)를 차단하며, 상기 제1 출입구(110)는 개방되고, 제2 출입구(120)는 차단된 상태로부터, 상기 케이지(1)의 소들이 제1 출입구(110)를 통해 유도울타리(100)의 내부로 모두 유입되면 제1 스윙게이트(310)를 회전시켜서 제2 출입구(120)를 개방함과 아울러 상기 제2 스윙게이트(320)를 제2 출입구(120)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소들이 제2 출입구(120)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몰이 하고, 소들이 상기 제2 출입구(120)를 통해 수송차량(2)에 모두 상차하면 소들이 되돌아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출입구(120)를 차단하는, 가축용 양방향 안전 유도몰이 장치를 이용하는 양방향 가축 안전 몰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형의 유도울타리 내에 2개의 스윙게이트를 자유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소를 케이지에서 수송차량 또는 수송차량에서 케이지로의 이동시킬 때, 2개의 스윙게이트를 효과적으로 회전운영하여 소들의 이탈없이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작업자가 소들 강제적으로 끌거나 할 필요가 없으므로 안전사고 및 소가 다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가축 안전유도몰이장치의 제1 예시도,
도 2는 종래 가축 안전유도몰이장치의 제2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양방향 안전 유도몰이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양방향 안전 유도몰이장치의 평면도로서, 소들을 수송차량에서 케이지로 이송하는 과정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양방향 안전 유도몰이장치의 평면도로서, 케이지에서 수송차량으로 케이지를 이송하는 과정도이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개시한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양방향 안전 유도몰이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양방향 안전 유도몰이장치의 평면도로서, 소들을 수송차량에서 케이지로 이송하는 과정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양방향 안전 유도몰이장치의 평면도로서, 케이지에서 수송차량으로 케이지를 이송하는 과정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양방향 안전 유도몰이장치는 유도울타리(100), 축부재(200), 스윙게이트(300) 및 프레임(410,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도울타리(10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원형으로 되고, 일측에는 케이지(1)가 위치하게 되는 제1 출입구(110)가 마련되고, 다른 일측에는 수송차량(2)이 위치하게 되는 제2 출입구(120)가 마련된다.
부연하면, 상기 유도울타리(100)는 케이지(1)와 수송차량(2) 사이에 설치되어 케이지(1)에서 수송차량(2) 혹은, 수송차량(2)에서 케이지(1)로 소들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로의 역할을 한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축부재(20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유도울타리(100)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410)과, 상기 수직프레임(410)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상기 유도울타리(100)의 내부 중심방향으로 수평 설치되는 다수의 상,하부 수평프레임(4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축부재(200)는 상기 상,하부 수평프레임(420)에 의해 상,하단이 지지된 채, 상기 유도울타리(100)의 내부 중심에 수직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축부재(200)는 상기 스윙게이트(3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윙게이트(300)는 본 발명의 핵심 구성으로, 상기 유도울타리(100) 내에서 회전하면서 유도울타리 내부로 유입되는 소들을 상기 제1 출입구(110) 또는 제2 출입구(120)로 몰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윙게이트가 제1 스윙게이트(310)와 제2 스윙게이트(320)로 한 쌍이 설치되고, 각각의 회전 각도를 변경함에 따라 상기 각 출입구를 개폐함과 아울러 유도울타리(100) 내의 소들을 제1 출입구(110)에서 제2 출입구(120)로 몰거나, 반대로 제2 출입구(120)에서 제1 출입구(110)로 모는 역할을 병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스윙게이트(310)는 상기 축부재(200)에 힌지블록(210)을 매개로 힌지 결합된 채, 상기 축부재(200)를 중심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각도 제한 없이 자유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2 출입구(110,1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함과 함께 상기 유도울타리(100) 내의 소들을 제1 출입구(110)로 유도몰이 하는 역할을 병행한다.
상기 제2 스윙게이트(320)는 상기 축부재(200)에 상기 힌지블록(210)을 매개로 힌지 결합된 채, 상기 축부재(200)를 중심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각도 제한없이 자유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 출입구(120)를 개폐함과 함께 상기 유도울타리(100) 내의 소들을 제2 출입구로 유도몰이 하는 역할을 병행한다.
상기 제1, 2 스윙게이트(310,320)는 공통적으로 부채꼴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제1 출입구(110)를 빈틈없이 차단하기 위한 최적의 형태이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제1, 2 스윙게이트(310,320)의 상단에는 상기 유도울타리(100)의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33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330)는 작업자가 유도울타리(100)의 외부에서 상기 제1, 2 스윙게이트(310,320)를 회전 조작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손잡이(330)를 이용하여 제1, 2 스윙게이트(310,320)를 회전 조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모터 및 이를 제어하는 리모컨에 의해 전동식으로 자동 조작하는 것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한편, 상기 제1 출입구(110)의 바닥면에는 가축(소)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계근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고, 계근된 중량값은 근방에 연동되게 마련된 엘이디 전광판(미도시)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가축용 양방향 안전 유도몰이장치를 이용한 양방향 가축 안전 몰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수송차량(1)의 소를 하차시킨 후 케이지(1)로 이동시킬 때의 경우를 설명한다.
도 5에서 보듯이, 제1, 2 스윙게이트(310,320)은 도면상 3시와 4시 방향에 각각 위치하고 있어서 상기 제1, 2 출입구(110, 120)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 부터,
수송차량(2)에서 하차하는 소들이 제2 출입구(120)를 통해 유도울타리(100)의 내부로 모두 유도되면, 상기 제1 스윙게이트(310)의 손잡이(330)를 이용하여 도면상 시계방향(제1 출입구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유도울타리(100)의 소들은 제1 스윙게이트(310)에 의해 떠밀려서 제1 출입구(110) 쪽으로 강제 이동된다.
계속해서, 소들이 제1 출입구(110)를 통해 케이지(1)로 이동하면 제1 스윙게이트(310)가 제1 출입구(110)를 차폐할 때까지 회전시켜서 소들이 제1 출입구(110)를 통해 되돌아 나오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스윙게이트(320)는 특별한 역할이 없으므로 초기 상태를 유지하면 된다.
다음, 케이지(1)의 소를 수송차량(2)으로 상차 시킬 때의 경우를 설명한다.
도 6에서 보듯이, 상기 제1 출입구(110)는 개방되고, 제2 출입구(120)는 차단된 상태로 부터,
상기 케이지(1)의 소들이 개방된 제1 출입구(110)를 통해 유도울타리(100)의 내부로 모두 유입되면 제1 스윙게이트(310)를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제2 출입구(120)를 개방함과 아울러 상기 제2 스윙게이트(320)를 제2 출입구(120)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소들이 제2 출입구(120)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몰이를 한다.
계속해서, 소들이 상기 제2 출입구(120)를 통해 수송차량에 모두 상차하면 제2 스윙게이트(320)가 제2 출입구(120)를 차폐할 때까지 회전시켜서 소들이 제2 출입구(120)를 통해 되돌아 나오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명시한다.
1 : 케이지
2 : 수송차량
100 : 유도울타리
110 : 제1 출입구
120 : 제2 출입구
200 : 축부재
210 : 힌지블록
300 : 스윙게이트
310 : 제1 스윙게이트
320 : 제2 스윙게이트
330 : 손잡이
410 : 수직프레임
420 : 상,하 수평프레임

Claims (4)

  1. 삭제
  2. 일측에는 케이지(1)가 위치하는 제1 출입구(110)가 마련되고, 다른 일측에는 수송차량(2)이 위치하는 제2 출입구(120)가 마련된 원형의 유도울타리(100);
    상기 유도울타리(100)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410);
    상기 수직프레임(410)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상기 유도울타리(100)의 내부 중심 방향으로 수평 설치되는 다수의 상,하부 수평프레임(420);
    상기 상,하부 수평프레임(420)의 내향측 말단에 상,하단이 지지되는 축부재(200); 및
    상기 축부재(200)에 힌지블록(210)을 매개로 힌지 결합된 채, 상기 축부재(200)를 중심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각도 제한 없이 자유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2 출입구(110,1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함과 함께 상기 유도울타리(100) 내의 소들을 제1 출입구(110)로 유도몰이 하는 역할을 병행하는 부채꼴 형상의 제1 스윙게이트(310); 및
    상기 축부재(200)에 상기 힌지블록(210)을 매개로 힌지 결합된 채, 상기 축부재(200)를 중심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각도 제한없이 자유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 출입구(120)를 개폐함과 함께 상기 유도울타리(100) 내의 소들을 제2 출입구로 유도몰이 하는 역할을 병행하는 부채꼴 형상의 제2 스윙게이트(3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출입구(110)의 바닥면에는 가축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계근대가 설치되며, 계근된 중량값은 근방에 연동되게 마련되는 엘이디 전광판을 통해 출력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가축용 양방향 안전 유도몰이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2 스윙게이트(310,320)의 상단에는 상기 유도울타리(100)의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330)가 마련되어, 상기 손잡이(330)를 이용하여 유도울타리(100)의 외부에서 상기 제1, 2 스윙게이트(310,32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양방향 안전 유도몰이 장치.
  4. 청구항 2 또는 3에 기재된 가축용 양방향 안전 유도몰이 장치를 이용하는 가축 안전 몰이 방법으로,
    상기 제1, 2 출입구(110,120)가 개방된 상태로부터, 수송차량(2)에서 하차하는 소들이 제2 출입구(120)를 통해 유도울타리(100)의 내부로 모두 유입되면, 상기 제1 스윙게이트(310)를 제1 출입구(110)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소들이 제1 출입구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몰이 하고, 소들이 상기 제1 출입구(110)를 통해 모두 이동하면 소들이 되돌아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출입구(110)를 차단하며,
    상기 제1 출입구(110)는 개방되고, 제2 출입구(120)는 차단된 상태로부터, 상기 케이지(1)의 소들이 제1 출입구(110)를 통해 유도울타리(100)의 내부로 모두 유입되면 제1 스윙게이트(310)를 회전시켜서 제2 출입구(120)를 개방함과 아울러 상기 제2 스윙게이트(320)를 제2 출입구(120)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소들이 제2 출입구(120)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몰이 하고, 소들이 상기 제2 출입구(120)를 통해 수송차량(2)에 모두 상차하면 소들이 되돌아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출입구(120)를 차단하는,
    가축용 양방향 안전 유도몰이 장치를 이용하는 양방향 가축 안전 몰이 방법.
KR1020210035155A 2021-03-18 2021-03-18 가축용 양방향 안전 유도몰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방향 가축 안전 몰이 방법 KR102365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155A KR102365502B1 (ko) 2021-03-18 2021-03-18 가축용 양방향 안전 유도몰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방향 가축 안전 몰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155A KR102365502B1 (ko) 2021-03-18 2021-03-18 가축용 양방향 안전 유도몰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방향 가축 안전 몰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5502B1 true KR102365502B1 (ko) 2022-02-18

Family

ID=80495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155A KR102365502B1 (ko) 2021-03-18 2021-03-18 가축용 양방향 안전 유도몰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방향 가축 안전 몰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55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271B1 (ko) * 2022-12-20 2023-08-08 지금강(주) 가축 유도 및 관리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664A (ko) * 1997-11-19 1999-06-05 김강권 돼지출하용 자동상차기
KR200241140Y1 (ko) 2001-04-26 2001-10-12 문진열 젖소 착유대기장의 소몰이장치
KR20120106100A (ko) * 2011-03-17 2012-09-2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돈사 급이기용 몰이기구
KR101470484B1 (ko) * 2013-05-15 2014-12-09 전영수 승마 체험장치
KR20150042080A (ko) * 2013-10-10 2015-04-2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 및 방법
JP2019004782A (ja) * 2017-06-26 2019-01-17 国立大学法人 宮崎大学 家畜の仕分け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664A (ko) * 1997-11-19 1999-06-05 김강권 돼지출하용 자동상차기
KR200241140Y1 (ko) 2001-04-26 2001-10-12 문진열 젖소 착유대기장의 소몰이장치
KR20120106100A (ko) * 2011-03-17 2012-09-2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돈사 급이기용 몰이기구
KR101470484B1 (ko) * 2013-05-15 2014-12-09 전영수 승마 체험장치
KR20150042080A (ko) * 2013-10-10 2015-04-2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 및 방법
JP2019004782A (ja) * 2017-06-26 2019-01-17 国立大学法人 宮崎大学 家畜の仕分け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271B1 (ko) * 2022-12-20 2023-08-08 지금강(주) 가축 유도 및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5502B1 (ko) 가축용 양방향 안전 유도몰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방향 가축 안전 몰이 방법
US3921586A (en) Crowd gate for milking parlor holding areas
US3095854A (en) Movable animal restraining platform for milking station
AU656167B2 (en) Truck van closure having improved access means
US4508059A (en) Milking barn
US4567851A (en) Gate assembly
US20090078217A1 (en) Hydraulic system for operating the gate on a chute for immobilizing animals
US3166044A (en) Device for releasing cows
IE54250B1 (en) Feeding box
JP2000108889A (ja) プラットホーム用開閉柵
JP2000038277A (ja) エレベータの上下開閉式乗場ドア装置
US2923981A (en) Overhead garage door assemblies
GB1353144A (en) Cattle handling pens
JPH0743415Y2 (ja) 扇型ドアの開閉装置
US1934177A (en) Milking parlor stall
US2755080A (en) Automatic door control for milking barns
KR100965917B1 (ko) 산업용 승강기에 구비된 안전문 개폐장치
JPH08184212A (ja) 駐車装置の車両入出庫口における安全装置
JPH09113338A (ja) 歩行動物の分離装置及び秤量装置
KR101705737B1 (ko) 탈부착이 용이한 전철 게이트용 플랩도어 프레임
JP3273450B2 (ja) エレベータの上下開閉式ドア装置
KR102643775B1 (ko) 가축 무인 운반장치
WO2023079624A1 (ja) シャッタ開閉装置
AU2011244933A1 (en) Livestock handling system
WO1994003050A1 (en) Apparatus for feeding anim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