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758B1 - 돼지 선별 돈사 및 이를 이용한 돼지 선별 방법 - Google Patents

돼지 선별 돈사 및 이를 이용한 돼지 선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758B1
KR101995758B1 KR1020170094208A KR20170094208A KR101995758B1 KR 101995758 B1 KR101995758 B1 KR 101995758B1 KR 1020170094208 A KR1020170094208 A KR 1020170094208A KR 20170094208 A KR20170094208 A KR 20170094208A KR 101995758 B1 KR101995758 B1 KR 101995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ey
space
breeding
door
pi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1541A (ko
Inventor
노영근
Original Assignee
노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영근 filed Critical 노영근
Priority to KR1020170094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758B1/ko
Publication of KR20190011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4Devices for impeding movement; Devices for impeding passage through fencing, e.g. hobbles or the like; Anti-ki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05Stable partitions
    • A01K1/0017Gates, doors
    • A01K1/0023Sorting g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209Feeding pens for pigs or catt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07C5/18Sorting according to weight using a single stationary weighing mechanism
    • B07C5/20Sorting according to weight using a single stationary weighing mechanism for separating articles of less than a predetermined weight from those of more than that we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7/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weighing material of special form or property
    • G01G17/08Apparatus for or methods of weighing material of special form or property for weighing livestock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육성돈 등 다수의 개체가 함께 사육되는 돼지 돈사에서 돼지를 출하하기 전에, 체중대별로 구분하여 분류할 수 있는 돼지 선별 돈사 및 이를 이용한 돼지 선별 방법이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서로 이웃한 사육공간 사이에 설치되어 사육공간과 사육공간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돈방문, 및 상기 돈방출입문과 돈방문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돈방출입문과 돈방문을 개폐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돼지 선별 돈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육공간으로 활용하던 공간 중 일부를 출하시기에 규격돈 선별공간으로 전환시킬 수 있으므로, 규격돈이 선별된 이후에도 비규격돈이 규격돈과 같은 사육공간에서 지내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비규격돈은 규격돈이 출하되기 전까지 규격돈의 절식과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게 된다.

Description

돼지 선별 돈사 및 이를 이용한 돼지 선별 방법{PIG FARM FOR SELECTING PIGS AND METHOD FOR SELECTING PIGS USING SAME}
본 발명은 적정 체중의 돼지를 선별할 수 있는 돼지 선별 돈사 및 이를 이용한 돼지 선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육성돈 등 다수의 개체가 함께 사육되는 돼지 돈사에서 돼지를 출하하기 전에, 체중대별로 구분하여 분류할 수 있는 돼지 선별 돈사 및 이를 이용한 돼지 선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돼지는 출생 후 대략 6~7개월 정도, 110~120kg의 체중일 때가 육질이 좋으며 이를 규격돈이라고 한다.
따라서 양돈인들은 출하시에 돼지의 체중을 점검할 필요가 있고 만일 출하 대상의 돼지의 체중을 측정하였을 때 그 체중이 규격돈 기준에 미달되거나 초과되는 경우 출하시기를 늦출 수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설사 도매시장이나 산지시장으로 출하되었다 하더라도 규격돈 기준에 미달되거나 초과되는 경우에는 등급판정시 불이익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하여 결국 적정 가격을 받을 수 없어 경제적으로 불리하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양돈인들은 자신들에 의해 사육된 돼지가 규격돈 기준에 적합한지 점검하기 위하여 출하 전에 체중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양돈인들은 돈형기 등을 개별적으로 구입하여 출하시마다 각각의 출하시키고자 하는 돼지의 체중을 개별적으로 측정하여 출하시키고 있다. 그러나 최근 돼지의 사육 규모가 점차적으로 기업화됨에 따라 대규모로 돼지를 출하하는 실정에서 상기와 같이 출하시마다 출하시키고자 하는 돼지의 체중을 개별적으로 측정하는 것은 많은 노동력과 시간을 필요로 한다.
만약 노동력과 시간을 절감하기 위하여 돼지의 체중을 측정하지 않고 출하 시 눈으로 대충 확인하여 출하시키는 경우에는 출하시키고자 하는 돼지가 규격돈 기준에 미달되거나 초과되는 경우 오히려 경제적으로 손실을 면치 못하게 되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기술들이 발명되었다.
도 1은 종래 돼지 돈사의 일 실시예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임의의 제1 돈사는 대략 6-7개월 정도 사육된 돼지들이 수용되어 물만을 먹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 무사료급여방(10)과, 무사료급여방의 출구에 연결되며 무사료급여방을 빠져 나온 돼지의 무게를 측정하는 고정형 체중계가 설치된 무게 측정방(20)과, 상기 무게 측정방(20)에 설치되어 규격돈 기준에 부합하는 돼지를 출고시키는 규격돈 출구(22)와, 규격돈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돼지를 출고시키는 비규격돈 출구(24)와, 상기 고정형 체중계로부터 전송된 무게 정보에 따라 상기 규격돈 출구 및 상기 비규격돈 출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규격돈 출구(22)에 연통되어 규격돈으로 분류된 돼지들을 수용하는 규격돈 관리방(30)과, 상기 비규격돈 출구(24)에 연통되고 비규격돈으로 분류된 돼지가 먹이를 먹을 수 있는 사료대가 설치되며 상기 사료급여방(40)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일방향 이동문(42)이 설치된 사료방(4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돈사는 먹이를 찾아 이동하는 돼지의 본능을 이용하기 때문에 필요한 관리자의 숫자가 적고, 관리자가 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제1 돈사는 사료급여방과 무사료급여방이 서로 다른 공간에 배치되기 때문에 돼지의 이동량이 많고, 출하일령이 길어지며, 돈사 회전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그리고 출생일이 동일한 돼지가 규격돈이 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의 편차가 약 30일 정도가 되는 단점이 있다.
도 2는 종래 돼지 돈사의 다른 실시예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임의의 제2 돈사는 사육되는 돼지들이 수용된 복수개의 사육공간(60)과, 각 사육공간을 연결하는 복도공간(70), 및 사육공간(60)과 복도공간(70) 사이의 통로를 선별적으로 개폐하는 출구(8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돈사에서는 각 사육공간에서 사육되는 돼지를 관리자가 한 마리씩 복도공간으로 이동시킨 후 이동형 체중계를 통해 규격돈을 구분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이러한 제2 돈사는 돼지의 이동 공간이 적기 때문에 돼지의 무게가 빨리 증가되며, 출생일이 동일한 돼지가 규격돈이 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의 편차가 약 20일로 제1 돈사보다 돈사회전율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제2 돈사는 복도공간을 사육공간으로 사용할 수 없으며, 규격돈으로 구분된 돼지가 출하되기 전까지 비규격돈으로 구분된 돼지와 동일한 사육공간에서 생활해야 되기 때문에 규격돈과 동일한 사육공간에 있는 비규격돈들도 규격돈과 함께 먹이를 공급받지 못하게 되어 비규격돈의 성장이 정체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1108호(2015.04.10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0689호(2013.06.04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37701호(2016.12.01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돼지의 이동량을 줄여주어 돼지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고, 돼지 등급제에 적합한 규격돈을 구분한 후 간편하게 규격돈을 비규격돈과 서로 분리된 공간에 수용할 수 있는 돼지 선별 돈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물과 사료를 동일한 공간에 배치하여 돼지의 이동량을 줄여주고, 복도공간을 통해 돼지를 이동시키지 않더라도 서로 구분된 사육공간과 사육공간 사이로 돼지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사육공간을 활용하던 복수개의 돼지우리 중 일부를 돼지의 출하시기에 규격돈만 수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전환시켜 규격돈을 선별할 수 있는 돼지 선별 돈사를 이용한 선별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사육공간과, 각 사육공간에 연결된 복도공간, 및 각 사육공간과 복도공간을 개폐하는 돈방출입문을 포함하는 돈사에 있어서, 서로 이웃한 사육공간 사이에 설치되어 사육공간과 사육공간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돈방문, 및 상기 돈방출입문과 돈방문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돈방출입문과 돈방문을 개폐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돼지 선별 돈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육공간과 복도공간 사이에 설치된 각 돈방출입문을 폐쇄시키고, 서로 이웃한 사육공간 사이에 설치된 각 돈방문을 개방시키며, 복수개의 사육공간 중 출하방으로 지정된 사육공간의 돼지가 모두 이웃한 사육공간으로 이동되면 각 돈방문을 폐쇄시키는 출하방 형성단계와, 상기 출하방을 제외한 사육공간의 돈방출입문을 1개씩 개방시키고, 상기 돈방출입문을 통과한 돼지의 무게가 이동형 체중계를 통해 측정되어 제어부로 수집되면, 제어부는 수집된 무게가 규격돈의 무게 범위에 해당되는 경우에 상기 출하방의 돈방출입문을 개방시키는 규격돈 선별단계, 및 각 사육공간에 위치한 돼지의 무게를 측정하여 규격돈 선별이 완료되면, 상기 출하방의 돈방출입문을 폐쇄시키는 규격돈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돼지 선별 돈사를 이용한 돼지 선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사료 급여 공간과 사료급여 공간을 별도로 분리하지 않고 한 공간에서 가까운 거리에 사료급여를 하여 돼지의 이동량이 줄어들게 되므로, 돼지의 성장속도를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육공간으로 활용하던 공간 중 일부를 출하시기에 규격돈 선별공간으로 전환시킬 수 있으므로, 규격돈이 선별된 이후에도 비규격돈과 같은 사육공간에서 지내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비규격돈은 규격돈과 달리 절식과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돼지의 출하일령과 총 출하일자를 줄여줄 수 있으므로, 돈사의 회전율을 높여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돈방출입문을 열어놓은 경우 복도공간까지 사육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돼지 돈사의 일 실시예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 돼지 돈사의 다른 실시예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돼지 선별 돈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돼지 선별 돈사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돼지 선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돼지 선별 돈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돼지 선별 돈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돼지 선별 돈사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돼지 선별 돈사는 돼지를 나누어 사육하는 복수개의 사육공간(100)과, 각 사육공간(100)에 연결된 복도공간(200), 및 각 사육공간(100)과 복도공간(200)을 개폐하는 돈방출입문(300)과, 서로 이웃한 사육공간(100) 사이에 설치되어 통로를 형성하는 돈방문(400), 및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돈방출입문(300) 및 돈방문(400)을 개폐하는 스위치(500)를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돼지 선별 돈사는 복수개의 사육공간(100)을 포함한다.
상기 사육공간(100)은 일정 숫자의 돼지를 나누어 사육할 수 있도록 돈사를 분획하는 공간으로, 공간을 분획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플라스틱, 철재 등으로 형성된 격벽(110)으로 이루어진 돈방의 내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돈방의 격벽(110)은 돼지의 이동을 제한하여 임의의 제1 사육공간(100)에 위치한 돼지가 복도공간(200)이나 다른 사육공간(100)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한다.
예를 들면, 사육공간(100)은 돼지 선별 돈사의 모양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최대한 많은 숫자를 확보할 수 있도록 도 3과 같이 직사각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격벽(110)은 돈사의 외형을 제공하는 벽체를 제외한 나머지 방향에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돼지 선별 돈사는 복도공간(200)을 포함한다.
상기 복도공간(200)은 각 사육공간(100)에서 벗어난 돼지가 돈사의 외부로 이동하거나 다른 사육공간(100)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각 사육공간(100)을 연결한다. 이때, 복도공간(200)은 돼지뿐만 아니라 사람과 이동형 체중계(600)가 이동할 수 있는 넓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복도공간(200)은 돼지 선별 돈사의 모양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각 돈사를 원활히 연결할 수 있도록 도 3과 같이 직선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복도공간(200)은 돈사의 벽체와 돈방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을 의미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돼지 선별 돈사는 돈방출입문(300)을 포함한다.
상기 돈방출입문(300)은 각 사육공간(100)과 복도공간(200)을 개폐하는 것으로, 복도공간(200)에 접촉된 돈방의 격벽(110)에 설치된다.
또한, 돈방출입문(300)은 스위치(500)나 후술하는 제어부(700)에 연결되어 스위치(500)나 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사육공간(100)과 복도공간(200) 사이의 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시킨다. 이를 위해, 돈방출입문(300)은 사육공간(100)과 복도공간(200) 사이의 통로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문, 및 상기 문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된 제어신호에 따라 문을 개폐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돈방출입문(300)은 그 너비가 복도공간(200)의 너비에 대응되는 너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돈사에 설치된 모든 돈방출입문(300)을 각 돈방의 측벽으로부터 90ㅀ로 열어 놓으면, 돈방출입문(300)이 복도공간(200)에 형성된 돼지의 이동 경로를 차단하여 복도공간(200)까지 사육공간(100)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돈방출입문(300)은 관리자가 직접 수동으로도 개폐시킬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돼지 선별 돈사는 돈방문(400)을 포함한다.
상기 돈방문(400)은 서로 이웃한 사육공간(10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육공간(100)과 사육공간(100)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 돈방문(400)은 서로 이웃한 사육공간(100)과 사육공간(100) 사이에 구비된 돈방의 격벽(110)에 설치된다.
상기 돈방문(400)은 스위치(500)나 제어부(700)에 연결되어 스위치(500)나 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사육공간(100)과 상기 사육공간(100)에 이웃한 사육공간(100) 사이의 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시킨다. 이를 위해, 돈방문(400)은 사육공간(100)과 사육공간(100) 사이의 통로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문, 및 상기 문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된 제어신호에 따라 문을 개폐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돈방출입문(300)은 관리자가 직접 수동으로도 개폐시킬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돼지 선별 돈사는 스위치(500)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500)는 돈방출입문(300)과 돈방문(4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돈방출입문(300)과 돈방문(400)을 개폐시킨다.
일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500)는 돈방출입문(300)과 돈방문(400)에 무선으로 연결된 무선리모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500)는 복도공간(200)과 마주보는 돈방의 격벽(110)에 설치된 것으로, 각 돈방출입문(300)과 돈방문(400)의 개폐를 제어하는 버튼부가 포함된 스위치(500) 박스로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스위치(500)는 각 돈방문(400)을 개방하고, 각 돈방출입문(300)을 폐쇄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돈방문(400)과 돈방출입문(300)을 제어하는 규격돈 선별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돼지 선별 돈사는 이동형 체중계(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형 체중계(600)는 복도공간(200)을 따라 이동하여 돈방출입문(300)을 통해 복도공간(200)으로 진입한 돼지의 무게를 측정하는 것으로, 무게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무게 정보를 이동형 체중계(600)에 내장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거나 외부로 전송한다.
이러한 이동형 체중계(600)는 임의의 제1 사육공간(100)에서 사육된 돼지의 무게를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 관리자에 의해 제1 사육공간(100)에 설치된 돈방출입문(300)의 앞으로 이동하며, 제2 사육공간(100)에서 사육된 돼지의 무게를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 관리자에 의해 제2 사육공간(100)에 설치된 돈방출입문(300)의 앞으로 이동한다.
필요에 따라, 이동형 체중계(600)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제어부(700)로 무게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돼지 선별 돈사는 제어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스위치(500)나 이동형 체중계(600)로부터 제공된 신호에 따라 돈방출입문(300)과 돈방문(400)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돈방출입문(300), 돈방문(400), 스위치(500), 이동형 체중계(60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700)는 이동형 체중계(600)로부터 측정된 돼지의 무게를 수집하여 규격돈의 조건에 부합한 돼지가 규격돈 선별 공간인 출하방(102)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출하방(102)의 돈방출입문(302)의 개폐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700)는 이동형 체중계(600)로부터 수집된 무게가 지정된 무게 범위에 해당한 것으로 분석되면, 돈사에 마련된 복수개의 사육공간(100) 중 출하방(102)으로 지정된 사육공간의 돈방출입문(302)을 개방시킨다. 여기서, 규격돈 조건으로 지정된 무게로는 110 내지 120㎏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스위치(500)로부터 제1 돈방출입문(300)의 개방을 요청하는 돈방출입문(300) 개방신호가 수신되면, 제1 돈방출입문(300)이 개방되도록 제1 돈방출입문(300)의 구동장치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700)는 스위치(500)로부터 돈사에 설치된 모든 돈방출입문(300)의 개방을 요청하는 돈방출입문 개방신호가 수신되면, 모든 돈방출입문(300)이 개방되도록 각 돈방출입문(300)의 구동장치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스위치(500)로부터 제1 돈방출입문(300)의 폐쇄를 요청하는 돈방출입문 폐쇄신호가 수신되면, 제1 돈방출입문(300)이 폐쇄되도록 제1 돈방출입문(300)의 구동장치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700)는 스위치(500)로부터 돈사에 설치된 모든 돈방출입문(300)의 폐쇄를 요청하는 돈방출입문 폐쇄신호가 수신되면, 모든 돈방출입문(300)이 폐쇄되도록 각 돈방출입문(300)의 구동장치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스위치(500)로부터 제1 돈방문(400)의 개방을 요청하는 돈방문 개방신호가 수신되면 제1 돈방문(400)이 개방되도록 제1 돈방문(400)의 구동장치를 제어하고, 스위치(500)로부터 제1 돈방문(400)의 폐쇄를 요청하는 돈방문 폐쇄신호가 수신되면 제1 돈방문(400)이 폐쇄되도록 제1 돈방문(400)의 구동장치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스위치(500)로부터 돈사에 설치된 모든 돈방문(400)의 개방을 요청하는 돈방문 개방신호가 수신되면 모든 돈방문(400)이 개방되도록 각 돈방문(400)의 구동장치를 제어하고, 스위치(500)로부터 돈사에 설치된 모든 돈방문(400)의 폐쇄를 요청하는 돈방문 폐쇄신호가 수신되면 모든 돈방문(400)이 폐쇄되도록 각 돈방문(400)의 구동장치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스위치(500)로부터 규격돈 선별신호가 수신되면, 돈사에 설치된 모든 돈방문(400)이 개방되도록 각 돈방문(400)의 구동장치를 제어하고, 돈사에 설치된 모든 돈방출입문(300)이 폐쇄되도록 각 돈방출입문(300)의 구동장치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돼지 선별 돈사는 관리자가 스위치(500)를 사용해 개별 돈방출입문(300)과 돈방문(400)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도 있으며, 제어부(700)의 제어에 따라 출하방(102)의 돈방출입문(302)이 자동으로 개폐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돼지 선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돼지 선별 돈사를 이용한 돼지 선별 방법은 복수개의 사육공간(100) 중 지정된 사육공간(100)을 출하방(102)으로 형성하는 출하방 형성단계(S100)와, 각 사육공간(100)에 위치한 돼지 중 규격돈의 조건에 부합하는 돼지를 선별하여 출하방(102)으로 이동시키는 규격돈 선별단계(S200), 및 규격돈의 조건에 부합하는 돼지와 나머지 돼지의 왕래가 차단되도록 출하방(102)을 격리시키는 규격돈 분리단계(S300)를 포함한다.
상기 출하방 형성단계(S100)에서는 제어부(700)가 복도공간(200) 대신 사육공간(100)과 사육공간(100) 사이로 돼지가 이동할 수 있도록 먼저 사육공간(100)과 복도공간(200) 사이에 설치된 각 돈방출입문(300)을 폐쇄시키고, 서로 이웃한 사육공간(100) 사이에 설치된 각 돈방문(400)을 개방시킨다. 이때, 제어부(700)는 스위치(500)로부터 전송된 규격돈 선별신호에 따라 돈사에 설치된 모든 돈방출입문(300)을 폐쇄시키고, 돈사에 설치된 모든 돈방문(400)을 개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출하방 형성단계(S100)는 복수개의 사육공간(100) 중 출하방(102)으로 지정된 사육공간의 돼지가 돈방문(400)을 통해 모두 이웃한 사육공간(100)으로 분산되어 이동하면 각 돈방문(400)을 폐쇄시킨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돼지 선별 돈사는 출하방(102)의 내부에 돼지의 잔존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어부(700)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송된 센싱정보를 통해 출하방(102) 내부에 잔존하는 돼지를 파악하며, 출하방(102) 내부에 잔존하는 돼지가 없다고 분석되면 각 돈방문(400)을 폐쇄시킨다. 이때, 센서부에는 적외선센서, 움직임 감지센서, 열센서 등 돼지의 잔존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규격돈 선별단계(S200)에서는 출하방(102)을 제외한 사육공간(100)에 위치한 돼지의 무게를 측정하여 규격돈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돼지를 선별한다. 구체적으로, 규격돈 선별단계(S200)에서는 제어부(700)가 출하방(102)을 제외한 사육공간(100)의 돈방출입문(300)을 1개씩 개방시킨다. 그리고 상기 돈방출입문(300)을 통과한 돼지의 무게가 이동형 체중계(600)를 통해 측정되어 제어부(700)로 수집되면, 제어부(700)는 수집된 무게가 규격돈의 무게 범위에 해당되는 경우에 돼지가 출하방(102)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출하방(102)의 돈방출입문(302)을 개방시킨다.
이러한 규격돈 선별단계(S200)에서는 각 사육공간(100)별로 나누어 돼지의 무게 측정을 진행하며, 규격돈의 무게 범위에 미달되거나 초과하는 돼지는 도장 등을 사용하여 표시한 후 기존 사육공간(100)으로 이동시키고, 규격돈의 무게 범위에 해당된 돼지는 출하방(102)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규격돈 분리단계(S300)에서는 각 사육공간(100)에 위치한 돼지의 무게를 측정하여 규격돈 선별이 완료되면, 규격돈 선별을 통과해 출하방(102)으로 이동한 돼지가 출하전까지 출하방(102) 내부에서 지낼 수 있도록 출하방(102)의 돈방출입문(302)을 폐쇄시킨다. 이때, 출하방(102) 내부에는 사료 등이 저장된 사료급여를 중지함으로써 다른 사육공간(100)과 달리 출하방(102)에 위치한 돼지들만 절식과정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사육공간 200 : 복도공간
300 : 돈방출입문 400 : 돈방문
500 : 스위치 600 : 이동형 체중계
700 : 제어부

Claims (6)

  1. 복수개의 사육공간과, 각 사육공간에 연결된 복도공간, 및 각 사육공간과 복도공간을 개폐하는 돈방출입문을 포함하는 돈사에 있어서,
    서로 이웃한 사육공간 사이에 설치되어 사육공간과 사육공간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돈방문;
    상기 돈방출입문과 돈방문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돈방출입문과 돈방문을 개폐하며, 각 돈방문을 개방하고 각 돈방출입문을 폐쇄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돈방문과 돈방출입문을 제어하는 규격돈 선별버튼이 구비된 스위치;
    상기 복도공간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돈방출입문을 통해 복도공간으로 진입한 돼지의 무게를 측정하는 이동형 체중계; 및
    상기 스위치로부터 규격돈 선별신호가 수신되면 복수개의 사육공간 중 출하방으로 지정된 사육공간의 돼지가 모두 이웃한 사육공간으로 이동하도록 돈사에 설치된 모든 돈방문을 개방시키고 모든 돈방출입문을 폐쇄시키고, 상기 출하방을 제외한 사육공간에 위치한 돼지의 무게를 측정하여 규격돈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돼지를 선별하도록 상기 출하방을 제외한 사육공간의 돈방출입문을 1개씩 개방시키고 상기 이동형 체중계로부터 측정된 돼지의 무게를 수집하며, 상기 무게가 지정된 규격돈 무게 범위에 해당한 것으로 분석되면 복수개의 사육공간 중 출하방으로 지정된 사육공간의 돈방출입문을 개방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돼지 선별 돈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돈방문 및 돈방출입문은
    관리자가 직접 수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선별 돈사.
  6. 사육공간과 복도공간 사이에 설치된 각 돈방출입문을 폐쇄시키고, 서로 이웃한 사육공간 사이에 설치된 각 돈방문을 개방시키며, 복수개의 사육공간 중 출하방으로 지정된 사육공간의 돼지가 모두 이웃한 사육공간으로 이동되면 각 돈방문을 폐쇄시키는 출하방 형성단계;
    상기 출하방을 제외한 사육공간의 돈방출입문을 1개씩 개방시키고, 상기 돈방출입문을 통과한 돼지의 무게가 이동형 체중계를 통해 측정되어 제어부로 수집되면, 제어부는 수집된 무게가 규격돈의 무게 범위에 해당되는 경우에 상기 출하방의 돈방출입문을 개방시키는 규격돈 선별단계; 및
    각 사육공간에 위치한 돼지의 무게를 측정하여 규격돈 선별이 완료되면, 상기 출하방의 돈방출입문을 폐쇄시키는 규격돈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돼지 선별 돈사를 이용한 돼지 선별 방법.
KR1020170094208A 2017-07-25 2017-07-25 돼지 선별 돈사 및 이를 이용한 돼지 선별 방법 KR101995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208A KR101995758B1 (ko) 2017-07-25 2017-07-25 돼지 선별 돈사 및 이를 이용한 돼지 선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208A KR101995758B1 (ko) 2017-07-25 2017-07-25 돼지 선별 돈사 및 이를 이용한 돼지 선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541A KR20190011541A (ko) 2019-02-07
KR101995758B1 true KR101995758B1 (ko) 2019-07-03

Family

ID=65367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208A KR101995758B1 (ko) 2017-07-25 2017-07-25 돼지 선별 돈사 및 이를 이용한 돼지 선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57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7430A (ko) * 2020-04-14 2021-10-22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축 선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387B1 (ko) * 2005-11-10 2007-07-24 피더블유제네틱스코리아 주식회사 의학 및 생물학 실험용 무균돼지의 사육 구조물
KR101128908B1 (ko) * 2009-09-30 2012-06-27 대한민국 규격돈 생산 체중선별 장치
KR101270689B1 (ko) 2011-03-17 2013-06-04 대한민국 돈사 급이기용 돼지 선별기구
KR101511108B1 (ko) 2014-10-21 2015-04-10 (주)이지팜 돼지 자동 선별기
KR101753466B1 (ko) 2015-05-20 2017-07-05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돼지 선별장치
KR20170057916A (ko) * 2015-11-17 2017-05-26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가축 출하 시스템 및 가축 출하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7430A (ko) * 2020-04-14 2021-10-22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축 선별장치
KR102446704B1 (ko) * 2020-04-14 2022-09-27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축 선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541A (ko) 2019-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7189B2 (en) Hog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1277629B1 (ko)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
US8584619B2 (en) Electronic livestock feeding station with integral scale assembly
EP1985174B1 (en) Livestock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split-weight feeding
JP4219381B2 (ja) 飼育動物個体群の管理システム
AU765525B2 (en) Arrangement for individual feeding of free-range animals
US202200612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recting livestock animal
CA2372048A1 (en) An arrangement for and a method of managing a herd of animals
KR20150042080A (ko) 군집형 축사의 급이 관리 장치 및 방법
EP1903859A2 (en) Sorting device for the use of sorting animals
BE1000327A4 (nl) Inrichting voor het op afroep voederen van varkens.
JP7483242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予測プログラム
KR101995758B1 (ko) 돼지 선별 돈사 및 이를 이용한 돼지 선별 방법
CN111587069A (zh) 用于监控家畜动物的食物摄取的方法及设备
US10132673B1 (en) Livestock weight marking system
KR101741000B1 (ko) 소 생체정보에 의한 생체리듬 음악을 제공하는 사료급여시스템
KR101985661B1 (ko) 원형볏짚 자동 급이장치
US20230263124A1 (en) Livestock restraining devices, systems for livestock management, and uses thereof
CN112161683B (zh) 一种牲畜定点定轨迹智能称重器
KR101992431B1 (ko) 대가축용 사료섭취량 조사장치
JP2574069B2 (ja) 家畜用の飼育場
JP3221671U (ja) 体重計測選別機
RU2637768C2 (ru) Система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сортировки животных по результатам взвешивания и идентификации номер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селекционных ворот для выделения в ветеринарный бокс
KR20230058786A (ko) 하부 기울임 승강형 배출장치를 구비한 돼지 자동 급이 장치
KR20230010916A (ko) 반려 동물을 위한 먹이 공급 장치 및 행동 분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