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7161B1 - 글라스 박형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글라스 박형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7161B1
KR101277161B1 KR1020110067633A KR20110067633A KR101277161B1 KR 101277161 B1 KR101277161 B1 KR 101277161B1 KR 1020110067633 A KR1020110067633 A KR 1020110067633A KR 20110067633 A KR20110067633 A KR 20110067633A KR 101277161 B1 KR101277161 B1 KR 101277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etching
chamber
unit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929A (ko
Inventor
장승일
최종춘
이상욱
윤보숭
이병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엠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엠테크
Priority to KR1020110067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7161B1/ko
Priority to CN201110306816.3A priority patent/CN102863153B/zh
Priority to TW100139973A priority patent/TWI477466B/zh
Publication of KR20130005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63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etching
    • H01L21/67075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etching for wet etching
    • H01L21/6708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etching for wet etching using mainly spraying means, e.g. nozz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5/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e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23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general liquid treatment, e.g. etching followed by clean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2Rigid substrates, e.g. inorganic subst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글라스 박형화 시스템은 글라스를 세정하는 세정 챔버와, 글라스의 표면에 에칭액을 분사하는 에칭 챔버를 구비하여 수직으로 배열된 복수의 글라스를 세정공정, 에칭 공정 및 세정공정을 순서대로 실시하여 글라스를 박형화하는 챔버 유닛과, 복수의 글라스가 수직으로 수납되고 챔버 유닛으로 글라스를 투입 및 인출하는 카세트 유닛과, 상기 챔버 유닛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세정액 저장탱크에 저장된 세정액을 세정 챔버로 공급하고, 글라스 세정이 완료된 세정액을 회수하는 세정액 순환유닛과, 상기 챔버 유닛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에칭액을 에칭 챔버로 공급하고 에칭이 완료된 에칭액을 회수하는 에칭액 순환유닛으로 구성되어, 글라스의 두께를 얇게 만들고 글라스의 두께를 균일하게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글라스 박형화 시스템{SLIMMING SYSTEM FOR GLASS}
본 발명은 글라스를 수직으로 배열한 후 글라스 표면에 에칭액을 분사하여 글라스의 두께를 얇게 만드는 글라스 박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 단말기, TV, 모니터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 (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휴대용 단말기, 노트북 등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고 다니면서 사용하는 평판 표시장치의 수요가 날로 증가하고 있고, 이러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두께나 중량을 줄이는 것이 개발의 주요한 성공요건이 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나 무게를 줄이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방법이 적용될 수 있지만, 그 구조나 현재 기술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필수 구성요소를 줄이는 것은 한계가 있다. 더우기, 이러한 필수 구성요소는 중량이 작기 때문에 크기나 중량을 줄이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실정이다. 반면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장 기본적인 구성요소인 글라스는 기술이 진전되어 감에 따라 그 중량을 줄일 수 있는 여지가 남아 있다. 특히, 글라스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 중 가장 중량이 크기 때문에 그 중량을 줄이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글라스의 중량을 줄인다는 것은 글라스의 두께를 얇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글라스의 두께가 얇아지면, 글라스가 파손되기 쉽고, 또한 글라스의 가공과정에서 글라스 표면이 매끈하게 되지 않으면 화질에 중대한 결함을 일으킨다는 점에서 대단히 어렵고 중요한 일이다.
글라스의 두께, 즉 중량을 줄이기 위해서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 글라스을 에칭액이 채워진 용기에 담가 이 에칭액에 의해 글라스의 표면을 에칭(etching)하는 방법이다.
종래의 글라스 에칭장치는 에칭 챔버에 글라스을 배열한 후 글라스의 표면에 에칭액을 분사하여 글라스의 에칭을 실시하고, 글라스의 에칭을 완료한 에칭액은 에칭액 저장탱크로 회수되고, 다시 글라스에 분사된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에서 에칭액에 글라스을 에칭하고 남은 부산물들이 에칭액에 혼합되어 있어 애칭액의 농도가 달라지고 글라스의 표면이 얇고 균일하게 에칭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종래의 글라스 에칭장치는 에칭액의 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해야 되는데 외부 조건에 따라 에칭액의 온도가 달라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글라스 에칭장치는 글라스를 에칭하기 전에 글라스의 표면을 청소하는 세정공정을 실시하는데, 세정공정시 세정액이 세정액 저장탱크에서 세정챔버로 순환되는데, 한번 사용된 세정액에는 에칭액이 포함되어 있어 세정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글라스 에칭장치는 복수의 글라스를 한번에 에칭하므로, 복수의 글라스를 일정하게 정렬시키는 구성을 필요로 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글라스를 수직으로 세워서 정렬시킨 후 글라스의 표면에 에칭액을 분사하여 글라스의 두께를 얇게 만들고 글라스의 두께를 균일하게 제조할 수 있는 글라스 박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칭액을 순환시키는 에칭액 순환장치에 에칭액에 포함된 각종 부산물들을 제거할 수 있는 필터링 유닛을 구비하여, 항상 정화된 에칭액을 글라스에 분사하도록 하여 에칭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글라스 박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글라스를 일정 간격으로 정렬시킬 수 있는 카세트 장치를 구비하여 복수의 글라스의 간격을 균일하게 정렬시켜 복수의 글라스를 한번에 에칭할 때 복수의 글라스들의 두께를 일정하게 제조할 수 있는 글라스 박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칭액이 저장되는 에칭액 저장탱크에 쿨링/히팅 장치를 구비하여 글라스의 표면에 분사되는 에칭액의 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글라스 박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로서, 글라스 박형화 시스템은 글라스를 세정하는 세정 챔버와, 글라스의 표면에 에칭액을 분사하는 에칭 챔버를 구비하여 수직으로 배열된 복수의 글라스를 세정공정, 에칭 공정 및 세정공정을 순서대로 실시하여 글라스를 박형화하는 챔버 유닛와, 복수의 글라스가 수직으로 수납되고 챔버 유닛으로 글라스를 투입 및 인출하는 카세트 유닛과, 상기 챔버 유닛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세정액 저장탱크에 저장된 세정액을 세정 챔버로 공급하고, 글라스 세정이 완료된 세정액을 회수하는 세정액 순환유닛과, 상기 챔버 유닛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에칭액을 에칭 챔버로 공급하고 에칭이 완료된 에칭액을 회수하는 에칭액 순환유닛을 포함한다.
일실시예로서, 챔버 유닛은 상기 세정 챔버의 전방에 배치되어 복수의 글라스가 수납된 카세트 유닛을 로딩하는 로딩 챔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딩 챔버와 세정 챔버 사이는 두 챔버 사이를 개폐하는 제1도어가 설치되고, 상기 세정 챔버와 에칭 챔버 사이는 두 챔버 사이를 개폐하는 제2도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로서, 에칭액 순환유닛은 상기 에칭 챔버의 상측에 배열되어 애칭액을 글라스에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에칭 챔버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에칭액이 저장되는 에칭액 저장탱크와, 에칭액 저장탱크와 분사노즐 사이에 연결되고 펌프가 설치되어 에칭액을 분사노즐로 공급하는 공급 파이프와, 상기 에칭 챔버와 에칭액 저장탱크 사이에 연결되어 글라스 에칭 작업을 완료한 에칭액이 에칭액 저장탱크로 리턴되는 리턴 파이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로서, 에칭액 저장탱크는 상면에 도어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는 저장탱크 내부를 복수의 구역으로 구획하고 높이가 서로 다른 복수의 배플(Baffle)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에칭액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히팅/쿨링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에칭액 저장탱크의 상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둘레면에는 액체가 담겨지는 그루브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의 하측방향으로 절곡된 가장자리가 그르부에 삽입되어 액체에 의해 도어 밀봉 작용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로서, 배플은 에칭액이 회수되는 리턴 파이프가 설치되는 부분에서 에칭액을 에칭 챔버로 공급하는 공급 파이프가 설치되는 부분까지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공급 파이프 쪽으로 갈수록 배플의 높이가 점차적으로 낮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로서, 히팅/쿨링장치는 상기 에칭액 저장탱크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에칭액 저장탱크 내부에 코일 형태로 감겨져서 에칭액과 열교환되는 열교환부와, 상기 열교환부로 가열수를 공급하는 히팅부와, 상기 열교환부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로서, 열교환부는 가열수/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라인과, 가열수/냉각수가 배출되는 배출라인이 연결되고, 상기 유입라인은 두 갈래로 분기되어 상기 히팅부와 히팅라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냉각부와 냉각라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출라인은 두 갈래로 분기되어 상기 히팅부와 제1리턴라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냉각부와 제2리턴 라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히팅라인에는 제1개폐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냉각라인에는 제2개폐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제1리턴라인에는 제3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제2리턴라인에는 제4개폐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로서, 에칭액 저장탱크에 저장된 에칭액을 필터링하는 필터 프레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 프레스는 에칭액 저장탱크에 설치되어 에칭액 저장탱크에 저장된 에칭액이 필터 프레스로 주입되고, 상기 필터 프레스를 통과하면서 필터링된 에칭액이 에칭액 저장탱크로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로서, 에칭 챔버로 공급되는 에칭액을 필터링하는 디스크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 필터는 에칭 챔버와 연결되는 공급 파이프가 장착되는 출구와, 에칭액 저장탱크가 연결되는 유입 파이프가 장착되는 입구를 갖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디스크가 적층된 디스크필터 적층군과, 상기 디스크필터 적층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크필터 적층군을 가압 또는 가압 해제시키는 가압 유닛을 포함한다.
일실시예로서, 디스크 필터는 디스크들 사이에 끼어 있는 슬러지를 제거하는 역세 과정을 수행하는 슬러지 탱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러지 탱크에는 펌프가 설치되어 슬러지 탱크에 저장된 역세액을 상기 출구로 유입시키고, 상기 유입되는 역세액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디스크필터 적층군의 가압이 해제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역세액이 상기 디스크필터 적층군에 끼어 있는 슬러지와 함께 상기 케이스의 출구를 통해 슬러지 탱크로 회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로서, 슬러지 탱크는 역세액을 필터링하는 필터 프레스와 연결되되, 펌프에 의하여 상기 슬러지 탱크 내의 역세액이 상기 필터 프레스에 주입되고 상기 필터 프레스를 통해 필터링된 역세액이 상기 슬러지 탱크로 다시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로서, 카세트 유닛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바닥면에 복수로 배열되어 글라스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면 지지부와,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어 글라스의 양쪽 끝부분을 잡아주는 클램프와, 상기 프레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글라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글라스의 양쪽 표면에 접촉되는 지지바를 포함한다.
일실시예로서, 하면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바닥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제1지지로드와, 상기 제1지지로드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글라스의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오목하게 들어간 삽입홈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2지지로드을 포함한다.
일실시예로서, 클램프는 프레임의 전면 및 후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 사이에 양단이 삽입되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상기 이동부재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글라스의 양쪽 측면을 잡아주는 복수의 클램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클램핑 부재 중 하나의 이동부재에 일렬로 배열되는 클램핑 부재들 모두가 일체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박형화 시스템은 복수의 글라스를 수직으로 세워서 정렬시킨 후 글라스의 표면에 에칭액을 분사하여 글라스의 두께를 얇게 만드는 공정을 수행하고, 글라스의 두께를 균일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글라스 박형화 시스템은 에칭액을 순환시키는 에칭액 순환장치에 에칭액에 포함된 각종 부산물들을 제거할 수 있는 필터링 유닛을 구비하여, 항상 정화된 에칭액을 글라스에 분사하도록 하여 글라스 에칭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글라스 박형화 시스템은 복수의 글라스를 일정 간격으로 정렬시킬 수 있는 카세트 장치를 구비하여 복수의 글라스의 간격을 균일하게 정렬시켜 챔버 내부로 인입 및 인출시킬 수 있어, 복수의 글라스를 한번에 에칭할 때 복수의 글라스들의 두께를 일정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글라스 박형화 시스템은 에칭액이 저장되는 에칭액 저장탱크에 쿨링/히팅 장치를 구비하여 글라스의 표면에 분사되는 에칭액의 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박형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액 순환유닛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칭액 순환유닛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액 저장탱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액 쿨링/히팅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칭액 필터링 유닛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유닛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박형화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액 순환유닛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칭액 순환유닛의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박형화 시스템은 글라스(100)를 세정하는 세정 챔버(14)와, 세정된 글라스(100)의 표면에 에칭액을 분사하여 박형화하는 에칭 챔버(16)를 구비한 챔버 유닛(10)과, 세정 챔버(14)로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 순환유닛(20)과, 에칭 챔버(16)로 에칭액을 공급하는 애칭액 순환유닛(30)과, 에칭 챔버(16)로 공급되는 에칭액을 필터링하는 에칭액 필터링 유닛(40)을 포함한다.
그리고, 글라스 박형화 시스템은 복수의 글라스(100)를 수직으로 배열하여 챔버 유닛(10)으로 이송하는 카세트 유닛(50)이 더 구비된다.
챔버 유닛(16)은 카세트 유닛(50)에 수직으로 수납된 글라스(100)가 투입되는 로딩 챔버(12)와, 로딩 챔버(12)의 후방에 배치되어 수직으로 배열된 복수의 글라스(100)의 표면을 세정하는 세정 챔버(14)와, 세정 챔버(14)의 후방에 배치되어 세정이 완료된 글라스(100)의 표면에 에칭액을 분사하여 글라스 박형화를 실시하는 에칭 챔버(16)를 포함한다.
그리고, 로딩 챔버(12)와 세정 챔버(14) 사이는 제1도어(62)가 설치되어 두 챔버(12,14) 사이를 개페하고, 세정 챔버(14)와 에칭 챔버(16) 사이는 제2도어(64)가 설치되어 두 챔버(14,16) 사이를 개폐한다.
제1도어(62)와 제2도어(64)는 챔버들 사이에 수직으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구동장치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면서 챔버들 사이를 개폐한다. 그리고, 구동장치는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작동된다.
이러한 챔버 유닛(10)의 작용을 살펴보면, 로딩 챔버(12)로 글라스(100)가 투입되면 제1도어(62)가 개방되어 로딩 챔버(12)와 세정 챔버(14) 사이를 연통시킨다. 그리고, 글라스(100)가 수직으로 배열된 카세트 유닛(50)이 세정 챔버(14)로 투입된다. 그리고, 제1도어(62)가 닫히면 세정 챔버(14)가 밀폐된 상태로 되고, 세정 챔버(14)에서 글라스(100)의 세정이 완료되면 제2도어(64)가 열리고 카세트 유닛(500)이 에칭 챔버(16)로 투입된다. 그리고, 에칭 챔버(16)에서 글라스(100)의 에칭이 완료되면 카세트 유닛(50)은 세정 챔버(14)로 이동되어 글라스(100) 세정을 실시하고 로딩 챔버(12)를 통해 인출된다.
챔버 유닛(10)은 위에서 설명한 구조 이외에, 로딩챔버, 로딩챔버에서 투입되는 글라스를 세정하는 제1세정챔버, 제1세정챔버에서 세정이 완료된 글라스의 표면에 에칭액을 분사하는 에칭챔버 및 에칭이 완료된 글라스를 세정하는 제2세정챔버의 순서대로 배열되는 것도 가능하다.
세정액 순환유닛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 챔버(14)에 복수로 설치되어 글라스(100) 표면에 세정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28)과, 세정 챔버(14)에 비해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세정액이 저장되는 세정액 저장탱크(25)와, 세정액 저장탱크(25)와 본사노즐(28) 사이에 연결되는 세정액 공급 파이프(22)와, 세정 챔버(14)의 바닥면과 세정액 저장탱크(25) 사이에 연결되는 세정액 리턴 파이프(24)와, 세정액 공급 파이프(22)에 설치되어 세정액을 펌핑하는 펌프(27)를 포함한다.
이러한 세정액 순환유닛(20)은 글라스(100)의 세정을 마친 세정액이 다시 세정액 저장탱크(25)로 리턴되기 때문에 세정액 공급 파이프(22)에는 세정액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제거한 후 세정 챔버(14)로 공급하는 세정액 필터(26)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세정액 필터(26)는 세정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필터도 적용이 가능하다.
에칭액 순환유닛(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칭 챔버(16)의 상측에 배열되어 애칭액을 글라스(100)에 분사하는 분사노즐(35)과, 에칭 챔버(16)에 비해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에칭액이 저장되는 에칭액 저장탱크(34)와, 에칭액 저장탱크(34)와 분사노즐(35) 사이에 연결되어 에칭액을 분사노즐(35)로 공급하는 공급 파이프(32)와, 에칭 챔버(16)와 에칭액 저장탱크(34) 사이에 연결되어 글라스 에칭 작업을 완료한 에칭액이 에칭액 저장탱크(34)로 리턴되는 리턴 파이프(36)를 포함한다.
그리고, 에칭액 저장탱크(34)에 저장된 에칭액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제거한 후 에칭 챔버(16)로 공급하는 에칭액 필터링 유닛(40)이 더 구비된다.
분사노즐(35)은 에칭 챔버(16)의 상측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공급 파이프(32)와 연결되어 에칭액이 유입되는 분배 파이프(37)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글라스(100)의 상면에 에칭액을 분사한다.
에칭액 저장탱크(3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에칭액을 공급하거나 저장탱크 내부를 청소할 경우 개방하는 도어(85)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는 저장탱크(34) 내부를 복수의 구역으로 구획하는 복수의 배플(Baffle)(74,76,78)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배플(74,76,78)의 높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그리고, 에칭액 저장탱크(34)에는 에칭액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히팅/쿨링장치(150)가 구비된다.
에칭액 저장탱크(34)의 상면에는 개구부(84)가 형성되고 개구부(84)에는 도어(85)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에서, 도어(85)는 개구부(84)에 밀폐된 상태로 닫혀져야 되는 데, 이를 위해 개구부(84)의 둘레방향으로 오목한 형태의 그루브(86)가 형성되고 이 그루브(86)에 액체가 채워진다. 그리고, 도어(84)의 가장자리가 하측방향으로 절곡되어 그루브(86)에 채워진 액체에 담가진다.
이와 같이, 액체에 의해 도어(85)와 개구부(84) 사이가 밀봉된 상태로 되어 공기나 기타 이물질이 에칭액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에칭액 저장탱크(34)의 상측에는 에칭 챔버(16)에서 배출되는 에칭액이 저장탱크(34)로 유입되는 유입구(70)가 형성되고, 유입구(70)의 반대쪽 측면에는 에칭액이 배출되는 배출구(72)가 형성된다.
배플(74,76,78)은 에칭액 저장탱크(34)의 유입구(70)에서 배출구(72)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유입구(70)에 가깝게 위치되는 배플(74)의 높이가 가장 높고, 배출구(72) 측으로 갈수록 배플의 높이가 점차적으로 낮아지게 형성된다.
일 예로, 배플은 높이가 가장 높은 제1배플(74)과, 중간 높이의 제2배플(76)과, 높이가 가장 낮은 제3배플(78)로 구성되어, 저장탱크(34) 내부를 1구역(90), 2구역(92), 3구역(94) 및 4구역(96)으로 분할한다.
저장탱크(34)의 유입구(70)를 통해 유입되는 에칭액에는 글래스 에칭 공정을 거치면서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유입구(70)를 통해 유입되는 에칭액이 1구역(90)으로 유입되면 제1배플(74)의 높이가 높기 때문에 이물질이 바닥에 가라앉고 한번 걸러진 에칭액이 제1배플(74)을 타고 넘어 2구역(92)으로 유입되고, 다시 2구역(92)에서 2차로 걸러진 후 제2배플(76)을 타고 넘어 3구역(94)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3구역(94)에서 3차로 걸러진 후 제3배플(78)을 타고 넘어 4구역(96)으로 유입되고 비교적 깨끗해진 애칭액이 배출구(72)를 통해 배출된다.
히팅/쿨링장치(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탱크(34)에 설치되어 저장탱크(34)에 저장된 에칭액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인가하는 온도센서(152)와, 저장탱크(34) 내부에 코일 형태로 감겨져서 저장탱크(34)에 저장된 에칭액과 열교환되는 열교환부(80)와, 열교환부(80)로 가열수를 공급하는 히팅부(102)와, 열교환부(80)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쿨링부(104)를 포함한다.
열교환부(80)는 코일 형태로 감겨져서 저장탱크(34)의 내부에 복수의 배열되고, 가열수/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라인(128)과, 가열수/냉각수가 배출되는 배출라인(126)이 저장탱크(34)의 외부로 인출되게 설치된다.
유입라인(128)은 두 갈래로 분기되어 히팅부(102)와 히팅라인(122)으로 연결되고, 쿨링부(104)와 냉각라인(134)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배출라인(126)은 두 갈래로 분기되어 히팅부(102)와 제1리턴라인(124)으로 연결되고, 쿨링부(104)와 제2리턴 라인(130)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히팅라인(122)에는 히팅라인(122)을 개폐하는 제1개폐밸브(116)가 설치되고, 냉각라인(134)에는 냉각라인(134)을 개폐하는 제2개폐밸브(110)가 설치되며, 제1리턴라인(124)에는 제1리턴라인(124)을 개폐하는 제3개폐밸브(114)가 설치되고, 제2리턴라인(130)에는 제2리턴라인(130)을 개폐하는 제4개폐밸브(112)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히팅/쿨링 장치(150)의 작용을 살펴보면, 온도센서(152)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제어부는 저장탱크(34)에 저장된 에칭액의 온도가 설정온도의 범위 내인지를 파악한다.
제어부는 애칭액의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1개폐밸브(116)와 제3개폐밸브(114)를 열림 동작시킨다. 그런 후 히팅부(102)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히팅부(102)에 설치된 펌프(120)를 작동시키면 히팅부(102)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가열수는 유입라인(122)을 통해 열교환부(80)로 공급되고 열교환부(80)를 통과하는 가열수와 저장탱크(34)에 저장된 에칭액이 열교환되어 에칭액의 온도가 상승되고, 열교환을 완료한 가열수는 제1리턴라인(124)을 통해 히팅부(102)로 리턴된다.
그리고, 제어부는 에칭액의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1개폐밸브(116)와 제3개폐밸브(114)를 닫힘 동작시킴과 아울러 제2개폐밸브(110)와 제4개폐밸브(112)를 열림 동작시킨다.
그리고, 쿨링부(104)를 작동시켜 냉각수를 냉각시킨 후 순환시킨다. 그러면 냉각수가 유입라인(134)을 통해 열교환부(80)로 공급되어 열교환부(80)를 통과하면서 저장탱크에 저장된 에칭액이 열교환되어 에칭액의 온도가 하강된다. 그리고, 열교환을 완료한 냉각수는 제2리턴리인(130)을 통해 냉각부(104)로 리턴된다.
이와 같이, 히팅과 쿨링을 반복하여 에칭액의 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한다.
에칭액 필터링 유닛(40)은 에칭액을 필터링할 수 있는 어떠한 구조의 필터장치도 적용이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 프레스(42)와 디스크 필터(200)가 사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필터 프레스(42)는 여과포가 삽입된 다수매의 여과판으로 구성되어, 저장탱크(34)로부터 이물질이 함유된 에칭액이 유입되면 여과포에 에칭액이 스며들게 한 후 유압실린더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되는 가동판으로 여과판을 가압하여 에칭액에 함유된 이물질이 여과포의 표면에 침적되도록 하고, 정화된 에칭액을 다시 저장탱크(34)로 유입시킨다.
즉, 필터 프레스(4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탱크(34)에 저장된 에칭액이 유입되는 제1세정라인(44)이 연결되고, 필터 프레스(42)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에칭액이 다시 저장탱크(34)로 유입되는 제2세정라인(46)이 연결된다.
이러한 필터 프레스는 일정 사용기간이 경과되어 여과포이 오염이 심해지면 여과포를 새로운 여과포로 교체한다. 이와 같은 필터 프레스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구조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디스크 필터(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상의 디스크 모양의 필터를 적층하여 디스크 표면에 형성된 필터 요철 사이를 오염물질을 함유한 에칭액의 성분이 지나도록 고속의 회전을 실시하여 필터링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물질이 포집되는 미세한 그루브가 형성되고 복수로 적층되는 디스크필터 적층군(미도시)과, 디스크필터 적층군의 상부에 형성되어 디스크필터 적층군을 가압 또는 가압 해제시키는 가압 유닛(미도시)과, 디스크필터 적층군과 가압 유닛이 수용되는 케이스(230)와, 케이스(230)에 설치되어 에칭액 저장탱크(34)에 연결되는 유입 파이프(31)가 연결되어 이물질이 함유된 에칭액이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입구(212)와, 정화된 에칭액을 에칭 챔버(16)로 공급하도록 공급 파이프(32)와 연결되는 출구(21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디스크필터 적층군과 가압 유닛은 일반적으로 디스크 필터에 널리 사용되는 구성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디스크 필터(200)는 디스크필터 적층군의 미세한 그루브에 끼어있는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한 슬러지 탱크(218)와 연결된다.
슬러지 탱크(218)는 공급 파이프(32)에서 분기되어 역세액을 디스크 필터(200) 내부로 공급하는 공급라인(216)과, 유입 파이프(31)에서 분기되어 디스크 필터(200)에서 역세액을 회수하는 회수라인(214)이 연결된다. 그리고, 공급라인(216)에는 역세액을 펌핑하기 위한 펌프(260)가 설치된다.
그리고, 공급라인(216)과 공급 파이프(32)가 분기되는 부분에는 제1삼방향 밸브(224)가 설치되어 유로를 전환시키고 회수라인(214)과 유입 파이프(31)가 분기되는 부분에는 제2삼방향 밸브(220)가 설치되어 유로를 전환시킨다.
여기에서, 슬러지 탱크(218)는 필터 프레스(250)가 연결되어 슬러지 탱크(218) 내에 저장된 역세액을 필터링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필터 프레스(250)는 제1라인(252)과 제2라인(254)에 의해 슬러지 탱크(218)와 연결되고, 위에서 설명한 필터 프레스(42)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디스크 필터의 작용을 살펴보면, 저장탱크(34)에서 유입 파이프(31)를 통해 디스크 필터(200) 내부로 이물질이 함유된 에칭액이 공급되면 가압 유닛이 작동되어 디스크필터 적층군을 가압하여 에칭액에 함유된 슬러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공급 파이프(32)를 통해 에칭 챔버(16)로 공급한다.
이때, 제1삼방향 밸브(224)는 공급 파이프(32)와 출구(210)를 연통시키도록 작동되고, 제2삼방향 밸브(220)는 유입 파이프(31)와 입구(212)를 연통시키도록 작동된다.
이와 같은 에칭액 필터링 작용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디스크필터 적층군의 미세한 그루브에 슬러지가 많이 쌓이게 되면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한 역세 공정을 실시한다.
디스크 필터의 역세 공정을 살펴보면, 제1삼방향 밸브(224)가 작동되어 출구(210)와 공급라인(216)을 연통시키고 제2삼방향 밸브(220)가 작동되어 입구(212)와 회수라인(216)을 연통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슬러지 탱크(218)의 펌프가 작동되어 슬러지 탱크(218)에 저장된 역세액이 공급라인(216)으로 공급되어 케이스(230)의 출구(210)로 세정액이 케이스 내부로 압입된다. 그러면 디스크필터 적층군의 디스크들 사이가 벌어지면서 슬러지가 역세액에 의해 씻겨지고 역세 작용을 마친 역세액은 케이스(230)의 입구(212)를 통해 배출되고 회수라인(214)으로 슬러지 탱크(218) 내부로 회수된다.
여기에서, 역세액은 저장탱크(34)에 저장된 에칭액과 동일한 에칭액이 사용되어 에칭액의 농도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슬러지 탱크(218)는 필터 프레스(250)와 연결되어 슬러지 탱크(218)에 저장된 역세액이 필터 프레스(250)를 통과하면서 정화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유닛의 측면도이다.
카세트 유닛(50)은 복수의 글라스(100)를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배열하여 수납하고 챔버 유닛(10)으로 투입 및 인출하기 위해 글라스(100)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카세트 유닛(50)은 상측 및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된 사각 박스 형태를 갖는 프레임(300)과, 프레임(300)의 전면 및 후면 중앙에 연결되는 제1가이드 레일(318)과, 프레임(300)의 전면 및 후면 상단에 연결되는 제2가이드 레일(316)과, 프레임(300)의 바닥면에 복수로 배열되어 글라스(100)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면 지지부(330)와, 제1가이드 레일(318)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글라스(100)의 양단 중앙을 잡아주는 제1클램프(326,328)와, 제2가이드 레일(316)에 직선 이동 가능학 배치되어 글라스(100)의 상단 양쪽을 잡아주는 제2클램프(322,324)를 포함한다.
하면 지지부(330)는 프레임(300)의 전후방향으로 수직하게 고정되고 프레임(300)의 측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그리고, 글라스(100)는 프레임(30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하면 지지부(330)는 프레임(300)의 바닥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제1지지바(334)와, 제1지지바(334)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고 글라스(100)의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오목하게 들어간 삽입홈(336)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2지지바(33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하면 지지부(330)는 제1지지로드(334)와 제2지지로드(332)가 상호 길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글라스(100)의 높이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한다. 즉, 글라스(100)의 상하방향 길이가 작을 경우 제1지지로드(334)와 제2지지로드(332)의 길이를 길게 하고, 글라스(100)의 상하방향 길이가 길 경우 제1지지로드(334)와 제2지지로드(332)의 길이를 짧게 한다.
제1클램프(326,328)는 프레임(300)의 전면 및 후면에 설치된 제1가이드 레일(318) 사이에 양단이 삽입되어 제1가이드 레일(318)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재(326)와, 이 이동부재(326)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이동부재(326)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글라스(100)의 중앙측 양면을 잡아주는 클램핑 부재(328)를 포함한다.
제2클램프(322,324)는 프레임(100)의 전면 및 후면에 설치된 제2가이드 레일 (316) 사이에 그 양단이 삽입되어 제2가이드 레일(316)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부재(322)와, 이 이동부재(322)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글라스(100)의 상단측 양면을 잡아주는 클램핑 부재(324)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클램핑 부재(324,328)는 이동부재(322,326)에 힌지축(32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렬에 배치된 복수의 클램핑 부재는 상호 연결되어 일렬측 클램핑 부재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즉, 클램핑 부재들 사이가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클램핑 부재를 회전시키면 나머지 클램핑 부재도 같이 회전된다.
여기에서, 제1클램프(326,328)와 제2클램프(322,324)는 프레임의 측방향으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세트로 배치되어 프레임의 측방향으로 글라스가 1열 또는 2열 이상 배열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제1클램프(326,328)와 제2클램프(322,324)는 각각 제1가이드 레일(318)과 제2가이드 레일(316)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글라스(100)의 양쪽 측방향 길이 변화에 따라 클램프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프레임(300)의 측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글라스(100)의 측면을 지지해주는 지지바(350)가 고정되고, 지지바(350)에는 글라스(100)가 삽입 및 인출될 때 글라스(100)를 잡아주는 롤러(36)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에서, 지지바(350)는 상기의 구조 이외에, 프레임의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지지바의 측면에 탄성핀이 설치되어 글라스의 측면을 지지하는 구조도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프레임(300)의 하측에는 고정 브라켓(312)이 장착되고, 이 고정 브라켓은 별도의 이송장치에 볼트(314) 등으로 체결되고, 이송장치는 구동장치와 연결되어 구동장치가 작동되면 이송장치가 직선 이동되면서 카세트 유닛(50)을 직선 이동시킨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챔버 유닛 12: 로딩 챔버
14: 세정 챔버 16: 에칭 챔버
20: 세정액 순환유닛 25: 세정액 저장탱크
26: 필터 27: 펌프
28: 분사노즐 30: 에칭액 순환유닛
34: 에칭액 저장탱크 35: 분사노즐
38: 펌프 40: 에칭액 필터링 유닛
50: 카세트 유닛 62: 제1도어
64: 제2도어 74,76,78: 배플
80: 열교환부 84: 개구부
85: 도어 86: 그루브
100: 글라스 102: 히팅부
104: 쿨링부 150: 히팅/쿨링장치
200: 디스크 필터 230: 케이스
220,224: 삼방향 밸브 218: 슬러지 탱크
300: 프레임 316: 제2가이드 레일
318: 제2가이드 레일 322,324: 제1클램프
326,328: 제2클램프 330: 하부 지지부

Claims (16)

  1. 글라스를 세정하는 세정 챔버와, 글라스의 표면에 에칭액을 분사하는 에칭 챔버를 구비하여 수직으로 배열된 복수의 글라스를 세정공정, 에칭 공정 및 세정공정을 순서대로 실시하여 글라스를 박형화하는 챔버 유닛;
    복수의 글라스가 수직으로 수납되고 챔버 유닛으로 글라스를 투입 및 인출하는 카세트 유닛;
    상기 챔버 유닛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세정액 저장탱크에 저장된 세정액을 세정 챔버로 공급하고, 글라스 세정이 완료된 세정액을 회수하는 세정액 순환유닛; 및
    상기 챔버 유닛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에칭액을 에칭 챔버로 공급하고 에칭이 완료된 에칭액을 회수하는 에칭액 순환유닛을 포함하는 글라스 박형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유닛은 상기 세정 챔버의 전방에 배치되어 복수의 글라스가 수납된 카세트 유닛을 로딩하는 로딩 챔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딩 챔버와 세정 챔버 사이는 두 챔버 사이를 개폐하는 제1도어가 설치되고, 상기 세정 챔버와 에칭 챔버 사이는 두 챔버 사이를 개폐하는 제2도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박형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칭액 순환유닛은 상기 에칭 챔버의 상측에 배열되어 애칭액을 글라스에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에칭 챔버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에칭액이 저장되는 에칭액 저장탱크와, 에칭액 저장탱크와 분사노즐 사이에 연결되고 펌프가 설치되어 에칭액을 분사노즐로 공급하는 공급 파이프와, 상기 에칭 챔버와 에칭액 저장탱크 사이에 연결되어 글라스 에칭 작업을 완료한 에칭액이 에칭액 저장탱크로 리턴되는 리턴 파이프를 포함하는 글라스 박형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칭액 저장탱크는 상면에 도어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는 저장탱크 내부를 복수의 구역으로 구획하고 높이가 서로 다른 복수의 배플(Baffle)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에칭액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히팅/쿨링장치가 구비되는 글라스 박형화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칭액 저장탱크의 상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둘레면에는 액체가 담겨지는 그루브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의 하측방향으로 절곡된 가장자리가 그르부에 삽입되어 액체에 의해 도어 밀봉 작용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박형화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에칭액이 회수되는 리턴 파이프가 설치되는 부분에서 에칭액을 에칭 챔버로 공급하는 공급 파이프가 설치되는 부분까지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공급 파이프 쪽으로 갈수록 배플의 높이가 점차적으로 낮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글라스 박형화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쿨링장치는 상기 에칭액 저장탱크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에칭액 저장탱크 내부에 코일 형태로 감겨져서 에칭액과 열교환되는 열교환부와, 상기 열교환부로 가열수를 공급하는 히팅부와, 상기 열교환부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박형화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가열수/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라인과, 가열수/냉각수가 배출되는 배출라인이 연결되고,
    상기 유입라인은 두 갈래로 분기되어 상기 히팅부와 히팅라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냉각부와 냉각라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출라인은 두 갈래로 분기되어 상기 히팅부와 제1리턴라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냉각부와 제2리턴 라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히팅라인에는 제1개폐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냉각라인에는 제2개폐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제1리턴라인에는 제3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제2리턴라인에는 제4개폐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박형화 시스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칭액 저장탱크에 저장된 에칭액을 필터링하는 필터 프레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 프레스는 에칭액 저장탱크에 설치되어 에칭액 저장탱크에 저장된 에칭액이 필터 프레스로 주입되고, 상기 필터 프레스를 통과하면서 필터링된 에칭액이 에칭액 저장탱크로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박형화 시스템.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칭 챔버로 공급되는 에칭액을 필터링하는 디스크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 필터는 에칭 챔버와 연결되는 공급 파이프가 장착되는 출구와, 에칭액 저장탱크가 연결되는 유입 파이프가 장착되는 입구를 갖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디스크가 적층된 디스크필터 적층군과, 상기 디스크필터 적층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크필터 적층군을 가압 또는 가압 해제시키는 가압 유닛을 포함하는 글라스 박형화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필터는 디스크들 사이에 끼어 있는 슬러지를 제거하는 역세 과정을 수행하는 슬러지 탱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러지 탱크에는 펌프가 설치되어 슬러지 탱크에 저장된 역세액을 상기 출구로 유입시키고, 상기 유입되는 역세액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디스크필터 적층군의 가압이 해제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역세액이 상기 디스크필터 적층군에 끼어 있는 슬러지와 함께 상기 케이스의 출구를 통해 슬러지 탱크로 회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박형화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탱크는 역세액을 필터링하는 필터 프레스와 연결되되, 펌프에 의하여 상기 슬러지 탱크 내의 역세액이 상기 필터 프레스에 주입되고 상기 필터 프레스를 통해 필터링된 역세액이 상기 슬러지 탱크로 다시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박형화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유닛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바닥면에 복수로 배열되어 글라스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면 지지부와,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어 글라스의 양쪽 끝부분을 잡아주는 클램프와, 상기 프레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글라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글라스의 양쪽 표면에 접촉되는 지지바를 포함하는 글라스 박형화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바닥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제1지지로드와,
    상기 제1지지로드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글라스의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오목하게 들어간 삽입홈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2지지로드을 포함하는 글라스 박형화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프레임의 전면 및 후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 사이에 양단이 삽입되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상기 이동부재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글라스의 양쪽 측면을 잡아주는 복수의 클램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클램핑 부재 중 하나의 이동부재에 일렬로 배열되는 클램핑 부재들 모두가 일체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박형화 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프레임의 양쪽 측면에 양단이 고정되고 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배열되며, 글라스의 양쪽 측면을 지지주는 롤러가 설치되거나,
    상기 지지바는 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수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글라스의 양쪽 측면을 지지해주는 탄성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박형화 시스템.

KR1020110067633A 2011-07-08 2011-07-08 글라스 박형화 시스템 KR101277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633A KR101277161B1 (ko) 2011-07-08 2011-07-08 글라스 박형화 시스템
CN201110306816.3A CN102863153B (zh) 2011-07-08 2011-10-08 玻璃薄形化系统
TW100139973A TWI477466B (zh) 2011-07-08 2011-11-02 玻璃薄形化系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633A KR101277161B1 (ko) 2011-07-08 2011-07-08 글라스 박형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929A KR20130005929A (ko) 2013-01-16
KR101277161B1 true KR101277161B1 (ko) 2013-06-20

Family

ID=47442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633A KR101277161B1 (ko) 2011-07-08 2011-07-08 글라스 박형화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277161B1 (ko)
CN (1) CN102863153B (ko)
TW (1) TWI4774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537B1 (ko) * 2015-03-05 2016-10-13 주식회사엠시스 유리기판용 식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식각방법
CN110357445B (zh) * 2019-08-23 2024-02-09 泰兴美视智能光电有限公司 一种柔性电子玻璃基板的制备装置及基于其的制备方法
CN111453998B (zh) * 2020-05-25 2022-07-12 福建和达玻璃技术有限公司 高效率玻璃机壳金属质感表面处理设备及方法
CN115159820B (zh) * 2022-07-12 2024-03-05 河北视窗玻璃有限公司 一种玻璃插片冷弯装置及其使用方法
CN116375353B (zh) * 2023-04-04 2023-10-20 惠州吉祥达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玻璃液抛装置及生产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9532A (ja) * 1996-12-26 1998-07-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晶質シリコン層を形成された基板の食刻剥離装置とその運転方法
KR100875870B1 (ko) 2004-10-14 2008-12-26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항암제로서의 신규 아자인돌 티아졸리논
KR20090070792A (ko) * 2007-12-27 2009-07-01 주식회사 디에스티 유리기판의 식각장치
JP2011071385A (ja) 2009-09-28 2011-04-07 Dainippon Screen Mfg Co Ltd 基板処理装置および基板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302B1 (ko) * 2000-12-30 2006-07-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제조를 위한 유리기판 식각장치
JP4071220B2 (ja) * 2004-03-17 2008-04-02 西山ステンレスケミカル株式会社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KR100835745B1 (ko) * 2006-12-29 2008-06-09 최찬규 하향식 유리 박형화 방법
CN101255012B (zh) * 2007-02-27 2010-08-18 睿明科技股份有限公司 Tft lcd玻璃基板的蚀刻装置及其蚀刻方法
KR100860294B1 (ko) * 2008-01-09 2008-09-25 주식회사 이코니 유리기판 에칭 장치와 상기 에칭 장치에 의하여 제조된유리박판
JP2009207953A (ja) * 2008-02-29 2009-09-17 Sanyo Electric Co Ltd 排水処理装置および排水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9532A (ja) * 1996-12-26 1998-07-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晶質シリコン層を形成された基板の食刻剥離装置とその運転方法
KR100875870B1 (ko) 2004-10-14 2008-12-26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항암제로서의 신규 아자인돌 티아졸리논
KR20090070792A (ko) * 2007-12-27 2009-07-01 주식회사 디에스티 유리기판의 식각장치
JP2011071385A (ja) 2009-09-28 2011-04-07 Dainippon Screen Mfg Co Ltd 基板処理装置および基板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63153B (zh) 2015-09-02
TWI477466B (zh) 2015-03-21
KR20130005929A (ko) 2013-01-16
CN102863153A (zh) 2013-01-09
TW201302647A (zh)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7161B1 (ko) 글라스 박형화 시스템
CN100410077C (zh) 液滴喷出装置、以及电光装置的制造方法、电光装置和电子设备
CN203816979U (zh) 玻璃基板清洗装置
KR101004439B1 (ko) 글라스 기판 세정 유닛 및 이를 갖는 글라스 기판 세정 시스템
CN103480591A (zh) 针头清洁装置及带该装置的框胶涂布机
JP6664492B2 (ja) 酸洗装置及び酸洗方法
KR20130022936A (ko) 유리기판 식각장치
CN104923534B (zh) 面板配向膜清除设备
CN106984620A (zh) 一种lcd玻璃屏清洗方法及其lcd玻璃屏清洗机
KR101004438B1 (ko) 글라스 기판 세정 시스템
KR100595302B1 (ko) 액정표시소자 제조를 위한 유리기판 식각장치
KR101022782B1 (ko) 글라스 기판 세정 유닛 및 이를 갖는 글라스 기판 세정 시스템
CN114408997B (zh) 一种双甘膦生产污水排放用多级处理装置及方法
JP2006349917A (ja) 液晶表示パネル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214865692U (zh) 一种滴晶玻璃预处理清洗装置
CN105170534A (zh) 一种清洗设备
KR20080101466A (ko) 보조 챔버가 구비된 아쿠아나이프
EP3481563B1 (en) Method for restoring damaged electronic devices by cleaning and apparatus therefor
CN219943853U (zh) 一种用于ar眼镜清洗烘干一体机
CN115106329B (zh) 一种晶片处理装置
CN219985676U (zh) 一种玻璃基板清洁装置
KR101004437B1 (ko) 글라스 기판 세정 유닛 및 이를 갖는 글라스 기판 세정 시스템
CN217289512U (zh) 一种微生物实验细菌染色用冲洗装置
KR100474386B1 (ko) 액정적하기 세정장치
CN215314190U (zh) 一种手机玻璃盖板油墨脱除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