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5837B1 - 당지질들을 이용하여 지질기반 보강제 제형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당지질들을 이용하여 지질기반 보강제 제형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75837B1 KR101275837B1 KR1020077002648A KR20077002648A KR101275837B1 KR 101275837 B1 KR101275837 B1 KR 101275837B1 KR 1020077002648 A KR1020077002648 A KR 1020077002648A KR 20077002648 A KR20077002648 A KR 20077002648A KR 101275837 B1 KR101275837 B1 KR 1012758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da
- liposomes
- tdb
- adjuvant
- vacci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Synthetic bilayered vehicles, e.g. liposomes or liposomes with cholesterol as the only non-phosphatidyl surfacta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2—Bacterial antigens
- A61K39/04—Mycobacterium, e.g. Mycobacterium tuberculosi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02—Protozoa antigens
- A61K39/015—Hemosporidia antigens, e.g. Plasmodium antige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118—Chlamydiaceae, e.g. Chlamydia trachomatis or Chlamydia psittaci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Synthetic bilayered vehicles, e.g. liposomes or liposomes with cholesterol as the only non-phosphatidyl surfactant
- A61K9/1271—Non-conventional liposomes, e.g. PEGylated liposomes or liposomes coated or grafted with polymers
- A61K9/1272—Non-conventional liposomes, e.g. PEGylated liposomes or liposomes coated or grafted with polymers comprising non-phosphatidyl surfactants as bilayer-forming substances, e.g. cationic lipids or non-phosphatidyl liposomes coated or grafted with polym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61P31/06—Antibacterial agents for tuberculosi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61P33/02—Antiprotozoals, e.g. for leishmaniasis, trichomoniasis, toxoplasmosis
- A61P33/06—Antimalaria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11—Organic adjuvants
- A61K2039/55555—Liposomes; Vesicles, e.g. nanoparticles; Spheres, e.g. nanospheres; Polym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mmu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nc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미코박테리움 결핵과 같은 세포내의 병원체에 대한 방어 면역은 세포매개성 면역반응을 필요로 하고, 소단위(subunit) 결핵 백신용의 적당한 보강제가 Th1반응을 강화하여야 한다(Lindblad et al., 1997). 항체들은 결핵에 대한 면역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 못하는 반면, 인터페론 감마(IFN-gamma)의 세포매개성 방출은 방어기작에 관련된 가장 중요한 사이토카인(cytokine)이라는 점이 알려져 있다(Collins & Kaufmann, 2001).
세포매개성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다수의 보강제들이 제시되었으나 모든 면에서 이상적이라고 할 수 없는 일반적인 것이었다.
세포매개성 면역반응을 촉진하는 특히 효과적인 하나의 형태는 디메틸디옥타데실암모늄(dimethyldioctadecylammonium:DDA)과 같은 4급 암모늄 화합물이다(Higers and Snippe, 1992). DDA는 양전하를 띤 친수성의 디메틸암모늄(dimethylammounium) 머리부분(head group) 및 2개의 긴 소수성 알킬 사슬들을 포함하는 합성의 양친매성(synthetic amphiphile) 물질이다. 수성(aqueous) 환경에서, DDA는 천연 인지질들로부터 만들어진 리포솜과 유사한 소포성의 이중층을 자가-조립적으로(self-assemble) 형성한다. DDA 및 다른 면역조절제들과의 조합이 알려져 있다. DDA를 포함하는 아르쿼드 2HT(arquad 2HT)의 인체 내 투여는 유망했으며, 뚜렷한 부작용을 유도하지 않았다(stanfield et al., 1973). 미코박테리아 결핵(M.tuberculosis)로부터 얻은 배양액 여과단백질(cuture filtrate protein) 및 DDA에 기초한 실험 백신은 쥐들의 결핵에 대해 방어 면역반응을 발생시켰다(Andersen, 1994). 미코박테리아 결핵 단백질 ESAT-6 및 Ag85B의 융합 단백질(fusion protein) 및 보강제로서 DDA/MPL을 쥐들에게 접종한 결과, BCG 접종에 의해 얻을 수 있는 방어(protection)와 유사한 방어를 제공한다(Olsen et al., 2001). 이러한 연구들은, 예를 들어 명반(alum)과 대조적으로, DDA 기반 보강제들이 쥐들의 결핵에 대해 방어 면역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더욱이, DDA는 강화된 T세포 반응 및 항바이러스 면역을 유도하는 가성광견병(pseudorabies) 바이러스에 대한 DNA 백신을 위한 보강제로 사용되어 왔다(van Rooij et al., 2002).
가열사멸시킨 박테리아를 기초로 한 소 브루셀라균(Brucella abortus) 백신의 보강제로서, DDA 용액에 TDM(alpha,alph'-trehalose 6,6'-dimycolate) 오일 에멀젼(oil emulsion)을 첨가하는 것은 우다드(Woodard) 등(1980)에 의해 조사되었다. DDA 또는 DDA 및 TDM의 혼합으로도 방어효과를 유도하지 못하였다. 가용성 단백질 추출물을 기초로 한 소 브루셀라균 소단위 백신에 관한 또 다른 연구에서, DDA 및 TDM의 조합이 보강제로 사용되었으며(Dzata et al, 1991), DDA 단독일 때와 비교 관찰하여, 면역반응(항체 수준, 피부 테스트 반응 및 IL-2 수준)을 강화하는 혼합물이 발견되었다. 홀텐-안데르센 등(Holten-Andersen et al., 2004)는 DDA 리포솜 및 TDB(alpha, alph'-trehalose 6, 6'-dibehenate) 현탁액의 조합을 연구하였으며, 이러한 보강제 혼합물을 갖는 ESAT-6 항원의 투여가 DDA 리포솜에 ESAT-6이 투여되었을 때보다 결핵에 대해 훨씬 더 강력한 방어 면역반응을 유도함을 발견하였다.
불행하게도, 상기한 바와 같은 DDA 단독 또는 DDA 및 MPL, TDM 또는 TDB의 혼합물과 같은 양친매성 4급 암모늄 화합물의 현탁액은 물리적으로 불안정하며, 응집과 침전의 발생 없이는 4℃에서의 지속적 보관이 불가능하다. 침전은 상기 제형(formulation)의 임상적인 사용을 방해할 것이기 때문에, DDA 제형의 안정성 결여는 인체 적용에 있어서 지금까지 주요 장애가 되었다.
영국 특허번호 2147263-A에서, 다까시(Takahashi) 및 쯔지이는(Tsujii)는 2개의 4급 암모늄 화합물을 함께 혼합하거나, 다양한 계면활성제를 상기 4급 암모늄 화합물에 첨가함으로써 4급 암모늄 화합물의 소포의 안정화(stabilization)를 기술하고 있다.
미국 특허번호 5026546에서, 힐거스(Hilgers) 및 웨스트스트레이트(Weststrate)는 폴리아릴 수크로스(polyalyl sucrose)와 교차결합된(crosslinked) 아크릴산 중합체를 갖는 DDA의 보강제 현탁액의 안정화를 기술하고 있다.
세포의 형질전환(transfection)을 위한 양이온 지질-프로타민-DNA 복합체의 동결건조법(lyophilization)이 리(Li) 등(2000)에 의해 기술되었다. 단당류 및 이당류와 같은 종래의 저온보호제(cryoprotectants)를 첨가하는 효과가 평가되었으며, 이당류들은 단당류들에 비해 입자크기를 보존하는 데 더 양호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10% 수크로스로 안정화된 동결건조되지 않은 지질-프로타민-DNA 복합체는 4℃에서 8주간의 보관 후에도 안정한 입자 크기를 유지하나, 형질전환 효율은 동결건조되지 않은 시료에서보다 동결건조된 경우에 더 높았다.
미국 특허번호 5922350은 리포솜의 탈수반응 이전에 트레할로스 및 수크로스와 같은 당류를 첨가함으로써, 인지질 등에 기초한 리포솜의 저장기간을 연장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더욱이, 상기 특허는 농도 구배(gradients)의 조합 및 탈수-수화 과정에 의하여, 미리 형성되고 저장된 리포솜의 지연된 로딩이 가능함을 기술하고 있다.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유도체로 안정화된, 약물 전달을 위한 인지질의 리포솜(푸소지닉(fusogenic) 리포솜)이 WO 96/10392에서 기술되어 있다. WO 02/03959에 기술된 또 다른 약물 전달 제형은 양이온 리포솜 및 중성 리포솜을 포함하는 제형을 개시하고 있으며, 각각의 리포솜 그룹은 동일 또는 서로 다른 치료제 중 어느 하나를 수반한다.
리포솜 조제(preparation)를 위한 바람직한 방법들이 방햄 등(Bangham et al., 1965)에 의해 기술되어 있다. 상기 조제는 인지질의 유기 용매에서의 용해를 수반하며, 이후 증발 건조시켜 시험관의 내부에 얇은 지질막을 남기도록 한다. 상기 건조된 지질막은 적당량의 수용액 상에서 수화되며, 혼합물은 상기 지질의 상전이(phase transition) 온도를 넘어서 가열되어 "팽창(swell)" 된다. 그 결과 생성된 리포솜은 다중막 소포들(multiamellar vesicles:MLV's)로 구성되며, 시험관을 흔들어 줌으로써 흩어진다. 소포성 이중막을 구성하는 상기 지질들은 소수성 탄화수소 "꼬리"가 이중층의 중심부로 향하게 하고, 반면, 소수성 "머리"부분은 수용액 상(aqueous phase)의 내부 및 외부로 향하게 한다. 상기 조제는 초음파분해처리(sonication)(Papahadjopoulos et al., 1967) 또는 미국특허번호 5008050에서 컬리스(Cullis)가 기술한 바대로 압출(extrusion)과 같은 방법들에 의하여 단일막 소포들을 생산하는 토대를 제공한다.
스조카 및 파파하드조포러스(Szoka and Papahadjopoulos, 1978: 미국특허출원 4235871)에 의하여 소개된 역상 증발법은 소포들을 준비하는데 사용하는 다른 기법 중 하나이다. 상기 기법은 유기용매 내의 지질의 유중수 에멀젼(water-in-oil emulsion) 및 캡슐화될 물질을 포함하는 수성 완충용액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감압된 상태에서 상기 유기용매의 제거는 점성의 겔(gel)을 생산한다. 상기 겔이 붕괴될 때 지질 소포들의 수성 현탁액이 형성된다.
카르모나-리베이로 및 차이모비흐(Carmona-Ribeiro and Chaimovich, 1983)에 의한 다른 방법은 원하는 지질의 클로로포름, 메탄올, 에탈올 등과 같은 유기용액을 수성 완충액에 분사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지질들은 용매가 증발함에 따라 자발적으로 리포솜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리포솜은 DDA에 관하여 홀텐-안데르센 등(2004)에 의하여 기술된 수성 가열법에 의하여 준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하여 완충 수용액(aqueous buffer)내에서 화합물을 형성하는 리포솜의 현탁액은 20분간 간헐적으로 흔들어 줌으로써 예컨대, 80℃까지 가열되고, 이후 실내온도까지 냉각된다.
우다드(Woodard) 등(1980), 드자타(Dzata) 등(1991) 및 홀텐-안데르센 등(2004)에 의하여 사용되고 기술된 상기 언급된 "수성 가열법"은 DDA 및 TDB 용액을 안정화시키지는 않는다.
하나의 특별한 바람직한 방법에서, 단백질 항원들은 탈수-재수화 방법(Kirby and Gregoriadis, 1984)에 의해 먼저 형성된 소포들 내에 갇히게 된다. 상기 방법에서 수용액 상에 존재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펩티드 또는 단백질들이 동결건조에 의해 갇히게 되고, 이후 동결건조된 리포솜들이 재수화된다.
별법으로, 상기 항원은 픽(Pick, 1981) 및 발리 등(Bally et al.)에 의해 미국특허번호 4975282에서 기술된 동결 및 해동 기술을 이용하여 함입된다. 상기 기술에서 소포들은 단백질 항원과 함께 혼합되고, 액체 질소 내에서 반복적으로 약간 동결(snap frozen)되며, 해당 지질의 주된 상전이 온도를 넘어서는 온도까지 가열된다. 상기 소포들은 비속박(non-entrapped) 항원을 제거하기 위하여 세척 및 원심분리 등의 더 많은 처리를 거칠 수 있다.
TDB와 같은 아실화된 글리코시드들(acylated glycosides) 및 미코박테리아 세포벽으로부터 분리된 코드 팩터(cord factor)인 TDM이 인지질 소포들 간의 융합(fusion)을 억제함이 알려져 있다(Spargo et al., 1991 및 Crowe et al., 1994). 친수성의 트레할로스 부분(trehalose moiety)은 상기 소포들의 표면에서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융합에 중요한 일차적 장애가 되는 수화력(hydration force)을 증가시킨다. 별법으로, 고정된 트레할로스 부분은 융합에 입체(steric) 장애로서 작용할 수 있다(Spargo et al., 1991).
인지질로부터의 리포솜들(TDB 없이)은 인플루엔자 백신 등에서 실험적으로 보강제로서 현재 사용된다(Ben-Yehuda et al., 2003). 또 다른 예는 인플루엔자에 대한 IMUXENTM 리포솜 백신이다(Lipoxen Technologies Ltd.; Gregoriadis et al., 1999).
4급 암모늄 화합물 및 특히 DDA는 매우 유망한 효과적인 백신 보강제 후보물질이나 수용액에서 물리적으로 불안정하여, 보관 중 응집과 침전물을 형성하는 주요 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형성된 소포들을 안정화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본 발명은 DDA와 같은 양이온 지질로 구성되는 보강제 제형들을 안정화시키는 새로운 방법을 기술한다. 덧붙여, 상기 방법에 의하여 상기 제형의 보강제 효과가 강화된다.
본 발명은 당지질을 갖는 수용액상의 제형 내의 양이온 리포솜을 안정화시키는 새로운 방법을 개시한다. 예컨대, 양친매성 4급 암모늄 화합물로부터 만들어진 양이온 리포솜들은 당지질을 리포솜막 내로 주입함으로써 안정화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4급 암모늄 화합물이 디메틸디옥타데실암모늄(dimethyldioctadecylammonium)(DDA) 또는 디메틸디옥타데세닐암모늄(dimethyldioctadecenylammonium)(DODA)의 브롬화물, 염화물, 황산염, 인산염 또는 초산염일 때이다.
그 밖의 바람직한 4급 암모늄 화합물들은 1,2-디올레오일(dioleoyl)-3-트리메틸암모늄 프로판(trimethylammonium propane)(DOTAP), 1,2-디미리스토일(dimyristoyl)-3-트리메틸암모늄 프로판, 1,2-디팔미토일(dipalmitoyl)-3-트리메틸암모늄 프로판, 1,2-디스테아로일(distearoyl)-3-트리메틸암모늄 프로판 및 디올레오일-3-디메틸암모늄 프로판(DODAP) 및 N-[1-(2,3-디올레일옥시(dioleyloxy))프로필(propyl)]-N, N, N-트리메틸암모늄(DOTMA)들이다.
리포솜들을 안정화시키는 당지질은 바람직하게는 알파, 알파'-트레할로스 6, 6' 디베헤네이트(TDB) 또는 알파, 알파'-트레할로스 6, 6'-디미코레이트(TDM)이다. 제형 내에서 상기 당지질의 몰백분율은 0.5 내지 95 몰%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약 20 몰%, 더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8 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안정화된 리포솜들을 백신 조성물 등의 보강제로서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최종 산물이 안정된, 면역화를 위한 수성 매질에 보강제를 갖는 백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술된 백신 보강제로서의 사용법에 의하여 안정화된 리포솜 산물을 개시한다. 상기의 백신은 예컨대, 결핵, 말라리아, 클라미디아(chlamydia) 등의 질병에 대해 사용할 수 있다.
"리포솜"은 수성의 핵(aqueous core)을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지질 이중층으로 구성된 폐쇄(closed) 소포 구조체로서 정의된다. 각각의 지질 이중층은 2개의 지질 단일층으로 구성되고, 각각은 소수성 "꼬리" 부분 및 친수성 "머리" 부분을 가진다. 이중층에서, 상기 지질 단일막들의 소수성의 꼬리들은 이중층 내부로 향하는 반면, 친수성의 머리들은 이중층의 외부로 향한다. 리포솜은 크기, 지질 성분, 표면 전하, 유동성 및 이중막의 갯수 등과 같은 다양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가진다. 지질 이중층의 갯수에 따라서 리포솜은 단일 지질 이중층을 포함하는 단일막 소포(UV) 또는 물로 채워진 층에 의해 분리된 2개 이상의 동심원의 이중층을 포함하는 다중막 소포(MLV)로 분류될 수 있다. 수용성 화합물은 지질 이중막의 내부에 갇힌 친유성의 화합물과 반대로, 리포솜의 수성의 상(phases)/핵(core) 내에 갇힌다.
"미셀(micelle)"은 양친매성 분자들의 콜로이드성 응집체(aggregate)로서 정의되며, 임계 미셀 농도(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CMC)로서 알려진 잘 정의된 농도에서 발생한다. 미셀 내에 응집된 분자들의 일반적인 갯수(응집수)는 50 내지 100개이다. 미셀은 탄화수소 꼬리부분이 중심을 향하고 극성의 머리부분은 외부의 수성 환경을 향하도록 지향된 계면활성제(surfactant) 분자들로 구성된 구형일 수 있다. 그 밖의 가능한 구조로 역전된(inverted) 미셀 및 원통형의 미셀을 포함한다.
"양이온 지질"이란 용어는 소수성 및 극성 머리 부분을 가지며, 생리학적 pH에서 순 양전하을 띠고, 자체로 물속에서 자발적으로 이중막 소포 또는 미셀로 형성될 수 있는 합성 지질 및 지질 유사체를 비롯한 양친매성 지질을 모두 포괄할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특히 바람직한 하나의 양이온 지질 형태는 일반적으로 공식 NR1R2R3R4-X를 갖는 4급 암모늄 화합물로서, R1 및 R2는 각기 독립적으로 1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단쇄(short chain) 알칼기(alkyl group)이며, R3는 독립적으로 수소이거나 12 내지 20개,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메틸 또는 알킬기이며, R4는 독립적으로 12 내지 20개,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탄화수소기이다. X는 제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음이온이며, 자체로 무독성이다.
이러한 음이온들의 예는 할로겐화 음이온(halide anions), 염화물, 브롬화물 및 요오드(iodine)들이다. 또한, 황산염, 인산염과 같은 무기질의(inorganic) 음이온 또는 아세트산과 같은 간단한 유기산으로부터 유래한 유기질 음이온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R1 및 R2 그룹은 메틸, 에틸, 프로필 및 이소프로필일 수 있는 반면, R3는 수소, 메틸 또는 도데실(dodecyl), 트리데실(tridecyl), 테트라데실(tetradecyl), 펜타데실(pentadecyl), 헥사데실(hexadecyl), 헵타데실(heptadecyl), 옥타데실(octadecyl), 노나데실(nonadecyl) 및 에이코킬(eicocyl) 기이며 R4는 도데실, 트리데실, 테트라데실, 펜타데실, 헥사데실, 헵타데실, 옥타데실, 노나데실 및 에이코킬일 수 있다. 그러나, 비록 상기 R3 및 R4기가 바람직하게는 가지가 없는(no branched) 부사슬(side chains)로 포화되어 있을지라도 어느 정도 메틸 및 에틸 등의 부사슬을 가지며 가지를 뻗을 수 있기 때문에, C12-C20 탄화수소기 역시 가능하다. 또한, R3 및 R4는 예컨대, 1-3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약간의 불포화성을 가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알킬기로 포화된다. 상기 양이온 지질은 가장 바람직하게는 디메틸디옥타데실암모늄 브롬화물 또는 염화물(DDA-B or DDA-C) 또는 이들의 황산염, 인산염, 초산염(DDA-X), 또는 디메틸디옥타데세닐암모늄(dimethyldioctadecenylammonium) 브롬화물 또는 이의 염화물(D0DA-B 또는 DODA-C) 또는 이들의 황산염, 인산염, 초산염 화합물(DODA-X)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바람직한 양이온 지질의 다른 형태는 1,2-디올레오일-3-트리메틸암모늄 프로판(DOTAP), 1,2-디미리스토일-3-트리메틸암모늄 프로판, 1,2-디팔미토일-3-트리메틸암모늄 프로판, 1,2-디스테아로일-3-트리메틸암모늄 프로판, 1,2-디올레오일-3-디메틸암모늄 프로판(DODAP) 및 N-[1-(2,3-디올레일옥시 프로필]-N, N, N-트리메틸암모늄(DOTMA)이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양이온 리포솜은 당지질이 리포솜 막내로 함입됨으로써 안정화된다. 함입에 의한다 함은 분자의 소수성 부분 및 친수성 부분이 막, 미셀, 리포솜 또는 이중층의 해당 소수성 및 친수성 부분 또는 일부에 삽입되는 절차를 의미한다. 당지질들을 리포솜들 내로 함입하기 위한 절차들은 "박막법(the thin film method)", "역상증발법(the reverse phase evaporation method)" 및 "유기용액분사법(the organic solution injection method)"일 수 있으며, 그외 현재 또는 미래에서 당지질을 리포솜 막 내로 함입하는 동일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서 아직 알려지지 않은 방법을 포함한다. 현재 알려진 모든 방법들은 발명의 배경기술에서 언급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박막법이다.
당지질은 긴사슬 지방산, 아실글리세롤(acylglycerol), 스핑고이드(sphingoid), 세라미드(ceramide) 또는 프레닐 인산(prenyl phosphate)과 같은 소수성 부분에 글리코시드 결합된 하나 이상의 단당류 잔기를 포함하는 화합물로서 정의된다. 본 발명의 당지질은 합성에 의하거나 식물 또는 미코박테리아와 같은 미생물로부터 기원한다.
본 발명에 이용된 하나의 당지질 계열은 1 내지 3개의 지방산으로 에스테르화된 1 내지 2개의 당잔기(sugars residues)로 구성되는 아실화된(또는 알킬화된) 글리코시드이다. 상기 지방산들은 포화지방산 예를 들어, 미리스트산(myristic acic) C14:0, 펜타데칸산(pentadecanoic acid) C15:0, 팔미트산(palmitic acid) C16:0, 헵타데칸산(heptadecanoic acid) C17:0, 스테아르산(stearic acid) C18:0, 노나데칸산(nonadecanoic acid) C19:0, 아라키드산(arachidic acid) C20:0, 헤네이코산산(heneicosanoic acid) C21:0, 베헨산(behenic acid) C22:0 및 불포화 지방산 예컨대, 올레산(oleic acid) C18:1n-9, 리놀산(linoleic acid) 18:2n-6, 또는 미콜산(mycolic acid), 메톡시기미콜산(methoxymycolic acid), 케토미콜산(ketomycolic acid), 에폭시미콜산(epoxymycolic acid) 및 코리노미콜산(corynomycolic acid)과 같은 고급 분지 지방산(complex branched fatty acid)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직선형 사슬일 수 있다. 당잔기는 포도당, 과당과 같은 간단한 단당류 또는 2개의 단당류가 공유결합으로 연결된 이당류, 예를 들면 포도당과 과당으로 구성된 자당(sucrose) 및 2개의 글루코스가 글리코시드 결합된 트레할로스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된 하나의 당지질의 형태는 미코박테리아로부터 분리된 세포벽 당지질로서, 1 내지 3분자 중 어느 하나의 통상의 팔미트산 C16:0, 올레산 C18:1n-9, 리놀산 18:2n-6 또는 복잡한 히드록시(complex hydroxy), 분기사슬(branched chain) 지방산 예를 들면, 탄소원자 60 내지 90의 길이를 갖는 미콜산 잔기(residues)로 에스테르화된 이당류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이용된 그 밖의 세균성 당지질은 코리노 박테리아(Corynobacterium), 노카르디아(Nocardia)로부터 분리된 코리노미콜산(22-36개의 탄소) 또는 노카르도미콜산(44-60개의 탄소)과 같은 더 짧은 지방산 사슬을 가진다. 바람직한 미코박테리아 당지질은 종종 코드 팩터로 언급되는 알파, 알파'-트레할로스 6, 6'-디미코레이트(TDM)으로서, 미코박테리아 세포벽의 가장 중요한 면역조절 성분 중 하나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당지질은 TDM의 순수 합성 유사체인 알파, 알파'-트레할로스 6, 6'-디베헤네이트(TDB)와 같은 2분자의 도코산(docosanoic) 지방산(베헨산)으로 에스테르화된 이당류의 알파, 알파'-트레할로스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이용된 다른 당지질 계열은 하기를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 것으로서;
글리세롤에 기초한 당지질: 이 지질은 1 또는 2개의 지방산으로 아실화(또는 알킬화)될 수 있는 글리세롤의 히드록시기에 글리코시드결합을 하는 단당류 또는 올리고당의 부분으로 구성된다. 더욱이, 상기 당지질은 전기적으로 중성을 띨 수 있고, 따라서 종종 중성 글리세롤당지질(neutral glycoglycerolipids)로 불리거나, 황산기 또는 인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원 성분 또는 물질은 폴리펩티드 또는 이의 일부로서, 동물 또는 인체 및/또는 본 원에 기술된 어떤 생물학적 분석시험에 의해 결정된 생물학적 표본 내에서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폴리펩티드의 면역원성(immunogenic) 부분은 T세포 또는 B세포의 항원결정기(epitope)일 수 있다. 면역반응 동안에 인식되는 관련 T세포의 항원결정기를 식별하기 위해서, "브루트포스(brute force)"법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T세포 항원결정기는 선형이기 때문에, 폴리펩티드의 결실변이체(deletion mutants)는, 만약 체계적으로 조성된다면, 예를 들어 상기 결실변이체를 본 원에 기술된 IFN-감마 분석시험 등을 함으로써 상기 폴리펩티드의 어느 영역이 면역 인식에 있어서 필수적인지 보여주게 된다. 위와 달리, 상기 폴리펩티드로부터 유래한 오버랩핑(overwrapping) 올리고펩티드(바람직하게는 20 아미노산 잔기의 길이를 가짐)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 펩티드들은 생물학적 분석시험(예컨대, 상기 IFN-감마 분석시험)에서 시험될 수 있으며, 이들 중 일부는 상기 펩티드의 T세포 항원결정기의 존재에 대한 증거로서 양성 반응(즉, 면역원성)을 보여 줄 것이다. 선형 B세포 항원결정기는 하보에 등(Harboe et al., 1998)이 기술한 바와 같이 관심있는 폴리펩티드를 덮고 있는 오버래핑 펩티드들에 대한 상기 B세포 인식(recognition)을 분석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백신은 투여 제형(dosage formulation)에 적합한 방법으로, 그리고 치료상 효과적이고 면역성이 있을 양으로 투여된다. 그 양은 치료될 대상에 좌우되며, 예를 들어 면역반응에 이르게 되는 개인의 면역 체계의 수용력 및 원하는 방어도(degree of protection)를 포함한다. 적당한 투여량의 범위는 예방접종마다 대략 수백 마이크로그램의 활성 성분으로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300㎍, 특별하게는 약 10 내지 50㎍의 범위와 같은 약 0.1 내지 1000㎍ 범위이다. 최초 투여 및 추가 접종(booster shot)에 있어 적절한 요법들이 다양하게 있으나, 후속되는 접종 또는 그 밖의 투여들에 앞서, 최초 투여가 대표적이다.
Mole% TDB |
농도 | |||
DDA(mM) | TDB(mM) | DDA(mg/ml) | TDB(mg/ml) | |
0 | 10 | 0.0 | 6.25 | 0.0 |
0.5 | 10 | 0.05 | 6.25 | 0.05 |
2.5 | 10 | 0.25 | 6.25 | 0.25 |
6 | 10 | 0.6 | 6.25 | 0.625 |
12.5 | 10 | 1.3 | 6.25 | 1.25 |
16 | 10 | 1.9 | 6.25 | 1.875 |
20 | 10 | 2.5 | 6.25 | 2.5 |
몰% TDB |
4℃에 보관된 시간 | |
1일 | 2개월 | |
0 | 침전 | 침전, 재현탁불가 |
0.5 | 침전 | 침전, 재현탁불가 |
2.5 | 침전없음 | 침전, 상분리, 재현탁가능 |
6 | 침전없음 | 소량침전, 재현탁용이 |
11 | 침전없음 | 침전없음 |
16 | 침전없음 | 침전없음 |
20 | 침전없음 | 침전없음 |
몰% | Tm(℃) | Area | ΔT½(℃) |
0 | 47.24 | 8932 | 0.33 |
1 | 46.92 | 10830 | 0.46 |
5 | 45.94 | 8009 | 1.79 |
10 | 43.18 | 11252 | 2.92 |
15 | 42.80 | 9793 | 1.13 |
20 | 43.55 | 14139 | 2.26 |
전체 IgGa | |
무처치 대조군(Naive control) | <100 |
Ag85B-ESAT-6/알히드로겔 | 51600 |
Ag85B-ESAT-6/DDA/TDB | 218000 |
Claims (21)
- 당지질을 리포솜들 내로 함입함으로써 수성의 제형 내에서 양이온 지질로 이루어진 리포솜들을 안정화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양이온 지질은 양친매성 4급 암모늄 화합물이고, 상기 당지질은 그의 소수성 모이어티는 이중막의 소수성 부분에 삽입되고 그의 극성 머리부분의 모이어티는 이중막의 친수성 표면을 향하여 배향되어 안정적으로 상기 이중막 내로 함입되는 것인 양이온 지질로 이루어진 리포솜들을 안정화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양친매성의 4급 암모늄 화합물은 1 또는 2개의 지방족 사슬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이온 지질로 이루어진 리포솜들을 안정화하는 방법.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지방족 사슬들은 각각 12 내지 20개의 C 원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이온 지질로 이루어진 리포솜들을 안정화하는 방법.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양친매성의 4급 암모늄 화합물은 디메틸디옥타데실암모늄 브롬화물, 디메틸디옥타데실암모늄 염화물, 디메틸디옥타데실암모늄 황산염, 디메틸디옥타데실암모늄 인산염, 디메틸디옥타데실암모늄 초산염, 디메틸디옥타데세닐암모늄 브롬화물, 디메틸디옥타데세닐암모늄 염화물, 디메틸디옥타데세닐암모늄 황산염, 디메틸디옥타데세닐암모늄 인산염, 디메틸디옥타데세닐암모늄 초산염, 1,2-디올레오일-3-트리메틸암모늄 프로판, 디올레오일-3-디메틸암모늄 프로판 및 N-[1-(2,3-디올레일옥시)프로필]-N, N, N-트리메틸암모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이온 지질로 이루어진 리포솜들을 안정화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당지질은 1 또는 2개의 당 잔기에 결합된 1 내지 3개의 지방족 탄화수소 사슬들에 의하여 형성된 아실화된 글리코시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이온 지질로 이루어진 리포솜들을 안정화하는 방법.
- 제5항에 있어서,상기 당지질은 2개의 아실 사슬들을 갖는 이당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이온 지질로 이루어진 리포솜들을 안정화하는 방법.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아실 사슬들은 15 내지 90개의 C원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이온 지질로 이루어진 리포솜들을 안정화하는 방법.
- 제7항에 있어서,상기 당지질은 알파,알파'-트레할로스 6,6' 디베헤네이트(TDB) 또는 알파,알파'-트레할로스 6,6'-디미코레이트(TD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이온 지질로 이루어진 리포솜들을 안정화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특유의 당지질의 몰 백분율은 0.5 내지 95 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이온 지질로 이루어진 리포솜들을 안정화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특유의 당지질의 몰 백분율은 2.5 내지 20 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이온 지질로 이루어진 리포솜들을 안정화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특유의 당지질의 몰 백분율은 5 내지 18 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이온 지질로 이루어진 리포솜들을 안정화하는 방법.
- 상기 제1항 내지 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하여 안정화된 리포솜 산물.
- 제12항에 있어서,항원 화합물은 상기 리포솜들 내에 캡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솜 산물.
- 제12항에 있어서,약물 전달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솜 산물.
- 제13항에 있어서,보강제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솜 산물.
- 제12항에 따른 리포솜 산물을 포함하는 백신 보강제.
- 제16항에 있어서,상기 보강제는 모노포스포릴 지질 A(MPL), 모노포스포릴 지질 A(MPL)의 유도체, 폴리이노신 폴리시티딜산(poly-IC), 무라밀 디펩티드(MDP), 무라밀디펩티드(MDP)의 유사체, 지모산, 이중가닥 RNA (ds RNA), DC-Chol, CpG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티드 및 타목시펜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면역조절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백신 보강제.
- 제16항에 있어서,상기 백신 보강제는 무라밀 디펩티드 (MDP) 및/또는 폴리이노신 폴리시티딜산(poly-IC)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보강제.
- 제16항에 있어서,클라미디아, 말라리아 또는 결핵 백신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제.
- 제16항에 따른 보강제를 포함하는 클라미디아, 말라리아 또는 결핵에 대해 사용되는 백신.
- 제12항에 따른 리포솜 산물을 포함하는 전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KPA200401070 | 2004-07-07 | ||
DKPA200401070 | 2004-07-07 | ||
PCT/DK2005/000467 WO2006002642A2 (en) | 2004-07-07 | 2005-07-05 |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tabilizing lipid based adjuvant formulations using glycolipid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51847A KR20070051847A (ko) | 2007-05-18 |
KR101275837B1 true KR101275837B1 (ko) | 2013-06-18 |
Family
ID=34982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7002648A Expired - Lifetime KR101275837B1 (ko) | 2004-07-07 | 2005-07-05 | 당지질들을 이용하여 지질기반 보강제 제형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
Country Status (16)
Country | Link |
---|---|
EP (1) | EP1765289B1 (ko) |
JP (1) | JP4987704B2 (ko) |
KR (1) | KR101275837B1 (ko) |
CN (1) | CN1980638B (ko) |
AT (1) | ATE406874T1 (ko) |
AU (1) | AU2005259685B2 (ko) |
BR (1) | BRPI0512757B8 (ko) |
CA (1) | CA2572985C (ko) |
DE (1) | DE602005009535D1 (ko) |
DK (1) | DK1765289T3 (ko) |
ES (1) | ES2315880T3 (ko) |
PL (1) | PL1765289T3 (ko) |
PT (1) | PT1765289E (ko) |
SI (1) | SI1765289T1 (ko) |
WO (1) | WO2006002642A2 (ko) |
ZA (1) | ZA200701043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040745B1 (en) | 2006-06-28 | 2012-12-05 | Statens Serum Institut | Expanding the t cell repertoire to include subdominant epitopes by vaccination with antigens delivered as protein fragments or peptide cocktails |
EP2068886B1 (en) | 2006-10-03 | 2013-09-18 | Tekmira Pharmaceuticals Corporation | Lipid containing formulations |
ES2394729T3 (es) | 2007-06-29 | 2013-02-05 | Statens Serum Institut | El uso de monomicolil glicerol (MMG) como adyuvante |
JP5721620B2 (ja) * | 2008-05-02 | 2015-05-20 | キャンサー・リサーチ・テクノロジー・リミテッドCancer Research Technology Limited | 免疫応答を刺激するための作製物および方法 |
PT2385980T (pt) * | 2009-01-08 | 2018-06-26 | Albert Einstein College Medicine Inc | Vacinas bacterianas com glicolípidos do tipo ceramida associados à parede celular e utilização dos mesmos |
US9849173B2 (en) * | 2009-07-06 | 2017-12-26 | Variation Biotechnologies Inc. | Methods for preparing vesicles and formulations produced therefrom |
WO2012003205A2 (en) * | 2010-07-02 | 2012-01-05 | Intervet International B.V. | Vaccine against ehrlichia canis and associated methods |
US20140112979A1 (en) | 2011-07-04 | 2014-04-24 | Statens Serum Institut | Methods for producing liposomes |
CN104159615B (zh) * | 2011-12-12 | 2017-08-18 | 协和发酵麒麟株式会社 | 含有阳离子性脂质的组合的脂质纳米粒子 |
US9839616B2 (en) | 2011-12-12 | 2017-12-12 | Kyowa Hakko Kirin Co., Ltd. | Lipid nano particles comprising cationic lipid for drug delivery system |
JP2016175841A (ja) * | 2013-08-02 | 2016-10-06 | 三郎 斎藤 | リポソームと、細胞障害性t細胞活性を誘導するワクチン組成物 |
JP6586083B2 (ja) * | 2013-09-19 | 2019-10-02 | ゾエティス・サービシーズ・エルエルシー | 油性アジュバント |
WO2016021601A1 (ja) * | 2014-08-04 | 2016-02-11 | 日東電工株式会社 | 核内受容体リガンドを含む免疫誘導促進用組成物及びワクチン医薬組成物 |
CN107847603B (zh) * | 2015-07-20 | 2021-05-11 | 硕腾服务有限责任公司 | 脂质体佐剂组合物 |
EP3774829A2 (en) | 2018-04-13 | 2021-02-17 |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 Immunigenic alpha-branched trehalose-diesters |
AU2021257050A1 (en) * | 2020-04-15 | 2022-10-27 | Statens Serum Institut | Liposom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early treatment of pathogenic infection |
CN114657147B (zh) * | 2022-01-27 | 2023-12-01 | 安徽智飞龙科马生物制药有限公司 | 一种生物材料的保护剂及其应用 |
CN115068602B (zh) * | 2022-08-22 | 2022-11-01 | 北京华诺泰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 一种表面改性氧化铝的复合疫苗佐剂、制备方法及应用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08934A (en) * | 1983-11-30 | 1992-04-28 | Kabushiki Kaisha Toshiba | Quantitative immunoassay utilizing liposomes |
JP2714972B2 (ja) * | 1988-02-02 | 1998-02-16 | 千葉製粉株式会社 | リン脂質集合体用修飾剤、リン脂質小胞体用凝集防止剤、リン脂質小胞体用融合防止剤およびリン脂質膜用表面固定化剤 |
JPH03249561A (ja) * | 1990-02-28 | 1991-11-07 | Toshiba Corp | 免疫分析試薬 |
JPH0482824A (ja) * | 1990-07-23 | 1992-03-16 | Nippon Oil & Fats Co Ltd | リポソーム及び水中油型エマルション |
JPH0616688A (ja) * | 1992-06-30 | 1994-01-25 | Nippon Oil & Fats Co Ltd | 脂肪酸糖エステル |
JP3884488B2 (ja) * | 1993-03-10 | 2007-02-21 | 千葉製粉株式会社 | オリゴ糖脂質 |
JP3329554B2 (ja) * | 1993-03-10 | 2002-09-30 | 千葉製粉株式会社 | 乾燥小胞体 |
US5885613A (en) * | 1994-09-30 | 1999-03-23 |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 Bilayer stabilizing components and their use in forming programmable fusogenic liposomes |
JPH0925287A (ja) * | 1995-07-13 | 1997-01-28 | Eisai Co Ltd | 合成脂質 |
JPH09110722A (ja) * | 1995-10-20 | 1997-04-28 | Toray Ind Inc | 抗腫瘍活性物質の腫瘍細胞内導入用イムノリポソーム及びその調製法 |
US6183774B1 (en) * | 1996-01-31 | 2001-02-06 | Collaborative Laboratories, Inc. | Stabilizing vitamin A derivatives by encapsulation in lipid vesicles formed with alkylammonium fatty acid salts |
US6210707B1 (en) * | 1996-11-12 | 2001-04-03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 Methods of forming protein-linked lipidic microparticles, and compositions thereof |
GB9808268D0 (en) * | 1998-04-17 | 1998-06-17 | Imp College Innovations Ltd | Compound |
GB0007150D0 (en) * | 2000-03-24 | 2000-05-17 | Lamellar Therapeutics Limited | Immunotherapeutic methods and compositions |
US20060029655A1 (en) * | 2001-06-25 | 2006-02-09 | Yissum Research Development Company Of Th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 Method for preparation of vesicles loaded with biological material and different uses thereof |
-
2005
- 2005-07-05 DE DE602005009535T patent/DE602005009535D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5-07-05 PL PL05756461T patent/PL1765289T3/pl unknown
- 2005-07-05 AU AU2005259685A patent/AU2005259685B2/en not_active Expired
- 2005-07-05 JP JP2007519615A patent/JP4987704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5-07-05 KR KR1020077002648A patent/KR101275837B1/ko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5-07-05 PT PT05756461T patent/PT1765289E/pt unknown
- 2005-07-05 ES ES05756461T patent/ES2315880T3/es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5-07-05 EP EP05756461A patent/EP1765289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5-07-05 WO PCT/DK2005/000467 patent/WO2006002642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5-07-05 BR BRPI0512757A patent/BRPI0512757B8/pt active IP Right Grant
- 2005-07-05 CA CA2572985A patent/CA2572985C/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5-07-05 DK DK05756461T patent/DK1765289T3/da active
- 2005-07-05 SI SI200530467T patent/SI1765289T1/sl unknown
- 2005-07-05 AT AT05756461T patent/ATE406874T1/de active
- 2005-07-05 CN CN200580022926XA patent/CN1980638B/zh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7
- 2007-02-05 ZA ZA200701043A patent/ZA200701043B/xx unknown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Dai Kitamoto et al., ‘Functions and potential applications of glycolipid biosurfactants-from energy-saving materials to gene delivery carriers-, J. bioscience & bioengeering Vol.94(3), pp 187-201, 200* |
Dai Kitamoto et al., 'Functions and potential applications of glycolipid biosurfactants-from energy-saving materials to gene delivery carriers-, J. bioscience & bioengeering Vol.94(3), pp 187-201, 200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SI1765289T1 (sl) | 2009-02-28 |
KR20070051847A (ko) | 2007-05-18 |
JP2008505131A (ja) | 2008-02-21 |
EP1765289A2 (en) | 2007-03-28 |
PL1765289T3 (pl) | 2009-02-27 |
EP1765289B1 (en) | 2008-09-03 |
AU2005259685A1 (en) | 2006-01-12 |
AU2005259685B2 (en) | 2010-04-08 |
BRPI0512757B8 (pt) | 2021-05-25 |
BRPI0512757A (pt) | 2008-04-08 |
JP4987704B2 (ja) | 2012-07-25 |
BRPI0512757B1 (pt) | 2021-04-06 |
ATE406874T1 (de) | 2008-09-15 |
PT1765289E (pt) | 2008-12-05 |
DE602005009535D1 (de) | 2008-10-16 |
CN1980638B (zh) | 2011-10-12 |
WO2006002642A3 (en) | 2006-05-18 |
DK1765289T3 (da) | 2008-12-15 |
WO2006002642A2 (en) | 2006-01-12 |
CA2572985A1 (en) | 2006-01-12 |
ES2315880T3 (es) | 2009-04-01 |
ZA200701043B (en) | 2007-12-27 |
CA2572985C (en) | 2014-04-22 |
CN1980638A (zh) | 2007-06-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77823B2 (en) |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tabilizing lipid based adjuvant formulations using glycolipids | |
KR101275837B1 (ko) | 당지질들을 이용하여 지질기반 보강제 제형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 |
US20190201340A1 (en) | Methods for producing liposomes | |
US9486510B2 (en) | Method to enhance an immune response of nucleic acid vaccination | |
JP2502234B2 (ja) | リポソ―ム含有ワクチン組成物 | |
PT955059E (pt) | ''vacinas contendo uma saponina e um esterol'' | |
JP6466571B2 (ja) | アジュバント添加ビロソーム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アジュバント添加ビロソーム | |
US11304999B2 (en) | Dried composition of saponin in a liposomal formulation with a neutral lipid, a sterol, and a cryoprotectant | |
ES2285466T3 (es) | Combinaciones adyuvantes de liposomas y lipidos de micobacterias para composiciones de inmunizacion y vacunas. | |
US20110287087A1 (en) | Modified cationic liposome adjuvans | |
JP7082110B2 (ja) | アジュバント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むワクチン組成物並びに薬剤キット | |
HK1190949A (en) | Methods for producing liposom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7020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7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6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6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6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J204 |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 ||
PJ0204 |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010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130611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PJ02041E01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160108 Decision date: 20180123 Appeal identifier: 201610000005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0057;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108 Effective date: 20180123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5D Patent event date: 20180123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160108 Decision date: 20180123 Appeal identifier: 2016100000057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Publication date: 2018040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0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5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