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4460B1 -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4460B1
KR101274460B1 KR1020110122238A KR20110122238A KR101274460B1 KR 101274460 B1 KR101274460 B1 KR 101274460B1 KR 1020110122238 A KR1020110122238 A KR 1020110122238A KR 20110122238 A KR20110122238 A KR 20110122238A KR 101274460 B1 KR101274460 B1 KR 101274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semiconductor package
mounting
shielding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2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6570A (ko
Inventor
조민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2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4460B1/ko
Priority to US13/404,884 priority patent/US8901718B2/en
Priority to TW101108587A priority patent/TWI466249B/zh
Publication of KR20130056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460B1/ko
Priority to US14/312,110 priority patent/US907069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12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52Protection against radiation, e.g. light or electromagnetic wa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50Assembly of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e.g. sealing of a cap to a base of a container
    • H01L21/56Encapsulations, e.g. encapsulation layers, coatings
    • H01L21/565Mou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 H01L23/31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 H01L23/3107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the device being completely enclosed
    • H01L23/3121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the device being completely enclosed a substrate forming part of the encapsulation
    • H01L23/31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the device being completely enclosed a substrate forming part of the encapsulation the substrate having spherical bumps for external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3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the inter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being formed on, or in, insulating substrates
    • H01L23/5385Assembly of a plurality of insulatin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4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4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4/85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wire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16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the devices being of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forming hybri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5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1622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1622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14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the subject-matter covered by the group, the symbol of which is combined with the symbol of this group, being disclosed without further technical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51Die mounting substrate
    • H01L2924/153Connection portion
    • H01L2924/1531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being form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pposite to the die mounting surface
    • H01L2924/15311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being form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pposite to the die mounting surface being a ball array, e.g. BG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51Die mounting substrate
    • H01L2924/156Material
    • H01L2924/15786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non metallic, non metalloid inorganic material
    • H01L2924/15787Ceramics, e.g. crystalline carbides, nitrides or 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81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9Details of hybrid assemblie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91Disposition
    • H01L2924/19101Disposition of discrete passive components
    • H01L2924/19105Disposition of discrete passive components in a side-by-side arrangement on a common die mounting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9Details of hybrid assemblie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91Disposition
    • H01L2924/19101Disposition of discrete passive components
    • H01L2924/19106Disposition of discrete passive components in a mirrored arrangement on two different side of a common die mounting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uctures Or Materials For Encapsulating Or Coating Semiconductor Device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의 양면에 전자 부품들을 실장하여 집적도를 높일 수 있는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는, 양면에 실장용 전극이 형성된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의 양면에 실장되는 다수의 전자 소자; 및 내부에 캐비티를 구비하고 상기 캐비티 내에 상기 제1 기판의 하면에 실장된 상기 전자 소자들이 수용되도록 상기 제1 기판의 하면에 접합되는 제2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SEMICONDUCTOR PACKA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REROF}
본 발명은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판의 양면에 전자 부품들을 실장하여 집적도를 높일 수 있는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제품 시장은 휴대용 장치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이들 제품에 실장되는 전자 소자들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소자들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실장 부품의 개별 사이즈를 감소시키는 기술뿐만 아니라, 다수의 개별 소자들을 원칩(One-chip)화하는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 기술 또는 다수의 개별 소자들을 하나의 패키지로 집적하는 시스템 인 패키지(System In Package: SIP) 기술 등이 요구된다.
한편, 소형이면서도 고성능을 갖는 반도체 패키지를 제조하기 위해, 기판의 양면에 전자 부품을 실장하는 구조도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이처럼 기판의 양면에 전자 부품을 실장하는 경우, 기판에 외부 접속단자를 형성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즉, 기판의 양면에 실장된 전자 부품이 실장되므로, 외부 접속 단자가 형성될 위치가 명확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외부 접속 단자를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양면 실장형의 반도체 패키지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판의 양면에 전자 제품을 실장할 수 있는 양면 실장형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 접속 단자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양면 실장형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는, 양면에 실장용 전극이 형성된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의 양면에 실장되는 다수의 전자 소자; 및 내부에 캐비티를 구비하고 상기 캐비티 내에 상기 제1 기판의 하면에 실장된 상기 전자 소자들이 수용되도록 상기 제1 기판의 하면에 접합되는 제2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의 상기 제2 기판은, 상면에 상기 제1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전극 패드가 형성되고, 하면에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외부 접속 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는, 상기 제1 기판의 상면에 실장된 상기 전자 소자들을 밀봉하는 몰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는, 상기 몰드부의 외부면에 형성되어 전자파를 차폐하는 차폐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의 상기 제2 기판은, 측면을 따라 외부로 노출된 다수의 차폐용 비아가 배치되고, 상기 차폐용 비아는 상기 차폐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의 상기 제2 기판은, 측면을 따라 외부로 노출된 다수의 차폐용 비아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는,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의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제2 기판의 캐비티 형상을 따라, 하면에 상기 절연층의 유동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의 상기 차단부는, 홈 또는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의 상기 캐비티는, 홈 또는 관통 구멍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제조 방법은, 양면에 실장용 전극이 형성된 제1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기판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전자 소자를 실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판의 하면에 적어도 하나의 전자 소자와 제2 기판을 함께 실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 소자를 실장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1 기판의 상면에 몰드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몰드부를 형성하는 단계 이후, 상기 몰드부의 외부면에 차폐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을 함께 실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기판의 측면을 따라 외부로 노출된 다수의 차폐용 비아와 상기 차폐층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을 함께 실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기판의 하면에 솔더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솔더 페이스트 상에 상기 전자 소자 및 상기 제2 기판을 안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솔더 페이스트를 경화시켜 상기 전자 소자와 상기 제2 기판을 상기 제1기판의 하면에 고정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을 함께 실장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을 함께 실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기판에 형성된 캐비티 내부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소자가 수용되도록 실장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는 제1 기판의 양면에 전자 소자들이 실장된다. 그리고 제1 기판의 하면에 배치되는 제2 기판에 의해 외부 접속 단자가 형성된다.
따라서, 하나의 기판(즉 제1 기판)에 다수의 전자 소자들을 실장할 수 있으므로 집적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기판인 제2 기판을 이용하여 전자 소자들이 실장된 제1 기판의 외부 접속 단자를 형성되므로, 양면 실장형 반도체 패키지의 외부 접속 단자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먼저 접합한 이후에 전자 소자들을 실장하지 않고, 제2 기판과 전자 소자들을 함께 실장한다. 즉, 제1 기판의 하면에 전자 소자들과 제2 기판을 함께 안착시킨 후, 경화 과정을 통해 함께 고정 접합한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제조 방법은 솔더 페이스트의 인쇄, 전자 소자 안착, 및 솔더 페이스트 경화 단계를 일회만 수행하여 제1 기판의 하면에 전자 소자들과 제2 기판을 실장할 수 있다.
즉, 제1 기판의 하면 상에 전자 소자들과 제2 기판을 함께 배치하여 함께 고정 접합시키므로, 전자 소자들과 제2 기판을 각각 따로 제1 기판에 접합하는 방식에 비해, 제조 과정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제조가 매우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반도체 패키지의 내부를 도시한 부분 절단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반도체 패키지의 분해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f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반도체 패키지의 내부를 도시한 부분 절단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반도체 패키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100)는 전자 소자(1), 제1 기판(10), 제2 기판(20), 및 몰드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자 소자(1)는 수동 소자(1a)와 능동 소자(1b)와 같은 다양한 소자들을 포함하며, 기판(11) 상에 실장될 수 있는 소자들이라면 모두 전자 소자(1)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소자(1)는 후술되는 제1 기판(10)의 상면과 하면에 모두 실장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1 기판(10)의 상면에 능동 소자(1b)와 수동 소자(1a)가 함께 실장되고, 하면에 수동 소자(1a)만 실장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자 소자들(1)의 크기나 형상, 그리고 반도체 패키지(100)의 설계에 따라 제1 기판(10)의 양면에서 다양한 형태로 전자 소자들(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판(10)의 상면과 하면에 모두 실장되는 전자 소자(1) 중 상면에 실장되는 전자 소자를 제1 전자 소자, 하면에 실장되는 전자 소자를 제2 전자 소자로 구분하여 정의할 수 있다.
제1 기판(10)은 양면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전자 소자(1)가 실장된다. 제1 기판(10)은 당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다양한 종류의 기판(예를 들어, 세라믹 기판, 인쇄 회로 기판, 유연성 기판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10)의 양면에는 전자 소자(1)를 실장하기 위한 실장용 전극(13)이나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실장용 전극들(13) 상호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기판(10)은 복수의 층으로 형성된 다층 기판일 수 있으며, 각 층 사이에는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회로 패턴(1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기판(10)은 상면에 형성되는 실장용 전극(13)과 제1 기판(10)의 내부에 형성되는 회로 패턴(15), 그리고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비아(14)를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기판(10)은 제1 기판(10)의 내부에 전자 소자들(1)을 내장할 수 있는 캐비티(cavity, 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기판(10)은 하면에 외부 접속용 패드(16)가 형성될 수 있다. 외부 접속용 패드(16)는 후술되는 제2 기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구비되며, 제2 기판(20)을 통해 외부 접속 단자(28)와 연결된다.
따라서, 외부 접속용 패드(16)는 제1 기판(10)의 하면 중, 제2 기판(20)이 제1 기판(10)에 결합될 때 제2 기판(20)의 상면과 대면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수개가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판(20)은 제1 기판(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1 기판(10)과 결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기판(20)은 내부에 관통 구멍 형태의 관통부를 구비하는 캐비티(22)가 형성된다. 캐비티(22)는 제1 기판(10)의 하면에 실장된 전자 소자들(1)이 수용되는 공간으로 이용된다. 따라서, 제1 기판(10)의 하면에 실장되는 전자 소자들(1)은, 제1 기판(10)의 하면 중 제2 기판(20)의 캐비티(22)와 대면하는 위치에만 실장될 수 있다.
제2 기판(20)은 제1 기판(10)과 마찬가지로, 당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다양한 종류의 기판(예를 들어, 세라믹 기판, 인쇄 회로 기판, 유연성 기판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2 기판(20)의 양면에는 전극 패드(24)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기판(2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전극 패드(24)는 제1 기판(10)의 외부 접속용 패드(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하면에 형성되는 전극 패드(24)는 외부 접속 단자(28)가 체결되기 위해 구비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 기판(20)의 양면에는 전극 패드(24)들 상호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기판(20)은 복수의 층으로 형성된 다층 기판일 수 있으며, 각 층 사이에는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회로 패턴(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기판(20)은 양면에 형성되는 전극 패드들(24)과, 제2 기판(20)의 내부에 형성되는 회로 패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비아(2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기판(20)은 캐비티(22)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자 소자들(1)을 안정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제1 기판(10)의 하면에 실장되는 전자 소자들(1)의 실장 높이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기판(20)의 하면에는 외부 접속 단자(28)가 형성된다. 외부 접속 단자(28)는 반도체 패키지(100)와, 반도체 패키지(100)가 실장되는 메인 기판(도시되지 않음)을 전기적, 물리적으로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접속 단자(28)는 전자 소자(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 전송용 단자일 수 있다.
신호 전송용 단자는 전자 소자들(1)과 메인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따라서 신호 전송용 단자는 전자 소자들(1)의 개수나 종류 등에 대응하여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접속 단자(28)는 제2 기판(20)의 하면에 형성되는 전극 패드(24)에 형성될 수 있다. 외부 접속 단자(28)는 범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솔더 볼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 접속 단자(28)는 비아(25) 등을 통해 상면에 형성된 전극 패드(24)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2 기판(20)이 제1 기판(10)과 결합되는 경우, 제1 기판(10)은 제2 기판(20)을 통해 외부 접속 단자(28)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몰드부(30)는 제1 기판(10)의 상면에 형성되며, 제1 기판(10)의 상면에 실장된 전자 소자들(1)을 밀봉한다.
몰드부(30)는 제1 기판(10)에 실장된 전자 소자들(1) 사이에 충진됨으로써, 전자 소자들(1) 상호 간의 전기적인 단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몰드부(30)는 전자 소자들(1)의 외부를 둘러싸며 전자 소자(1)를 기판 상에 고정시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전자 소자들(1)을 안전하게 보호한다.
이러한 몰드부(30)는 에폭시 등과 같은 수지재를 포함하는 절연성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몰드부(30)는 상면에 전자 소자들(1)이 실장된 제1 기판(10)을 금형(도시되지 않음)에 안치하고, 금형 내부에 성형수지를 주입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않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100)는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의 사이에 절연층(50)이 개재될 수 있다. 절연층(50)은 절연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 사이에 충진되어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부재(예컨대 범프 등)를 보호한다. 또한,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을 상호 절연시킴과 동시에,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 상호간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신뢰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절연층(50)은 언더필(underfill) 수지일 수 있다. 이에, 절연층(50)의 재질로는 에폭시 수지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절연층(50)이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 사이에만 개재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 기판(10)과 제1 기판(10)의 하면에 실장되는 전자 소자들(1) 사이의 틈에도 개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기판(10)의 하면에 전체적으로 절연층(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100)는 제1 기판(10)의 양면에 전자 소자들(1)이 실장된다. 또한 제1 기판(10)의 하면에 배치되는 제2 기판(20)에 의해 외부 접속 단자(28)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하나의 기판(즉 제1 기판)에 다수의 전자 소자들(1)을 실장할 수 있으므로 집적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기판인 제2 기판(20)을 이용하여 전자 소자들(1)이 실장된 제1 기판(10)의 외부 접속 단자(28)를 형성되므로, 외부 접속 단자(28)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내지 도 4f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판(10)을 준비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기판(10)은 다층 기판일 수 있으며, 양면에 실장용 전극(1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면에는 외부 접속용 패드(16)가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판(10)의 일면 즉 상면에 제1 전자 소자(1)를 실장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본 단계는 제1 기판(10)의 일면에 형성된 실장용 전극(13) 상에 스크린 프린팅 방식 등을 통해 솔더 페이스트(solder paste)를 인쇄하고, 그 위에 제1 전자 소자들(1)을 안착시킨 후, 열을 가하여 솔더 페이스트를 경화시키는 과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판(10)의 일면 상에 몰드부(30)를 형성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본 단계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금형 내에 제1 전자 소자(1)가 실장된 제1 기판(10)을 배치한 후, 금형 내부에 성형수지를 주입하여 형성할 수 있다. 몰드부(30)가 형성됨에 따라, 제1 기판(10)의 일면 즉 상면에 실장된 제1 전자 소자들(1)은 몰드부(30)에 의해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이어서,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부(30)가 형성된 제1 기판(10)의 하면 상에 솔더 페이스트(P)를 인쇄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때, 솔더 페이스트(P)는 실장용 전극(13)뿐만 아니라, 외부 접속용 패드(16) 상에도 모두 인쇄된다.
다음으로,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더 페이스트(P)가 인쇄되어 있는 제1 기판(10)의 하면 상에 제2 전자 소자들(1)과 제2 기판(20)을 실장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본 단계는 먼저 실장용 전극(13) 상에 전자 소자들(1)을, 그리고 외부 접속용 패드(16) 상에 제2 기판(20)을 안착시키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러한 과정은 제2 전자 소자들(1)을 먼저 안착시킨 후, 제2 기판(20)을 안착시키는 순서로 진행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기판(20)을 먼저 안착시키거나, 제2 기판(20)과 전자 소자들(1)을 동시에 안착시키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처럼 제2 전자 소자(1)와 제2 기판(20)이 제1 기판(10)의 하면에 안착되면, 이어서 솔더 페이스트(P)에 열을 가하여 솔더 페이스트(P)를 경화시키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 과정을 통해 제1 기판(10)의 하면에 안착된 제2 전자 소자들(1)과 제2 기판(20)은 제1 기판(10)에 견고하게 고정 접합되어 제1 기판(10)과 전기적,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다음으로,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 사이에 절연층(50)을 형성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본 단계는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 사이에 형성된 틈에 에폭시 수지 등과 같은 액상의 절연 물질을 주입하는 과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절연층(50)은 절연 물질이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 사이에 형성된 틈에 충진된 후 경화됨에 따라 형성되며, 이러한 절연층(50)에 의해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은 상호 간에 절연성이 확보됨과 동시에 서로 견고하게 고정 접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단계들을 통해 제조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100)는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을 먼저 접합한 이후에 전자 소자들(1)을 실장하지 않고, 제2 기판(20)과 전자 소자들(1, 특히 제1 기판의 하면에 실장되는 전자 소자들)을 동시에 실장한다. 즉, 제1 기판(10)의 하면에 제2 전자 소자들(1)과 제2 기판(20)을 동시에 안착시킨 후, 경화 과정을 통해 함께 고정 접합한다.
본 실시예의 제조 과정과 다르게,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을 먼저 접합한 후, 제2 기판(20)의 캐비티(22)를 통해 제1 기판(10)의 하면에 제2 전자 소자들(1)을 실장하는 경우,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을 접합하기 위해 솔더 페이스트의 인쇄와 기판의 안착 및 솔더 페이스트 경화 단계가 수행되고, 그 이후 제2 전자 소자들(1)을 제1 기판(10)에 실장하기 위해 상기와 동일한 단계들이 반복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솔더 페이스트의 인쇄, 제2 기판(20) 및 제2 전자 소자(1) 안착, 및 솔더 페이스트 경화 단계를 일 회만 수행하여 제1 기판(10)의 하면에 전자 소자들(1)과 제2 기판(20)을 실장할 수 있다.
즉, 제1 기판(10)의 하면 상에 제2 전자 소자들(1)과 제2 기판(20)을 함께 배치하여 동시에 고정 접합시키므로, 제2 전자 소자들(1)과 제2 기판(20)을 각각 따로 제1 기판(10)에 접합하는 방식에 비해, 제조 과정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제조가 매우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200)는 전술된 실시예의 반도체 패키지(도 1의 100)와 유사한 구조로 구성되며, 제1 기판(10)의 하면에 차단부(60)가 형성되는 구성에 있어서만 차이를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차단부(60)를 중심으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200)는 제1 기판(10)의 하면에 차단부(60)가 형성된다.
이러한 차단부(60)는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 사이의 미소 틈에만 절연층(50)을 형성되기 원하는 경우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차단부(60)는 절연층(50) 형성 시(도 4f참조),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 사이에 주입된 절연 물질이 제2 기판(20)의 캐비티(22) 내부 공간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차단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60)는 제2 기판(20)에 형성된 캐비티(22)의 형상을 따라 연속적인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는 제1 기판(10)의 하면에서 일정 깊이 파인 고리 형태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차단부(60)가 홈의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주입된 액상의 절연 물질은 차단부(60)와 접하는 부분에서 발생되는 표면 장력에 의하여 차단부(60)의 내부로 쉽게 유입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차단부(60)는 관통부인 캐비티(22)를 향하는 절연층(50)의 단부와 접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차단부(60)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60)는 일정 거리 돌출된 돌기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차단부(60)는 제1 기판(10) 상에 별도로 형성된 고리 형태의 돌기일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차단부(60)는 실크 인쇄(또는 스크린 프린팅)를 통해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접착 테이프를 부착하여 형성하거나, 돌기 형태의 전자 부품을 실장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배선 패턴(또는 더미 패턴)을 활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차단부(60)는 제1 기판(10)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미리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자 소자(1)를 실장하는 과정에서 전자 소자들(1)과 함께 실장(돌기 형태인 경우)되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반도체 패키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300)는 전술된 실시예의 반도체 패키지(도 1의 100)와 유사한 구조로 구성되며, 몰드부(30)의 외부면에 차폐층(40)이 형성되고, 제2 기판(20)에 차폐용 비아(26)가 형성되는 구성에 있어서만 차이를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차폐층(40)과 차폐용 비아(26)를 중심으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300)는 차폐층(40)과 차폐용 비아(26)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폐층(40)은 몰드부(30)의 외부면 전체에 형성되며, 제1 기판(10)의 측면까지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몰드부(30)의 외부면에만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차폐층(40)의 외부면에 차폐층(40)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을 더 형성하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차폐층(4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차폐층(40)은 제1 기판(10)의 하면에 형성되는 접지 전극(1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제1 기판(10)의 측면을 통해 차폐층(40)이 형성되어 접지 전극(1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차폐층(40)이 몰드부(30)의 외부면에만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제1 기판(10)의 배선 패턴을 통해 차폐층(40)이 접지 전극(17)과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차폐층(40)은 도전성을 갖는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분말을 포함하는 수지재를 몰드부(30)의 외부면에 도포하거나, 별도의 금속 박막을 몰드부(30)의 외부면에 부착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스퍼터링, 기상증착, 스프레이 코팅, 스크린 프린팅, 전해 도금, 비전해 도금과 같은 다양한 기술들을 통해 금속 박막을 형성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차폐용 비아(26)는 제2 기판(20)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형성된다. 또한 제2 기판(20)의 형상을 따라 제2 기판(20)의 측면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차폐용 비아(26)는 제1 기판(10)의 차폐층(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차폐용 비아(26)들 상호 간에도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차폐용 비아(26)는 일반적인 도전성 비아(25)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전성 비아(25)를 형성하는 공정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차폐용 비아(26)가 제2 기판(20)의 측면으로 노출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이는 차폐용 비아(26)를 형성한 후, 제2 기판(20)을 절단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차폐용 비아(26)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판의 내부에 모두 매립되는 형태로 형성하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접속 단자(28)는 제2 기판(20)의 하면에 다수개가 배치되며, 반도체 패키지(300)와, 반도체 패키지(300)가 실장되는 메인 기판(도시되지 않음)을 전기적, 물리적으로 연결한다.
이러한 외부 접속 단자(28)는 신호 전송용 단자(28a)와 차폐용 단자(28b)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전송용 단자(28a)는 전자 소자들(1)과 메인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따라서 신호 전송용 단자(28a)는 전자 소자들(1)의 개수나 종류 등에 대응하여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전극 패드(24)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신호 전송용 단자(28a)는 차폐층(40)이나 차폐용 비아(26)와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차폐용 단자(28b)는 제2 기판(20)의 하면 중 차폐용 비아(26)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된 접지 패드(24a)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차폐용 단자(28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300)가 실장되는 메인 기판(도시되지 않음)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차폐용 단자(28b)는 메인 기판의 접지 전극(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300)는 차폐층(40), 차폐용 비아(26), 및 차폐용 단자(28b)에 의해 차폐 쉴드(shield)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차폐 쉴드는 몰드부(30) 뿐만 아니라, 제1, 제2 기판(10, 20)의 외부를 모두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차폐 쉴드는 제1 기판(10)의 상면에 실장된 전자 소자들(1)뿐만 아니라, 하면에 실장된 전자 소자들(1) 모두 에 대해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즉 전자 소자들(1)이 모두 차폐 쉴드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배치됨에 따라, 차폐 쉴드는 반도체 패키지(300)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불필요한 전자파를 차폐하고, 전자 소자들(1)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외부로 방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300)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300) 제조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의 반도체 패키지(도 1의 100) 제조 방법과 유사하게 수행되며, 몰드부(30)를 형성한 후, 차폐층(40)을 형성하는 단계가 부가된다는 점에서만 차이를 갖는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300) 제조 방법은, 도 4c에 도시된 몰드부(30)를 형성하는 단계가 수행된 후, 몰드부(30)의 외부면과 기판의 측면에 차폐층(40)을 형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차폐층(40)이 형성되면, 이어서 도 4d에 도시된 솔더 페이스트를 인쇄하는 단계 및 그 이후의 단계들을 동일하게 수행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100)를 완성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400)는 제2 기판(20)의 캐비티(22)가 관통 구멍의 형태가 아닌, 홈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처럼 캐비티(22)를 홈의 형태로 형성하는 경우, 제2 기판(20)의 하면 전체에 전극 패드(24)나 배선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접속 단자(28)를 보다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어 설계 및 활용이 용이하다.
또한, 제1 기판(10)의 하면에 실장되는 전자 소자들(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이들을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술된 실시예들에서는 제1 기판의 하면에는 몰드부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제1 기판의 하면, 즉 제2 기판의 캐비티 내부에도 몰드부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들의 경우, 몰드부와 절연층을 구비하는 반도체 패키지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몰드부나 절연층 등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제2 기판이 다층 기판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면에 형성되는 전극 패드와 하면에 형성되는 전극 패드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기판이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100, 200, 300, 400: 반도체 패키지
1: 전자 소자
10: 제1 기판 20: 제2 기판
13: 실장용 전극 14, 25: 비아
15: 회로 패턴
22: 캐비티 24: 전극 패드
28: 외부 접속 단자
30: 몰드부 40: 차폐층
50: 절연층

Claims (17)

  1. 양면에 실장용 전극이 형성된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의 양면에 실장되는 다수의 전자 소자;
    내부에 관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부 내에 상기 제1 기판의 하면에 실장된 상기 전자 소자들이 수용되도록 상기 제1 기판의 하면에 접합되는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의 틈에 개재되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의 상기 관통부를 향하는 단부와 접하며, 상기 제1 기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홈 또는 돌기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은,
    상면에 상기 제1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전극 패드가 형성되고, 하면에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외부 접속 단자가 형성되는 반도체 패키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의 상면에 실장된 상기 전자 소자들을 밀봉하는 몰드부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부의 외부면에 형성되어 전자파를 차폐하는 차폐층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은,
    측면을 따라 외부로 노출된 다수의 차폐용 비아가 배치되고, 상기 차폐용 비아는 상기 차폐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반도체 패키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은,
    측면을 따라 외부로 노출된 다수의 차폐용 비아가 배치되는 반도체 패키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제2 기판의 관통부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는 반도체 패키지.
  9. 양면에 실장용 전극이 형성된 제1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기판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소자를 실장하는 단계;
    상기 제1 기판의 하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 소자와 상기 제2 전자 소자가 배치되는 관통부를 구비하는 제2 기판을 동시에 실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의 틈에 액상의 절연 물질을 주입하여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 물질은 상기 관통부를 향하는 단부와 접하며, 상기 제1 기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차단부에 의해 유동이 차단되는 반도체 패키지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홈 또는 돌기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제조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소자를 실장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1 기판의 상면에 몰드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부를 형성하는 단계 이후,
    상기 몰드부의 외부면에 차폐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 소자와 상기 제2 기판을 동시에 실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기판의 측면을 따라 외부로 노출된 다수의 차폐용 비아와 상기 차폐층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제조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 소자와 상기 제2 기판을 동시에 실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기판의 하면에 솔더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솔더 페이스트 상에 상기 제2 전자 소자 및 상기 제2 기판을 안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솔더 페이스트를 경화시켜 상기 제2 전자 소자와 상기 제2 기판을 상기 제1 기판의 하면에 고정 접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제조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10122238A 2011-11-22 2011-11-22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274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238A KR101274460B1 (ko) 2011-11-22 2011-11-22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US13/404,884 US8901718B2 (en) 2011-11-22 2012-02-24 Semiconductor packa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101108587A TWI466249B (zh) 2011-11-22 2012-03-14 半導體封裝件及其製造方法
US14/312,110 US9070693B2 (en) 2011-11-22 2014-06-23 Semiconductor packa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238A KR101274460B1 (ko) 2011-11-22 2011-11-22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7949A Division KR101829936B1 (ko) 2013-05-22 2013-05-22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570A KR20130056570A (ko) 2013-05-30
KR101274460B1 true KR101274460B1 (ko) 2013-06-18

Family

ID=48426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2238A KR101274460B1 (ko) 2011-11-22 2011-11-22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8901718B2 (ko)
KR (1) KR101274460B1 (ko)
TW (1) TWI466249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955B1 (ko) * 2013-09-06 2015-03-23 (주)와이솔 양면 실장형 반도체 패키지
KR101525665B1 (ko) * 2013-06-24 2015-06-03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 소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1539885B1 (ko) * 2014-01-03 2015-07-28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 소자 모듈
KR20150127369A (ko) * 2014-05-07 2015-11-17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 소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42210A (ko) 2014-06-11 2015-12-22 삼성전기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US9392695B2 (en) 2014-01-03 2016-07-1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Electric component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460B1 (ko) * 2011-11-22 2013-06-18 삼성전기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139831A (ko) * 2013-05-28 2014-12-08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통신 장치
KR101548799B1 (ko) 2013-06-24 2015-08-31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 소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1994715B1 (ko) * 2013-06-24 2019-07-01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 소자 모듈 제조 방법
KR101983142B1 (ko) * 2013-06-28 2019-08-28 삼성전기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KR101539846B1 (ko) * 2013-07-29 2015-07-27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 소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25129A (ko) * 2013-08-28 2015-03-10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 소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36666A (ko) * 2013-09-27 2016-04-04 인텔 코포레이션 수동 부품용 중첩체 기판을 구비한 다이 패키지
KR102207270B1 (ko) * 2013-11-20 2021-01-25 삼성전기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72846A (ko) * 2013-12-20 2015-06-30 삼성전기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모듈
KR102207269B1 (ko) * 2014-01-08 2021-01-25 삼성전기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모듈 및 반도체 패키지 모듈의 제조방법
KR20150092876A (ko) 2014-02-06 2015-08-17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 소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US10356911B2 (en) 2014-07-04 2019-07-1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60021737A1 (en) * 2014-07-17 2016-01-2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Electric device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673123B2 (en) 2014-09-19 2017-06-0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83176B1 (ko) * 2014-10-28 2019-05-28 삼성전기주식회사 양면 실장 모듈, 양면 실장 모듈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 및 양면 실장 모듈 제조 방법
KR101651362B1 (ko) * 2015-05-22 2016-08-25 앰코 테크놀로지 코리아 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패키지
KR101712288B1 (ko) 2015-11-12 2017-03-03 앰코 테크놀로지 코리아 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US10163867B2 (en) 2015-11-12 2018-12-25 Amkor Technology, Inc. Semiconductor packa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872879B2 (en) 2015-11-12 2020-12-22 Amkor Technology Singapore Holding Pte. Ltd. Semiconductor packa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883582B2 (en) * 2015-11-20 2018-01-30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Circuit boards and circuit board assemblies
KR20170092309A (ko) 2016-02-03 2017-08-11 삼성전기주식회사 양면 패키지 모듈 및 기판 스트립
US9780047B1 (en) 2016-04-04 2017-10-03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Semiconductor package
US10681817B2 (en) 2016-09-27 2020-06-09 Intel Corporation Frame embedded components
US10153253B2 (en) * 2016-11-21 2018-12-11 Intel Corporation Package-bottom through-mold via interposers for land-side configured devices for system-in-package apparatus
KR20180110775A (ko) 2017-03-30 2018-10-11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 소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US10645797B2 (en) * 2017-07-26 2020-05-05 Intel Corporatio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shield for a printed circuit board (PCB)
CN111033722B (zh) * 2017-09-04 2023-12-12 株式会社村田制作所 高频模块及其制造方法
US10332862B2 (en) 2017-09-07 2019-06-25 Advanced Semiconductor Engineering, Inc. Semiconductor package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629454B2 (en) 2017-11-08 2020-04-21 Advanced Semiconductor Engineering, Inc. Semiconductor packag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410999B2 (en) 2017-12-19 2019-09-10 Amkor Technology, Inc. Semiconductor device with integrated heat distribu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999957B2 (en) 2018-02-12 2021-05-0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ommunication module and mounting structure thereof
US20190287872A1 (en) * 2018-03-19 2019-09-19 Intel Corporation Multi-use package architecture
US11587903B2 (en) * 2018-04-23 2023-02-21 Advanced Semiconductor Engineering, Inc. Semiconductor device packag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07025B1 (ko) 2018-09-14 2020-05-07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 소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US10685948B1 (en) * 2018-11-29 2020-06-16 Apple Inc. Double side mounted large MCM package with memory channel length reduction
US11107774B2 (en) * 2019-04-18 2021-08-31 Advanced Semiconductor Engineering, Inc. Semiconductor device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77811B1 (ko) * 2019-08-09 2022-03-22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 소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US11037885B2 (en) * 2019-08-12 2021-06-15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Semiconductor packaging device comprising a shield structure
KR20210116021A (ko) * 2020-03-17 2021-09-27 삼성전기주식회사 통신 모듈
KR102400533B1 (ko) 2020-08-12 2022-05-19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 소자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20367413A1 (en) * 2021-05-13 2022-11-1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Packages With Multiple Types of Underfill and Method Forming The Same
CN114340203A (zh) * 2021-12-31 2022-04-12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双面系统级封装结构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4296A (ja) * 1990-06-07 1992-0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チップ内蔵多層基板
JPH11340416A (ja) * 1998-05-26 1999-12-10 Nec Corp マルチチップモジュール
JP2004135192A (ja) * 2002-10-11 2004-04-30 Toyo Commun Equip Co Ltd 表面実装型sawデバイス
JP2006173493A (ja) * 2004-12-17 2006-06-29 Shinko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5835A (ja) 1992-03-11 1993-11-26 Sumitomo Metal Ind Ltd 電圧制御発振器及びその製造方法
US6838761B2 (en) 2002-09-17 2005-01-04 Chippac, Inc. Semiconductor multi-package module having wire bond interconnect between stacked packages and having electrical shield
US6861288B2 (en) 2003-01-23 2005-03-01 St Assembly Test Services, Ltd. Stacked semiconductor packages and method for the fabrication thereof
US7482686B2 (en) * 2004-06-21 2009-01-27 Braodcom Corporation Multipiece apparatus for thermal an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shielding enhancement in die-up array packag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4545615B2 (ja) 2005-03-04 2010-09-15 株式会社リコー 組立部品、モジュール基板、モジュール基板製造方法、電子回路装置および電子機器
TWI442520B (zh) * 2005-03-31 2014-06-21 Stats Chippac Ltd 具有晶片尺寸型封裝及第二基底及在上側與下側包含暴露基底表面之半導體組件
JP4445511B2 (ja) * 2007-03-23 2010-04-07 株式会社東芝 マルチチップ半導体装置
KR101039846B1 (ko) 2007-12-18 2011-06-09 삼성전기주식회사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반도체플라스틱 패키지
KR101274460B1 (ko) 2011-11-22 2013-06-18 삼성전기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4296A (ja) * 1990-06-07 1992-0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チップ内蔵多層基板
JPH11340416A (ja) * 1998-05-26 1999-12-10 Nec Corp マルチチップモジュール
JP2004135192A (ja) * 2002-10-11 2004-04-30 Toyo Commun Equip Co Ltd 表面実装型sawデバイス
JP2006173493A (ja) * 2004-12-17 2006-06-29 Shinko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665B1 (ko) * 2013-06-24 2015-06-03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 소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1504955B1 (ko) * 2013-09-06 2015-03-23 (주)와이솔 양면 실장형 반도체 패키지
KR101539885B1 (ko) * 2014-01-03 2015-07-28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 소자 모듈
KR200478126Y1 (ko) * 2014-01-03 2015-08-31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 소자 모듈
US9392695B2 (en) 2014-01-03 2016-07-1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Electric component module
KR20150127369A (ko) * 2014-05-07 2015-11-17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 소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1642560B1 (ko) * 2014-05-07 2016-07-25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 소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US9706661B2 (en) 2014-05-07 2017-07-1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50142210A (ko) 2014-06-11 2015-12-22 삼성전기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70693B2 (en) 2015-06-30
KR20130056570A (ko) 2013-05-30
US20130127025A1 (en) 2013-05-23
TW201322386A (zh) 2013-06-01
TWI466249B (zh) 2014-12-21
US8901718B2 (en) 2014-12-02
US20140299976A1 (en) 2014-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4460B1 (ko)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642560B1 (ko) 전자 소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1994715B1 (ko) 전자 소자 모듈 제조 방법
US9392695B2 (en) Electric component module
KR101250737B1 (ko) 반도체 패키지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50053579A (ko) 전자 소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1477392B1 (ko) 전자 소자 모듈
KR20150009728A (ko) 전자 소자 모듈 및 그 실장 구조
KR20120045893A (ko) 반도체 패키지 모듈
KR102149387B1 (ko) 전자 소자 모듈
KR20180101832A (ko) 전자 소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2107025B1 (ko) 전자 소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02830A (ko) 전자 소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137023A (ko)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2117469B1 (ko) 전자 소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1829936B1 (ko)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539885B1 (ko) 전자 소자 모듈
KR20180016451A (ko) 회로기판 연결 구조체
KR102207271B1 (ko) 반도체 패키지
KR101228731B1 (ko) 전자 부품 모듈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50000174A (ko) 전자 소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1350610B1 (ko) 반도체 패키지
KR101983175B1 (ko) 전자 소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1580355B1 (ko)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48991A (ko)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