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2546B1 - 첩부방법, 첩부용 감압성 접착제 및 그 감압성 접착제층을 갖는 접착제품 - Google Patents

첩부방법, 첩부용 감압성 접착제 및 그 감압성 접착제층을 갖는 접착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2546B1
KR101272546B1 KR1020087010052A KR20087010052A KR101272546B1 KR 101272546 B1 KR101272546 B1 KR 101272546B1 KR 1020087010052 A KR1020087010052 A KR 1020087010052A KR 20087010052 A KR20087010052 A KR 20087010052A KR 101272546 B1 KR101272546 B1 KR 101272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meth
tackifier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0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8823A (ko
Inventor
히로유키 카사하라
카즈시게 카와시타
코지 키시모토
요시아키 우라하마
Original Assignee
고쿠요 에스앤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쿠요 에스앤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쿠요 에스앤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68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8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2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25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7/00Presence of natural 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53/00Presence of block co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57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metal or compound thereof or natural rub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78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경의 오염을 초래하지 않고, 가능한 한 간단한 조작으로 효율적으로 적층체를 제조할 수가 있는 감압성 접착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 붙이거나 떼어내는 조작을 반복하여 실시할 수가 있으며, 위치결정 등이 용이한 감압성 접착제를 제공한다. 이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올레핀성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중합성 단량체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중합시켜서 얻는 중합체, 2종류 이상의 올레핀성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중합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공중합시켜서 얻는 공중합체, 및 천연고무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과, 점착부여제로 구성되는 감압성 접착제이며, 더욱이, 그 감압성 접착제는 초기의 점성값이 실질적으로 없고, 또 가압처리에 의해 점착력이 발현되는 감압성 접착제를 첩부용 감압성 접착제로 한다.
접착제, 접착제품, 감압성 접착제

Description

첩부방법, 첩부용 감압성 접착제 및 그 감압성 접착제층을 갖는 접착제품{METHOD OF AFFIXATION,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USE IN AFFIXATION}
본 발명은, 초기의 점성(tack)이 실질적으로 없거나 또는 극히 조금 밖에 없음에도 불구하고, 압박하면 접착성이 발현되는 신규의 접착제(이하, 감압성(感壓性) 접착제라고 한다)층을 형성한 물품의 첩부방법 및 상기 감압성 접착제층을 갖는 적층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첩부용 감압성 접착제와, 그것을 갖는 접착제품 및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적어도, 올레핀성 불포화기를 함유한 중합성 단량체를 중합시켜서 얻는 중합체, 및 천연고무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고분자 화합물과 점착부여제로 구성되는 감압성 접착제이면서, 더욱이, 초기에는 실질적으로 점성이 없거나 또는 극히 적지만, 가압하면 점착력이 발현되는 신규의 첩부용 감압성 접착제와, 그것을 갖는 접착제품 및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임의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심(芯)의 표면에 화장재료를 발라서 조합시킨 적층체로 하여 구성되는 화장판이나, 칸막이 등을 제조하는 기술은 오래전부터 있어 왔으며, 여러가지로 연구되어 많은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또, 맹장지(盲障紙 ), 화장지, 라벨, 제킨(zeichen) 등의 접착제품을 제조하는 기술의 연구도 다수 보고되고 있다.
상기 적층체의 경우에는, 적층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소재끼리를 접착·고정하는 접착제에 관한 연구가 있어 왔다. 예를 들면, 페놀수지, 요소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가 연구되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환경에 악영향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와 같은 사정때문에, 아세트산비닐계 접착제 등의 비닐계 수지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게 하는 등의 문제점을 회피할 수는 있으나, 작업성의 면에서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또 상기 접착제품의 경우, 아크릴계의 감압성 접착제를 사용하는 제품이 많으나, 그들 제품의 경우, 접착제의 표면이 끈적거리기 때문에, 박리지에 의해 접착면을 보호할 필요가 있는데다, 한번 박리지를 벗겨내고 접착제품을 소정의 부위에 접착시키고자 하는 경우, 반복해서 붙이고 떼어내는 조작이 어렵고, 정확하게 위치결정을 해야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접착작업이 곤란하다. 그와 같은 면에서, 핫 멜트 타입(Hot Melt Type)의 접착제를 사용하게 되면 위치결정 등의 작업성은 개선되지만, 이번에는 다리미 등의 가열기구를 사용하여 접착조작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더욱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 가격이 높아진다.
그래서, 상기의 가열조작을 회피하기 위한 기술로서, 광경화에 의해 감압성 접착제층을 형성시키는 기술이 보고되어 있으나(특허문헌1), 그 기술에서는, 고가의 광조사기구가 필요하고, 또 적용시킬 범위도 한정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1 : 일본국 특개2002-251140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특히 고가의 기구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 간단한 접착조작으로, 물품을 다른 물품의 표면에 첩부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특히 고가의 기구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 간단한 접착조작에 의해, 적층체를 제조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환경오염을 초래하지 않고, 가능한 한 간단한 조작으로 효율적으로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는 감압성 접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접착물을 붙이거나 떼어내는 조작을 반복해서 실시할 수가 있으며, 위치결정 등이 용이한 감압성 접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연구하던 중, 적어도 고분자 화합물과 점착부여제로 구성되는 수지혼합물에 있어서, 지금까지는 감압성 접착제에 이용할 수가 없는 것으로 여겨져서 전혀 주목받지 못하고 연구대상에서도 제외되었던 초기 점성이 실질적으로 없는 수지혼합물에 착안하였으며, 그 수지혼합물로부터 특정의 수지혼합물을 선택하여 천(피륙)의 표면에 전사시키고, 이어서 그 천을 합판에 접착·고정시키는 것을 시도한 결과, 천을 합판에서 떼어내거나, 합판에 천을 붙이는 등의 조작을 수회 반복한 후에도, 천을 합판에 밀어누르면, 의외로 간단하게 천이 합판에 접착되었으며, 게다가 시간의 경과와 함께 접착강도가 증가하여, 천이 합판에 강고하게 접착할 수 있다는 놀랄만한 지견을 얻었으며, 이 지견에 기초하여 연구를 거듭한 결과, 마침내 본 발명에 도달하였다.
즉, 청구항 1의 발명은, 임의의 물품의 표면에, 적어도 고분자 화합물과 점착부여제로 구성되는, 초기 점성이 실질적으로 없거나 또는 극히 조금밖에 없으나, 가압처리에 의해 (강력한)점착력이 발현되는 감압성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그 형성된 감압접착제층을 다른 물품의 표면에 접촉시켜,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성 접착제층을 표면에 형성하는 물품의 첩부방법이다. 여기서, 상기의 압박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감압성 접착제층을 갖는 물품이 다른 물품에 첩부되는 것이라면, 어떤 방법으로 압박하여도 좋다. 또, 상기 감압성 접착제층을 상기 물품의 전체 표면에 형성하여도 좋으나, 상기 물품의 표면의 일부분에 형성하여도 좋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적어도 올레핀성 불포화기를 함유한 중합성 단량체를 중합시켜서 얻는 중합체, 및 천연고무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고분자 화합물과 점착부여제로 구성되는 감압성 접착제로서, 그 감압성 접착제는 초기 점성이 실질적으로 없거나 또는 극히 조금밖에 없으나, 가압처리에 의해 (강력한)점착력이 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용 감압성 접착제이다. 또, 적어도 상기 고분자 화합물과 점착부여제로 구성되는 감압성 접착제로서, 그 감압성 접착제는 실온에 있어서의 프로브 태크 시험법에 의한 상기 감압성 접착제의 초기 점성이 0.2N/㎟이하이고, 가압처리에 의해 점착력이 발현되어, 그 점착력이 6N/25㎜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용 감압성 접착제이기도 하다. 상기 중합성 단량체에는, 약 20개 이하의 단량체를 미리 중합시켜 얻는 중합성 올리고머를 포함한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적어도 (메타)아크릴계 중합체와 점착부여제로 구성되는 첩부용 감압성 접착제이며, 또한 (메타)아크릴계 중합체의 실온에 있어서의 프로브 태크 시험법에 의한 상기 감압성 접착제의 초기 점성이 0.2N/㎟이하이고, 가압에 의해 점착력이 9N/25㎜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온에 있어서의 프로브 태크 시험법에 의한 초기 점성이 0.04N/㎟이하이고, 가압처리에 의해 점착력이 9N/25㎜이상으로 되는 첩부용 감압성 접착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메타)아크릴계 중합체에 속하는 2종류 이상의 중합체의 혼합물을 사용하여도 좋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적어도 탄화수소계 중합체와 점착부여제로 구성되는 첩부용 감압성 접착제이며, 탄화수소계 중합체의 실온에 있어서의 프로브 태크 시험법에 의한 초기 점성이 0.04N/㎟이하이고, 가압에 의해 점착력이 6N/25㎜이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탄화수소계 중합체에 속하는 2종류 이상의 중합체의 혼합물을 사용하여도 좋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3의 발명에 있어서, (메타)아크릴계 중합체가 (메타)아크릴계 블록공중합체 및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탄화수소계 블록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때, (메타)아크릴계 중합체에 속하는 2종류 이상의 중합체의 혼합물을 사용하여도 좋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4의 발명에 있어서, 탄화수소계 중합체가 탄화수소계 블록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탄화수소계 블록공중합체에 속하는 2종류 이상의 중합체의 혼합물을 사용하여도 좋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6의 발명에 있어서, 점착부여제가 로진계 수지, 테르펜수지, 석유수지, 및 페놀계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점착부여제를 20~250중량부 배합할 수가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적어도, 청구항 2~6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감압성 접착제층을 물품의 표면에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감압성 접착제층과 다른 물품을 접촉시켜 압박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의 제조방법이다. 여기서, 상기 다른 물품의 표면에 상기 감압 접착제층을 형성해 두어도 좋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감압성 접착제층을 상기 물품의 전체 표면에 형성하여도 좋으나, 상기 물품의 표면의 일부분에만 형성하여도 좋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청구항 2~6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감압성 접착제의 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에 관한 발명이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청구항 2~6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감압성 접착제의 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품에 관한 것이며, 또한, 이들 발명에서는, 상기 감압성 접착제의 층은 연속적인 하나의 층이라도 좋고, 연속되지 않는 층이라도 좋으며, 또는 부분적으로 감압성 접착제의 층을 갖는 것이라도 좋다. 또, 상기 적층체는 2층 구조의 적층체라도 좋으나, 3층 이상의 적층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감압성 접착제가 청구항 2~6항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물품의 첩부방법에 관한 발명이기도 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큰 특징은 신규의 접착제를 사용한 임의의 물품의 첩부방법이다. 이 방법에 의해 작업성이 좋아지고, 강고하게 피접착체를 접착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이 신규의 접착제 자체에도 큰 특징이 있다. 즉, 초기의 점성이 실질적으로 없거나 또는 극히 조금밖에 없으나, 압력을 가하면 점착력이 발현되어 종래의 접착제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 이상의 접착기능을 나타내는 신규의 감압성 접착제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감압성 접착제는 초기 점성이 있으며, 초기 점성이 실질적으로 없거나 또는 극히 조금밖에 없는 혼합물은 감압성 접착제로서의 기능을 나타내지 않는다고 생각되어, 예를 들면, 폐기처리되어 있었던 것으로 볼 때,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제는 신규이고 획기적이라 할 것이다.
여기서, 초기 점성이 실질적으로 없거나 또는 극히 약한 상태를, 프로브 태크 시험법에 의해 측정하였을 때, 실온에 있어서의 상기 감압성 접착제의 초기 점성이 0.2N/㎟이하인 상태를 말한다. 한편, 하한값은, 제한 없이 0 N/㎟에 가까운 값이며, 여기서는 0N/㎟으로 기재한다. 초기 점성이 실질적으로 없거나 또는 극히 적은 상태란, JIS Z0237-2000에 있어서의 볼 굴리기 볼 태크 시험에서는 5정도 이하가 되는 상태를 의미하며, 또한, 2정도 이하가 되는 상태라고 할 수도 있다. 또한,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감압성 접착제는 접착면이 끈적끈적하며, 상기 볼 태크 시험에서는 초기 점성값은 10정도 이상이다. 상기의 초기점성이 0.2N/㎟ 이하인 상태의 접착제는, 손가락으로 접촉하여도 감압성 접착제의 표면이 끈적끈적하지 않은 상태, 또는 약하게 끈적하다는 감촉을 얻는 상태라고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제는, 그 초기의 점성이 실질적으로 없거나 또는 극히 적은 상태인데, 가압처리에 의해 점착력이 나타난다. 이 점도, 본 발명에 의해 처음 발견된 것이다. 가압처리에 있어서의 가압의 정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적인 접착조작에서 사용하는 정도의 가압의 정도라도 좋다. 또, 가압하는 수단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점착력은, 감압성 접착제의 중합체성분이나, 점착부여제 등의 구성성분에 의해 변화하고, 점착강도도 사용하는 감압성 접착제의 종류, 감압성 접착제의 두께, 가압의 정도, 감압성 접착제를 피접착체에 압박하는 시간 등에 의해 변동되는 것이여서, 일괄적으로 규정할 수는 없으나, 예를 들면, 180도 박리 점착력 시험에서의 수치가 6N/25㎜이상이다. 상한값은 높을수록 그만큼 바람직하나,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굳이 설명한다면, 기술의 진보에 따라서 변동하고, 그때마다 개발된 기술의 최고치가 상한값으로 된다. 또한, 상기의 수치는 2㎏-롤을 5왕복 압박처리하고, 20~40분간 방치한 후에 측정하였을 때의 값이다(JIS Z0237-2000에 준거하는바, 가압의 정도를 높은 쪽으로 설정한다.)
상기 감압성 접착제는, 적어도 올레핀성 불포화기를 함유한 중합성 단량체를 중합시켜서 얻는 중합체, 및 천연고무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고분자 화합물과 점착부여제로 구성된다. 그리고, 적어도 재생고무, 폴리젖산 등의 폴리에스테르, 우레탄계 중합체, 및 실리콘계 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고분자 화합물과 점착부여제로 구성되는 감압성 접착제라도 좋다.
상기 올레핀성 불포화기를 함유한 중합성 단량체를 중합시켜서 얻는 중합체는, 1종류의 올레핀성 불포화기를 함유한 중합성 단량체를 중합시켜서 얻는 중합체 및 2종류 이상의 올레핀성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중합성 단량체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공중합시켜서 얻는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중합체는, 적어도 올레핀성 불포화기를 함유한 중합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혼합물, 또는 적어도 2종류 이상의 올레핀성 불포화기를 함유한 중합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중합시켜서 얻을 수가 있다.
상기 올레핀성 불포화기를 함유한 중합성 단량체는, 올레핀성 불포화 결합을 분자중에 포함하는 중합할 수 있는 단량체를 의미하며, 이는 이미 공지의 단량체이다. 본 발명에서는, 올레핀성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중합성 단량체의 결합에는 공역 디엔계 단량체를 포함시키는 것으로 한다.
상기 중합성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스티렌, 메틸스티렌, t-부틸스티렌, 2,4,6-트리메틸스티렌, 모노클로로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모노플루오로스티렌, 디플루오로스티렌, 메톡시스티렌, 인덴, 부타디엔, 이소플렌, 이소부틸렌,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불포화 탄화수소계 단량체,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부티르산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메틸, (메타)아크릴산에틸, (메타)아크릴산프로필, (메타)아크릴산부틸, (메타)아크릴산펜틸, (메타)아크릴산헥실, (메타)아크릴산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산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산옥틸, (메타)아크릴산이소옥틸, (메타)아크릴산데실, (메타)아크릴산도데실, (메타)아크릴산미리스틸, (메타)아크릴산팔미틸, (메타)아크릴산스테아릴, (메타)아크릴산벤질, (메타)아크릴산페닐, (메타)아크릴산메톡시에틸,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플루오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N-디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메타)아크릴아미드, 비닐메틸에테르, 비닐에틸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 등의 단량체를 들 수가 있으나, 그 밖에, 클로로플렌,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등의 할로겐원자를 함유한 불포화 단량체, N-페닐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N-비닐피리딘, 아크릴로니트릴, N-비닐이미다졸, N-비닐피롤리돈, 이소프로페닐옥사졸린 등의 질소원자를 함유한 불포화 단량체, (메타)아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인산, 무수말레인산, 푸말산 등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 γ-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의 규소원자를 함유하는 불포화 단량체,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α-메틸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에폭시기를 함유한 불포화 단량체, 카프로락톤, 발레로락톤 등의 락톤 등의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성분, 4-(메타)아크릴로일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메타)아크릴로일옥시-1,2,2,6,6,-펜타메틸피페리딘, 등의 단량체도 들 수가 있으며, 또, 그들 단량체가 2~20 정도 중합된 올리고머라도 좋다. 또, 수산기 등의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라도 좋다.
상기의 단량체는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그들 가운데서는, 불포화 탄화수소계 단량체 또는 (메타)아크릴기를 함유하는 단량체가 바람직하며, 스티렌, 메틸스티렌, t-부틸스티렌, 2,4,6-트리메틸스티렌, 모노클로로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모노플루오로스티렌, 디플루오로스티렌, 메톡시스티렌 등의 비닐 방향족 단량체, 부타디엔, 이소플렌 등의 디엔계 단량체, 탄소수가 4~5의 불포화 올레핀 등의 불포화 탄화수소계 단량체, 상기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나 (메타)아크릴기를 함유하는 불포화 단량체 등의 (메타)아크릴기를 함유한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그들 단량체에,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범위의 양 외의 단량체를 공존시켜도 좋다.
상기 중합성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중합 또는 공중합시켜,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조제한다. 그 조제방법은 상기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제를 조제할 수 있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얻어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촉매, 중합용매, 공존시키는 중합보조제나 첨가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중합조건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단량체 성분의 중합에 있어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라디칼 중합개시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디칼 중합개시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유기과산화물계 중합개시제나 아조계 중합개시제 등을 들 수가 있다. 상기 유기과산화물계 중합개시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벤조일 퍼옥사이드, 디-tert-부틸퍼옥사이드, 큐멘하이드로 퍼옥사이드(cumene hydroperoxide), ter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등을 들 수가 있다. 상기 아조계 중합개시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시클로헥산카르보니트릴 등을 들 수가 있다. 또한, 중합개시제는, 1종만을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조제된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소망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단독으로도 좋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상기 공중합체로서는, 랜덤, 블록, 그래프트 공중합체 중 어느 것이라도 좋다. 또, 분자량으로서는, 중량평균 분자량으로 1만~100만 정도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량평균 분자량은, 겔퍼미에이션 크로마트그래피(GPC)법으로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값이다.
본 발명에서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감압성 접착제를 하나의 성분으로서 천연고무를 사용하여도 좋다. 즉, 초기의 점성이 실질적으로 없거나 극히 적은 천연고무를 사용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특성을 갖는 천연고무는 시판품을 구입하는 방법으로 용이하게 입수할 수가 있다.
상기의 블록공중합체 중에서도, 특히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블록공중합체 및 탄화수소계 블록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블록공중합체는, 식(A-B)m-C(식 중, A 및 B는 각각 구조가 다른 (메타)아크릴계 중합체 블록을 나타내며, 그들 가운데 적어도 하나는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및/또는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 단독으로 이루어지며, C는 A와 동일한 구조라도 좋고, 다른 구조라도 좋으며, m은 1~30의 정수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블록공중합체라도 좋다. 상기 각 블록을 구성하는 중합성 단량체에는, 본 발명의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고 또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내의 소량이라면, 상기에서 규정하는 범위 밖의 중합성 단량체를 병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m=1이고, C는 A와 동일한 구조인 트리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트리블록 공중합체와 디블록 공중합체와의 혼합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들을 혼합하는 양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트리블록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디블록 공중합체를 30~200중량부로 할 수가 있다.
상기 디블록 공중합체로서는, 「경질 블록」과 「연질 블록」으로 구성되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의 디블록 공중합체를 예시할 수가 있다.
상기 트리블록 공중합체, 또는 디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제를 형성하는 블록공중합체가 얻어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대표적인 방법으로서, 각 블록을 구성하는 단량체를 리빙중합하는 방법을 들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로서, 2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메타)아크릴계 모노머를 공중합시켜서 얻어지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를 들 수도 있다. 즉, 탄소수가 4~12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고, 그 밖의 (메타)아크릴계 모노머의 소량의 성분으로 하는 혼합물로 공지의 방법에 의해 중합하여 제조할 수가 있다. 소량 성분의 모노머로서는, 탄소수가 3이하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이나 관능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모노머 등을 예시할 수가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제를 형성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얻어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대표적인 방법으로서, 각 모노머를 용액중합하는 방법을 들 수가 있다.
탄화수소계 블록공중합체는, 비닐 방향족 단량체계 블록중합체와, 이소플렌 중합체 블록, 부타디엔 중합체 블록 등의 디엔계 블록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블록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그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블록공중합체 중에는, (X-Y)n-Z, (식 중, X는 비닐 방향족 단량체계 블록중합체, Y는 디엔계 블록중합체를 나타내고, Z는 비닐 방향족 단량체계 블록중합체이며, X는 동일해도 좋고, 달라도 좋으며, n은 1~30의 정수를 나타낸다)로 나타내는 트리블록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트리블록 공중합체 전체의 수평균 분자량이 10,000~800,0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좋다. 또 비닐 방향족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의 수평균 분자량은 2,500~400,0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디엔계 블록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은 10,000~400,0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블록공중합체에서는, 비닐 방향족 단량체로부터의 구조단위와 이소부틸렌으로부터의 구조단위의 비율이 중량으로 5/95~80/2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90~75/25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상기의 비닐 방향족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과 디엔계 블록중합체로 구성되는 디블록 공중합체를 공존시켜도 좋다. 그 디블록 공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이 각각 5,000~400,0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리블록 공중합체 및 디블록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은 상기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제를 형성하는 블록공중합체가 얻어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적당한 중합개시제계를 사용하여, 불활성 용매 중에서 비닐 방향족 단량체와 이소부틸렌을 각각의 블록결합 순서가 되도록 중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상기 점착부여제는,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제의 점착력이나 유지력 등을 균형있게 조절할 수가 있는 등, 접착제의 특성에 큰 영향을 준다.
상기 점착부여제는, 천연수지계와 합성수지계로 크게 구분되며, 천연수지계로서는 로진, 검 로진, 톨유(tall oil)로진, 로진에스테르, 수첨 로진, 말레인화 로진 등의 로진계 수지, 테르펜 페놀수지, α-피넨, β-피넨, 리모넨 등을 주체로 하는 테르펜수지, 방향족 탄화수소 변성 테르펜수지 등을 들 수가 있다. 또, 합성수지계의 점착부여수지로서는, 지방족계, 지환족계, 방향족계의 석유수지, 쿠마론·인덴수지, 스티렌계 수지, 알킬페놀수지, 로진 변성페놀수지 등의 페놀계 수지, 크실렌수지 등을 들 수가 있으며, 점착부여수지를 배합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점착부여수지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배합할 수가 있다.
이들 가운데에는, 특히, (메타)아크릴계 중합체에는, 로진계 수지, 페놀계 수지, 테르펜 페놀수지, 석유수지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탄화수소계 중합체에는, 테르펜 페놀수지, 로진계 수지, 석유수지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들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점착부여수지의 배합량은, 점착부여수지의 종류, 공종하는 중합체, 감압성 접착제의 용도, 피접착체의 종류 등에 따라서 변동하는 것이며, 일괄적으로 규정할 수는 없으나, 예를 들면, 중합체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점착부여수지를 20~250중량부 정도 배합할 수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메타)아크릴계 중합체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점착부여수지를 20~250중량부 정도 배합할 수가 있으며, 탄화수소계 중합체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점착부여수지를 20~70중량부 정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소망하는 목적을 훼손하지 않는 한, 감압성 접착제분야에서 관용되는 배합제를 필요한 양만큼 미리 첨가해 두어도 좋다.
이들 배합제로서는, 가소제, 충전제 등을 들 수가 있다.
상기 가소제로서는, 예를 들면, 파라핀계 프로세스오일, 나프텐계 프로세스오일, 아로마계 프로세스오일 등의 프로세스오일 외에, 프탈산 디에스테르계 가소제, 액상 폴리이소플렌의 수첨물, 액상 폴리부텐 등의 가소화능을 갖는 액상 폴리머를 들 수가 있다.
상기 충전제로서는, 탈크, 탄산칼슘, 카올린, 산화티탄 등의 무기충전제를 예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제는 상기 폴리머와 점착부여제를 용매의 공존하에서 혼합시키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조제할 수가 있으나, 이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미 공지된 방법을 적용하여 감압성 접착제를 조정할 수가 있다. 이 감압성 접착제를 그대로 심재(芯材)나 화장천 등의 피접착체 표면에 적용시켜도 좋으나, 미리 이형처리한 지지체 표면에 도포하여 건조시키고, 이어서 그 지지체로부터 피접착체 표면에 감압성 접착제를 전사시키는 방법을 적용하여도 좋다. 지지체 표면에 형성되는 감압성 접착제층은 연속적인 상태라도 좋고, 불연속 상태라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히 바람직한 감압성 접착제는, 적어도 상기 폴리머와 점착부여제로 구성되며, 또한 초기 점성값이 실질적으로 0인 상태의 감압성 접착제이다.
본 발명은, 상기 감압성 접착제를 사용하는 첩부방법이기도 하다. 즉, 상기 감압성 접착제를 임의의 물품의 표면에 형성하고, 그 감압성 접착제층과 그 외의 다른 물품을 접촉시켜, 이미 공지된 방법·수단을 이용하여 압박처리하고, 감압성 접착제층을 갖는 물품을 다른 물품에 첩부할 수가 있다. 상기 물품은 감압성 접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좋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감압성 접착제층과 그 밖의 다른 물품을 접촉시킬 때에는, 감압성 접착제층은 끈적거리지 않기 때문에, 접착조작은 대단히 간단하고 작업성도 좋아진다.
또, 상기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제를 임의의 물품의 표면에 형성할 수가 있으며, 라벨, 제킨, 각종 전표, 맹장지 등의 접착제품으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표면에 정보가 인자된 라벨을 한 예로서 설명하면, 정보가 인자된 라벨의 기재의 반대측에,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제를 앞면 또는 일부에 형성해 둔다. 접착제면을 보호할 박리지를 더 첩부하여도 좋으나, 첩부하지 않아도 좋다. 이 라벨을 입수한 사용자는, 박리지가 첩부되어 있을 때에는 그 박리지를 벗겨내고, 박리지가 붙어있지 않을 때에는 그 상태로 희망하는 부위에 눌러주면, 라벨은 용이하게 접착된다. 접착된 라벨은 쉽게 벗겨지지 않으나, 사람의 힘으로 간단히 벗겨낼 수가 있다.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제는, 그대로 방치해 두면 곧 강고하게 접착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라벨의 사용 목적에 따른 대응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제를 상기 피접착체의 표면에 적용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피접착체의 성상, 놓여진 위치나 환경 등에 따라서 적당히 최적의 방법을 선택하면 좋다. 또, 상기 감압성 접착제층을 상기 물품의 전체 표면에 형성하여도 좋으나, 상기 물품의 표면의 일부분에만 형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감압성 접착제를 사용한 적층체의 제조방법이기도 하다. 즉, 상기 감압성 접착제를 임의의 물품의 표면에 형성하는 공정, 및 그 감압성 접착제층과 그 밖의 다른 물품을 접촉시키고, 이미 공지된 방법·수단을 이용하여 압박처리하여, 적층체를 얻을 수가 있다. 상기의 물품은 감압성 접착제층을 형성할 수가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감압성 접착제층을 그 밖의 다른 물품에 접촉시킬 때에는, 감압성 접착제층은 끈적거리지 않기 때문에, 적층체를 제조하는 조작은 대단히 간단하고 작업성도 좋아진다.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제를 상기 피접착체의 표면에 적용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피접착체의 성상, 놓여진 위치나 환경 등에 따라서, 적당히 최적의 방법을 선택하면 좋다. 또, 상기 감압성 접착제층을 상기 물품의 전체 표면에 형성하여도 좋으나, 상기 물품의 표면의 일부분에만 형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제는, 예를 들면, 임의의 심재의 편면 또는 양면에 화장재, 보강재, 그 밖의 각각 특유의 목적·기능을 갖는 재료 등을 적층시킬 때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제는, 적층체를 제조할 때에도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보드지(판지) 등의 각종 대지(台紙)와 그 위에 첩부하는 화장지, 사진인화지 등, 서류나 서적 등과 그 표면에 형성하는 보호커버필름 등을 들 수가 있다. 상기 심재의 소재,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합판, 집성재 등의 목질계 재료, 철판, 알루미늄제 판 등을 예시할 수가 있으며, 그 형상도 연속체, 일부의 공간을 갖는 재료 등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심재에 적층시키는 재료의 재질이나 형상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각각 특유의 목적·기능을 만족시킬 수가 있도록 선택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불연속체나 곡면을 갖는 재료라도 좋다.
상기 화장재나 보강재로서는, 화장지, 화장천, 화장수지 시트, 각종 무기재료제 보드, 각종 유리제품 등을 예시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 부, 는 각각 중량%, 중량부를 의미한다.
(실시예1)
감압성 접착제의 조제
아크릴계 블록공중합체 혼합물(LA2140:가부시키가이샤 크라레 제) 100중량부, 아크릴계 블록공중합체(LA1114e:가부시키가이샤 크라레 제) 100중량부 및 로진에스테르계 점착부여제(수퍼에스테르A125:아라카와카가쿠샤 제) 200중량부를, 톨루엔 400중량부에 용해시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도장(塗裝)하고, 톨루엔을 건조 제거하여, 감압성 접착제를 얻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톨루엔의 사용량은 감압성 접착제를 구성하는 수지와 동일한 양이다.
(실시예2)
감압성 접착제의 조제
로진에스테르계 점착부여제(A125) 200중량부 대신에 동일한 점착부여제를 300중량부로 하고, 그 이외는 실시예1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감압성 접착제를 조제하였다.
(시험예1)
실시예1의 톨루엔용액을, 두께 1.3㎜의 유리판 표면에, 건조 후의 두께가 40㎛이 되도록 도장하고 건조시켜서 감압성 접착제의 층을 형성하였다. 그 감압성 접착제를 하기의 측정시료로 하였다.
실시예2의 톨루엔용액도 동일하게 조작하고, 얻어진 감압성 접착제를 하기의 측정시료로 하였다.
초기 점성(프로브 태크 )의 측정
ASTM D 2979에 준거하여, 프로브 태크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사용한 프로브 : 지름 5㎜
측정하중 : 19.6g/5㎜Φ(1.0N/㎠)
접촉시간 : 1초
박리속도 : 10㎜/sec
측정기기 : 프로브 태크 테스터 TE-600-D(테스터산교가부시키가이샤 제)
점착력의 측정
JISZ0237-2000에 준거하여, 180도 박리 점착력(이하, 필 강도(peel strength)라고 한다)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온도 : (23±2)℃
상대습도 : (50±5)%
가압조건 : 2㎏ 롤러로 5회 왕복
방치시간 : 20~40분
인장속도 : 300㎜/min
시료의 폭 : 8.4㎜ 또는 25㎜
(시험예2)
초기 점성(볼 굴림 볼 태크)의 측정
실시예1 및 실시예2의 감압성 접착제를 측정시료로 하여, JIS Z0237-2000에 준거하여, 볼 굴림 볼 태크 시험법(이하, 경사식 볼 태크 법이라고 한다)에 의한 초기 점성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예3)
초기 점성( 핑거 태크 )의 측정
실시예1 및 실시예2의 감압성 접착제의 표면에 엄지손가락을 밀어 누르고, 벗겨질 때의 저항감을 2명의 패널에 의해, 하기의 기준항목에 따라서 관능평가하였다. 평가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기준항목
1. 점성이 약간 있거나 거의 없다.
2. 셀로판 점착테이프보다 조금 약한 점성이 있다.
3. 셀로판 점착테이프와 동일한 정도의 점성이 있다.
4. 셀로판 점착테이프보다 조금 강한 점성이 있다.
5. 셀로판 점착테이프보다 강한 점성이 있다.
번호 프로브 태크값 필 강도 경사식 볼 태크 핑거 태크
실시예1 0.04 9.3 2이하 1
실시예2 0.01 9.7 2이하 1
프로브 태크값의 단위는 (N/㎟)이다(이하, 동일). 필 강도의 단위는 N/25㎜이다(이하,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 한 동일). 핑거 태크 란의 수치는 패널의 평가값이다(이하, 동일).
(실시예3~6)
감압성 접착제의 조제
표 2에 기재된 중합체의 양과 점착부여제의 양을 실시예1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감압성 접착제를 얻었다.
번호
중합체 점착부여제
종류 종류
실시예3 LA 60 스미라이트레진 40
실시예4 LA 50 스미라이트레진 50
실시예5 LA 60 타마놀901 40
실시예6 LA 50 타마놀901 50
표 중, LA는 LA2140과 LA1114e와의 등량(중량) 혼합물, 스미라이트레진은 페놀수지 점착부여제(스미토모 베이크라이트사 제), 타마놀901은 테르펜 페놀수지 점착부여제(아라카와카가쿠샤 제)이다.
실시예3~6의 톨루엔용액을 사용하여, 시험예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감압성 접착제의 층을 형성하여, 초기의 점성(프로브 태크)과 점착력의 측정시료로 하였다. 그 측정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번호 프로브 태크값 필 강도 경사식 볼 태크 핑거 태크
실시예3 0.01 17.1 - 1
실시예4 0.01 9.6 - 1
실시예5 0.04 16.9 2이하 1.5
실시예6 0.01 9.6 2이하 1
경사식 볼 태크 란의 -은, 측정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7~13)
감압식 접착제의 조제
표 4에 기재된 중합체의 양과 점착부여제의 양을 실시예1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감압성 접착제를 얻었다.
실시예번호
중합체 중합체
점착부여제
종류 종류 종류
실시예7 LA2140 100 LA1114e 100 A115 200
실시예8 LA2140 100 LA1114e 100 A115 220
실시예9 LA2140 100 LA1114e 100 A115 240
실시예10 LA2140 120 LA1114e 80 A115 200
실시예11 LA2140 140 LA1114e 60 A115 200
실시예12 LA2140 160 LA1114e 40 A115 200
실시예13 LA2140 180 LA1114e 20 A115 200
표 중, A115는 로진에스테르계 점착부여제(수퍼에스테르 A115:아라카와카가쿠샤 제)이다.
실시예7~13의 감압성 접착제를 측정시료로 하여, 시험예2와 동일한 조작에 의해 경사식 볼 태크 법에 의한 초기 점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사용한 모든 강구(鋼球)가 멈추지 않았다.
이 결과로부터, 실시예7~13의 감압성 접착제의 초기 점성은 거의 없다고 할 수가 있다. 또한, 실시예13의 점착력은 7.5N/8.4㎜이다. 다른 감압성 접착제도 특허청구범위의 수치를 만족시킨다.
(실시예14)
감압성 접착제의 조제
스티렌-이소플렌 블록공중합체(퀸태크3421:니혼제온샤 제) 70중량부, 테르펜 페놀수지 점착부여제(타마놀901:아라카와카가쿠샤 제) 30중량부를 톨루엔에 용해시키고, 실시예1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감압성 접착제를 얻었다.
(실시예15~21)
감압성 접착제의 조제
표 6에 기재된 중합체의 양과 점착부여제의 양을 실시예14와 동일하게 처리하여, 감압성 접착제를 얻었다.
번호
중합체 점착부여제
종류 종류
실시예15 SIS 60 타마놀901 40
실시예16 SIS 50 타마놀901 50
실시예17 SIS 40 타마놀901 60
실시예18 SIS 90 퀸돈R100 10
실시예19 SIS 90 수퍼에스테르A125 10
실시예20 SIS 70 수퍼에스테르A125 30
실시예21 SIS 50 수퍼에스테르A125 50
표 중, SIS는 스티렌-이소플렌 블록공중합체(퀸태크3421)이다.
실시예14~21의 톨루엔용액을 사용하여, 시험예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감압성 접착제의 층을 형성하여, 초기 점성(프로브 태크)과 점착력의 측정시료로 하였다. 그 측정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번호 프로브 태크값 필 강도
실시예14 0.00 21.3
실시예15 0.00 23.2
실시예16 0.00 28.2
실시예17 0.00 32.2
실시예18 0.04 6.7
실시예19 0.02 11.4
실시예20 0.04 23.7
실시예21 0.01 28.6
실시예17의 감압성 접착제를 측정시료로 하여, 시험예2 및 3과 동일하게 조작하고, 초기 점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경사식 볼 태크는 2이하이고, 핑거 태크는 1.5였다.
(실시예22~23)
감압성 접착제의 조제
표 8에 기재된 중합체의 양과 점착부여제의 양을 실시예14와 동일하게 처리하여 감압성 접착제를 얻었다.
번호
중합체 점착부여제
종류 종류
실시예22 퀸태크3421 100 에스코레츠E-1315 150
실시예23 퀸태크3421 100 아르콘P125 150
표 중, 에스코레츠E-1315는 석유수지계 점착부여제(엑손모빌사 제), 아르콘P125는 수소첨가 석유수지:아라카와카가쿠샤 제)이다.
실시예22~23의 감압성 접착제에 대하여, 시험예2와 동일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용한 모든 강구가 멈추지 않았다.
이 결과로부터, 실시예22~23의 감압성 접착제의 초기 점성은 거의 없다고 할 수가 있다. 또, 점착력도 특허청구의 범위의 수치를 만족시킨다(N/8.4㎜).
(실시예24~27)
감압성 접착제의 조제
표 9에 기재된 중합체의 양과 점착부여제의 양을 실시예1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감압성 접착제를 얻었다.
실시예번호
중합체 중합체
종류 종류
실시예24 SK다인701 100 타마놀901 67
실시예25 SK다인701 100 타마놀901 43
실시예26 SK다인701 100 수퍼에스테르A-115 100
실시예27 SK다인701 100 수퍼에스테르A-115 67
표 중, SK다인은 아크릴계 접착제(소켄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이다.
실시예24~27의 감압성 접착제를 측정시료로 하여, 시험예2와 동일하게 조작하고, 경사식 볼 태크 법에 의한 초기 점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사용한 강구의 전부가 멈추지 않았다.
상기 결과로부터, 실시예24~27의 감압성 접착제의 초기 점성은 거의 없다고 할 수가 있다. 또, 점착력도 특허청구의 범위의 수치를 만족시킨다(N/8.4㎜).
(시험예4)
경시변화의 측정
아크릴계 블록공중합체 혼합물(LA2140) 100중량부, 아크릴계 블록공중합체(LA1114e) 100중량부 및 로진에스테르계 점착부여제(A115) 180중량부를 톨루엔에 용해시키고, 실시예1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감압성 접착제를 조제하였다. 그 감압성 접착제의 면에 기재를 겹쳐놓고, 1㎏의 롤러를 2회 왕복처리하였다. 이어서, 시험예1과 동일하게 조작하고, 표 중에 기재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직후의 필 강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낸다.
(시험예5)
경시변화의 측정
SK다인701을 100중량부, 점착부여제(타마놀901) 67중량부를, 톨루엔에 용해시키고, 그 이후는 시험예4와 동일하게 조작하여, 표 중에 기재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직후의 필 강도(N/8.4㎜)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낸다.
필 강도값
번호 1분 경과 3분 경과 10분 경과 30분 경과
시험예4 4.02 7.03 9.41 11.81
시험예5 9.2 9.74 10.60 11.76
(비교예1)
아크릴계 블록중합체 혼합물(LA)에 실시예1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수지막을 얻었다.
이 막을, 시험예4와 동이하게 조작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필 강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30분이 경과하여도 필 강도의 측정값은 낮았다.
(실시예28)
실시예7에서 얻은 감압성 접착제를, 폭 8.4㎜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전사한 것을, 스테인레스판에 면포를 첩부한 판의 면포의 면에, 1㎏-롤러의 1회 왕복으로 간단히 접착되었다. 3분 후의 접착강도는 6.7N/8.4㎜였다.
또한, 감압성 접착제의 두께는 120㎛이 되도록 조정하였다.
(실시예29)
실시예7에서 얻은 감압성 접착제를, 폭 8.4㎜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전사한 것을, 베이크라이트판의 표면에 1㎏-롤러의 1회 왕복으로 간단하게 접착되었다. 3분 후의 접착강도를 측정하고자 시도하였으나, 접착강도가 너무 높아서 측정이 불가능하였다. 그래서, 0.5㎏-롤러의 1회 왕복으로, 간단히 접착되었다. 3분 후의 접착강도는 11, 4N/8.4㎜였다. 또한, 감압성 접착제의 두께는 120㎛이 되도록 조정하였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발명이기도 하다.
(1) 초기 점성이 실질적으로 없거나 또는 극히 조금밖에 없으며, 또 가압처리에 의해 점착력이 발현되는 수지조성물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올레핀성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중합성 단량체를 중합시켜서 얻는 중합체, 및 천연고무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고분자 화합물과 점착부여제에 의해 이루어지는 수지조성물.
(2) 중합체가 (메타)아크릴계 중합체, 탄화수소계 중합체, 및 천연고무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수지조성물.
(3) 중합체가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메타)아크릴계 블록공중합체, 및 탄화수소계 블록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에 기재된 수지조성물.
(4) 점착부여제가 로진계 수지, 테르펜수지, 석유수지, 및 테르펜 페놀계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수지조성물.
(5) 상기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조성물의 감압성 접착제로서의 사용.
(6) 상기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첩부용 감압성 접착제의 층을 갖는 접착제품 또는 적층체.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제는, 초기 점성이 실질적으로 없거나 또는 극히 적으며, 가압에 의해 점착력이 발현되는 감압성 접착제이기 때문에, 그 감압성 접착제가 구비된 화장천을 심재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시킬 때에는, 이른바 끈적임이 거의 없기 때문에, 감압성 접착제를 피접착체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시키는 조작이 극히 간편하고, 또, 한번 화장천을 심재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한 후에도, 화장천의 배치장소가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하였을 때에는, 화장천을 다시 적절한 위치로 간단히 옮겨 놓을 수 있다는 특성을 갖는다. 또한, 그 화장천을 임의의 수단으로 압박하면, 화장천은 심재의 표면에 단단히 접착될 뿐만 아니라, 시간의 경과와 함께 강고하게 화장천이 심재의 표면에 접착되기 때문에, 화장천은 간단하게 벗겨지지 않게 된다.
또,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제를 적용하면, 화장천이 젖혀지거나 벗겨지는 등의 이른바 브리스터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라벨이나 제킨 등은, 종래의 감압성 접착제를 사용한 것 보다 장시간에 걸쳐서 반복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해, 간단한 조작으로 외관이 우수한 화장재 등의 적층체를 작성할 수가 있다.

Claims (10)

  1. 임의의 물품의 표면에 형성한, 적어도 (메타)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와 점착부여제로 구성되는, 프로브 태크법에 의한 초기 점성이 0N/㎟ 초과, 0.2N/㎟ 이하이고, 또 가압처리에 의해 9N/25㎜ 이상의 점착력이 발현되는 감압성 접착제층을, 다른 물품에 접촉시켜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성 접착제층을 표면에 구비하는 물품의 첩부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감압성 접착제층이 적어도 (메타)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와 점착부여제로 구성되는, 프로브 태크법에 의한 초기 점성이 0N/㎟ 초과, 0.2N/㎟ 이하이고, 또 볼 굴리기 볼 태크 시험에 의한 초기점성이 0 초과, 2 이하이며, 또 가압처리에 의해 9N/25㎜ 이상의 점착력이 발현되는 감압성 접착제층인 감압성 접착제층을 표면에 구비하는 물품의 첩부방법.
  3. 적어도 (메타)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와 점착부여제로 구성되는, 프로브 태크법에 의한 초기 점성이 0N/㎟ 초과, 0.2N/㎟ 이하이고, 또 가압처리에 의해 9N/25㎜ 이상의 점착력이 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용 감압성 접착제.
  4. 제3항에 있어서,
    감압성 접착제가 적어도 (메타)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와 점착부여제로 구성되는, 프로브 태크법에 의한 초기 점성이 0N/㎟ 초과, 0.2N/㎟ 이하이고, 또 볼 굴리기 볼 태크 시험에 의한 초기점성이 0 초과, 2 이하이며, 또 가압처리에 의해 9N/25㎜ 이상의 점착력이 발현되는 감압성 접착제층인 첩부용 감압성 접착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여제가 로진계 수지, 테르펜수지, 석유수지, 및 페놀계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용 감압성 접착제.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감압성 접착제층을, 적어도 임의의 물품의 표면에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감압성 접착제층과 다른 물품을 접촉시켜, 압박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의 제조방법.
  7. 제3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감압성 접착제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8. 제3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감압성 접착제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품.
  9. 삭제
  10. 삭제
KR1020087010052A 2005-09-29 2006-09-28 첩부방법, 첩부용 감압성 접착제 및 그 감압성 접착제층을 갖는 접착제품 KR1012725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85701 2005-09-29
JP2005285701 2005-09-29
JPJP-P-2006-00263648 2006-09-27
JP2006263648A JP2007119758A (ja) 2005-09-29 2006-09-27 貼り付け方法、貼り付け用感圧性接着剤及びその感圧性接着剤の層を有する接着製品
PCT/JP2006/319382 WO2007037345A1 (ja) 2005-09-29 2006-09-28 貼り付け方法、貼り付け用感圧性接着剤及びその感圧性接着剤の層を有する接着製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8823A KR20080068823A (ko) 2008-07-24
KR101272546B1 true KR101272546B1 (ko) 2013-06-11

Family

ID=37899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0052A KR101272546B1 (ko) 2005-09-29 2006-09-28 첩부방법, 첩부용 감압성 접착제 및 그 감압성 접착제층을 갖는 접착제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092773A1 (ko)
EP (1) EP1939262A4 (ko)
JP (1) JP2007119758A (ko)
KR (1) KR101272546B1 (ko)
CN (1) CN101278024B (ko)
CA (1) CA2624095C (ko)
WO (1) WO20070373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8592A (ja) * 2005-09-29 2007-05-17 Kokuyo S&T Co Ltd 製本用感圧性接着剤およびそれを用いる製本方法
JP5176571B2 (ja) * 2008-02-05 2013-04-03 東亞合成株式会社 接着剤組成物
JP2012077244A (ja) * 2010-10-05 2012-04-19 Idemitsu Unitech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JP6101165B2 (ja) * 2013-06-27 2017-03-22 積水フーラー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
JP6204125B2 (ja) * 2013-09-12 2017-09-27 日東電工株式会社 試験片用粘着シート
WO2017160785A1 (en) * 2016-03-18 2017-09-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compositions with (meth) acrylic-based block copolymers
US20190144723A1 (en) * 2016-06-06 2019-05-16 Dic Corporation Adhesive sheet and article
EP3597715A4 (en) * 2017-03-15 2020-04-15 Denka Company Limited ADHESIVE FILM, PROTECTIVE MATERIAL AND WIRING HARNESS
JP7453500B2 (ja) 2019-10-03 2024-03-21 横浜ゴム株式会社 スチールコード接着用ゴム組成物及びコンベヤベル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8188A (ja) * 1987-01-19 1988-07-22 Kuraray Co Ltd 粘着剤用組成物
JP2000158847A (ja) * 1998-12-01 2000-06-13 Fuji Xerox Office Supply Co Ltd 圧着製本用紙
JP2003096415A (ja) * 2001-09-27 2003-04-03 Teraoka Seisakusho:Kk 粘着テープ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925685D0 (en) * 1989-11-14 1990-01-04 Exxon Chemical Patents Inc Resin use for tackification
JP3456828B2 (ja) * 1996-04-12 2003-10-14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アクリル系水性感圧接着剤組成物
JP4188464B2 (ja) * 1998-09-08 2008-11-26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US6656319B1 (en) 2000-10-25 2003-12-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uid-activatable adhesive articles and methods
JP2003096422A (ja) * 2001-09-26 2003-04-03 Kuraray Co Ltd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性物品
CA2479281C (en) * 2002-03-26 2011-06-14 Kuraray Co., Ltd. Diblock copolymer and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JP2004117790A (ja) * 2002-09-26 2004-04-15 Toppan Printing Co Ltd 表示ディスプレイ用保護フィルム
JP4679165B2 (ja) * 2005-01-25 2011-04-27 コクヨS&T株式会社 粘着製品及び転写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8188A (ja) * 1987-01-19 1988-07-22 Kuraray Co Ltd 粘着剤用組成物
JP2000158847A (ja) * 1998-12-01 2000-06-13 Fuji Xerox Office Supply Co Ltd 圧着製本用紙
JP2003096415A (ja) * 2001-09-27 2003-04-03 Teraoka Seisakusho:Kk 粘着テー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92773A1 (en) 2010-04-15
EP1939262A1 (en) 2008-07-02
WO2007037345A9 (ja) 2008-05-15
KR20080068823A (ko) 2008-07-24
JP2007119758A (ja) 2007-05-17
WO2007037345A1 (ja) 2007-04-05
CN101278024B (zh) 2012-05-23
EP1939262A4 (en) 2010-12-29
CA2624095C (en) 2011-07-05
CA2624095A1 (en) 2007-04-05
CN101278024A (zh) 200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2546B1 (ko) 첩부방법, 첩부용 감압성 접착제 및 그 감압성 접착제층을 갖는 접착제품
EP0723571B1 (en) Polystyrene-ethylene/butylene-polystyrene hot melt adhesive
JP5994618B2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02119200B (zh) 低表面能粘合剂
TWI277643B (en) Thermosetting adhesive or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r sheet, and process of producing the same
KR20110089873A (ko) 감압 접착제 및 감압 접착 테이프
EP2226369A1 (en) Adhesive article comprising an acrylic foam layer
JP2009108185A (ja) 積層型粘着剤
KR20120093210A (ko) 이중 가교 점착부여된 감압 접착제
US20040137222A1 (en) Transparen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N108138011B (zh) 胶粘剂、特别地用于可剥离胶带的胶粘剂及用于在经涂覆的木片壁纸上的粘合的用途
US20160355706A1 (en) Double-Sided Self-Adhesive Products with High Optical Quality
WO2016111286A1 (ja) 加飾物品および加飾用積層体
JP2005503450A (ja) 透明感圧接着剤層
WO2000056796A1 (en) Adhesive compositions containing multiblock polyisoprene-polystyrene copolymers and articles including same
JP3154745B2 (ja) 感圧性接着剤とその接着シ―ト
JP2018505932A (ja) 多モード非対称多腕エラストマー性ブロックコポリマーを含む感圧接着剤
JP2007118592A (ja) 製本用感圧性接着剤およびそれを用いる製本方法
JP2001316639A (ja) 粘着体
JP2502471B2 (ja) 接着方法とこれに用いる感圧接着テ―プ
JP7308166B2 (ja) 車両保護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及び車両保護フィルム
JPH05306380A (ja) ホットメルト粘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塗布した粘着テープ、ラベルもしくはシート
JP5108452B2 (ja) 掲示板
JPH01139640A (ja) 粘着剤組成物
JP2022123782A (ja)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