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9282B1 - 이형 시트 - Google Patents

이형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9282B1
KR101269282B1 KR1020087010288A KR20087010288A KR101269282B1 KR 101269282 B1 KR101269282 B1 KR 101269282B1 KR 1020087010288 A KR1020087010288 A KR 1020087010288A KR 20087010288 A KR20087010288 A KR 20087010288A KR 101269282 B1 KR101269282 B1 KR 101269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sheet
resin
polyolefin resin
layer
rel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0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7097A (ko
Inventor
야스시 사사키
후지오 다니와키
Original Assignee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7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7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2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Abstract

합성피혁 등의 수지막의 제조시에 이용되는 이형 시트에 있어서, 두께가 두꺼운 박리층을 갖는 경우라도, 컬링 현상이 완화된 반복 사용에 있어서의 직업성이 좋은 이형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형 시트는 기재의 한쪽 면에 박리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이형 시트에 있어서, 이 박리층이 기재측에 비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 단독 (A), 또는 비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와 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수지 혼합물 (B)을 포함하는 도막 형성 재료 I을 이용하여 형성된 중간층을 가지며, 중간층 위에 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도막 형성 재료 Ⅱ를 이용하여 형성된 표면층을 갖는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이형 시트{RELEASE SHEET}
본 발명은 합성피혁 등의 용도에 있어서의 수지막 제조시에 공정 시트로서 반복 사용되는 이형 시트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수지막 제조과정에서 생기는 컬링 (curling) 현상이 완화된 이형 시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합성피혁 등의 제조는 우레탄 수지, 염화비닐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등을 이형 시트 위에 도포·건조하고, 필요에 따라 기포 (基布)와 붙이는 방법으로 행해지고 있다 (건식법). 또, 내수성 이형 시트 위에, 예를 들어, 우레탄 수지를 도포하여 우레탄 수지층을 형성하고, 이 이형 시트 위의 우레탄 수지층에 기포를 붙인 후, 응고층 안으로 유도하여 우레탄 수지를 응고시켜 성막하고, 수세·건조하는 방법으로도 제조가 행해지고 있다 (습식법).
합성피혁 등을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할 때 사용되는 이형 시트로는 종이 혹은 플라스틱 필름을 기재 (基材)로 하여, 그 표면에 각종 수지 조성물 등으로 박리층을 형성시킨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폴리머는 박리제용의 저비용으로 바람직한 수지로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기재 시트에 융점 120 ℃ 이상의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진 중간층과, 융점 160 ℃ 이상의 호모폴리프로필렌 수지 또는 폴리메틸펜텐 수지로 이루어진 표면층으로 이루어진 이형성 수지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진 이형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또, 합성피혁용 수지막 제조공정 중에서도 인라인 엠보스 가공공정에 있어서는, 박리층 표면에 무늬를 갖는 이형 시트를 이용하여 수지막의 표면에 무늬를 전사하여 무늬가 있는 수지막이 제조된다. 수지막의 표면에 깊은 무늬를 전사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이형 시트의 박리층의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있다.
또, 건식법에 의해 이형 시트의 박리층 위에 수지를 포함하는 용액을 도포·건조하고, 필요에 따라 그 위에 기포를 접착제층을 통하여 붙인 경우, 건조 공정에서는 고온에서 가열할 필요가 있다.
또, 습식법이라도 이형 시트의 박리층 위에 수지막을 형성시킨 경우, 수지의 응고 공정, 수세 공정 후에 이형 시트를 가열하여 건조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은 두께가 두꺼운 박리층을 결정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형성시킨 이형 시트를 가열하여 건조시키면 컬링되기 때문에 반복 사용에 있어서의 작업성이 나빠진다.
특허문헌 1의 이형 시트에서는 이 문제를 기재 시트의 양면에 수지층을 마련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고 하고 있으나, 이 방법에서는 기재로 종이를 사용한 경우에, 가열건조 공정에서 종이 중 수분의 증발에 의해 박리층이 발포 (發泡)해 버려 이형 시트를 재사용할 수 없게 되거나 제조비용이 증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 2003-103711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이와 같은 상황 아래, 본 발명의 과제는 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층을 포함하는 두께가 두꺼운 박리층을 기재의 한쪽 면에 형성시킨 이형 시트에 있어서의 가열 건조 후의 컬링 현상을 완화시키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여러 가지 연구를 거듭한 결과, 기재의 한쪽 면에 두께가 두꺼운 박리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이형 시트에 있어서, 이 박리층을 특정의 도막 형성 재료 I로 이루어진 중간층과 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도막 형성 재료 Ⅱ로 이루어진 표면층을 갖는 다층 구조로 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하기 (1)~(8)
(1) 기재의 한쪽 면에 박리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이형 시트에 있어서, 이 박리층이 기재측에 비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 단독 (A), 또는 비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와 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수지 혼합물 (B)을 포함하는 도막 형성 재료 I를 이용하여 형성된 중간층을 가지며, 중간층 위에 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도막 형성 재료 Ⅱ를 이용하여 형성된 표면층을 갖는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시트,
(2) 상기 수지 혼합물 (B)에 있어서의 비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함유량이 적어도 40 중량%인 상기 1에 기재된 이형 시트,
(3) 상기 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가 JIS K7122에 준거하여 시차주사열량계로 측정하여 얻어지는 결정의 융해에 근거한 메인 피크의 위치 (융점)가 80~176 ℃인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이형 시트,
(4)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인 상기 3에 기재된 이형 시트,
(5) 상기 비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가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인 상기 3 또는 4에 기재된 이형 시트,
(6) 상기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의 프로필렌 단위 함유율이 50~99 중량%인 상기 5에 기재된 이형 시트,
(7) 상기 중간층의 두께가 30~500 ㎛인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이형 시트 및
(8) 상기 표면층의 두께가 10~60 ㎛인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이형 시트를 제공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해, 합성피혁 등의 수지막의 제조시에 이용되는 이형 시트에 있어서, 두께가 두꺼운 박리층을 갖는 경우라도, 컬링 현상이 완화된 반복 사용에 있어서의 작업성이 좋은 이형 시트가 제공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본 발명의 이형 시트에 있어서, 기재로는 크라프트지, 상질지, 모조지, 아트지, 코트지와 같은 종이류, 이들 종이 기재에 폴리에틸렌 등을 라미네이트한 라미네이트지, 합성지, 부직포, 혹은 폴리올레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및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의 플라스틱 필름이 사용된다.
기재로서 종이류가 사용되는 경우, 그 평량 (坪量)은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30~300 g/㎡, 보다 바람직하게는 40~200 g/㎡이다.
기재로서 플라스틱 필름이 사용되는 경우, 그 두께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10~5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50~250 ㎛이다.
종이의 평량의 범위 및 플라스틱 필름의 두께의 범위를 상기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도막 형성 재료 Ⅱ를 이용하여 형성된 표면층을 중간층을 통하여 기재에 라미네이트할 때 및 합성피혁 등 수지막을 제조할 때 기계 적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이형 시트를 운반·보관하기 위한 롤 감음이 용이하며, 이형 시트의 롤 교체의 빈도도 높지 않아 생산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기재로서 플라스틱 필름이 사용되는 경우는 플라스틱 필름과 뒤에 기술할 중간층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플라스틱 필름의 중간층이 마련되는 측의 면에 필요에 따라 산화법이나 요철화법 등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표면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산화법으로는 예를 들면, 코로나 방전 처리, 크롬산 처리, 화염 처리, 열풍 처리, 오존·자외선 조사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또, 요철화법으로는 예를 들면, 샌드블라스트법, 용매 처리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표면 처리법은 플라스틱 필름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또, 프라이머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이형 시트는 상기와 같은 기재의 한쪽 면에 박리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이형 시트에 있어서, 이 박리층이 기재측에 비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 단독 (A), 또는 비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와 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수지 혼합물 (B)을 포함하는 도막 형성 재료 I을 이용하여 형성된 중간층을 가지며, 중간층 위에 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도막 형성 재료 Ⅱ를 이용하여 형성된 표면층을 갖는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표면층을 형성시키기 위한 필수 성분으로서 이용되고, 중간층을 형성시키기 위한 임의 성분으로서 이용되는 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로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중에서 이소택틱 (isotactic) 또는 신디오택틱 시퀀스 (syndiotactic sequence) 구조를 주로 갖고 있는 것으로, 호모폴리머여도 되며, 에틸렌 또는 1-부텐이나 1-펜텐과 같은 α-올레핀의 1종 이상의 코모노머 (comonomer) 성분을 포함하는 랜덤 타입이나 블록 타입의 코폴리머, 또는 프로필렌의 호모폴리머에 폴리에틸렌이 블렌드된 것이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JIS K7122에 준거한 시차주사열량계 (DSC)에 의한 측정에서 1 J/g 이상, 바람직하게는 30~120 J/g, 더욱 바람직하게는 60~120 J/g의 결정 융해 열량을 갖는 것이며, 결정 융해에 근거한 메인 피크의 위치 (융점)가 80~176 ℃인 것,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176 ℃인 것이다. 결정 융해 열량 및 융점이 상기 범위의 것이면, 고밀도~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부텐계 수지여도 된다. 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수평균 분자량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10,000~1,000,000 정도이다.
이 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는, 산아로마(주)제 폴리프로필렌 「PH903A」, 일본폴리켐(주)제의 폴리프로필렌 「FL25T」, 「FL25HA」, (주)프라임폴리머제의 폴리프로필렌 「F109V」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표면층을 형성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수지나 각종 첨가제를 배합할 수도 있다. 또, 표면층에 사용되는 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와 중간층에 임의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는 동일해도 되고, 다른 것이어도 된다.
중간층을 형성시키기 위해서 필수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비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로는, JIS K7122에 준거한 DSC에 의한 측정에서 결정의 융해에 근거한 1 J/g 이상의 피크 및 결정화에 근거한 1 J/g 이상의 피크 중 어느 것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이다.
비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로는, 에틸렌 및 탄소수 3~20의 α-올레핀을 필수로 하며, 임의로 폴리엔 화합물, 환상 올레핀 및 비닐방향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모노머 성분을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비정성 올레핀계 공중합체, 에틸렌, 프로필렌 및 탄소수 4~20의 α-올레핀을 필수로 하고, 임의로 폴리엔 화합물, 환상 올레핀 및 비닐방향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모노머 성분을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비정성 올레핀계 공중합체, 프로필렌 및 탄소수 4~20의 α-올레핀을 필수로 하며, 임의로 폴리엔 화합물, 환상 올레핀 및 비닐방향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모노머 성분을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비정성 올레핀계 공중합체, 에틸렌, 탄소수 4~20의 α-올레핀 및 폴리엔 화합물로 이루어진 비정성 올레핀계 공중합체 등이 있다. 특히, 프로필렌 단위 함유율이 50~99 중량%인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고, 프로필렌 단위 함유율이 95 중량% 정도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비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는, 스미토모화학(주)제 폴리프로필렌 「터프셀렌 X-1102」나 「터프셀렌 X-1104」 등을 들 수 있다.
중간층을 형성시키기 위한 도막 형성 재료 I은 비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 단독 (A)이어도 되고, 비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와 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수지 혼합물 (B)이어도 되나, 비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 단독 (A)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혼합물 (B)인 경우, 이 혼합물 중의 비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함유량은 적어도 4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50 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비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 단독 (A), 또는 비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적어도 40 중량% 포함하는 비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와 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수지 혼합물 (B)을 포함하는 도막 형성 재료 I을 이용하여 중간층을 형성함으로써 컬링 현상이 완화된 이형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비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 단독 (A)인 경우에 있어서도 수지 혼합물 (B)인 경우에 있어서도 본 발명에 의한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수지나 각종 첨가제를 혼합할 수 있다.
상기 표면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6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5~55 ㎛, 중간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30~5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50~150 ㎛이다.
양자 합계의 두께(즉, 박리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40~560 ㎛, 더욱 바람직하게는 65~205 ㎛이나, [표면층의 두께]와 [중간층의 두께]는 [표면층의 두께] < [중간층의 두께]라고 하는 관계식을 만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층이나 중간층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표면층과 중간층으로 이루어진 박리층에 깊은 무늬를 형성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이형 시트의 컬링 현상을 완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아울러, 이형 시트를 운반·보관하기 위한 롤 감음에도 지장은 없다. 기재에 중간층 및 표면층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통상 사용되고 있는 공압출 성형, 싱글 압출기에 의한 텐덤 성형 또는 싱글 압출기에 의한 2회 압출 성형에 의한 것이 일반적이다.
박리층 표면에 무늬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통상 행해지고 있는 바와 같이 박리층을 형성하기 위한 용융 수지를 광택이 다른 냉각 롤이나 요철이 있는 냉각 롤로 무늬를 전사하는 방법을 적용하던가 또는 기재 위에 중간층과 표면층으로 이루어진 박리층을 마련한 후 열·압력에 의해 전사 롤 (광택이 다른 것, 요철 모양을 가짐) 면을 전사시키는 방법 등이 적용된다.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형 시트 제작용 재료>
(1) 기재: 상질지(평량 127.9 g/㎡)
(2) 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 산아로마(주)제 폴리프로필렌 「PH903A」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저밀도 폴리에틸렌 = 86/14 (중량비) 블렌드물 (수 평균 분자량: 32000)]
이 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JIS K7122에 준거한 DSC에 의한 측정에서 메인 피크의 결정 융해 열량은 82 J/g, 결정의 융해에 근거한 메인 피크의 위치 (융점)는 162 ℃이었다.
(3) 비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 스미토모화학(주)제 폴리프로필렌, 「터프 셀렌X-1102」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프로필렌 단량체 함유량: 95 중량%)]
이 비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JIS K7122에 준거한 DSC에 의한 측정에서 결정 융해 열량 1 J/g 이상의 결정 융해 피크 및 결정화에 근거한 피크는 모두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1
스크루 사이즈 30 ㎜φ를 갖는 다층 T 다이 용융 압출기를 이용하여, 용융 수지 온도 280 ℃에서 공압출 가공하여 이형 시트를 제작하였다.
이 이형 시트는 상기 상질지의 한쪽 면에 상기 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와 비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50/50 (중량비)으로 멜트브렌드한 혼합 수지로 이루어진 중간층 (두께 80 ㎛)을 갖고, 그 중간층 위에 상기 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표면층 (두께 20 ㎛)을 갖는다.
실시예 2
표면층의 두께를 30 ㎛로, 중간층의 두께를 70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이형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
표면층의 두께를 30 ㎛로, 중간층의 수지를 비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 단독 으로 하고, 그 두께를 120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이형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
표면층의 두께를 50 ㎛로, 중간층의 수지를 비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 단독으로 하고, 그 두께를 100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게 하여 이형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및 2
표면층의 두께를 각각 100 ㎛ 및 150 ㎛로 하고, 중간층을 형성시키지 않았던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게 하여 이형 시트를 제작하였다.
상기의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이형 시트의 컬링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도공 직업성, 내열성 및 박리성을 평가하여 표 1에 정리하여 기재하였다.
<평가 방법>
1. 컬링성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이형 시트를 공압출 가공에 있어서의 압출 방향 (세로 방향)의 길이가 100 ㎜, 동(同)폭 방향의 길이가 120 ㎜가 되도록 절단하여 시료편으로 하고, 동(同)시료편을 표면층이 위를 향하도록 수평 받침대 위에 설치한 후, 실온에서 5분간 방치하고, 동시료편의 4 모퉁이의 각이 수평 받침대로부터 들려 올라간 높이의 평균값을 측정하여 A로 표시, 이형 시트 세로 방향 좌우의 단부간의 거리의 평균값을 측정하여 B로 표시 (A, B 모두 단위는 ㎜)하였다. 마찬가지로 하여, 100 ℃의 분위기하에서 5분간 방치한 후의 A 및 B를 측정하였다.
4 모퉁이의 각이 들려 올라간 높이의 평균값이 가장 작고, 또한, 단부간의 거리의 평균값이 가장 큰 것을 ◎, 4 모퉁이의 각이 약간 들려 올라가나, 수평에 가까운 것을 ○, 충분하지 않지만 실용상 사용가능한 것을 △로 하여 표 1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1 및 2에 있어서의 가온 (加溫)후의 이형 시트는 통상화 (筒狀化)하였으므로 통의 직경을 표 1에 표시하였다.
2. 폴리우레탄 수지의 도공 직업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대일본잉크화학공업제, 크리스본7367SL)를 20 중량% 농도가 되도록 메틸에틸케톤으로 희석하여 폴리우레탄 수지 용액을 제작하였다. 어플리케이터 바를 이용하여 이 수지 용액을 웨트층의 두께가 125 ㎛가 되도록 상기 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표면층을 갖는 이형 시트의 표면층 측에 도공한 후, 100 ℃에서 5분간 건조하여 합성피혁의 스킨층이 되는 폴리우레탄 수지막을 제작하였다. 이 폴리우레탄 수지막을 표면층으로부터 박리하고, 재차 같은 방법으로 폴리우레탄 수지 용액을 도공했을 때의 작업성을 평가하였다.
이형 시트의 컬이 도공 작업에 크게 지장을 가져왔던 경우를 ×, 그럭저럭의 작업성이었던 경우를 △, 직업성에 문제가 없었던 경우를 ○로 하여 표 1에 기재하였다.
3. 내열성 시험
상기 2.와 같은 순서로 제작한 폴리우레탄 수지막 위에 접착층으로서 대일본잉크화학공업(주)제, 크리스본4010의 100 중량부에 크리스본NX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10 중량부 배합한 것을 웨트 상태인 도막의 두께가 125 ㎛가 되도록 도공한 후, 가열 건조 전에 합성피혁의 기포를 적층하여 100 ℃에서 5분간 건조시켰다. 실온까지 냉각한 후, 이형 시트를 박리하여 합성피혁을 얻었다. 박리한 이형 시트를 이용하여 상기의 직업을 2회 반복하였다. 이것을 리피트 2회품이라고 칭한다.
최초에 제작한 합성피혁 표면의 광택과 리피트 2회품의 광택을 육안으로 비교하였다. 광택의 차이가 보이지 않는 경우를 ○, 약간의 차이가 보이나 합격 수준이라고 판단한 것을 △, 분명하게 차이가 보이며 불합격이라고 판단되는 것을 ×로서 표 1에 기재하였다.
4. 박리성 시험
상기 3.항과 같은 방법으로 제작한 합성피혁을 벗겨낼 때의 박리 저항을 조사할 때, 문제가 없는 수준 (벗겨내기 전에 계면에서 들뜸이 발생하고 있지 않음, 또는, 이형 시트가 파손되지 않음)으로 부드럽게 벗겨낼 수 있는 경우를 ○, 조금 타이트한 느낌을 받지만 실용상 문제가 없는 경우를 △로서 표 1에 기재하였다.
단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표면층의 두께 20 30 30 50 100 150
중간층의 두께 80 70 120 100 없음 없음
박리층(표면층+중간층)의 두께 100 100 150 150 100 150
컬 높이
가열 없음
100℃×5분간
A B A B A B A B A B A B
mm 30 105 48 50 15 115 40 65 38 45 40 29
mm 40 15 45 10 30 90 45 5 통상화(25Φ) 통상화(28Φ)
컬링성 판정 - × ×
폴리우레탄 수지의 도공 작업성 - × ×
내열성 시험 -
박리성 시험 -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얻어진 본 발명의 이형 시트는 여하한 특성에 대해서도 합격 수준인 것과는 대조적으로, 비교예에서 얻어진 이형 시트는 모두 컬의 정도가 크게 통상화하는 데다, 폴리우레탄 수지 도공성에 있어서도 떨어져서 실용에 제공할 수 없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지막 제조 과정에서 생기는 컬링 현상이 완화된 이형 시트가 제공되며, 이 이형 시트는 합성피혁 등의 용도에 있어서의 수지막 제조시에 공정 시트로서 반복 사용할 때 유용하다.

Claims (8)

  1. 기재 (基材)의 한쪽 면에 박리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이형 시트에 있어서, 상기 박리층이 기재측에 비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 단독 (A), 또는 비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와 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수지 혼합물 (B)을 포함하는 도막 형성 재료 I을 이용하여 형성된 중간층을 가지며, 중간층 위에 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도막 형성 재료 Ⅱ를 이용하여 형성된 표면층을 갖는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지 혼합물 (B)에 있어서의 비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함유량이 적어도 40 중량%인 이형 시트.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가 JIS K7122에 준거하여 시차주사열량계로 측정하여 얻어지는 결정의 융해에 근거한 메인 피크의 위치 (융점)가 80~176 ℃인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인 이형 시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인 이형 시트.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비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가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인 이형 시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의 프로필렌 단위 함유율이 50~99 중량%인 이형 시트.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의 두께가 30~500 ㎛인 이형 시트.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의 두께가 10~60 ㎛인 이형 시트.
KR1020087010288A 2005-12-22 2008-04-29 이형 시트 KR1012692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70427 2005-12-22
JP2005370427A JP4705848B2 (ja) 2005-12-22 2005-12-22 離型シート
PCT/JP2006/324521 WO2007072696A1 (ja) 2005-12-22 2006-12-08 離型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7097A KR20080077097A (ko) 2008-08-21
KR101269282B1 true KR101269282B1 (ko) 2013-05-29

Family

ID=38188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0288A KR101269282B1 (ko) 2005-12-22 2008-04-29 이형 시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964672B1 (ko)
JP (1) JP4705848B2 (ko)
KR (1) KR101269282B1 (ko)
CN (1) CN101304877B (ko)
TW (1) TWI443017B (ko)
WO (1) WO20070726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26339B2 (ja) * 2008-05-22 2012-09-12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合成皮革製造用離型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5627141B2 (ja) * 2010-02-02 2014-11-19 リンテック株式会社 離型シート、離型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合成皮革
EP2532346A1 (en) 2011-06-10 2012-12-12 KPSS-Kao Professional Salon Services GmbH Colouring composition
CN103797567B (zh) * 2011-09-30 2018-05-11 琳得科株式会社 具有保护膜形成层的切割膜片和芯片的制造方法
JP7230483B2 (ja) * 2018-12-18 2023-03-01 凸版印刷株式会社 ホットスタンピング箔および積層体の製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1677A (ja) 1999-04-19 2000-10-31 Ube Ind Ltd ポリプロピレン系積層フィルム
JP2004082728A (ja) 2002-08-06 2004-03-18 Mitsubishi Chemicals Corp 離型シート及び粘着体
JP2004189972A (ja) 2002-12-13 2004-07-08 Nitto Denko Corp 表面保護用粘着フィルムおよび表面保護用粘着フィルム基材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8892A (ja) * 1993-01-26 1994-08-09 Ube Rekisen Kk 積層フィルム
JP3029374B2 (ja) * 1994-04-01 2000-04-04 グンゼ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JPH10217692A (ja) * 1997-02-06 1998-08-18 Toppan Printing Co Ltd 転写シート
JP3634673B2 (ja) * 1999-07-02 2005-03-30 グンゼ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フィルム
JP4173266B2 (ja) * 2000-04-28 2008-10-29 三洋加工紙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樹脂合成皮革の湿式製造用離型性複合材料
JP2003103711A (ja) * 2001-09-28 2003-04-09 Toppan Printing Co Ltd 離型シート
DE10238516A1 (de) * 2002-08-21 2004-03-04 Ticona Gmbh Polyolefin-Mehrschicht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JP4590346B2 (ja) * 2005-12-08 2010-12-0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離型シー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1677A (ja) 1999-04-19 2000-10-31 Ube Ind Ltd ポリプロピレン系積層フィルム
JP2004082728A (ja) 2002-08-06 2004-03-18 Mitsubishi Chemicals Corp 離型シート及び粘着体
JP2004189972A (ja) 2002-12-13 2004-07-08 Nitto Denko Corp 表面保護用粘着フィルムおよび表面保護用粘着フィルム基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72696A1 (ja) 2007-06-28
TW200728075A (en) 2007-08-01
EP1964672A4 (en) 2010-03-10
TWI443017B (zh) 2014-07-01
EP1964672A1 (en) 2008-09-03
EP1964672B1 (en) 2011-05-18
CN101304877A (zh) 2008-11-12
JP4705848B2 (ja) 2011-06-22
CN101304877B (zh) 2012-11-28
KR20080077097A (ko) 2008-08-21
JP2007168316A (ja) 2007-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4001320A (ja) 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EP2716451B1 (en) Method for making multi-layer print media by extrusion coating
WO2017170244A1 (ja) 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KR102299068B1 (ko) 내스커프성, 투명성 및 순응성이 개선된 필름
TWI364446B (en) Surface protective film
KR101269282B1 (ko) 이형 시트
JPH0985824A (ja) エンボスシート、それを用いた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法
CN108883567B (zh) 生产填充膜带的方法
KR20010043687A (ko) 열가소성 수지 연신필름
WO2021014883A1 (ja) 積層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成型転写箔
BR112020019744A2 (pt) processo para produção de laminados de folhas de tnt impressas
TWI622609B (zh) 含空洞聚丙烯膜
AU2013320921B2 (en) Stretched resin film,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laminate using stretched resin film
JP2017214559A (ja) 成型用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成型転写箔
JP3874537B2 (ja) 多層樹脂延伸フィルム
JP4590346B2 (ja) 離型シート
JP3841551B2 (ja) 多層樹脂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0108268A (ja) 工程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EA030652B1 (ru) Элемент многослойного напольного покрытия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US20090117354A1 (en) Method for producing print laminate, print laminating machine and print laminate
JP2023086787A (ja) 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系フィルム
JP4471989B2 (ja) プリントラミネート体の製造方法、プリントラミネート機及びプリントラミネート体
JP2005145029A (ja) ラミネート用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およびこれからなるラミネート体
JP2007154049A (ja) プリントラミネート用樹脂組成物およびプリントラミネート用フィルムおよびプリントラミネート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