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5831B1 - 폭 가변형 휠 장치 - Google Patents

폭 가변형 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5831B1
KR101265831B1 KR1020110106283A KR20110106283A KR101265831B1 KR 101265831 B1 KR101265831 B1 KR 101265831B1 KR 1020110106283 A KR1020110106283 A KR 1020110106283A KR 20110106283 A KR20110106283 A KR 20110106283A KR 101265831 B1 KR101265831 B1 KR 101265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m
motor
wheel
tire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6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2144A (ko
Inventor
권지혜
Original Assignee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Priority to KR1020110106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5831B1/ko
Publication of KR20130042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2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1/00Rims
    • B60B21/02Rims characterised by transverse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1/00Ri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2Additional mass for increasing inertia, e.g. flywhe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6Mechanical energy storage, e.g. flywheels or pressurised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절, 기후, 노면, 운전 조건 등에 따라 휠의 폭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한 폭 가변형 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폭 가변형 휠 장치는, 타이어의 양측 비드 부(151)(152)를 지지하는 귀 부(111)(121)를 각각 가지는 상태로 휠을 축방향으로 분할한 형태의 제1 림(110)과 제2 림(12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림(110)과 제2 림(120)은, 어느 한쪽의 림의 축과 다른 한쪽의 구멍에 서로 맞물리는 치형(114)(124)을 형성하여 축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면서 회전력의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축-구멍 결합 되며; 상기 제1 림(110)과 제2 림(120) 중 일측의 림에는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모터(200)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200)의 회전축(210)을 타측의 림에 나사 결합하여, 모터(20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의해 타측의 림이 축방향으로 당겨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림(110)과 제2 림(120)의 외주에는 분할된 틈새를 통해 타이어의 공기가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제1 림(110)과 제2 림(120)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신축 차단판(300)이 설치된다.

Description

폭 가변형 휠 장치{VARIABLE WIDTH TYPE WHEEL DEVICE}
본 발명은 폭 가변형 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계절, 기후, 노면, 운전 조건 등에 따라 휠의 폭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한 폭 가변형 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바퀴는, 타이어와 이를 지지하는 휠(wheel)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바퀴의 타이어의 특성은 같은 사이즈라고 하더라도 휠의 폭에 따라 달라지며, 일반적으로 휠 폭이 커지면 핸들링 성능은 좋아지나 연비는 나빠지게 된다. 또한, 타이어만 고려한다면, 타이어 폭이 커지면 접지 면적이 늘어나면 핸들링이나 제동 성능은 좋아지지만 연비는 나빠지게 된다.
또한, 자동차의 바퀴는 기후나 노면 조건에 알맞도록 타이어의 공기압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우천시에는 타이어의 공기압을 높여 폭을 줄이면 접지 면적이 작아져서 타이어가 노면의 빗물을 옆으로 잘 헤치고 나아갈 수 있으며, 빙판길에서는 공기압을 낮춰 폭을 늘이고 접지면적을 늘림으로써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듯 자동차의 바퀴는 운전 조건, 기후, 기상, 노면 상태 등의 상황에 알맞은 최적의 형태가 있지만, 그러한 조건에 알맞게 폭을 조절할 수 있는 휠의 형태는 제시된바 없다.
한편, 타이어의 규격에 맞추어 휠의 폭을 조절하기 위한 발명이 하기의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이는 휠을 두 부분의 림(rim)으로 나누어 슬라이딩 결합하고, 슬라이딩 결합부를 유압실로 꾸며 유체의 공급과 배출에 의해 림의 폭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휠에 원하는 폭을 가지는 다양한 규격의 타이어를 바꿔 끼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슬라이딩 부분에 유압실을 미리 형성한 상태에서는 두 개의 분할된 림을 조립할 수 없고, 그 때문에 두 개의 분할된 림을 조립한 다음 유압실 부분을 형성하여야 하는데 이것은 제조 공정상 거의 불가능하고, 제조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밀봉이 현실적으로 어려우며, 나누어진 양측 림 간의 지지력이 약해 현실의 자동차에 적용하기 어렵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693447호
따라서 본 발명은 휠의 폭을 기구적으로 조절가능하며 충분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폭 가변형 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회전하는 휠 자체에서 전력을 생산하여 폭 조절 기구를 구동함으로써 주행 중에도 폭을 조절할 수 있는 폭 가변형 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방향에 따른 폭 가변형 휠 장치는, 타이어의 양측 비드 부를 지지하는 귀 부를 각각 가지는 상태로 휠을 축방향으로 분할한 형태의 제1 림과 제2 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림과 제2 림은, 어느 한쪽의 림의 축과 다른 한쪽의 구멍에 서로 맞물리는 치형을 형성하여 축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면서 회전력의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축-구멍 결합 되며; 상기 제1 림과 제2 림 중 일측의 림에는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을 타측의 림에 나사 결합하여, 모터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의해 타측의 림이 축방향으로 당겨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림과 제2 림의 외주에는 분할된 틈새를 통해 타이어의 공기가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제1 림과 제2 림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신축 차단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방향에 따른 폭 가변형 휠 장치는, 현가용 너클; 상기 너클에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허브; 상기 너클과 상기 허브 사이에 설치되는 발전 유닛; 상기 발전 유닛에서 생성된 전력을 저장하는 축전지; 상기 허브에 브레이크 드럼 또는 디스크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어 타이어를 지탱하는 휠로서, 타이어의 양측 비드 부를 지지하는 귀 부를 각각 가지는 상태로 림을 축방향으로 분할한 형태의 제1 림과 제2 림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림과 제2 림은, 어느 한쪽의 림의 축과 다른 한쪽의 구멍에 서로 맞물리는 치형을 형성하여 축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면서 회전력의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축-구멍 결합되고, 상기 제1 림과 제2 림 중 일측의 림에는 상기 축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의 출력축을 타측의 림에 나사 결합하여, 모터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의해 타측의 림이 축방향으로 당겨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림과 제2 림의 외주에는 분할된 틈새를 통해 타이어의 공기가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제1 림과 제2 림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신축 차단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방향에 따른 폭 가변형 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허브 또는 휠에는 컨트롤러와 무선 통신으로 모터를 제어하기 이한 모터 제어 모듈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방향에 따른 폭 가변형 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는, 트레드 부의 양측에 굽힘 가능한 신축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폭 가변형 휠 장치에 의하면, 두 개로 분할된 제1 림 및 제2 림이 서로 치형에 의해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면서 회전력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 림과 제2 림의 조립이 원활하고 서로 기구적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되므로 충분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휠이 제1 림과 제2 림으로 분할되어 미끄럼 결합하더라도 신축 차단판에 의해 타이어의 공기가 차단되어 외부로 누설될 염려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너클과 허브에 자체 발전 유닛을 구비하고, 이를 모터 및 모터 제어 모듈과 연계시킴으로써, 주행중에 바퀴가 회전하면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전기를 이용할 수 있고, 휠과 함께 회전하는 모터에 대한 전력 공급이 쉬워진다.
또한, 모터에 상시 전원 공급이 가능하므로 자동차가 정지해 있는 상태뿐만 아니라 주행 중에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휠 폭의 조절을 위해 자동차를 정지할 필요도 없고, 전문 정비소를 찾을 필요도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폭 가변형 휠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전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폭 가변형 휠과 발전 유닛을 모두 조립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폭 가변형 휠과 타이어를 모두 조립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폭 가변형 휠의 구조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1에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타이어(150)가 설치되는 휠(100)은, 축방향으로 제1 림(110)과 제2 림(120)으로 분할되어 서로 회전력의 전달은 가능하면서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즉, 폭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축-구멍 결합 방식으로 결합된다.
제1 림(110)과 제2 림(120)은, 각각 타이어(150)의 양측 비드 부(bead parts)(151)(152)를 지지하는 귀 부(ear parts)(111)(121)를 가지고 있다. 또한, 림(100)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도시한 제1 림(110) 및 제2 림(120)은 타이어(150)의 귀 부(111)(121)가 안착되는 부분인 시트 부(seat parts)(112)(124)와, 그것으로부터 함몰된 싱크 부(sink part)(113)(123)을 가지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싱크부(113, 123)를 이루는 원통이 축-구멍 결합 방식으로 미끄럼 결합된다.
제1 림(110)과 제2 림(120)의 축-구멍 미끄럼 결합은, 어느 한쪽의 림의 축과 다른 한쪽의 구멍에 서로 맞물리는 치형(114)(124)을 형성하여 축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면서 회전력의 전달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 림(110)의 구멍에 치형(114)이 형성되고 제2 림(120)의 축에 치형(124)이 형성된다. 치형(114)(124)은 공지의 미끄럼 축 이음에서 주로 사용하는 스플라인(spline)이나 세레이션(serration)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림(110)과 제2 림(120) 중 일측의 림(도면에서는 제1 림(110))에는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모터(200)가 설치되고, 모터(200)의 회전축(210)은 타측의 림(도면에서는 제2 림(120))에 나사 결합한다. 따라서, 모터(200)의 회전축(21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의해 일측의 림(110)을 향해 타측의 림(120)이 축방향으로 당겨지거나 멀어지도록 동작한다. 나사 결합은, 모터(200)의 회전축(210)에 수나사부(212)를 형성하고, 제2 림(120)에는 암나사부(125)를 형성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암나사부(125)가 형성되는 림(본 실시예에서는 제2 림(120))에는 나사 결합 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해 보스부(126)를 형성하고, 해당 보스부(126)에 암나사부(125)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림(110)과 제2 림(120)의 외주에는, 제1 림(110)과 제2 림(120)의 분할된 틈새를 통해 타이어의 공기가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제1 림(110)과 제2 림(120)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신축 차단판(300)이 설치된다. 신축 차단판(300)은, 그 중간에 축방향으로 신축가능한 주름부(301)를 형성하여 모터(200)에 의해 제1 림(110)과 제2 림(120)이 폭이 변할 때 주름부(301)가 신축하도록 할 수 있다. 신축 차단판(300)은 양단부의 테두리를 제1 림(110)과 제2 림(120)의 외주와 용접하여 밀봉한다.
도 1 및 도 2에서, 참조 부호 '220'은 '모터 제어 모듈(220)로서, 모터(200)의 회전 방향과 회전수를 제어한다. 이러한 모터 제어 모듈(220)은 모터(200)와 함께 휠(100)에 설치하거나 또는 후술하는 허브(30)에 설치할 수 있으며, 무선 송수신 기능을 갖추어 컨트롤러의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모터(2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 제어 모듈(220)과 모터(200)들은 제어 및 전력 공급을 위해 전기 및 신호선(510)으로 연결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150)는 제1 및 제2 림(110)(120)의 시트 부(112)에 안착 되어 귀부(111)(121)에 지지되는 비드 부(151)(152)를 갖추고 있고, 지면에 접지되는 트레드 부(tread part)(153)를 갖추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이어(150)의 구성도 휠(100)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트레드 부(153)는 중간의 메인 트레드 부(153a) 양측에 가변 트레드 부(153b)를 형성하고, 메인 트레드 부(153a)와 가변 트레드 부(153b) 사이에 굽힘 가능한 신축부(154)를 형성한다. 이로써, 휠(100)의 폭이 작아지면 신축부(154)가 구부러져서 가변 트레드 부(153b) 부분은 구부러져 접지하지 않고, 휠(100) 폭이 커지면 가변 트레드 부(153b)가 접지하게 된다.
도 4는 모터(20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모터(200)는 회전하는 휠(100)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자동차의 배터리에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슬립 링과 브러시를 적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브러시의 내구성 문제가 대두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휠(100) 자체에서 발전하여 모터(200) 구동 전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실시예를 제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를 차체와 연결하는 자동차의 현가 장치는, 현가용 너클(knuckle)(10)과, 너클(10)에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허브(hub)(30)를 포함한다. 휠(100)은 상기의 허브(30)에 브레이크 드럼이나 브레이크 디스크를 사이에 두고 결합된다.
이러한 너클(10)과 허브(30) 사이에는 발전 유닛(400)이 설치된다. 발전 유닛(400)은, 공지의 발전기와 마찬가지로 너클(10)의 외주에 자석(401)을 설치하고 허브(30)의 내주에 코일 권선(402)을 설치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휠(100)과 함께 허브(30)가 회전하면 코일 권선(402)이 자석(401) 둘레를 회전하여 코일 권선(402)에 유도전류가 생성되고, 생성된 유도전류는 후술하는 축전지(500)(도 5 참조)에 저장되고, 축전지(500)에 저장된 전류는 모터 제어 모듈(220)의 제어하에 모터(200)의 구동에 사용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폭 가변형 휠 장치와 전력 공급 장치를 모두 조립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자동차의 현가 장치에서, 너클(10)에는 허브(30)가 베어링(4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허브(30)에는 액슬 축(axle shaft)(20)이 스플라인 등에 의해 결합되어 너트(50)에 의해 체결되며, 허브(30)의 외측에는 브레이크 드럼 또는 브레이크 디스크(60)와 휠(100)이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본 발명을 위해, 허브(30)는, 외주에 연장 하우징 부(32)가 형성되고, 연장 하우징 부(32)의 내주에 전술한 코일 권선(402)이 배치된다. 그리고 너클(10)의 외주에는 상기의 코일 권선(402)과 마주보는 상태로 자석(401)이 배치된다.
그리고 허브(30)나 휠(100) 중 한곳에는 앞에서 설명한 축전지(500)가 설치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축전지(500)가 허브(30) 내측에 설치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 경우, 축전지(500)와 모터(200)는 허브(30), 브레이크 드럼 또는 브레이크 디스크(60) 및 휠(100)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전선(511)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중간에 모터 제어 모듈(220)을 통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전지(500)로부터 인출된 전선(511)은, 허브(30)의 관통 홀(34), 디스크(60) 또는 드럼의 홈부(62), 휠(100)의 내면이나 스포크(115)를 따라 형성된 홈부(116)를 따라 도선 된 다음, 휠(100)의 관통 홀(117)을 통과하여, 모터 제어 모듈(220) 또는 모터(200)에 연결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모터 제어 모듈(220)이 모터(200)와 함께 휠(100)에 설치된 형태로 나타내었으나, 모터 제어 모듈(220)을 허브(30)에 축전지(500)에 인접하여 설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축전지(500)와 모터 제어 모듈(220)에 전선이 연결되고, 모터 제어 모듈(220)로부터 모터(200)까지 전기 및 신호선이 연결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계절, 기후, 노면, 운전 조건 등에 알맞게 운전자의 선택 또는 컨트롤러의 제어 하에 휠(100)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운전자의 선택이나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모터 제어 모듈(220)로 휠(100)의 폭을 조정하는 신호가 인가되면, 모터 제어 모듈(220)에 의해 모터(20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회전축(210)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며, 그에 따라 회전축(210)과 나사결합되어 있는 제2 림(120)이 제1 림(110)을 향해 슬라이드 하여 접근하거나(휠의 폭이 줄어듦) 제1 림(110)으로부터 슬라이드 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휠의 폭이 늘어남).
본 발명에서 두 개로 분할된 제1 림(110) 및 제2 림(120)은 치형(114)(124)에 의해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면서 회전력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 림(110)과 제2 림(120)의 조립이 원활하고 서로 기구적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되므로 충분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휠(100)이 제1 림(110)과 제2 림(120)으로 분할되어 미끄럼 결합하더라도 신축 차단판(300)에 의해 타이어(150)의 공기가 차단되어 외부로 누설될 염려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너클과 허브에 자체 발전 유닛(400)을 구비하고, 이를 모터(200) 및 모터 제어 모듈(220)과 연계시킴으로써, 주행중에 바퀴가 회전하면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전기를 이용할 수 있고, 휠(100)과 함께 회전하는 모터(200)에 대한 전력 공급이 쉬워진다.
또한, 모터(200)에 상시 전원 공급이 가능하므로 자동차가 정지해 있는 상태뿐만 아니라 주행 중에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휠 폭의 조절을 위해 자동차를 정지할 필요도 없고, 전문 정비소를 찾을 필요도 없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 너클 20 : 액슬 축
30 : 허브 40 : 베어링
50 : 너트 60 : 브레이크 드럼 또는 브레이크 디스크
100 : 휠 110 : 제1 림
111, 121 : 귀부 112, 122 : 시트 부
113, 123 : 싱크 부 114, 124 : 치형
120 : 제2 림 125 : 암나사부
126 : 보스부 150 : 타이어
151, 152 : 비드 부 153 : 트레드 부
153a : 메인 트레드 부 153b : 가변 트레드 부
154 : 신축부 200 : 모터
210 : 회전축 212 : 수나사부
220 : 모터 제어 모듈 300 : 신축 차단판
301 : 신축 주름부 400 : 발전 유닛
401 : 자석 402 : 코일 권선
500 : 축전지 510, 511 : 전기 및 신호선

Claims (4)

  1. 타이어의 양측 비드 부(151)(152)를 지지하는 귀 부(111)(121)를 각각 가지는 상태로 휠을 축방향으로 분할한 형태의 제1 림(110)과 제2 림(12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림(110)과 제2 림(120)은, 어느 한쪽의 림의 축과 다른 한쪽의 구멍에 서로 맞물리는 치형(114)(124)을 형성하여 축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면서 회전력의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축-구멍 결합 되며,
    상기 제1 림(110)과 제2 림(120) 중 일측의 림에는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모터(200)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200)의 회전축(210)을 타측의 림에 나사 결합하여, 모터(20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의해 타측의 림이 축방향으로 당겨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림(110)과 제2 림(120)의 외주에는 분할된 틈새를 통해 타이어의 공기가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제1 림(110)과 제2 림(120)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신축 차단판(30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 가변형 휠 장치.
  2. 현가용 너클(10);
    상기 너클(10)에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허브(30);
    상기 너클(10)과 상기 허브(30) 사이에 설치되는 발전 유닛(400);
    상기 발전 유닛(400)에서 생성된 전력을 저장하는 축전지(500);
    상기 허브(30)에 브레이크 드럼 또는 디스크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어 타이어를 지탱하는 휠로서, 타이어의 양측 비드 부(151)(152)를 지지하는 귀 부(111)(121)를 각각 가지는 상태로 휠을 축방향으로 분할한 형태의 제1 림(110)과 제2 림(1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림(110)과 제2 림(120)은, 어느 한쪽의 림의 축과 다른 한쪽의 구멍에 서로 맞물리는 치형(114)(124)을 형성하여 축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면서 회전력의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축-구멍 결합되고,
    상기 제1 림(110)과 제2 림(120) 중 일측의 림에는 상기 축전지(5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모터(200)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200)의 회전축(210)을 타측의 림에 나사 결합하여, 모터(20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의해 타측의 림이 축방향으로 당겨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림(110)과 제2 림(120)의 외주에는 분할된 틈새를 통해 타이어의 공기가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제1 림(110)과 제2 림(120)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신축 차단판(30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 가변형 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30) 또는 휠(100)에는 컨트롤러와 무선 통신으로 모터(200)를 제어하기 이한 모터 제어 모듈(22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 가변형 휠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는, 트레드 부(153)가 중간의 메인 트레드 부(153a)와, 메인 트레드 부(153a)의 양측에 가변 트레드 부(153b)가 형성되며, 메인 트레드 부(153a)와 가변 트레드 부(153b) 사이에 굽힘 가능한 신축부(15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 가변형 휠 장치.
KR1020110106283A 2011-10-18 2011-10-18 폭 가변형 휠 장치 KR101265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283A KR101265831B1 (ko) 2011-10-18 2011-10-18 폭 가변형 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283A KR101265831B1 (ko) 2011-10-18 2011-10-18 폭 가변형 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2144A KR20130042144A (ko) 2013-04-26
KR101265831B1 true KR101265831B1 (ko) 2013-05-20

Family

ID=48440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6283A KR101265831B1 (ko) 2011-10-18 2011-10-18 폭 가변형 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58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5347B2 (en) 2021-05-12 2023-12-19 David Alan Copeland Precision charging control of an untethered vehicle with a modular vehicle charging roadw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029B1 (ko) * 2015-01-14 2016-12-02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KR101891896B1 (ko) 2016-11-30 2018-08-24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시험기용 가변폭 휠
CN106892088A (zh) * 2017-02-04 2017-06-27 仲松梅 一种建筑市政园林用飞行器
CN106891794A (zh) * 2017-02-04 2017-06-27 林总良 一种市政道路用大气环境监测车
CN106945457B (zh) * 2017-02-04 2019-03-15 沈阳风景园林股份有限公司 一种市政园林用水车
CN106956547A (zh) * 2017-03-22 2017-07-18 徐达 一种建筑市政道路用车轮结构
CN107116963A (zh) * 2017-05-09 2017-09-01 徐达 一种市政园林用松土装置
CN107117226A (zh) * 2017-05-09 2017-09-01 陈素珍 一种市政道路用带led灯的锂电池车
CN107135731A (zh) * 2017-05-09 2017-09-08 徐达 一种市政园林用草坪修剪装置
CN107116962A (zh) * 2017-05-09 2017-09-01 林总良 一种市政道路用具有铝合金轮毂的锂电池车
KR102203854B1 (ko) * 2018-12-28 2021-01-15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공기입 타이어 어셈블리
CN109720149B (zh) * 2019-02-26 2024-03-08 广州市耐动信息科技有限公司 防脱圈车轮
KR102294162B1 (ko) * 2019-11-05 2021-08-26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가변형 휠
KR102233477B1 (ko) * 2019-11-06 2021-03-29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폭 조절 가능한 휠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륜 장치
GB2594499A (en) * 2020-04-30 2021-11-03 Daimler Ag Wheel arrangement and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width of a wheel
CN116141865B (zh) * 2023-03-17 2023-07-14 黑龙江省农业机械工程科学研究院 一种土槽车动力输出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5347B2 (en) 2021-05-12 2023-12-19 David Alan Copeland Precision charging control of an untethered vehicle with a modular vehicle charging roadw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2144A (ko) 201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5831B1 (ko) 폭 가변형 휠 장치
US8783314B2 (en) Tire pressure control system having rotary feedthrough
CA2265323C (en) Wheel assembly for a ground-driven work machin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CN105564219A (zh) 轮毂驱动装置
CN110855073B (zh) 一种基于非充气轮胎的外转子电动轮集成结构及装配方法
US9783040B2 (en) Drive wheel having an electric wheel hub motor for motor vehicles and motor vehicle
BRPI0609412A2 (pt) dispositivo, em particular uma passagem direta rotativa para um sistema de enchimento de pneus, e, veìculo
KR20160041117A (ko) 가변형 타이어
RU2761312C2 (ru) Вращающееся соединение и система регулирования давления для шин
WO2021015255A1 (ja) タイヤ・ホイール組立体及びタイヤ
JP2017105454A (ja) ホイール上の空気維持システム
CN210026923U (zh) 一种带中央充放气功能的电动轮毂结构
JP2007083912A (ja) タイヤ制御装置
US20170108099A1 (en) Final drive system for a machine
CN210526288U (zh) 具有充放气功能的轮毂电机总成及电驱车轮总成
US8453691B1 (en) High efficiency heavy duty automotive wheel
CN110341462A (zh) 具有充放气功能的轮毂电机总成及电驱车轮总成
CN105691100A (zh) 全地形车车轮
KR101980156B1 (ko) 자동차용 자가발전장치 및 연료절감장치
JP2017114187A (ja) タイヤ構造体
JP3134165U (ja) 自走式タイヤ
KR20160041116A (ko) 가변형 타이어
CN102785537A (zh) 特种车用轮胎自动充放气装置
CN109760470B (zh) 一种动态调整路面附着力的车轮
CN216886064U (zh) 静音轮辋、汽车车轮及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