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1116A - 가변형 타이어 - Google Patents

가변형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1116A
KR20160041116A KR1020140134190A KR20140134190A KR20160041116A KR 20160041116 A KR20160041116 A KR 20160041116A KR 1020140134190 A KR1020140134190 A KR 1020140134190A KR 20140134190 A KR20140134190 A KR 20140134190A KR 20160041116 A KR20160041116 A KR 20160041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wheel
variable
sliding
sliding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4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원
안호찬
박당희
조현
채성우
빈원
조재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4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1116A/ko
Publication of KR20160041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1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9/00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having characteristics specified in one of the subgroups of this group
    • B60B19/02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having characteristics specified in one of the subgroups of this group convertible, e.g. from road wheel to rail wheel; Wheels specially designed for alternative use on road and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9/00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having characteristics specified in one of the subgroups of this group
    • B60B19/04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having characteristics specified in one of the subgroups of this group expan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행 모드에 따라 구동 능력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폭과 직경이 가변하는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타이어의 외측에 결합되는 고정휠, 상기 타이어를 관통하는 샤프트에 의해 상기 고정휠과 연결되며, 상기 타이어의 내측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가변휠, 상기 슬라이딩 가변휠의 일측에 장착되는 베어링 및 상기 베어링의 양측에 형성된 연장부에 고정결합되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유압 실린더와 연결된 유압기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가변휠이 상기 샤프트를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타이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변형 타이어{VARIABLE TIRE}
본 발명은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행 모드에 따라 구동 능력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폭과 직경이 가변하는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변속기가 전달받아 증감시킨 다음 드라이브 샤프트를 이용하여 타이어를 주행 속도에 적합하게 회전시킴으로써 추진력을 얻게 된다.
즉, 이러한 드라이브 샤프트는 변속기에서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소정의 속도 및 소정의 토크로 회전하는데, 이 때 드라이브 샤프트에 결합된 타이어가 노면과 마찰하면서 구동력을 발생시켜 차량이 주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타이어는 원판형 휠의 둘레를 따라 결합되며, 휠의 중앙은 허브 등을 통해 드라이브 샤프트와 결합되어 드라이브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타이어는 같은 직경 사이즈를 갖는다고 하더라도 그 폭에 따라 특성이 달라지며, 타이어와 노면의 접지면적에 따라 차량의 핸들링, 제동 성능, 연비 등은 달라지게 된다.
이렇듯 차량의 타이어는 운전 조건, 기후, 기상, 노면의 상태 등의 상황에 알맞은 최적의 형태가 있지만, 다양하게 변화되는 환경에 부합하도록 폭을 조절할 수 있는 타이어는 제시된 바가 없다.
특히, 최근에는 고객의 요구에 따라 고속 주행 또는 오프로드 주행에 적합한 타이어가 각각 개발되고 있는데, 고속 주행을 위한 타이어는 타이어 면이 되도록 평평하여 타이어 회전에 저항이 없어야 하고, 오프로드 주행을 위한 타이어는 타이어 직경이 크면서 돌기들이 존재하여야 진흙, 사막, 장애물이 있는 지형을 미끄러지지 않고 주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다만, 현재 두 가지 주행 조건 모두에 적용할 수 있는 타이어는 존재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며, 따라서 고속 주행 및 오프로드 주행 모두를 수행할 수 있는 타이어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한 대의 차량으로 고속 주행 및 오프로드 주행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주행 모드에 따라 폭과 직경이 변하는 가변형 타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압기 및 유압 실린더를 이용해 타이어 내측의 슬라이딩 가변휠을 제어함으로써 타이어의 폭과 직경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가변형 타이어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타이어의 외측에 결합되는 고정휠, 상기 타이어를 관통하는 샤프트에 의해 상기 고정휠과 연결되며, 상기 타이어의 내측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가변휠, 상기 슬라이딩 가변휠의 일측에 장착되는 베어링 및 상기 베어링의 양측에 형성된 연장부에 고정결합되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유압 실린더와 연결된 유압기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가변휠이 상기 샤프트를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샤프트는 슬라이딩 가변휠과 결합되는 부위에 스플라인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가변휠의 슬라이딩 정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스포츠 모드 시 상기 슬라이딩 가변휠은 상기 고정휠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타이어의 폭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직경을 감소시키고, 오프로드 모드 시 상기 슬라이딩 가변휠은 상기 고정휠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타이어의 폭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직경을 증가시키며, 상기 오프로드 모드 시 상기 스포츠 모드에 비해 차고가 20㎜ 상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스포츠 모드 시 타이어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의 돌출 정도가 감소하고, 상기 오프로드 모드 시 상기 돌기의 돌출 정도가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주행 모드에 따라 폭과 직경이 가변하는 타이어를 차량에 적용함으로써 한 대의 차량만을 이용하여 고속 주행 및 오프로드 주행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딩 가변휠의 슬라이딩을 유압기 및 유압 실린더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타이어의 폭과 직경의 조절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모드 시의 가변형 타이어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로드 모드 시의 가변형 타이어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타이어의 내측 결합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타이어가 적용된 차량의 투영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모드 및 오프로드 모드 시의 차량과 가변형 타이어를 비교한 예시도.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므로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한 대의 차량으로 고속 주행 및 오프로드 주행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주행 모드에 따라 폭과 직경이 변하는 가변형 타이어(100)를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타이어의 외측에 결합되는 고정휠(200), 상기 타이어를 관통하는 샤프트(210)에 의해 상기 고정휠과 연결되며, 상기 타이어의 내측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가변휠(300), 상기 슬라이딩 가변휠의 일측에 장착되는 베어링(400) 및 상기 베어링의 양측에 형성된 연장부(410)에 고정결합되는 유압 실린더(500)를 포함하며, 상기 유압 실린더와 연결된 유압기(6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가변휠이 상기 샤프트를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대한 내용으로, 도 1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모드 시의 가변형 타이어의 예시도가 도시되며, 도 2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로드 모드 시의 가변형 타이어의 예시도가 도시된다.
먼저 도 1을 살펴보면, 이는 가변형 타이어(100)의 스포츠 모드 시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타이어의 외측에 고정휠(200)이 고정결합되고, 상기 타이어를 관통하는 샤프트(210)를 통해 고정휠과 결합된 슬라이딩 가변휠(300)이 상기 고정휠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된 상태가 보여진다.
상기 슬라이딩 가변휠(300)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고정휠(200)과 슬라이딩 가변휠의 간격은 멀어지고, 이에 의해 상기 가변형 타이어(100)의 폭은 증가하고 직경은 감소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 2를 살펴보면, 이는 가변형 타이어(100)의 오프로드 모드 시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타이어의 외측에 고정휠(200)이 고정결합되고, 상기 타이어를 관통하는 샤프트(210)를 통해 고정휠과 결합된 슬라이딩 가변휠(300)이 상기 고정휠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된 상태가 보여진다.
상기 슬라이딩 가변휠(300)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고정휠(200)과 슬라이딩 가변휠의 간격은 가까워지고, 이에 의해 상기 가변형 타이어(100)의 폭은 감소하고 직경은 증가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 가변휠(300)의 슬라이딩을 돕고 제어하기 위해 상기 샤프트(210)에는 슬라이딩 가변휠과 결합되는 부위에 스플라인(211)이 형성되는데, 상기 스플라인이란 축으로부터 여러 줄의 키(key)를 절삭하여 축과 보스(boss)가 슬립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딩 가변휠이 샤프트 위를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에 해당한다.
물론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섭동)을 하기 위한 구성이므로 타이어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타이어의 내측 결합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가변휠(300)의 일측에는 샤프트(210)를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고 그 하중을 지지하면서 회전운동을 돕는 베어링(400)이 장착되고, 상기 베어링의 양측 방향으로 연장부(410)가 형성된다.
또한, 베어링(400) 양측의 상기 연장부(410)에는 각각 유압 실린더(500)가 고정결합되는데, 상기 유입 실린더는 차량 내부에 장착된 유압기(600)와 연결되어 상기 유압기의 제어에 의해 슬라이딩 가변휠(300)이 슬라이딩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대한 내용을 반영하여, 도 4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타이어가 적용된 차량의 투영사시도가 도시된다.
도면에 나타나듯이, 차량에는 네 개의 가변형 타이어(100)가 장착되고, 각각의 가변형 타이어의 유압 실린더(500)는 유압라인을 통해 차량 내부 유압기(600)와 연결되어 슬라이딩 가변휠(300)의 슬라이딩을 제어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5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모드 및 오프로드 모드 시의 차량과 가변형 타이어를 비교한 예시도가 도시된다.
먼저 좌측의 (a)는 스포츠 모드 시 가변형 타이어(100)가 적용된 차량과 가변형 타이어를 나타낸 것으로, 슬라이딩 가변휠(300)이 고정휠(200)과 먼 방향으로 슬라이딩한 상태에 해당하며, 이 때 가변형 타이어의 폭은 증가하고, 그 직경은 감소하며, 가변형 타이어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의 돌출 정도가 감소하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지면과 타이어 간의 접지력이 향상되어 발진력이 증대되고, 타이어 면이 평평해짐에 따라 공기저항이 최소화되어 고속 회전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우측의 (b)는 오프로드 모드 시 가변형 타이어(100)가 적용된 차량과 가변형 타이어를 나타낸 것으로, 슬라이딩 가변휠(300)이 고정휠(200)과 가까운 방향으로 슬라이딩한 상태에 해당하며, 이 때 가변형 타이어의 폭은 감소하고, 그 직경은 증가하며, 가변형 타이어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돌기의 돌출 정도가 증가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 경우에는 타이어의 직경이 증대되어 장애물을 넘기 쉬워지고, 도하 성능도 향상되며, 돌출된 돌기가 있는 타이어 면에 의해 사막, 진흙, 자갈밭 등의 환경에서의 주행 성능이 증가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부가적으로 오프로드 모드 시의 차고가 스포츠 모드 시의 차고보다 20㎜ 높게 형성되는 특징을 갖게 되어, 스포츠 모드 시와 오프로드 모드 시의 주행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주행 모드에 따라 폭과 직경이 가변하는 타이어를 차량에 적용함으로써 한 대의 차량만을 이용하여 고속 주행 및 오프로드 주행을 모두 수행할 수 있고, 슬라이딩 가변휠의 슬라이딩을 유압기 및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제어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타이어의 폭과 직경의 조절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실시형태를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가변형 타이어
200: 고정휠
210: 샤프트
211: 스플라인
300: 슬라이딩 가변휠
400: 베어링
410: 연장부
500: 유압 실린더
600: 유압기

Claims (4)

  1. 타이어의 외측에 결합되는 고정휠;
    상기 타이어를 관통하는 샤프트에 의해 상기 고정휠과 연결되며, 상기 타이어의 내측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가변휠;
    상기 슬라이딩 가변휠의 일측에 장착되는 베어링; 및
    상기 베어링의 양측에 형성된 연장부에 고정결합되는 유압 실린더; 를 포함하며,
    상기 유압 실린더와 연결된 유압기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가변휠이 상기 샤프트를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타이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슬라이딩 가변휠과 결합되는 부위에 스플라인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가변휠의 슬라이딩 정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타이어.
  3. 제 1항에 있어서,
    스포츠 모드 시 상기 슬라이딩 가변휠은 상기 고정휠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타이어의 폭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직경을 감소시키고,
    오프로드 모드 시 상기 슬라이딩 가변휠은 상기 고정휠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타이어의 폭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직경을 증가시키며,
    상기 오프로드 모드 시 상기 스포츠 모드에 비해 차고가 20㎜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타이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츠 모드 시 타이어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의 돌출 정도가 감소하고,
    상기 오프로드 모드 시 상기 돌기의 돌출 정도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타이어.
KR1020140134190A 2014-10-06 2014-10-06 가변형 타이어 KR201600411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190A KR20160041116A (ko) 2014-10-06 2014-10-06 가변형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190A KR20160041116A (ko) 2014-10-06 2014-10-06 가변형 타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116A true KR20160041116A (ko) 2016-04-18

Family

ID=55916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190A KR20160041116A (ko) 2014-10-06 2014-10-06 가변형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111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6025A (ko) 2019-09-25 2021-04-02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차량 주행용 구름장치
CN113500883A (zh) * 2021-07-26 2021-10-15 西南大学 一种可变宽度车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6025A (ko) 2019-09-25 2021-04-02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차량 주행용 구름장치
CN113500883A (zh) * 2021-07-26 2021-10-15 西南大学 一种可变宽度车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41117A (ko) 가변형 타이어
CN106143643B (zh) 用于改进车辆的气动特性的装置
US6298932B1 (en) Wheel assembly for a vehicle
JP2016505448A (ja) 一方向にエアを搬送するよう構成されたリム、エアレスタイヤ、およびハブキャップの設計およびそれらを使用する方法
US10439470B2 (en) Friction-optimized electric drive system
KR20160041116A (ko) 가변형 타이어
KR102137829B1 (ko) 가변형 타이어
JPH05213001A (ja) 自動車車輌の車輪装置
CN100439128C (zh) 用于低底板车辆的倒置门式车桥组件
JP2006029363A5 (ko)
US20210140139A1 (en) Work vehicle
CN102328581A (zh) 一种电力自驱动车轮
EP3758953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 spherical assembly
JP5581175B2 (ja) 作業車両
CN111823770A (zh) 可变空气动力学车轮及其控制系统
CN205298052U (zh) 变角度大流量低噪声发动机冷却风扇
KR20120136441A (ko) 자동차용 설상 장치
ITTO20080529A1 (it) Apparecchiatura di variazione e controllo della velocita' di rotazione di una ventola di raffreddamento di un motore
CN110386185B (zh) 用于轮毂驱动车辆的转向系统及轮毂驱动车辆
KR102495966B1 (ko) 날개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CN201377423Y (zh) 一种汽车转向助力泵
JP7217582B2 (ja) 無段変速装置
US20210114404A1 (en) Omnidirectional wheel and three-wheeled vehicle using the same
CN113195277B (zh) 车辆的缓冲装置及控制车体的姿势的方法
KR20090057653A (ko) 인-휠형 구동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