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4641B1 - 기계식 어저스터 - Google Patents

기계식 어저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4641B1
KR101264641B1 KR1020097008868A KR20097008868A KR101264641B1 KR 101264641 B1 KR101264641 B1 KR 101264641B1 KR 1020097008868 A KR1020097008868 A KR 1020097008868A KR 20097008868 A KR20097008868 A KR 20097008868A KR 101264641 B1 KR101264641 B1 KR 101264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member
screw
housing
torque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8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4236A (ko
Inventor
미치히로 카메다
아키후미 타나카
Original Assignee
니탄 밸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탄 밸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탄 밸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14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4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20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 F01L1/22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automatically, e.g. mechan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02Valve dr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02Valve drive
    • F01L1/024Belt dr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20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4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means for impeding reverse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06Compression coi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4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means for impeding reverse motion
    • F16H2007/0857Screw mechanis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1Elements
    • Y10T74/2101Cams
    • Y10T74/2107Foll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밸브 클리어런스의 증가·감소를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것이다.
나사부(24, 26)를 가지는 하우징(12)과, 나사부(24)와 나사 결합된 나사 부재(14)와, 나사 부재(14)에 상호 회전 방지 조인트(32, 38)를 통하여 연결되어, 나사부(26)와 나사 결합된 나사 부재(16)와, 나사 부재(14, 16)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18)와, 나사 부재(16)를 나사 부재(14)에 근접시키는 방향의 힘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20)를 구비하고, 나사 부재(14)에 작용하는 하중이 밸브 폐쇄 하중 이하일 때에, 나사 부재(14)의 슬립 토크>나사 부재(16)의 자립 토크에서, 나사 부재(14, 16)의 일체 회전에 의해 밸브 클리어런스를 감소시키고, 나사 부재(14)에 작용하는 하중이 밸브 개방 하중 근방 또는 넘는 때에는, 나사 부재(14)의 슬립 토크의 절대값>나사 부재(16)의 자립 토크에서, 나사 부재(14, 16)의 일체 회전에 의해 밸브 클리어런스를 증가시킨다.
Figure 112009026068971-pct00001
회전 방지 조인트, 탄성 부재, 밸브 폐쇄 하중, 밸브 개방 하중, 슬립 토크, 자립 토크, 밸브 클리어런스, 밸브 스프링, 체인

Description

기계식 어저스터{MECHANICAL ADJUSTER}
본 발명은 어저스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연 기관의 밸브 클리어런스나 체인 장력 등을 자동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계식 어저스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엔진에 사용되는 흡기 밸브나 배기 밸브를 실린더 헤드의 흡기구나 배기구에 장착할 때에, 예를 들어, 밸브 스템에 연결된 로커 암을 기계식 래시 어저스터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 운동시키고, 흡기 밸브 등의 밸브와 로커 암의 밸브 클리어런스를 기계식 래시 어저스터의 구동에 의해 자동 조정하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 자동차 등의 엔진에 사용되는 캠 구동 체인 등의 체인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기계식 어저스터(체인 텐셔너)의 구동에 의해 자동적으로 장력 조정하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 3-1203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2001-124159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종래의 기계식 래시 어저스터는 밸브 클리어런스를 감소시키는 방향에서의 동작은 가능하지만, 밸브 클리어런스를 증가시키는 방향에 대해서는, 나사가 덜걱거리는 만큼의 조정 여분은 있어도, 밸브 클리어런스를 적극적으로 증가시키는 어저스트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 이 때문에, 기관(엔진)이 따뜻해진 상태에서 정지한 후 급격히 식는 것 같은 경우, 래시 어저스터에 의한 어저스트 상태는 밸브 클리어런스가 과소한(마이너스) 상태가 되고, 다음회의 냉간 시동시에는 밸브 리프트량이 과대가 되거나, 시일성이 불량해지거나 하는 것이 염려된다.
또, 마찬가지로, 종래의 기계식 어저스터(체인 텐셔너)는 체인 장력을 증가시키는 방향에서의 동작은 가능하지만, 체인 장력을 적극적으로 감소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 이 때문에, 체인에 과장력이 발생되는 것이 염려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밸브 클리어런스 또는 체인 장력의 증가·감소를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주측에 나사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나사부와 나사 결합되어, 밸브 스프링 또는 체인의 반력을 받는 제1 나사 부재와, 상기 제1 나사 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에서는 이동이 자유롭고 또한, 회전 방향에서는 서로 구속된 상태에서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나사부와 나사 결합된 제2 나사 부재와, 상기 제1 나사 부재와 상기 제2 나사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나사 부재와 상기 제2 나사 부재를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을 따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제2 나사 부재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나사 부재를 상기 밸브 스프링 또는 체인의 반력이 작용하는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의 힘으로 가압하는 제2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나사 부재는 상기 밸브 스프링 또는 체인의 반력 또는 상기 제1 탄성 부재로부터의 축력 방향에 따라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고, 상기 제2 나사 부재는 상기 제1 탄성 부재로부터의 축력 방향에 대해서는 자립하고, 상기 제2 탄성 부재로부터의 축력 방향에 따라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며, 상기 제1 나사 부재와 상기 제2 나사 부재는 상기 제1 나사 부재에 작용하는 하중과, 상기 제1 나사 부재 및 상기 제2 나사 부재에 발생하는 토크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할 때에, 서로 일체가 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했다.
(작용) 제1 나사 부재가 밸브 스프링 또는 체인의 반력 또는 제1 탄성 부재로부터의 축력 방향(축력이 작용하는 방향)에 따라 회전 가능하게 하우징에 지지되고, 제2 나사 부재가 제1 탄성 부재로부터의 축력 방향에 대해서는 자립하고, 제2 탄성 부재로부터의 축력 방향에 따라 회전 가능하게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 있을 때에, 제1 나사 부재에 작용하는 하중과, 제1 나사 부재 및 제2 나사 부재에 발생하는 토크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킬 때에는, 제1 나사 부재 및 제2 나사 부재는 서로 일체가 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한다. 제1 나사 부재 및 제2 나사 부재가 서로 일체가 되어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 예를 들어, 밸브 스프링 또는 체인의 반력이 작용하는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이동하면 밸브 클리어런스 또는 체인 장력이 감소하고, 반대로 제1 나사 부재 및 제2 나사 부재가 서로 일체가 되어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 예를 들어, 밸브 스프링 또는 체인의 반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밸브 클리어런스 또는 체인 장력이 증가한다.
청구항 2에 따른 기계식 어저스터에 있어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기계식 어저스터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 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이 낮은 설정 하중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나사 부재의 슬립 토크>상기 제2 나사 부재의 자립 토크인 것을 조건으로, 상기 제1 나사 부재와 상기 제2 나사 부재는 서로 일체가 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밸브 스프링 또는 체인의 반력이 작용하는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 나사 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이 높은 설정 하중 근방 또는 넘는 경우, 상기 제1 나사 부재의 슬립 토크의 절대값>상기 제2 나사 부재의 자립 토크인 것을 조건으로, 상기 제1 나사 부재와 상기 제2 나사 부재는 서로 일체가 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밸브 스프링 또는 체인의 반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했다.
(작용) 제1 나사 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이 낮은 설정 하중 이하인 경우, 제1 나사 부재의 슬립 토크>제2 나사 부재의 자립 토크인 것을 조건으로, 제1 나사 부재 및 제2 나사 부재가 서로 일체가 되어 회전하면서 밸브 스프링 또는 체인의 반력이 작용하는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이동하면 밸브 클리어런스 또는 체인 장력이 감소하고, 반대로 제1 나사 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이 높은 설정 하중 근방 또는 넘은 경우, 제1 나사 부재의 슬립 토크의 절대값>제2 나사 부재의 자립 토크인 것을 조건으로, 제1 나사 부재 및 제2 나사 부재가 서로 일체가 되어 회전하면서 밸브 스프링 또는 체인의 반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밸브 클리어런스 또는 체인 장력이 증가한다.
청구항 3에 따른 기계식 어저스터에 있어서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기계식 어저스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주측에는 상기 제1 나사 부재와 나사 결합되는 제1 나사부와 상기 제2 나사 부재와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부가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했다.
(작용) 하우징의 내주측에는 제1 나사 부재와 나사 결합되는 제1 나사부와 제2 나사 부재와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부가 하우징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나사 부재와 제2 나사 부재를 하우징의 축방향을 따라 직렬로 나란히 하여 배치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따른 기계식 어저스터에 있어서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기계식 어저스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주측에는 상기 제1 나사 부재 또는 상기 제2 나사 부재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축심을 포함하는 영역에는 원기둥부 또는 원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원기둥부 외주측 또는 상기 원통부 내주측에는 상기 제1 나사 부재 또는 상기 제2 나사 부재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나사 부재 또는 상기 제2 나사 부재 중 상기 하우징의 내주측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된 일방의 나사 부재가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타방의 나사 부재가 상기 일방의 나사 부재의 내측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했다.
(작용) 하우징의 내주측에는 제1 나사 부재 또는 제2 나사 부재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하우징의 원기둥부 외주측 또는 원통부 내주측에는 제1 나사 부재 또는 제2 나사 부재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제1 나사 부재 또는 제2 나사 부재 중 하우징의 내주측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된 일방의 나사 부재가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타방의 나사 부재가 일방의 나사 부재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 나사 부재와 제2 나사 부재를 하우징의 축방향에 있어서 서로 오버랩시켜 배치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에 의하면, 밸브 클리어런스 또는 체인 장력의 증가·감소를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의하면, 밸브 클리어런스 또는 체인 장력의 증가·감소를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의하면, 제1 나사 부재와 제2 나사 부재를 하우징의 축방향을 따라 직렬로 나란히 하여 배치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의하면, 제1 나사 부재와 제2 나사 부재를 하우징의 축방향에 있어서 서로 오버랩시켜 배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기계식 래시 어저스터의 단면도이다.
도 2(a)는 등 플랭크각의 나사부의 단면도, (b)는 부등 플랭크각의 나사부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나사 부재와 갈고리형 상호 회전 방지 조인트의 단면도, (b)는 나사 부재와 슬릿형 상호 회전 방지 조인트의 단면도, (c)는 나사 부재와 경사형 상호 회전 방지 조인트의 단면도이다.
도 4(a)~(d)는 나사 부재에 작용하는 축력과 나사 부재의 회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밸브 스프링 반력과 어저스트량의 관계를 도시한 특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기계식 래시 어저스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기계식 래시 어저스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기계식 래시 어저스터의 저면도이다.
도 9(a)~(d)는 나사 부재에 작용하는 축력과 나사 부재의 회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기계식 래시 어저스터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기계식 래시 어저스터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 기계식 래시 어저스터의 단면도이다.
도 13(a)~(c)는 하우징을 2체 구조로 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기계식 래시 어저스터
12, 52, 78, 104, 132…하우징
14, 16, 56, 58, 82, 84, 108, 110, 144, 146…나사 부재
18, 20, 60, 62, 86, 88, 112, 114, 148, 150…탄성 부재
24, 30, 66, 72, 90, 98, 118, 126, 140, 156…나사부(등 플랭크각)
26, 40, 64, 74, 92, 100, 116, 132, 142, 164…나사부(부등 플랭크각)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기계식 래시 어저스터의 단면도, 도 2(a)는 등 플랭크각의 나사부의 단면도, 도 2(b)는 부등 플랭크각의 나사부의 단면도, 도 3(a)는 나사 부재와 갈고리형 상호 회전 방지 조인트의 단면도, 도 3(b)는 나사 부재와 슬릿형 상호 회전 방지 조인트의 단면도, 도 3(c)는 나사 부재와 경사형 상호 회전 방지 조인트의 단면도, 도 4(a)~(d)는 나사 부재에 작용하는 축력과 나사 부재의 회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5는 밸브 스프링 반력과 어저스트량의 관계를 도시한 특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기계식 래시 어저스터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기계식 래시 어저스터의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기계식 래시 어저스터의 저면도, 도 9(a)~(d)는 나사 부재에 작용하는 축력과 나사 부재의 회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기계식 래시 어저스터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기계식 래시 어저스터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 기계식 래시 어저스터의 단면도, 도 13(a)~(c)는 하우징을 2체 구조로 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기계식 래시 어저스터(10)는, 예를 들어, 자동차 등의 내연 기관(엔진)에 사용되는 흡기 밸브 또는 배기 밸브와 밸브 시트의 밸브 클리어런스를 자동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하우징(12), 나사 부재(14, 16), 탄성 부재(18, 2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2)은 엔진의 실린더 헤드(도시 생략)에 배치되는, 예를 들어, 철제의 통체로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12)의 내주측에는 환형상 홈(22)을 기준으로 환형상 홈(22)보다 상측에 나사부(24)가 형성되고, 환형상 홈(22)보다 하측에는 나사부(26)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부(24)는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랭크각 θ1이 동일한 암나사, 예를 들어, 등 플랭크각의 삼각 나사 또는 사다리꼴 나사로 구성되어 있다. 나사부(26)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랭크각 θ2, θ3이 상이한(θ2>θ3) 암나사인 톱니 나사, 예를 들어, 부등 플랭크각의 삼각 나사 또는 사다리꼴 나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2)은 도 13(a)~(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주측의 환형상 홈(22)을 경계로 2개로 분할하여 2체 구조로 하고, 분할한 것을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접에 의해 접합하거나,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킹에 의해 접합하거나, 또는 도 1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입에 의해 접합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이하의 제2 실시예나 제3 실시예도 마찬가지이다.).
나사 부재(14)는 제1 나사 부재로서 대략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나사 부재(14)의 상부측에는 대략 반구형상의 구두부(球頭部)(28)가 형성되어 있다. 구두부(28)는 흡기 밸브 또는 배기 밸브의 밸브 스템에 연결된 로커 암의 일단측에 형성된 반구형상의 피봇(도시 생략)과 끼워맞출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로커 암이 롤러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운동할 때의 지점으로서 기능하고, 로커 암의 회전 운동시에 로커 암으로부터의 힘, 즉, 밸브 스템의 주위에 장착되어 흡기 밸브 또는 배기 밸브에 대해서 밸브 개방 방향의 부세력을 부여하는 밸브 스프링의 반력을 하우징(12)의 축방향을 따른 축력으로서 받도록 되어 있다. 구두부(28)보다 하방의 나사 부재(14) 외주측에는 나사부(30)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부(30)는 하우징(12)의 나사부(24)와 나사 결합된 수나사, 예를 들어, 등 플랭크각의 삼각 나사 또는 사다리꼴 나사로 구성되어 있다. 나사 부재(14)의 하부측에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갈고리형의 상호 회전 방지 조인트(32)와 탄성 부재 수납실(34)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 부재(14)의 축심부에는 탄성 부재 수납실(34)에 이어지는 관통 구멍(36)이 형성되어 있고, 탄성 부재 수납실(34)에는 탄성 부재(18)가 수납되어 있다. 탄성 부재(18)는 나사 부재(14)와 나사 부재(16) 사이에 배치되어 나사 부재(14)와 나사 부재(16)를 하우징(12)의 축방향을 따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 부재로서,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나사 부재(16)는 머리부가 폐색된 원통체로서 형성되어 있고, 나사 부재(16)의 상부측에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 부재(14)의 조인트(30)와 끼워맞 출 수 있는 갈고리형 상호 회전 방지 조인트(38)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 부재(16) 외주측에는 나사부(40)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부(40)는 하우징(12)의 나사부(26)와 나사 결합된 수나사인 톱니 나사, 예를 들어, 부등 플랭크각의 삼각 나사 또는 사다리꼴 나사로 구성되어 있다. 나사 부재(16)의 내측에는 탄성 부재 수납실(42)이 형성되어 있고, 탄성 부재 수납실(42)에는 탄성 부재(20)가 수납되어 있다. 탄성 부재(20)는 하우징(12) 저부의 나사부(26)에 고정된 지지판(44)과 나사 부재(16) 사이에 배치되어, 나사 부재(16)를 하우징(12)의 축방향을 따라 나사 부재(14)에 근접시키는 방향의 힘(밸브 스프링의 반력이 작용하는 방향과는 역방향의 힘)으로 가압하는 제2 탄성 부재로서,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조인트(30, 38) 대신에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릿형 상호 회전 방지 조인트(43, 45)나,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형 상호 회전 방지 조인트(46, 48)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나사 부재(14)는 등 플랭크각의 나사부(30)가 등 플랭크각의 나사부(24)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12)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구두부(28)에 하우징(12)의 축심을 따라 하향의 축력 F1이 작용했을 때에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력 F1에 따라서, 회전하면서 하방으로 이동하고, 반대로 탄성 부재 수납실(34) 상부벽면에 하우징(12)의 축심을 따라 상향의 축력 F2가 작용했을 때에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력 F2에 따라서, 회전하면서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나사 부재(16)는 부등 플랭크각의 나사부(40)가 부등 플랭크각의 나사 부(26)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12)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탄성 부재 수납실(42) 상부에 하우징(12)의 축심을 따라 하향의 축력 F3이 작용해도, 나사부(26)와 나사부(40) 중 플랭크각이 큰 나사 접촉면에 축력 F3이 작용하므로, 이 나사 접촉면(축소측의 나사 접촉면)이 셀프 로크(자립)하고,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력 F3에 의해 회전하지 않고 정지한 상태에 있다. 반대로 탄성 부재 수납실(42) 상부벽면에 하우징(12)의 축심을 따라 상향의 축력 F4가 작용했을 때에는, 나사 부재(16)는 나사부(26)와 나사부(40) 중 플랭크각이 작은 나사 접촉면에 축력 F4가 작용하므로, 이 나사 접촉면이 셀프 로크(자립)하지 않고(나사 접촉면이 미끄러지고),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력 F4에 따라서, 회전하면서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나사 부재(14)와 나사 부재(16)는 갈고리형 상호 회전 방지 조인트(30, 32)를 통하여 연결되고, 회전 방향에 있어서 서로 구속된 상태에 있다. 이 때문에, 나사 부재(14)와 나사 부재(16)는 단독으로 회전할 수 없고, 회전할 때에는 양자가 일체가 되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나사 부재(14)와 나사 부재(16)는 나사 부재(14)에 축력 F2가 작용하고, 나사 부재(16)에 축력 F4가 작용했을 때에는 나사 접촉면이 함께 미끄러지고, 양자가 일체가 되어 회전하면서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나사 부재(14)에 축력 F1이 작용하고, 나사 부재(16)에 축력 F3이 작용했을 때에는, 어떤 조건하에서는, 나사 부재(14)는 회전 가능해도 나사 부재(16)는 회전할 수 없으므로, 양자가 일체가 되어 회전하지 않고 정지한 상태가 된다.
단, 나사 부재(14)에 축력 F1과 동일한 방향의 힘이 작용하고, 나사 부재(16)에 축력 F3과 동일한 방향의 힘이 작용했을 때에, 나사 부재(16)에 설정값 이상의 토크(자립 토크를 넘는 토크)가 작용했을 때에는 나사부(26, 40)에 있어서의 나사 접촉면이 미끄러져, 나사 부재(16)가 회전 가능하게 되고, 나사 부재(14)와 나사 부재(16)는 축력에 따라서, 일체가 되어 회전하면서 하방으로 이동한다.
즉, 나사 부재(14)는 나사부(30)의 신장측과 축소측이 함께 미끄러지고, 나사 부재(16)는 나사부(40)의 신장측이 미끄러지고 축소측이 자립하도록, 나사 부재(14)와 나사 부재(16)의 리드각과 플랭크각이 설정되어 있다.
또, 탄성 부재(18)의 반력과 밸브 스프링의 반력의 차분에 따라 나사 부재(14)에 발생하는 슬립 토크를 TU라고 하고, 탄성 부재(20)에 의한 반력과 탄성 부재(18)에 의한 반력의 차분에 따라 나사 부재(16)에 발생하는 자립 토크를 TL로 했을 때에 양자의 토크 밸런스는 이하와 같이 설정되어 있다.
(1) 나사 부재(14)에 작용하는 하중이 밸브 폐쇄 하중 이하(밸브 클리어런스≥0)인 경우,
나사 부재(14)의 슬립 토크 TU>나사 부재(16)의 자립 토크 TL
일 때에는, 나사 부재(14)와 나사 부재(16)가 하우징(12)의 축방향을 따라 신장 방향으로 움직이고, 밸브 클리어런스를 감소시킨다.
(2) 나사 부재(14)에 작용하는 하중이 밸브 폐쇄 하중~밸브 개방 하중의 범위(밸브 클리어런스=0)인 경우,
나사 부재(14)의 슬립 토크 TU의 절대값 |TU|≤나사 부재(16)의 자립 토크 TL
일 때에는, 나사 부재(14)는 나사 부재(16)의 자립 토크 TL에 구속되고, 나사 부재(14)와 나사 부재(16)는 정지한 상태에 있다.
(3) 나사 부재(14)에 작용하는 하중이 밸브 개방 하중 근방 또는 넘는(밸브 클리어런스<0) 경우,
나사 부재(14)의 슬립 토크 TU의 절대값 |TU|>나사 부재(16)의 자립 토크 TL
일 때에는, 나사 부재(14)의 슬립 토크 TU는 나사 부재(16)의 자립 토크 TL을 이기고, 나사 부재(14)와 나사 부재(16)를 포함하는 나사 부재 전체로서는, 하우징(12)의 축방향을 따라 축소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밸브 클리어런스를 증가(확대)시킨다.
여기서, 밸브 폐쇄 하중 Fa, 밸브 개방 하중 Fb로 하여, 상기 (1)~(3)의 조건에서 밸브 스프링 반력과 어저스트량의 관계를 그래프화한 것을 도 5에 도시한다. 도 5에 있어서, 특성 A는 상기 (1)의 조건에 대응하고, 특성 B는 상기 (2)의 조건에 대응하며, 특성 C는 상기 (3)의 조건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특성 D는 신장 방향에 스토퍼(나사 부재(14)가 어느 범위로부터 신장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설치했을 때의 특성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나사 부재(14)에 작용하는 하중이 밸브 폐쇄 하중 이하(밸브 클리어런스≥0)인 경우, 나사 부재(14)의 슬립 토크 TU>나사 부재(16)의 자립 토크 TL인 것을 조건으로, 밸브 클리어런스를 감소시키고, 나사 부재(14)에 작용하는 하중이 밸브 개방 하중 근방 또는 넘는(밸브 클리어런스<0) 경우, 나사 부재(14)의 슬립 토크 TU의 절대값 |TU|>나사 부재(16)의 자립 토크 TL인 것을 조건으로, 밸브 클리어런스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밸브 클리어런스의 증가·감소를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의하면, 엔진의 고회전시에는 나사 부재(14, 16)의 관성력에 의해, 밸브 클리어런스가 증가(확대)하는 방향(나사 부재 전체가 축소하는 방향)의 하중이 증가하므로 강성을 높일 수 있다.
그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 6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계식 래시 어저스터(10a)는 하우징(12)의 나사부(24)의 상부측에 원환형상의 스토퍼(50)를 고정시켜, 나사 부재(14)의 나사부(30)와 스토퍼(50)의 맞닿음에 의해, 나사 부재(14)가 어느 범위로부터 신장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한 것이며,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밸브 클리어런스의 증가·감소를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나사 부재(14)가 어느 범위로부터 신장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그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 7 및 도 8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계식 래시 어저스터(10b)는 다이렉트형 리프터 보디 내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기계식 래시 어저스터(10b)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하우징(52)을 구비하고 있고, 하우징(52)은 폐색된 상부측이 다이렉트형 리프터 보디 내에 고정되고, 개구된 하부측에 밸브 스템이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52)은 그 내부에 동심원형상의 원통부(54)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나사 부재(56, 58) 및 탄성 부재(60, 62)가 수납되어 있다. 하우징(52)의 내주측에는 나사부(64)가 형성되고, 원통부(54)의 내주측에는 나사부(66)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52)의 나사부(64)는 부등 플랭크각의 암나사인 톱니 나사, 예를 들어, 부등 플랭크각의 삼각 나사 또는 사다리꼴 나사로 구성되고, 원통부(54)의 나사부(66)는 등 플랭크각의 암나사, 예를 들어, 등 플랭크각의 삼각 나사 또는 사다리꼴 나사로 구성되어 있다.
나사 부재(56)는 제1 나사 부재로서, 원판부(68)와 원기둥부(70)가 일체가 되어 형성되어 있고, 원판부(68) 외주측이 나사 부재(58)와 슬릿형의 상호 회전 방지 조인트(도시 생략)를 통하여 연결되고, 원기둥부(70) 외주측에는 나사부(72)가 형성되어 있다. 원판부(68)에는 밸브 스템의 축방향 단부가 맞닿고, 밸브 스프링의 반력이 부여되도록 되어 있다. 원기둥부(70)의 나사부(72)는 원통부(54)의 나사부(66)와 나사 결합된 등 플랭크각의 수나사, 예를 들어, 등 플랭크각의 삼각 나사 또는 사다리꼴 나사로 구성되어 있다.
나사 부재(58)는 제2 나사 부재로서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나사 부재(58)의 외주측에는 나사부(74)가 형성되고, 상부측에는 원환형상의 플랜지부(76)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부(74)는 하우징(52)의 나사부(64)와 나사 결합된 부등 플랭크각의 수나사인 톱니 나사, 예를 들어, 부등 플랭크각의 삼각 나사 또는 사다리꼴 나사로 구성되어 있다.
탄성 부재(60)는 나사 부재(56)의 원판부(68)와 나사 부재(58)의 플랜지(76) 사이에 배치되어, 나사 부재(56)와 나사 부재(58)를 하우징(52)의 축방향을 따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 부재로서, 예를 들어, 접시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탄성 부재(62)는 하우징(52) 상부벽면과 나사 부재(58)의 플랜지부(76) 사이에 배치되어, 나사 부재(58)를 하우징(52)의 축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힘(밸브 스프링의 반력이 작용하는 방향과는 역방향의 힘)으로 가압하는 제2 탄성 부재로서,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나사 부재(56)는 등 플랭크각의 나사부(72)가 등 플랭크각의 나사부(66)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52)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원판부(68)에 하우징(52)의 축심을 따라 상향의 축력 F1이 작용했을 때에는,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력 F1에 따라서, 회전하면서 상방으로 이동하고, 반대로 원판부(68)에 하우징(52)의 축심을 따라 하향의 축력 F2가 작용했을 때에는,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력 F2에 따라서, 회전하면서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나사 부재(58)는 부등 플랭크각의 나사부(74)가 부등 플랭크각의 나사부(64)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52)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나사 부재(58)의 플랜지부(76)에 하우징(52)의 축심을 따라 상향의 축력 F3이 작용해도 나사부(64)와 나사부(74) 중 플랭크각이 큰 나사 접촉면에 축력 F3이 작용하므로, 이 나사 접촉면이 셀프 로크(자립)하고,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력 F3에 의해 회전하지 않고 정지한 상태에 있다. 반대로 나사 부재(58)의 플랜지부(76)에 하우징(52)의 축심을 따라 하향의 축력 F4가 작용했을 때에는, 나사 부재(58)는 나사부(64)와 나사부(74) 중 플랭크각이 작은 나사 접촉면에 축력 F4가 작용하므로 이 나사 접촉면이 셀프 로크(자립)하지 않고, 도 9(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력 F4에 따라서, 회전하면서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나사 부재(56)와 나사 부재(58)는 슬릿형 상호 회전 방지 조인트를 통하여 연결되고, 회전 방향에 있어서 서로 구속된 상태에 있다. 이 때문에, 나사 부재(56)와 나사 부재(58)는 단독으로 회전할 수 없고, 회전할 때에는 양자가 일체가 되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나사 부재(56)와 나사 부재(58)는 나사 부재(56)에 축력 F2가 작용하고, 나사 부재(58)에 축력 F4가 작용했을 때에는 양자가 일체가 되어 회전하면서 하방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나사 부재(56)에 축력 F1이 작용하고, 나사 부재(58)에 축력 F3이 작용했을 때에는, 어떤 조건하에서는, 나사 부재(56)는 회전 가능해도 나사 부재(58)는 회전할 수 없으므로, 양자가 일체가 되어 회전하지 않고 정지한 상태가 된다. 단, 나사 부재(56)에 축력 F1이 작용하고, 나사 부재(58)에 축력 F3이 작용했을 때에, 나사 부재(58)에 설정값 이상의 토크(자립 토크를 넘는 토크)가 작용했을 때에는, 나사 부재(58)가 회전 가능하게 되고, 나사 부재(56)와 나사 부재(58)는 토크에 따라서, 일체가 되어 회전하면서 축소측으로 이동한다.
즉, 나사 부재(56)는 나사부(72)의 신장측과 축소측이 함께 미끄러지고, 나사 부재(58)는 나사부(74)의 신장측이 미끄러지고 축소측이 자립하도록, 나사 부재(56)와 나사 부재(58)의 리드각과 플랭크각이 설정되어 있다.
또, 탄성 부재(60)의 반력과 밸브 스프링의 반력의 차분에 따라 나사 부 재(56)에 발생하는 슬립 토크를 토크 TU로 하고, 탄성 부재(62)에 의한 반력과 탄성 부재(60)에 의한 반력의 차분에 따라 나사 부재(58)에 발생하는 자립 토크를 토크 TL로 했을 때에, 양자의 토크 밸런스는 이하와 같이 설정되어 있다.
(1) 나사 부재(56)에 작용하는 하중이 밸브 폐쇄 하중 이하(밸브 클리어런스≥0)인 경우,
나사 부재(56)의 슬립 토크 TU>나사 부재(58)의 자립 토크 TL
일 때에는, 나사 부재(56)와 나사 부재(58)가 하우징(52)의 축방향을 따라 신장 방향으로 움직이고, 밸브 클리어런스를 감소시킨다.
(2) 나사 부재(56)에 작용하는 하중이 밸브 폐쇄 하중~밸브 개방 하중의 범위(밸브 클리어런스=0)인 경우,
나사 부재(56)의 슬립 토크 TU의 절대값 |TU|≤나사 부재(58)의 자립 토크 TL
일 때에는, 나사 부재(56)는 나사 부재(58)의 자립 토크 TL에 구속되고, 나사 부재(56)와 나사 부재(58)는 정지한 상태에 있다.
(3) 나사 부재(56)에 작용하는 하중이 밸브 개방 하중 근방 또는 넘는(밸브 클리어런스<0) 경우,
나사 부재(56)의 슬립 토크 TU의 절대값 |TU|>나사 부재(58)의 자립 토크 TL
일 때에는, 나사 부재(56)의 슬립 토크 TU는 나사 부재(58)의 자립 토크 TL을 이기고, 나사 부재(56)와 나사 부재(58)를 포함하는 나사 부재 전체로서는, 하우징(52)의 축방향을 따라 축소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밸브 클리어런스를 증가 (확대)시킨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나사 부재(56)에 작용하는 하중이 밸브 폐쇄 하중 이하(밸브 클리어런스≥0)인 경우, 나사 부재(56)의 슬립 토크 TU>나사 부재(58)의 자립 토크 TL인 것을 조건으로, 밸브 클리어런스를 감소시키고, 나사 부재(56)에 작용하는 하중이 밸브 개방 하중 근방 또는 넘는(밸브 클리어런스<0) 경우, 나사 부재(56)의 슬립 토크 TU의 절대값 |TU|>나사 부재(58)의 자립 토크 TL인 것을 조건으로, 밸브 클리어런스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밸브 클리어런스의 증가·감소를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의하면, 엔진의 고회전시에는 나사 부재(56, 58)의 관성력에 의해, 밸브 클리어런스가 증가(확대)하는 방향(나사 부재 전체가 축소하는 방향)의 하중이 증가하므로 강성을 높일 수 있다.
그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 10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계식 래시 어저스터(10c)는 다이렉트형 리프터 보디 내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기계식 래시 어저스터(10c)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하우징(78)을 구비하고 있고, 하우징(78)은 폐색된 상부측이 다이렉트형 리프터 보디 내에 고정되고, 개구된 하부측에 밸브 스템이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78)은 그 내부에 동심원형상의 원기둥부(80)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나사 부재(82, 84) 및 탄성 부재(86, 88)가 수납되어 있다. 하우징(78)의 내주측에는 나사부(90)가 형성되고, 원기둥부(80)의 외주측에는 나사부(92)가 형성되 어 있다. 하우징(78)의 나사부(90)는 등 플랭크각의 암나사, 예를 들어, 등 플랭크각의 삼각 나사 또는 사다리꼴 나사로 구성되고, 원기둥부(80)의 나사부(92)는 부등 플랭크각의 수나사인 톱니 나사, 예를 들어, 부등 플랭크각의 삼각 나사 또는 사다리꼴 나사로 구성되어 있다.
나사 부재(82)는 제1 나사 부재로서, 원판부(94)와 통부(96)가 일체가 되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통부(96) 상부 내주측이 나사 부재(84)와 슬릿형의 조인트(도시 생략)를 통하여 연결되고, 통부(96) 외주측에는 나사부(98)가 형성되어 있다. 원판부(94)에는 밸브 스템이 맞닿고, 밸브 스프링의 반력이 부여되도록 되어 있다. 통부(96)의 나사부(98)는 하우징(78)의 나사부(90)와 나사 결합된 수나사, 예를 들어, 등 플랭크각의 삼각 나사 또는 사다리꼴 나사로 구성되어 있다.
나사 부재(84)는 제2 나사 부재로서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나사 부재(84)의 내주측에는 나사부(100)가 형성되고, 상부 외주측에는 원환형상의 플랜지부(102)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부(100)는 원기둥부(80)의 나사부(92)와 나사 결합된 부등 플랭크각의 암나사, 예를 들어, 톱니 나사로 구성되어 있다.
탄성 부재(86)는 나사 부재(82)의 원판부(94)와 나사 부재(84)의 플랜지부(102) 사이에 배치되어, 나사 부재(82)와 나사 부재(84)를 하우징(78)의 축방향을 따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 부재로서, 예를 들어, 접시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탄성 부재(88)는 하우징(78) 상부벽면과 나사 부재(84)의 플랜지부(102) 사이에 배치되어, 나사 부재(84)를 하우징(78)의 축방향을 따라 신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밸브 스프링의 반력이 작용하는 방향과는 역방향 의 힘)으로 가압하는 제2 탄성 부재로서,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나사 부재(82)는 등 플랭크각의 나사부(98)가 등 플랭크각의 나사부(90)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78)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원판부(94)에 하우징(78)의 축심을 따라 축소하는 방향의 축력 F1이 작용했을 때에는,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력 F1에 따라서, 회전하면서 축소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반대로 원판부(94)에 하우징(78)의 축심을 따라 신장하는 방향의 축력 F2가 작용했을 때에는,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력 F2에 따라서, 회전하면서 신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나사 부재(84)는 부등 플랭크각의 나사부(100)가 부등 플랭크각의 나사부(92)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78)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나사 부재(84)의 플랜지부(102)에 하우징(78)의 축심을 따라 축소하는 방향의 축력 F3이 작용해도, 나사부(92)와 나사부(100) 중 플랭크각이 큰 나사 접촉면에 축력 F3이 작용하므로, 이 나사 접촉면이 셀프 로크(자립)하고, 도 9(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력 F3에 의해 회전하지 않고 정지한 상태에 있다. 반대로 나사 부재(84)의 플랜지부(102)에 하우징(78)의 축심을 따라 신장하는 방향의 축력 F4가 작용했을 때에는, 나사 부재(84)는 나사부(92)와 나사부(100) 중 플랭크각이 작은 나사 접촉면에 축력 F4가 작용하므로, 이 나사 접촉면이 셀프 로크(자립)하지 않고, 도 9(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력 F4에 따라서, 회전하면서 신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나사 부재(82)와 나사 부재(84)는 슬릿형 상호 회전 방지 조인트를 통하여 연결되고, 회전 방향에 있어서 서로 구속된 상태에 있다. 이 때문에, 나사 부재(82)와 나사 부재(84)는 단독으로 회전할 수 없고, 회전할 때에는 양자가 일체가 되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나사 부재(82)와 나사 부재(84)는 나사 부재(82)에 축력 F2가 작용하고, 나사 부재(84)에 축력 F4가 작용했을 때에는 양자가 일체가 되어 회전하면서 신장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나사 부재(82)에 축력 F1이 작용하고, 나사 부재(84)에 축력 F3이 작용했을 때에는, 어떤 조건하에서는, 나사 부재(82)는 회전 가능해도 나사 부재(84)는 회전할 수 없으므로 양자가 일체가 되어 회전하지 않고 정지한 상태가 된다.
단, 나사 부재(82)에 축력 F1이 작용하고, 나사 부재(84)에 축력 F3이 작용했을 때에, 나사 부재(84)에 설정값 이상의 토크(자립 토크를 넘는 토크)가 작용했을 때에는, 나사 부재(84)가 회전 가능하게 되고, 나사 부재(82)와 나사 부재(84)는 토크에 따라서, 일체가 되어 회전하면서 축소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나사 부재(82)는 나사부(98)의 신장측과 축소측이 함께 미끄러지고, 나사 부재(84)는 나사부(100)의 신장측이 미끄러지고 축소측이 자립하도록, 나사 부재(82)와 나사 부재(84)의 리드각과 플랭크각이 설정되어 있다.
또, 탄성 부재(86)의 반력과 밸브 스프링의 반력의 차분에 따라 나사 부재(82)에 발생하는 슬립 토크를 토크 TU로 하고, 탄성 부재(88)에 의한 반력과 탄성 부재(86)에 의한 반력의 차분에 따라 나사 부재(84)에 발생하는 자립 토크를 토 크 TL로 했을 때에, 양자의 토크 밸런스는 이하와 같이 설정되어 있다.
(1) 나사 부재(82)에 작용하는 하중이 밸브 폐쇄 하중 이하(밸브 클리어런스≥0)인 경우,
나사 부재(82)의 슬립 토크 TU>나사 부재(84)의 자립 토크 TL
일 때에는, 나사 부재(82)와 나사 부재(84)가 하우징(78)의 축방향을 따라 하방향(신장 방향)으로 움직이고, 밸브 클리어런스를 감소시킨다.
(2) 나사 부재(82)에 작용하는 하중이 밸브 폐쇄 하중~밸브 개방 하중의 범위(밸브 클리어런스=0)인 경우,
나사 부재(82)의 슬립 토크 TU의 절대값 |TU|≤나사 부재(84)의 자립 토크 TL
일 때에는, 나사 부재(82)는 나사 부재(84)의 자립 토크 TL에 구속되고, 나사 부재(82)와 나사 부재(84)는 정지한 상태에 있다.
(3) 나사 부재(82)에 작용하는 하중이 밸브 개방 하중 근방 또는 넘는(밸브 클리어런스<0) 경우,
나사 부재(82)의 슬립 토크 TU의 절대값 |TU|>나사 부재(84)의 자립 토크 TL
일 때에는, 나사 부재(82)의 슬립 토크 TU는 나사 부재(84)의 자립 토크 TL을 이기고, 나사 부재(82)와 나사 부재(84)를 포함하는 나사 부재 전체로서는, 하우징(78)의 축방향을 따라 축소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밸브 클리어런스를 증가(확대)시킨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나사 부재(82)에 작용하는 하중이 밸브 폐쇄 하중 이하(밸브 클리어런스≥0)인 경우, 나사 부재(82)의 슬립 토크 TU>나사 부재(84)의 자립 토크 TL인 것을 조건으로, 밸브 클리어런스를 감소시키고, 나사 부재(82)에 작용하는 하중이 밸브 개방 하중 근방 또는 넘는(밸브 클리어런스<0) 경우, 나사 부재(82)의 슬립 토크 TU의 절대값 |TU|>나사 부재(84)의 자립 토크 TL인 것을 조건으로, 밸브 클리어런스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밸브 클리어런스의 증가·감소를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의하면, 엔진의 고회전시에는 나사 부재(82, 84)의 관성력에 의해 밸브 클리어런스가 증가(확대)하는 방향(나사 부재 전체가 축소하는 방향)의 하중이 증가하므로 강성을 높일 수 있다.
그 다음에,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도 11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계식 래시 어저스터(10d)는 다이렉트형 리프터 보디 내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기계식 래시 어저스터(10d)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하우징(104)을 구비하고 있고, 하우징(104)은 폐색된 상부측이 다이렉트형 리프터 보디 내에 고정되고, 개구된 하부측에 밸브 스템이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104)은 그 내부에 동심원형상의 원통부(106)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나사 부재(108, 110) 및 탄성 부재(112, 114)가 수납되어 있다. 하우징(104)의 내주측에는 나사부(116)가 형성되고, 원통부(106)의 내주측에는 나사부(118)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4)의 나사부(116)는 부등 플랭크각의 암나사인 톱니 나사, 예를 들어, 부등 플랭크각의 삼각 나사 또는 사다리꼴 나사로 구성되고, 원통 부(106)의 나사부(118)는 등 플랭크각의 암나사, 예를 들어, 등 플랭크각의 삼각 나사 또는 사다리꼴 나사로 구성되어 있다.
나사 부재(108)는 제1 나사 부재로서, 대원기둥부(120)와 소원기둥부(122)가 일체가 되어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대원기둥부(120) 저부 외주측이 나사 부재(110)와 슬릿형의 상호 회전 방지 조인트(124)를 통하여 연결되고, 소원기둥부(122) 외주측에는 나사부(126)가 형성되어 있다. 대원기둥부(120)에는 밸브 스템이 맞닿고, 밸브 스프링의 반력이 부여되도록 되어 있다. 소원기둥부(122)의 나사부(126)는 원통부(106)의 나사부(118)와 나사 결합된 등 플랭크각의 수나사, 예를 들어, 등 플랭크각의 삼각 나사 또는 사다리꼴 나사로 구성되어 있다.
나사 부재(110)는 제2 나사 부재로서, 대원통부(128)와 소원통부(130)가 일체가 되어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대원통부(128)의 외주측에는 나사부(132)가 형성되고, 소원통부(130) 상부 외주측에는 원환형상의 플랜지부(134)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부(132)는 하우징(104)의 나사부(116)와 나사 결합된 부등 플랭크각의 수나사인 톱니 나사, 예를 들어, 부등 플랭크각의 삼각 나사 또는 사다리꼴 나사로 구성되어 있다.
탄성 부재(112)는 나사 부재(108)의 대원기둥부(120) 상면과 나사 부재(110)의 플랜지부(134) 사이에 배치되어, 나사 부재(108)와 나사 부재(110)를 하우징(104)의 축방향을 따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 부재로서, 예를 들어, 접시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탄성 부재(114)는 하우징(104) 상부벽면과 나사 부재(110)의 대원통부(128) 상면 사이에 배치되어, 나사 부재(110)를 하 우징(104)의 축방향을 따라 신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밸브 스프링의 반력이 작용하는 방향과는 역방향의 힘)으로 가압하는 제2 탄성 부재로서,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나사 부재(108)는 등 플랭크각의 나사부(126)가 등 플랭크각의 나사부(118)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104)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대원기둥부(120)에 하우징(104)의 축심을 따라 축소하는 방향의 축력 F1이 작용했을 때에는,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력 F1에 따라서, 회전하면서 축소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반대로 대원기둥부(120)에 하우징(104)의 축심을 따라 신장하는 방향의 축력 F2가 작용했을 때에는,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력 F2에 따라서, 회전하면서 신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나사 부재(110)는 부등 플랭크각의 나사부(132)가 부등 플랭크각의 나사부(116)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104)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나사 부재(110)의 대원통부(128)에 하우징(104)의 축심을 따라 축소하는 방향의 축력 F3이 작용해도, 나사부(132)와 나사부(116) 중 플랭크각이 큰 나사 접촉면에 축력 F3이 작용하므로, 이 나사 접촉면이 셀프 로크(자립)하고,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력 F3에 의해 회전하지 않고 정지한 상태에 있다. 반대로 나사 부재(110)의 대원통부(128)에 하우징(104)의 축심을 따라 신장하는 방향의 축력 F4가 작용했을 때에는, 나사 부재(110)는 나사부(132)와 나사부(116) 중 플랭크각이 작은 나사 접촉면에 축력 F4가 작용하므로, 이 나사 접촉면이 셀프 로크(자립)하지 않고, 도 9(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력 F4에 따라서, 회전하면서 신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나사 부재(108)와 나사 부재(110)는 슬릿형 상호 회전 방지 조인트(124)를 통하여 연결되고, 회전 방향에 있어서 서로 구속된 상태에 있다. 이 때문에, 나사 부재(108)와 나사 부재(110)는 단독으로 회전할 수 없고, 회전할 때에는 양자가 일체가 되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나사 부재(108)와 나사 부재(110)는 나사 부재(108)에 축력 F2이 작용하고, 나사 부재(110)에 축력 F4가 작용했을 때에는, 양자가 일체가 되어 회전하면서 신장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나사 부재(108)에 축력 F1이 작용하고, 나사 부재(110)에 축력 F3이 작용했을 때에는, 어떤 조건하에서는, 나사 부재(108)는 회전 가능해도 나사 부재(110)는 회전할 수 없으므로 양자가 일체가 되어 회전하지 않고 정지한 상태가 된다.
단, 나사 부재(108)에 축력 F1이 작용하고, 나사 부재(110)에 축력 F3이 작용했을 때에, 나사 부재(110)에 설정값 이상의 토크(자립 토크를 넘는 토크)가 작용했을 때에는, 나사 부재(110)가 회전 가능하게 되고, 나사 부재(108)와 나사 부재(110)는 토크에 따라서, 일체가 되어 회전하면서 축소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나사 부재(108)는 나사부(118)의 신장측과 축소측이 함께 미끄러지고, 나사 부재(110)는 나사부(132)의 신장측이 미끄러지고 축소측이 자립하도록, 나사 부재(108)와 나사 부재(110)의 리드각과 플랭크각이 설정되어 있다.
또, 탄성 부재(112)의 반력과 밸브 스프링의 반력의 차분에 따라 나사 부재(108)에 발생하는 슬립 토크를 토크 TU로 하고, 탄성 부재(112)에 의한 반력과 탄성 부재(114)에 의한 반력의 차분에 따라 나사 부재(110)에 발생하는 자립 토크를 토크 TL로 했을 때에, 양자의 토크 밸런스는 이하와 같이 설정되어 있다.
(1) 나사 부재(108)에 작용하는 하중이 밸브 폐쇄 하중 이하(밸브 클리어런스≥0)인 경우,
나사 부재(108)의 슬립 토크 TU>나사 부재(110)의 자립 토크 TL
일 때에는, 나사 부재(108)와 나사 부재(110)가 하우징(104)의 축방향을 따라 하방향(신장 방향)으로 움직이고, 밸브 클리어런스를 감소시킨다.
(2) 나사 부재(108)에 작용하는 하중이 밸브 폐쇄 하중~밸브 개방 하중의 범위(밸브 클리어런스=0)인 경우,
나사 부재(108)의 슬립 토크 TU의 절대값 |TU|≤나사 부재(110)의 자립 토크 TL일 때에는, 나사 부재(108)는 나사 부재(110)의 자립 토크 TL에 구속되고, 나사 부재(108)와 나사 부재(110)는 정지한 상태에 있다.
(3) 나사 부재(108)에 작용하는 하중이 밸브 개방 하중 근방 또는 넘는(밸브 클리어런스<0) 경우,
나사 부재(108)의 슬립 토크 TU의 절대값 |TU|>나사 부재(110)의 자립 토크 TL일 때에는, 나사 부재(108)의 슬립 토크 TU는 나사 부재(110)의 자립 토크 TL을 이기고, 나사 부재(108)와 나사 부재(110)를 포함하는 나사 부재 전체로서는, 하우징(104)의 축방향을 따라 축소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밸브 클리어런스를 증가(확대)시킨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나사 부재(108)에 작용하는 하중이 밸브 폐쇄 하중 이하(밸브 클리어런스≥0)인 경우, 나사 부재(108)의 슬립 토크 TU>나사 부재(110)의 자립 토크 TL인 것을 조건으로, 밸브 클리어런스를 감소시키고, 나사 부재(108)에 작용하는 하중이 밸브 개방 하중 근방 또는 넘는(밸브 클리어런스<0) 경우, 나사 부재(108)의 슬립 토크 TU의 절대값 |TU|>나사 부재(110)의 자립 토크 TL인 것을 조건으로, 밸브 클리어런스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밸브 클리어런스의 증가·감소를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의하면, 엔진의 고회전시에는 나사 부재(108, 110)의 관성력에 의해, 밸브 클리어런스가 증가(확대)하는 방향(나사 부재 전체가 축소하는 방향)의 하중이 증가하므로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스프링 부재(112, 114) 및 탄성 부재(108, 110)가 각각 병렬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하우징(104)의 축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다른 실시예의 것보다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 다음에,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도 12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계식 래시 어저스터(10e)는 다이렉트형 리프터 보디 내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기계식 래시 어저스터(10e)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하우징(136)을 구비하고 있고, 하우징(136)은 폐색된 상부측이 다이렉트형 리프터 보디 내에 고정되고, 개구된 하부측에 밸브 스템이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136)은 그 내부 중 상부측의 영역에, 환형상 홈(138)을 사이에 두고 나사부(140)와 나사부(142)가 상하로 나뉘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나사 부 재(144, 146) 및 탄성 부재(148, 150)가 각각 서로 직렬로 되어 수납되어 있다.
하우징(136) 내주측의 나사부(140)는 등 플랭크각의 암나사, 예를 들어, 등 플랭크각의 삼각 나사 또는 사다리꼴 나사로 구성되고, 나사부(142)는 부등 플랭크각의 암나사인 톱니 나사, 예를 들어, 부등 플랭크각의 삼각 나사 또는 사다리꼴 나사로 구성되어 있다.
나사 부재(144)는 제1 나사 부재로서, 원판부(152)와 원통부(154)가 일체가 되어 대략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원통부(154) 외주측에 나사부(156)가 형성되고, 원통부(154) 상부측이 나사 부재(146)와 슬릿형의 조인트(158)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원판부(152)에는 밸브 스템이 맞닿고, 밸브 스프링의 반력이 부여되도록 되어 있다. 원통부(154)의 나사부(156)는 하우징(136)의 나사부(140)와 나사 결합된 등 플랭크각의 수나사, 예를 들어, 등 플랭크각의 삼각 나사 또는 사다리꼴 나사로 구성되어 있다.
나사 부재(146)는 제2 나사 부재로서, 원판부(160)와 원통부(162)가 일체가 되어 대략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원통부(162)의 외주측에는 나사부(164)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부(164)는 하우징(136)의 나사부(142)와 나사 결합된 부등 플랭크각의 수나사인 톱니 나사, 예를 들어, 부등 플랭크각의 삼각 나사 또는 사다리꼴 나사로 구성되어 있다.
탄성 부재(148)는 나사 부재(144)의 원판부(152) 상면과 나사 부재(146)의 원판부(160) 저면 사이에 배치되어, 나사 부재(144)와 나사 부재(146)를 하우징(136)의 축방향을 따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 부재로서, 예 를 들어, 접시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탄성 부재(150)는 하우징(136) 상부벽면과 나사 부재(146)의 원판부(160) 상면 사이에 배치되어, 나사 부재(146)를 하우징(136)의 축방향을 따라 신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밸브 스프링의 반력이 작용하는 방향과는 역방향의 힘)으로 가압하는 제2 탄성 부재로서,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나사 부재(144)는 등 플랭크각의 나사부(156)가 등 플랭크각의 나사부(140)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136)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원판부(152)에 하우징(136)의 축심을 따라 축소하는 방향의 축력 F1이 작용했을 때에는,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력 F1에 따라서, 회전하면서 축소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반대로 원판부(152)에 하우징(136)의 축심을 따라 신장하는 방향의 축력 F2가 작용했을 때에는,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력 F2에 따라서, 회전하면서 신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나사 부재(146)는 부등 플랭크각의 나사부(164)가 부등 플랭크각의 나사부(142)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136)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나사 부재(146)의 원판부(160)에 하우징(136)의 축심을 따라 축소하는 방향의 축력 F3이 작용해도, 나사부(142)와 나사부(164) 중 플랭크각이 큰 나사 접촉면에 축력 F3이 작용하므로, 이 나사 접촉면이 셀프 로크(자립)하고,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력 F3에 의해 회전하지 않고 정지한 상태에 있다. 반대로 나사 부재(146)의 원판부(160)에 하우징(136)의 축심을 따라 신장하는 방향의 축력 F4가 작용했을 때에는, 나사 부재(146)는 나사부(142)와 나사부(164) 중 플랭크각이 작은 나사 접촉면 에 축력 F4가 작용하므로, 이 나사 접촉면이 셀프 로크(자립)하지 않고, 도 9(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력 F4에 따라서, 회전하면서 신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나사 부재(144)와 나사 부재(146)는 슬릿형 상호 회전 방지 조인트(158)를 통하여 연결되고, 회전 방향에 있어서 서로 구속된 상태에 있다. 이 때문에, 나사 부재(144)와 나사 부재(146)는 단독으로 회전할 수 없고, 회전할 때에는 양자가 일체가 되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나사 부재(144)와 나사 부재(146)는 나사 부재(144)에 축력 F2이 작용하고, 나사 부재(146)에 축력 F4가 작용했을 때에는, 양자가 일체가 되어 회전하면서 신장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나사 부재(144)에 축력 F1이 작용하고, 나사 부재(146)에 축력 F3이 작용했을 때에는, 어떤 조건하에서는, 나사 부재(144)는 회전 가능해도 나사 부재(146)는 회전할 수 없으므로 양자가 일체가 되어 회전하지 않고 정지한 상태가 된다.
단, 나사 부재(144)에 축력 F1이 작용하고, 나사 부재(146)에 축력 F3이 작용했을 때에, 나사 부재(146)에 설정값 이상의 토크(자립 토크를 넘는 토크)가 작용했을 때에는, 나사 부재(146)가 회전 가능하게 되고, 나사 부재(144)와 나사 부재(146)는 토크에 따라서, 일체가 되어 회전하면서 축소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나사 부재(144)는 나사부(156)의 신장측과 축소측이 함께 미끄러지고, 나사 부재(146)는 나사부(164)의 신장측이 미끄러지고 축소측이 자립하도록, 나사 부재(144)와 나사 부재(146)의 리드각과 플랭크각이 설정되어 있다.
또, 탄성 부재(148)의 반력과 밸브 스프링의 반력의 차분에 따라 나사 부재(144)에 발생하는 슬립 토크를 토크 TU로 하고, 탄성 부재(148)에 의한 반력과 탄성 부재(150)에 의한 반력의 차분에 따라 나사 부재(146)에 발생하는 자립 토크를 토크 TL로 했을 때에, 양자의 토크 밸런스는 이하와 같이 설정되어 있다.
(1) 나사 부재(144)에 작용하는 하중이 밸브 폐쇄 하중 이하(밸브 클리어런스≥0)인 경우,
나사 부재(144)의 슬립 토크 TU>나사 부재(146)의 자립 토크 TL
일 때에는, 나사 부재(144)와 나사 부재(146)가 하우징(136)의 축방향을 따라 하방향(신장 방향)으로 움직이고, 밸브 클리어런스를 감소시킨다.
(2) 나사 부재(144)에 작용하는 하중이 밸브 폐쇄 하중~밸브 개방 하중의 범위(밸브 클리어런스=0)인 경우,
나사 부재(144)의 슬립 토크 TU의 절대값 |TU|≤나사 부재(146)의 자립 토크 TL일 때에는, 나사 부재(144)는 나사 부재(146)의 자립 토크 TL에 구속되고, 나사 부재(144)와 나사 부재(146)는 정지한 상태에 있다.
(3) 나사 부재(144)에 작용하는 하중이 밸브 개방 하중 근방 또는 넘는(밸브 클리어런스<0) 경우,
나사 부재(144)의 슬립 토크 TU의 절대값 |TU|>나사 부재(146)의 자립 토크 TL일 때에는, 나사 부재(144)의 슬립 토크 TU는 나사 부재(146)의 자립 토크 TL을 이기고, 나사 부재(144)와 나사 부재(146)를 포함하는 나사 부재 전체로서는, 하우징(136)의 축방향을 따라 축소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밸브 클리어런스를 증가(확 대)시킨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나사 부재(144)에 작용하는 하중이 밸브 폐쇄 하중 이하(밸브 클리어런스≥0)인 경우, 나사 부재(144)의 슬립 토크 TU>나사 부재(146)의 자립 토크 TL인 것을 조건으로, 밸브 클리어런스를 감소시키고, 나사 부재(144)에 작용하는 하중이 밸브 개방 하중 근방 또는 넘는(밸브 클리어런스<0) 경우, 나사 부재(144)의 슬립 토크 TU의 절대값 |TU|>나사 부재(146)의 자립 토크 TL인 것을 조건으로, 밸브 클리어런스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밸브 클리어런스의 증가·감소를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의하면, 엔진의 고회전시에는, 나사 부재(144, 146)의 관성력에 의해, 밸브 클리어런스가 증가(확대)하는 방향(나사 부재 전체가 축소하는 방향)의 하중이 증가하므로 강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제3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나사 부재(56, 82, 108)와 제2 나사 부재(58, 84, 110)를 하우징(52, 78, 104)의 축방향에 있어서 서로 오버랩시켜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기계식 래시 어저스터는 하중을 자동 조정하는 각종 텐셔너(체인 텐셔너, 벨트 텐셔너 등)에도 기계식 어저스터로서 사용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제1 나사 부재는 체인의 반력을 받게 된다. 또, 제1 나사 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으로서는 밸브 폐쇄 하중 대신에 체인에 설정되는 하중 중 낮은 설정 하중이 사용되고, 밸브 개방 하중 대신에 체인에 설정되는 하중 중 높은 설정 하중 이 사용된다.
또, 기계식 래시 어저스터로서 사용하는 경우 및 각종 텐셔너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어느쪽에 있어서도 동작 원리는 동일하며, 제1 나사 부재 및 제2 나사 부재에 발생하는 토크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킬 때, 서로 일체가 되어 회전하면서 하우징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밸브 클리어런스(조정 대상의 클리어런스) 또는 체인 장력(조정 대상의 장력)의 증가·감소를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것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4)

  1.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주측에 나사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나사부와 나사 결합되어, 밸브 스프링 또는 체인의 반력을 받는 제1 나사 부재와, 상기 제1 나사 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에서는 이동이 자유롭고 또한, 회전 방향에서는 서로 구속된 상태에서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나사부와 나사 결합된 제2 나사 부재와, 상기 제1 나사 부재와 상기 제2 나사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나사 부재와 상기 제2 나사 부재를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을 따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제2 나사 부재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나사 부재를 상기 밸브 스프링 또는 체인의 반력이 작용하는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의 힘으로 가압하는 제2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나사 부재는 상기 밸브 스프링 또는 체인의 반력 또는 상기 제1 탄성 부재로부터의 축력 방향에 따라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고, 상기 제2 나사 부재는 상기 제1 탄성 부재로부터의 축력 방향에 대해서는 자립하고, 상기 제2 탄성 부재로부터의 축력 방향에 따라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며,
    상기 제1 나사 부재와 상기 제2 나사 부재는, 상기 제1 나사 부재에 작용하는 제1 설정 하중 이하의 하중이 상기 제2 나사 부재에 역방향의 토크를 발생시킬 때 또는 상기 제1 나사 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제1 설정 하중보다 높은 제2 설정 하중 근방의 하중 또는 상기 제2 설정 하중을 넘는 하중이 상기 제2 나사 부재에 자립 토크를 넘는 정방향의 토크를 발생시킬 때, 서로 일체가 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어저스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 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이 상기 제1 설정 하중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나사 부재의 슬립 토크>상기 제2 나사 부재의 자립 토크인 것을 조건으로, 상기 제1 나사 부재와 상기 제2 나사 부재는 서로 일체가 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밸브 스프링 또는 체인의 반력이 작용하는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 나사 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이 상기 제1 설정 하중보다 높은 상기 제2 설정 하중 근방 또는 상기 제2 설정 하중을 넘는 경우, 상기 제1 나사 부재의 슬립 토크의 절대값>상기 제2 나사 부재의 자립 토크인 것을 조건으로, 상기 제1 나사 부재와 상기 제2 나사 부재는 서로 일체가 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밸브 스프링 또는 체인의 반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어저스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주측에는 상기 제1 나사 부재와 나사 결합되는 제1 나사부와 상기 제2 나사 부재와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부가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어저스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주측에는 상기 제1 나사 부재 또는 상기 제2 나사 부재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축심을 포함하는 영역에는 원기둥부 또는 원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원기둥부 외주측 또는 상기 원통부 내주측에는 상기 제1 나사 부재 또는 상기 제2 나사 부재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나사 부재 또는 상기 제2 나사 부재 중 상기 하우징의 내주측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된 일방의 나사 부재가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타방의 나사 부재가 상기 일방의 나사 부재의 내측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어저스터.
KR1020097008868A 2006-12-28 2006-12-28 기계식 어저스터 KR1012646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6/326221 WO2008081534A1 (ja) 2006-12-28 2006-12-28 機械式アジャス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4236A KR20100014236A (ko) 2010-02-10
KR101264641B1 true KR101264641B1 (ko) 2013-05-24

Family

ID=39588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8868A KR101264641B1 (ko) 2006-12-28 2006-12-28 기계식 어저스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54468B2 (ko)
EP (1) EP2098692B1 (ko)
JP (1) JP4851541B2 (ko)
KR (1) KR101264641B1 (ko)
WO (1) WO20080815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3216A (ko) * 2016-06-17 2018-04-02 니탄 밸브 가부시키가이샤 동밸브 기구 및 기계식 래시 어저스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08003314T5 (de) * 2007-12-07 2010-10-21 NTN Corporation, Osaka-shi Spielausgleichsvorrichtung
DE112009000693T5 (de) * 2008-03-24 2011-03-24 NTN Corporation, Osaka-shi Spielausgleichsvorrichtung
JP2012219873A (ja) * 2011-04-06 2012-11-12 Enuma Chain Mfg Co Ltd オートテンショナ
US20140083829A1 (en) * 2012-09-27 2014-03-27 Trw Automotive U.S. Llc Actuator Assembly Having An External Plunger Sleeve
KR101923657B1 (ko) * 2017-01-12 2018-11-30 유신정밀공업 주식회사 체인 텐셔너
JP7177346B2 (ja) * 2018-11-12 2022-11-2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テンショナ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3510A (ja) 2004-03-24 2005-10-06 Ntn Corp バルブクリアランス自動調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21179A (en) 1955-10-10 1958-01-28 Eaton Mfg Co Mechanical lash adjuster
JPH031203U (ko) 1989-05-29 1991-01-09
JPH0744411B2 (ja) * 1990-06-11 1995-05-15 ローム株式会社 利得制御回路
JPH0444407U (ko) 1990-08-13 1992-04-15
JPH11324617A (ja) 1998-05-11 1999-11-26 Ntn Corp ダイレクト型動弁装置のバルブリフタ
JP2001124159A (ja) 1999-10-27 2001-05-08 Ntn Corp チェーンテンショナ
DE10056423A1 (de) * 2000-11-14 2002-05-29 Fev Motorentech Gmbh Mechanisches Ventilspielausgleichselement für einen Ventiltrieb an einer Kolbenbrennkraftmaschine
JP2005291153A (ja) 2004-04-02 2005-10-20 Ntn Corp アーム式動弁装置
JP2006336585A (ja) 2005-06-03 2006-12-14 Ntn Corp アーム式動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3510A (ja) 2004-03-24 2005-10-06 Ntn Corp バルブクリアランス自動調整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3216A (ko) * 2016-06-17 2018-04-02 니탄 밸브 가부시키가이샤 동밸브 기구 및 기계식 래시 어저스터
KR102035074B1 (ko) 2016-06-17 2019-10-22 니탄 밸브 가부시키가이샤 동밸브 기구 및 기계식 래시 어저스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54468B2 (en) 2011-06-07
EP2098692B1 (en) 2012-10-10
JPWO2008081534A1 (ja) 2010-04-30
EP2098692A4 (en) 2011-03-23
EP2098692A1 (en) 2009-09-09
KR20100014236A (ko) 2010-02-10
US20100050969A1 (en) 2010-03-04
JP4851541B2 (ja) 2012-01-11
WO2008081534A1 (ja) 200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4641B1 (ko) 기계식 어저스터
US9869379B2 (en) Tensioner with increased damping and arm on base cup configuration
JP4296718B2 (ja)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US20110005484A1 (en) Lash adjuster
US9004025B2 (en) Variable valve timing control apparatu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130291814A1 (en) Valve timing contro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895984B1 (ko) 기계식 래시 어저스터
JPWO2013161060A1 (ja) 内燃機関の動弁機構及び動弁機構の制御装置
JP4806301B2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2011127457A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JP4177425B2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の駆動機構
EP3473824B1 (en) Valvetrain and mechanical lash adjuster
JP2004076621A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JP6552777B2 (ja)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JP2009257304A (ja) ラッシュアジャスタ
WO2019088250A1 (ja)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JP2007154852A (ja) 動弁装置におけるラッシュアジャスタ
JPH0342275Y2 (ko)
JP2003227318A (ja) 動弁装置におけるラッシュアジャスタ
JP5189070B2 (ja) アクチュエータ及びこのアクチュエータが適用される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JP4094911B2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2005291153A (ja) アーム式動弁装置
JPH0521104U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US20160032788A1 (en) Variable valve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3227319A (ja) 動弁装置におけるラッシュアジャス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