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2107B1 - 차량의 턴시그널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턴시그널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2107B1
KR101262107B1 KR1020110127723A KR20110127723A KR101262107B1 KR 101262107 B1 KR101262107 B1 KR 101262107B1 KR 1020110127723 A KR1020110127723 A KR 1020110127723A KR 20110127723 A KR20110127723 A KR 20110127723A KR 101262107 B1 KR101262107 B1 KR 101262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turn
rotation
vehicle
turn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7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청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to KR1020110127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21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controlled by mechanically actuated switches
    • B60Q1/1453Hand actuated switches
    • B60Q1/1461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 B60Q1/1484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343Manually actuated switching arrange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H01H2025/045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having a rotating dial around the operating member for additional switching fun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3Avoiding erroneous swi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32Anti-tam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턴시그널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티어링 컬럼 외주면을 감싸는 컬럼 장착부가 형성된 하우징부와, 상기 컬럼 장착부의 일측에 회전축심을 중심으로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턴브래킷 본체와, 상기 턴브래킷 본체에 차량의 전후 방향 및 차량의 상하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 본체와, 상기 턴브래킷 본체에의 상기 레버 본체의 결합을 매개하면서, 상기 턴브래킷 본체의 차량의 전후 방향 및 차량의 상하 방향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결합 부재와, 상기 하우징부에 형성되고, 상기 턴브래킷 본체의 제1설정각도를 초과하여 전후 방향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과회전 방지부와, 상기 턴브래킷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레버 본체의 제2설정각도를 초과하여 전후 방향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레버 스토퍼부를 포함하여, 운전자의 과도한 조작력에 의한 접점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턴시그널 스위치 장치{Switch Apparatus for Turn-Signal of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턴시그널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에 의한 과도한 조작력에 대응하여 레버 본체의 휨 변형 및 작동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턴시그널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있어서의 턴시그널은, 차량의 좌회전 또는 우회전시 그 주행방향을 다른 차량에 알리는 신호나 방향지시등을 의미하고, 턴시그널 스위치 장치는 차량 진행방향에 맞춰 좌측 또는 우측 방향지시등을 점멸시켜주는 스위치로서, 스위치 레버의 정·역방향 조작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지시등이 점등된 후 스티어링 휠을 원위치로 되돌리면 점등된 방향지시등이 자동적으로 소등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턴시그널 스위치 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턴시그널 스위치 장치(1)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레버 본체(10)와, 상기 레버 본체(10)의 조작에 따라 각종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도록 미도시의 회로부 및 상기 레버 본체(10)가 설치되는 하우징부(30)와, 상기 하우징부(30)에의 상기 레버 본체(10)의 결합을 매개하는 결합 부재(15) 및 상기 결합 부재(15)가 결합되고, 상기 레버 본체(10)의 조작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30) 상의 회전축심(미도시)을 기준으로 회전되게 상기 레버 본체(10) 및 상기 하우징부(30)에 결합되는 턴브래킷 본체(20)를 포함한다.
상기 레버 본체(10)는, 복수개의 회전 조작 노브(도면부호 미표기)와, 길이방향으로 내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회전 조작 노브의 회전 조작에 의하여 각각 작동되는 복수개의 레버 암(도면부호 미표기)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레버 암의 일단부는 각각 레버 돌기(40,50)가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 부재(15) 측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회전 조작 노브의 각 조작에 따라 상기 레버 돌기(40,50)가 회전되면서 미도시의 접촉단자부를 각각 이동시켜 미도시의 기능 동작부의 동작을 위한 전기적인 신호를 각각 생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턴시그널 스위치 장치(1)는, 사용자가 상기 레버 본체(10)를 과도한 힘으로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조작할 경우, 상기 레버 본체(10)의 상기 레버 돌기(40,50)를 포함한 상기 결합 부재(15)에 의한 결합 부분이 장기적인 사용에 의한 휨 변형이 발생되어 종국에는 접점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레버 본체의 휨 변형 및 상기 레버 본체가 결합되는 각 부품들의 휨 변형 발생이 방지되어 접점 불량률을 감소시키는 차량의 턴브래킷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턴브래킷 스위치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스티어링 컬럼 외주면을 감싸는 컬럼 장착부가 형성된 하우징부와, 상기 컬럼 장착부의 일측에 회전축심을 중심으로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턴브래킷 본체와, 상기 턴브래킷 본체에 차량의 전후 방향 및 차량의 상하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 본체와, 상기 턴브래킷 본체에의 상기 레버 본체의 결합을 매개하면서, 상기 턴브래킷 본체의 차량의 전후 방향 및 차량의 상하 방향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결합 부재와, 상기 하우징부에 형성되고, 상기 턴브래킷 본체의 제1설정각도를 초과하여 전후 방향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과회전 방지부와, 상기 턴브래킷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레버 본체의 제2설정각도를 초과하여 전후 방향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레버 스토퍼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과회전 방지부는, 상기 턴브래킷 본체의 좌우 방향의 회전 경로에 상기 턴브래킷 본체와 간섭되게 돌출 형성된 회전방지 리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방지 리브는, 상기 턴브래킷 본체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상기 제1설정각도만큼 회전될 때, 상기 턴브래킷 본체의 좌측단부 일부와 간섭되게 형성된 좌측 리브와, 우측단부 일부와 간섭되게 형성된 우측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 본체는, 상기 레버 본체의 길이방향의 중공부에 설치된 복수개의 레버 암과, 상기 레버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에 의한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레버 암을 각각 연동시키는 복수개의 회전 조작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 스토퍼부는, 상기 제2설정각도만큼 상기 레버 본체가 회전시 상기 레버 암의 일단부와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 스토퍼부는, 상기 턴브래킷 본체가 사용자의 상기 레버 본체 조작에 의하여 상기 좌측단부 또는 우측단부 일부가 상기 좌측 리브 또는 상기 우측 리브에 간섭된 후, 소정의 조작력이 부가되면 상기 레버 암의 일단부와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 스토퍼부는, 상기 턴브래킷 본체가 사용자의 상기 레버 본체 조작에 의하여 상기 좌측단부 또는 상기 우측단부 일부가 상기 좌측 리브 또는 상기 우측 리브에 간섭될 때, 상기 레버 암과 소정거리 이격되었다가 사용자에 의하여 소정의 조작력이 더 부가되면 상기 레버 암의 일단부와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턴브래킷 스위치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레버 돌기가 안착되는 결합 부재에 레버 스토퍼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 과다한 조작력으로 레버 본체를 조작하더라도 결합되는 각 부품들간 휨 변형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턴브래킷 스위치 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턴브래킷 스위치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턴브래킷 스위치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턴브래킷 스위치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턴브래킷 스위치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턴브래킷 스위치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턴시그널 스위치 장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운전석 전방에 주행 중 차량의 운행 조작을 위하여 설치된 스티어링 휠(미도시)의 회전축이 되는 스티어링 컬럼(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스티어링 컬럼은 상기 운전석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스티어링 컬럼은 차량의 주행 중에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고, 운전자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일측에 구비된 스위치 레버를 조작하여 좌 또는 우 방향지시등을 점등시켜 선회를 완성하면 자동으로 본래의 위치로 복원 회전되면서 상기 스위치 레버(이하, 레버 본체(110)라 칭함)를 본래의 위치로 복원시키게 된다.
이처럼, 작동된 상태의 상기 레버 본체(110)를 본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스위치의 종류를 본 발명에서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의 턴시그널 스위치 장치(100)라 널리 일컫는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턴시그널 스위치 장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기 스티어링 컬럼 외주면을 감싸는 컬럼 장착부(135)가 형성된 하우징부(1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컬럼 장착부(135)는 일종의 홀 형상으로써 상기 스티어링 컬럼이 상기 컬럼 장착부(135)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컬럼 장착부(135) 일측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티어링 휠의 선회 동작 완성에 의하여 상기 레버 본체(110)를 본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기능을 하는 턴브래킷 본체(120)가 공간부(131)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기 컬럼 장착부(135)의 일측에 회전축심(미도시)을 중심으로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턴브래킷 본체(1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턴브래킷 본체(120)는 상기 하우징부(130) 상에 형성된 미도시의 힌지 결합부로 이루어진 회전축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스티어링 컬럼의 회전량에 따라 연동되는 미도시의 연동링크에 의하여 본래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스티어링 컬럼이 설정각도 이상 회전하였다가 다시 운전자의 외력이 제거되어 본래의 위치로 복원될 때 다른 설정각도 이상 회전하게 되면 상기 연동링크가 상기 턴브래킷 본체(120)를 본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도록 작동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턴시그널 스위치 장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운전자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상기 턴브래킷 본체(120)에 차량의 전후 방향 및 차량의 상하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 본체(110)와, 상기 턴브래킷 본체(120)에의 상기 레버 본체(110)의 결합을 매개하는 결합 부재(115)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결합 부재(115)는, 상기 턴브래킷 본체(120)에 상기 레버 본체(110)를 차량의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턴브래킷 본체(120)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이에 연결된 상기 레버 본체(110)를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여기서, 운전자가 상기 레버 본체(110)를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킬 때에는, 상기 결합 부재(115)를 매개로 상기 턴브래킷 본체(120)를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소정의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발생되는 전기적인 신호는 차량의 방향지시등의 좌우 방향 점멸을 위한 신호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레버 본체(110)는, 상기 레버 본체(11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중공부에 설치된 복수개의 레버 암(미도시)과, 상기 레버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에 의한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레버 암을 각각 연동시키는 복수개의 회전 조작 노브(110A,110B)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레버 암의 일단부는 상기 회전 조작 노브(110A,110B)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개의 레버 암의 타단부는 상기 턴브래킷 본체(120)에 형성된 설치부(121)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설치부(121)에는 후술하는 접촉단자부(170)에 끼움되어 상기 복수개의 레버 암이 각각 연동할 때 상기 접촉단자부(170)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복수개의 레버 암 각각에 형성된 레버 돌기(140,150)가 배치된다.
운전자가 상기 레버 본체(110)를 차량의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킬 때에는, 상기 결합 부재(115)가 상기 턴브래킷 본체(120)에 결합된 부위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되면서 상기 턴브래킷 본체(120)의 설치부(121)에 상기 복수개의 레버 암의 레버 돌기(140,150)가 배치되어 상기 회전 조작 노브(110A,110B)의 회전 조작에 따라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기 하우징부(130)에 형성되고, 상기 턴브래킷 본체(120)의 제1설정각도를 초과하여 전후 방향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과회전 방지부(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회전 방지부(133)는, 상기 턴브래킷 본체(120)의 좌우 방향의 회전 경로 상에 형성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설정각도를 초과하여 상기 턴브래킷 본체(12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과회전 방지부(133)는, 상기 하우징부(130)에 상기 회전축심을 중심으로 상기 턴브래킷 본체(120)가 회전되도록 구비된 소정의 공간 상에서, 도면상 좌우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는 상기 턴브래킷 본체(120)의 좌측단부 또는 우측단부 일부와 간섭되도록 상부로 돌출 형성된 회전방지 리브(133)일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 리브(133)는, 상기 턴브래킷 본체(12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상기 제1설정각도만큼 회전될 때, 상기 턴브래킷 본체(120)의 좌측단부 일부와 간섭되게 형성된 좌측 리브 및 우측단부 일부와 간섭되게 형성된 우측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측 리브 및 상기 우측 리브를 총칭하여 상기 회전방지 리브(133)라 칭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턴시그널 스위치 장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기 턴브래킷 본체(120)에 형성되고, 상기 레버 본체(110)가 제2설정각도를 초과하여 전후 방향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레버 스토퍼부(127)를 더 포함한다.
상기 레버 스토퍼부(127)는, 상기 제2설정각도만큼 상기 레버 본체(110)가 회전시 상기 레버 암의 일단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턴브래킷 본체(120)에 구비된다.
상기 레버 스토퍼부(127)는, 상기 턴브래킷 본체(120)가 사용자(운전자)의 상기 레버 본체(110) 조작에 의하여 상기 턴브래킷 본체(120)의 상기 좌측단부 또는 우측단부 일부가 상기 좌측 리브 또는 상기 우측 리브에 간섭된 후, 소정의 조작력이 더 부가되면 상기 레버 돌기(140,150)의 일단부와 접촉되도록 구비된다.
이는, 종래 상기 결합 부재(115)에 상기 레버 돌기(40,50)가 배치되는 상기 설치부(121)와 상기 레버 돌기(40,50) 사이의 갭(도 1의 도면부호 G1 참조)이 커서, 운전자가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상기 레버 본체(110)를 회동 조작함에 있어서 상기 레버 본체(110)에 과도한 힘을 가한 경우, 상기 턴브래킷 본체(120)는 상기 과회전 방지부(133)에 의하여 제1설정각도만큼 회전하다가 그 회전이 제한되게 되는데, 상기 과회전 방지부(133)에 상기 턴브래킷 본체(120)가 간섭된 상태에서 운전자의 조작력이 더 부가되게 되면 상기 갭(G1)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상기 레버 본체(110)가 조작되어 결국에는 상기 레버 본체(110)의 결합 부분에 휨 변형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현상이 작은 횟수일 때는 문제가 없으나, 장시간 반복될 경우에는, 상기 레버 본체(110)의 결합 부분에 관여하는 모든 부품에 발생된 휨 변형에 의하여 상기 레버 돌기에 의하여 이동하는 접촉단자부(170)의 접점불량 현상으로 이어지고, 이는 운전자가 원하는 전기적인 신호의 생성 불량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레버 스토퍼부(127)를 상기 설치부(121)와 상기 레버 돌기(140,150) 사이의 종래 갭(G1)보다는 훨씬 줄어들도록(보다 상세하게는, 도 4의 도면부호 G2 참조) 형성한다. 종래 상기 레버 스토퍼부(127)는 상기 레버 돌기(40,50)와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아니어서 그 기능상 스토퍼라 하기에는 무리가 있었고, 오히려 상기 레버 돌기(40,50)가 배치되는 설치부(121)의 기능이 더 컸었다.
상기 갭(G2)의 크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운전자로 하여금 조작된 상기 레버 본체(110)에 의하여 상기 턴브래킷 본체(120)가 상기 과회전 방지부(133)에 의하여 그 회전이 제한될 때 부여된 조작력보다 더 큰 조작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레버 돌기가 상기 레버 스토퍼부에 접촉되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갭(G2)의 크기가 너무 클 경우 상기 레버 스토퍼부(127)의 기능이 유명무실해질 우려가 있고, 또한, 상기 결합 부재(115)에 대한 상기 레버 본체(110)의 결합 관련 부품의 휨 변형 방지 기능이 상실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미설명 도면부호 160은 상기 접촉단자부(170)가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 브래킷(160)이고, 미설명 도면부호 180은 상기 가이드 브래킷(160)의 안내를 받아 상기 접촉단자부(170)가 이동되면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도록 하는 터미널 본체(180)이며, 미설명 도면부호 190은 상기 레버 돌기(140,150)와, 상기 결합 부재(115)와, 상기 턴브래킷 본체(120) 등 상기 하우징부(130)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을 보호하는 보호 커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턴시그널 스위치 장치(1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전자가 차량 주행을 좌측으로 선회하고자 할 경우에 미리 상기 레버 본체(110)를 차량의 전방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레버 본체(110)는 차량의 전방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결합 부재(115)에 의하여 상기 턴브래킷 본체(120)를 상기 회전축심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상기 하우징부(130) 내부에서 고정된다.
이때, 운전자가 일반적인 조작력으로 상기 레버 본체(110)를 회동 조작할 경우, 상기 턴브래킷 본체(120)는, 상기 과회전 방지부(133) 중 우측 리브에 의하여 제1설정각도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회동되게 된다.
그러나, 운전자가 상기 턴브래킷 본체(120)가 상기 우측 리브에 의하여 그 회전이 제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더 큰 조작력으로 상기 레버 본체(110)를 조작할 경우, 상기 레버 돌기(140,150)가 상기 턴브래킷 본체(120)의 설치부(121)에 형성된 상기 레버 스토퍼부(127)에 의하여 그 회전이 제한되면서 상기 레버 본체(110)의 결합 부분에 대한 휨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턴시그널 스위치 장치(100)는, 상기 레버 스토퍼부(127)에 의하여 상기 레버 본체(110)의 결합 부분에 대한 휨 변형이 방지되는 결과, 접점 불량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턴시그널 스위치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턴시그널 스위치 장치 110: 레버 본체
115: 결합 부재 120: 턴브래킷 본체
130: 하우징부 140,150: 레버 돌기
160: 가이드 브래킷 170; 접촉단자부
180: 터미널 본체 190: 보호 커버

Claims (6)

  1. 스티어링 컬럼 외주면을 감싸는 컬럼 장착부가 형성된 하우징부와;
    상기 컬럼 장착부의 일측에 회전축심을 중심으로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턴브래킷 본체와;
    상기 턴브래킷 본체에 차량의 전후 방향 및 차량의 상하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 본체와;
    상기 턴브래킷 본체에의 상기 레버 본체의 결합을 매개하면서, 상기 턴브래킷 본체의 차량의 전후 방향 및 차량의 상하 방향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결합 부재와;
    상기 하우징부에 형성되고, 상기 턴브래킷 본체의 제1설정각도를 초과하여 전후 방향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과회전 방지부와;
    상기 턴브래킷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레버 본체의 제2설정각도를 초과하여 전후 방향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레버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턴시그널 스위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과회전 방지부는,
    상기 턴브래킷 본체의 좌우 방향의 회전 경로에 상기 턴브래킷 본체와 간섭되게 돌출 형성된 회전방지 리브인 차량의 턴시그널 스위치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 리브는,
    상기 턴브래킷 본체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상기 제1설정각도만큼 회전될 때, 상기 턴브래킷 본체의 좌측단부 일부와 간섭되게 형성된 좌측 리브와, 우측단부 일부와 간섭되게 형성된 우측 리브를 포함하는 차량의 턴시그널 스위치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레버 본체는,
    상기 레버 본체의 길이방향의 중공부에 설치된 복수개의 레버 암과;
    상기 레버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에 의한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레버 암을 각각 연동시키는 복수개의 회전 조작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 스토퍼부는, 상기 제2설정각도만큼 상기 레버 본체가 회전시 상기 레버 암의 일단부와 접촉되도록 구비된 차량의 턴시그널 스위치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레버 스토퍼부는,
    상기 턴브래킷 본체가 사용자의 상기 레버 본체 조작에 의하여 상기 좌측단부 또는 우측단부 일부가 상기 좌측 리브 또는 상기 우측 리브에 간섭된 후, 소정의 조작력이 부가되면 상기 레버 암의 일단부와 접촉되도록 구비된 차량의 턴시그널 스위치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레버 스토퍼부는,
    상기 턴브래킷 본체가 사용자의 상기 레버 본체 조작에 의하여 상기 좌측단부 또는 상기 우측단부 일부가 상기 좌측 리브 또는 상기 우측 리브에 간섭될 때, 상기 레버 암과 소정거리 이격되었다가 사용자에 의하여 소정의 조작력이 더 부가되면 상기 레버 암의 일단부와 접촉되도록 구비된 차량의 턴시그널 스위치 장치.
KR1020110127723A 2011-12-01 2011-12-01 차량의 턴시그널 스위치 장치 KR101262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723A KR101262107B1 (ko) 2011-12-01 2011-12-01 차량의 턴시그널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723A KR101262107B1 (ko) 2011-12-01 2011-12-01 차량의 턴시그널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2107B1 true KR101262107B1 (ko) 2013-05-14

Family

ID=48665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723A KR101262107B1 (ko) 2011-12-01 2011-12-01 차량의 턴시그널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210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01713B1 (fr) Dispositif de commandes à molette
KR100832753B1 (ko)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리모컨장치
JP2011216367A (ja) レバー・スイッチ装置
US4191866A (en) Three-function switch for a motorcycle
KR101373972B1 (ko) 차량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KR101262107B1 (ko) 차량의 턴시그널 스위치 장치
JP2001138805A (ja) ターンシグナルのキャンセル装置
JP2017224548A (ja) レバー操作装置
KR101986125B1 (ko)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KR101148515B1 (ko) 회로 유닛 장치
KR100776588B1 (ko)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장치
JP2013173466A (ja) 旋回方向指示装置
KR100862001B1 (ko) 와이퍼 스위치
KR200470878Y1 (ko) 차량용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KR101181636B1 (ko) 차량용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JP6364226B2 (ja) 回路遮断器又は開閉器における接点構造
JPH10321333A (ja) 回転コネクタの取付け構造
JP2019003372A (ja) ボタン装置
JP2017114227A (ja) 旋回方向指示装置
JP2004237826A (ja)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のキャンセル装置
KR20180042026A (ko) 차량용 레버 스위치
JP2005153777A (ja) 車両用方向指示装置
KR101359003B1 (ko) 차량의 레버 스위치 어셈블리
JP4481784B2 (ja)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装置
JP6376092B2 (ja) 車両用ペダ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