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8706B1 - 공작 기계의 텔레스코픽 커버 - Google Patents

공작 기계의 텔레스코픽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8706B1
KR101258706B1 KR1020060068244A KR20060068244A KR101258706B1 KR 101258706 B1 KR101258706 B1 KR 101258706B1 KR 1020060068244 A KR1020060068244 A KR 1020060068244A KR 20060068244 A KR20060068244 A KR 20060068244A KR 101258706 B1 KR101258706 B1 KR 101258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ody
pair
inner cover
outer cover
machine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8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2246A (ko
Inventor
후미오 가메야마
가즈히로 다까다
Original Assignee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12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2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23Q1/26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relating to the co-operation of relatively movable members; 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of such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 B23Q11/0825Relatively slidable coverings, e.g. telescop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대 이동 가능하게 내외에 중합하고, 또한 상대 이동에 의해 신축할 수 있는 복수의 커버체(26A, 27A)를 구비한 공작 기계의 좌측 텔레스코픽 커버(25A)에 있어서, 텔레스코픽 커버를 구성하는 복수의 커버체의 지지 구조를 간단화하고, 텔레스코픽 커버를 구성하는 각 커버체의 전체를 유효 활용하기 위해 외측 커버체(26A)의 제1, 제2 양 측벽부에 X 방향(신축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안내 부재(31A)를 설치하고, 내측 커버체(27A)의 제1, 제2 측벽부에 그 외측 커버체(26A)측 기단부로부터 외측 커버체(26A) 쪽으로 신축 방향과 평행하게 돌출되는 한 쌍의 피안내 부재(34A)를 설치하고 있고, 이들 한 쌍의 피안내 부재(34A)가 한 쌍의 안내 부재(31A)에 각각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다.
커버체, 피안내 부재, 가동 테이블, 컬럼, 베이스체, 구동 모터

Description

공작 기계의 텔레스코픽 커버{A TELESCOPIC COVER FOR A MACHINE TOOL}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공작 기구의 개략 사시도.
도2는 가동 테이블과 텔레스코픽 커버의 평면도.
도3은 중간 테이블과 가동 테이블과 텔레스코픽 커버의 정면도.
도4는 도2의 D-D선 종단 단면도.
도5는 도3의 E-E선 종단 정면도.
도6은 중간 테이블과 X 방향 구동 기구의 부분 확대도.
도7은 외측 커버체와 내측 커버체의 수축 상태의 주요부 종단 정면도.
도8은 외측 커버체와 내측 커버체의 신장 상태의 주요부 종단 정면도.
도9는 신장 상태의 좌측 텔레스코픽 커버의 사시도.
도10은 외측 커버체의 평면도.
도11은 도10의 H 화살표도.
도12는 도10의 I-I선 종단 측면도.
도13은 내측 커버체의 평면도.
도14는 도13의 N-N선 종단 측면도.
도15는 도7의 부분 확대 정면도.
도16은 중간 테이블과 가동 테이블과 텔레스코픽 커버의 정면도.
도17은 중간 테이블과 가동 테이블과 텔레스코픽 커버의 정면도.
도18은 도7의 R-R선 종단 측면도.
도19는 변경 형태에 관한 도9의 상당도.
도20은 변경 형태에 관한 도9의 상당도.
도21은 도20의 주요부 종단 측면도.
도22는 변경 형태에 관한 구성을 간략화한 도18의 우측 하부 부분의 상당도.
도23은 변경 형태에 관한 구성을 간략화한 도18의 우측 하부 부분의 상당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작 기계
2 : 받침대 베이스체
3 : 컬럼
5 : Y 방향 구동 기구
10 : Y 방향 가이드 레일
11 : 중간 테이블
12 : Y 방향 구동 모터
13 : Y 방향 볼 나사
14 : 커플링
16 : X 방향 볼 나사
20 : 커플링
22 : 가동 테이블
31A : 안내 부재
34A : 피안내 부재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2042호 공보
본 발명은 상대 이동에 의해 신축 가능한 복수의 커버체를 구비하고, 공작 기계에 설치한 가동 테이블을 구동하는 구동 기구의 상측을 덮는 텔레스코픽 커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작 기계는 절삭 가공에 이용하는 공작편을 위치 결정 적재하는 새들이나 테이블이 X 방향과 Y 방향으로 독립적으로 구동하고, 컬럼에 지지한 주축 헤드에 장착한 절삭 공구에 의해 공작편에 절삭 가공을 실시한다. 이와 같은 공작 기계에서는, 이들 새들이나 테이블의 구동 기구를 절삭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구동 기구의 상측을 텔레스코픽 커버가 덮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년 제22042호 공보에 기재된 텔레스코픽 커버는, 제1 실시예에서는 테이블을 X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의 볼 나사나 가이드 레일의 상측을 테이블의 좌우 양측에 설치한 제1 커버 집성체 및 제2 커버 집성체로 항상 덮고 있다. 이 텔레스코픽 커버가 볼 나사나 가이드 레일에 절삭칩이 인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 경우, 이들 제1 커버 집성체 및 제2 커버 집성체의 각각은 제1 커버 부재 및 제2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테이블의 하면에 제1 커버 부재를 설치하고, 이들 제1 커버 부재가 제2 커버 부재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한 쌍의 제2 커버 부재끼리가 내측 단부에 있어서 2개의 연결봉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2 커버 부재는 기울어지지 않는다.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설치한 제1 커버 집성체 및 제2 커버 집성체의 각각은 제1 커버 부재 및 제2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테이블의 하면에 제1 커버 부재를 부착하고, 이들 제1 커버 부재가 제2 커버 부재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한 쌍의 제1 커버 부재의 외측의 정지 부재를 외측단부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내측으로 인입한 위치에 설치하고 있다.
즉, 제1 커버 부재와 제2 커버 부재가 소정 거리만큼 중복되어 있다. 그로 인해, 제2 커버 부재가 제1 커버 부재로부터 외측으로 최대한으로 돌출된 경우라도, 소정 거리의 중복부에 의해 제1 커버 부재의 외측 부분이 제2 커버 부재를 지지한다.
종래의 텔레스코픽 커버에서는, 테이블이 이동할 때에 제1 커버 부재를 거쳐서 제2 커버 부재를 이동시키는 경우, 연결된 2매분의 제2 커버 부재가 동시에 이동한다. 따라서, 제2 커버 부재의 이동 부하가 커져, 테이블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가 대형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제2 커버 부재가 제1 커버 부재로부터 외측으로 최대한으로 돌출된 경 우, 소정 거리의 중복부에 의해 제2 커버 부재를 제1 커버 부재의 외측 부분으로 지지하고 있다. 그로 인해, 제2 커버 부재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효과적으로 커버 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것, 제2 커버 부재의 길이 치수가 중복 부분의 치수에 따라서 대형화되어야만 하므로, 제2 커버 부재가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것 등의 문제가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에 따르면, 상대 이동 가능하게 내외에 중합하고, 또한 상대 이동에 의해 신축할 수 있도록 조합한 복수의 커버체를 구비한 공작 기계의 텔레스코픽 커버에 있어서, 내외에 인접하는 각 세트의 커버체는 외측 커버체의 양 측벽부에 신축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안내 부재를 설치하는 동시에, 내측 커버체의 측벽부의 외측 커버체측 기단부로부터 외측 커버체 쪽으로 신축 방향과 평행하게 돌출되어 한 쌍의 안내 부재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각각 결합된 한 쌍의 피안내 부재를 설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내측 커버체는 이들 한 쌍의 안내 부재와 한 쌍의 피안내 부재와의 결합을 거쳐서 외측 커버체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내외에 중합하고, 그와 같이 상대 이동에 의해 신축한다.
내측 커버체가 최대한으로 외측 커버체에 중합된 경우에는, 내측 커버체의 피안내 부재가 외측 커버체와 반대측이며, 공작 기계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피안내 부재의 수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내측 커버체를 최대한으로 외측 커버체로부터 인출한 경우라도, 한 쌍의 안내 부재와 한 쌍의 피안내 부재와의 결합에 의해 내측 커버체의 외측 커버체에 대한 지지성을 높일 수 있다.
그로 인해, 외측 커버체가 내측 커버체를 지지하는 지지 구조의 간단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텔레스코픽 커버를 구성하는 외측 커버체와 내측 커버체 전체의 유효 활용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의 발명에 따르면, 안내 부재는 피안내 부재의 상방 이동과 하방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하였다. 이에 의해, 외측 커버체에 대한 내측 커버체의 상하 방향의 진동이나 요동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내측 커버체의 자세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따르면, 커버 내부로의 절삭 가루 등의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따르면, 피안내 부재는 적어도 내측 커버체의 신축 방향 길이의 1/2 이상의 길이를 갖는다. 이에 의해, 내측 커버체를 최대한으로 외측 커버체로부터 인출한 경우라도, 피안내 부재가 안내 부재에 결합하는 결합 거리가 내측 커버체를 지지하는 데 충분한 거리이므로, 내측 커버체의 외측 커버체에 대한 지지성이나 자세 보유 지지성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따르면, 공작 기계의 가동 테이블의 양측에 대칭으로 텔레스코픽 커버를 장비하고, 가동 테이블이 중앙의 중립 위치에 있을 때, 가동 테이블의 양측의 서로 대향하는 텔레스코픽 커버의 서로 대향하는 각 쌍의 피안내 부재의 자유단부끼리가 간섭하지 않도록 피안내 부재의 외측 커버체측으로의 돌출 길이를 설정하였다. 이에 의해, 가동 테이블이 중앙으로부터 좌우 방향의 어느 쪽으로 이동한 경우에도, 가동 테이블의 양측의 서로 대향하는 텔레스코픽 커버의 서로 대 향하는 각 쌍의 피안내 부재의 자유단부끼리의 간섭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 따르면, 외측 커버체의 내측 커버체측 선단부 근방부와 내측 커버체의 외측 커버체측 기단부 근방부에 내측 커버체의 외측 커버체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계지 기구를 설치하였다. 이에 의해, 가동 테이블의 이동시에 내측 커버체가 외측 커버체로부터 인출된 경우라도, 계지 기구에 의해 내측 커버체의 외측 커버체로부터의 탈락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에 따르면, 외측 커버체의 내측 커버체측 선단부에 내측 커버체의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레이퍼를 설치하였다. 이에 의해, 가동 테이블의 이동에 수반하여 내측 커버체가 외측 커버체의 내측에 수납된 경우에, 외측 커버체에 설치한 스크레이퍼에 의해 내측 커버체의 표면에 부착된 절삭칩 등의 이물질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공작 기계의 텔레스코픽 커버는 상대 이동 가능하게 내외에 중합하고 또한 상대 이동에 의해 신축할 수 있도록 조합한 복수의 커버체를 설치한 공작 기계의 텔레스코픽 커버에 있어서, 내외에 인접하는 각 세트의 커버체는 외측 커버체의 양 측벽부에 한 쌍의 안내 부재를 설치하는 동시에, 그 한 쌍의 안내 부재에 결합하는 한 쌍의 피안내 부재를 내측 커버체의 외측 커버체 기단부로부터 외측 커버체 쪽으로 외팔보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설치하고 있다.
일반적인 종형 머시닝 센터인 공작 기계(1)에 대해 설명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대 베이스체(2)는 그 후방측에 기립 설치한 컬럼(3)을 구비하고 있다. 받침대 베이스체(2)는 컬럼(3)보다도 전방측에 가동 테이블(22)을 Y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 방향 구동 기구(5)와, 가동 테이블(22)을 Y 방향과 직교하는 X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 방향 구동 기구(6)를 구비하고 있다.
우선, 가동 테이블(22)을 지지한 중간 테이블(11)을 Y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 방향 구동 기구(5)에 대해 설명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대 베이스체(2) 상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Y 방향 가이드 레일(10)이 구비되어 있다. 이들 Y 방향 가이드 레일(10)은 그 위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 테이블(11)을 Y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받침대 베이스체(2)는 그 후방측에 Y 방향 구동 모터(12)를 고정하고, Y 방향 구동 모터(12)의 구동축(12a)은 전후 방향 배향으로 배치한 Y 방향 볼 나사(13)의 후단부와 커플링(14)을 거쳐서 연결되어 있다.
중간 테이블(11)의 하측에 고착한 너트 홀더(도시 생략)는 Y 방향 볼 나사(13)와 외부 끼움되어 있다. 그로 인해, Y 방향 구동 모터(12)가 회전 구동하면, Y 방향 볼 나사(13)의 회전에 의해 너트 홀더를 거쳐서 중간 테이블(11)이 Y 방향 가이드 레일(10)로 유도되면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도시를 생략하지만, 받침대 베이스체(2)에 설치한 컬럼(3)은 상하 이동 가능한 주축 헤드를 지지하고 있다. 단, 이 공작 기계(1)는 주축 헤드에 장착하는 복수의 공구를 필요에 따라서 택일적으로 절환하는 공구 교환 장치를 구비하고 있지만, 도시를 생략하는 동시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가동 테이블(22)을 X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 방향 구동 기구(6)에 대해 설명한다. 도1, 도4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을 갖는 베어링 부 재(17, 18)가 중간 테이블(11)의 바로 상측에 좌우 방향에 배치한 X 방향 볼 나사(16)의 좌우 양단부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중간 테이블(11)은 그 우단부 상에 X 방향 구동 모터(19)를 구비하고 있다. X 방향 구동 모터(19)의 구동축은 X 방향 볼 나사(16)의 우단부와 커플링(20)으로 연결되어 있다.
중간 테이블(11) 상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한 쌍의 X 방향 가이드 레일(21)이 구비되어 있다. 이들 X 방향 가이드 레일(21)은 그 위에 좌우 방향으로 긴 가동 테이블(22)을 X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적재하고 있다. 가동 테이블(22)의 하측에 고착한 너트 홀더(23)는 X 방향 볼 나사(16)와 외부 끼움되어 있다.
그로 인해, X 방향 구동 모터(19)가 회전 구동하면, X 방향 볼 나사(16)의 회전에 의해 너트 홀더(23)를 거쳐서 가동 테이블(22)이 X 방향 가이드 레일(21)로 유도되면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동하는 가동 테이블(22) 상에 지지 고정된 공작편(도시 생략)을 주축 헤드가 절삭 가공한다.
다음에, 가동 테이블(22)에 연결된 좌우 한 쌍의 텔레스코픽 커버(25A, 25B)에 대해 설명한다. X 방향 구동 기구(6)는 그 상측의 가동 테이블(22)의 좌측을 덮는 좌측 텔레스코픽 커버(25A)와, 가동 테이블(22)의 우측을 덮는 우측 텔레스코픽 커버(25B)를 구비하고 있다.
좌우 한 쌍의 텔레스코픽 커버(25A, 25B)는 가동 테이블(22)에 대해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고, 동일한 구조이다. 따라서, 가동 테이블(22)의 좌측에 설치한 좌측 텔레스코픽 커버(25A)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고, 우측 텔레스코픽 커버(25B)의 구조에 대해서는 좌측 텔레스코픽 커버(25A)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2 내지 도4,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텔레스코픽 커버(25A)는 외측 커버체(26A)와 내측 커버체(27A)를 갖고 있다. 이들 2개의 커버체(26A, 27A)는 상대 이동 가능하게 내외에 중합하고, 또한 상대 이동에 의해 신축할 수 있다.
우선, 외측 커버체(26A)에 대해 설명한다. 도7 내지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커버체(26A)는 하측과 좌단부를 각각 개방한 단면 대략 역U자형이고,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벽부(26a)는 그 상면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 전후 방향 배향의 연결판(28A)을 구비하고 있다. 이 연결판(28A)은 가동 테이블(22)의 좌단부와 볼트(도시 생략)에 의해 고정하고 있다. 그로 인해, 외측 커버체(26A)는 가동 테이블(22)과 일체로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벽부(26a)와 제1 측벽부(26c) 및 제2 측벽부(26d)의 좌단부는 경질 고무로 된 스크레이퍼(29A)를 각각 그 전체폭에 걸쳐서 구비하고 있다. 도10 내지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벽판(26b)은 전후 한 쌍의 X 방향 가이드 레일(21)에 접촉하는 대략 L자형의 한 쌍의 가이드판(30A)을 각각 고착하여 구비하고 있다. 이들 한 쌍의 가이드판(30A)은 대응하는 X 방향 가이드 레일(21)의 상면과 내면에 각각 접촉하고 있으므로, X 방향 가이드 레일(21)이 외측 커버체(26A)의 우단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그 전후 방향으로의 덜걱거림을 방지한다.
외측 커버체(26A)는 도11,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제1 측벽부(26c), 제2 측벽부(26d)의 하단부이며, 각각 내측에 수평 형상으로 굽힘 형성된 수평부의 하 측에 안내 부재(31A)를 X 방향(이것이 신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에 상당함) 배향으로 일체적으로 고착하여 구비하고 있다. 안내 부재(31A)는 소정 길이를 갖고, 단면 대략 U자 모양을 이루고 있다. 단, 이들 좌우 한 쌍의 안내 부재(31A)는 각각 경질의 합성 수지로 되어 있다.
다음에, 내측 커버체(27A)에 대해 설명한다. 도7 내지 도9, 도13,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커버체(27A)는 하측과 우단부를 각각 개방한 단면 대략 역U자형이고,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우측 벽판(27b)은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한 쌍의 X 방향 가이드 레일(21)에 접촉하는 대략 L자형의 가이드판(33A)을 각각 고착하여 구비하고 있다. 이들 한 쌍의 가이드판(33A)은 대응하는 X 방향 가이드 레일(21)의 상면과 내면에 각각 접촉하고 있으므로, 내측 커버체(27A)의 우단부를 X 방향 가이드 레일(21)로 지지하는 동시에, 그 전후 방향으로의 덜걱거림을 방지하고 있다.
내측 커버체(27A)는 도8, 도9, 도13 내지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안내 부재(34A)의 좌단부를 제1 측벽부(27c), 제2 측벽부(27d)의 하단부의 내면에 각각 고정하여 구비하고 있다. 피안내 부재(34A)는 한 쌍으로, 제1 측벽부(27c) 및 제2 측벽부(27d)의 외측 커버체(26A)측 기단부로부터 외측 커버체(26A) 쪽으로 X 방향(이것이 신축 방향에 상당함)과 평행하게 소정 길이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피안내 부재(34A)는 각각 금속제이다.
각 피안내 부재(34A)의 대략 하반부 부분은 대략 U자 형상으로 굽힘 형성된 수평 지지부(34a)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도7 내지 도9,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커버체(27A)를 외측 커버체(26A)에 조합한 경우, 각 피안내 부재(34A)의 수평 지지부(34a)가 대응하는 안내 부재(31A)의 결합 오목부(31a)에 각각 끼운다. 그로 인해, 각 수평 지지부(34a)가 결합 오목부(31a)와 결합함으로써, 안내 부재(31A)가 상방 이동과 하방 이동 및 전후 방향의 이동을 각각 규제한다. 즉, 외측 커버체(26A)에 대한 내측 커버체(27A)의 상하 방향, 전후 방향의 진동이나 요동을 방지한다.
다음에, 외측 커버체(26A)의 내측 커버체(27A)측 선단부 근방부와 내측 커버체(27A)의 외측 커버체(26A)측 기단부 근방부에 구비되고, 내측 커버체(27A)의 외측 커버체(26A)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좌측 계지 기구(36A)에 대해 설명한다.
도7, 도8,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커버체(26A)는 그 상벽부(26a)의 좌단부에 전술한 경질 고무제의 스크레이퍼(29A)를 구비하고 있다. 내측 커버체(27A)는 그 우측 벽판(27b)의 내면에 경질의 쿠션 고무(37A)를 나사(38A)로 고정하여 구비하고 있다. 단, 이 쿠션 고무(37A)의 상단부는 내측 커버체(27A)의 상벽부(27a)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로 인해,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커버체(27A)가 외측 커버체(26A)로부터 좌측으로 크게 인출된 경우에도, 외측 커버체(26A)의 스크레이퍼(29A)와 내측 커버체(27A)의 쿠션 고무(37A)가 확실히 접촉하므로, 내측 커버체(27A)가 외측 커버체(26A)로부터 빠지는 일은 없다. 즉, 탈락하지 않는다.
여기서, 우측 벽판(27b)은 그 외면의 상부에, 판 부재로 이루어지고 외측 커버체(26A)의 상벽부(26a)에 하측으로부터 접촉하는 합성 수지제의 지지판(39A)을 전후 한 쌍 구비하고, 각각 나사(40A)로 우측 벽판(27b)에 고정하고 있다. 이로 인해, 내측 커버체(27A)가 외측 커버체(26A)에 대해 신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는 경우라도 그 지지판(39A)에 의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커버체(27A)는 그 우측 벽판(27b)의 외면에 고무 등의 쿠션재(41A)를 고착하여 구비하고 있다. 그로 인해, 도4,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커버체(27A)의 대부분이 외측 커버체(26A)의 내측으로 인입하여 중합된 경우라도, 쿠션재(41A)가 내측 커버체(27A)의 우측 벽판(27b)과 외측 커버체(26A)의 우측 벽판(26b)과의 충돌을 완화시킨다.
도4,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X 방향 가이드 레일(21)은 그 좌단부에 L자 형상으로 굽힘 형성된 좌측 브래킷(43A)의 수평 벽부(43a)를 나사 고정하여 구비하고 있다. 좌측 브래킷(43A)의 연직 벽부(43b)는 그 상단부에 한 쌍의 좌측 스토퍼(44A)를 고착하여 구비하고 있다. 그래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브래킷(43A)의 연직 벽부(43b)가 내측 커버체(27A)의 좌측 벽판(27e)보다도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로 인해,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커버체(27A)가 우측으로 이동한 경우, 좌측 스토퍼(44A)가 내측 커버체(27A)의 좌측 벽판(27e)에 우측으로부터 접촉하여 내측 커버체(27A)의 우측 한계 위치를 규제한다. 반대로,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커버체(27A)가 좌측으로 이동한 경우, 우측 벽판(27b)에 설치한 쿠션재(42A)가 좌측 브래킷(43A)의 연직 벽부(45A)(43b의 이면측)에 좌측으로부터 접촉하여 내측 커버체(27A)의 좌측 한계 위치를 규제한다.
여기서,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텔레스코픽 커버(25A)에 대해 내측 커버체(27A)가 외측 커버체(26A)에 최대한으로 중합된 경우(수납된 경우)에, 게다가 우측 텔레스코픽 커버(25B)에 대해 내측 커버체(27B)가 외측 커버체(26B)에 최대한으로 중합된 경우(수납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와 같은 경우라도, 외측 커버체(26A, 26B)에 설치한 피안내 부재(34A, 34B)의 자유단부끼리가 간섭하지 않도록 피안내 부재(34A, 34B)의 외측 커버체(26A, 26B)측으로의 돌출량(길이)을 설정하고 있다. 이 경우, 피안내 부재(34A , 34B)는 내측 커버체(27A, 27B)의 X 방향 길이(신축 방향 길이)의 1/2 이상의 길이로 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한 공작 기계(1)의 좌측 텔레스코픽 커버(25A)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X 방향 구동 모터(19)가 회전하면, X 방향 볼 나사(16)를 거쳐서 가동 테이블(22)이 X 방향 가이드 레일(21)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한다. 가동 테이블(22)이 우측 한계 위치 부근으로 이동하는 경우의 초기 단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커버체(27A)가 외측 커버체(26A)로부터 최대한으로 인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내측 커버체(27A)는 X 방향 가이드 레일(21)과의 접촉 저항에 의해 이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외측 커버체(26A)만이 가동 테이블(22)과 동기하여 우측으로 이동한다(도16 참조).
가이드 레일(21)과의 접촉 저항보다도 스크레이퍼(29A)와 내측 커버체(27A)와의 접촉 저항이 큰 경우에는, 외측 커버체(26A)와 내측 커버체(27A)는 거의 동시에 이동한다. 내측 커버체(27A)의 좌측 벽판(27e)이 좌측 브래킷(43A)의 연직 벽 부(43b)에 고착된 좌측 스토퍼(44A)에 접촉하여 내측 커버체(27A)의 이동을 규제하고, 그 후에 외측 커버체(26A)만이 이동한다.
그 후에, 내측 커버체(27A)가 남겨진 상태에서 외측 커버체(26A)만이 이동한다. 그 결과, 좌측 계지 기구(36A)에 의해 외측 커버체(26A)의 스크레이퍼(29A)와 내측 커버체(27A)의 쿠션 고무(37A)가 접촉한 이후에 있어서는, 내측 커버체(27A)가 외측 커버체(26A)에 인장되어 외측 커버체(26A)와 동기하여 우측으로 이동한다.
그 후, 내측 커버체(27A)가 그 우측 한계 위치 부근까지 이동한 경우, 내측 커버체(27A)가 외측 커버체(26A)로부터 최대한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우측으로 이동한다. 좌측 스토퍼(44A)가 내측 커버체(27A)의 좌측 벽판(27e)에 우측으로부터 접촉하여, 내측 커버체(27A)의 우측 한계 이동 위치를 규제한다(도4 참조).
이와 같이, 내측 커버체(27A)가 외측 커버체(26A)로부터 최대한으로 인출된 경우에도, 외측 커버체(26A)에 설치한 한 쌍의 안내 부재(31A)에 내측 커버체(27A)의 피안내 부재(34A)가 소정 길이에 걸쳐서 결합하고 있으므로, 외측 커버체(26A)로 내측 커버체(27A)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가동 테이블(22)이 좌측 한계 위치 부근으로 이동하는 경우, 그 초기 단계에 있어서는, 내측 커버체(27A)는 X 방향 가이드 레일(21)과의 접촉 저항에 의해 이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외측 커버체(26A)만이 가동 테이블(22)과 동기하여 좌측으로 이동한다(도4 참조).
가이드 레일(21)과의 접촉 저항보다도 스크레이퍼(29A)와 내측 커버체(27A)와의 접촉 저항이 큰 경우에는, 외측 커버체(26A)와 내측 커버체(27A)는 거의 동시 에 이동한다. 우측 벽판(27b)의 쿠션재(42A)가 좌측 브래킷(43A)의 연직 벽부(45A)에 접촉하여 내측 커버체(27A)의 이동을 규제한다. 그 후, 외측 커버체(26A)만이 이동한다. 이 때, 외측 커버체(26A)에 설치한 스크레이퍼(29A)는 내측 커버체(27A)의 상벽부(26a)의 상면에 적재되어 있는 절삭칩 등을 깨끗하게 청소하면서 이동한다.
그리고, 내측 커버체(27A)가 남겨진 상태에서 외측 커버체(26A)만이 이동한다. 그 결과, 좌측 계지 기구(36A)에 의해 쿠션재(41A)가 외측 커버체(26A)의 우측 벽판(26b)에 좌측으로부터 접촉한 이후에 있어서, 내측 커버체(27A)가 외측 커버체(26A)와 동기하여 좌측으로 이동한다(도4 참조). 그 후, 가동 테이블(22)이 좌측 한계 위치 부근으로 이동할 때까지 외측 커버체(26A)와 내측 커버체(27A)가 동기하여 일체적으로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내외에 중합하고, 또한 상대 이동에 의해 신축할 수 있도록 조합한 복수의 커버체(26A, 27A)를 구비한 공작 기계(1)의 좌측 텔레스코픽 커버(25A)에 있어서, 내외에 인접하는 외측 커버체(26A)와 내측 커버체(27A)는 외측 커버체(26A)의 제1, 제2 양 측벽부(26c, 26d)에 신축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안내 부재(31A)를 설치하는 동시에, 내측 커버체(27A)의 제1 측벽부(26c), 제2 측벽부(26d)의 외측 커버체(26A)측 기단부로부터 외측 커버체(26A) 쪽으로 신축 방향과 평행하게 돌출되어 한 쌍의 안내 부재(31A)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각각 결합된 한 쌍의 피안내 부재(34A)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내측 커버체(27A)는 이들 한 쌍의 안내 부재(31A)와 한 쌍의 피안내 부재(34A)와의 결합을 통해 외측 커버체(26A)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내외에 중합이 가능해지고, 게다가 상대 이동에 의해 신축이 가능해진다.
안내 부재(31A) 및 피안내 부재(34A)의 각각을 횡방향을 개방한 단면 U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서로 끼워 넣도록 조합하였으므로, 제2 측벽부(26d, 27d)의 간격을 좁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측벽부(26d, 27d) 사이에 설치하는 고무 패킹 등의 부재(도시 생략)도 소형화할 수 있고, 상기 고무 패킹에 의해 발생하여 커버의 신축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미끄럼 이동 마찰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그래서, 내측 커버체(27A)가 최대한으로 외측 커버체(26A)에 중합되는 경우에는, 내측 커버체(27A)의 피안내 부재(34A)가 외측 커버체(26A)와 반대측이며, 공작 기계(1)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피안내 부재(34A)의 수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내측 커버체(27A)가 최대한으로 외측 커버체(26A)로부터 인출된 경우에도, 한 쌍의 안내 부재(31A)와 한 쌍의 피안내 부재(34A)와의 결합에 의해, 내측 커버체(27A)의 외측 커버체(26A)에 대한 지지성을 높일 수 있다.
그로 인해, 또한 외측 커버체(26A)가 내측 커버체(27A)를 지지하는 지지 구조의 간단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좌측 텔레스코픽 커버(25A)를 구성하는 외측 커버체(26A)와 내측 커버체(27A) 전체의 유효 활용을 도모할 수 있다.
안내 부재(31A)는 피안내 부재(34A)의 상방 이동과 하방 이동 및 전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외측 커버체(26A)에 대한 내측 커버체(27A)의 상하 방향의 진동이나 요동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내측 커버체(27A)의 보유 지지 자세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피안내 부재(34A)는 적어도 내측 커버체(27A)의 신축 방향 길이의 1/2 이상의 길이를 가지므로, 내측 커버체(27A)가 최대한으로 외측 커버체(26A)로부터 인출된 경우라도 피안내 부재(34A)가 안내 부재(31A)에 결합하는 결합 거리가 내측 커버체(27A)를 지지하는 데 충분한 거리이다. 따라서, 내측 커버체(27A)의 외측 커버체(26A)에 대한 지지성이나 자세 보유 지지성을 높일 수 있다.
공작 기계(1)의 가동 테이블(22)의 양측에 좌우 대칭으로 좌측 텔레스코픽 커버(25A)와, 우측 텔레스코픽 커버(25B)를 장비하고, 가동 테이블(22)이 중앙의 중립 위치에 있을 때, 가동 테이블(22)의 양측의 서로 대향하는 텔레스코픽 커버(25A, 25B)의 서로 대향하는 각 쌍의 피안내 부재(34A, 34B)의 자유단부끼리가 간섭하지 않도록 피안내 부재(34A)의 외측 커버체(26A)측으로의 돌출 길이를 설정하였다. 따라서, 가동 테이블(22)이 중앙으로부터 좌우 방향의 어느 쪽으로 이동한 경우라도, 가동 테이블(22) 양측의 서로 대향하는 텔레스코픽 커버의 서로 대향하는 각 쌍의 피안내 부재(34A)의 자유단부끼리의 간섭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외측 커버체(26A)의 내측 커버체(27A)측 선단부 근방부와 내측 커버체(27A)의 외측 커버체(26A)측 기단부 근방부에 내측 커버체(27A)의 외측 커버체(26A)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좌측 계지 기구(36A)를 설치하였다. 따라서, 가동 테이블(22)의 이동시에 내측 커버체(27A)가 외측 커버체(26A)로부터 최대한 인출된 경우에도, 계지 기구에 의해 내측 커버체(27A)의 외측 커버체(26A)로부터의 탈락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측 커버체(26A)의 내측 커버체(27A)측 선단부에 내측 커버체(27A)의 표면의 절삭칩 등의 소위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레이퍼(29A)를 설치하였다. 따라서, 가동 테이블(22)의 이동에 수반하여 내측 커버체(27A)가 외측 커버체(26A)의 내측에 수납하는 경우에, 외측 커버체(26A)에 설치한 스크레이퍼(29A)에 의해 내측 커버체(27A)의 표면에 부착된 절삭칩 등의 이물질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실시 형태의 변경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1〕외측 커버체(26A)에 설치한 대략 U자 형상의 안내 부재(31A)의 결합 오목부(31a)의 높이 치수를 크게 하고, 피안내 부재(34A)의 수평 지지부(34a)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결합 오목부(31a)에 접촉하는 롤러 부재를 피봇 부착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내측 커버체(27A)의 외측 커버체(26A)에 대한 미끄럼 이동 저항을 전무로 할 수 있어, 내측 커버체(27A)의 이동의 원활화를 도모할 수 있다.
2〕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텔레스코픽 커버(25A)에 있어서 내측 커버체(27C)가 외측 커버체(26A)로부터 최대한으로 인출된 경우에, 도9에 도시하는 피안내 부재(34A)의 좌단부가 외측 커버체(26A)의 안내 부재(31A)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도록 피안내 부재(34C)의 길이를 짧게 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절삭 가공 중에 중간 테이블(22)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내측 커버체(27C)가 외측 커버체(26A)로부터 최대한으로 인출된 경우에도, 피안내 부재(34A)의 좌단부가 외측 커버체(26A)의 안내 부재(31A)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는다. 따라서, 공작편의 절삭 가공에 의한 절삭칩이 피안내 부재(34A)의 상측에 부착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내측 커버체(27A)의 외측 커버체(26A)에 대한 수축 이동이 원활해진다.
3〕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텔레스코픽 커버(25C)는 제1 커버체(46A), 제2 커버체(47A) 및 제3 커버체(48A)로 구성하는 3단식이라도 좋다. 단,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경우, 도20,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외에 인접하는 제1 커버체(46A)와 제2 커버체(47A)로 이루어지는 1세트의 커버체에 있어서,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제1 커버체(46A)는 한 쌍의 안내 부재(31A)를 구비하는 동시에, 제2 커버체(47A)는 한 쌍의 피안내 부재(34A)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한 쌍의 안내 부재(31A)에 한 쌍의 피안내 부재(34A)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다. 또, 제1 커버체(46A)가 외측 커버체(26A)에 상당하고, 제2 커버체(47A)가 내측 커버체(27A)에 상당한다.
내외가 인접하는 제2 커버체(47A)[이것이 외측 커버체(26A)에 상당함]와 제3 커버체(48A)[이것이 내측 커버체(27A)에 상당함]가 되는 1세트의 커버체에 있어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2 커버체(47A)는 한 쌍의 안내 부재(31A)를 구비하는 동시에, 제3 커버체(48A)는 한 쌍의 피안내 부재(34A)를 구비한다. 이들 한 쌍의 안내 부재(31A)에 한 쌍의 피안내 부재(34A)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다.
좌측 텔레스코픽 커버(25C)는 이와 같이 구성하고 있으므로, 내외에 인접하는 제1 커버체(46A)와 제2 커버체(47A)로 이루어지는 1세트의 커버체에 있어서, 또 한 내외에 인접하는 제2 커버체(47A)와 제3 커버체(48A)로 이루어지는 1세트의 커버체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작용하고,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4〕본 발명의 텔레스코픽 커버를 Y 방향 구동 기구(5)의 상측을 덮는 텔레스코픽 커버에 적용하도록 해도 좋다.
5〕본 실시예에서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 부재(31A) 및 피안내 부재(34A)의 각각을 횡방향을 개방한 단면 U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서로 끼워 넣도록 조합하였지만, 양자 중 한쪽만을 단면 U자 형상으로 해도 좋다. 도22는 도18의 우측 하부 부분에 상당하는 변경예의 도면이다.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안내 부재(34D)만을 단면 U자 형상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고, 가공 수고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피안내 부재(34D)의 개구부측에 보호판(50)을 설치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커버 내부로의 절삭 가루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6〕또한, 반대로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안내 부재(34E)를 단면 L자 형상으로 절곡하고, 안내 부재(34E)만을 단면 U자 형상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고, 또한 가공 시간도 줄일 수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에 따르면, 상대 이동 가능하게 내외에 중합하고, 또한 상대 이동에 의해 신축할 수 있도록 조합한 복수의 커버체를 구비한 공작 기계의 텔레스코픽 커버에 있어서, 내외에 인접하는 각 세트의 커버체는 외측 커버체의 양 측벽 부에 신축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안내 부재를 설치하는 동시에, 내측 커버체의 측벽부의 외측 커버체측 기단부로부터 외측 커버체 쪽으로 신축 방향과 평행하게 돌출되어 한 쌍의 안내 부재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각각 결합된 한 쌍의 피안내 부재를 설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내측 커버체는 이들 한 쌍의 안내 부재와 한 쌍의 피안내 부재와의 결합을 거쳐서 외측 커버체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내외에 중합하고, 그와 같이 상대 이동에 의해 신축한다.
내측 커버체가 최대한으로 외측 커버체에 중합된 경우에는, 내측 커버체의 피안내 부재가 외측 커버체와 반대측이며, 공작 기계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피안내 부재의 수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내측 커버체를 최대한으로 외측 커버체로부터 인출한 경우라도, 한 쌍의 안내 부재와 한 쌍의 피안내 부재와의 결합에 의해 내측 커버체의 외측 커버체에 대한 지지성을 높일 수 있다.
그로 인해, 외측 커버체가 내측 커버체를 지지하는 지지 구조의 간단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텔레스코픽 커버를 구성하는 외측 커버체와 내측 커버체 전체의 유효 활용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의 발명에 따르면, 안내 부재는 피안내 부재의 상방 이동과 하방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하였다. 이에 의해, 외측 커버체에 대한 내측 커버체의 상하 방향의 진동이나 요동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내측 커버체의 자세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따르면, 커버 내부로의 절삭 가루 등의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따르면, 피안내 부재는 적어도 내측 커버체의 신축 방향 길이의 1/2 이상의 길이를 갖는다. 이에 의해, 내측 커버체를 최대한으로 외측 커버체로부터 인출한 경우라도, 피안내 부재가 안내 부재에 결합하는 결합 거리가 내측 커버체를 지지하는 데 충분한 거리이므로, 내측 커버체의 외측 커버체에 대한 지지성이나 자세 보유 지지성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따르면, 공작 기계의 가동 테이블의 양측에 대칭으로 텔레스코픽 커버를 장비하고, 가동 테이블이 중앙의 중립 위치에 있을 때, 가동 테이블의 양측의 서로 대향하는 텔레스코픽 커버의 서로 대향하는 각 쌍의 피안내 부재의 자유단부끼리가 간섭하지 않도록 피안내 부재의 외측 커버체측으로의 돌출 길이를 설정하였다. 이에 의해, 가동 테이블이 중앙으로부터 좌우 방향의 어느 쪽으로 이동한 경우에도, 가동 테이블의 양측의 서로 대향하는 텔레스코픽 커버의 서로 대향하는 각 쌍의 피안내 부재의 자유단부끼리의 간섭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 따르면, 외측 커버체의 내측 커버체측 선단부 근방부와 내측 커버체의 외측 커버체측 기단부 근방부에 내측 커버체의 외측 커버체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계지 기구를 설치하였다. 이에 의해, 가동 테이블의 이동시에 내측 커버체가 외측 커버체로부터 인출된 경우라도, 계지 기구에 의해 내측 커버체의 외측 커버체로부터의 탈락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에 따르면, 외측 커버체의 내측 커버체측 선단부에 내측 커버체의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레이퍼를 설치하였다. 이에 의해, 가동 테이블의 이동에 수반하여 내측 커버체가 외측 커버체의 내측에 수납된 경우에, 외측 커버체에 설치한 스크레이퍼에 의해 내측 커버체의 표면에 부착된 절삭칩 등의 이물질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Claims (8)

  1. 상대 이동 가능하게 내외에 중합하고, 또한 상대 이동에 의해 신축할 수 있도록 조합한 복수의 커버체를 구비한 공작 기계의 텔레스코픽 커버에 있어서,
    내외에 인접하는 각 세트의 커버체는,
    외측 커버체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 형상의 상벽부와, 이 상벽부의 마주보는 양단부에 각각 이어지는 상기 신축 방향과 평행한 한 쌍의 측벽부와, 이들 한 쌍의 측벽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신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안내 부재를 구비하고,
    내측 커버체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 형상의 상벽부와, 이 상벽부의 마주보는 양단부에 각각 이어지는 상기 신축 방향과 평행한 한 쌍의 측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커버체의 한 쌍의 측벽부에 각각 설치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안내 부재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각각 결합한 한 쌍의 피안내 부재로서, 상기 내측 커버체의 한 쌍의 측벽부의 상기 신축 방향 외측 커버체측 기단부로부터 상기 외측 커버체측으로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각각 갖는, 한 쌍의 피안내 부재를 설치한
    공작 기계의 텔레스코픽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피안내 부재의 상방 이동과 하방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한 공작 기계의 텔레스코픽 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 또는 상기 피안내 부재 중 어느 한쪽의 단면을, 횡방향을 개방한 단면 U자 형상으로 형성한 공작 기계의 텔레스코픽 커버.
  4. 제3항에 있어서, 단면 U자 형상으로 형성한 상기 안내 부재 또는 상기 피안내 부재의 개방측에 보호판을 구비한 공작 기계의 텔레스코픽 커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안내 부재는 상기 내측 커버체의 신축 방향 길이의 1/2 이상의 길이를 갖는 공작 기계의 텔레스코픽 커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작 기계의 가동 테이블의 양측에 대칭으로 상기 텔레스코픽 커버를 장비하고, 상기 가동 테이블이 중앙의 중립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동 테이블의 양측의 서로 대향하는 상기 텔레스코픽 커버의 서로 대향하는 각 쌍의 상기 피안내 부재의 자유단부끼리가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피안내 부재의 외측 커버체측으로의 돌출 길이를 설정한 공작 기계의 텔레스코픽 커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커버체의 내측 커버체측 선단부 근방부와 상기 내측 커버체의 상기 외측 커버체측 기단부 근방부에 상기 내측 커버체의 상기 외측 커버체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계지 기구를 설치한 공작 기계의 텔레스코픽 커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커버체의 내측 커버체측 선단부에 상기 내측 커버체의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레이퍼를 설치한 공작 기계의 텔레스코픽 커버.
KR1020060068244A 2005-07-22 2006-07-21 공작 기계의 텔레스코픽 커버 KR1012587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12191 2005-07-22
JP2005212191 2005-07-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2246A KR20070012246A (ko) 2007-01-25
KR101258706B1 true KR101258706B1 (ko) 2013-04-26

Family

ID=37655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8244A KR101258706B1 (ko) 2005-07-22 2006-07-21 공작 기계의 텔레스코픽 커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258706B1 (ko)
CN (1) CN1899759B (ko)
TW (1) TWI4557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67225B2 (ja) 2013-02-21 2015-02-12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可動カバーに堆積した切粉を除去するワイパーをテーブルに備えた工作機械
CN104001941A (zh) * 2013-02-26 2014-08-2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多主轴数控加工装置
CN104875068A (zh) * 2015-05-03 2015-09-02 安庆安星电气有限公司 一种钻床铁屑遮挡装置
CN105710715A (zh) * 2016-04-12 2016-06-29 大连华根机械有限公司 曲轴主轴颈车-车梳机床的铰链同步式内防护装置
CN109475992B (zh) * 2016-07-15 2022-08-09 阿诺尔德有限公司 具有可卡入的支撑框架的保护盖
CN106881628A (zh) * 2017-02-15 2017-06-23 厦门大金机械有限公司 一种机床工作台防护结构
JP6711308B2 (ja) * 2017-03-31 2020-06-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緩衝部材、カバー装置、工作機械
CN106881629A (zh) * 2017-04-12 2017-06-23 南通国盛智能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高速横向水平随动式立式加工中心内防护装置
TWI625191B (zh) * 2017-05-05 2018-06-01 哈廷國際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改良式伸縮護套的加工機
CN110170879A (zh) * 2019-07-12 2019-08-27 重庆宇辰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具有废屑防护功能的立式加工中心
KR102277796B1 (ko) * 2019-10-11 2021-07-15 현대위아 주식회사 공구대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된 공작기계
JP7306975B2 (ja) * 2019-11-29 2023-07-11 ファナック株式会社 支持構造
CN112743157A (zh) * 2021-01-10 2021-05-04 西麦克(张家港)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圆锯机滚珠丝杆全封闭防护机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041U (ja) * 1992-09-09 1994-04-12 株式会社中野板金 スライドカバ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8270A (ja) * 1992-05-21 1993-12-03 Okuma Mach Works Ltd 工作機械の摺動面保護装置
JP3326104B2 (ja) * 1998-01-06 2002-09-17 榎本工業株式会社 摺動面保護装置
JP2000084786A (ja) * 1998-09-11 2000-03-28 Toshiba Mach Co Ltd 保護カバー装置
JP2001246531A (ja) * 2000-03-02 2001-09-11 Kitamura Mach Co Ltd 工作機械
JP3972973B2 (ja) * 2000-06-22 2007-09-05 キタムラ機械株式会社 工作機械用のカバー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041U (ja) * 1992-09-09 1994-04-12 株式会社中野板金 スライドカバ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99759A (zh) 2007-01-24
TW200704474A (en) 2007-02-01
CN1899759B (zh) 2013-04-24
KR20070012246A (ko) 2007-01-25
TWI455788B (zh) 2014-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8706B1 (ko) 공작 기계의 텔레스코픽 커버
KR101547968B1 (ko) 수평형 공작기계
US7959386B2 (en) Splash guard of machine tool
JP6156877B2 (ja) 工作機械
JP6637125B2 (ja)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
EP1688942B1 (en) Optical disc drive having impact absorbing member
WO2011016438A1 (ja) 工作機械のラム案内装置
JP7058688B2 (ja)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
JP5041126B2 (ja) 工作機械のテレスコピックカバー
JP3580369B2 (ja) ディスク装置
KR101992638B1 (ko) 개선된 방진 구조를 갖는 리니어 액추에이터
KR102484883B1 (ko) 선루프의 리어 레일 먼지유입 방지장치
JP2023133442A (ja) ボールねじ軸サポート構造とアクチュエータ
JP2003231038A (ja) テレスコカバー
JP6937352B2 (ja)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
US8677583B2 (en) Machine tool
KR101071591B1 (ko) 차량용 시트트랙
JP2008012986A (ja) 開閉体のガイドレール構造
KR20090110072A (ko) 트럭 적재함의 게이트 완충구조
JP2000079528A (ja) 加工機におけるヘッドの支持構造
US20060020957A1 (en) Vibration preventing device and an optical disc drive having the same
JP2009208738A (ja) 機能部品保持構造
CN111347852B (zh) 用于车辆的敞开式车顶构造
KR20200131921A (ko) 램 스핀들을 구비한 수평형 공작기계
CN110273920B (zh) 滑轨总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