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7796B1 - 공구대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된 공작기계 - Google Patents

공구대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된 공작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7796B1
KR102277796B1 KR1020190126449A KR20190126449A KR102277796B1 KR 102277796 B1 KR102277796 B1 KR 102277796B1 KR 1020190126449 A KR1020190126449 A KR 1020190126449A KR 20190126449 A KR20190126449 A KR 20190126449A KR 102277796 B1 KR102277796 B1 KR 102277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rest
disposed
unit
tool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3359A (ko
Inventor
이정헌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6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796B1/ko
Publication of KR20210043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3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52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parts of devices for automatically inserting or removing tools
    • B23Q3/15526Storage devices; Drive mechanisms therefor
    • B23Q3/15539Plural magazines, e.g. involving tool transfer from one magazine to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6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controll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1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 B23Q7/1426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with work holders not rigidly fixed to the transport devices
    • B23Q7/1431Work holder c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작기계에 관한 것으로, 중앙측에 주축대 장착부가 형성되고, 양측에 공구대 장착부가 형성된 베드와, 상기 주축대 장착부에 배치되는 주축대와, 상기 공구대 장착부에 배치되는 공구대 및, 상기 공구대 장착부와 상기 공구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공구대를 제1축과 제2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공구대 이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공구대 장착부는 상기 주축대 장착부에 대해 제1축 스팬간격을 형성하며 상기 베드의 전면인 제1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공구대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작업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구대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된 공작기계{Machine tool with enhanced support force for tool post}
본 발명은 공구대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된 공작기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드상에서 공구대 장착부의 위치를 변경하고, 공구대를 이송하는 리니어가이드에 대해 단차를 두고 배치함으로써, 공구대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작업 안정성을 높인 공작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NC(Numerical Control) 공작기계란, 입력되는 각종 수치 정보를 기반으로 가공 재료를 절삭 등의 다양한 가공을 하는 자동기계장치를 총칭한다.
도 1a 및 도 도 1b에는 종래 공작기계(1)의 일 형태가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을 참고하면, 종래 공작기계(1)는 베드(4)상에서 가공 소재를 장착하여 회전시키는 주축대(2)가 중앙측에 배치되어 있고, 주축대(2)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가공 소재를 공구를 장착하여 가공하는 공구대(3)가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공작기계(1)에서는 주축대(2)의 전면에 장착된 소재를 가공하기 위해, 통상 가공 소재의 길이를 고려하여 베드상의 공구대 장착부로부터 공구대(3)가 A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주축대(2)는 베드상의 주축대 장착부로부터 B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차이로 공구대(3)는 A-B 만큼의 길이가 더 돌출되어 배치되게 된다.
여기서 가공 소재의 위치에 대응하여 공구대(3)를 이송시키기 위해 2축 이동이 가능한 공구대 이송장치(5)가 베드(4)와 공구대(3) 사이에 배치되는데, 공구대(3)는 큰 무게를 가지는 금속재질로 대체로 이뤄져 있어, 가공 작업 중 공구대 이송장치(5)의 전면에는 공구대(3)에 무게에 의한 편하중(C)이 걸리게 된다. 이러한 편하중(C)에 따른 큰 부하가 장시간 걸리는 경우, 공구대를 이송하는 장치에 마모, 손상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 공작기계는 공구대(3)를 이송하는 공구대 이송장치(5) 중 베드의 전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송장치(6)의 리니어 가이드(6,7)는 베드상에 동일 높이로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공구대(3)가 주축대(2)의 소재를 가공하기 위해, 공구대 이송장치(5) 중 제2 이송장치(8)가 공구대(3)를 주축대(2) 방향으로 이송시키면, 공구대(3)의 이동에 따라 주축대(2)에 가까운 측의 리니어가이드(6)에 반대측 리니어가이드(7)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편하중이 걸리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관련 기술분야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베드상에서 공구대 장착부의 위치를 변경하고, 공구대를 이송하는 리니어가이드에 대해 단차를 두고 배치함으로써, 공구대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작업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공작기계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구대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된 공작기계에 관한 것으로, 중앙측에 주축대 장착부가 형성되고, 양측에 공구대 장착부가 형성된 베드; 상기 주축대 장착부에 배치되는 주축대; 상기 공구대 장착부에 배치되는 공구대; 및 상기 공구대 장착부와 상기 공구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공구대를 제1축과 제2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공구대 이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공구대의 무게에 의해 상기 공구대 이송부의 전면에 인가되는 편하중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공구대 장착부는 상기 주축대 장착부에 대해 제1축 스팬간격을 형성하며 상기 베드의 전면인 제1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구대 이송부는, 상기 공구대 장착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구대를 제1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축 이송유닛; 및 상기 제1축 이송유닛과 상기 공구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공구대를 제2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축 이송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축 이송유닛은, 상기 공구대 장착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일측부에 제1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1 안착부와 타측부에 제1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2 안착부가 형성된 제1 유닛바디; 상기 제11 안착부에 제1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1 리니어가이드; 상기 제12 안착부에 제1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2 리니어가이드; 및 상기 제11,12 리니어가이드에 연결되고 제1축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부에는 상기 제2 이송유닛이 연결되는 제1 이송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1 안착부와 상기 제12 안착부는 소정 높이의 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유닛바디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유닛바디상에서 상기 제11 안착부가 상기 제12 안착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형성되며 단차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이송유닛은, 상기 제1 유닛바디에 연결되고, 제1축 방향으로 회전축이 배치되는 제1 구동부; 일단부는 상기 제1 구동부의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유닛바디의 중앙부에서 제1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스크류; 상기 제1 유닛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스크류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제1 지지베어링; 및 상기 제1 스크류상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바디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1 이동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축 이송유닛은, 상기 제1 이송바디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유닛바디; 상기 제2 유닛바디의 양측부에서 제2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리니어가이드; 및 상기 제2 리니어가이드의 상부에 연결되는 제2 이송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이송유닛은, 상기 제2 유닛바디의 중앙측에 제2축 방향으로 배치되며, 일단부에는 풀리가 연결된 제2 스크류; 상기 제2 유닛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스크류의 양측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베어링; 및 회전축에는 풀리가 연결되고, 상기 제2 스크류의 풀리와 동력전달벨트로 연결되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드상에서 공구대 장착부의 위치를 변경하고, 공구대를 이송하는 리니어가이드에 대해 단차를 두고 배치함으로써, 공구대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작업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공작기계의 일 형태에 대한 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인 공작기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공작기계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공작기계를 나타낸 전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공작기계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공구대 이송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서 공구대 이송부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구대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된 공작기계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공작기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공작기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공작기계를 나타낸 전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공작기계를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서 공구대 이송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공구대 이송부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7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공작기계는 베드(200), 주축대(300), 공구대(400) 및 공구대 이송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드(200)는 공작기계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베드(200)의 중앙측에는 주축대 장착부(230)가 형성되고, 상기 베드(200)의 양측에는 공구대 장착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축대(300)는 전면에 가공 소재가 장착되며, 상기 주축대(300)는 상기 베드(200)의 주축대 장착부(230)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구대(400)는 전면에 복수개의 공구가 장착되며, 상기 베드(200)의 공구대 장착부(210)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구대 이송부(500)는 상기 공구대 장착부(210)와 상기 공구대(40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공구대(400)를 제1축과 제2축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공구대 장착부(210)는 상기 주축대 장착부(230)에 대해 제1축 스팬간격(S)을 형성하며 상기 베드(200)의 전면인 제1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을 참고하면, 종래 공작기계(1)는 공구대(3)를 지지하는 공구대 장착부가 베드(4)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고, 공구대(3)만이 소재 가공을 위해 돌출되어 있어, 공구대(3)의 하중이 전면으로 쏠리게 되어 공구대 이송장치(5) 중 제1 이송장치(6)의 전면에 마모, 손상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공구대 장착부(210)를 상기 베드(200)의 전면인 제1축 방향으로 제1 스팬간격(S)만큼 돌출시켜 배치하였으며, 이에 따라 상기 공구대(400)의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다.
도 3를 참고하면, 베드(200)의 전면으로부터 가공 소재가 장착되는 주축대(300)의 전면까지의 거리를 B 길이로 정의하고, 베드(200)의 전면으로부터 소재를 가공하는 공구가 장착되는 공구대(400)의 전면까지의 거리를 A 길이로 정의하면, 공구대(400)의 전면은 주축대(300)의 전면으로부터 A-B 길이만큼 돌출되어 위치하게 된다.
이때 베드(200)상에서 공구대 장착부(210)가 베드(200)의 전면으로부터 제1 스팬간격(S) 만큼 돌출되어 있어, 공구대(400)의 하중은 제1 스팬간격(S) 만큼은 공구대 장착부(210)에서 지지하게 된다. 이는 도 1에 개시된 종래 공자기계와 비교하면, 공구대(400)의 하중을 지지하는 면적이 확대되므로, 베드(200)의 공구대(400)에 대한 지지력은 향상되게 된다.
공구대(400)에 대한 지지력 향상은 공구대 이송부(500)의 전면에 인가되는 편하중(D)을 완화하게 되고, 이는 공구대 이송부(500)의 마모, 손상 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스팬간격(S)은 주축대(300)의 돌출길이(B), 가공 소재의 길이, 폭 또는 형상, 공구대(400)의 이송거리 등의 여러 설계조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인 상기 공구대 이송부(500)는 제1축 이송유닛(510) 및 제2축 이송유닛(51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제1축 이송유닛(510)은 상기 공구대 장착부(2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구대(400)를 제1축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축 이송유닛(515)은 상기 제1축 이송유닛(510)과 상기 공구대(40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공구대(400)를 제2축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축 이송유닛(510)은 제1 유닛바디(511), 제11,12 리니어가이드, 제1 이송바디(533), 제1 구동부(531), 제1 스크류(532), 제1 지지베어링(535,536) 및 제1 이동블록(53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닛바디(511)는 상기 공구대 장착부(2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일측부에 제1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1 안착부(513)와 타측부에 제1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2 안착부(515)가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유닛바디(511)의 중앙측은 제1축 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닛바디(511)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볼트(511a)가 배치되고, 이는 상기 공구대 장착부(210)에 형성된 복수개의 볼트홀(210a)에 체결되며, 상기 제1 유닛바디(511)를 상기 공구대 장착부(21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1 리니어가이드(521)는 상기 제11 안착부(513)에 제1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2 리니어가이드(523)는 상기 제12 안착부(515)에 제1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바디(533)는 상기 제11,12 리니어가이드에 연결되고 제1축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부에는 상기 제2축 이송유닛(55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부(531)는 상기 제1 유닛바디(511)에 연결되고, 제1축 방향으로 회전축이 배치되고, 상기 제1 스크류(532)의 일단부는 상기 제1 구동부(531)의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유닛바디(511)의 중앙부에서 제1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지지베어링(535,536)은 상기 제1 스크류(532)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유닛바디(511)상에서 상기 제1 스크류(532)를 양측에서 지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이동블록(534)은 상기 제1 스크류(532)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이송바디(533)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스크류(53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송바디를 제1축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1 안착부(513)와 상기 제12 안착부(515)는 소정 높이의 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유닛바디(511)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단차는 상기 제1 유닛바디(511)상에서 상기 제11 안착부(513)가 상기 제12 안착부(515)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를 참고하면, 제11 안착부(513)와 제12 안착부(515)가 높이 H 만큼의 단차를 형성하며 배치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제11 안착부(513)를 제12 안착부(515)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의 단차를 두고 배치한 목적은, 공구대(400)가 주축대(300)에 장착된 소재를 가공하기 위해, 제2축 이송유닛(550)이 공구대(400)를 주축대(300)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즉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공구대(400)의 무게로 인해 주축대(300)에 가까운 측에 배치된 제11 리니어가이드(521)에 제12 리니어가이드(523)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하중이 걸리기 때문이다.
즉 제12 리니어가이드(523)측보다 제11 리니어가이드(521)측에 상대적으로 큰 편하중이 걸리므로, 도 1b에 개시된 종래 공작기계와 같이, 만약 동일 높이로 배치한다면, 제11 리니어가이드(521)측에 상대적으로 마모, 손상 등이 더 빠르게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제11 리니어가이드(521)를 제12 리니어가이드(523)보다 낮은 높이로 배치함으로써, 공구대(400)가 주축대(300)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더라도 제11 리니어가이드(521)에 집중되는 편하중을 제12 리니어가이드(523)로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 공작기계에 비해 편하중을 보다 더 균형있게 분산시켜 리니어가이드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축 이송유닛(550은 제2 유닛바디(551), 제2 리니어가이드(553), 제2 이송바디(563), 제2 스크류(562), 제2 지지베어링(565,566) 및 제2 구동부(5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7를 참고하면, 상기 제2 유닛바디(551)는 상기 제1 이송바디(533)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리니어가이드(553)는 상기 제2 유닛바디(551)의 양측부에서 제2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유닛바디(551)의 중앙부에는 제2축 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이송바디(563)는 상기 제2 리니어가이드(553)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구동부(51)는 상기 제2 유닛바디(551)에 브라켓(561a)으로 연결되며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이송바디(563)의 중앙부에는 상기 제2 스크류(562)가 제2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구동부(51)의 회전축과 상기 제2 스크류(562)의 단부에는 각각 풀리(568,569)가 배치되고, 한 쌍의 풀리(568,569)는 동력전달벨트(567)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지지베어링(565,566)은 상기 제2 스크류(562)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상기 제2 스크류(562)의 양측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2 유닛바디(55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라 제2 이송바디(563)가 제2 유닛바디(551)상에서 주축대(300) 방향인 제2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11 리니어가이드(521)에 공구대(400)의 무게가 편하중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제11 리니어가이드(521)와 제12 리니어가이드(523)간에 높이 H의 단차를 두어 편하중이 제11,12 리니어가이드(521,523)에 각각 비교적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단차 높이 H는 제2 이송바디(563)의 이동가능거리, 공구대(400)의 무게, 편하중이 제11,12 리니어가이드(521,523)에 비교적 균일하게 분산되게 하는 각도, 등의 여러 설계조건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상의 사항은 공구대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된 공작기계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100:공작기계
200:베드 210:공구대 장착부
230:주축대 장착부 300:주축대
400:공구대
500:공구대 이송부
510:제1축 이송유닛 511:제1 유닛바디
513:제11 안착부 515:제12 안착부
521:제11 리니어가이드 523:제12 리니어가이드
531:제1 구동부 532:제1 스크류
533:제1 이송바디 534:제1 이동블록
535,536:제1 지지 베어링
S:제1축 스팬(span) 간격
550:제2축 이송유닛 551:제2 유닛바디
553:제2 리니어가이드 561:제2 구동부
562:제2 스크류 563:제2 이송바디
565,566:제1 지지 베어링 567:동력전달벨트
568,569:풀리

Claims (8)

  1. 중앙측에 주축대 장착부가 형성되고, 양측에 공구대 장착부가 형성된 베드;
    상기 주축대 장착부에 배치되는 주축대;
    상기 공구대 장착부에 배치되는 공구대; 및
    상기 공구대 장착부와 상기 공구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공구대를 제1축과 제2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공구대 이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공구대의 무게에 의해 상기 공구대 이송부의 전면에 인가되는 편하중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공구대 장착부는 상기 주축대 장착부에 대해 제1축 스팬간격을 형성하며 상기 베드의 전면인 제1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되고,
    상기 공구대 이송부는,
    상기 공구대 장착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구대를 제1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축 이송유닛; 및
    상기 제1축 이송유닛과 상기 공구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공구대를 제2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축 이송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축 이송유닛은,
    상기 공구대 장착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일측부에 제1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1 안착부와 타측부에 제1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2 안착부가 형성된 제1 유닛바디;
    상기 제11 안착부에 제1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1 리니어가이드;
    상기 제12 안착부에 제1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2 리니어가이드; 및
    상기 제11,12 리니어가이드에 연결되고 제1축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부에는 상기 제2 이송유닛이 연결되는 제1 이송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1 안착부와 상기 제12 안착부는 소정 높이의 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유닛바디에 배치되고,
    제2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1 안착부는 상기 제12 안착부에 대해 낮은 높이의 단차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대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된 공작기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바디상에서 상기 제11 안착부가 상기 제12 안착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형성되며 단차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대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된 공작기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유닛은,
    상기 제1 유닛바디에 연결되고, 제1축 방향으로 회전축이 배치되는 제1 구동부;
    일단부는 상기 제1 구동부의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유닛바디의 중앙부에서 제1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스크류;
    상기 제1 유닛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스크류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제1 지지베어링; 및
    상기 제1 스크류상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바디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1 이동블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대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된 공작기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축 이송유닛은,
    상기 제1 이송바디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유닛바디;
    상기 제2 유닛바디의 양측부에서 제2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리니어가이드; 및
    상기 제2 리니어가이드의 상부에 연결되는 제2 이송바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대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된 공작기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유닛은,
    상기 제2 유닛바디의 중앙측에 제2축 방향으로 배치되며, 일단부에는 풀리가 연결된 제2 스크류;
    상기 제2 유닛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스크류의 양측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베어링; 및
    회전축에는 풀리가 연결되고, 상기 제2 스크류의 풀리와 동력전달벨트로 연결되는 제2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대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된 공작기계.

KR1020190126449A 2019-10-11 2019-10-11 공구대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된 공작기계 KR102277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449A KR102277796B1 (ko) 2019-10-11 2019-10-11 공구대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된 공작기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449A KR102277796B1 (ko) 2019-10-11 2019-10-11 공구대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된 공작기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359A KR20210043359A (ko) 2021-04-21
KR102277796B1 true KR102277796B1 (ko) 2021-07-15

Family

ID=75744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449A KR102277796B1 (ko) 2019-10-11 2019-10-11 공구대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된 공작기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77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1529A (ja) * 2001-06-07 2002-12-18 Koganei Corp スライドテーブル往復動装置
JP2004142024A (ja) * 2002-10-24 2004-05-20 Nakamura Tome Precision Ind Co Ltd 複合旋盤の工具案内構造及び2主軸対向複合旋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899759B (zh) * 2005-07-22 2013-04-24 兄弟工业株式会社 机床的伸缩护板
KR20130084574A (ko) * 2012-01-17 2013-07-25 현대위아 주식회사 정면 선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1529A (ja) * 2001-06-07 2002-12-18 Koganei Corp スライドテーブル往復動装置
JP2004142024A (ja) * 2002-10-24 2004-05-20 Nakamura Tome Precision Ind Co Ltd 複合旋盤の工具案内構造及び2主軸対向複合旋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359A (ko) 202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71120B (zh) 托板搬送装置
CN112108781A (zh) 一种智能分料的激光切割机
JP2016150391A (ja) ワーク搬送用パレット
KR102277796B1 (ko) 공구대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된 공작기계
JP2017217730A (ja) パレット搬送装置
KR20020019590A (ko) 센터리스 연삭기
CN212075613U (zh) 一种工业自动化流水线加工多自由度活动取料机械臂
JPWO2019053830A1 (ja) 工作機械
KR101258520B1 (ko) 선반 방진구 쉘 교체장치
US4792267A (en) Carriage for a machine tool
KR101157320B1 (ko) 에어를 이용한 자동선반의 가이드부쉬 장치
KR101502813B1 (ko) 면삭가공용 가공툴 수평유지 장치
KR20030023529A (ko) 복합가공테이블 및 이 테이블을 구비한 수직선반
WO2021100857A1 (ja) 工作機械
KR200183577Y1 (ko) 3차원 조각기
KR200221227Y1 (ko) 에져롤 익스트랙터의 롤 복합 안치대
CN217322184U (zh) 一种零件换向机构
CN212918601U (zh) 一种机床用输送部件
CN210084174U (zh) 一种滚筒运输机
CN211136425U (zh) 一种丝杆支撑装置及机床
CN221582868U (zh) 一种铣床自动送料装置
KR102595165B1 (ko) 터닝센터의 크로스 슬라이드
CN215401662U (zh) 一种阀块加工用调节装置
JP7246253B2 (ja) 工作機械のパレット交換方法とパレット交換装置
JPH071202Y2 (ja) 主軸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