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7280B1 - 탈곡 장치 - Google Patents

탈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7280B1
KR101257280B1 KR1020100099062A KR20100099062A KR101257280B1 KR 101257280 B1 KR101257280 B1 KR 101257280B1 KR 1020100099062 A KR1020100099062 A KR 1020100099062A KR 20100099062 A KR20100099062 A KR 20100099062A KR 101257280 B1 KR101257280 B1 KR 101257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ave
shelf
threshing
sorting
st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9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4653A (ko
Inventor
히사유키 사토지
쥰지 도이하라
케이 쿠기미야
히데노리 오카자키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95144A external-priority patent/JP502436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20310A external-priority patent/JP514685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1712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2070656A/ja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74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4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7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7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30Straw separators, i.e. straw walkers, for separating residual grain from the straw
    • A01F12/32Straw separators, i.e. straw walkers, for separating residual grain from the straw with shaker screens or sieves
    • A01F12/34Sieve elements; Linings for shakers
    • A01F12/36Sieve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hort straw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4Grain cleaners; Grain separ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54Arrangements for collecting or removing dus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과제) 시브의 표면에 부착되는 짚부스러기 등의 부착물을 깎아 떨어뜨려서 요동 선별 선반 상에서의 막힘을 방지해서 선별 능률을 높이고, 탈곡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킨다.
(해결 수단) 시브(23)의 표면 부착물을 깎아 떨어뜨리는 가장자리부(82a)를 갖는 스크레이퍼(82)를 시브(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또한, 전후의 시브(23)에 구비한 복수의 스크레이퍼(82)를 요동 선별 선반(20)의 요동 방향을 따르는 단일의 플레이트(81)에 일체화해서 청소 부재(80)를 형성하고, 이 청소 부재(80)를 시브(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또한, 스크레이퍼(82)의 가장자리부(82a)를 스크레이퍼(82)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함과 아울러 플레이트(81)의 좌우 양측으로 돌출시킨다.

Description

탈곡 장치{THRESHING MACHINE}
본 발명은 콤바인 등에 탑재되는 탈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탈곡 장치는 급동(扱胴)을 구비한 급실(扱室)의 하방에 복수의 시브(sieve)를 구비한 요동 선별 선반을 요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탈곡 장치에서는 급실 내에서 발생한 대량의 짚부스러기가 요동 선별 선반 상에 낙하되고, 이 요동 선별 선반에 구비하는 각 시브간의 누하 간극을 막아 선별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긴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시브의 표면에 부착된 짚부스러기를 제거하는 평판 형상의 청소 부재를 설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 즉, 요동 선별 선반의 요동 방향을 따르는 평판에 복수의 역L자 형상의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에 시브를 관통시켜서 이 평판을 시브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게 설치한 구성이다.
일본 특허 공개 2009-100671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은, 평판의 구멍 가장자리부에 의해 시브의 표면에 부착된 짚부스러기를 누름으로써 이 짚부스러기를 제거하려고 하는 것이다.
즉, 시브의 표면에 부착된 짚부스러기를 깎아 떨어뜨리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 시브의 표면에 부착된 짚부스러기를 충분하게 제거할 수 없다.
이 때문에, 급실로부터 낙하된 짚부스러기가 시브의 표면에 부착되어 각 시브간의 누하 간극을 막고, 곡립의 누하가 저해되어 선별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시브의 표면에 부착되는 짚부스러기 등을 충분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서 선별 효율을 높이고, 탈곡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의 기술적 수단을 강구한다.
즉, 본 발명은 급동(10)을 구비한 급실(11)의 하방에 복수의 시브(23)를 구비한 요동 선별 선반(20)을 요동 가능하게 설치한 탈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브(23)의 표면 부착물을 깎아 떨어뜨리는 가장자리부(82a)를 가진 스크레이퍼(82)를 시브(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전후의 시브(23)에 구비한 복수의 스크레이퍼(82)를 상기 요동 선별 선반(20)의 요동 방향을 따르는 단일의 플레이트(81)에 일체화해서 청소 부재(80)를 형성하고, 상기 청소 부재(80)를 상기 시브(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스크레이퍼(82)의 가장자리부(82a)를 상기 스크레이퍼(82)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함과 아울러 상기 플레이트(81)의 좌우 양측으로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로 했다.
삭제
삭제
또,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의 탈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청소 부재(80)를 합성수지재에 의해 일체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로 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의 탈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청소 부재(80)를 시브(23)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복수의 청소 부재(80)를 일체적으로 연결해서 유닛(T)을 형성하고, 상기 유닛(T)을 시브(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로 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유닛(T)을 시브(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V)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로 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스크레이퍼(82)를 시브(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이 스크레이퍼(82)의 가장자리부(82a)로 시브(23)의 표면에 부착되는 짚부스러기 등의 부착물을 깎아 떨어뜨릴 수 있어 요동 선별 선반(20) 상에서의 막힘을 방지해서 선별 능률을 높이고, 탈곡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전후의 시브(23)에 구비한 복수의 스크레이퍼(82)가 일체로 이동함으로써 복수의 시브(23)의 표면에 부착되는 짚부스러기 등의 부착물을 단숨에 깎아 떨어뜨릴 수 있어 요동 선별 선반(20) 상에서의 막힘을 방지해서 선별 능률을 높이고, 탈곡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스크레이퍼(82)의 왕로와 복로의 양측 경로에서 상기 스크레이퍼(82)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가장자리부(82a)에 의해 각 시브(23)의 표면에 부착되는 짚부스러기 등의 부착물을 능률적으로 깎아 떨어뜨릴 수 있어 탈곡 작업의 능률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효과를 가짐과 아울러, 스크레이퍼(82)와 플레이트(81)로 이루어지는 청소 부재(80)를 합성수지재에 의해 일체 성형함으로써 이 청소 부재(80)를 경량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 청소 부재(80)와 시브(23) 사이의 슬라이딩 저항을 경감할 수 있어 청소 부재(80)의 왕복 이동을 원활화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효과 이외에, 시브(23)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한 복수의 청소 부재(80)가 일체로 이동함으로써 복수의 시브(23) 상을 광범위에 걸쳐 청소할 수 있어 요동 선별 선반(20) 상에서의 막힘을 방지해서 선별 능률을 높이고, 탈곡 작업의 능률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효과를 가짐과 아울러, 구동 장치(V)에 의해 유닛(T)을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복수의 시브(23) 상을 광범위에 걸쳐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어 요동 선별 선반(20) 상에서의 막힘을 방지해서 선별 능률을 높이고, 탈곡 작업의 능률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콤바인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콤바인의 배면도이다.
도 5는 탈곡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탈곡 장치의 다른 위치에 있어서의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7은 탈곡 장치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8은 콤바인의 요부 수평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콤바인의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콤바인의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요동 선별 선반 부분의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요동 선별 선반 부분의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청소 부재 및 그 구동 부분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 17은 청소 부재 구동 부분의 요부 좌측면도이다.
도 18은 청소 부재 구동 부분의 요부 저면도이다.
도 19는 제 1 시브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제 1 시브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21은 청소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청소 부재의 좌측면도이다.
도 23은 청소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24는 제 1 시브의 분해 조립도이다.
도 25는 시브 지지부의 좌측면도이다.
도 26은 탈곡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27은 받침망의 분해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28은 받침망의 분해 상태의 내주면의 평면 전개도이다.
도 29는 받침망 요부의 분해 상태의 내주면 평면 전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편의적으로 방향을 나타내어서 설명하고 있지만, 이것들에 의해 구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도 4에 있어서, 부호 1은 콤바인의 기체 프레임, 부호 2는 좌우 한쌍의 크롤러를 갖는 주행 장치, 부호 3은 기체 프레임(1)의 상방에 설치된 탈곡 장치, 부호 4는 탈곡 장치(3) 전방측에 설치되어 식립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 장치, 부호 5는 탈곡 장치(3)의 측부에 설치된 그레인(grain) 탱크, 부호 6은 그레인 탱크(5)의 전방에 설치한 조종부, 부호 7은 그레인 탱크(5)의 저류 곡립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통, 부호 8은 예취 장치(4)로 예취한 곡간을 탈곡 장치(3)를 향해서 반송하는 공급 반송 장치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주행 장치(2)에 의해 기체를 주행하여 포장에 식립되는 곡간을 예취 장치(4)에 의해 예취하면, 그 곡간은 공급 반송 장치(8)에 의해 후방으로 반송되고, 그 과정에서 밑둥측이 측방으로 들어올려지도록 자세 변경되고, 또한 탈곡 장치(3)에 있어서의 탈곡 깊이가 조정된 후에 탈곡부 반송 장치(12)에 건네진다. 탈곡부 반송 장치(12)에서는 곡간의 밑둥측을 피드 체인(13B)과 협지 레버(13A) 사이에서 협지하고, 그 곡간의 이삭끝측을 탈곡 장치(3)의 급실(11)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탈곡을 행하면서 후방으로 반송한다. 탈곡이 완료된 배출짚은 배출짚 반송 장치(14)에 인계되어 탈곡 장치(3)의 외부로 배출된다.
(급실)
탈곡 장치(3)는 곡간의 탈곡을 행하는 급실(11)을 상부에 구비하고 있다. 이 급실(11) 내에는 급치(10b)를 갖는 급동(10)이 전후 방향을 따르는 축심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도록 축지지되어 있고, 이 급동(10)이 중심이 되어 하방측을 포위하도록 받침망(15)이 급동(10) 외주를 따라 장설(張設)되어 있다. 급실(11)에 공급된 곡간은 회전하는 급동(10)에 의해 탈곡되고, 탈곡된 곡립은 받침망(15)으로부터 낙하해서 선별실(18)에 공급되어 요동 선별 장치(21)에 의해 선별된다.
급실(11)의 하류측(후방측)에는 급실(11)에 대하여 후방 격벽(11L)에 의해 격리된 박힌 곡립 회수실(11E)이 형성되어 있다. 이 후방 격벽(11L)은 탈곡 장치(3)의 기체 프레임측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급동(10)의 하류측 단부(후방측 단부)가 중간 격벽(11K)을 관통하고, 또한 후방 격벽(11L)을 관통해서 박힌 곡립 회수실(11E) 내까지 연장되어 있고, 이 박힌 곡립 회수실(11E) 내에 급동(10)의 축심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는 경사 급치(10c)가 급동(10)의 외주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설치되어 있다. 급실(11)에서 탈립된 처리물 중, 받침망(15)으로부터 누하되지 않은 처리물은 급실(11) 후방부의 중간 격벽(11K)과 후방 격벽(11L) 사이의 배진실(11M)에 도달하고, 이 배진실(11M) 안쪽의 연통구(35)로부터 배진 처리실(30)에 공급된다. 박힌 곡립 회수실(11E) 내에서는 경사 급치(10c)에 의해 반송 곡간이 판가름되어 곡간 중에 박혀 들어가 있던 곡립이 분리되어 요동 선별 장치(21)에 낙하된다.
급실(11)의 상방을 덮는 상부 커버(11U)는 급실(11)에 대하여 탈곡부 반송 장치(12)를 설치한 측과는 반대 측에 배치한 전후 방향을 따르는 지축을 지점으로 해서 요동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상부 커버(11U)에 협지 레버(13A)가 부착되고, 이 협지 레버(13A)가 상부 커버(11U)와 함께 요동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협지 레버, 피드 체인부)
도 5, 도 9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실(11)의 한쪽(기체 주행 방향의 좌측)에 설치되는 탈곡부 반송 장치(12)는 하측에 위치하는 피드 체인(13B)과, 상측에 위치하고, 또한 스프링 등의 바이어싱 수단(13c)에 의해 상부 커버(11U)에 대하여 피드 체인(13B)측으로 바이어싱되는 협지 레버(13A)로 구성되어 있다. 도 8 및 도 1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드 체인(13B)은 전후로 설치된 장설 고리(13d, 13d) 및 이들 사이에 설치된 전동 스프로킷(13e)에 감아 걸려서 구동되는 무단 체인이다. 이 피드 체인(13B)의 상측의 감아 걸림 부분이 후방을 향해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협지 레버(13A)와의 사이에 곡간의 밑둥측이 협지되어서 반송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들 피드 체인(13B), 장설 고리(13d), 전동 스프로킷(13e), 이것들을 지지하는 프레임(9f), 외측의 커버(9c)에 의해 피드 체인부(9)를 구성하고 있다. 피드 체인부(9)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단부에 위치하는 상하 방향을 따른 지축(9x)을 중심으로 해서 요동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 피드 체인(13B)과 협지 레버(13A) 사이에서 곡간을 협지해서 반송하는 폐쇄 위치와, 급실(11)의 측벽이 노출되는 개방 위치로 개폐 변경 가능한 구성이면 지축(9x)의 위치가 후단부라도 좋고, 또한 이동 형태가 개방 이동이 아니라 슬라이드 이동 등이라도 좋다.
(점검구)
도 8∼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실(11)의 피드 체인부(9)측의 측벽에는 피드 체인부(9)의 이면측을 포함하는 범위에, 분리된 제 1 시브(23)[청구항에 있어서의 시브(23)]가 통과 가능한 점검구(11S)가 형성됨과 아울러 이 점검구(11S)를 개폐하는 덮개체(11Z)가 설치되어 있고, 이 덮개체(11Z)는 피드 체인부(9)에 연결 일체화되어 있다. 피드 체인부(9)를 오픈(요동 개방)하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11Z)도 피드 체인부(9)에 따라 이동해서 점검구(11S)가 개구되고,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검구(11S)로부터 급동(10)의 하단부 및 급동(10)의 하측공간이 노출된다. 따라서, 점검구(11S) 및 급동(10)의 하측 공간을 통해서 후술의 요동 선별 선반(20)의 상류측, 부재체적으로는 이송 선반(22) 및 제 1 시브(23)의 청소나 메인터넌스를 행할 수 있다.
(선별실)
급실(11)의 받침망(15)의 하방에는 받침망(15)으로부터 누하되는 탈곡 처리물로부터 곡립을 선별하기 위한 선별실(18)이 형성되어 있다. 이 선별실(18)의 상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요동하는 요동 선별 선반(20)에 의해 구성된 요동 선별 장치(21)가 설치되고, 선별실(18)의 하부에는 풍구(16)와, 홈통 형상의 1번 선반판(19A)(1번물 회수부), 홈통 형상의 2번 선반판(19B)(2번물 회수부)이 요동 선별 선반(20)의 이송 방향으로(앞에서 뒤를 향해서) 이 순서로 설치되어 있다.
요동 선별 선반(20)의 시단부(전단부)는 풍구 풍동(winnower wind tunnel)(17)의 상방에 위치하는 이송 선반(22)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송 선반(22)의 구성은 임의이며, 이송 방향 하류측을 낮게 경사지게 하거나, 또는 이송 선반(22)의 상면에 돌기나 요철을 형성하거나 해서 요동 선별 장치(21)의 이송 방향 하류측의 제 1 시브(23)를 향해서 받침망(15)으로부터의 누하물을 이송할 수 있으면 된다.
제 1 시브(23)는 받침망(15)으로부터 누하된 곡립과 이물을 선별하는 체이며, 도시예에서는 이송 방향 하류측(후방측)이 높아지도록 경사진 얇은 판형상체로 이루어지는 시브 부재(23b)를 요동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평행하게 복수병설한 것이다. 제 1 시브(23)의 이송 방향 하류측(후방측)에는 곡립과 왕겨(짚부스러기)를 선별하는 제 2 시브(24)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예의 제 2 시브(24)는 경사각 조절 가능한 얇은 판형상체로 이루어지는 시브 부재(24b)를 요동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평행하게 복수 병설한 것이다. 또한, 제 2 시브(24)의 하류측에는 제 1 시브(23) 및 제 2 시브(24)로부터 누하되지 않은 비교적 큰 짚부스러기 중에서 지경(枝梗) 부착립 등을 체로 쳐 선별하고, 이것들을 후술하는 2번 선반판(19B) 상에 누하시키기 위해서 짚체(straw rack)(25)가 설치되어 있다.
풍구(16)는 요동 선별 선반(20)과 1번 선반판(19A) 사이를 향하는 송풍구를 구비하고 있다. 1번 선반판(19A)의 홈통부 내에는 그레인 탱크(5)에 연통하는 나선 컨베이어식의 1번 컨베이어(26)를 배치하고, 2번 선반판(19B)의 홈통부 내에는 2번 처리실(40)에 연통하는 나선 컨베이어식의 2번 컨베이어(27)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요동 선별 선반(20)과 1번 선반판(19A) 사이에는 제 1 시브(23)와 제 2 시브(24)의 경계 근방으로부터 1번 선반판(19A)의 선반 선단(19C) 근방까지의 범위에 걸치도록 선별망(28)이 설치되어 있다.
요동 선별 선반(20)은 도시하지 않은 구동 기구에 의해 상하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요동하므로, 피처리물은 후방측으로 이동하면서 풍구(16)로부터의 송풍을 받아서 풍력 선별되고, 비중이 무거운 곡립은 제 1 시브(23) 및 제 2 시브(24)를 누하하여 선별망(28) 상에 공급된다. 선별망(28) 상의 피처리물은 또한 풍구(16)로부터의 선별풍을 하측으로부터 받아서 미세한 짚부스러기가 불어날리면서 후방으로 이송되고, 이 이송 중에 선별망(28)으로부터 누하된 것이 1번 선반판(19A)에 의해 회수되어 1번 컨베이어(26)에 의해 반송되어서 그레인 탱크(5)에 투입된다. 그레인 탱크(5)에 저류된 곡립은 배출통(7)을 통해서 콤바인의 외부로 반출된다. 이와 같이, 선별망(28)으로부터 누하하여 1번 선반판(19A)에 의해 회수되는 처리물은 지경 부착이 적은 곡립(깨끗한 곡립)이 주이다.
한편, 선별망(28)으로부터 누하되지 않는 것은 이 선별망(28) 상을 후방으로 이송되어서 선별망(28)의 후단부로부터 2번 선반판(19B)에 이르러 회수된다. 선별망(28)으로부터 누하되지 않고 2번 선반판(19B)에 공급되는 피처리물은 지경 부착립이나 작은 짚부스러기 등이 주이다.
요동 선별 선반(20) 상의 피처리물 중 경량인 것은 제 1 시브(23) 및 제 2 시브(24)를 누하하지 않고 요동 선별 선반(20)의 요동 작용과 풍구(16)에 의한 송풍에 의해 불어날려서 제 1 시브(23) 및 제 2 시브(24) 상을 후방으로 이동하고, 짚체(25) 상에서 크기가 작은 2번물은 누하하여 2번 선반판(19B)에 의해 회수되고, 제 1 시브(23) 및 제 2 시브(24)의 후방부나 짚체(25)로부터 누하하여 2번 컨베이어(27)에 의해 2번 처리실(40)에 공급된다. 2번 컨베이어(27)에 도입되는 것은 지경 부착립, 짚부스러기 및 짚부스러기 중에 혼재한 곡립 등의 혼합물이다. 이들 지경 부착립이나 짚부스러기를 2번 환원물로서 재처리한다. 또한, 제 1 시브(23) 및 제 2 시브(24) 및 짚체(25)로부터 누하되지 않는 피처리물(주로 짚부스러기)은 더욱 후방으로 이송되어서 3번 배진구(56)로부터 배출된다. 이 중에는 약간의 곡립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있고, 이 양(비율)에 의해 탈곡 장치의 선별 정밀도가 평가된다.
(배진 처리실)
급실(11)의 후방에는 박힌 곡립 회수실(11E)이 설치되고, 이 박힌 곡립 회수실(11E) 전방측의 배진실(11M)이 연통구(35)를 통해서 배진 처리실(30)과 연통하고 있다. 배진 처리실(30) 내에는 급동(10)의 축심과 대략 평행한 배진 처리동(31)이 축장착되어 있다. 배진 처리동(31)의 요동 선별 선반(20)과 반대측(정면을 향해서 우측)은 측판(32)에 의해 포위되고, 배진 처리동(31)의 요동 선별 선반(20)측(정면을 향해서 좌측)은 처리물 배출구(33)가 형성되어 있다. 배진 처리동(31)의 외주면 중, 처리물의 이송 방향의 종단부(후단부)에는 블레이드체(34)가 설치되고, 이것보다 시단측에는 배진 처리 톱니(36)가 설치되어 있다.
배진 처리실(30)에 공급된 피처리물은 회전하는 배진 처리동(31)에 의해 해쇄, 처리되면서 종단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처리물 배출구(33)로부터 요동 선별 선반(20) 상에 배출되고, 또한 배진 처리실(30)의 종단은 폐쇄되어 있으며, 여기에 도달한 처리물은 블레이드체(34)에 의해 요동 선별 선반(20)의 짚체(25) 상에 배출되고, 이들 배출 처리물은 요동 선별 선반(20)에 의해 선별되어서 곡립은 회수되고, 짚부스러기 등은 기체 밖으로 배출된다. 배진 처리실(30)에 공급되는 피처리물 중에는 소량이지만 지경이 부착된 곡립이 포함되어 있고, 이 지경 부착립 및 작은 짚부스러기는 처리물 배출구(33)로부터 요동 선별 선반(20)에 낙하된다.
(2번 처리실)
배진 처리실(30) 전방측에는 2번 컨베이어(27)에 의해 회수된 2번물을 처리하는 2번 처리실(40)이 설치되어 있다. 2번 처리실(40) 내에는 외주면에 간헐 나선 블레이드를 갖는 2번 처리동(41)이 배진 처리동(31)과 동심적이며 또한 직렬적으로 축장착되어 있다. 2번 처리실(40)에 있어서의 2번 처리동(41)의 하방은 그 종단부를 제외하고 홈통 형상의 받침판(42)에 의해 포위되어 있고, 그 측부 상방은 개구되어 있으며, 그 개구부는 받침망(15)의 측부 하방에 위치하여 받침망(15)의 측부로부터 누설되어 나오는 탈곡 처리물은 2번 처리실(40)에 공급되게 되어 있다. 또한, 2번 처리실(40)에 있어서의 2번 처리동(41)의 종단부(전단부)의 하방은 2번 처리물 환원구(43)로서 요동 선별 선반(20)의 상류측에 있어서의 2번 처리실(40)측의 측부 상방에 개구되어 있다. 또한, 2번 처리동(41)의 시단측(후단측) 상방에는 2번 컨베이어(27)로부터 공급되는 2번물의 공급구(44a)가 개구되어 있다.
2번 처리실(40)에서는 2번물이 2번 처리동(41)에 의해 반송되는 사이에 곡립의 분리와 지경 부착립으로부터의 지경의 제거가 행하여진 후, 2번 처리물 환원구(43)로부터 요동 선별 선반(20)에 낙하하고, 급실(11)로부터의 피처리물과 합류해서 재선별된다.
(흡인 배진 팬)
요동 선별 선반(20)의 종단부(후단부)의 상방에는 흡인 배진 팬(47)의 흡진구(44)가 개구되어 있다. 흡인 배진 팬(47)은 배풍구(46)를 갖는 케이싱(45)에 의해 덮여져 있다. 도시예에서는 요동 선별 선반(20)의 상방 공간의 양 측벽 중 배진 처리실(30)과 반대측의 측벽에 배진 처리실(30)과 대치하도록 흡인 배진 팬(47)이 부착되고, 그 부착 부위에 흡진구(44)가 개구되어 있지만, 이들의 설치 위치는 도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출짚 처리 장치)
탈곡 장치(3)의 후방측에서는 급실을 통과하여 탈곡을 끝낸 곡간, 즉 배출짚은 배출짚 반송 장치(14)에 인계되고, 배출짚 반송 장치(14)의 종단부로부터 배출짚 처리 장치로서의 커터 장치(48)에 배출된다. 커터 장치(48)는 상방으로부터 낙하 공급되는 배출짚을 한쌍의 로터리 커터 블레이드(49) 사이에 통과시켜서 절단하는 구조의 것이다. 로터리 커터 블레이드(49)의 외부측은 후드에 의해 피복되어 있고, 또한 로터리 커터 블레이드(49) 전방측에는 절단한 배출짚의 절단 짚부스러기를 후방으로 낙하시키도록 안내하기 위한 절단짚 안내판(50)이 설치되어 있다. 절단짚 안내판(50)은 상부가 상측 커터 블레이드(49)의 하부와 거의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있고, 하방에 도달함에 따라 후방측에 위치하도록 후방이 내려가게 경사지며, 절단짚 안내판(50)의 하부는 하측 커터 블레이드(49)의 하부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커터 장치(48) 대신에 다른 배출짚 처리 장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3번 배진구)
탈곡 장치(3)의 후방 측벽(55)에는 3번 배진구(56)가 개구되어 있고, 요동 선별 선반(20)의 후방부가 이 3번 배진구(56)를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3번 배진구(56)를 개폐하는 3번 배진구 셔터(57)가 설치되어 있고, 예를 들면 포장의 한 변을 예취 완료하여 다음 변을 향해서 선회할 때에, 이 3번 배진구 셔터(57)를 닫으면 배진 처리실(30)의 처리물 배출구(33)로부터 배출되는 배진 처리물에 포함되는 곡립을 3번 배진구(56)로부터 배출시키지 않고, 요동 선별 선반(20)의 제 2 시브(24) 또는 짚체(25)에 공급하여 체로 쳐서 선별에 의해 회수할 수 있다. 따라서, 3번 로스의 발생을 방지해서 탈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배진 처리실(30)과 흡인 배진 팬(47)의 흡진구(44)는 요동 선별 선반(20)을 사이에 두고 대치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3번 배진구 셔터(57)를 닫으면 배진 처리실(30)로부터 배출되는 배진 처리물이 흡인 배진 팬(47)의 흡진구(44)측을 향해서 광범위하게 확산되기 때문에 곡립의 회수 효율이 한층더 향상된다.
(풍구 송풍 조절)
풍구 풍동(17)의 송풍구(65)는 상방에 위치하는 천면부(67)와 하방에 위치하는 저면부(68) 사이에 개구되어 있고, 이들 천면부(67)와 저면부(68)의 상하 중간에 바람 분할부(66)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송풍구(65)는 바람 분할부(66)와 천면부(67) 사이의 상측 풍로(74)와, 바람 분할부(66)와 저면부(68) 사이의 하측 풍로(75)로 구획되어 있다.
바람 분할부(66)는 송풍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의 회동축(66x)(도 12 참조)을 회동 중심으로 하고, 또한 상면(69) 및 하면(71, 72)이 송풍 방향 하류측을 향해서 비스듬하게 상향으로 되는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또한, 바람 분할부(66)의 회동축(66x)은 바람 분할부의 송풍 방향 중간에 위치하고 있으며, 회동축(66x)의 상류측 및 하류측이 상하 이동하도록 회동하게 되어 있다. 바람 분할부(66)의 회동축(66x)은 그 양단부가 선별실(18)의 양 측벽(18S)에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바람 분할부(66)의 회동에 의하여 바람 분할부(66)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각(이하 단지 경사각이라고도 함)을 최대까지 증가시켰을 때, 바람 분할부(66)에 있어서의 풍구(16)측의 단부가 송풍구(65)의 저면부(68)와 근접 또는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5 및 도 6 참조).
또한, 천면부(67)도 송풍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의 회동축(67x)을 회동 중심으로 하고, 또한 하면이 송풍 방향 하류측을 향해서 비스듬하게 상향으로 되는 각도 범위 내에서 바람 분할부(66)와 같은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천면부(67)의 회동축(67x)은, 도시예에서는 천면부(67)의 풍구(16)측 단부에 위치하고 있지만, 송풍 방향 중간이나, 송풍 방향 하류측 단부에 위치시킬 수도 있고, 어떻게 하든 천면부(67)의 하류측이 상하 이동하도록 회동하면 된다. 천면부(67)의 회동축(67x)도 그 양단부가 선별실(18)의 양 측벽(18S)에 축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는, 풍구(16)로부터 공급되는 일정량의 바람의 상측 풍로(74) 및 하측 풍로(75)에 대한 배분 비율은, 상측 풍로(74) 및 하측 풍로(75)의 개구도의 비율에 의해 정해진다. 따라서, 하측 풍로(75)의 개구도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천면부(67) 및 바람 분할부(66)가 같은 방향으로 연동해서 회동하면 하측 풍로(75)의 풍량은 감소하고, 반대로 상측 풍로(74)의 풍량은 증가함과 아울러 하측 풍로(75)의 풍향은 바람 분할부(66)의 하면의 각도 변화에 따라 변화되고, 상측 풍로(74)의 풍향은 천면부(67)의 각도 변화 및 바람 분할부(66)의 하면의 각도 변화에 따라 변화된다. 한편, 하측 풍로(75)의 개구도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천면부(67) 및 바람 분할부(66)가 같은 방향으로 연동해서 회동하면 하측 풍로(75)의 풍량은 증가하고, 반대로 상측 풍로(74)의 풍량은 감소한다. 하측 풍로(75)의 풍향은 바람 분할부(66)의 하면의 각도 변화에 따라 변화되고, 상측 풍로(74)의 풍향은 천면부(67)의 각도 변화 및 바람 분할부(66)의 하면의 각도 변화에 따라 변화된다. 즉, 상측 풍로(74) 및 하측 풍로(75)의 풍향 및 풍량을 동시에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처리량 검출 센서)
바람 분할부(66) 및 천면부(67)의 경사각은 처리물량에 관계없이 고정으로 해도 되지만, 요동 선별 선반(20)의 선반 위 처리물의 양을 검출하는 처리량 검출 센서(95)를 설치하고, 이 처리량 검출 센서(95)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선반 위 처리물의 양이 증가했을 때에 바람 분할부(66) 및 천면부(67)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각을 감소시키고, 선반 위 처리물의 양이 감소했을 때에 바람 분할부(66) 및 천면부(67)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각을 증가시키는 제어 장치(도시 생략)를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처리물량에 증감이 있어도 요동 선별 선반(20) 상의 처리물량 검출 결과에 따라 바람 분할부(66) 및 천면부(67)의 경사각이 적절하게 자동 조정되어, 최적인 곡립 손실과 선별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처리량 검출 센서(95)는 공지의 접촉 또는 비접촉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도시예에서는, 2번 처리실(40)의 받침판(42)에 있어서의 종단측(2번 처리물 환원구측 또는 전단측) 부분과, 박힌 곡립 회수실(11E)의 중간 격벽(11K)의 하단부가 센서 스테이(95S)에 의해 연결되고, 이 센서 스테이(95S)에 포텐셔미터 등의 회전량 검출 장치(96)가 부착됨과 아울러, 이 회전량 검출 장치(96)의 검출축(96x)에 플로트(97)가 매달린 상태로 부착되어 있고, 이 플로트(97)가 요동 선별 선반(20)의 이송 선반(22) 상을 이동하는 피처리물에 접촉하여 피처리물이 이동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들어올려지고, 그 회전량이 이송 선반(22) 상을 이동하는 피처리물의 층두께로서 회전량 검출 장치(96)에 의해 검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예와 같이 플로트(97)가 회동하는 타입의 경우, 플로트(97)의 회동 중심[즉 도시예에서는 검출축(96x)]이 2번 환원물의 흐름 또는 선반 위 처리물 전체의 흐름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되고, 평면으로 볼 때에 요동 선별 선반(20)의 요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선반 위 처리물의 흐름 방향과, 이것에 접촉하는 플로트(97)의 회동 방향이 일치하거나 또는 가까워지기 때문에 플로트(97)가 원활하게 동작하고, 처리물량의 변화에 대하여 정확하고 또한 민감하게 반응하게 된다.
이 경우, 플로트(97)의 작동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플로트(97)에 있어서의 회동 중심 방향 한쪽, 특히 도시예와 같이 이송 선반(22)의 이송 방향 하류측에 플로트(97)의 회동 중심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센서 플로트(97)의 회동 방향과 대략 평행]으로 연장되는 끌어당김판(98)을 세워서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 이것에 의해, 이송 선반(22)에 의한 요동 작용에 의해 선반 위 처리물의 이동 방향이 어긋나 간다고 해도, 그 플로트(97) 근방에서는 끌어당김판(98)에 의해 이동 방향이 규제되기 때문에 선반 위 처리물의 흐름 방향과 이것에 접촉하는 플로트(97)의 회동 방향이 대략 일치하고, 플로트(97)가 더한층 원활하게 동작하게 된다.
또한, 플로트(97)의 형상은, 도시예와 같이, 적어도 선반 위 처리물과 접촉하는 부분(도시예에서는 선반 위 처리물이 없는 비접촉 상태이며, 선반 위 처리물의 이동 방향 상류측의 면)이 선반 위 처리물의 슬라이딩 방향의 중간부 정도 돌출되는 호형상 곡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일반적으로 이송 선반(22) 상에 있어서는 처리물량이 편재되고, 특히 2번 처리물 환원구(43)의 하방 근방에 있어서의 처리물량이 가장 많아진다. 따라서, 처리량 검출 센서(95)는 2번 처리물 환원구(43) 근방에 있어서의 요동 선별 선반(20)의 선반 위 처리물의 양을 검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시예에서는 플로트(97)를 2번 처리물 환원구(43)의 근방에 배치하고 있다.
(시브 청소 장치)
도 5∼도 7, 도 10,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시브(23) 상을 왕복 이동함으로써 청소를 행하는 청소 부재(80)가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시브(23)는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복수의 청소 부재(80, 80, 80…)를 구비하고 있고, 이 청소 부재(80)는 도 19∼도 22에 상세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을 따르는 플레이트부(81)[청구항에 있어서의 플레이트(81)]와, 제 1 시브(23)의 각 시브 부재(23b)의 상면에 접촉해서 부착물을 제거하는 스크레이퍼부(82)[청구항에 있어서의 스크레이퍼(82)]를 갖는 것이다.
이들 청소 부재(80, 80, 80…)는, 도 15 및 도 16에 상세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의 연결 부재(83, 83)와 좌우의 보강판(84, 84)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유닛(T)을 형성하고, 이 유닛(T)을 제 1 시브(23)에 대하여 좌우 횡방향[시브 부재(23b)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하고 있다. 또한,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부(81)는 상하 방향을 따르는 수직 자세로 세워서 설치되어 있고, 그리고, 각 플레이트(81)에는 시브 부재(23b)의 단면 형상에 맞춘 가이드 구멍(81h)을 형성하고, 각 가이드 구멍(81h)에 각 시브 부재(23b)를 삽입해서 슬라이딩 안내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스크레이퍼부(82)는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는 시브 부재(23b)의 경사 상면에 접촉해서 미끄럼접촉 이동에 의해 부착물을 제거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스크레이퍼부(82)는 이동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는 날 가장자리(가장자리부)(82a)를 플레이트부(81)를 사이에 두고 좌우 대칭으로 갖고, 평면으로 볼 때에 대략 八자형의 날 가장자리(가장자리부)(82a, 82a)를 갖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형상에 의해 좌우의 왕복 이동에 대한 부착물의 제거를 무리없이 확실하게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스크레이퍼부(82)는 정면으로 볼 때에 산형의 경사각을 유지하기 위해 상승 경사면(82s, 82s)(도 19∼도 21 참조)이 형성되고, 횡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그 상승 경사면(82s, 82s)에 의해 각 시브 부재(23b)면 상의 부착물이 상방으로 떠올려지도록 되어 있다. 스크레이퍼부(82)의 최고 돌출단부(82e)는 시브 부재(23b)의 절곡 능선과 합치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고, 시브 부재(23b)의 절곡부에 쌓인 짚부스러기나 진애의 제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각 시브 부재(23b)의 가이드 구멍(81h)의 내면과 시브 부재(23b)의 외면 사이에는 곡립의 지경이 들어가는 정도의 간극을 형성하면 된다.
플레이트부(81)와 스크레이퍼부(82)는 별체로 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형태와 같이 일체로 하고, 특히 합성수지재에 의해 일체 성형한 구성으로 하면 제조 용이성, 비용, 메인터넌스성의 점에서 뛰어나다. 또한, 시브(23)와의 사이의 슬라이딩 저항이 경감되어 이 플레이트부(81) 및 스크레이퍼부(82)의 왕복 이동을 원활화할 수 있다.
각 청소 부재(80)를 구동하기 위한 청소 부재 구동 장치(V)[청구항에 있어서의 구동 장치(V)]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6, 도 17,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모터(85)와, 번갈아 당김 조작하는 한쌍의 조작 케이블(86b, 86b)과, 왕복 회동하는 천칭(天秤) 암(87)과, 천칭 암 축(87a)과, 왕복 회동하는 요동 암(88) 등의 연동 기구로 구성한다. 즉, 구동 모터(85)의 회전 구동에 의해 조작 케이블(86b, 86b), 천칭 암(87), 천칭 암 축(87a), 요동 암(88) 등의 연동 기구를 통해서 각 청소 부재(80)가 좌우 횡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구동 모터(85)를 구동하면 크랭크 암(86)의 회전에 의해 크랭크 핀(86p)에 대하여 연결된 한쌍의 조작 케이블(86b, 86b)이 번갈아 당김 조작되고, 천칭 암(87)의 왕복 회동에 의해 천칭 암 축(87a)을 회동 중심으로 해서 요동 암(88)이 좌우로 왕복 요동하고, 요동 암(88)의 긴 구멍(88h)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돌출부(89)를 갖는 청소 부재(80)가 좌우 횡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왕복 이동되게 되어 있다. 이 좌우 횡방향의 왕복 이동범위(이동 스트로크)가 각 청소 부재(80, 80, 80…) 사이의 배치 피치(P)보다 크게 되어 있으면, 스크레이퍼부(82)가 시브 부재(23b)의 전역에 걸쳐 작용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 형태에서는 청소 부재(80, 80, 80…)의 요동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지만 간헐적이어도 좋다. 또한, 청소 부재(80, 80, 80…)의 구동 모터(85)를 탈곡 조작, 예를 들면 탈곡 클러치의 온 조작에 연동해서 자동으로 구동을 개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비연동으로 해서 임의의 스위치에 의해 구동을 개시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같이, 크랭크 핀(86p)과 조작 케이블(86b)은 스프링(86s) 및 플레이트(86t)를 개재해서 연결 유지시키면 조작 케이블(86b)에 무리한 가중(加重)이 걸리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요동 암(88)의 배치는 적당하게 설계할 수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동 선별 선반(20)의 상방으로부터의 처리물이 다량으로 낙하되는 쪽과는 반대측의 측부에 배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동 선별 선반(20) 상으로의 처리물 낙하량은 피드 체인(13B)측에서 적고, 2번 처리동(41)측이 많아지기 때문에, 요동 선별 선반(20)의 피드 체인(13B)측에 요동 암(88)을 배치 함으로써 요동 선별 선반(20)의 좌우 밸런스를 균등화할 수 있다. 또한, 요동 암(88)부는 이송 선반(22)의 하방이며 풍구 풍동(17)의 상방 후방부의 공간부에 설치함으로써 요동 선별 선반(20)부의 사각부(死角部)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컴팩트하게 배치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천칭 암(87)이나 조작 케이블(86b)에 대해서도 이송 선반(22)과 풍구 풍동(17) 사이에 배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 선별 선반(20)을 구성하는 요동 선별 케이스의 전방벽(20a)부에는 요동 암(88)을 요동 안내하는 가이드 구멍(20d)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 구멍(20d)부에는 상기 가이드 구멍(20d)을 탄성적으로 폐쇄하는 슬릿을 갖는 탄성 시일 부재(브러시체)(20g)가 설치되어 있다. 요동 암(88)은 가이드 구멍(20d)을 따라 시일 부재(20g)의 슬릿를 눌러 벌리면서 요동 운동하게 되기 때문에, 시일 부재(20g)에 의해 가이드 구멍(20d)이 항상 폐쇄되어 가이드 구멍(20d)으로부터의 벼나 짚부스러기나 진애의 유출이 방지된다.
본 실시형태와 같은 크랭크 암(86)의 회전 운동에 의해 청소 부재(80, 80, 80…)를 요동 구동하는 것에서는, 청소 부재(80, 80, 80…)의 작동(이동) 속도가 작동 범위의 중앙부에서 빠르고, 작동 범위의 양단측에서 느려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중앙부에서의 확산 효과도 크고 스크레이퍼부(82)에 의해 끌어당겨진 짚부스러기나 진애가 빠르게 제거되게 된다. 또한, 스크레이퍼부(82)의 작동 토크를 작동 범위의 중앙부보다 양단측을 크게 함으로써 스크레이퍼부(82)에 의해 끌어당겨지지 않고 남은 짚부스러기나 진애를 역방향으로 구동할 때, 필요한 토크가 크기 때문에 스크레이퍼부(82)의 작동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청소 부재(80)의 마모에 의한 교환이나, 청소 부재(80)와 시브 부재(23b) 사이에 막힌 짚부스러기의 제거 등, 청소 부재(80)를 제 1 시브(23)로부터 분리하는 메인터넌스가 필요하게 될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제 1 시브(23)에서는 시브 부재(23b)로 이루어지는 시브 본체부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판형상의 시브 지지부(23s) 중 어느 한쪽의 시브 지지부(23s)에,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시브 부재(23b)의 단부를 넣고 뺄 수 있게 삽입하는 시브 부재 삽입 구멍(23h)을 형성함과 아울러, 다른쪽의 시브 지지부(23s)에 각 시브 부재(23b)를 용접 등에 의해 고정하고, 한쪽의 시브 지지부(23s)의 시브 부재 삽입 구멍(23h)에 다른쪽의 시브 지지부(23s)로부터 빗 형상으로 돌출되는 각 시브 부재(23b)의 단부를 삽입한 상태에서, 시브 부재(23b)의 하방에 있어서 양쪽의 시브 지지부(23s) 사이에 걸치는 봉형상 등의 연결 부재(23f)를 개재시켜, 연결 부재(23f)와 양쪽의 시브 지지부(23s)를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볼트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이 볼트를 푸는 것에 의해 한쪽의 시브 지지부(23s)를, 다른쪽의 시브 지지부(23s)에 고정된 시브 부재(23b)에 대하여 분리하여 시브 부재(23b)의 일단을 개방한 상태에서, 이 개방단으로부터 시브 부재(23b)에 대한 청소 부재(80)의 빼어냄 및 삽입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시브(23)에 대하여 청소 부재(80)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어 청소 부재(80)와 시브(23) 사이에 막히는 짚부스러기를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는 등 시브(23)의 청소를 충분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청소 부재(80)의 교환도 용이하게 된다. 또한 이 구조에서는, 연결 부재(23f)에 의해 시브 유닛의 강성도 충분하게 확보된다.
시브 부재 삽입 구멍(23h)의 치수·형상은 시브 부재(23b)의 치수·형상에 맞춰도 좋지만, 본 실시형태와 같이, 치수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의 여유분[시브 부재 삽입 구멍(23h)와 시브 부재(23b)의 간극, 덜걱거림]을 갖게 하면, 시브 지지부(23s)에 대한 시브 부재(23b)의 고정 정밀도나 장치 구동시의 시브 부재(23b)의 변형을 이 여유분에 의해 흡수할 수 있어 청소 부재(80)의 작동을 원활화할 수 있다.
(시브 착탈 기구)
특징적으로는,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시브(23)는 요동 선별 선반(20)의 상방으로의 분리 및 요동 선별 선반(20)의 상방으로부터의 부착이 가능하도록 부착된다. 이것에 의해, 도 8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드 체인부(9) 및 덮개체(11Z)를 개방함으로써 점검구(11S)를 통해서 급실(11) 내에 손을 넣어 제 1 시브(23)를 상방으로 분리하여 점검구(11S)로부터 기기 밖으로 꺼내고, 또한 반대로 기기 내에 넣어서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시브(23)에 막힌 짚부스러기를 제거하는 등의 메인터넌스를 요동 선별 선반(20)의 분해를 요하지 않고 매우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선별망의 상류측 부분이 제 1 시브(23)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어, 제 1 시브(23)를 기기 밖으로 분리함으로써 그 하방에 위치하는 선별망(28)이 점검구(11S)측에 노출되기 때문에, 요동 선별 선반(20)을 분리하지 않고 점검구(11S)를 통해서 요동 선별 선반(20) 상방으로부터 기기 내에 구비되어 있는 선별망(28)의 청소 등의 메인터넌스를 행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제 1 시브(23)의 상방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는 적당하게 정할 수 있지만, 제 1 시브(23)에 상술한 바와 같은 청소 부재(80)를 부착할 경우에는 청소 부재(80)에 대한 전동(傳動)을 제 1 시브(23)의 상방 이동에 따라 분리하고, 또한 제 1 시브(23)의 하방 이동에 따라 연결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4∼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청소 부재(80)의 적소, 예를 들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드 체인(13B)측의 끝에 위치하는 청소 부재(80)의 플레이트부(81)의 측면으로부터 제 1 시브(23)의 하방으로 연결 핀(89p)을 돌출시키고, 이 연결 핀(89p)에 카라(89c)를 부착해서 상술의 돌출부(89)를 구성하고 있다. 제 1 시브(23)를 부착할 때에는 청소 부재(80)를 장착한 제 1 시브(23)를 요동 선별 선반(20) 상에 적재하고, 돌출부(89)를 상술의 요동 암(88)의 긴 구멍(본 발명의 맞물림부에 상당함)(88h)에 삽입함으로써 전동을 연결한다. 제 1 시브(23)는 양 측부의 시브 지지부(23s)에 있어서 요동 선별 선반(20)에 볼트(23v) 등의 착탈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제 1 시브(23)를 분리할 때에는 요동 선별 선반(20)에 대한 제 1 시브(23)의 고정을 해제한 후,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청소 부재(80)를 장착한 상태의 제 1 시브(23)를 요동 선별 선반(20)의 상방으로 들어올리고, 돌출부(89)를 요동 암(88)으로부터 빼어냄으로써 전동의 분리와 함께 제 1 시브(23)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요동 암(88)의 긴 구멍(88h)은 도시예와 같이 구멍 부분이 선단에 도달되어 있어 포크 형상을 이루는 형태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이송 선반(22) 상으로부터 제 1 시브(23) 상에 걸쳐지는 끌어당김판(98)을 부착하는 경우에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끌어당김판(98)을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하고, 분리한 끌어당김판(98)을 점검구(11S)로부터 꺼낼 수 있게 함으로써 끌어당김판(98)을 먼저 분리할 수 있어 끌어당김판(98)의 방해없이 제 1 시브(23)를 상방으로 분리할 있게 된다.
또한, 급실(11)의 하측에 장설되는 받침망(15) 중의 피드 체인부(9)측의 단부가, 받침망(15)의 하측에 있어서 전후 방향을 따라 걸쳐 설치된 봉형상 등의 받침망 고정 부재(15U)에 맞물림 및 이탈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피드 체인(13B)을 개방한 상태에서 받침망 고정 부재(15U)가 점검구(11S)를 가로지를 경우, 이 받침망 고정 부재(15U)가 제 1 시브(23)의 착탈 등의 작업의 방해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도 5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받침망 고정 부재(15U)의 형상을 점검구(11S)보다 전방측 및 후방측의 부위이며 또한 점검구(11S)와 겹치는 상하 방향 범위에 받침망(15)의 피드 체인부(9)측의 단부에 맞물리는 맞물림부(15f)를 가짐과 아울러, 점검구(11S)와 겹치는 전후 방향 중간부에 받침망(15)의 피드 체인부(9)측의 단부가 맞물리는 일없이 측면으로 볼 때에 점검구(11S)를 우회하는 U자 형상을 이루도록 하방으로 만곡된 만곡부(15w)를 갖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만곡부(15w)와 받침망(15)의 피드 체인부(9)측의 단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경유하여 점검구(11S)로부터 제 1 시브(23)를 외부로 꺼낼 수 있으므로, 점검구(11S)로부터의 제 1 시브(23)의 착탈 등의 작업 공간이 확대되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기타)
(A) 급동(10) 후방측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동(10)을 전방 급동(101)과 후방 급동(102)으로 분할하고, 전방 급동(101)보다 후방 급동(102)의 속도를 빠르게 또는 회전수를 높게 하는 것이 알려져 있지만, 그 경우에는 제 1 시브(23)에 있어서의 후방 급동(102) 하방 부위에 짚부스러기나 진애가 부착되기 쉬울 뿐만 아니라, 강한 급동 기풍에 의해 제 1 시브(23) 상의 처리물이 좌우 방향 한쪽에 치우쳐서 선별능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제 1 시브(23)의 전후 방향 범위 중 적어도 후방 급동(102) 하방 부위에는 청소 부재를 설치하여 제 1 시브(23) 상에 부착되는 짚부스러기 등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키고, 또한 청소 부재(80)의 왕복 이동에 의해 제 1 시브(23) 상의 처리물을 평평하게 고르게 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B)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받침망(15) 구멍의 망목크기를 받침망(15)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구멍(15lb∼151d, 152b∼152d)에 대해서 전방측에 위치하는 구멍(151a, 152a)보다 크게 하면, 탈곡 처리물의 받침망(15) 통과 효율이 상승해서 곡물의 회수 효율은 향상되지만, 짚부스러기 등의 받침망(15) 통과도 촉진되기 때문에 제 1 시브(23) 상에 짚부스러기 등이 부착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상술의 청소 부재(80)를 설치함과 아울러 받침망(15)에 있어서의 청소 부재(80)의 상방 부위만 다른 부위보다 구멍의 망목크기를 크게 하는, 즉 도시 형태의 경우에는 받침망(15) 구멍의 망목크기를 받침망(15) 전방측에 위치하는 구멍(151a, 152a)보다 후방측에 위치하는 구멍(15lb∼151d, 152b∼152d)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받침망(15) 구멍의 망목크기가 큰 부분으로부터 곡립 뿐만 아니라 짚부스러기 등도 통과하기 쉬워지지만, 그 통과 위치 하방에는 청소 부재(8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시브(23)에 대한 짚부스러기 등의 부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받침망(15) 구멍의 망목크기를 크게 한다고 해도, 본 실시형태의 받침망(15)과 같이 내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른 칸막이 부재(15d)가 세워서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칸막이 부재(15d) 직전부의 구멍(151c, 152c)의 망목크기는 크게 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작게 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칸막이 부재(15d) 직전부는 급치(10b)의 압력이 걸리기 쉽고, 탈곡률이 높기 때문에, 이 부분에 있어서의 받침망(15) 구멍(151c, 152c)의 망목크기를 크게 하면 탈곡률이 저하할 뿐만 아니라, 짚부스러기 등의 받침망(15) 통과량이 국소 집중될 우려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같이, 2번 처리실(40)의 급동(10)측의 측부 상방이 개구되어 있고, 그 개구부가 받침망(15)의 측부 하방에 위치하며, 받침망(15)의 측부로부터 통과하는 탈곡 처리물이 2번 처리실(40)에 공급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27∼도 29에 상세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받침망(15)을 2번 처리실(40)의 급동측의 측부 상방에 위치하는 어퍼부(152)와, 이것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로어부(151)를 연결해서 구성하는 분할 구조로 하고, 로어부(151)만 칸막이 부재(15d) 직전부의 구멍(151c)의 망목크기를 크게 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작게 하고, 어퍼부(152)에 있어서는 칸막이 부재(15d) 직전부의 구멍(152c)인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청소 부재(80)의 상방 부위의 구멍(152b∼152d)만 다른 부위의 구멍(152a)보다 망목크기를 크게 하면 된다. 즉, 도시 형태의 경우에는 받침망(15)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구멍(152b∼152d)의 망목크기를 전방측에 위치하는 구멍(152a)의 망목크기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어부(151)로부터의 여과물은 직접적으로 제 1 시브(23)에 공급되기 때문에, 이 로어부(151)의 칸막이 부재(15d) 직전부에 있어서의 구멍(151c)의 망목크기를 크게 하지 않음으로써 1번물의 지경 비율이 감소하고, 선별 정밀도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어퍼부(152)로부터의 여과물은 2번 처리실(40)에 인도되어 요동 선별 선반(20) 전방측으로 되돌려지기 때문에, 칸막이 부재(15d) 직전부 아랫쪽으로의 짚부스러기 등의 집중 공급은 일어나기 어렵다. 또한 이 경우, 어퍼부(152) 구멍의 망목크기는 2번 처리실(40)의 반송 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는 구멍(152a) 쪽이 하류측에 위치하는 구멍(152b∼152d)보다 커지고, 어퍼부(152)로부터의 2번 처리실(40)로의 탈곡 처리물의 공급량은 반송 방향 상류측 쪽이 하류측보다 많아지기 때문에, 2번 처리실(40)의 처리 경로를 광범위하게 이용해서 처리할 수 있게 되어, 2번 처리실(40)의 처리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C) 상기 예는 제 1 시브만 청소 부재를 설치하거나, 또는 상방으로 착탈 가능하게 했지만, 시브인 한 다른 시브에 대해서도 동일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10 : 급동 11 : 급실
20 : 요동 선별 선반 23 : 시브
80 : 청소 부재 81 : 플레이트
82: 스크레이퍼 82a : 날 가장자리(가장자리부)
T : 유닛 V : 구동 장치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급동(10)을 구비한 급실(11)의 하방에 복수의 시브(23)를 구비한 요동 선별 선반(20)을 요동 가능하게 설치한 탈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브(23)의 표면 부착물을 깎아 떨어뜨리는 가장자리부(82a)를 가진 스크레이퍼(82)를 시브(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전후의 시브(23)에 구비한 복수의 스크레이퍼(82)를 상기 요동 선별 선반(20)의 요동 방향을 따르는 단일의 플레이트(81)에 일체화해서 청소 부재(80)를 형성하고, 상기 청소 부재(80)를 상기 시브(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스크레이퍼(82)의 가장자리부(82a)를 상기 스크레이퍼(82)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함과 아울러 상기 플레이트(81)의 좌우 양측으로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부재(80)를 합성수지재에 의해 일체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부재(80)를 상기 시브(23)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복수의 청소 부재(80)를 일체적으로 연결해서 유닛(T)을 형성하고, 상기 유닛(T)을 상기 시브(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T)을 상기 시브(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V)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KR1020100099062A 2009-12-25 2010-10-12 탈곡 장치 KR1012572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95144 2009-12-25
JP2009295144A JP5024363B2 (ja) 2009-12-25 2009-12-25 脱穀機の揺動選別棚清掃装置
JPJP-P-2010-120310 2010-05-26
JP2010120310A JP5146854B2 (ja) 2010-05-26 2010-05-26 コンバイン
JP2010217122A JP2012070656A (ja) 2010-09-28 2010-09-28 脱穀装置
JPJP-P-2010-217122 2010-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4653A KR20110074653A (ko) 2011-07-01
KR101257280B1 true KR101257280B1 (ko) 2013-04-23

Family

ID=44170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9062A KR101257280B1 (ko) 2009-12-25 2010-10-12 탈곡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257280B1 (ko)
CN (1) CN102106220B (ko)
TW (1) TWI4223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96357B (zh) * 2012-06-25 2015-07-08 莱恩农业装备有限公司 半喂入脱粒装置的脱粒凹板
CN113475218B (zh) * 2020-06-03 2022-11-11 苏州喜全软件科技有限公司 单纵轴流联合收获机清选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3439U (ja) * 1991-02-18 1992-09-07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脱穀機の揺動選別装置
JPH054841U (ja) * 1991-07-11 1993-01-26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選別装置
JP2004000031A (ja) 2002-05-30 2004-01-08 Iseki & Co Ltd 脱穀機の選別装置
JP2004081074A (ja) 2002-08-26 2004-03-18 Iseki & Co Ltd 脱穀機の選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3138U (zh) * 1988-12-19 1989-08-23 浙江省机电设计研究院 自动抖筛机
JP2879311B2 (ja) * 1995-03-17 1999-04-05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脱穀機の揺動選別装置
CN1245867C (zh) * 2000-06-14 2006-03-22 井关农机株式会社 收获机
JP4780322B2 (ja) * 2006-08-31 2011-09-28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08237134A (ja) * 2007-03-28 2008-10-09 Iseki & Co Ltd 脱穀装置
JP5136756B2 (ja) * 2007-10-23 2013-02-06 井関農機株式会社 脱穀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3439U (ja) * 1991-02-18 1992-09-07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脱穀機の揺動選別装置
JPH054841U (ja) * 1991-07-11 1993-01-26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選別装置
JP2004000031A (ja) 2002-05-30 2004-01-08 Iseki & Co Ltd 脱穀機の選別装置
JP2004081074A (ja) 2002-08-26 2004-03-18 Iseki & Co Ltd 脱穀機の選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134384A (en) 2011-10-16
CN102106220A (zh) 2011-06-29
KR20110074653A (ko) 2011-07-01
CN102106220B (zh) 2013-12-11
TWI422322B (zh) 201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9537B1 (ko) 탈곡 장치
KR101257280B1 (ko) 탈곡 장치
JP5146854B2 (ja) コンバイン
JP2017063636A (ja) コンバインおよびこのコンバインを用いた作業情報管理システム
JP2013074858A (ja) コンバイン
JP2010124719A (ja) コンバイン
JP5621628B2 (ja) 脱穀装置
JP5617527B2 (ja) 脱穀装置
JP5742001B2 (ja) 脱穀装置
JP5712795B2 (ja) 脱穀装置
JP2012205535A (ja) 脱穀装置
JP2012070656A (ja) 脱穀装置
JP5672546B2 (ja) 脱穀装置
JP2018057402A (ja) コンバインおよびこのコンバインを用いた作業情報管理システム
JP2017029062A (ja) コンバイン
JP2007060927A (ja) 脱穀装置
JP2011229398A (ja) 脱穀機の揺動選別装置
JP2017153394A (ja) コンバインおよびこのコンバインを用いた作業情報管理システム
JP2012000012A (ja) 脱穀装置
JP2012249548A5 (ko)
JP2016029946A (ja) 脱穀装置
JP2005229830A (ja) 脱穀装置
JP2009034057A (ja) コンバイン
JP2013179852A (ja) 脱穀装置
JP2007089463A (ja) 脱穀装置の揺動選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