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1178B1 - 로크 구조 및 상기 구조를 구비하는 로크 기구가 달린커넥터 - Google Patents

로크 구조 및 상기 구조를 구비하는 로크 기구가 달린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1178B1
KR101251178B1 KR1020050004846A KR20050004846A KR101251178B1 KR 101251178 B1 KR101251178 B1 KR 101251178B1 KR 1020050004846 A KR1020050004846 A KR 1020050004846A KR 20050004846 A KR20050004846 A KR 20050004846A KR 101251178 B1 KR101251178 B1 KR 101251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lock
lock arm
connector
hook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4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6655A (ko
Inventor
시미즈가즈오미
온찌아끼히꼬
미야찌다이스께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6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6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전방 슬라이드 금형과 후방 슬라이드 금형으로 성형되는 로크 아암이며, 폭이 넓은 후크부를 갖는 로크 아암을 둔 로크 기구가 달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로크 기구(11)는 플러그 프레임부(10A)의 외벽에 설치되는 로크 아암(3)과, 로크 아암(3)의 양쪽 블레이드에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부(5A, 5B)로 구성된다. 한 쌍의 지지부(5A, 5B)는 플러그 프레임부(10A)의 외벽으로부터 융기하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한 쌍의 지지부(5A, 5B)는 리셉터클(2)과 계지되는 후크부(3A)가 요동하도록 로크 아암(3)을 한 쌍의 토크 봉(4A, 4B)으로 양단부를 지지한다. 후크부(3A)를 포함하는 로크 아암(3)의 전방부(30F)는 전방 슬라이드 금형(3F)으로 형성된 오목부형의 부분(A1)에서 성형된다. 후방 슬라이드 금형(3R)으로 돌출 형성된 부분(B1)은 후크부(3A)의 계지면(32)을 폭 넓게 성형 가능하게 한다.
Figure R1020050004846
로크 기구, 로크 아암, 후크부, 전방부, 토크 봉, 계지면, 금형, 지지부

Description

로크 구조 및 상기 구조를 구비하는 로크 기구가 달린 커넥터 {LOCK STRUCTURE AND CONNECTOR WITH LOCK MECHANISM OF LOCK STRUCTURE THEREOF}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로크 기구가 달린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가 장착되는 상대측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 외관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사시 외관도이며, 플러그에 리셉터클이 장착된 상태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1)와 리셉터클(2)의 주요부 확대 사시 외관도.
도4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사시 외관도이며, 플러그와 리셉터클이 이격된 상태도.
도5는 도3의 실시 형태에 도시된 로크 기구와, 이 로크 기구를 성형하기 위한 한 쌍의 금형이 배치된 사시 외관도.
도6은 도5의 종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로크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 외관도.
도8a 및 도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로크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 외관도.
도9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64294호 공보에 의한 발명에 있어서, 로크 기 구가 달린 플러그 및 쌍을 이루는 리셉터클의 개략 사시도.
도10은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64294호 공보에 의한 발명에 있어서, 연결 상태의 양쪽 커넥터의 종단면도.
도11은 종래의 커넥터의 외벽에 설치되는 로크 아암을 갖는 로크 기구의 사시 외관도.
도12는 도11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6 : 플러그
2, 7 : 리셉터클
3 : 로크 아암
3A : 후크부
3B : 역점부
3C : 지지점부
4A, 4B : 토크 봉
5A, 5B : 지지부
10 : 플러그 하우징
10A : 플러그 프레임부
11 : 로크 기구
20 : 리셉터클 하우징
20A : 프레임부
30F : 전방부
30R : 후방부
40 : 래치부
40A : 안내부
40B : 계지부
90 : 프린트 기판
본 발명은, 상대측 커넥터와의 장착 상태를 유지하는 로크 기구를 갖는 전기 접속용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케이블이 달린 소켓 컨택트가 실장되어 있는 플러그와, 복수의 핀 컨택트를 갖는 리셉터클이 접속되는 전기 접속용의 1 세트의 커넥터가 있다. 이 경우, 전기 기기 혹은 전자 기기측에 리셉터클이 실장되고, 이 리셉터클에 케이블이 달린 플러그가 착탈된다.
이러한 전기 접속용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플러그와 리셉터클과의 접속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로크 기구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케이블 접속용 플러그는 로크 기구를 설치하는 경우가 특히 많다.
이러한 로크 기구가 달린 커넥터(플러그)로서, 종래 로크 기구를 갖는 플러그 하우징의 외벽면의 성형에는 2개의 슬라이드형이 필요로 하여 제조 비용이 높 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는 커넥터가 발명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64294호 공보 참조).
전술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64294호 공보에 있어서는, 로크 기구에 있어서의 로크 아암의 중간부를 지지부에 의해 탄성적으로 요동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로크 아암은 지지부보다도 장착 방향측에 위치하는 제1 부분과, 반 장착 방향측에 위치하는 제2 부분을 갖고 있다. 제1 부분은 후크부를 갖고, 제2 부분은 지압부를 갖고 있다. 제1 부분은 지지부의 장착 방향측에 대응하여 릴리프부를 갖고 있고, 릴리프부에 대응하는 외벽면의 부분을 외벽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주요형에 의해 성형하고 있다.
도9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64294호 공보에 의한 발명에 있어서, 로크 기구가 달린 플러그 및 쌍을 이루는 리셉터클의 개략 사시도이다. 본 출원의 도9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64294호 공보의 도1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도10은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64294호 공보에 의한 발명에 있어서, 연결 상태의 양쪽 커넥터의 종단면도이다. 본 출원의 도10은,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64294호 공보의 도3에 대응하고 있다.
도9에 있어서, 리셉터클(9B)은 프린트 기판(90)의 표면에 고정되어 있다. 플러그(9A)는 병렬 배치된 복수의 케이블(9C)의 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리셉터클(9B)에 대해, 플러그(9A)가 연결된다.
리셉터클(9B)은 합성 수지제의 리셉터클 하우징(91)과 복수의 단자(91A)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단자(91A)는 리셉터클 하우징(91)을 관통하고 있고, 가로 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91)의 하방으로 돌출하는 단자(91A)의 선단부는 프린트 기판(90)에 납땜에 의해 고정된다.
리셉터클 하우징(91)은 연결측 단부면이 개구되어 있고, 대응하는 상대측의 플러그(9A)의 일부를 삽입 발출시키는 삽입 발출 오목부(91B)를 갖고 있다. 삽입 발출 오목부(91B)에는 복수의 단자(91A)가 정렬 배치되어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91)의 외벽면에는, 한 쌍의 결합 돌기부(93A, 93B)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결합 돌기부(93A, 93B)는, 플러그(9A)측의 로크 기구(92)의 후크부(92A, 92B)와 걸쳐 결합한다. 한 쌍의 결합 돌기부(93A, 93B)는 세로 리브(93L)를 끼운 양측의 오목부(93C, 93D)로 형성되어 있다.
각 결합 돌기부(93A, 93B)는, 대응하는 오목부(93C, 93D)의 전체 폭에 걸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의 강도가 향상되어 있다, . 각 결합 돌기부(93A, 93B)는 후크부(92A, 92B)의 결합을 안내하는 경사형의 안내부(93E, 93F)를 갖고 있다.
한편, 플러그 하우징(94)의 외벽면에는 판형을 이루어 외벽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로크 아암(92L)이 설치되어 있다. 로크 아암(92L)의 중간부는 외벽면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92M)(도10 참조)에 의해 탄성을 갖고 요동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부(92M)는 로크 아암(92L)의 폭 방향의 양측부를 플러그 하우징(94)의 외벽면에 연결되어 있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 아암(92L)은 지지부(92M)보다도 상대측의 리셉터클(9B)로의 장착 방향 A측에 위치하는 제1 부분(921)과, 지지부(92M)보다도 반 장착 방향 B측에 위치하는 제2 부분(922)을 갖고 있다. 제1 부분(921)은 상대측의 리셉터클(9B)의 결합 돌기부(93A, 93B)에 걸쳐 결합하는 후크부(92A, 92B)를 포함하고 있다. 제2 부분(922)은 지압부(92F)를 포함하고 있다. 후크부(92A, 92B)는 제1 부분(921)의 전체 폭에 걸쳐 설치되어 있고, 제1 부분(921)의 강도 향상이 도모되어 있다.
이와 같이, 로크 기구(92)에 있어서의 로크 아암(92L)의 중간부를 지지부(92M)에 의해 탄성적으로 요동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로크 아암(92L)은 지지부(92M)보다도 장착 방향 A측에 위치하는 제1 부분(921)과, 반 장착 방향 B측에 위치하는 제2 부분(922)을 갖고 있다.
그리고, 제1 부분(921)은 후크부(92A, 92B)를 갖고 있고, 제2 부분(922)은 지압부(92F)를 갖고 있다. 제1 부분(921)은 지지부(92M)의 장착 방향 A측에 대응하여 상반되는 릴리프부(92C, 92D)(도9 참조)를 형성하고 있다. 릴리프부(92C, 92D)에 대응하는 외벽면의 부분을 외벽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주요형에 의해 성형할 수 있다.
도11은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64294호 공보에서 개시되는 종래의 커넥터의 외벽에 로크 아암을 갖는 로크 기구의 사시 외관도이다. 또한, 도12는 도11의 종단면도이다.
도11에 도시된 전형적인 로크 아암(101)을 갖는 로크 기구(100)는, 플러그 하우징의 외벽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로크 아암(101)은 그 지지점부를 플러그 하우징의 외벽면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103, 104)에 의해 탄성을 갖고 요동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로크 아암(101)의 전방부(10F)는 상대측 리셉터클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톱날형의 후크부(102)를 갖고 있다. 한편, 로크 아암(101)의 후방부(10R)는 역점부가 되는 지압부(105)를 형성하고 있다.
도11에 도시된 전형적인 로크 아암(101)은, 대향 배치된 전방 슬라이드 금형(91F)과 후방 슬라이드 금형(92R)으로 성형된다. 전방 슬라이드 금형(91F)은 상대측 리셉터클의 삽입 방향(도면 중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고, 후방 슬라이드 금형(92R)은 상대측 리셉터클과의 반 삽입 방향(도면 중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하고, 전방 슬라이드 금형(91F)과 후방 슬라이드 금형(92R)이 조합되어 로크 아암(101)이 성형된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 아암(101)의 전방부(10F)는 주로 하여 전방 슬라이드 금형(91F)으로 성형되고, 로크 아암(101)의 후방부(10R)는 주로 하여 후방 슬라이드 금형(92R)으로 성형된다.
그러나,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부(102)의 후방부는, 후방 슬라이드 금형(92R)으로 돌출 형성된 부분(R1)으로 성형된다. 이러한 부분(R1)은 한 쌍의 지지부(103, 104) 사이를 관통하여 후크부(102)의 후방부를 성형한다. 한편, 후크부(102)의 전방부는 전방 슬라이드 금형(91F)으로 형성된 오목부(F1)로 성형된다.
또한,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부(103, 104)의 전방부는, 전방 슬라이드 금형(91F)으로 돌출 형성된 2 갈래의 부분(F2)으로 성형된다. 한편, 한 쌍의 지지부(103, 104)의 후방부는 후방 슬라이드 금형(92R)의 부분(R1)의 양쪽 블 레이드로 형성된 부분(R2)으로 성형된다.
전방 슬라이드 금형(91F)과 후방 슬라이드 금형(92R)으로 성형되는 로크 아암(101)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부(103, 104)에 차단되어 후크부(102)의 가로 폭(W)을 로크 아암(101)의 전체 가로 폭보다 좁은 것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가로 폭이 좁은 후크부를 갖는 로크 아암은 상대측 리셉터클로 형성되는 래치부와의 결합 상태를 불완전한 것으로 할 우려가 있다. 전방 슬라이드 금형과 후방 슬라이드 금형으로 성형되는 로크 아암이며, 폭이 넓은 후크부를 갖는 로크 아암 및 이 로크 아암을 갖는 로크 기구 및 로크 기구가 달린 커넥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로크 아암을 갖는 로크 기구가 달린 커넥터에 있어서, 전방 슬라이드 금형과 후방 슬라이드 금형으로 성형되는 로크 아암이며, 폭이 넓은 후크부를 갖는 로크 아암 및 이 로크 아암을 갖는 로크 기구를 구비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충족하기 위해, 로크 아암의 지지점을 원 기둥형의 토크 봉으로 양단부를 지지하는 구조로 하고, 이하와 같은 새로운 로크 기구가 달린 플러그를 제공한다.
① 상대측 커넥터와의 장착 상태를 유지하는 로크 기구를 커넥터 본체의 외벽면에 구비하는 로크 기구가 달린 커넥터이며,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외벽면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와, 후크부가 요동하도록 지지점부를 양단부 지지하고 있는 한 쌍의 토크 봉이 상기 한 쌍의 지지부와 결합하고 있는 로크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로크 아암은 상기 한 쌍의 토크 봉의 회전 중심보다도 상기 상대측 커넥터로의 장착 방향에 위치하는 전방부와, 상기 한 쌍의 토크 봉의 회전 중심보다도 상기 상대측 커넥터로의 반 장착 방향에 위치하는 후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부는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구비되는 래치부에 계지되는 상기 후크부를 포함하는 동시에, 상기 후방부는 역점부가 되는 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부 중 상기 후크부에 있어서의 선단부면은 상기 상대측 커넥터로의 장착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후크부에 있어서의 계지면은 상기 한 쌍의 토크 봉에 차단되는 일 없이 상기 상대측 커넥터로의 반 장착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후크부에 있어서의 계지면은 상기 로크 아암의 가로 폭과 적어도 동일한 계지 폭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기구가 달린 커넥터.
② 상기 전방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후크부는 상기 상대측 커넥터로의 장착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홈을 끼우는 한 쌍의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①에 기재된 로크 기구가 달린 커넥터.
③ 상기 전방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후크부는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구비되는 래치부에 삽입 용이해지도록 상기 후크부의 양측면에 한 쌍의 절결부가 더욱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① 또는 ②에 기재된 로크 기구가 달린 커넥터.
①에 기재된 측면에 따르면, 상대측 커넥터와의 장착 상태를 유지하는 로크 기구를 커넥터 본체의 외벽면에 구비하는 로크 기구가 달린 커넥터이다. 여기서,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외벽면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와, 후크부가 요동하도록 지지점부를 양단부 지지하고 있는 한 쌍의 토크 봉이 상기 한 쌍의 지지부와 결합하고 있는 로크 아암을 포함한다. 상기 로크 아암은, 상기 한 쌍의 토크 봉의 회전 중심보다도 상기 상대측 커넥터로의 장착 방향에 위치하는 전방부와, 상기 한 쌍의 토크 봉의 회전 중심보다도 상기 상대측 커넥터로의 반 장착 방향에 위치하는 후방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부는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구비되는 래치부에 계지되는 상기 후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후방부는 역점부가 되는 지압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부 중 상기 후크부에 있어서의 선단부면은 상기 상대측 커넥터로의 장착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후크부에 있어서의 계지면은 상기 한 쌍의 토크 봉에 차단되는 일 없이 상기 상대측 커넥터로의 반 장착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후크부에 있어서의 계지면은, 상기 로크 아암의 가로 폭과 적어도 동일한 계지 폭이 마련되어 있다.
①에 기재된 측면에서는, 상대측 커넥터와의 장착 상태를 유지하는 로크 기구를 커넥터 본체의 외벽면에 구비하는 로크 기구가 달린 커넥터이다. 그리고,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외벽면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와, 후크부가 요동하도록 지지점부를 양단부 지지하고 있는 한 쌍의 토크 봉이 상기 한 쌍의 지지부와 결합하고 있는 로크 아암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로크 아암은, 상기 한 쌍의 토크 봉의 회전 중심보다도 상기 상대측 커넥터로의 장착 방향에 위치하는 전방부와, 상기 한 쌍의 토크 봉의 회전 중심보다도 상기 상대측 커넥터로의 반 장착 방향에 위치하는 후방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부는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구비되는 래치부에 계지되는 상기 후크부를 포함한다. 상기 후방부는 역점부 가 되는 지압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부 중, 상기 후크부에 있어서의 선단부면은 상기 상대측 커넥터로의 장착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후크부에 있어서의 상기 선단부면과 대향하는 계지면은 상기 한 쌍의 토크 봉에 차단되는 일 없이 상기 상대측 커넥터로의 반 장착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 본체의 외벽면과 대향하는 상기 로크 아암의 바닥면 중, 상기 계지면 이후부터 상기 상대측 커넥터로의 반 장착 방향으로 도달하는 바닥면은 거의 평활한 면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후크부에 있어서의 계지면은, 상기 로크 아암의 가로 폭과 적어도 동일한 계지 폭이 마련되어 있다.
커넥터 본체의 외벽면에 설치되는 로크 아암을 갖고 있는 로크 기구는, 커넥터 본체의 양측면에 상반되도록 한 쌍에 배치되어 좋다. 커넥터 본체 중 하나의 외벽에 단독으로 배치되어도 좋다.
상대측 커넥터는, 패널을 포함하는 장치에 부착되는 모서리형 커넥터라 좋다. 프린트 기판에 실장되는 프린트 기판용 모서리형 커넥터라 좋다. 상대측 커넥터에 장착되는 본 발명의 커넥터는 케이블이 달린 모서리형 커넥터라 좋다. 상기 케이블은 플랫 케이블을 포함해서 좋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쉘 타입의 다극 플러그라서 좋다. 상대측 커넥터가 쉘 타입의 다극 리셉터클이라서 좋다. 쉘 타입의 다극 플러그는, 통상 암형 컨택트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대측의 쉘 타입의 다극 리셉터클은 수형 컨택트가 삽입되어 있다. 그러나, 수형 컨택트가 플러그에 삽입되고, 암형 컨택트가 리셉터클에 삽입되어도 좋다.
로크 아암은, 요동하는 선단부가 톱니 형상으로 형성된 후크부라서 좋다. 상기 후크부가 산맥 형상으로 돌출하는 래치부에 걸쳐 결합함으로써, 상기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가 로크된다.
로크 아암의 지지점부를 양단부 지지하는 토크 봉은, 비틀림 회전력을 받는 봉이며, 상기 토크 봉이 중공(관)인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토크 봉은 둥근 봉(원 기둥)에 한정되지 않는다. 팽창 원 기둥이라도 좋고, 대개 원 기둥이나 모서리 기둥이라도 좋고, 원 기둥의 원호가 절결되어도 좋다.
한 쌍의 지지부는 하우징의 외벽으로부터 융기되도록, 직방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좋고, 하부변이 상부변보다 넓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한 쌍의 지지부는 커넥터 본체의 외벽과 동일면이 되도록 플랜지 형상으로 돌출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크 아암의 전방부 중 후크부에 있어서의 선단부면은 상대측 커넥터로의 장착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후크부에 있어서의 계지면은 한 쌍의 토크 봉으로 차단되는 일 없이 상대측 커넥터로의 반 장착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본체의 외벽면과 대향하는 로크 아암의 바닥면 중, 계지면 이후부터 상대측 커넥터로의 반 장착 방향으로 도달하는 바닥면은 거의 평활한 면을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는 후크부를 전방 슬라이드 금형과 후방 슬라이드 금형으로 폭 넓게 성형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방 슬라이드 금형과 후방 슬라이드 금형으로 성형되는 로크 아암이며, 종래의 폭이 좁은 후크부와 비교하여 로크 아암의 전체 가로 폭과 적어도 동일한 계지 폭의 후크부가 성형 가능해진다. 상대측 커넥터로 형성되는 래치부와의 결합 상태가 확실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 본체와, 로크 아암과, 한 쌍의 토크 봉과, 한 쌍의 지지부와, 후크부가 절연성의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는 데 있어서, 커넥터는 전방 슬라이드 금형과 후방 슬라이드 금형으로 성형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금형이 필요하지 않은 성형 용이한 구조가 될 수 있다.
②의 기재에 따르면, ①에 기재된 로크 기구가 달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후크부는 상기 상대측 커넥터로의 장착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홈을 끼우는 한 쌍의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서 좋다.
이 적합한 실시 형태는, 상대측 커넥터로 형성되는 래치부에 걸려 계지되는 후크부에 있어서의 계지면이 분할되어 있다. 따라서, 후크부의 장착 방향이 커넥터의 장착 방향에 대해 약간 기울어져 있다고 해도, 서로 독립된 한 쌍의 부분에서 래치부에 익숙해지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로크가 확실하게 될 수 있다.
③의 기재에 따르면, ① 또는 ②에 기재된 로크 기구가 달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후크부는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구비되는 래치부에 삽입 용이해지도록 상기 후크부의 양측면에 한 쌍의 절결부가 더욱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서 좋다.
이 적합한 실시 형태는, 상대측 커넥터에 구비되는 오목형으로 형성되는 래치부에 삽입 용이해지도록, 후크부의 양측면에 한 쌍의 절결부를 설치하여 여유를 갖고 상기 래치부에 삽입 가능하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절결부는 후크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면에 넓어지는 사면을 형성하는 삼각형의 절결부라도 좋고, 후크부의 선단부로부터 후방에 넓어지는 사면을 형성하는 삼각형의 절결부라도 좋다. 전자인 경우는 후크부는 정면으로 보아 역사다리꼴 형상이 되고, 후자인 경우는 후크부는 바닥면으로 보아 역사다리꼴 형상이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로크 기구가 달린 커넥터는 적합한 실시 형태로서, 로크 아암의 가로 폭과 적어도 동일한 계지 폭이 마련되어 있는 후크부가 요동하도록 한 쌍의 토크 봉으로 상기 로크 아암을 양단부 지지하고 있는 상기 로크 기구가 플러그 하우징의 양측면(양쪽 블레이드라 할 수 있음)에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크 기구가 달린 커넥터는 다른 적합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로크 아암의 가로 폭과 적어도 동일한 계지 폭이 마련되어 있는 상기 후크부가 요동하도록 한 쌍의 토크 봉으로 상기 로크 아암을 양단부 지지하고 있는 상기 로크 기구가 커넥터 본체의 한 쪽 외벽에 배치되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로크 기구를 구성하는 토크 봉은, 적합한 실시 형태로서 전방 슬라이드 금형과 후방 슬라이드 금형으로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는 단순한 원 기둥이라서 좋고, 토크 봉으로 발생하는 응력 집중을 평탄화하기 위해, 토크 봉을 팽창 원 기둥으로서도 성형 가능하다. 또, 팽창 원 기둥이라 함은 원주가 팽창되었다고 하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만이 아니라, 좌굴 원 기둥과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 다른 적합한 실시 형태로서 커넥터를 저배화 또는 소형화하기 위해, 토 크 봉은 대개 타원 기둥으로 형성되어 좋고, 로크 아암의 상부면과 동일면이 되도록 원 기둥의 원호가 절개되어도 좋다.
절연성의 합성 수지에 의해 성형되는 본 발명의 로크 기구가 달린 커넥터는, 로크 기구와 함께 커넥터 본체를 폴리브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이하 PBT라 약칭함)에 의해 성형해도 된다.
이 PBT에 있어서는 높은 융점과 결정화도를 갖고, 흡수율이나 열팽창 계수가 낮으므로, 우수한 치수 안정성을 나타낸다. 또한, 전기 절연성이 우수하고 흡습에 의한 전기 특성의 변화가 작아 절연 파괴 전압이 높다고 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로크 기구가 달린 커넥터는, 전방 슬라이드 금형과 후방 슬라이드 금형으로 성형되는 로크 아암이며, 로크 아암의 전체 가로 폭과 적어도 동일한 폭의 후크부가 성형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대측 커넥터로 형성되는 래치부와의 결합 상태가 확실하게 될 수 있다.
④ 일체 성형 로크 구조로부터 떨어진 계지부와의 결합에 의해 로크 가능한 상기 일체 성형 로크 구조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와 결합하는 후크부를 결합 진행 방향에 있어서 선단부가 되는 선단부의 근방에 구비하고, 그 반대 방향으로 후단부를 구비하는 로크 아암과, 상기 로크 아암은 상기 선단부 및 상기 후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점부로부터 가로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토크 봉과, 상기 한 쌍의 토크 봉의 각각의 돌출 선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일체 성형 로크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한 쌍의 토크 봉을 비틀고, 이 비틀림 탄성 변형에 수반하여 상기 로크 아 암이 지지점부를 지지점으로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크 아암이 상기 결합 진행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후크부가 상기 계지부를 넘을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토크 봉은 비틀림 탄성 변형을 행하고, 상기 계지부와 결합 가능한 위치에 올 때에, 상기 비틀림 탄성 변형 중 적어도 일부가 해방되어 상기 계지부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단부에 상기 로크 아암이 지지점부를 지지점으로서 회전되도록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계지부와 결합하는 상기 후크부의 결합을 해제하도록, 상기 한 쌍의 토크 봉으로 비틀림 탄성 변형을 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로크 아암이 상기 결합 진행 방향의 역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계지부와의 결합을 해방할 수 있다.
⑤ 상기 ④에 따르면, 상기 로크 아암은 상부면, 하부면, 좌우 측면, 선단부면 및 후단부면에 의해 규정되는 실질적으로 직방체 형상을 하고 있다. 또, 상기 직방체 형상의 선단부 근방이며, 상기 하부면에 일체적으로 구비된 상기 후크부는 상기 선단부로부터 측면으로 보아 쐐기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사면 및 상기 하부면에 거의 수직인 계지면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토크 봉은, 각각 상기 좌우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지지부는 상기 한 쌍의 토크 봉을, 상기 로크 아암이 상기 상부면 및 하부면 방향이며, 상기 비틀림 봉을 중심으로 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상기 상부면 및 하부면 방향으로 충분한 클리어런스를 구비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⑥ 상기 ④ 또는 ⑤에 따르면, 전방 슬라이드 금형을 상기 결합 진행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고, 후방 슬라이드 금형을 상기 결합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전방 슬라이드 금형 및 후방 슬라이드 금형의 조합에 의해 일체 성형 로크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⑦ 상기 ④ 내지 ⑥ 중 어느 하나에 따르면, 상기 일체 성형 로크 구조는 상기 결합 진행 방향에 있어서, 그 외표면은 상기 결합 진행 방향으로 평행한 면, 단순 사면 및 오목면만으로 이루어지는 청구항 4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일체 성형 로크 구조.
⑧ 상기 ④ 내지 ⑥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일체 성형 로크 구조를, 커넥터 양측면에 구비하는 로크 가능한 커넥터.
일체 성형 로크 구조라 함은, 일체적으로 성형된 로크 구조라서 좋다. 일체 성형에는 사출 성형, 그 밖의 어떠한 성형 수단도 적응 가능하다. 또한, 일체 성형 로크 구조로부터 떨어진 계지부라 함은, 로크 구조로부터 분리한 것이며, 상기 로크 구조와 결합할 수 있는 부재 등이라서 좋다. 예를 들어, 플러그 및 리셉터클 커넥터라는 커넥터 쌍에 있어서, 계지부가 플러그에 구비되고 로크 기구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구비되어 좋다. 또한, 그 반대라도 좋다. 계지부는, 측면시 혹은 단면시에 있어서, 쐐기 형상을 이루어 좋다. 상기 쐐기 형상의 사면은, 상기 후크부와의 결합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를 이끄는 안내면이라 좋다. 쐐기 형상의 후방 배부는, 수직으로 세워 자른 벽을 형성해도 좋고, 수직으로부터 어느 정도 기운 사면이어도 좋다. 결합 진행 방향이라 함은, 일체 성형 로크 구조가 상기 계지부에 근접하는 방향이라서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로크 아암의 선단부가 상기 계지부를 넘어 가는 방향으로 좋다. 통상 상기 선단부의 후크부는 결합 진행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계지부의 안내면인 사면을 슬라이드하여 한 쌍의 토크 봉을 비 틀도록, 상기 로크 아암을 회전시킨다. 가로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이라 함은, 로크 아암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방향이라 좋다. 통상 로크 아암은 거의 직방체 형상을 하기 위해, 한 쌍의 토크 봉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한다. 이 한 쌍의 토크 봉은, 로크 아암의 좌우의 측면에 있어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지지부라 함은, 한 쌍의 토크 봉을 지지하는 부재라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직으로 세운 벽과 같은 형상이 될 수 있다. 로크 아암의 변위를 방해하지 않는 형상이다. 한 쌍의 지지부는 서로 대칭적인 것을 요하지 않는다. 상기 로크 아암이 지지부를 지지점으로서 회전한다는 것은, 지지점부를 시소의 지지점으로서 로크 아암이 시소와 같이 움직이는 것을 포함하여 좋다. 상기 결합 진행 방향의 역방향으로 이동한다는 것은, 상기 계지부와 상기 후크부의 결합이 풀리게 된 상태에서 이동할 때에, 상기 로크 기구가 상기 계지부와의 결합을 완전하게 해제되는 것을 의미하여 좋다. 또한, 이러한 로크 기구는 커넥터의 양측면에 대칭적으로 배치되면, 커넥터의 파지에 대응하여 로크 아암을 해방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설계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화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로크 기구가 달린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가 장착되는 상대측 커넥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 외관도이다. 도1에 있어서, 부호 1은 본 발명의 커넥터가 되는 플러그, 부호 2는 상대측 커넥터가 되는 리셉터클, 부호 11은 로크 기구이다.
도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플러그(1)는 쉘 타입의 다극의 모서리형 커넥터를 도시하고 있다. 절연성의 합성 수지재로 외피가 직사각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는 커넥터 본체가 되는 플러그 하우징(10)은, 상대측 리셉터클에 삽입되기 위한 모서리형의 플러그 프레임부(10A)를 갖고 있다. 플러그 하우징(10)은 복수의 케이블이 달린 판형 컨택트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도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가 되는 리셉터클(2)은 쉘 타입의 다극의 모서리형 커넥터를 도시하고 있고, 리셉터클(2)은 프린트 기판(90)에 표면 실장되는 프린트 기판용 커넥터이다. 절연성의 합성 수지재로 외피가 직사각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는 리셉터클 하우징(20)은, 플러그가 삽입되는 오목부로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부(20A)를 갖고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20)은 플러그(1)에 장착되어 있는 판형 컨택트와 접속하는 복수의 판형 컨택트가 장착되어 있다.
도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로크 기구(11)는, 플러그 하우징(10)의 외벽에 설치되는 로크 아암(3)을 갖고 있다. 로크 아암(3)은, 리셉터클(2)로의 장착 방향에 위치하여 있고 리셉터클(2)에 계지되는 후크부(3A)를 포함하고 있다. 역점부(3B)는 리셉터클(2)로의 반 장착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지압부를 포함하고 있다. 후술하는 지지점부(3C)는 후크부(3A)와 역점부(3B)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도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로크 아암(3)은 후크부(3A)와 역점부(3B)와 후술하는 지지점부(3C)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점부(3C)는 후크부(3A)가 요동하도록 후술하는 한 쌍의 토크 봉(4A, 4B)으로 로크 아암(3)을 양단부 지지하고 있 다.
도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플러그 하우징(10)은 한 쌍의 지지부(5A, 5B)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지지부(5A, 5B)는 플러그 하우징(10)의 외벽으로부터 돌출하고 있고, 플러그 하우징(10)의 양쪽 블레이드에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부(5A, 5B)는 로크 아암(3)을 양단부 지지하고 있는 후술하는 한 쌍의 토크 봉(4A, 4B)과 결합하고 있다.
도1에서는 플러그 하우징(10)과, 로크 아암(3)과, 후술하는 한 쌍의 토크 봉(4A, 4B)과, 한 쌍의 지지부(5A, 5B)가, 예를 들어 PBT 등의 절연성의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한편, 도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리셉터클(2)은 래치부(40)를 구비하고 있다. 로크 아암(3)이 래치부(40)에 계지됨으로써, 플러그(1)와 리셉터클(2)과의 장착 상태가 유지된다.
도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래치부(40)는 리셉터클 하우징(20)의 외벽에 설치된다. 래치부(40)는 플러그(1)의 장착 방향으로 개구하고 있는 안내부(40A)를 구비하고 있다. 계지부(40B)는 안내부(40A)와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고, 얇은 직방체형의 오목부로 형성되어 있다.
도1에서는, 플러그(1)를 리셉터클(2)에 장착하기 위해, 장착 방향으로 플러그(1)를 이동하면, 안내부(40A)로 형성된 사면(41)(도3 참조)이 톱니형의 후크부(3A)로 형성된 사면(31)(도3 참조)이 미끄러지면서 올라 앉아 후크부(3A)는 후술하는 지지점부(3C)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외방으로 개방한다.
플러그(1)를 장착 방향으로 더욱 이동하면, 한 쌍의 토크 봉(4A, 4B)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후크부(3A)는 계지부(40B)에 매몰하여 플러그(1)와 리셉터클(2)의 장착 상태가 유지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1)와 리셉터클(2)의 사시 외관도이며, 플러그(1)에 리셉터클(2)이 장착된 상태도이다.
도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지압부가 되는 역점부(3B)를 압박하여, 후술하는 지지점부(3C)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후크부(3A)를 외방으로 개방하게 한 상태에서, 플러그(1)를 반 장착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플러그(1)와 리셉터클(2)과의 장착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로크 기구의 작용을 도3에 의해 설명한다. 도3은, 도1에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1)와 리셉터클(2)의 주요부 확대 사시 외관도이다. 또, 도3의 설명에 있어서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세부는 생략하여, 예를 들어 지지점부(3C)가 되는 한 쌍의 토크 봉(4A, 4B)은 과장되게 그려져 있다.
도3에 있어서, 로크 기구(11)는 커넥터 본체가 되는 플러그 하우징(10)의 외벽면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5A, 5B)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로크 기구(11)는 후크부(3A)가 요동하도록 지지점부(3C)를 양단부를 지지하고 있는 한 쌍의 토크 봉(4A, 4B)이 한 쌍의 지지부(5A, 5B)와 결합하고 있는 로크 아암(3)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로크 아암(3)은 한 쌍의 토크 봉(4A, 4B)의 회전 중심보다도 리셉터클(2)로의 장착 방향에 위치하는 전방부(30F)와, 한 쌍의 토크 봉(4A, 4B)의 회전 중심보다도 리셉터클(2)로의 반 장착 방향에 위치하는 후방부(30R)를 포함하고 있다. 전방부(30F)는 리셉터클(2)에 구비되는 래치부(40)에 계지되는 후크부(3A)를 포함하는 동시에, 후방부(30R)는 역점부(3B)가 되는 지압부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전방부(30F) 중 후크부(3A)에 있어서의 선단부면은 리셉터클(2)로의 장착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후크부(3A)에 있어서의 계지면(32)은 한 쌍의 토크 봉(4A, 4B)으로 차단되는 일 없이 리셉터클로의 반 장착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후크부(3A)에 있어서의 계지면(32)은 로크 아암(3)의 가로 폭과 적어도 동일한 계지 폭이 마련되어 있다.
도1의 실시 형태에 도시된 플러그(1)는 로크 아암(3)의 가로 폭과 적어도 동일한 계지 폭이 마련되어 있는 후크부(3A)가 요동하도록 한 쌍의 토크 봉(4A, 4B)(도3 참조)으로 로크 아암(3)을 양단부 지지하고 있는 로크 기구(11)가 플러그 하우징(10)의 양쪽 블레이드에 배치되어 있다.
또, 도1의 실시 형태에 도시된 플러그(1)는 로크 아암(3)을 양단부 지지하는 한 쌍의 토크 봉(4A, 4B)(도3 참조)과 결합하고 있는 한 쌍의 지지부(5A, 5B)(도3 참조)의 외벽이 플러그 하우징(10)의 양측면과 동일면으로 되어 있다.
도3의 실시 형태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10)의 양측면에 연속하여 플랜지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5A, 5B)는 플러그 하우징(10)의 양측면을 편평한 것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크 기구를 구성함으로써, 플러그를 소형화 또는 저배화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3의 실시 형태에 도시된 리셉터클(2)은 로크 아암(3)과 결합 되는 래치부(40)를 리셉터클 하우징(20)의 양쪽 블레이드에 배치하고 있다. 도1의 실시 형태에 도시된 리셉터클(2)은 한 쌍의 래치부(40)가 리셉터클 하우징(20)의 양측면과 동일면으로 되어 있다.
도1 또는 도3의 실시 형태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20)의 양측면에 연속하여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래치부(40)는 리셉터클 하우징(20)의 양측면을 편평한 것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리셉터클(2)을 구성함으로써, 리셉터클을 소형화 또는 저배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플러그(1)와 리셉터클(2)은, 도2에 도시된 장착 상태에 있어서 로크 기구(11)에 구비되는 한 쌍의 지압부가 되는 역점부(3B)를 사용자가 쥐고 플러그(1)를 리셉터클(2)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로크 기구가 달린 커넥터는 소형화 또는 저배화된 커넥터이며, 로크 아암의 전체 가로 폭과 적어도 동일한 폭의 후크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측 커넥터로 형성되는 래치부와의 장착 상태가 확실해진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로크 기구가 적용되는 커넥터가 되는 플러그 및 상대측 커넥터가 되는 리셉터클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4에 의해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플러그(6)와 리셉터클(7)의 사시 외관도이며, 플러그(6)와 리셉터클(7)이 이격된 상태도이다.
도4에 있어서, 리셉터클(7)은 프린트 기판(90)의 표면에 고정되어 있다. 플러그(6)는 병렬 배치된 복수의 케이블(9C)의 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리셉터클(7) 에 대해, 플러그(6)가 연결된다.
리셉터클(7)은 합성 수지제의 리셉터클 하우징(70)과 복수의 단자(71A)를 구비하고 있다. 절연성의 합성 수지재로 외피가 직사각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는 리셉터클 하우징(70)은, 플러그(6)가 삽입되는 오목부로 형성되어 있는 플러그 프레임부(60A)를 갖고 있다. 복수의 단자(71A)는 리셉터클 하우징(70)을 관통하고 있고 가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70)의 하방으로 돌출하는 단자(71A)의 선단부는 프린트 기판(90)에 납땜에 의해 고정된다.
리셉터클 하우징(70)은 연결측 단부면이 개구되어 있고, 대응하는 상대측의 플러그(6)의 일부를 삽입 발출시키는 삽입 발출 오목부(71B)를 갖고 있다. 삽입 발출 오목부(71B)에는 복수의 단자(71A)가 정렬 배치되어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70)의 외벽면에는 산맥형의 결합 돌기부(72B)가 형성되어 있다. 산맥형의 결합 돌기부(72B)는 플러그(6)측의 로크 기구(61)에 있어서의 후크부(63A)와 걸쳐 결합한다.
결합 돌기부(72B)는 리셉터클 하우징(70)의 외벽면으로 형성되는 오목부(72C)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결합 돌기부(72B)의 전방은 플러그(6)에 구비되는 후크부(63A)를 수용하는 안내부(72A)로 되어 있다. 안내부(72A)와 결합 돌기부(72B)와 오목부(72C)는 플러그(6)에 구비되는 로크 아암(63)과 결합하는 래치부(72)를 구성하고 있다.
한편, 절연성의 합성 수지재로 외피가 직사각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는 플러그 하우징(60)은 상대측 리셉터클(7)에 삽입되기 위한 모서리형의 플러그 프레임부 (60A)를 갖고 있다. 플러그 하우징(60)의 외벽면에는 판형을 이루어 외벽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로크 아암(63)이 설치되어 있다. 로크 아암(63)의 지지점부(63C)는 외벽면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65A, 65B)에 의해 양단부 지지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부(65A, 65B)는 로크 아암(63)의 지지점부(63C)를 한 쌍의 토크 봉(64A, 64B)으로 결합하고 있다. 한 쌍의 토크 봉(64A, 64B)은 후크부(63A)가 요동하거나 비틀어지도록 되어 있다. 역점부(63B)는 후크부(63A)와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는 지압부를 포함하고 있다.
도4에서는, 플러그 하우징(60)과, 로크 아암(63)과, 한 쌍의 토크 봉(64A, 64B)과, 한 쌍의 지지부(65A, 65B)가, 예를 들어 PBT 등의 절연성의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은 로크 기구(61)를 구성하고 있다.
도4에서는, 플러그(6)를 리셉터클(7)에 끼워 맞추기 위해, 장착 방향으로 플러그(6)를 이동하면 산맥형의 결합 돌기부(72B)로 형성된 사면(721)에, 톱니형의 후크부(63A)의 선단부로 형성된 사면(631)이 미끄러지면서 올라 앉아 후크부(63A)는 지지점부(63C)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외방으로 개방한다.
플러그(6)를 장착 방향으로 더욱 이동하면, 한 쌍의 토크 봉(64A, 64B)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후크부(63A)는 결합 돌기부(72B)에 계지되어 플러그(6)와 리셉터클(7)의 결합 상태가 유지된다.
지압부가 되는 역점부(63B)를 압박하여 지지점부(63C)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후크부(63A)를 외방으로 개방하게 한 상태에서, 플러그(6)를 반 장착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플러그(6)와 리셉터클(7)의 결합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실시 형태는, 후크부(63A)는 로크 아암(63)의 가로 폭과 적어도 동일한 계지 폭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후크부(63A)가 요동하도록 한 쌍의 토크 봉(64A, 64B)으로 로크 아암(63)을 양단부 지지하고 있는 로크 기구(61)가 모서리형의 플러그 프레임부(60A)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한 쪽의 외벽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로크 기구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의 구성을 도5와 도6에 의해 설명한다. 도5는, 도3의 실시 형태에 도시된 로크 기구(11)와, 이 로크 기구(11)를 성형하기 위한 한 쌍의 금형이 배치된 사시 외관도이다. 또한, 도6은 도5의 종단면도이다.
도5의 실시 형태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 기구(11)는 대향 배치된 전방 슬라이드 금형(3F)과 후방 슬라이드 금형(3R)으로 성형된다. 전방 슬라이드 금형(3F)은 상대측 리셉터클(2)(도1 참조)의 장착 방향(도면 중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고, 후방 슬라이드 금형(3R)은 상대측 리셉터클(2)과의 반 장착 방향(도면 중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하고, 전방 슬라이드 금형(3F)과 후방 슬라이드 금형(3R)이 조합되어 로크 기구(11)가 성형된다.
도5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한 쌍의 토크 봉(4A, 4B)의 회전 중심보다도 상대측 커넥터로의 장착 방향에 위치하는 로크 아암(3)의 전방부(30F)는 전방 슬라이드 금형(3F)으로 성형된다. 한 쌍의 토크 봉(4A, 4B)의 회전 중심보다도 상대측 커넥터로의 반 장착 방향에 위치하는 로크 아암(3)의 후방부(30R)는 후방 슬라이드 금형(3R)으로 성형된다.
도5 또는 도6의 실시 형태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부(3A)를 포함하는 로크 아암(3)의 전방부(30F)는 전방 슬라이드 금형(3F)으로 형성된 오목부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A1)에서 성형된다. 후크부(3A)를 포함하는 로크 아암(3)의 전방부(30F)의 양측면은 부분(A1)의 양쪽 블레이드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부분(A2)에서 성형된다.
한편, 도5 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점부(3B)를 포함하는 로크 아암(3)의 후방부(30R)는 후방 슬라이드 금형(3R)으로 돌출 형성된 부분(B1)에서 성형된다. 그리고, 후방 슬라이드 금형(3R)으로 돌출 형성된 부분(B1)은 후크부(3A)의 후방부를 성형 가능하게 한다. 역점부(3B)를 포함하는 로크 아암(3)의 후방부(30R)의 양측면은 부분(B1)의 양쪽 블레이드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부분(B2)에서 성형된다.
또한, 도5 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슬라이드 금형(3F)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부분(A2)에는, 각각 반원호부(A3)가 형성된다. 후방 슬라이드 금형(3R)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부분(B2)에는, 각각 반원호부(B3)가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반원호부(A3)와 한 쌍의 반원호부(B3)가 조합되어 한 쌍의 토크 봉(4A, 4B)이 성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로크 기구는 로크 아암과 상기 로크 아암을 양단부 지지하는 한 쌍의 토크 봉을 세트가 되는 전방 슬라이드 금형과 후방 슬라이드 금형으로 성형된다.
본 발명의 로크 아암은, 전방부 중 후크부에 있어서의 선단부면은 상대측 커 넥터로의 장착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후크부에 있어서의 계지면은 한 쌍의 토크 봉에 차단되는 일 없이 상대측 커넥터로의 반 장착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므로, 세트가 되는 전방 슬라이드 금형과 후방 슬라이드 금형으로 로크 아암의 가로 폭과 적어도 동일한 계지 폭이 마련되어 있는 후크부가 성형 가능해졌다. 이 구조에 의한 로크 기구에 있어서의 로크 아암은 상대측 커넥터로 형성되는 래치부와의 결합 상태가 확실해진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도7은 도5에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로크 기구(11)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 외관도이다. 도7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로크 아암(3)의 선단부가 되는 후크부(3A)에는 상대측 커넥터로의 장착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홈(30S)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후크부(3A)는 홈(30S)을 끼우는 한 쌍의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다.
도7에서 도시된 홈(30S)은 도5에서 도시된 전방 슬라이드 금형(3F)을 일부 변경하면 성형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홈(30S)이 마련되는 후크부(3A)는 폭 방향으로 분할되어 있지만, 로크 아암(3)의 가로 폭과 동일한 계지 폭이 마련되어 있다고 간주되어도 좋고, 상대측 커넥터로 형성되는 래치부와의 결합 상태가 확실해진다고 하는 효과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이 아니다.
도7에 도시된 적합한 실시 형태의 로크 아암(3)은, 상대측 커넥터로 형성되는 래치부(40)(도3 참조)에 걸려 계지되는 후크부(3A)에 있어서의 계지면(32)이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후크부(3A)의 장착 방향이 커넥터의 장착 방향에 대해 약간 기울어져 있다고 해도, 서로 독립된 한 쌍의 부분에서 래치(40)(도3 참조)에 익숙해지도록 탄성 변형되어 로크가 확실해진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도8은 도5에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로크 기구(11)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 외관도이다. 도8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로크 아암(3)의 선단부가 되는 후크부(3A)에는 그 양쪽 블레이드에 약간의 폭을 갖는 한 쌍의 절결부(3K1, 3K2)가 마련되어 있다.
도8에서 도시된 한 쌍의 절결부(3K1, 3K2)는 도5에서 도시된 전방 슬라이드 금형(3F) 및 후방 슬라이드 금형(3R)을 일부 변경하면 성형 가능하다. 그리고, 후크부(3A)의 양쪽 블레이드에 약간의 폭을 갖는 한 쌍의 절결부(3K1, 3K2)가 마련되는 후크부(3A)는 폭 방향으로 절결분만큼 좁게 되어 있지만, 로크 아암(3)의 가로 폭과 동일한 계지 폭이 마련되어 있다고 간주되어 좋고, 상대측 커넥터로 형성되는 래치부와의 결합 상태가 확실해진다고 하는 효과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이 아니다.
도8에 도시된 적합한 실시 형태의 로크 아암(3)은, 상대측 커넥터에 구비되는 오목형으로 형성되는 래치부(40)(도3 참조)에 삽입 용이해지도록, 후크부(3A)의 양측면에 한 쌍의 절결부(3K1, 3K2)를 마련하고, 여유를 갖고 래치부(40)(도3 참조)에 삽입 가능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한 쌍의 절결부(3K1, 3K2)는 후크부(3A)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면에 넓어지는 사면을 형성하는 삼각형의 절결부라도 좋고, 후크부(3A)의 선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넓어지는 사면을 형성하는 삼각형의 절결부라도 좋다. 전자인 경우는 후크부(3A)는 정면으로 보아 역사다리꼴 형상이 되고, 후자인 경우는 후크부(3A)는 바닥면으로 보아 역사다리꼴 형상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 용이하고 폭이 넓은 계지 폭을 갖는 후크부를 구비하는 로크 기구가 달린 커넥터는 전기 접속용의 커넥터로서 설명해 왔지만, 폭이 넓은 계지 폭을 갖는 후크부를 갖는 로크 아암을 토크 봉으로 양단부를 지지하는 본 발명의 로크 기구가 달린 플러그는, 광 소자와 광 파이버를 접속하는 광 커넥터 및 상대측 광 커넥터에 적용되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로크 아암을 갖는 로크 기구가 달린 커넥터에 있어서, 전방 슬라이드 금형과 후방 슬라이드 금형으로 성형되는 로크 아암이며, 폭이 넓은 후크부를 갖는 로크 아암 및 이 로크 아암을 갖는 로크 기구를 구비하는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래치부를 구비하는 상대측 커넥터와의 장착 상태를 유지하는 로크 기구가 달린 커넥터이며,
    상기 로크 기구는 커넥터 본체의 외벽면에 설치되고,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외벽면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와 결합하고 있는 로크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로크 아암은, 상기 상대측 커넥터로의 장착 방향 전방에, 상기 래치부에 계지되는 후크부와, 상기 상대측 커넥터로의 장착 방향 후방에 역점이 되는 지압부와, 상기 후크부와 상기 지압부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점부를 갖고,
    상기 후크부가 요동하도록 상기 지지점부는 상기 로크 아암의 좌우의 측면에 대향하는 한 쌍의 토크 봉으로 상기 로크 아암을 양단부 지지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부가 상기 한 쌍의 토크 봉과 결합하고 있고,
    상기 후크부에 있어서의 선단부면은 상기 상대측 커넥터로의 장착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후크부에 있어서의 계지면은 상기 한 쌍의 토크 봉에 차단되는 일 없이 상기 상대측 커넥터로의 장착 방향 후방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후크부에 있어서의 계지면의 계지 폭은, 상기 로크 아암의 가로 폭과 적어도 동일한 계지 폭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로크 아암 중, 상기 후크부, 지지점부 및 역점부를 제외한 부분에서는, 상부면, 하부면, 좌우 측면, 선단부면 및 후단부면에 의해 규정되는 직방체 형상을 하고 있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하부면에 일체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선단부로부터 측면에서 볼 때 쐐기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사면 및 상기 하부면에 수직인 계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토크 봉은, 각각 상기 좌우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일체적으로 성형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부는, 상기 로크 아암이 상기 토크 봉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로크 아암의 상부면 및 하부면 측에 간격을 구비하도록, 상기 한 쌍의 토크 봉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기구가 달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상대측 커넥터로의 장착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홈을 사이에 끼우는 한 쌍의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기구가 달린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양측면에 한 쌍의 절결부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기구가 달린 커넥터.
  4. 래치부와의 결합에 의해 로크 가능한 일체 성형 로크 구조에 있어서,
    결합 진행 방향 전방에 상기 래치부와 결합하는 후크부와, 결합 진행 방향 후방에 역점부와, 상기 후크부와 상기 역점부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점부를 구비하는 로크 아암과,
    상기 후크부 및 상기 역점부 사이에 위치하는 한 쌍의 지지부와,
    상기 로크 아암의 지지점부로서 상기 한 쌍의 지지부와 결합하는, 상기 로크 아암의 좌우의 측면에 대향하여 돌출하는 한 쌍의 토크 봉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에 있어서의 상기 래치부와의 결합에 의해 계지되는 면은 상기 로크 아암의 횡폭과 적어도 동일 폭을 갖고 있고,
    상기 한 쌍의 토크 봉을 비틀어, 이 비틀림 탄성 변형에 수반하여 상기 로크 아암이 회전될 수 있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로크 아암이 상기 결합 진행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시에 상기 후크부가 상기 래치부를 넘을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토크 봉이 비틀림 탄성 변형을 하고, 상기 래치부와 결합 가능한 위치에 왔을 때에, 상기 비틀림 탄성 변형 중 적어도 일부가 해방되어 상기 래치부와 결합할 수 있고,
    상기 역점부에, 상기 로크 아암이 지지점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래치부와 결합하는 상기 후크부의 결합을 해제하도록, 상기 한 쌍의 토크 봉에 비틀림 탄성 변형을 가하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로크 아암이 상기 결합 진행 방향의 역방향으로 이동하여 래치부와의 결합을 해방하는 것이며,
    상기 로크 아암 중, 상기 후크부, 지지점부 및 역점부를 제외한 부분에서는, 상부면, 하부면, 좌우 측면, 선단부면 및 후단부면에 의해 규정되는 직방체 형상을 하고 있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하부면에 일체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선단부로부터 측면에서 볼 때 쐐기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사면 및 상기 하부면에 수직인 계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토크 봉은, 각각 상기 좌우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일체적으로 성형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부는, 상기 로크 아암이 상기 토크 봉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로크 아암의 상부면 및 하부면 측에 간격을 구비하도록, 상기 한 쌍의 토크 봉을 지지하는 일체 성형 로크 구조.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전방 슬라이드 금형을 상기 결합 진행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고, 후방 슬라이드 금형을 상기 결합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전방 슬라이드 금형 및 후방 슬라이드 금형의 조합에 의해 일체 성형 로크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일체 성형 로크 구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 성형 로크 구조는 상기 결합 진행 방향에 있어서, 그 외표면은 상기 결합 진행 방향으로 평행한 면, 단순 사면 및 오목면만으로 이루어지는 일체 성형 로크 구조.
  8. 제4항에 기재된 일체 성형 로크 구조를, 커넥터 양측면에 구비하는 로크 가능한 커넥터.
KR1020050004846A 2004-01-20 2005-01-19 로크 구조 및 상기 구조를 구비하는 로크 기구가 달린커넥터 KR1012511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12247A JP2005209406A (ja) 2004-01-20 2004-01-20 ロック機構付きコネクタ
JPJP-P-2004-00012247 2004-0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6655A KR20050076655A (ko) 2005-07-26
KR101251178B1 true KR101251178B1 (ko) 2013-04-08

Family

ID=34631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4846A KR101251178B1 (ko) 2004-01-20 2005-01-19 로크 구조 및 상기 구조를 구비하는 로크 기구가 달린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186129B2 (ko)
EP (1) EP1557909B1 (ko)
JP (1) JP2005209406A (ko)
KR (1) KR101251178B1 (ko)
CN (1) CN100428575C (ko)
DE (1) DE602005000754T2 (ko)
TW (1) TWI2577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34415B2 (ja) * 2008-03-31 2013-01-3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ソケットコネクタ
JP5134416B2 (ja) * 2008-03-31 2013-01-3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ソケットコネクタ
JP5303348B2 (ja) * 2009-04-28 2013-10-02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ロック構造及び該ロック構造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
CN101707313A (zh) * 2009-11-09 2010-05-12 合兴集团汽车电子有限公司 具有防止对接连接器意外脱落功能的电气连接器
DE102012009309B4 (de) 2012-05-10 2014-07-31 Farbod Mahdjour Universale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 Steckvorrichtung und Verfahren für die Verriegelungsvorrichtung
JP6297904B2 (ja) * 2014-04-21 2018-03-20 矢崎総業株式会社 被支持部材と支持体との係止構造
CN105932485B (zh) * 2015-02-26 2018-06-15 日本压着端子制造株式会社 插座连接器
CN106998008B (zh) * 2017-04-27 2018-12-25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线束插件护套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8168A (en) * 1992-10-06 1995-01-03 Sumitomo Wiring Systems Connector
JP2000164294A (ja) * 1998-11-30 2000-06-16 Jst Mfg Co Ltd ロック機構付きコネクタ
KR20020046947A (ko) * 2000-12-12 2002-06-21 요시무라 마사오 로크 기구 부착 커넥터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23269A (en) * 1968-03-08 1970-08-04 Essex International Inc Panel locking terminal connector block
GB1492951A (en) 1974-06-13 1977-11-23 Pressac Ltd Moulded connector or coupling for electrically connecting circuitry of one member with complementary contacts of a second member
JPS544389U (ko) * 1977-06-13 1979-01-12
US4341428A (en) * 1980-03-24 1982-07-27 Pintek, Inc. Interconnection system for shielded electrical cable
DE3105808A1 (de) * 1981-02-18 1982-09-09 Stocko Metallwarenfabriken Henkels Und Sohn Gmbh & Co, 5600 Wuppertal Elektrischer steckverbinder
JPS6225479U (ko) 1985-07-29 1987-02-16
GB2195501A (en) 1986-09-25 1988-04-07 Electronic Components Ltd Electrical connector
JPH01137572A (ja) 1987-11-25 1989-05-30 Yazaki Corp 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US4944693A (en) * 1989-07-28 1990-07-31 Amp Incorporated Latch arm for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US5154629A (en) * 1990-08-08 1992-10-13 Icontec, Inc. Energy transmission cable connector with latching mechanism
US5382177A (en) 1991-11-21 1995-01-17 The Whitaker Corporation Connector housing with improved latch members
DE9410210U1 (de) 1994-06-24 1994-09-08 Kabelwerke Reinshagen Gmbh, 42369 Wuppertal Gehäuse mit einer lösbaren Verrastung
JPH09180813A (ja) 1995-12-28 1997-07-11 Yazaki Corp 電気コネクタ
US5775930A (en) 1996-12-13 1998-07-07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locking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member
US6358091B1 (en) * 1998-01-15 2002-03-19 The Siemon Company Telecommunications connector having multi-pair modularity
DE69835506T2 (de) 1998-06-15 2007-04-05 Molex Inc., Lisle Verbinder für IC-Karten
DE20004194U1 (de) 2000-03-06 2000-05-31 Ridi Leuchten Gmbh Steckverbinder zur Leuchtenhalterung
JP3840039B2 (ja) * 2000-06-01 2006-11-01 矢崎総業株式会社 慣性ロックコネクタ
JP2002252063A (ja) * 2001-02-26 2002-09-06 Jst Mfg Co Ltd ロック機構付コネクタ・アセンブリー
JP2002280109A (ja) 2001-03-16 2002-09-27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コネクタ
JP3823038B2 (ja) * 2001-10-10 2006-09-2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4009111B2 (ja) * 2002-01-21 2007-11-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ック装置
JP2005267970A (ja) * 2004-03-17 2005-09-2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8168A (en) * 1992-10-06 1995-01-03 Sumitomo Wiring Systems Connector
JP2000164294A (ja) * 1998-11-30 2000-06-16 Jst Mfg Co Ltd ロック機構付きコネクタ
KR20020046947A (ko) * 2000-12-12 2002-06-21 요시무라 마사오 로크 기구 부착 커넥터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81666A1 (en) 2005-08-18
JP2005209406A (ja) 2005-08-04
EP1557909B1 (en) 2007-03-28
DE602005000754D1 (de) 2007-05-10
KR20050076655A (ko) 2005-07-26
DE602005000754T2 (de) 2008-01-10
TWI257746B (en) 2006-07-01
US7186129B2 (en) 2007-03-06
EP1557909A1 (en) 2005-07-27
CN100428575C (zh) 2008-10-22
TW200533015A (en) 2005-10-01
CN1645679A (zh) 2005-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1178B1 (ko) 로크 구조 및 상기 구조를 구비하는 로크 기구가 달린커넥터
JP4207952B2 (ja) コネクタ
KR950009902B1 (ko) 전기 커넥터
US7114982B2 (en) Connector with lock mechanism
JP3479773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6325680B1 (en) Female contac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JP3301597B2 (ja) 同軸コネクタ及びそれを使用する同軸コネクタ組立体
JP2000311738A (ja) 電気コンタクト
JP2008041664A (ja) コネクタ
JP2005196975A (ja) コネクタ
JP4379231B2 (ja) 雌端子金具
US6334790B2 (en) Electrical connection and housing having a lance in a terminal accommodation chamber
JP5626118B2 (ja) コネクタ
JP3246894B2 (ja) コネクタ
JP3869630B2 (ja) 低挿入力コネクタ
JP5947661B2 (ja) コネクタ
JP4863823B2 (ja) コネクタのロック構造
JPH021811Y2 (ko)
JP2502596Y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4602050B2 (ja) マルチ接続形ヘッダーコネクタ並びにこれに接続する縦積形ソケットコネクタ及び横置形ソケットコネクタ
JP2002289289A (ja) コネクタ及び端子
JP2018152317A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
JP4059612B2 (ja) シャントコネクタ
JP3050251B2 (ja) 低挿入力コネクタ
JP2006286506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