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1162B1 - 입체무늬 패널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입체무늬 패널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1162B1
KR101251162B1 KR1020120119647A KR20120119647A KR101251162B1 KR 101251162 B1 KR101251162 B1 KR 101251162B1 KR 1020120119647 A KR1020120119647 A KR 1020120119647A KR 20120119647 A KR20120119647 A KR 20120119647A KR 101251162 B1 KR101251162 B1 KR 101251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film mask
dimensional pattern
manufactur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9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윤
Original Assignee
장동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동윤 filed Critical 장동윤
Priority to KR1020120119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11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4Pressing or stamping ornamental designs on surfaces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디자인의 입체무늬가 인쇄된 필름 마스크를 이용하여 패널 표면을 장식할 수 있는 동시에 컨베이어 라인에 의한 자동화 공법으로 제반 작업을 간단하게 수행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입체무늬 패널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입체무늬 패널의 제조장치는, 낱장의 평판 소재가 적재되어 대기하는 소재 공급부와, 소재 표면에 도료를 도포함과 동시에 필름 마스크를 부착하는 선처리부와, 필름 마스크에 인쇄된 입체무늬를 가압하여 도료 표면에 형성하는 성형유닛과, 도료를 경화시키는 경화유닛과, 경화된 도료로부터 필름 마스크를 제거하는 후처리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입체무늬 패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소재를 적재한 상태에서 낱장으로 공급하는 단계와, 저장용기로부터 도료를 펌핑하여 소재 표면으로 골고루 도포하는 단계와, 도료 상에 입체무늬가 인쇄된 필름 마스크를 씌우는 전처리 단계와, 롤링작업에 의해 필름 마스크를 가압함에 따라 도료 표면에 입체무늬를 그대로 성형하는 단계와, 소재를 서서히 경화유닛 측으로 이송시켜 UV램프에 의해 경화하는 단계와, 경화가 완료된 후 필름 마스크를 제거하는 후처리 단계와, 최종 완제품을 완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입체무늬 패널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IMENSIONAL PATTERN PANEL}
본 발명은 다양한 디자인의 입체무늬가 인쇄된 필름 마스크(Film Mask)를 이용하여 패널 표면을 장식할 수 있는 동시에 컨베이어 라인에 의한 자동화 공법으로 제반 작업을 간단하게 수행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입체무늬 패널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흔히 건축물이나 가구 등의 내, 외장재로 사용되는 패널을 원목으로 제작하는 경우 가공성에 한계가 있고 높은 가격으로 인해 상당한 부담을 주게 되며, 최근 들어 염가로 생산되는 인조목이나 합성목 등은 제작과정에서 사용되는 유독 물질로 인해 인체에 악영향을 준다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발산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생체 면역기능을 강화시키는 효과를 가진다고 알려진 옥(玉)이나 맥반석, 또는 황토 분말 등이 첨가된 도료(塗料)를 패널 표면에 코팅하여 인체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제작한 여러 제품이 아파트 등의 건축용 마감재나 가구용 패널에 이르기까지 그 사용범위가 날로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통상, 패널 표면에 도료를 도장하기 위하여 표면 도포재나 CNC 기계 등으로 무늬를 형성하는 경우 도장을 최소 3회 이상 행해야 하므로 생산성이 떨어지고, 실크 인쇄 등으로 무늬 형성하는 경우 원가가 매우 높아짐은 물론 입체무늬를 형성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스프레이공법이나 플로우코타공법,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틴렌 등의 수지를 도장하는 공법 등은 도장 품질이 떨어짐과 동시에 설비 자체가 매우 복잡하다.
즉, 이러한 패널 표면에 무늬를 성형하기 위한 기술로서, 국내 공개특허 제1995-0005586호 공보에는 건재용 하드보드의 표면에 이색 무늬모양으로 장식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 개시되어 있으나, 이 기술은 하드보드 표면에 무늬모양을 음각(陰刻)으로 압인한 후, 그 표면에 투명도료를 도포하여 건조, 연마한 하도층을 형성하고, 이 하도층에 양각부 도색을 위한 우레탄 도료를 도장하여 건조, 연마하는 공정 및 무늬모양의 도색을 위해 양각부 도장색과 다른 색상의 음각도장 도료를 도포, 전조하여 양각부 색상이 노출될 때까지 연마하는 공정을 거쳐야 하는 것이므로, 작업 자체가 상당히 번거롭고 제품 가격이 너무 높아 실 생활에 거의 적용할 수 없는 것이었다.
또, 공개특허 제1999-0024428호 공보에는 사진 전사를 이용한 무늬 판재의 제작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으나, 이 경우에는 최초 제작시 원하는 문양으로 샘플을 만든 후 이를 사진촬영에 의해 원판 필름을 제작하고, 이를 인화지에 원하는 규격으로 전사하여 무늬지를 만든 다음 접착제에 의해 패널에 부착하고 마무리 도장작업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이 방법 역시 작업이 매우 번거로워 단가를 높이는 요인이 되는 것이며, 특히 실 제품을 장기간 사용하거나 열이 가해지는 경우에 무늬지가 박리되어 버리는 현상이 생기므로 내구성에 한계를 가지는 것이었다.
한편, 국내 등록특허 제0791357호 공보에는 목재에 자외선 도료를 이용하여 다양한 색상과 모양의 이미지를 인쇄하고, 상기 자외선 도료에 커텐코타 방식으로 투명 도료를 인쇄한 뒤, 상기 자외선 도료와 투명 도료를 한 번에 자외선에 노출시키고 경화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작업공정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도장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고, 또 등록특허 제0798414호 공보에는 목재에 다양한 유색의 자외선 도료를 입힌 상태에서 이 자외선 도료에 다양한 색의 자외선 도료를 이용하여 여러 모양의 이미지를 인쇄하며, 목재의 표면을 매끄러우면서도 평평하게 도장하는 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패널의 도장방식의 경우 목재에 투명한 우레탄 도료나 자외선 도료를 칠하고 자외선에 노출시켜 경화시키는 별도의 하도칠 단계를 포함하고 있음은 물론 실크인쇄장치를 이용한 인쇄단계, 혹은 폴리필름과 롤러를 이용하여 목재의 표면에 이미지를 인쇄하는 단계를 거쳐야만 한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값비싼 자외선 도료를 하도-중도-상도에 걸쳐 다수 겹으로 칠하고 인쇄를 행함에 따른 제작공정의 증가로 인해 원료의 낭비를 초래하게 됨은 물론 작업과정 자체가 복잡하여 생산단가를 크게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문제들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체무늬가 인쇄된 필름 마스크를 이용하여 패널 표면을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고 제반 작업을 컨베이어 라인에 의한 자동화 공법으로 수행하여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입체무늬 패널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패널 표면에 도포되는 값비싼 도료의 소모량을 줄이고 경화과정을 단축하여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음은 물론 친환경 도료를 적용함에 따라 인체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로 할 수 있는 입체무늬 패널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입체무늬 패널의 제조장치에 있어서는, 건축용 내,외장재나 가구용으로 사용되는 패널을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순차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낱장의 평판 소재가 적재되어 대기하는 소재 공급부와, 소재 표면에 도료를 도포함과 동시에 필름 마스크를 부착하는 선처리부와, 필름 마스크에 인쇄된 입체무늬를 가압하여 도료 표면에 형성하는 성형유닛과, 도료를 경화시키는 경화유닛과, 경화된 도료로부터 필름 마스크를 제거하는 후처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선처리부에는 저장용기로부터의 도료를 소재 표면으로 도포하기 위한 회전롤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성형유닛에는 작업대의 상판으로부터 컨베이어 벨트를 상하 작동시켜 소재를 인입하거나 반출하는 리프팅수단 및 필름 마스크를 압착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전,후 이동하는 롤링수단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리프팅수단은 모터에 의해 양 스프로킷에 감겨져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스프로킷의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상태로 지지하는 판상체와, 이 판상체를 상하 방향으로 밀어올리거나 내리도록 고정틀 상에 장착된 실린더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경화유닛에는 도료 표면으로 빛을 발산하는 UV램프를 포함하여 이 UV램프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차단하기 위한 차폐수단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 상기 롤링수단은 작업대의 상측에 장착되는 천정 하우징과, 이 천정 하우징을 따라 모터 작동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하단부에 장착된 실린더에 의해 상하 작동하는 압착롤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차폐수단은 케이싱에 설치된 UV램프를 중심으로 한쌍의 콜드미러와 단일의 콜드필터로 구성되어 UV램프에서 발산되는 열이 소재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후처리부의 끝단에는 경화된 도료 표면에 보호랩을 씌우기 위한 랩포장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입체무늬 패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건축용 내,외장재나 가구용으로 사용되는 패널을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각 공정별로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소재를 적재한 상태에서 낱장으로 공급하는 단계와, 저장용기로부터 도료를 펌핑하여 회전롤러로 1차 공급한 후 이 회전롤러를 통해 소재 표면으로 도료를 골고루 도포하는 단계와, 도료 상에 입체무늬가 인쇄된 필름 마스크를 씌우는 전처리 단계와, 롤링작업에 의해 필름 마스크를 가압함에 따라 도료 표면에 입체무늬를 그대로 성형하는 단계와, 도료 표면에 필름 마스크가 부착된 상태에서 소재를 서서히 경화유닛 측으로 이송시켜 UV램프에 의해 경화하는 단계와, 경화가 완료된 소재의 도료 표면으로부터 필름 마스크를 제거하는 후처리 단계와, 상기 필름 마스크의 제거후 보호랩을 부착하는 단계와, 최종 완제품을 완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은, 다양한 문양이 인쇄된 필름 마스크를 패널 표면에 도포된 도료에 부착한 후 그대로 경화하여 외부로 표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단 1회의 도장 작업만으로도 보다 미려하고 고급스러운 입체무늬를 갖는 패널 제조가 가능한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은 패널제작을 컨베이어 라인을 통한 자동화 공정으로 생산할 수 있어 제작비용을 줄이고 작업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값비싼 도료나 필름 마스크의 소모량을 줄이고 도료의 경화과정을 신속하게 하여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고 대량 생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체무늬를 갖는 패널 표면으로부터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을 발산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생체 면역기능을 강화시킴은 물론 항균력에 의한 새집증후군을 방지할 수 있어 건축용 내, 외장재나 여러 가구 제품 등의 제작에 적극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무늬 패널의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구성도,
도 2는 소재에 도료를 도포한 후 필름 마스크를 씌우는 일련의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a, 도 3b는 성형유닛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측면 및 정면 구성도,
도 4a, 도 4b는 리프팅수단 및 롤링수단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구성도,
도 5a, 도 5b는 성형유닛에 의한 롤링작업의 실예를 나타낸 사진,
도 6은 경화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 구성도,
도 7은 경화유닛의 UV램프와 차폐수단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도장이 완료된 소재에 보호랩을 씌우는 작업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입체무늬 패널의 제조방법을 공정별로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10a, 도 10b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패널의 완제품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무늬 패널의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패널 소재(P)는 MDF, PB 등과 같이 일반 건축용 내, 외장재 혹은 가구용으로 흔히 사용되고 있는 평판 자재는 물론 LPM, PVC, PET, 그라비아 등이 부착된 자재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소재(P)의 경우, 통상의 샌딩기(도시생략)를 이용하거나 혹은 수작업에 의해 180, 220, 320 등의 사포(砂布)로 표면을 미리 정교하게 다듬어 주면 질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도료(W)의 도포 작업시에 평활도를 최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 소재(P)는 공급에서 최종 완제품까지 콘베이어 라인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각 공정별 작업이 행해질 수 있는 것임은 물론 통상의 스위치나 센서 등과 같은 전기적인 장치에 의해 가동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패널 제조장치는 크게 소재 공급부(10)와, 소재(P)의 표면에 도료를 도포한 후 필름 마스크(M)를 부착하는 선처리부(20)와, 필름 마스크를 가압하여 도료 표면에 입체무늬를 형성하는 성형유닛(30)과, 도료를 경화시키는 경화유닛(40)과, 경화가 완료된 도료로부터 필름 마스크를 제거하는 후처리부(50)로 이루어져 있다.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소재 공급부(10)에는 낱장의 평판 소재(P)가 적재되어 양 스프로킷(11)에 감겨져 회전하는 통상의 컨베이어 벨트(12) 상에서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선처리부(20)에서는 저장용기(21) 내에 담겨져 있는 도료 (W)를 실린더 펌프(22)에 의해 인출함과 동시에 노즐(23)을 통해 회전롤러(24) 측으로 공급함으로써, 이 회전롤러(24)의 아래쪽에서 수평으로 이송되는 소재(P) 표면에 도료(W)를 도포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소재(P)의 표면에 도료(W)가 도포된 상태에서 다양한 입체무늬가 인쇄된 필름 마스크(M)를 부착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도료(W)의 도포상태나 이물질의 존재여부를 작업자가 눈으로 직접 확인하는 차원에서 수작업으로 행하는 것이 오히려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료(W) 표면에 필름 마스크(M)의 부착이 완료된 후 작업자가 스위치(도시생략)를 작동시킴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12)가 회전하여 소재(P)를 성형유닛(30) 측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도 3a,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성형유닛(30)은 작업대(31)의 상판으로부터 컨베이어 벨트(12)를 상하 작동시켜 소재(P)를 인입하거나 반출하기 위한 리프팅수단 및 필름 마스크(M)를 압착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전,후 이동하여 도료(W) 표면에 입체무늬를 형성하기 위한 롤링수단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즉, 상기 리프팅수단은, 도 4a에서와 같이 모터(32)에 의해 양 스프로킷(11)에 감겨져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12)와, 상기 스프로킷(11)의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상태로 지지하는 판상체(33)와, 이 판상체(33)를 상하 방향으로 밀어올리거나 내리도록 고정틀(34)에 장착된 실린더(35)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롤링수단은, 도 4b에서와 같이 천정 하우징(36)에 장착되는 프레임(37)과, 이 프레임(37)을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38A)와, 상기 프레임(37)의 하단부에 장착된 실린더(38B)에 의해 상하 작동하여 필름 마스크 (M)를 밀어누르는 압착롤러(39)로 이루어져 있다.
첨부된 도 5a, 도 5b에 상기 성형유닛(30)에 의한 롤링작업의 실예를 사진으로 촬영하여 나타내었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경화유닛(40)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고정틀(34) 상에 장착된 모터(32)에 의해 스프로킷(11)을 가동시켜 소재(P)를 서서히 이송시키면서 도료(W)를 경화킬 수 있게 된다.
이 경화유닛(40)을 구성하는 케이싱(41)의 상측에는 배기 블로어(43a,43b)가 마련되어 경화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냄새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케이싱(41) 내에는 소재(P)의 도료(W) 표면으로 빛을 조사하는 UV램프(42)를 포함하여 이 UV램프(42)로부터 발산되는 열이 소재(P)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폐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이 차폐수단은, 도 7에서와 같이 UV램프(42)를 중심으로 한쌍의 원호형 콜드 미러(cold mirror)(44a,44b) 및 단일의 평판형 콜드 필터(cold filter)(45)를 배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콜드 미러(44a,44b)는 적외선(L1)을 투과하면서 가시광선(L2)을 반사하는 거울이고, 상기 콜드 필터(45)는 가시광선(L2)을 90% 이상 투과하면서 적외선 (L1)은 반사하는 필터로서, 보통 유전체 다층막으로 제조되어 방열유리 등과 같이 산업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경화유닛(40)의 경우, UV램프(42)에서 발산되는 가시광선(L2)에 의한 도료(W)의 경화작용를 행함과 동시에 차폐수단에 의해 대개 200∼300℃에 이르는 고온의 열이 필름 마스크(M)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필름 마스크의 손상을 최소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처리부(50)에서는 경화가 완료된 소재(P)로부터 필름 마스크 (M)를 제거하게 되고, 또 도료(W)의 최종 도장상태를 점검하여 불량여부를 재차 체크하게 된다.
또한, 상기 후처리부(30)의 말미에는 랩포장부(60)가 부가적으로 설치됨에 따라 필름 마스크(M)가 제거된 상태에서 도료(W) 표면에 보호랩(61)을 씌워 마무리할 수 있다.
상기 보호랩(61)의 경우, 도 8에서와 같이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원통형으로 감겨진 통상의 비닐재를 취출하여 경화가 완료된 도료(W) 표면에 간단히 부착할 수 있는 것이며, 최종 완제품에 스크레치(scratch)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입체무늬 패널을 제조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패널의 제작과정을 각 공정별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평판형의 소재 표면을 샌딩기나 수작업에 의해 미리 정교하게 다듬어 평활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표면 도장을 위해 낱장의 소재가 공급되어 오면(S1), 도 2에서와 같이 저장용기(21)로부터 노즐(23)을 통해 회전롤러(24)로 공급되는 도료(W)를 소재(P) 표면으로 골고루 도포할 수 있게 된다(S2).
상기 도료(W)의 경우, 통상의 판재 코팅용 도료를 사용하거나 혹은 피톤치드, 옥, 맥반석, 황토 등과 같이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사할 수 있는 물질이나 방염 혹은 난연 기능을 갖는 물질을 첨가하여 친환경 기능성 패널을 제조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지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황토, 옥, 토르말린, 원석 등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이들을 적절히 혼합한 상태에서 500∼1500메쉬 정도의 분말로 파쇄한 후 5∼20 중량부 섞어서 만든 도료(W)를 소재(P) 표면으로 도포한다.
상기 물질들은 항균성을 띠고 있기 때문에 시멘트 독성뿐만 아니라 일반 건축 자재에서 발생하는 포름 알데히드, 대장균, 녹농균 등과 같은 유해물질로 인한 새집 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그리고, 상기 도료에 방염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산화제2철, 산화제2주석1산화납, 2산화망간, 옥시염화안티몬 및 규산나트륨과 수산화알루미늄 중에서 그 어느 하나 이상을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난연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주로 인산계, 브롬계 및 염소계를 포함하는 유기계 난연제 및 수산화알루미늄계, 안티몬계, 수산화마그네슘계, 산화주석, 수산화지르코늄, 메타붕산바륨 등의 무기계 난연제 5∼35 중량부를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소재(P) 표면으로 도료(W)가 도포된 상태에서 입체무늬가 인쇄된 필름 마스크(M)를 씌워 부착한 후(S3), 도 3a,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대(31) 상에서 전후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압착롤러(39)의 롤링작업에 의해 필름 마스크(M)를 가압함으로써 도료(W) 표면에 그대로 입체무늬를 성형하게 된다(S4).
이어서, 상기 소재(P)를 다음 공정인 경화유닛(40) 측으로 서서히 이송시킴과 동시에 도 6에서와 같이 UV램프(42)에서 발산되는 빛을 이용하여 경화과정을 수행하게 되며(S5), 이 때 콜드 미러(44a,44b)와 콜드 필터(45)로 이루어진 차폐수단에 의해 고온의 열이 필름 마스크(M)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경화유닛(40)에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12)의 속도는 소재(P)가 1분당 8∼12m 정도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소재(P)의 이송속도가 상기 범위에서 벗어나 빠를 경우에는 소재(P) 표면의 도료(W)가 덜 경화되어 입체무늬의 성형이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됨은 물론 소재와 도료 간의 결속력이 저하되며, 이와 반대로 느릴 경우에는 경화된 도료(W) 표면에 크랙이나 황변현상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제품 생산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또한, 상기 경화유닛(40)을 구성하는 UV램프(42)에서는 통상 200∼300℃의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필름 마스크(M)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경우 도 7에서와 같이 UV램프(42)의 주위에 콜드 미러(44a,44b)와 콜드 필터(45)로 이루어진 차폐수단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필름 마스크(M)에 가해질 수 있는 열 손상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도료(W) 경화가 완료되는 시점에서 필름 마스크(M)를 제거한 후(S6), 스크레치(scratch) 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랩포장부(60)로부터 보호랩(61)을 인출하여 부착하고(S7), 최종 완제품을 취출하여 제조과정을 종료한다(S8).
첨부된 도 10a, 도 10b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일련의 공정을 통해 악어가죽무늬나 꽃무늬가 형성된 완제품의 사진이 나타내어져 있다.
삭제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이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0: 소재 공급부 11: 스프로킷
12: 컨베이어 벨트 20: 선처리부
21: 저장용기 22: 실린더 펌프
23: 노즐 24: 회전롤러
30: 성형유닛 31: 작업대
32: 모터 33: 판상체
34: 고정틀 35: 실린더
36: 천정 하우징 37: 프레임
38A: 모터 38B: 실린더
39: 압착롤러 40: 경화유닛
41: 케이싱 42: UV램프
43a,43b: 배기 블로어 44a,44b: 콜드미러
45: 콜드필터 50: 후처리부
60: 랩포장부 61: 보호랩

Claims (9)

  1. 건축용 내,외장재나 가구용으로 사용되는 패널을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순차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낱장의 평판 소재(P)가 적재되어 대기하는 소재 공급부(10)와, 소재 표면에 도료(W)를 도포함과 동시에 필름 마스크(M)를 부착하는 선처리부(20)와, 필름 마스크에 인쇄된 입체무늬를 가압하여 도료 표면에 형성하는 성형유닛(30)과, 도료를 경화시키는 경화유닛(40)과, 경화된 도료로부터 필름 마스크를 제거하는 후처리부 (50)로 이루어지며,
    상기 선처리부(20)에는 저장용기(21)로부터의 도료를 소재 표면으로 도포하기 위한 회전롤러(2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성형유닛(30)에는 작업대(31)의 상판으로부터 컨베이어 벨트(12)를 상하 작동시켜 소재를 인입하거나 반출하는 리프팅수단 및 필름 마스크를 압착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전,후 이동하는 롤링수단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리프팅수단은 모터(32)에 의해 양 스프로킷(11)에 감겨져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12)와, 상기 스프로킷(11)의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상태로 지지하는 판상체(33)와, 이 판상체(33)를 상하 방향으로 밀어올리거나 내리도록 고정틀(34) 상에 장착된 실린더(35)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경화유닛(40)에는 도료 표면으로 빛을 발산하는 UV램프(42)를 포함하여 이 UV램프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차단하기 위한 차폐수단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무늬 패널의 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수단은 작업대(31)의 상측에 장착되는 천정 하우징(36)과, 이 천정 하우징을 따라 모터(38A) 작동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프레임(37)과, 이 프레임의 하단부에 장착된 실린더(38B)에 의해 상하 작동하는 압착롤러(39)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무늬 패널의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수단은 케이싱(41)에 설치된 UV램프(42)를 중심으로 한쌍의 콜드미러(44a,44b)와 단일의 콜드필터(45)로 구성되어 UV램프(45)에서 발산되는 열이 소재(P)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무늬 패널의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부(50)의 끝단에는 경화된 도료 표면에 보호랩(61)을 씌우기 위한 랩포장부(60)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무늬 패널의 제조장치.
  7. 건축용 내,외장재나 가구용으로 사용되는 패널을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각 공정별로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소재(P)를 적재한 상태에서 낱장으로 공급하는 단계(S1)와,
    저장용기(21)로부터 도료(W)를 펌핑하여 1차 회전롤러(24)로 공급한 후 이 회전롤러를 통해 소재(P) 표면으로 도료를 골고루 도포하는 단계(S2)와,
    도료 상에 입체무늬가 인쇄된 필름 마스크(M)를 씌우는 전처리 단계(S3)와,
    롤링작업에 의해 필름 마스크를 가압함에 따라 도료 표면에 입체무늬를 그대로 성형하는 단계(S4)와,
    도료 표면에 필름 마스크가 부착된 상태에서 소재를 서서히 경화유닛(40) 측으로 이송시켜 UV램프(42)에 의해 경화하는 단계(S5)와,
    경화가 완료된 소재의 도료 표면으로부터 필름 마스크를 제거하는 후처리 단계(S6)와,
    상기 필름 마스크(M)의 제거후 보호랩(61)을 부착하는 단계(S7)와,
    최종 완제품을 완성하는 단계(S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무늬 패널의 제조방법.

















  8. 삭제
  9. 삭제
KR1020120119647A 2012-10-26 2012-10-26 입체무늬 패널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KR101251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647A KR101251162B1 (ko) 2012-10-26 2012-10-26 입체무늬 패널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647A KR101251162B1 (ko) 2012-10-26 2012-10-26 입체무늬 패널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1162B1 true KR101251162B1 (ko) 2013-04-05

Family

ID=48442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647A KR101251162B1 (ko) 2012-10-26 2012-10-26 입체무늬 패널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11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508B1 (ko) * 2020-02-26 2020-09-15 이영준 입체무늬 패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9333A (ja) 1999-06-29 2001-01-16 Natoko Kk 塗装済建築板の製造方法、建築板塗装装置、及び塗装済建築板
JP3898579B2 (ja) * 2002-06-21 2007-03-28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基板処理装置
KR20100052335A (ko) * 2008-11-10 2010-05-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공물의 입체패턴 형성 장치 및 방법
KR101014653B1 (ko) 2010-06-17 2011-02-16 (주)모성 가구 또는 건축 인테리어용 패널 가공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9333A (ja) 1999-06-29 2001-01-16 Natoko Kk 塗装済建築板の製造方法、建築板塗装装置、及び塗装済建築板
JP3898579B2 (ja) * 2002-06-21 2007-03-28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基板処理装置
KR20100052335A (ko) * 2008-11-10 2010-05-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공물의 입체패턴 형성 장치 및 방법
KR101014653B1 (ko) 2010-06-17 2011-02-16 (주)모성 가구 또는 건축 인테리어용 패널 가공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508B1 (ko) * 2020-02-26 2020-09-15 이영준 입체무늬 패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60326A1 (en) Tile edge systems and methods
KR20000022319A (ko) 돌과 같은 재료 및/또는 벽의 장식방법 및장치
JP2007520340A (ja) 表面塗装装置
CN107206767A (zh) 用于对轮廓施加耐磨性和耐候性涂层的系统和方法
CN104691087A (zh) 套印玻璃制造方法和多色玻璃制品
KR101251162B1 (ko) 입체무늬 패널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CN111233343A (zh) 一种陶瓷基玻璃制作工艺
CN1257449A (zh) 玻璃处理工艺和装置
CN105946425A (zh) 一种雕刻uv背景墙的制备工艺
KR100997404B1 (ko) 입체무늬를 갖는 기능성 가구패널의 제작방법
KR102156508B1 (ko) 입체무늬 패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CN105904909A (zh) 一种平面uv背景墙的制备工艺
KR200485012Y1 (ko) 입체 벽화용 그림 타일
CN109454777A (zh) 多通道3d纳米纹理和立体logo模具的制备方法
EP1454762A1 (en) Method of decorating a flat element and decorated flat element
US11383267B2 (en) Systems and methods of UV printing on substrates
KR100989548B1 (ko) 섬유 소재의 기능성 코팅패널 제조방법
KR100884708B1 (ko) 풍경 강화유리 방음벽 및 그 제조방법
KR101488727B1 (ko) 장식유리 및 그 제조방법
CN109365236A (zh) 一种led-uv涂装方法
KR101520305B1 (ko) 소금을 이용한 그림 및 그 제조 방법
KR100481915B1 (ko) 목재 표면의 무늬 인쇄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작된 무늬목
RU2350478C2 (ru) Способ нанесения рисунков на глянцевую поверхность
KR100566972B1 (ko) 프린팅 패널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11822229A (zh) 一种硅藻泥板的装饰壁画制备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