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012Y1 - 입체 벽화용 그림 타일 - Google Patents

입체 벽화용 그림 타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012Y1
KR200485012Y1 KR2020170003697U KR20170003697U KR200485012Y1 KR 200485012 Y1 KR200485012 Y1 KR 200485012Y1 KR 2020170003697 U KR2020170003697 U KR 2020170003697U KR 20170003697 U KR20170003697 U KR 20170003697U KR 200485012 Y1 KR200485012 Y1 KR 2004850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ainting
tile
adhesive
pi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6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숙
Original Assignee
박정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숙 filed Critical 박정숙
Priority to KR20201700036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0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0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0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mineral fibres or particles, e.g. asbestos, mica
    • B32B1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mineral fibres or particles, e.g. asbestos, mica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9/04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mineral fibres or particles, e.g. asbestos, mica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silox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B44C1/105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32B2419/04Tiles for floors or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타일 본체의 표면에 적층되는 샌드층(sand layer)의 거친면에 의하여 접착제의 접착력 증대 및 그림층의 벗겨짐 방지하며, 상기 샌드층의 상측에 작설되는 파스텔층에 의해, 상기 입체 벽화용 그림 타일의 미관을 가일층 향상 시키면서, 상기 파스텔층 상측에 그려지는 벽화용 그림층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파스텔층 표면의 요홈부에 의해 상기 파스텔층의 상측에 형성되는 벽화용 그림층에 1차 입체감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벽화용 그림층 상측 코팅층에 균일하게 돌출 형성되는 투명 유리볼을 통하여 빛의 난반사를 유도하고 이에 따라서 벽화용 그림층에 2차 입체감이 형성될 수 있는 입체 벽화용 그림 타일에 관한 것이다.
그 기술적 구성은 벽면 또는 바닥에 착설되는 소성 가공된 판상(板狀)의 타일 본체(110)의 표면에 접착제(120)를 개재하여 벽화가 다수의 타일로 나누어져 형성되는 그림층(130)이 형성되고, 상기 그림층(130)의 표면에는 투명 코팅층(140)이 적층 형성되는 벽화용 그림 타일(100)의 상기 타일 본체(110)의 표면으로 접착제(120)의 접착 면적의 증대 및 그림층(130)의 벗겨짐 방지를 위하여 적층 형성되는 샌드층(170)(sand layer); 상기 접착제(120) 상측에는 표면에 착설되어,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요홈부(151)가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 안료가 혼합되어 입체형 밑그림을 형성하는 파스텔층(150); 상기 투명 코팅층(140) 하측의 그림층(130)에 입체감이 형성 되도록 상기 그림층(130)의 상측에 표면에 적층되는 코팅층(140)에 일체로 균일하게 돌출 형성되는 직경 0.5 ~ 1mm의 투명 유리볼(1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입체 벽화용 그림 타일{A picture tile of solid wall painting}
본 고안은 입체 벽화용 그림 타일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타일 본체의 표면에 적층되는 샌드층(sand layer)의 거친면에 의하여 접착제의 접착력 증대 및 그림층의 벗겨짐 방지하며, 상기 샌드층의 상측에 작설되는 파스텔층에 의해 입체 벽화용 그림 타일의 미관을 가일층 향상 시키면서, 상기 파스텔층 상측에 그려지는 벽화용 그림층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파스텔층 표면의 요홈부에 의해 상기 파스텔층의 상측에 형성되는 벽화용 그림층에 1차 입체감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벽화용 그림층 상측 코팅층에 균일하게 돌출 형성되는 투명 유리볼을 통하여 빛의 난반사를 유도하고 이에 따라서 벽화용 그림층에 2차 입체감이 형성될 수 있는 입체 벽화용 그림 타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있는 타일은, 도기 또는 자기를 원료로 하여 제조되며, 이때 타일의 기본 소지가 되는 점토등을 적당량의 물과 혼합하여 반죽상태로 하고 내 부의 공기를 충분히 제거한 후, 이를 판상화하여 적당한 크기 및 형상을 갖도록 성형한 다음, 결정수를 제외한 수분이 내부에 남아 있지 않을 때까지 저온에서 충분히 건조시키고 건조 완료된 판상의 성형물을 대략 900℃의 온도에서 1차 소성하고 냉각한 다음, 상기 성형물의 표면에 유약을 적용시켜 건조한 후, 이를 1300℃의 온도로 2차 소성하여 제조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타일의 표면에 벽화등의 문양이 형성되어 있는 타일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1차 소성이 완료된 판상의 타일 표면에 연소성의 물질을 사용하여 밑그림을 그리고, 상기 그 밑그림을 바탕으로 하여 소성후에 각기 다른 색상으로 표현되는 안료가 혼합되어 있는 유약을 사용하여 그림을 그려넣은 다음 소성후에 투명성이 보장되는 유약을 코팅하여 2차 소성(열처리)을 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타일의 표면에 벽화등의 그림이 형성된 타일은 유약 코팅 및 별도의 2차 소성(열처리)에 의해 제작이 극히 어렵게 됨은 물론, 상기와 같이 2차소성(열처리)후에는 벽화 타일의 표면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벽화 등의 그림이 가열(열처리)에 의해 명료하게 표현이 안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UV프린터기를 이용하여 에폭시수지 도료로 전처리 한 일반타일의 표면에 분할한 이미지를 하나하나씩 직접 인쇄 방식으로 이미지를 프린트한 다음에 우레탄수지 도료로 코팅하는 후(後)처리 하는 과정을 통하여, 타일에 프린팅 한 이미지가 기존의 전사방식 등으로 이미지를 구현한 타일보다 색체와 색감이 훨씬 뛰어난 벽화용 타일일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95263호(2005년 09월 02일 등록)이 알려져 있으나, 소성된 타일의 표면에 단순히 UV프린터기를 통하여 인쇄되는 이미지층은 외부의 환경에 의해 쉽게 벗겨지게 되는 커다란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바닥타일에 유리섬유층 및 세미발포층을 적층시켜, 상기 유리섬유층에 의한 우수한 치수안정성과 세미발포층에 의한 쿠션성 확보로 인하여 기존 바닥타일 대비 쿠션성을 부여할 수 있는 바닥타일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30422호(2006년 11월 13일 등록)에 알려져 있다.
그 기술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유리섬유층(3) 위에 상부층(9)을 적층하여 로터리 스크린이나 그라비아와 같은 다양한 인쇄방법을 사용하여 인쇄층(10)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내구성 및 경도를 보완하기 위하여, 투명 상부층(11)과 표면처리층(6)을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유리섬유층(3) 하부에 세미발포층(2)과 치수보강층(7)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상기 유리섬유층(3)에 의한 치수안정성이 우수하면서, 바닥타일에 적층 형성된 세미발포층(2)에 의해 타일의 쿠션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타일의 경우 단지 치수보강층에 적층 형성되는 세미발포층에 의해 바닥타일의 쿠션성이 향상될 수 있으나, 상기 타일에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타일이 쉽게 파손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1.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공보 제 20-0395263호(2005년 09월 02일 등록) 2.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공보 제 20-0430422호(2006년 11월 13일 등록)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타일 본체의 표면에 적층되는 샌드층(sand layer)의 거친면에 의하여 접착제의 접착력 증대는 물론, 상기 접착제 상측에 그려지는 그림층의 벗겨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샌드층의 상측에 접착제를 개재하여 착설되는 입체 입체 벽화용 그림 타일의 밑그림을 형성하는 파스텔층에 의해 입체 벽화용 그림 타일의 미관을 가일층 향상 시키면서, 상기 파스텔층 상측에 그려지는 벽화용 그림층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상기 파스텔층의 표면에 형성되는 요홈부에 의해 상기 파스텔층의 상측에 형성되는 벽화용 그림층에 1차 입체감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그림층 상측 코팅층에 균일하게 돌출 형성되는 투명 유리볼을 통하여 빛의 난반사를 유도하고 이에 따라서 벽화용 그림층에 2차 입체감이 형성될 수 있도록한 입체 벽화용 그림 타일을 제공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또한, 상기 벽화용 그림층은 내부에 혼합되는 일정량의 아크릴에 의해 컬러물감의 건조가 빠르고, 상기 그림층이 굳은 뒤에는 물 등에 의해 녹지 않게 되며, 특히 그림층에 공기의 접촉을 차단하는 강한 피막이 생기게 되어, 외부의 공기나 열, 습기, 자외선등에 잘 견디는 내후성이 뛰어나게 되고, 상기 그림층의 퇴색이나 변색이 발생되지 않도록한 입체 벽화용 그림 타일을 제공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벽면 또는 바닥에 착설되는 소성 가공된 판상(板狀)의 타일 본체(110)의 표면에 접착제(120)를 개재하여 벽화가 다수의 타일로 나누어져 형성되는 그림층(130)이 형성되고, 상기 그림층(130)의 표면에는 투명 코팅층(140)이 적층 형성되는 벽화용 그림 타일(100)에 있어서,
상기 타일 본체(110)의 표면으로 접착제(120)의 접착 면적의 증대 및 그림층(130)의 벗겨짐 방지를 위하여 적층 형성되는 샌드층(170)(sand layer); 상기 접착제(120) 상측에는 표면에 착설되어,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요홈부(151)가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 안료가 혼합되어 입체형 밑그림을 형성하는 파스텔층(150); 상기 투명 코팅층(140) 하측의 그림층(130)에 입체감이 형성 되도록 상기 그림층(130)의 상측에 표면에 적층되는 코팅층(140)에 일체로 균일하게 돌출 형성되는 직경 0.5 ~ 1mm의 투명 유리볼(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파스텔층(150) 상측에 그림으로 그려지는 그림층(130)은, 내부에 아크릴 20~25중량% 및 컬러물감 80~75중량% 혼합되어 수공에 의해 직접 그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파스텔층(150)은 내부에 물감 가루 6.5 중량%, 알콜 14.7중량%, 실리콘 78.5중량%, 경화제 0.3 중량%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입체 벽화용 그림 타일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타일 본체의 표면에 적층되는 샌드층(sand layer)의 거친면에 의하여 접착제의 접착력 증대는 물론, 상기 접착제 상측에 그려지는 그림층의 벗겨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샌드층의 상측에 접착제를 개재하여 착설되는 입체형 타일의 밑그림을 형성하는 파스텔층에 의해, 상기 벽화용 타일의 미관을 가일층 향상 시키면서, 상기 파스텔층 상측에 그려지는 벽화용 그림층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상기 파스텔층의 표면에 형성되는 요홈부에 의해 상기 파스텔층의 상측에 형성되는 벽화용 그림층에 1차 입체감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그림층 상측 코팅층에 균일하게 돌출 형성되는 투명 유리볼을 통하여 빛의 난반사를 유도하고 이에 따라서 벽화용 그림층에 2차 입체감이 형성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소성 가공하여 제작되는 판상(板狀)의 타일 본체에 벽화용 그림층의 제작 후 별도의 열처리 공정이 전혀 필요 없이도 상기 벽화용 타일을 손쉽고,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면서, 상기 벽화용 그림층은 내부에 혼합되는 일정량의 아크릴에 의해 컬러물감의 건조가 빠르고, 상기 그림층이 굳은 뒤에는 물 등에 의해 녹지 않게 되며, 특히 그림층에 공기의 접촉을 차단하는 강한 피막이 생기게 되어, 외부의 공기나 열, 습기, 자외선등에 잘 견디는 내후성이 뛰어나게 되고, 상기 그림층의 퇴색이나 변색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표면에 그림층이 인쇄되는 바닥 타일의 정단면 구조도.
도 2는 본 고안인 입체 벽화용 그림 타일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입체 벽화용 그림 타일의 정단면 구조도.
도 4는 본 고안의 타일 본체 상측에 착설되는 샌드층 및 파스텔층의 요부 구조조.
도 5는 본 고안의 투명 코팅층 표면에 균일하게 돌출 형성되는 유리볼의 확대 구조도.
이하, 본 고안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기술적 구성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인 입체 벽화용 그림 타일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입체 벽화용 그림 타일의 정단면 구조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타일 본체 상측에 착설되는 샌드층 및 파스텔층의 요부 구조도, 도 5는 본 고안의 투명 코팅층 표면에 균일하게 돌출 형성되는 유리볼의 확대 구조도이다.
즉, 본 고안은 벽화용 그림 타일(100)은 벽면 또는 바닥에 착설되는 소성 가공된 판상(板狀)의 타일 본체(110)의 표면에 접착제(120)를 개재하여 벽화가 다수의 타일로 나누어져 형성되는 그림층(130)이 형성되고, 상기 그림층(130)의 표면에는 코팅층(140)이 적층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타일 본체(110)의 표면에는 접착제(120)의 접착 면적의 증대 및 그림층(130)의 벗겨짐 방지를 위하여 샌드층(170)(sand layer)이 적층 형성되며, 상기 샌드층(170)의 상측에 도포되는 접착제(120) 상측에는 내부에 안료가 혼합되어 입체형 밑그림을 형성하는 파스텔층(150)이 착설되고, 이때 상기 파스텔층(150)의 표면에는 상기 파스텔층(150)의 그림층(130)의 입체감을 형성토록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요홈부(151)가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파스텔층(150)은, 내부에 물감 가루 6.5 중량%, 알콜 14.7중량%, 실리콘 78.5중량%, 경화제 0.3 중량%가 혼합된다.
그리고, 상기 파스텔층(150) 상측에 그림으로 그려지는 그림층(130)은, 내부에 아크릴 20~25중량% 및 컬러물감 80~75중량% 혼합되어 수공에 의해 직접 그려지도록 한다.
계속해서, 상기 그림층(130)의 상측에 표면에 적층되는 코팅층(140)에는 직경 0.5 ~ 1mm의 투명 유리볼(160)이 일체로 균일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코팅층(140) 하측의 그림층(130)에 입체감이 형성 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벽화용 그림 타일(100)은, 도기 또는 자기를 원료로 소성 가공하여 제작되는 판상(板狀)의 타일 본체(110)의 표면으로 접착제(120)를 개재하여 벽화가 다수의 타일로 나누어져 형성되는 그림층(130)이 형성한 후, 상기 그림층(130)의 표면에는 코팅층(140)을 적층 형성하여 상기 그림층(130)의 그림이 벗겨지거나 이물질등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소성 가공된 타일 본체(110)의 표면에는 샌드층(170)(sand layer)이 적층 형성되어, 상기 샌드층(170)의 거친면에 의하여 접착제(120)의 접착 면적의 증대에 의한 접착력 증대는 물론, 상기 접착제(120) 상측에 그려지는 그림층(130)의 벗겨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샌드층(170)의 상측에 도포되는 접착제(120) 상측에는 내부에 안료가 혼합되어 입체형 밑그림을 형성하는 파스텔층(150)이 착설되어, 상기 벽화용 그림 타일(100)의 미관을 가일층 향상 시키면서, 상기 파스텔층(150) 상측에 그려지는 벽화용 그림층(130)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바로 이때, 상기 파스텔층(150)의 표면에는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요홈부(151)가 일정하게 길게 형성되어, 상기 파스텔층(150)의 상측에 형성되는 벽화용 그림층(130)에 1차 입체감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파스텔층(150)은, 내부에 벽화용 그림 타일(100)의 색상을 형성하는 물감 가루 6.5, 중량% 알콜 14.7중량%, 실리콘 78.5중량%, 경화제 0.3 중량%가 혼합되며, 이때 상기 실리콘 78.5중량%에 알콜 14.7중량%을 혼합함으로써, 상기 파스텔층(150)의 내열 및 내한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상기 물감 가루의 혼합성이 좋아지고, 이때 0.3 중량%가 혼합되는 경화제에 의해 상기 파스텔층(150)이 빠르게 경화되어 그 상측으로 벽화용 그림층(130)을 용이하게 그릴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파스텔층(150)의 상측에 수공에 의해 직접 그려지는 벽화용 그림층(130)은, 내부에 아크릴 20~25중량% 및 컬러물감 80~75중량% 혼합되어, 상기 혼합되는 아크릴에 의해 컬러물감의 건조가 빠르고, 벽화용 그림의 완성 후 그림층(130)이 굳은 뒤에는 물 등에 의해 녹지 않는 성질을 지니게 되며, 특히 그림층(130)에 공기의 접촉을 차단하는 강한 피막이 생기게 되어, 외부의 공기나 열, 습기, 자외선등에 잘 견디는 내후성이 뛰어나게 되며, 상기 그림층(130)이 퇴색이나 변색이 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컬러물감 80중량%에 대해 아크릴 20중량%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그림층(130)의 내후성을 제대로 유지할 수 없으며, 따라서 상기 그림층(130)의 퇴색이 빈번하게 발생됨은 물론, 상기 컬러물감 75중량%에 아크릴 25중량%를 혼합하면 그림층(130)의 내후성은 향상될 수 있으나, 오히려 아크릴에 지나친 혼합에 의해 벽화용 그림이 제대로 그려지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서 상기 그림층(130)을 확실하게 형성시킬 수 없는데 기인한 것으로, 상기 벽화용 그림층(130)은, 내부에 아크릴 20~25중량% 및 컬러물감 80~75중량% 혼합됨이 가장 바람직한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그림층(130)의 상측에 표면에 적층되는 코팅층(140)에는 직경이 0.5 ~ 1mm의 투명 유리볼(160)이 일체로 균일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투명 유리볼(160)이 빛의 난반사를 유도하게 됨으로 인하여, 상기 코팅층(140) 하측에 그려진 그림층(130)에 2차 입체감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서 벽면 또는 바닥에 설치되는 벽화용 그림 타일(100)의 그림층(130)에 입체감이 확실하게 부여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벽화용 그림 타일 110...타일 본체
120...접착제 130...그림층
140...투명 코팅층 150...파스텔층
151...요홈부 160...투명 유리볼
170...샌드층(sand layer)

Claims (3)

  1. 벽면 또는 바닥에 착설되는 소성 가공된 판상(板狀)의 타일 본체(110)의 표면에 접착제(120)를 개재하여 벽화가 다수의 타일로 나누어져 형성되는 그림층(130)이 형성되고, 상기 그림층(130)의 표면에는 투명 코팅층(140)이 적층 형성되며, 상기 타일 본체(110)의 표면으로 접착제(120)의 접착 면적의 증대 및 그림층(130)의 벗겨짐 방지를 위하여 샌드층(170)(sand layer)이 적층 형성되고, 상기 투명 코팅층(140) 하측의 그림층(130)에 입체감이 형성 되도록 상기 그림층(130)의 상측에 표면에 적층되는 코팅층(140)에 투명 유리볼(160)이 일체로 균일하게 돌출 형성되는 입체 벽화용 그림 타일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120) 상측에는 표면에는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요홈부(151)가 길게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151) 내부에는 안료가 혼합되어 벽화용 그림층(130)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입체형 밑그림을 형성하는 파스텔층(150)이 착설되며, 상기 투명 유리볼(160)이 빛의 난반사를 유도하도록 상기 투명 유리볼(160)은 직경이 0.5 ~ 1mm로 형성되고, 상기 파스텔층(150) 상측에 그림으로 그려지는 그림층(130)은, 내후성이 향상되도록 내부에 아크릴 20~25중량% 및 컬러물감 80~75중량% 혼합되며, 상기 파스텔층(150)은 내부에 물감 가루 6.5 중량%. 알콜 14.7중량%, 실리콘 78.5중량%, 경화제 0.3 중량%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벽화용 그림 타일.
  2. 삭제
  3. 삭제
KR2020170003697U 2017-07-17 2017-07-17 입체 벽화용 그림 타일 KR2004850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697U KR200485012Y1 (ko) 2017-07-17 2017-07-17 입체 벽화용 그림 타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697U KR200485012Y1 (ko) 2017-07-17 2017-07-17 입체 벽화용 그림 타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012Y1 true KR200485012Y1 (ko) 2017-11-20

Family

ID=60480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697U KR200485012Y1 (ko) 2017-07-17 2017-07-17 입체 벽화용 그림 타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01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5987B1 (ko) 2018-08-02 2018-12-12 박정숙 벽화용 그림 타일 제작방법
KR20220096431A (ko) 2020-12-31 2022-07-07 주식회사 글리제 시각효과가 향상된 디자인 패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7914A (ja) * 1998-01-27 1999-08-03 Toppan Printing Co Ltd 不燃化粧板
KR200395263Y1 (ko) 2005-02-23 2005-09-08 진성호 직접 프린팅 방식의 벽화용 타일
KR20060111992A (ko) * 2005-04-26 2006-10-31 (주)두일 카펫의 입체감을 갖는 타일의 제조방법
KR200430422Y1 (ko) 2006-07-06 2006-11-13 주식회사 케이씨씨 쿠션성을 갖는 유리섬유 적층형 바닥타일
KR101526143B1 (ko) * 2015-02-03 2015-06-03 주식회사 신한양행 기능성 유리구슬 장식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7914A (ja) * 1998-01-27 1999-08-03 Toppan Printing Co Ltd 不燃化粧板
KR200395263Y1 (ko) 2005-02-23 2005-09-08 진성호 직접 프린팅 방식의 벽화용 타일
KR20060111992A (ko) * 2005-04-26 2006-10-31 (주)두일 카펫의 입체감을 갖는 타일의 제조방법
KR200430422Y1 (ko) 2006-07-06 2006-11-13 주식회사 케이씨씨 쿠션성을 갖는 유리섬유 적층형 바닥타일
KR101526143B1 (ko) * 2015-02-03 2015-06-03 주식회사 신한양행 기능성 유리구슬 장식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5987B1 (ko) 2018-08-02 2018-12-12 박정숙 벽화용 그림 타일 제작방법
KR20220096431A (ko) 2020-12-31 2022-07-07 주식회사 글리제 시각효과가 향상된 디자인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64376B2 (es) Revestimiento mural de vidrio.
KR200485012Y1 (ko) 입체 벽화용 그림 타일
JP2024050901A (ja) 面材の製造方法
CN105620165B (zh) 一种瓷板画制作工艺
CN105272366B (zh) 一种彩喷陶瓷板装饰画的制备方法
KR20090046134A (ko) 건축내장재 벽체용 장식판의 제조방법
RU180504U1 (ru) Декоративное рельефное панно
KR100999394B1 (ko) 도장에 의한 입체 효과 방식을 이용한 타일 코팅 경화방법 및 제품
KR101630694B1 (ko) 입체적인 요철무늬 및 문양을 갖는 장식 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을 통해 제조된 장식패널
KR101633396B1 (ko) 천연소재 흙을 이용한 인테리어 판넬 및 그 제작방법
KR101873185B1 (ko) 축광을 이용한 건축용 마감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33115B1 (ko) Opet 표면 pvc 욕실 타일 및 그 제조 방법
KR101888334B1 (ko) 입체 그림타일의 제조방법
KR101925987B1 (ko) 벽화용 그림 타일 제작방법
KR101509583B1 (ko) 폴리에틸렌테레프 소재 난연보드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에틸렌테레프 소재 난연보드
TWI568698B (zh) 裝飾玻璃及其製造方法
CN108202554A (zh) 具有三维立体图案的橡胶泥浮雕装饰板及其制作工艺
KR102032690B1 (ko) 접착제 색 외부 발현 난연 인테리어 월 패널
KR200284658Y1 (ko) 고해상도의 인쇄면을 갖는 장식용 타일
KR101612352B1 (ko) 유브이 평판프린터를 이용한 석재장식품의 제조방법
KR20170028750A (ko) 화강석에 세라믹 프린트 인쇄기 및 3d 인쇄기를 이용한 세라믹 유약 다채무늬 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29890A (ko) 실내 장식 기능을 갖는 경관형 마감보드
KR200393551Y1 (ko) 장식용으로 부착 가능한 아크릴판재
EP4274743A1 (en) Decorative panel, in particular a wall, ceiling or floor panel, and a covering constructed by a multitude of such panels
KR20170136661A (ko) 벽화타일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