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2352B1 - 유브이 평판프린터를 이용한 석재장식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브이 평판프린터를 이용한 석재장식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2352B1
KR101612352B1 KR1020150126324A KR20150126324A KR101612352B1 KR 101612352 B1 KR101612352 B1 KR 101612352B1 KR 1020150126324 A KR1020150126324 A KR 1020150126324A KR 20150126324 A KR20150126324 A KR 20150126324A KR 101612352 B1 KR101612352 B1 KR 101612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ed layer
color
engraved
processed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문식
김동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줌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줌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줌톤
Priority to KR1020150126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23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2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2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38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ston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4Multicolour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4Multicolour printing
    • B41M1/18Printing one ink over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4Ablative recording, e.g. by burning marks; Spark recor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2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 B44C1/228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by laser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4Pressing or stamping ornamental designs on surfa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oxicology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유브이 평판프린터를 이용한 석재장식품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피가공재에 음각을 형성하고, 음각에 유브이 평판프린터를 이용하여 다중 채색층을 형성한 후, 상기 피가공재의 표면과 상기 다중 채색층의 상단을 도장하여 코팅하여, 경미한 충격에 의한 눌림 현상, 스크래치에 의한 긁힘현상이 완화 또는 예방 가능하며, 또한 수분, 공기가 상기 다중 채색층과 소통할 수 없어 치수변화, 변형을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유브이 평판프린터를 이용한 석재장식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유브이 평판프린터를 이용한 석재장식품의 제조방법{METHODS FOR MANUFACTURING INLAID STONE ORNAMENTS}
본 발명은 장식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가공재에 음각을 형성하고, 음각에 유브이 평판프린터를 이용하여 다중 채색층을 형성하여 장식품에 내구성과 심미감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유브이 평판프린터를 이용한 석재장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실내 및 실외는 콘크리트 또는 시멘트의 벽면에 페인트 칠을 하거나 벽지를 부착하여 최종적으로 마감된다. 건축물의 고급화 및 장식화 경향에 따라 건축물의 외관 및 실내를 아름답고 고급스럽게 조성하기 위해 건축물 장식용 마감재를 사용하여 건축물의 실내 및 실외를 마감한다.
상기 건축물 장식용 마감재로는 합성수지재, 세라믹재, 석재 및 목재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 중에서 석재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일률적인 색상과 형상을 탈피하여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하여 건축물 장식용 마감재를 채색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석재를 포함한 현재의 건축물 장식용 마감재에 도료를 도포하여 채색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채색공정이 수작업으로 수행되고 있어, 작업시간이 오래걸리고, 이에 따라 인건비 등 제조비용이 상승하며, 수작업의 한계로 인해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선명하게 재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한편, 최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10-1099046호에서는 건축물의 바닥이나 내외장재로 사용되는 대리석, 또는 철판 등과 같은 평판소재의 표면에 유브이 컬러잉크(Ultraviolet Color Ink)를 사용하여 선명한 색상(Color)의 패턴이미지를 인쇄할 수 있도록 하는 잉크젯 프린터 및 그것을 이용한 인쇄방법이 소개되고 있다.
자세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화된 UV잉크(22b, 22c, 22d)에 겹쳐지도록 UV잉크(22e)가 부착된 후, 우측 자외선 조사장치로부터의 자외선이 조사되어 경화시키고, 좌측 자외선 조사장치로부터의 자외선이 조사됨으로써, UV잉크(22b, 22c, 22d, 22e)가 완전히 경화되어 인쇄시트(1)에 고정되고, 인쇄영역 1d에 대한 인쇄를 완료시키는 기술이다.
이는 이미지가 수록된 필름이나 그림 등을 스캐너(scanner)를 사용하여 컴퓨터에 이미지파일로 변환시키거나 디지털 이미지파일을 출력하고자 하는 크기로 확대하고, 설정된 평면크기로 확대된 패턴이미지에 잉크를 분사하여 인쇄하는 잉크젯 프린터(Inkjet printer)를 이용한 이른바 직접 프린팅 방식이다.
상술한 기술은 다중 채색층이 인쇄영역의 상단에 인쇄 형성되어 될 수 있으나, 이러한 인쇄영역의 표면에 인쇄되어 돌출형성된 유브이 잉크는 기계 및 사람의 취급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미한 충격에 의한 눌림 현상, 스크래치에 의한 긁힘현상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재의 바탕색이 어두운 색상을 띠는 소재 예를 들면, 온돌마루판이나 가구의 문짝 등으로 사용되는 천연무늬목재로 된 소재는 그 표면이 비교적 어두운 색상을 띠고 있으므로 어두운 색상의 표면에 유브이 컬러잉크를 직접 분사하여 인쇄하였을 경우에는 천연무늬목 소재 표면에 인쇄된 유브이 컬러인쇄층이 유브이 컬러잉크 본래의 색상을 띠지 못하고 천연무늬목 소재 표면의 어두운 색상과 같이 어두운 색감으로 표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한국등록특허 제10-1089689호에서는 이러한 표면 채색으로 인한 돌출형성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레이저를 이용하여 피가공재에 음각의 문양을 새기는 레이저 가공 공정 후, 상기 음각에 문양을 채색하는 공정을 포함함으로써 채색층이 음각 내에 위치하여 눌림 현상 및 긁힘현상을 해결하고 있으나, 여전히 수작업의 한계로 인해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선명하게 재현하지 못하는 한계를 갖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99046호(공고일 2011.12.26) 한국등록특허 제10-1089689호(공고일 2011.12.05)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피가공재에 음각을 형성하고, 음각에 유브이 평판프린터를 이용하여 다중 채색층을 형성한 후, 상기 피가공재의 표면과 상기 다중 채색층의 상단을 도장하여 코팅함으로써, 경미한 충격에 의한 눌림 현상, 스크래치에 의한 긁힘현상이 완화 또는 예방 가능하며, 또한 수분, 공기가 상기 다중 채색층과 소통할 수 없어 치수변화, 변형을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유브이 평판프린터를 이용한 석재장식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피가공재에 0.5 ~ 1.5mm의 깊이로 함몰되도록 음각을 새기는 레이저 가공 공정단계; 상기 음각의 상단면에 에폭시 수지를 스프레이로 접착층을 형성하는 접착층 형성 공정단계; 유브이 프린터를 이용하여 상기 접착층의 내부에 유브이 흰색잉크를 인쇄하여 제1 채색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채색층의 상단에 유브이 컬러잉크를 인쇄하여 제2 채색층을 형성하는 유브이 평판프린터를 이용한 다중 채색 인쇄단계; 및 상기 피가공재의 표면과 상기 제2 채색층의 상단을 도장하여 코팅하는 코팅 공정단계;를 포함하는 유브이 평판프린터를 이용한 석재장식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채색층 및 상기 제2 채색층은, 상기 음각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유브이 평판프린터를 이용한 석재장식품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다중 채색층이 음각 내에 인쇄 형성될 수 있어, 종래에 표면에 인쇄되는 유브이 잉크에 비하여 기계 및 사람의 취급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미한 충격에 의한 눌림 현상, 스크래치에 의한 긁힘현상이 완화 또는 예방 가능하며, 또한 수분, 공기가 상기 다중 채색층과 소통할 수 없어 치수변화, 변형을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브이 평판프린터를 이용하여 기존에 수작업으로 수행하던 다중 채색층의 채색작업에 비하여 작업시간이 현저하게 줄어들며, 인건비, 제조시간 등 전체적인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고,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선명하게 재현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브이 프린터를 사용하여 평판소재의 표면에 유브이 컬러잉크가 인쇄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석재장식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레이저 가공 공정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접착층 형성 공정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유브이 평판프린터를 이용한 다중 채색 인쇄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코팅 공정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재현율을 비교하기 위한 완성품의 사진으로써, (a)는 원본의 사진, (b)는 수작업으로 채색 완성된 장식품의 사진, (c)는 본 발명에 의해 완성된 장식품의 사진이다.
도 8은 못에 의한 스크레치 발생율을 비교하기 위한 완성품의 사진으로써, (a)는 종래의 평판프린터를 이용하여 완성된 장식품의 사진, (b)는 본 발명에 의해 완성된 장식품의 사진이다.
도 9는 사포에 의한 스크레치 발생율을 비교하기 위한 완성품의 사진으로써, (a)는 종래의 평판프린터를 이용하여 완성된 장식품의 사진, (b)는 본 발명에 의해 완성된 장식품의 사진이다.
도 10은 벗겨짐/들뜸 현상을 비교하기 위한 완성품의 사진으로써, (a)는 종래의 평판프린터를 이용하여 완성된 장식품의 사진, (b)는 본 발명에 의해 완성된 장식품의 사진이다.
도 11은 동일조건에서 못과 칼날도구를 이용하여 충격을 가했을 때의 내구성을 비교하기 위한 완성품의 사진으로써, (a)는 종래의 평판프린터를 이용하여 완성된 장식품의 사진, (b)는 본 발명에 의해 완성된 장식품의 사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브이 평판프린터를 이용한 석재장식품의 제조방법은 레이저 가공 공정단계(10S), 접착층 형성 공정단계(20S), 유브이 평판프린터를 이용한 다중 채색 인쇄단계(30S), 및 코팅 공정단계(40S)을 포함한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이저 가공 공정단계(10S)에서는 레이저를 이용한 에칭을 수행하여 피가공재(10)에 음각(15)의 문양을 형성한다(10S).
상기 피가공재(10)는 석재, 금속, 플라스틱, 목재, 유리, 및 복합 소재에서 선택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석재는 대리석, 화강암, 슬레이트석일 수 있고, 금속은 스테인레스, 산화알루미늄일 수 있으며, 플라스틱은 아크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피가공재(10)는 석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피가공재(10)는 소정의 형상을 갖도록 석재, 금속, 플라스틱, 목재, 유리, 및 복합 소재에서 선택된 재료를 절단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단은 워터젯 절단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가공재(10)는 음각(15)의 문양을 포함한다. 상기 음각(15)은 레이저 가공에 의해 함몰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음각(15)의 바닥면에서에 높이(h)는 0.5 ~ 1.5mm일 수 있다. 도 3에세 음각(15)의 단면은 직사각형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역삼각형, U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각(15)의 바닥에는 요철면(16)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레이저 가공 공정단계(10S)에서 레이저를 이용한 에칭을 수행 시 레이저 조사의 강도 또는 떨림을 주어 적절한 요철의 밀도 및 크기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요철면(16)은 후술할 접착층(30) 또는 제1 채색층(21)과의 접착력을 증진시켜 장식품 전체의 내구성을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자세한 효과에 대한 설명은 실험예를 통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피가공재(10) 및 음각(15)의 형상과 문양은 동물, 식물 등 다양한 형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가공재(10) 및 음각(15)은 포토샵, 일러스터, 코렐드로, CAD 또는 CAM 등의 프로그램이 내장된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기 재료 위에 상기 소정의 형상의 라인으로 디자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가공재(10)는 워터젯 절단기를 이용하여 상기 라인을 따라 상기 재료를 절단하여 디자인될 수 있고, 상기 음각(15)은 레이저 가공에 의한 에칭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레이저 가공 공정단계(10S)에서 레이저 가공에 의한 에칭으로 음각(15)을 함몰 형성하되, 벨트 기어를 갖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레이저를 거울에 반사시킴으로써 음각(15)의 에칭속도가 빨라질 수 있고, 이에 음각(15)이 깊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층 형성 공정단계(20S)에서는 레이저 가공 공정단계(10S)에서 형성된 음각(15)의 면에 접착층(30)을 형성하는데, 상기 접착층(30)은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를 음각(15)에 스프레이 공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착층(30)은 다중 채색층(20)과 음각(15)의 면 사이에 배치되는데, 상기 접착층(30)은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층으로 후술할 유브이 잉크로 형성되는 다중 채색층(20)과 피가공재(10) 사이의 접착력을 강화시켜 다중 채색층(20)의 내구성과 보존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접착층(30)이 다중 채색층(20)과 음각(15)의 면 사이에 전체적으로 배치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음각(15)에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 가공 공정(10S)을 수행한 후 접착층(30)을 형성하기 전에 피가공재(10)의 표면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브이 평판프린터를 이용한 다중 채색 공정(30S)에서는 상기 접착층 형성 공정단계(20S)에서 형성된 접착층(30)의 내부로 다중 채색층(20)을 형성하는 단계로, 상기 다중 채색층(20)은, 음각(15)의 내부에 제1 채색층(21)을 인쇄형성하고, 제1 채색층(21) 위에 제2 채색층(22)을 형성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1 채색층(21)은 음각(15)의 하부, 즉 접착층(30)의 상단에 유브이 평판프린터로 인쇄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제2 채색층(22)은 상기 인쇄된 제1 채색층(21)의 상단에 다시 유브이 평판프린터로 재인쇄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레이저 가공 공정단계(10S)에서 상기 음각(15)이 0.5 ~ 1.5mm의 높이로 다소 깊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1 및 제2 채색층(21, 22)을 포함하는 다중 채색층(20)이 음각(15) 내에 인쇄 형성될 수 있어, 종래에 표면에 인쇄되는 유브이 잉크에 비하여 기계 및 사람의 취급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미한 충격에 의한 눌림 현상, 스크래치에 의한 긁힘현상이 완화 또는 예방 가능하며, 또한 수분, 공기가 상기 다중 채색층(20)과 소통할 수 없어 치수변화, 변형을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자세한 효과에 관하여는 실험예를 통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한 유브이 평판프린터(미도시)는 피가공재(10)의 상단에서 전,후(또는 좌,우)로 왕복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다양한 유브이 컬러잉크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을 형성하고 있는 노즐작동체를 상기 피가공재(10)에 형성된 음각(15)의 상단에서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왕복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컴퓨터로부터 출력되는 디자인과 동일한 모양, 즉 레이저 에칭으로 함몰된 음각(15)의 모양으로 상기 음각(15)의 표면 상단에 단색 또는 다색의 유브이 컬러잉크를 직접 분사하여 인쇄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유브이 평판프린터는 당업자에 의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장치이므로 유브이 평판프린터를 이용하여 디자인을 인쇄하는데 따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채색층(21)은 유브이 평판프린터를 이용하여 유브이 흰색잉크를 상기 음각(15)의 표면에 인쇄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상기 피가공재(10)의 어두운 색상을 1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제2 채색층(22)은 제1 채색층(21)의 상단에 겹쳐지도록 2차적으로 인쇄되는 것이며, 상기 제1 채색층(21)에서 어두운색이 차단되므로 이로 인해 상기 제2 채색층(22)은 유브이 컬러잉크가 가지고 있는 본래의 색상으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상기 피가공재(10)의 어두운 표면을 탈피하여 인쇄된 디자인을 뚜렷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목재, 대리석, 철재와 같이 비교적 어두운 색상을 띠는 피가공재(10)의 경우 상기 피가공재(10)의 표면에 유브이 흰색잉크를 사용하여 음각(15)과 동일한 디자인으로 제1 채색층(21)을 인쇄 형성시킨 다음, 이어서 상기한 제1 채색층(21)의 상단에 겹쳐지도록 유브이 컬러잉크를 사용하여 제2 채색층(22)을 이중으로 인쇄 형성하여, 외부에 시각적으로 표현되는 컬러층인 제2 채색층(22)이 흰색을 띠는 제1 채색층(21)에 의해 상기 피가공재(10) 표면의 어두운 색상이 투과되지 않도록 하면서 제2 채색층(22)의 유브이 컬러잉크가 가지고 있는 본래의 컬러색상을 선명하고 뚜렷하게 표현되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아울러 유브이 평판프린터를 이용하여 기존에 수작업으로 수행하던 다중 채색층(20)의 채색작업에 비하여 작업시간이 현저하게 줄어들며, 인건비, 제조시간 등 전체적인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팅 공정단계(40S)에서는 상기 유브이 평판프린터를 이용한 다중 채색 공정단계(30S)에서 형성된 다중 채색층(20)의 상단에 코팅층(40)을 형성하는데, 상기 코팅층(40)은 유광 코팅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무광 코팅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유광 코팅층은 우레탄 수지로 도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무광 코팅층은 무광클리어로 도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광 코팅층은 채색에 대한 색상의 발색도 및 광택효과가 우수하여 생동감과 현실감을 구현할 수 있고, 상기 무광 코팅층은 색상의 채도를 낮게 하여 색상의 표현에서 자극적인 요소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가공재(10)의 표면과 상기 제2 채색층(22)을 커버하도록 도장된 코팅층(40)은 피가공재(10)의 표면과 제2 채색층(22)의 색상이 그대로 표현되게 함과 동시에 다른 물건과의 접촉으로 인해 생기는 흠집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제조방법으로 완성된 유브이 평판프린터를 이용한 석재장식품을 재현율 및 내구성을 중심으로 원본 및 종래의 평판프린터를 이용하여 완성된 장식품과의 비교실험을 수행하였다. 이하 재현율을 비교한 실험은 실험예 1에서 설명하기로 하고, 내구성을 비교한 실험은 실험예 2 내지 5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실험예 1)
도 7은 재현율을 비교하기 위한 완성품의 사진으로써, (a)는 원본의 사진, (b)는 수작업으로 채색 완성된 장식품의 사진, (c)는 본 발명에 의해 완성된 장식품의 사진을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본 사진(a)와 비교되는 수작업으로 채색 완성된 장식품의 사진(b)은 작업자의 작업능력이나 의지 및 온도, 습기, 바람, 계절 변화 등 작업 환경에 따라 표현이 항상 다를 수 있어 장식품의 일관성이 없고, 또한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인한 색상 및 해상도, 밀도감 등의 표현이 원본에 비하여 60~85% 정도의 재현율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를 표현하는데 있어서 작업의 어려움과 시간 및 인건비 등 전체적인 제조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의 완료단계에서 수작업으로 인하여 손상율 측면에서도 칼날공구로 불필요한 채색층을 제거하고자 할 때 완성품의 이미지가 손상될 수 있고, 스크래치가 발생할 수 있는 염려가 있었다. 아울러 내구성 측면에서도 중첩과 코팅 등으로 표현함에도 불구하고 직사광선, 풍화작용 등에 취약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하여 도 7 (c)의 본 발명에 의해 완성된 장식품은 프리터에 의한 정확한 편집 및 기계장치에 의해 입력한 사진 이미지가 그대로 출력되므로, 100% 재현되는 깨끗한 상태와 일관성 있는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손상율 측면에서도 불필요한 페인트 제거 공정이 없어 이미지 손상 또한 0%에 가깝다. 아울러 내구성 측면에서도 직사광선에 강한 광경화 방식으로 출력되어 내구성이 현저히 상승된다.
(실험예 2)
도 8은 못에 의한 스크레치 발생율을 비교하기 위한 완성품의 사진으로써, (a)는 종래의 평판프린터를 이용하여 완성된 장식품의 사진, (b)는 본 발명에 의해 완성된 장식품의 사진을 나타낸다.
도 8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밋밋한 평판에 프린팅된 노출잉크표면은, 날카로운 못으로 어느 정도의 힘을 가했을 때 에 의해 쉽게 긁혀지는 현상이 발생하였고, 평판의 바닥면이 완전 드러나 이미지가 손상 및 소실되었다. 이에 반해 도 8 (b)의 본 발명에 의해 완성된 장식품은 음각 및 요철 표면에 프린팅 된 층에 접착력이 좋아 날카로운 못에 의해 긁힘 및 이색 현상은 어느 정도는 나타나고 있으나, 바탕 재질의 드러남과 탈락 현상 및 이미지 손상률이 현저하게 적어짐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도 9는 사포에 의한 스크레치 발생율을 비교하기 위한 완성품의 사진으로써, (a)는 종래의 평판프린터를 이용하여 완성된 장식품의 사진, (b)는 본 발명에 의해 완성된 장식품의 사진을 나타낸다.
도 9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60# 사포의 10회 이내로 마찰을 가했을 때 잉크 표층이 완전 긁힘과 소실됨으로 검정 바탕색이 드러나는 현상이 발견됐다. 이에 반해 도 9 (b)의 본 발명에 의해 완성된 장식품은 같은 힘을 가했을 때 평판용에 비해 부분 손상만 있으며 바탕색은 드러나지 않았다.
(실험예 4)
도 10은 벗겨짐/들뜸 현상을 비교하기 위한 완성품의 사진으로써, (a)는 종래의 평판프린터를 이용하여 완성된 장식품의 사진, (b)는 본 발명에 의해 완성된 장식품의 사진을 나타낸다.
도 9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 공구에 의해 노출된 잉크 표면층은 분리되어 100% 완전 제거가 되어 버리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에 반해 도 10 (b)의 본 발명에 의해 완성된 장식품은 동일한 힘을 가했을 때 음각 프린팅 된 표면층은 날카로운 칼날 공구에 의해 겉 표면만 미약한 손상이 있을 뿐 잘 걷어지지 않았다.
(실험예 5)
도 11은 동일조건에서 못과 칼날도구를 이용하여 충격을 가했을 때의 내구성을 비교하기 위한 완성품의 사진으로써, (a)는 종래의 평판프린터를 이용하여 완성된 장식품의 사진, (b)는 본 발명에 의해 완성된 장식품의 사진을 나타낸다.
도 11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프린팅은 내구력이 약하여 완성품의 이미지가 완전 제거 및 소실되어 흉물스러운 모습으로 변하였고, 내구성과 품질 등을 보장할 수 없는 불안한 요소가 많아 제품으로서의 가치와 수준도 떨어져 부적합한 제품으로 판단되었다.
이에 반해 도 11 (b)의 본 발명에 의해 완성된 장식품은 평판용에 비해 음각 프린팅 된 제품이 접착력과 제품 보존성 및 내구성 등이 훨씬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유브이 평판프린터를 이용한 석재장식품의 제조방법에 의해 요철면이 형성된 음각에 표현되는 광경화 방식의 유브이 평판프린팅으로 제조된 작식품은 잉크의 접착력이 우수하고 물리적인 힘을 가했을 때에도 부분 손상만 있을 뿐 탈락 및 제품 손상이 적으며, 무엇 보다 섬세하고 복잡한 문양 및 글씨 표현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입력된 정밀한 사진 및 서로 다른 색상, 명도, 채도 표현은 100%에 가까운 재현율을 보인다.
실내사용 뿐 아니라 직사광선에 노출되는 외부에서의 사용에도 적합하며, 석재의 질감과 잘 어울리도록 적용하여 100%의 재현과 강한 내구성으로 장식적인 심미감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동일 제품 및 반복적인 이미지나 색상 표현 및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인력과 시간, 비용 등을 함께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유브이 평판프린터를 이용한 석재장식품의 제조방법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S : 레이저 가공 공정단계
20S : 접착층 형성 공정단계
30S : 유브이 평판프린터를 이용한 다중 채색 공정단계
40S : 코팅 공정단계
10 : 피가공재 15 :음각
16 : 요철면 20 : 다중 채색층
21 : 제1 채색층 22 : 제2 채색층
30 : 접착층

Claims (4)

  1. 레이저를 이용하여 피가공재(10)의 내부에 요철면(16)이 형성된 음각(15)을 새기는 레이저 가공 공정단계(10S);
    피가공재(10)의 색상을 차단하도록 상기 음각(15)의 내부에 유브이 흰색잉크를 인쇄하여 제1 채색층(21)을 형성하고, 컬러잉크의 본래의 색상으로 표현되도록 상기 제1 채색층(21)의 상단에 유브이 컬러잉크를 인쇄하여 제2 채색층(22)을 형성하는 유브이 평판프린터를 이용한 다중 채색 인쇄단계(30S); 및
    상기 피가공재(10)의 표면과 상기 제2 채색층(22)의 상단을 코팅하는 코팅 공정단계(40S);
    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 채색 인쇄단계(30S)는,
    수작업을 대신하여 작업속도의 향상 및, 일괄성 있는 품질이 나올 수 있도록 유브이 프린터를 이용하여 인쇄하되,
    상기 제1 채색층(21) 및 상기 제2 채색층(22)은 상기 음각(15) 내에 형성되도록 인쇄되어 접촉에 의한 내구성이 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브이 평판프린터를 이용한 석재장식품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가공 공정단계(10S) 이후,
    상기 음각(15)의 상단면에 에폭시 수지를 스프레이로 접착층을 형성하는 접착층 형성 공정단계(20S);
    를 더 포함하는 유브이 평판프린터를 이용한 석재장식품의 제조방법.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각(15)은, 0.5 ~ 1.5mm의 깊이로 형성되는 유브이 평판프린터를 이용한 석재장식품의 제조방법.
KR1020150126324A 2015-09-07 2015-09-07 유브이 평판프린터를 이용한 석재장식품의 제조방법 KR101612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324A KR101612352B1 (ko) 2015-09-07 2015-09-07 유브이 평판프린터를 이용한 석재장식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324A KR101612352B1 (ko) 2015-09-07 2015-09-07 유브이 평판프린터를 이용한 석재장식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2352B1 true KR101612352B1 (ko) 2016-04-26

Family

ID=55919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324A KR101612352B1 (ko) 2015-09-07 2015-09-07 유브이 평판프린터를 이용한 석재장식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23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825B1 (ko) 2008-04-07 2010-11-17 허래윤 인쇄 전용 프라이머를 이용한 건축내.외장용 및 가전제품몸체 치장을 위한 장식 유리와 그 제작방법
JP2011025436A (ja) 2009-07-22 2011-02-10 Nanamiya:Kk 石材の一部に彫刻され、該彫刻部分に顔料が展着された石材彫刻体
KR101089689B1 (ko) 2011-07-01 2011-12-05 주식회사 줌톤 상감 장식품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825B1 (ko) 2008-04-07 2010-11-17 허래윤 인쇄 전용 프라이머를 이용한 건축내.외장용 및 가전제품몸체 치장을 위한 장식 유리와 그 제작방법
JP2011025436A (ja) 2009-07-22 2011-02-10 Nanamiya:Kk 石材の一部に彫刻され、該彫刻部分に顔料が展着された石材彫刻体
KR101089689B1 (ko) 2011-07-01 2011-12-05 주식회사 줌톤 상감 장식품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26576C (en) Pigmented images on stone
US5866225A (en) Mosaic reproductions on a tile substrate
CN108973501B (zh) 彩木影雕及制作方法
CN102582246A (zh) 地板及家具板式部件uv数码喷印制造方法
CN106915197B (zh) 一种堆雕陶瓷板装饰画的制备方法
CN104736350A (zh) 在冲压带和冲压板上的表面结构化
KR101436083B1 (ko) 석재 장식 방법
CN110156495A (zh) 一种3d釉面的施釉工艺方法
CN103612535B (zh) 一种仿金属浮雕烫印装饰板的制作工艺
KR101612352B1 (ko) 유브이 평판프린터를 이용한 석재장식품의 제조방법
US20110250356A1 (en) Process for efficient production of bas relief photo carvings in solid surface materials
CN111532073A (zh) 平丝景泰蓝工艺画的制作方法
KR101089689B1 (ko) 상감 장식품 및 그 제조방법
JP2007296822A (ja) 彫漆調加飾化粧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03335B1 (ko) 부조장식 벽면형성방법
KR101087677B1 (ko) 자개 판넬 및 그 제조방법
JP3128105U (ja) アクセサリー
KR100578488B1 (ko) 레이저가공을 이용한 다채색 석재 장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0719076B1 (ko) 자연석을 이용한 모자이크 기법에 의한 벽면의 벽화형성방법
CN100455450C (zh) 美术石材及其制造工艺
JP2004314581A (ja) 段彫りレリーフ彫刻方法
KR20130004029A (ko) 상감 장식품 및 그 제조방법
CN108928179B (zh) 通过刻漆方式在竹制品表面体现烫金效果的加工工艺
TWI568698B (zh) 裝飾玻璃及其製造方法
CN111114182A (zh) 一种彩雕珍珠白陶瓷板画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