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4945B1 - 필라멘트사 및 장식매듭사, 이염사 및 가연사의 처리 장치및 방법 - Google Patents

필라멘트사 및 장식매듭사, 이염사 및 가연사의 처리 장치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4945B1
KR101234945B1 KR1020067023039A KR20067023039A KR101234945B1 KR 101234945 B1 KR101234945 B1 KR 101234945B1 KR 1020067023039 A KR1020067023039 A KR 1020067023039A KR 20067023039 A KR20067023039 A KR 20067023039A KR 101234945 B1 KR101234945 B1 KR 101234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channel
seal
yarn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3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2645A (ko
Inventor
파트리크 부크뮐러
Original Assignee
외르리콘 헤버라인 템코 바트빌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외르리콘 헤버라인 템코 바트빌 아게 filed Critical 외르리콘 헤버라인 템코 바트빌 아게
Publication of KR20070032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2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08Interlacing constituent filaments without breakage thereof, e.g. by use of turbulent air stream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0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 D02G1/04Devices for imparting false twis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using jets or streams of turbulent gases, e.g. air, steam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using jets or streams of turbulent gases, e.g. air, steam
    • D02G1/161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using jets or streams of turbulent gases, e.g. air, steam yarn crimping air j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새로운 발명은 서로 결합 가능한 적어도 두 개의 노즐 커버판 및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 채널을 구비한 에어 노즐을 통해 필라멘트사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노즐 커버판은 우선 결합된 상태에서 실 처리 챔버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실 처리 챔버가 판 세로 방향으로 서로 결합 가능한 노즐 커버판 사이에 형성되며 실 채널을 위한 개별 공기 유입 채널 및 실 유입홈을 구비한 개방형 노즐로서 에어 노즐이 노즐 커버판에 형성되는 것이 제안된다. 새로운 해결 방법은 두 가지의 중요한 이점을 제공한다. 노즐 커버판의 형태가 본래의 핵심적 기능, 즉 판에 형성된 실 채널, 실 유입홈 및 판에서의 실 채널을 위한 개별 공기 유입 채널로 한정된다. 노즐 커버판의 소형화를 통해 제조 시 발생하는 문제점들이 현저하게 용이해진다.

Description

필라멘트사 및 장식매듭사, 이염사 및 가연사의 처리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FILAMENT YARN AND FANCY KNOTTED, MIGRATED, AND FALSE-TWIST YARN}
본 발명은 실 유입홈 및 매체 공급 채널을 구비한 개방된 분할형 노즐로서 형성되며, 실 채널을 포함하는 노즐을 통해 필라멘트사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자유 실 유입홈 및 매체 공급 채널을 구비한 개방된 분할형 노즐로서 실 채널에 형성된, 실 채널을 포함하는 노즐을 통해 필라멘트사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장식매듭사, 이염사 및 가연사에 관한 것이다.
실처리를 위해 개별 필라멘트의 결합성을 개선하기 위해, 필라멘트사는 방적 분야에서 방적 과정 후에 공기 처리 공정을 거친다. 이 공정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공정으로 구분된다:
- 이염사의 제조를 위한 이염 및
- 매듭사의 제조를 위한 와류.
와류는 특히 예를 들어 필라멘트사의 감기 및 풀기 시 운전 안정성의 강화 및 결합력의 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와류 시 분사 공기가 수직 또는 약간 경사지게 실 채널의 거의 중앙으로 분사된다. 이염과 관련하여 국제 출원 WO 00/52240을 참 조한다. 이염의 목적은, 바로 이어지는 실의 후속 공정에서 실에 충분한 결합력을 부여하여, 이후 공정에서 원활한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염을 통해 필라멘트가 실 다발에서 단지 경미하게만 교차하여, 개별 필라멘트가 실 다발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얼마 전까지 이염은 일반적인 와류 노즐을 통해 실시되었다. 최악의 운전 조건에서 와류가 형성되므로, 거의 매듭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염 및 와류의 단 하나의 목적은, 실 가공을 위해 실의 개별 필라멘트의 결합력을 개선하고 복수의 편향 장치를 통해 감김 및 풀림을 개성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완성된 직물에서 매듭으로 인해 장애 효과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운전 장애 및 실 끊김을 방지하는 것이다.
방적 분야에서는 단일 노즐 또는 멀티 노즐이 이용되는 전술한 처리 공정이 적용된다. 대개 와류 시 이중 노즐 형태의 노즐이 사용된다. 멀티 노즐에서는 노즐의 수가 실 경로의 수와 일치한다. 노즐의 수는 6 내지 12, 16, 20개이며 최근에는 24에 달한다. 그 다음 목적은 실 경로를 두 배로 늘이는 것, 예를 들어 50개로 늘이는 것이다.
노즐 바디의 흥미로운 형태는 미국 특허 US-PS 5 157 819에 설명되어 있다. 노즐 바디는 나사 체결을 통해 서로 결합 가능한 복수의 평평한 판으로 구성된다. 실 채널은 관통구를 통해 수직으로 각 판에 형성된다. 관통구들은 각 판에서 서로 맞게 정확하게 조정되어 있어, 조립된 상태에서는 모든 판을 관통하는 원통형의 닫힌 실 채널이 형성된다. 공기 유입 채널을 포함하는 판과 포함하지 않는 판이 교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판은 두 개의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패키지로서 결합 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실 유입홈이 없는 닫힌 형태의 노즐이다. 미국 특허 US-PS 5 157 819에 따른 해결방법의 목적은 동일한 노즐 컨셉을 통해 매듭사 뿐 아니라 가연사 제조에도 사용되는 공기 유입 채널의 수를 가능한한 크게 하는 것이다.
일본 특허 JP-200375802에는 매듭사의 제조를 위한 개방된 분할형 에어 노즐이 설명되어 있다. 매체 또는 공기 유입 부재에는 노즐 바디 및 배플판 또는 커버판으로 이루어진 분할형 노즐 바디가 부착되어 있다. 이 두 가이 부품은 개별적으로 공기 유입 부재에 나사로 체결된다. 노즐 바디는 실 채널로 공정 매채를 주입하기 위한 횡방향 보어 및 공기 유입 채널을 포함한다. 실 채널을 위해 노즐 바디 뿐 아니라 커버판에는 실 채널 프로파일이 부착된다. 조립된 상태에서는 비로소 노즐 바디와 커버판 사이에 실 채널이 형성된다. 양측 바디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는데, 이 틈새는 공기 유입 부재의 대응측에서 실 유입홈을 형성한다. 공기 유입 채널이 포함된 노즐 바디만 공기 유입 부재의 대향측에서 링 실링으로 밀폐된다. 노즐은 실 채널에서 공기 유입구가 거의 중앙에 수직으로 배치된 전형적인 와류 노즐이다. 이중 노즐 또는 멀티 노즐에서는 노즐 바디 뿐 아니라 커버판도 각각 이회 또는 다중으로 사용되어야 하는데, 이는 실 경로의 좁은 분할 상태를 감안할 때 단점으로 작용한다.
와류의 사용에 관한 특별한 사례는 정경 장치이다. 여기에서는 500 내지 2000의 매우 좁게 분할된 평행한 실 경로가 동시에 처리된다. 유럽 특허 EP 0 216 951에서는 멀티필라멘트 사의 와류를 위한 특수한 장치가 설명되어 있다. 와류는 두 개의 레벨, 즉 상단 및 하단 레벨에서 실시된다. 와류 채널은 상응하는 수의 실 경로를 위해 최외측의 좁은 공간에 배치되므로, 경사의 다발이 매우 좁은 간격으로 공급될 수 있다. 와류를 위한 장치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슬럿을 포함한다. 이는 노즐 바의 스페이서 부재와 디스크 사이에 형성된다. 각 디스크는 환형의 형태를 가지며, 압축 공기는 중앙 구역에서 각 디스크에 공급되며 상응하는 횡방향 보어를 통해 슬럿으로서 형성된 각 와류 구역에 공급된다. 실은 슬럿 바닥에 대해 거리를 가지면서 분사 공기의 영향 범위 내에서 이 장치에 의해 운반된다. 디스크는 입구측 뿐 아니라 출구측에서도 실 가이드를 갖는다. 정면이 서로 연결되게 중간 부재와 함께 복수의 디스크를 조립함으로써 소위 노즐 바가 형성된다. 이 해결 방법은 매우 공간 절약적이다. 여기에서는 대략 4mm로 실 경로에 대한 분할이 나타난다. 경사가 처리 슬럿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슬럿의 외측 구역에 와이어가 통과한다. 디스크는 세라믹, 특히 산화 세라믹으로 제조된다. 이로써 긴 수명이 나타나며, 세라믹 디스크가 성형법으로 제조되고 이어서 열처리된다. 조임 볼트를 통해 중간판과 함께 복수의 세라믹 디스크가 자가 지지형 노즐 바로서 안정적으로 서포트 프레임에 고정된다. 유럽 특허 EP 0 216 951에 따른 해결 방법은 정경 장치와 관련하여 매우 우수한 것으로 인증되었다. 하지만 디스크로 형성된 노즐 바의 컨셉을 방적기와 관련하여 서문에 설명한 와류 구역에 적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방적기와 관련하여 처리해야 하는 평행한 실의 수가 매우 적지만, 현재의 경향에서는 증가하는 추세이다. 동일한 방식으로 방적 분야에서도 평행한 실의 좁은 분할이 요구된다.
최종 제품, 즉 직물의 섬유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완전히 새로운 해결 방법은 가연의 발생을 통해 달성된다. 이 방법에서는 바로 이전에 실시되는 실의 가열 및 냉각을 통한 열처리를 통해 개별 필라멘트의 분자 구조를 영구적으로 변경하기 위해 분사 공기의 회전력이 사용되며, 따라서 실에서 상당한 벌키성이 발생한다. 가연에 대한 예제로서 유럽 특허 EP-PS 0 532 458을 참조한다. 가연을 통해 필라멘트사 및 완성된 직물이 볼륨감 있는 직물적 특성을 갖게 된다.
복수의 평행하게 진행하는 실의 좁은 분할은 다양한 실 처리 공정에서 점점 더 요구되고 있다. 전술한 두 가지 종래 기술, 즉 유럽 특허 EP-PS 0 532 458 및 미국 특허 US-PS 5 157 819에서는 두 개의 평행한 실 경로 사이에 비교적 큰 간격이 나타난다. WO00/52240에 따른 해결 방법에서는 적어도 두 개의 실 경로에서 약 8 내지 10 mm의 분할이 이루어진다. 단지 유럽 특허 EP 0 216 958에서만 약 4 mm의 분할이 허용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해결 방법의 실시들에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사실관계가 나타난다:
Figure 112006080502555-pct00001
세 가지 서로 다른 노즐 컨셉이 관철되었다:
1. 지속적으로 개방된 실 유입홈이 포함된 노즐. 이 노즐은 예를 들어 유럽 특허 EP 0 532 458 및 WO03/029539에 설명된 바와 같이 개방형 노즐로 불린다(도 8).
2.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통해 개방된 실 유입 위치 및 닫힌 운전 위치로 전환될 수 있는 노즐. 이 노즐은 예를 들어 유럽 특허 EP 0 216 951 및 WO03/029539 에 설명된 바와 같이 개방 밀폐형 노즐로 불린다(도 8a).
3. 밀폐형 노즐: 이 노즐에서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US-PS 5 157 819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실이 그에 맞게 설계된 에어 건(air gun)을 통해 실 채널로 삽입된다.
Figure 112012068532225-pct00002
제2 사실관계는 특수한 각 실 처리 방법에 대해 완전히 다른 노즐 구조가 관철되었다는 것이다. 다음과 같은 노즐로 구분된다:
- 가연사의 후처리를 위한 토크 방지 노즐,
- 매듭사의 제조를 위한 와류 노즐 및
- 이염사의 제조를 위한 이염 노즐.
본 발명의 목적은 두 개 또는 복수의 평행한 실 경로 사이를 몇 밀리미터의 범위에서 분할하기 위해 그리고 실 처리와 관련하여 개방형 노즐 형태의 저렴한 노즐 개발을 위한 해결 방법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이 컨셉은 특히 단일 노즐 또는 이중 노즐에도 적용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특징은, 각각 하나의 노즐판 측면 및 커버판 측면을 포함하며 매치 공급 부재에 조립할 수 있고 두 개의 인접한 노즐 커버판 사이에 실 채널을 형성하는 노즐 커버판으로 노즐이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특징은, 함께 하나의 동일한 실 채널을 형성하는 두 개의 판 사이로 처리를 위해 실이 안내되며, 판이 서로 및 매치 공급측에 대해 밀폐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특히 마이크로 필라멘트사로서의 이염사 또는 매듭사의 특징은, 함께 하나의 동일한 실 채널을 형성하는 두 개의 판 사이로 처리를 위해 실이 안내되며, 매듭사 또는 이염사가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연사의 특징은, 함께 하나의 동일한 실 채널을 형성하는 두 개의 판 사이로 처리를 위해 실이 안내되며, 가연사가 형성되는 것이다.
새로운 해결 방법은 복수의 중요한 이점을 제공한다. 판, 특히 세라믹 판의 형태는 다음과 같은 본래의 핵심적 기능으로 한정된다:
- 각 판으로 함몰된 양측 실 채널 측면,
- 실 유입홈 및
- 판의 실 채널을 위한 개별적 공기 유입 채널.
이러한 관계에서 하나의 노즐의 노즐 커버판은 동일하다. 각 노즐 커버판은 두 가지 기능, 즉 노즐판의 기능 및 노즐 커버판의 기능을 갖는다. 일본 특허 JP-20-0375802에 설명된 별도의 커버판은 필요치 않다. 이로써 원칙적으로 복수의 실 경로를 위한 하나의 좁은 분할이 가능하다. 판은 매우 작은 외측 치수, 즉 예를 들어 1 cm 내지 2 cm의 크기 및 4 mm 또는 그 미만의 두께로 제조할 수 있다. 간단한 판형태는 그 제조, 특히 세라믹 재질의 판의 제조에 있어 상당한 이점으로 작용하는데, 그 이유는 매우 저렴한 사출법을 통해 이러한 판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적어도 판을 위한 미처리 원형을 다량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따라서 더욱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노즐의 판을 동일하게 제조할 수 있으므로, 단일 노즐의 경우에는 180° 회전된 상태로 장착할 수 있으므로, 마모에 있어 아직 사용되지 않은 실 채널 프로파일을 통해 그 수명을 두 배로 증대시킬 수 있다. 판의 소형화를 통해 제조 시 발생하는 문제점들이 현저하게 용이해진다. 하기 설명에서와 같이 새로운 해결 방법은, 유럽 특허 EP 0 216 951의 압착 방법보다 현저하게 저렴한 사출 성형법으로 판을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중요한 제2 이점은, 유럽 특허 EP 0 216 951에 설명된 바와 같이 단순한 슬럿으로 형성된 실 채널을 본 발명에 따라 특수한 처리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다. 유럽 특허 EP 0 216 951에 설명된 디스크는 두 개의 디스크 사이에 두 개의 실 경로가 형성되는 상당한 이점을 갖는다. 유럽 특허 EP 0 216 951에 따른 해결 방법의 단점은, 판 컨셉에 실 가이드 및 공기 공급장치를 동시에 통합시킴으로 인해 단지 압착 방법을 통해서만 제조가 가능한 손바닥 크기의 디스크가 발생하는 것이다.
새로운 판 컨셉은 복수의 처리 공정, 즉 와류, 이염, 가연 및 필라멘트사의 기타 텍스쳐 가공에 적용할 수 있다. 이는 바디(reed) 장치에서는 멀티 노즐로서, 텍스쳐 장치에서는 단일 또는 이중 노즐로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스트레칭 장치 및 가연 텍스쳐링을 위한 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도 특수한 사용 사례에서 단일 노즐, 이중 노즐 또는 멀티 노즐용으로 항상 동일한 노즐 커버판이 사용된다. 각 노즐 커버판은 노즐판 측면 뿐 아니라 커버판 측면 및 바람직하게도 각각 공기 유입 채널을 포함한다. 각 측면은 가공을 위해 자유로운 접근이 가능하다. 이는, 양측 실 채널 프로파일이 쉽게 각 판에서 형성되며 개별적으로 노즐 측면 및 배플판 또는 커버판 측면을 위해 설계되고 예를 들어 조정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노즐판 및 배플판의 와류 노즐이라고 한다. 노즐판은 적어도 이중 와류용 주공기를 위한 횡방향 보어를 포함한다. 배플판은 처리 공기가 부딪히는 대향측을 포함한다. 토크 방지 노즐에서는 공기를 통해 강한 회전 흐름, 즉 실을 위한 가연을 발생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분할형 노즐에서는 배플판대신 커버판이라고 해야 한다. 새로운 해결 방법은 이 두 가지 사용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노즐 커버판의 개념이 선택되었다. 각 노즐 커버판은 양측 형태를 위해 조립 후에 비로소 기능을 충족할 수 있는 각각 하나의 반쪽을 포함한다.
새로운 해결 방법은 청구항 2 내지 21항 및 23 내지 29항에 청구된 복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도 실 채널은 노즐판 측에서 반원형이며 커버판 측에서 평평하게 형성된다. 실 채널이 판으로 함몰되므로, 실 채널의 형태에 거의 모든 형태의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사항은 공기 유입 채널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도 판이 한편으로는 노즐판으로서 다른 한편으로는 배플판 또는 커버판으로 형성되며 이에 상응하게 반쪽의 실 채널을 형성한다.
판의 소형화는, 각각 두 개의 엔드 플레이트를 통해 하나의 부분품으로 결합 가능한, 사출 형성법으로 제조된 평평한 세라믹 판으로서 판을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사출 성형법은 유럽 특허 EP 0 216 951의 제안에 상응하는 압착 방법에 비해 현저히 저렴하다. 부분품 전체는 내장된 공기 공급 채널을 구비한 서포트 소켓에 고정할 수 있으며, 각 판의 공기 유입 채널은 이 공급 채널과 결합이 가능하다. 서포트 소켓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제조가 가능하다. 새로운 발명에서는 비교적 고가인 세라믹이 최고의 품질 및 정확성이 요구되는 필수적인 기능에만 사용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각 판이 실 채널로의 개별적인 공기 공급을 위해 노즐판 측면에서 매체 공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보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도 적어도 두 개의 판의 하나가 하나의 매체 공급 채널을 포함하는데, 이 매체 공급 채널은 개별적으로 매체 공급 부재의 상응하는 연결구를 통해 작동 가능하므로, 사용되지 않는 공기 공급구로부터의 자유 방출이 억제된다. 노즐의 두 개의 판 중 하나가 적어도 실 채널 프로파일과 관련하여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각각 노즐판 측 및 커버판측 실 채널 프로파일을 포함하며, 이 실 채널 프로파일은 조립된 상태에서 비로소 실 채널을 형성한다. 두 개의 제1 판이 함께 하나의 실 채널을 형성하므로, 두 개 또는 복수의 판의 각각의 쌍 결합 시 사용되지 않는 두 개의 각 측면이 나타난다. 단일 노즐에서 이는, 활성 실 채널 프로파일의 강한 마모 후에 양측 판이 180° 회전되게 장착될 수 있고 따라서 노즐의 수명을 두 배로 증대시킬 수 있는 큰 이점을 갖는다.
노즐 커버판은 바람직하게도 세라믹 판으로서 형성되거나 또는 적어도 실 채널 프로파일의 구역에서 상응하는 표면 코팅을 갖는다. 적어도 두 개의 동일한 노즐 커버판이 실 유입 구역에서 공기 공급 구역을 기준으로 실 유입홈만큼 감소된 두께 및 공기 공급 구역에서 양측으로 평평한 실링면을 갖는다. 실링면은 매우 우수한 표면 품질을 가지므로, 이 실링면이 별도의 실링 없이 압착을 통해 기밀성으로 밀폐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판의 조립 시 실 채널에 대한 고도의 정밀도가 보장된다. 바람직하게도 개별 매체 공급 채널이 실 채널의 거의 중앙으로 안내되며, 슬라이드 바를 통해 판 또는 그 실 채널 프로파일을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위해, 평평한 실링면에 대해 수직으로 양측에 적어도 두 개의 관통구가 배치된다. 관통구가 동일하지 않을 경우, 이 관통구는 동시에 뒤바뀜 장착에 대한 안전 장치로서 기능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모든 판을 매체 공급 부재에 대해 밀착되게 압박하기 위해 각 판이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도 평평한 실링면 구역에 클램핑 그루브를 포함한다. 매체 공급측에는 판과 매체 공급 부재 사이에 추가적 실링 부재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새로운 해결 방법은 상응하는 수의 실 채널을 위한 임의 수량의 노즐 커버판의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단 하나의 실 경로를 위한 단일 노즐은 두 개의 노즐 커버판으로 이루어진다. 두 개의 실 경로를 위한 이중 노즐은 세 개의 노즐 커버판으로 이루어진다. 두 개 또는 복수의 실 경로의 처리를 위한 판의 수량은 실 경로 + 1에 해당한다.
매듭사의 제조를 위한 와류 노즐로서의 제1 사용에서는 매체 공급을 위한 횡방향 보어가 거의 수직 중앙으로 또는 약간의 이송 효과를 가지면서 실 채널에 연결된다. 특히 매듭의 높은 규칙성을 갖는 가는 매듭사의 제조를 위해, 실 처리 채널에 있는 분사 공기 공급 채널의 연결 구역에서 두 개의 서로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정상(定常)(stationary) 와류 흐름을 위한 공기 와류실을 형성하는 분사 공기 채널 확장부가 형성된다.
가연을 위한 제2 사용에서는 매체 공급을 위한 횡방향 보어가 접선 방향으로 실 채널에 연결된다. 상응하는 장치는 토크 방지 노즐로서 형성된다.
판은 평평한 판으로서 형성되며 평평한 실링면의 구역에서 두 개의 관통구를 갖는 양측이 평평한 실링면을 포함한다. 관통구를 통해 판이 개별적으로 슬라이드 바에서 하나의 노즐 블록으로 삽입되며, 서로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고 평평한 실링면에 대해 수직으로 슬라이드 바에서의 나사 체결을 통해 하나의 노즐 블록으로 결합된다. 노즐 블록에서는 양측으로 각각 하나의 엔드 플레이트가 부착되며, 이 엔드 플레이트를 통해 세라믹에 형성된 판이 서로 조여진다. 또한 매체 공급 부재는 노즐 블록의 각 노즐 커버판을 클램핑 그루브에서 밀착되게 고정할 수 있는 서포트 소켓을 포함한다. 서포트 소켓 또는 엔드 플레이트는 컬러 코딩으로 표시할 수 있으므로, 어떤 타입의 노즐이 장착되었는지를 색상으로 알 수 있다. 노즐 블록은 통합된 공기 공급 채널과 함께 매체 공급 소켓에 고정되는데, 이 공기 공급 채널은 활성화해야 하는 공기 유입 채널과 결합이 가능하다. 멀티 노즐인 경우에는, 상응하는 수의 판을 구비한 이 노즐이 노즐 그룹 또는 노즐 블록으로서 실 가이드가 부착된 노즐 홀더와 결합된다. 조임식 판은 각각 두 개의 엔드 플레이트와 함께 부분품으로서 서포트 소켓에 고정되며, 실 가이드는 노즐 홀더에 고정된 실 가이드 서포트 내에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도 빗의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판이 슬라이드 바를 통해 노즐 블록으로 결합되며 노즐 블록은 조임 캠(clamping cam)을 통해 매체 공급 부재의 실링에 밀착된다. 실 채널에 대한 세라믹 판의 정확한 위치를 보장하기 위해 세라믹 판이 슬라이드 바를 통해 안내되며 노즐 블록으로 결합한다. 노즐 블록은 바람직하게도 컬러 코딩이 부착된 서포트 소켓에서 기밀성으로 공동의 공기 공급부에 조여진다.
스무스 필라멘트사 및 텍스쳐 필라멘트사로 매듭사를 제조하는 방법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연속적으로 형성된 실 채널에서 일차 공기가 실 채널 축의 중앙을 향하는 주구멍으로 분사되고 이차 공기가 주구멍에 대해 일정한 간격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구멍에 분사된다. 일차 공기는 실 이송 방향에 대항하여 단지 약한 효과 또는 약한 이송 효과를 가지면서 수직으로 실 채널에 공급되고 이차 공기는 와류 흐름을 지원하는 형태로 실 채널 축에 대해 경사지며 일차 공기에 대해 서로 다른 방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구멍으로 공급된다.
매듭의 높은 규칙성을 갖는 가는 매듭사의 제조를 위한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실 처리 챔버를 갖는 에어 노즐을 통해 분사 공기가 실 처리 채널에 대해 횡방향으로 분사된다. 분사 공기는 실 이송 방향에서 또는 실 이송 방향에 대항하여 매듭 형성을 위한 각각 하나의 이중 와류를 형성한다. 분사 공기는 실 처리 채널의 입구 구역에 있는 실 채널 세로 방향으로 짧은 공기 와류실에서 필라멘트 번들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 두 개의 강한 정상 와류 흐름으로 전환된다. 공기 공급을 위한 노즐판측 횡방향 보어는 바람직하게도 세로 방향으로 실 채널의 거의 중앙에서 노즐을 위한 실 채널의 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또는 약간 경사지게 배치되는데, 이 노즐은 실의 와류 또는 이염을 위해 제공된다. 이와 달리 횡방향 보어는 실의 가연에 사용되는 노즐을 위한 실 채널에 접선 방향으로 부착된다.
바람직하게도 서포트 소켓의 양측 및 실 채널 입구 전단 및 실 채널 출구 후단에 대해 일정한 간격으로 각 실 경로에 실 가이드가 배치된다. 서프트 소켓은 각 판으로의 공기 분배 및 공기 공급 및 실 안내의 두 가지 보조 기능을 갖는다. 장치는 각각 두 개의 엔드 플레이트를 갖는 이중 노즐 또는 단일 노즐로서 형성되는데, 이 엔드 플레이트는 조임 수단을 통해 서로 결합이 가능하다. 멀티 노즐의 경우에는 장치가 공기 공급 채널을 구비한 노즐 그룹으로서 상응하는 수의 판을 갖는 제공된 실 경로를 위해 서포트 소켓 및 실 가이드 내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도 모든 조임식 판들이 각각 두 개의 엔드 플레이트와 함께 부분품으로서 공기 공급 패널을 갖는 서포트 소켓에 고정되며, 실 가이드는 서포트 소켓에 고정된 실 가이드 서포트 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은 하기 몇몇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된다. 도면은 다음과 같다:
도 1a는 실제 크기의 두 배에 해당하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노즐 커버판(1) 또는 소형 노즐 커버판을 나타낸다.
도 1b는 도 1의 라인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2는 복수의 노즐 커버판 및 8개의 실 경로를 구비한 부분품으로써, 도면의 위는 사시도이고 아래는 위 도면의 라인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위)의 개략적 측면도 및 위 도면의 라인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아래).
도 4는 단일 노즐의 사시도(위 좌측), 정면도(아래 좌측), 측면도(위 우측) 및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4에 상응하는 도시로서 이중 노즐을 나타낸다.
도 6a는 24개의 실 경로를 구비한 노즐 블록 전체를 도시한 것으로, 위는 측면도이고 아래는 정면도이다.
도 6b는 라인 B-B 내지 F-F를 따라 절개한 복수의 단면도이다.
도 6c는 세 가지 관찰 방향에서 관찰한 노즐 블록 전체를 나타낸다.
도 7a 및 7b는 노즐 블록을 위한 특수한 조임 장치를 통한 해결 방법을 도시한다.
도 8 및 도 9a는 공기 와류실이 형성된 횡방향 채널의 입구 구역에 대한 매우 흥미로운 형태를 나타낸다.
도 9b, 도 9c 및 도 9d는 실의 다양한 매듭 구조를 나타낸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처리 매체를 위한 일차 공기 및 이차 공기를 통한 해결 방법으로서, 도 10b 및 도 10c는 횡방향 채널의 특이한 형태를 나타낸다.
도 11a, 도 11b, 도 11c 및 도 11d는 다양한 공기 분사 및 실 유입홈의 형태를 갖는 실의 가연을 위한 토크 방지 노즐로서의 새로운 노즐의 사용을 나타낸다.
도 12 및 도 13은 POY 공정으로 실시되는 새로운 해결 방법의 사용에 대한 예제를 나타낸다.
도 14는 FDY 공정으로 실시되는 네 개의 예제를 포함하는 새로운 해결 방법의 적용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1a는 상응하는 반쪽의 실 채널(17)을 구비한 노즐 커버판(1)을 도시하는데, 이 노즐 커버판은 커버판 및 노즐판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앞면 은 커버판 측면(2)을 나타내고 뒷면은 실 채널(17)의 각 반쪽을 갖는 노즐판 측면(3)을 나타낸다. 앞면(2)에는 배플판(baffle plate)(5)과 함께 실채널 반쪽(4)이 노즐 커버판(1)에 함몰되어 있다. 노즐판 측면의 뒷면에는 실채널 반쪽(6)이 도시되어 있다. 도 1a 및 도 2(아래)의 단면도에서 공기 유입 채널(8)을 확인할 수 있다. 공기 유입 채널(8)은 횡방향 보어(9)를 통해 노즐판(7)을 갖는 실채널 반쪽(6)으로 안내된다. 노즐 커버판(1)은 판(1)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관통형 보어(10, 10')를 포함한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여기에서 각각 두 개의 노즐 커버판(1)이 서로 정면으로 밀착되게 접한다. 상응하는 밀착면 부분(11)이 치수 부호(h, L)로 표시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또한 L은 도 2에 따른 실채널 길이의 반쪽(L/2) 또는 실채널 길이에 해당한다. 상단 표면부분(12)은 치수(X, L)로 표시되어 있으며 치수(Z)만큼 밀착면 부분(11)에 대해 약간 뒤로 배치되어 있다. 표면부분(12)에는 실을 실채널(17)로 쉽게 안내하는 기능을 하는 경사진 면(13)이 존재한다. 노즐 커버판(1)의 특이한 특징은, 그가 위에서 유입부(Ef), 그 아래에 실채널부(GK) 및 아래에 실링부(DF)를 포함하는 것이다. 실링부(DF)는 두 개의 실링면(11, 11') 및 하나의 하단 지지면(7)을 포함한다. 도 2에서 부호(7')로 표시한 바와 같이, 지지면(7)은 서포트 소켓(24)에 대해 밀봉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도 보어(10, 10')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며, 따라서 노즐 커버판(1)이 상응하는 슬라이드 바(18)를 통해 정확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노즐판 측면 및 커버판 측면에서 해당 표면부분의 적합한 형상적 배치를 통해 조립된 상태에서 실 유입홈(14)이 형성된다. 새 로운 해결 방법에서는 비교적 간단한 형태의 작은 판이 제공되는데, 이 판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세라믹 부품으로서 사출성형법을 통해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8개의 실 경로에 대해 각각 하나의 엔드 플레이트(15, 16)을 포함하는 하나의 노즐 블록으로 조립된 복수의 세라믹 판이 도시되어 있다. 모든 판은 보어(10, 10')를 통해 안내되는 슬라이드 바(18) 및 조임 나사를 통해 하나의 모듈(20)로 서로 고정된다. 각각의 노즐 커버판(1)은 아래로 개방되어 있는 공기 유입 채널(8)을 포함한다(도 1a). 치수(H)는 모듈(20)의 횡방향 치수를 나타내는데, 이 치수는 판(1)의 수량에 따라 두께(d)만큼 더 크거나 또는 더 작다. 도 2는 방적기용 노즐 그룹(25)의 장치 전체를 도시한다. 이 장치에서 실 경로는 화살표(21)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위에서부터 수직 아래로 형성된다. 도 2는, 도 3에서와 같이 8개의 실 경로를 나타내는데, 이 도면에서는 각 실이 부호(22)로 표시된다. 모듈(20)은 고정 나사(23)를 통해 서포트 소켓(24)에 기밀성으로 고정되어 있다. 서포트 소켓(24)은 공기 공급 채널(26)을 포함하는데, 이 공기 공급 채널로부터 압축 공기 또는 분사 공기가 공기 유입 채널(8)로 공급된다. 노즐 그룹의 유입측은 인풋("Ein") 그리고 배출측은 아웃풋("Aus")으로 표시되어 있다. 나사(28)를 통해 서포트 소켓(24)에 고정된 실 가이드바(27)가 유입측 뿐 아니라 배출측에도 존재한다. 실 경로(21)의 수량에 상응하게 실 가이드바(27)에는 중앙에 톱니(29)를 구비한, 빗형태로 형성된 실 가이드(31)가 부착되어 있다. 톱니 사이 공간(30)에서 실이 측면으로 안내된다. 톱니 바닥은 실 채널 바닥에 정렬된다. 실 가이드바(27) 뿐 아니라 서포트 소켓(24)도 알루미늄 또는 저렴한 합성수지로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실 가이드 빗(thread guide comb)은 세라믹으로 제조되므로, 마모 부분의 최대 수명이 보장된다.
도 4는 새로운 해결 방법으로서 개별 노즐이 사용된 형태를 나타낸다. 실 채널은 두 개의 노즐 커버판(1)으로 이루어진다. 도 4에 따른 도시는 단 하나의 실경로용으로 설계되었다. 구조적 측면에서 볼 때 개별 노즐은 서포트 소켓(24)을 구비한 멀티 노즐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좌측 상단의 도 4에 따른 도시는 서포트 소켓(24) 및 노즐 홀더(19)를 포함하는 두 개의 노즐 커버판(1)을 구비한 개별 노즐을 위한 완전한 모듈을 나타낸다.
도 5의 도시는 세 개의 노즐 커버판(1)을 구비한 더블 노즐 또는 이중 노즐에 대한 사시도(좌측 상단), 정면도(좌측 하단), 측면도(우측 상단) 및 라인 A-A를 따라 절개한 도면(우측 하단)을 나타낸다. 각각의 판이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더블 노즐에 대해 세 개의 노즐 커버판이 필요하다.
도 6a, 6b 및 6c는 24개의 실 경로를 위한 멀티 노즐의 흥미로운 형태를 나타낸다. 이 해결 방법은 원칙적으로 2개 이상의 실 경로에 적합하다. 최상단 도면은 두 개의 슬라이드 바(18)를 통해 고정되며 장착 후에 큰 힘으로 서로 밀착되게 조여지는 25개의 노즐 커버판(1)을 포함한 노즐 블록(25)을 나타낸다. 각 노즐 커버판은 양측에서 클램핑 그루브(30)를 포함한다. 두 개의 클램핑 레일(31)을 통해 각 노즐 커버판이 실링(32)에 대해 기밀성으로 조여진다.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를 위해 양측에는 복수의 조임 나사(33)가 압축 스프링(34)에 대항하여 조여진다. 도 6c는 노즐 어셈블리(20)를 나타낸다. 노즐 블록(25)은 조립 시 서포트 소 켓(24)에 삽입되고 고정되는 독립적인 부품을 나타낸다. 이어서 서포트 소켓(24)은 노즐 홀더(19)에 노즐 블록(25)과 함께 기밀성으로 조여진다. 적합한 형태에서는 우선 노즐 블록(25)이 일측면에서 슬라이드 바로 삽입되고, 이어서 하강되며 서포트 소켓에 고정된다.
도 7a 및 도 7b는 노즐 블록(25)이 로프 형태의 견인 부재(35)를 통해 서로 결합된 상응하는 실시를 나타낸다. 이 실시에서는 노즐 커버판의 정확한 안내가 어댑터 슬리브(36)를 통해 보장된다. 도 6b에서와 마찬가지로 도 7b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측면(위)에서 관찰한 서포트 소켓(24)을 구비한 노즐 블록 및 아래에서 관찰한 노즐 홀더(19)의 접촉면(37)을 구비한 노즐 블록을 나타낸다. 부호(38)는 탄성 실링을 나타낸다.
도 8 및 도 9a는 매우 바람직한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내용적 측면에서 이는 아직 공개되지 않은 2005년 3월 20일자 스위스 특허 출원 00482/05호를 근거로 한다. 실 처리 채널(17)은 추가적으로 공기 와류실(41)을 포함하는데, 이 공기 와류실은 실 처리 채널(17)의 횡방향 보어(9) 또는 분사공기 공급 채널에 바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실 처리 챔버(17)는 분사공기 공급 채널(9)의 위치에서 반구형으로 확장된다. 이로 인해 추가적인 와류 흐름이 발생한다. 반구형의 확장부는 실 처리 채널(17)의 연결되는 부분에서 불안정한 와류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안정적인 와류 흐름을 가능하게 한다. 안정적인 와류 흐름은 바로 불안정한 와류 흐름으로 전환된다. 분사 공기는 실 처리 채널의 입구 구역에 있는 실 채널 세로 방향으로 짧은 공기 와류실에서 필라멘트 번들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 두 개의 강한 안정적인 와류 흐름으로 전환된다. 공기 와류실에는 안정적인 와류 흐름을 포함하는 짧은 구역이 발생하는데, 그에는 실 운반 방향에서 뿐 아니라 실 운반 방향에 대항하게 와류 교차 구역이 이어진다. 이후 처리 공정에서 다시 풀릴 수 있는 연성 매듭의 형성을 위해 마이크로 필라멘트 사의 처리 시 0.5 내지 1.5 bar의 압력의 분사 공기가 사용되거나 또는 이후 처리 공정에서 풀리지 않는 경질 매듭의 형성에는 1.5 bar를 초과하는 압력의 분사 공기가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10 내지 15 dpf, 바람직하게는 2 dpf 미만의 미세한 실을 처리할 수 있다. 공기 와류실은 적어도 근접하게나마 실 채널 중심축에 대해 대칭적으로 형성되며 0.5 mm 미만으로 측면 실 채널 측벽에 대해 양측으로 돌출된다. 바람직하게도 공기 와류실은 실 채널 세로 방향에서 분사 공기 공급 채널에서부터 0.5 mm 미만으로 돌출된다. 도 8 및 도 9a는 이론적인 흐름 계산의 결과를 각각 나타낸다. 도 8에서는 아래에서 위로 분사 공기 흐름(BL)이 형성되는 것을 뚜렷하게 관찰할 수 있다. 상단 레벨은 부호(E)로 표시되며 분사 공기 흐름(BL)이 배플판(5)에 부딪히는 충돌면을 나타낸다. 공기 와류실은 두 개의 작은 반구형 홈(42)으로 이루어진다. 도 8에서는 1 내지 2 mm보다 작은 구역에서 종방향으로 매우 안정적인 흐름 형태를 나타내는 두 개의 와류 흐름(43)을 뚜렷하게 알 수 있다. 도 8에서는 동일한 계산 모형(실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을 근거로 하여 중앙에서의 안정적 와류 흐름 및 그림 상단에서의 양측 이중 와류(44)를 확인할 수 있다. 도 9a는 양측 흐름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전에 실시된 복수의 시험에서는, 매듭 형성에 대한 인식이 완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매듭 형성은 양측의 안정적 이중 와류에서 간단하게 발생하지 않는다. 매듭 형성의 기본적 전제조건은 다음과 같은 사실이다:
a) 분사 공기 빔(BL)을 통해 실 처리 채널에서 이중 와류가 발생한다(도 1a 및 도 1c).
b) 하지만 이중 와류는 필라멘트 사(22)가 실 처리 채널(17)에 유입되면 완전히 방해를 받는다. 수 천분의 일초(millisecond) 내에 안정적 이중 와류가 실의 유입 시 파괴된다. 실 처리 챔버 반쪽에서 일측면으로 와류(44x)가 형성되며 반면 와류(44x)가 붕괴된다. 그 결과로 모든 필라멘트가 실 처리 채널(3)에서 우측으로 몰리게 된다. 하지만 모든 필라멘트가 우측으로 모임에 따라 이 이중 와류가 즉시 파괴되고, 따라서 거의 지연 없이 상응하는 큰 와류(44x)가 좌측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진자 운동은 분사 공기 및 필라멘트 사의 존재 시 완전히 불안정한 지속 상태이며 최종적으로 매듭 형성의 비밀이다.
도 9b는 상단의 매끄러운, 즉 와류되지 않은 실(2)을 나타낸다. 직선은 개별 필라멘트를 나타낸다. 두 번째로는 연성의 와류된 실이 도시되어 있다. 전형적으로 더 짧은 매듭(K)이 나타나며, 매듭은 얇은 직선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제3 도시는 와류된 개방된 위치 사이에 있는 비교적 긴 경질의 매듭(K)을 나타낸다. 경질의 매듭은 두꺼운 선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제4 도시는 매우 불규칙적인 매듭을 포함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형적인 매듭사를 나타낸다.
도 9c는 불규칙한 매듭 형성에 대한 몇몇 예제를 나타낸다. 도 9d는 새로운 발명을 통해 달성 가능한 경질 및 연성 매듭에 대한 비교를 나타낸다. 도 9d는 1.5 내지 3 bar 또는 0.5 내지 1.5 bar의 압축 공기를 사용하는 전형적인 해당 구역을 나타낸다. 시장에 따라서 경질 매듭 또는 연성 매듭이 요구된다.
도 10a에 따른 새로운 해결 방법은 일차 공기(PL) 및 이차 공기(SL)의 공급을 제안한다. 예제에서 압축 공기 공급이 운반 방향으로 약간 치우침으로, 실 채널 출구(Ak2) 방향으로 더 강한 와류 흐름이 발생한다. 이는 출구 구역에서의 더 큰 선 농도를 통해 알 수 있다. 도 10b 및 도 10c에는 δ 각도를 갖는 이차 공기(SL)를 위한 두 개의 보조 구멍이 운반 방향으로 비교적 강하게 치우치게 배치되어 있다. 양측 보조 구멍은 거리 치수(Z)로 표시한 바와 같이 실 채널의 각 가장자리 구역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다른 가능성으로 δ'가 표시되어 있다. 도 10a에서 세 개의 충돌 구역(A, B, C)을 알 수 있다. 약간 강화된 구역(A)이 구역(Ak1)에 발생하며 구역(Ak2)에는 상응하는 구역(C)이 발생한다. 매우 놀랍게도 실 채널의 양측에는 매우 안정적인 가장자리 흐름 구역(B1, B2)이 주와류 구역(V-V)에 형성된다. 이 구역은 일차적으로 실의 개구로서 사용되는 구역()과 다르게, 본래 매듭이 강하게 영향을 받는 구역이다. 측면의 가장자리 구역이 이차 공기로 안정화되고 또한 강한 운반 효과가 발생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매듭 형성은 놀랍게도 모든 주요 품질 기준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다. 도 10b 및 도 10c는 이차 공기(SL)을 위한 보조구멍(51) 및 주구멍(50)의 배치에 대한 두 개의 예제를 나타낸다.
도 11a, 도 11b, 도 11c 및 도 11d는 다양한 공기 분사 및 실 유입홈의 형태를 갖는 필라멘트사의 최종 꼬임을 위한 토크 방지 노즐로서의 새로운 노즐의 사용을 나타낸다. 도 11a, 도 11b, 도 11c 및 도 11d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가연사 가공 장치에서는 가공해야 하는 멀티필라멘트사(22)가 제1 가열장치(60)를 통해 예를 들어 마찰 가연기인 가연기(61)에 공급된다. 가연기(61)에서 방출되는 텍스쳐 사는 볼륨감이 있고 고탄성이다. 가연기(61)에 의해 실에 가해진 꼬임은 가연기 후단에서 다시 풀린다. 알려진 가연사 가공장치에서 실에는 실을 다시 꼬으려는 꼬임 모멘트가 존재한다. 알려진 방식에 따라 바람직하게도 실이 가연기(61)의 후단에 설치된 제2 가열장치(62)로 안내되며, 이 가열장치에서 실의 탄성이 감소한다. 본 발명에서 제2 가열장치(62) 후단에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63)이 설치되고, 이 노즐은 가열장치(62)을 통과하여 진행하는 실을 다시 가연시키는데, 더욱 상세하게는 가연기(61)에서 발생된 꼬임의 반대 방향으로 가연시킨다. 이로써 제2 가열장치(62)에서는 전술한 실의 꼬임 모멘트가 감소하거나 또는 거의 완전히 제거된다. 노즐(63)은 압축공기 라인(64)으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는다. 노즐(63)은 접선방향으로 실 채널(17)에 유입되는 분사공기 채널(65)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도 11a, 도 11b, 도 11c 및 도 11d는 실에 가연을 발생시키기 위한 목적의 개별 노즐을 나타낸다. 가연 공정과 관련하여 유럽 특허 EP 0 532 458을 참조한다. 양측 판은 가연을 발생시키기 위해 접선 방향의 공기 입구와 함께 형성되어야 한다. 양측 판은 그 다른 기능에 상응하게 부호(1', 1")로 표시된다.
도 12 및 도 13은 POY 공정을 나타낸다. 이 두 가지 경우에서 일차 와류 및 본래의 와류가 실시된다. 도 12는 병렬 POY/HOY 방적기를 나타낸다. 이 공정에서 편향 롤러가 사용되지 않는다. 단지 와인더 속도로만 와류를 위한 실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 해결 방법은 대개 유럽 및 미국에서 사용된다. 도 13은 편향 롤러 가 포함된 POY 방적기를 나타낸다. 이 POY 공정의 이점은, 더욱 정확한 실 장력 조절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편향 롤러는 공정에서 가열되지 않는다. 이 해결 방법은 대개 아시아에서 사용되지만 유럽 및 미국에서도 사용되기도 한다.
도 14a는 이염 및 와류가 포함된 FDY 공정을 나타낸다. 이는 FDY 방적의 표준이다. 이 공정에는 두 개의 가열된 모노 또는 듀오가 포함된다. 이 공정에서는 실 장력을 양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4b는 FDY 공정(H4S 또는 H5S)이며 일차 와류 및 와류에 대한 예제를 나타낸다. 이 공정에는 스트레칭을 위한 냉간 고데트(Godets)가 포함되며 이어서 실이 증기로 완화된다. 도 14c는 FDY 공정으로써 연속적으로 이염 및 와류를 나타낸다. 이 공정에서는 실이 가열장치를 통해 처리 전에 가열되며 이어서 냉간 고데트로 스트레칭된다. 도 14d는 FDY 공정으로써 열이 가해지지 않는 이염 및 와류를 나타낸다. 이 공정에서는 처리 전에 실에 가열된 공기가 가해지고 이어서 냉간 고데트로 스트레칭된다.
본 발명은 필라멘트사 및 장식매듭사, 이염사 및 가연사의 처리 장치 및 방법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31)

  1. 개방된 분할형 노즐로서 실 유입홈 및 매체 공급 채널과 함께 실 채널에 형성되며, 실 채널을 포함하는 노즐을 통한 필라멘트사의 처리 장치에 있어서,
    노즐이 노즐 커버판으로서 형성되며, 노즐 커버판이 각각 하나의 노즐판 측면 및 커버판 측면을 포함하며, 매체 공급 부재에서 서로 결합이 가능하고 두 개의 인접한 노즐 커버판 사이에 실 채널을 형성하며, 노즐의 적어도 두 개의 판의 각각은 적어도 실 채널 프로파일과 관련하여 동일하게 형성되며 각각 노즐판 측 및 커버판측 실 채널 프로파일을 포함하며, 실 채널 프로파일이 조립된 상태에서 실 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판이 조립된 상태에서 실 채널을 형성하는 함몰된 실 채널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판이 실 채널로 개별적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노즐판 측면에서 매체 공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판 중 하나가 매체 공급 부재의 해당 연결구를 통해 활성화될 수 있는 매체 공급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노즐 커버판이 세라믹 판으로서 형성되거나 또는 적어도 실 채널 프로파일의 구역에서 상응하는 표면 코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노즐 커버판이 실 유입 구역에서 공기 공급 구역을 기준으로 실 유입홈만큼 감소된 두께를 가지며 공기 공급 구역에서는 양측에 평평한 실링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개별 매체 공급 채널이 실 채널의 중앙으로 안내되며, 실 채널 프로파일을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위해, 평평한 실링면에 대해 수직으로 양측에 적어도 두 개의 관통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관통구가 동일하지 않으며 뒤바뀜 장착에 대한 안전 장치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모든 판을 매체 공급 부재에 대해 밀착되게 압박하기 위해 각 판이 측면에서 클램핑 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두 개의 노즐 커버판을 포함하며 실 경로를 위한 단일 노즐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실 경로의 수를 기준으로 각각 추가적인 노즐 커버판을 구비한, 두 개 또는 복수의 평행한 실 경로를 위한 이중 노즐 또는 멀티 노즐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3항에 있어서,
    매체 공급을 위한 횡방향 보어가 수직 중앙으로 또는 이송 효과를 가지면서 실 채널에 연결되며 와류 노즐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가는 매듭사의 제조가 연속적으로 진행하는 실 처리 챔버 및 분사 공기 공급 채널을 통해 이루어지며, 분사 공기 공급 채널이 실 처리 채널의 종방향 중심축을 향하고, 실 처리 채널에 있는 분사 공기 공급 채널의 연결 구역에서 두 개의 서로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정상 와류 흐름을 위한 공기 와류실을 형성하는 분사 공기 채널 확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3항에 있어서,
    매체 공급을 위한 하나 이상의 횡방향 보어가 접선 방향으로 실 채널에 연결되며 장치가 토크 방지 노즐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판이 평평한 판으로서 형성되며, 양측에서 평평한 실링면의 구역에 두 개의 관통구를 갖는 평평한 실링면을 포함하고, 관통구를 통해 개별적으로 슬라이드 레일에서 노즐 블록으로 장착이 가능하고, 서로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며 평평한 실링면에 대해 수직으로 슬라이드 레일에서 나사 체결을 통해 노즐 블록으로 서로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노즐 블록이 양측에서 각각 하나의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세라믹으로 형성된 판이 이 엔드 플레이트를 통해 서로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매체 공급 부재가 서프트 소켓을 포함하며, 노즐 블록의 각 노즐 커버판이 그 위에서 클램핑 그루브를 통해 밀착되게 고정될 수 있고 서포트 소켓 또는 엔드 플레이트가 컬러 코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노즐 블록이 내장된 공기 공급 채널이 포함된 매체 공급 소켓에 고정될 수 있고, 활성화해야 하는 공기 유입 채널이 그와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장치가 멀티 노즐로서 상응하는 수의 판과 결합하고 노즐 그룹 또는 노즐 블록으로서 노즐 홀더와 결합 가능하며, 노즐 홀더가 실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조임식 판이 각각 두 개의 엔드 플레이트와 함께 부분품으로서 서포트 소켓에 고정되며, 실 가이드가 노즐 홀더에 고정된 실 가이드 서포트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실 유입홈 및 매체 공급 채널을 구비한 개방된 분할형 노즐로서 형성된, 실 채널을 포함하는 노즐을 통한 필라멘트사의 처리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처리를 위해 실이 공동으로 하나의 실 채널을 형성하는 두 개의 판 사이로 안내되며, 판들이 상호 및 매체 공급측에 대해 밀폐되며, 노즐의 적어도 두 개의 판의 각각은 적어도 실 채널 프로파일과 관련하여 동일하게 형성되며 각각 노즐판 측 및 커버판측 실 채널 프로파일을 포함하며, 실 채널 프로파일이 조립된 상태에서 실 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두 개 또는 복수의 실 경로의 처리를 위한 판의 수량이 실 경로의 수 더하기 1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판이 슬라이드 레일을 통해 노즐 블록으로 결합되며 노즐 블록이 조임 캠을 통해 매체 공급 부재의 실링으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실 채널에 대해 세라믹판을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위해 세라믹판이 슬라이드 레일을 통해 안내되며, 노즐 블록으로 결합되고, 노즐 블록이 컬러 코딩이 부착된 서포트 소켓에서 공동의 공기 공급부와 기밀성으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22항에 있어서,
    판의 횡방향 보어를 통한 실 채널로의 매체 공급이 세로 방향으로 실 채널의 중앙에서, 실 채널의 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또는 경사지게 이루어지며 필라멘트사가 와류되거나 또는 이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연속적으로 형성된 실 채널에서 일차 공기가 실 채널 축의 중앙을 향하는 주구멍으로 분사되고 이차 공기가 주구멍에 대해 일정한 간격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구멍에 분사되는, 스무스 필라멘트사 및 텍스쳐 필라멘트사로 매듭사를 제조하기 위한 제22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으로서,
    일차 공기가 실 이송 방향에 대항하여 효과 또는 이송 효과를 가지면서 수직으로 실 채널에 공급되고 이차 공기는 와류 흐름을 지원하는 형태로 실 채널 축에 대해 경사지며 일차 공기에 대해 서로 다른 방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구멍으로 공급되는 방법.
  28. 실 처리 채널에 대해 횡방향으로 분사되는 분사 공기 및 실 처리 채널을 구비한 에어 노즐을 통해 가는 매듭사의 제조를 위한 제22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으로서,
    분사 공기가 실 이송 방향에서 또는 실 이송 방향에 대항하여 매듭 형성을 위한 각각 하나의 이중 와류를 형성하며, 분사 공기가 실 처리 채널의 입구 구역에 있는 실 채널 세로 방향으로 짧은 공기 와류실에서 필라멘트 번들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 두 개의 정상 와류 흐름으로 전환되는 방법.
  29. 제22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필라멘트사의 가연을 위해 실 채널로의 매체 공급이 횡방향 보어를 통해 접선 방향으로 실 채널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22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매듭사 또는 이염사에 있어서,
    실이 처리를 위해 공동으로 하나의 실 채널을 형성하는 두 개의 동일한 판 사이로 안내되며 매듭사 또는 이염사가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듭사 또는 이염사.
  31. 제29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가연사에 있어서,
    실이 처리를 위해 공동으로 하나의 실 채널을 형성하는 두 개의 동일한 판 사이로 안내되며 가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사.
KR1020067023039A 2004-06-30 2005-06-29 필라멘트사 및 장식매듭사, 이염사 및 가연사의 처리 장치및 방법 KR1012349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1109/04 2004-06-30
CH11092004 2004-06-30
PCT/CH2005/000359 WO2006002562A1 (de) 2004-06-30 2005-06-29 Vorrichtung und verfahren für das behandeln von filamentgarn sowie knoten-, migriertes und falschgedralltes gar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645A KR20070032645A (ko) 2007-03-22
KR101234945B1 true KR101234945B1 (ko) 2013-02-19

Family

ID=34971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3039A KR101234945B1 (ko) 2004-06-30 2005-06-29 필라멘트사 및 장식매듭사, 이염사 및 가연사의 처리 장치및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90211219A1 (ko)
EP (1) EP1761664B1 (ko)
JP (1) JP5039546B2 (ko)
KR (1) KR101234945B1 (ko)
CN (1) CN1977075B (ko)
AT (1) ATE448338T1 (ko)
DE (1) DE502005008488D1 (ko)
TW (1) TWI301518B (ko)
WO (1) WO20060025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99327B1 (de) 2007-02-14 2010-03-15 Oerlikon Heberlein Temco Wattw Vorrichtung zum gleichzeitigen Behandeln von mehreren multifilen Fäden.
JP4673355B2 (ja) * 2007-10-30 2011-04-20 Tmtマシナリー株式会社 交絡装置
DE102007057970A1 (de) 2007-12-03 2009-06-04 Oerlikon Textile Gmbh & Co. Kg Verwirbelungseinrichtung
JP4742125B2 (ja) * 2008-08-06 2011-08-10 Tmtマシナリー株式会社 多糸条用ガイド
IT1393810B1 (it) * 2009-04-29 2012-05-11 Technores S R L C O Studio Minicucci Pidatella & A Dispositivo per il trattamento di un filato, sistema di trattamento di un filato e metodo per il trattamento di un filato
TWI448593B (zh) * 2011-12-28 2014-08-11 Taiwan Textile Res Inst 結點紗的製造方法
CN103806156A (zh) * 2012-11-06 2014-05-21 苏州市京伦陶瓷有限公司 一种用于化纤纺丝fdy空气网络喷嘴
CN104071635A (zh) * 2014-06-13 2014-10-01 苏州固基电子科技有限公司 线束送线装置
JP6352793B2 (ja) * 2014-12-12 2018-07-04 Tmtマシナリー株式会社 交絡付与機構
JP6495051B2 (ja) * 2015-03-02 2019-04-03 Tmtマシナリー株式会社 交絡装置
CN107820523B (zh) * 2015-06-30 2021-08-31 希伯莱因股份公司 用于卷曲的填塞-卷曲装置、喷嘴芯以及喷嘴芯的模制件、扩充套件、锁定装置和定位件及其方法
EP3697951B1 (de) 2017-10-16 2023-12-20 Heberlein AG Fadenführeinrichtung
TWI682529B (zh) * 2018-06-28 2020-01-11 李崇維 微元件轉移設備及其轉移與鍵接的方法
WO2020219571A1 (en) * 2019-04-22 2020-10-29 Commscope Technologies Llc Cable fixation assembly with improved strength member yarn anchoring and method of anchoring cable strength member yarn
CN115003869B (zh) * 2020-01-31 2023-05-12 京瓷株式会社 纺丝喷嘴及纺丝装置
WO2021163340A1 (en) 2020-02-11 2021-08-19 Commscope Technologies Llc Cable fixation devices and arrangements with improved installation and space utilization at telecommunications enclosures
CN111455505B (zh) * 2020-04-15 2021-08-10 军事科学院系统工程研究院军需工程技术研究所 一种短纤维/长丝交缠复合纺纱装置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21695A2 (en) * 1979-06-25 1981-01-07 University Patents, Inc. Novel nonlinear optical materials and processes employing diacetylenes
US4679284A (en) * 1985-07-20 1987-07-14 Rieter-Scragg Limited Yarn entangling air jet
WO1989001538A1 (en) 1987-04-07 1989-02-23 Deutsche Institute für Textil- und Faserforschung Device for twisting multifilament yarns
US5079813A (en) * 1990-02-21 1992-01-1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Interlac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71839D1 (en) * 1985-10-04 1989-08-31 Mayer Textilmaschf Device to entangle multifilament yarns
JPS62243843A (ja) * 1986-04-14 1987-10-24 カネボウ株式会社 糸条処理装置
JPH0781223B2 (ja) * 1988-01-21 1995-08-30 帝人株式会社 多糸条用流体処理装置
DE3904815A1 (de) * 1988-02-25 1989-09-07 Barmag Barmer Maschf Luftduese zum verflechten eines laufenden multifilamentfadens
DE59301070D1 (de) * 1992-04-03 1996-01-18 Heberlein & Co Ag Vorrichtung zum Verwirbeln von Multifilamentgarnen.
JP3141578B2 (ja) * 1992-11-02 2001-03-05 東レ株式会社 流体処理装置
JP2654747B2 (ja) * 1993-09-10 1997-09-17 株式会社山陽精機 多繊糸条交絡装置
JP3475644B2 (ja) * 1996-03-12 2003-12-08 東レ株式会社 多糸条流体処理装置
JPH10273815A (ja) * 1997-03-31 1998-10-13 Toray Ind Inc 多糸条用紡糸装置およびその糸通し方法
JP2000144528A (ja) * 1998-11-09 2000-05-26 Toray Ind Inc ポリエステル繊維の直接紡糸延伸方法
ATE328140T1 (de) * 1999-03-03 2006-06-15 Heberlein Fibertechnology Inc 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die behandlung von filamentgarn sowie verwendung der vorrichtung
JP2002309460A (ja) * 2001-04-13 2002-10-23 Toray Ind Inc 糸条流体処理装置ならびに糸条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21695A2 (en) * 1979-06-25 1981-01-07 University Patents, Inc. Novel nonlinear optical materials and processes employing diacetylenes
US4679284A (en) * 1985-07-20 1987-07-14 Rieter-Scragg Limited Yarn entangling air jet
WO1989001538A1 (en) 1987-04-07 1989-02-23 Deutsche Institute für Textil- und Faserforschung Device for twisting multifilament yarns
US5079813A (en) * 1990-02-21 1992-01-1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Interlac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02005008488D1 (de) 2009-12-24
EP1761664A1 (de) 2007-03-14
CN1977075A (zh) 2007-06-06
WO2006002562A1 (de) 2006-01-12
TWI301518B (en) 2008-10-01
JP5039546B2 (ja) 2012-10-03
ATE448338T1 (de) 2009-11-15
KR20070032645A (ko) 2007-03-22
JP2008504462A (ja) 2008-02-14
CN1977075B (zh) 2011-05-18
EP1761664B1 (de) 2009-11-11
US20090211219A1 (en) 2009-08-27
TW200611999A (en) 2006-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4945B1 (ko) 필라멘트사 및 장식매듭사, 이염사 및 가연사의 처리 장치및 방법
KR100912747B1 (ko) 스팟 사의 제조 방법 및 와류 노즐
KR100222293B1 (ko) 멀티 필라멘트사에 사용되는 권축장치
US3262179A (en) Apparatus for interlacing multifilament yarn
KR100442956B1 (ko) 필라먼트사를 가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상기 장치의 이용
US3545057A (en) Yarn treating apparatus
RU204684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невматического текстурирования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ой комплексной нити
US6052983A (en) Fluid-jet twist-insert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600053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uffer box crimping a multifilament yarn
US7707699B2 (en) High-performance device for air interlacing of a yarn and corresponding method
JP3439771B2 (ja) フィラメントヤーンをエアー・トリートメントするための方法並びに装置
RU209151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ой движущейся комплексной нити обдувочной средой
US4535516A (e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fixed point multifilament yarns
PL149198B1 (en) Air whirl nozzle for spinning the yarn of staple artificial fibres
US20020104305A1 (en) Processsing textile materials
CA22304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yarn composed of at least two yarn components
US537950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untwisted yarn from at least two fibril bundles
TW533250B (en) Process for false twisting of filament yarn as well as multi-part false twisting spinneret
US4238921A (en) Cooling device and method for cooling a heated travelling thread
US6308388B1 (en) Texturing jet
US3478398A (en) Yarn jet apparatus
JP2975096B2 (ja) 相互に一定の位置に配置された少なくとも2本のフィラメント束から無撚糸を製造する方法並びに装置
US6868593B1 (en) Tandem interlacing textile jet nozzle assembly
US20180216259A1 (en) Device for entangl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threads of a composite thread
US3422516A (en) Yarn-treating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