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1999B1 - 음향 부품 및 음향 부품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음향 부품 및 음향 부품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31999B1 KR101231999B1 KR1020117000941A KR20117000941A KR101231999B1 KR 101231999 B1 KR101231999 B1 KR 101231999B1 KR 1020117000941 A KR1020117000941 A KR 1020117000941A KR 20117000941 A KR20117000941 A KR 20117000941A KR 101231999 B1 KR101231999 B1 KR 1012319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dhesive layer
- waterproof
- acoustic component
- frame
- filt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5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0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29920001343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9000004810 polytetrafluoro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1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5871 repell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2940 repell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123 pa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29920002799 BoPET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522 acrylic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162 cor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671 adjuv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QGZKDVFQNNGYKY-UHFFFAOYSA-O Ammonium Chemical compound [NH4+] QGZKDVFQNNGYKY-UHFFFAOYSA-O 0.000 description 1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873 Polyethylenimi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20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1620634 Roger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23 Silicone 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PPBRXRYQALVLMV-UHFFFAOYSA-N Styrene Natural products C=CC1=CC=CC=C1 PPBRXRYQALVLM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577 adipose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349 alkyl fluo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329 compou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51 corona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20 emulsion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086 glass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435 hydrogen atom Chemical group [H]*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42 inert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545 inva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21 machin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496 m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H])*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30 micro-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82 mold releas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SNGREZUHAYWORS-UHFFFAOYSA-N perfluorooctan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F)(F)C(F)(F)C(F)(F)C(F)(F)C(F)(F)C(F)(F)C(F)(F)F SNGREZUHAYWOR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VZRBWKZFJCCIB-UHFFFAOYSA-N perfluorotributylamine Chemical compound FC(F)(F)C(F)(F)C(F)(F)C(F)(F)N(C(F)(F)C(F)(F)C(F)(F)C(F)(F)F)C(F)(F)C(F)(F)C(F)(F)C(F)(F)F RVZRBWKZFJCCI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58 poly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07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79 polyme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93 poly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306 polymethylpent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16 polymethylpent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22 polyvinyl alcoh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79 reinforc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50 screen-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14 silicone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3—Screens for loudspeak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76—Foam or porous material contain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79—Contains vapor or gas barrier, polymer derived from vinyl chloride or vinylidene chloride, or polymer containing a vinyl alcohol uni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79—Contains vapor or gas barrier, polymer derived from vinyl chloride or vinylidene chloride, or polymer containing a vinyl alcohol unit
- Y10T428/1383—Vapor or gas barrier, polymer derived from vinyl chloride or vinylidene chloride, or polymer containing a vinyl alcohol unit is sandwiched between layers [continuous laye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76—Release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접착층(1)이 부착된 방수 필터를 전자기기의 케이스에 장착할 때 접착층(1)이 단차부(13)에 걸쳐지기 어려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통음 구멍(12)을 갖는 케이스(11)와, 프레임형으로 형성된 접착층(1), 그리고 접착층(1)을 통해 통음 구멍(12)을 덮도록 장착된 방수 필터를 구비하고, 케이스(11)에는, 방수 필터를 결합시키는 단차부(13), 또는 방수 필터의 장착 부위를 나타내는 지표가 되는 단차부(13)가 형성되며, 프레임형 접착층(1)의 외주부는 방수 필터의 외주부보다도 내측이 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방수성이나 방진성이 필요한 전자기기, 특히 음향 기능을 갖는 전자기기에 이용되는 방수 필터를 구비한 음향 부품 및 이러한 음향 부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피커, 마이크로폰, 리시버 등의 전기 음향 변환 장치가 장착된 휴대 전화, 소형 라디오, 트랜스시버, 휴대 음악 재생기, 개인용 노트북, 헤드폰, 이어폰, 옥외 마이크, 디지털 카메라 등의 전자기기의 케이스에는, 음을 케이스 내부로부터 외부로, 외부로부터 내부로 통과시키기 위한 통음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이 통음 구멍에는, 전자기기 내부로의 물의 침입 방지를 주목적으로 하는 방수 필터(방수막)가 부착되어 있다.
방수막의 구성예로서, 특허문헌 1에는, 케이스의 음향용의 작은 구멍을 포위하도록 형성한 내부 환형 돌출부에 수화기, 송화기, 부저 등의 전기 음향 변환 장치를 장착한 이동 통신용 단말기에 있어서, 작은 구멍과 음향 부품의 사이에 방수지를 배치하고, 이 방수지의 주변부만을 내부 환형 돌출부와 환형 개재물의 사이에 고착하며, 이 환형 개재물에 전기 음향 변환 장치를 장착하여, 전기 음향 변환 장치의 내부에 제1 전기실(前氣室), 음향 부품과 방수지의 사이에 제2 전기실, 방수지와 케이스의 사이에 제3 전기실을 형성한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방수막의 다른 구성예로서, 특허문헌 2에는, 마이크로폰 본체를 수납하는 마이크로폰 수납체의 단면에, 오목부를 설치한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케이스의 마이크로폰 부착부에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다. 개구부의 주위에 위치하여, 마이크로폰 수납체를 삽입 고정하는 유지 프레임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유지 프레임의 내측이며, 또한 개구부의 주위에 위치하여, 마이크로폰 수납체의 오목부에 끼워맞춤되는 환형의 돌출부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음향 용도에 이용되는 방수막은, 음을 높은 효율로 통과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진동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고정되어 있지 않으면 안 된다. 즉, 방수막의 고정은 될 수 있는 한 방수막의 주변부로 한정될 것이 요구된다. 그 예로서, 특허문헌 3에는 개구부를 갖는 2장의 접착 지지 시스템(양면 점착 테이프 등)으로 보호막(방수막)을 협지하는 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류측의 음압파가 보호막을 진동시키며, 이 진동에 의한 보호막의 고체 전파 에너지(기계적인 진동)를 하류측의 음압파로 변환시키고, 그 결과 음향 손실/감쇠를 줄이고 있다.
방수막은 휴대 전화 등의 전자기기의 케이스의 통음 구멍에 부착되지만, 휴대 전화 등의 전자기기는 점점 더 소형화·박형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방수막의 소형화·부착 위치의 고정밀도화가 요구되고 있다.
방수막이나 전기 음향 변환 장치의 위치 결정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전자기기의 케이스에, 방수막이나 전기 음향 변환 장치를 안내(가이드)하는 것과 같은 단차부를 형성하는 것이 고려된다(예컨대 특허문헌 4). 또한, 이러한 단차부는 방수막에 반드시 완전히 끼워맞춤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문헌 4의 도 4와 같이, 어느 정도의 여유를 가지고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단차부는 방수막의 위치 결정에 반드시 직접적인 기여를 하지 않는 경우도 있지만, 방수막의 장착 부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도 유용하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7-131375호 공보(도 1, 도 2)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5-219163호 공보(도 1)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표 제2003-503991호 공보(단락 0025, 도 4, 도 8)
특허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8-79865호 공보(단락 0018, 도 4)
그러나, 케이스에 상기 단차부를 설치하여도, 소형화된 방수막의 부착 작업은 실제로는 간단하지 않다. 도 10 및 도 11은, 특허문헌 3의 도 4에 기재된 것과 같은 방수 필터(구성 요소로서 적어도 방수막을 포함하는 것)를 예로 들어, 케이스에 부착된 상태의 방수 필터의 단면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0 및 도 11에서, 도면 부호 1 및 3은 접착층, 도면 부호 2는 방수막, 11은 케이스, 12는 통음 구멍, 13은 단차부를 나타낸다. 도 10은 방수막(2)이 잘 장착된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1은 접착층(1, 3)이 형성된 상태의 방수 필터(방수막(2))를 케이스(11)에 장착할 때 약간 위치 어긋남이 있었기 때문에, 접착층(1)의 일부가 단차부(13)에 걸쳐진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접착층(1)이 단차부(13)에 걸쳐지면, 이것을 제거하고 재차 다시 부착하는 작업은 매우 곤란하다. 그 이유는, 일단 단차부(13)에 점착된 접착층(1)은 간단하게는 벗겨지지 않고, 강하게 벗기려고 하면 얇은 방수막(2)이 파손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만약, 접착층(1)이 단차부(13)에 걸쳐진 것을 알아채지 못하고 휴대 전화를 그대로 완성시킨 경우에는, 상기 걸쳐진 부분으로부터 누수가 발생될 가능성도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는, 방수 필터의 부착 공정이 수작업이어도, 자동화되어 있어도 기본적으로 동일하지만, 휴대 전화와 같이 빈번하게 품종이 변하는 전자기기에서는 수작업으로 행하는 경우도 많아, 작업자의 부담은 크다. 접착층(1)이 작업자측으로부터는 확인 가능하지 않은 것도 하나의 원인으로 되어 있다.
전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접착층을 구비한 방수 필터를 결합시키는 등의 단차부를 갖는 음향 부품에 있어서, 방수 필터의 장착 시에 접착층이 단차부에 걸쳐지기 어려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던 본 발명의 음향 부품은
통음 구멍을 갖는 케이스와, 프레임형으로 형성된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을 통해 통음 구멍을 덮도록 장착된 방수 필터를 구비하고, 케이스에는, 방수 필터를 결합시키는 단차부, 또는 방수 필터의 장착 부위를 나타내는 지표가 되는 단차부가 형성되며, 프레임형 접착층의 외주부는 방수 필터의 외주부보다도 내측이 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방수 필터는 불소 수지막으로 구성되는 방수막을 포함하는 양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소 수지막이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막으로 구성되어 있는 양태로 하는 것이 장려된다.
상기 방수 필터는 방수막에 프레임을 부착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상기 방수막의 외주부는 접착층측을 골로 하여 절곡되어 있는 양태가 바람직하다.
상기 방수막의 표면에 발액제(liquid repellent)를 첨가하는 양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층이 양면 점착 테이프인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던 본 발명의 음향 부품의 제조 방법은
박리 시트 상에 접착층을 프레임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접착층을 방수 필터로 덮으며, 프레임형 접착층의 외주부보다도 외측에서 방수 필터를 재단하고, 박리 시트를 접착층으로부터 제거하며, 통음 구멍을 갖는 케이스에 방수 필터의 접착층측을 장착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던 본 발명의 다른 음향 부품의 제조 방법은
박리 시트 상에 접착층을 프레임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형의 접착층보다 크게 형성한 방수 필터로 프레임형 접착층을 덮으며, 박리 시트를 접착층으로부터 제거하고, 통음 구멍을 갖는 케이스에 방수 필터의 접착층측을 장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음향 부품 및 이러한 음향 부품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접착층을 구비한 방수 필터를 결합시키는 등의 단차부를 갖는 음향 부품에 있어서, 방수 필터의 장착 시에 접착층이 단차부에 걸쳐지기 어려운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수 필터의 장착 공정의 효율이 높아지며, 음향 부품의 누수 등의 불량률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음향 부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음향 부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음향 부품의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음향 부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음향 부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음향 부품의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부품의 제조 공정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부품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부품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음향 부품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음향 부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음향 부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음향 부품의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음향 부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음향 부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음향 부품의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부품의 제조 공정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부품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부품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음향 부품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음향 부품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음향 부품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음향 부품의 단면도로서, 방수 필터를 케이스에 장착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서, 도면을 봤을 때 좌측에 나타낸 것은 전자기기 등의 외장 케이스인 케이스(11)이다. 케이스(11)에는, 소리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 즉 통음 구멍(12)이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통음 구멍(12)은 하나로 한정되지 않고, 복수여도 좋다. 또한, 케이스(11)에는, 후술하는 방수 필터를 결합시키거나, 혹은 방수 필터의 장착 부위를 나타내는 지표로 하는 단차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에서, 도면을 봤을 때 우측에 나타낸 것은, 접착층을 통해 통음 구멍(12)을 덮도록 장착되는 방수 필터이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케이스(11)에 면하는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접착층(1), 방수막(2), 접착층(3), 프레임(4), 접착층(5)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방수 필터」란, 방수 기능을 갖는 부재를 의미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방수막(2)에 상당하지만, 뒤에 설명하는 프레임(4) 등, 방수막(2)에 부수적으로 점착되는 부품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 부품을 포함하여 방수 필터라고 한다. 또한, 도 1에서는 접착층(5)을 설명하기 위해 접착층(5)이 존재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접착층(5)은 방수 필터와 뒤에 게시하는 스피커의 케이스(21)를 일체적으로 접합한 상태로 케이스(11)에 장착하는 경우 등,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것이며, 뒤에 게시하는 도 8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착층(5)은 사용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접착층(1, 3)과 접착층(5)은 프레임형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개구는 음을 통과시키는 역할을 달성한다. 또한, 방수막(2)이 접착층(1) 혹은 접착층(3)에 의해 고정되는 부분의 면적이 작을수록 방수막(2)의 진동 가능한 면적이 넓어, 음의 통과 효율이 좋다.
프레임(4)은 스피커나 마이크로폰 등의 전기 음향 변환 장치(뒤에 게시)와 방수막(2)의 사이에 스페이서로서 삽입되는 것이다. 프레임(4)(스페이서)은, 방수막(2)이 전기 음향 변환 장치와 접촉함에 따른 래틀 노이즈(rattle noise)를 방지하는 작용, 혹은 방수막(2)이 전기 음향 변환 장치와 사이에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음향 특성이 향상되는 작용이 있다. 따라서, 프레임(4)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부품이다.
또한, 프레임(4)은 접착층(3)을 통해 방수막(2)에 접착됨으로써, 비교적 유연한 방수막(2)을 지지하는 역할도 달성한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수막(2), 접착층(3), 프레임(4)의 단부가 가지런하게 되어 있으면, 접착층(3)이 단차부(13)에 부착되기 어렵다. 또한, 뒤에 게시하는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착층(3)의 외주부가 방수막(2)의 외주부 또는 프레임(4)의 외주부보다 내측이 되도록 구성하면, 더욱 접착층(3)은 단차부(13)에 부착되기 어렵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수 필터를 케이스(11)에 장착할 때 다소의 위치 어긋남이 있어도, 방수 필터의 외주부가 단차부(13)에 결합되기 때문에, 방수 필터는 통음 구멍(12)을 덮도록 케이스(11)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안착되며, 접착층(1)의 기능에 의해 접착된다.
방수 필터는 단차부(13)에 결합되어 있다. 즉, 방수 필터는 단차부(13)에 반드시 완전히 끼워맞춤되어 있지 않아도 좋고, 어느 정도의 여유를 가지고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단차부(13)는 방수 필터를 안내하는 역할을 달성하고 있지 않은 경우도 있지만, 그 경우에도 단차부(13)는 방수 필터의 장착 부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유용하다.
또한, 프레임(4)을 이용하는 경우로서 방수막(2)의 외경이 프레임(4)의 외경보다도 작은 경우, 방수막(2)은 단차부(13)에 끼워맞춤되지 않지만, 프레임(4)이 단차부(13)에 끼워맞춤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최대의 특징으로서, 프레임형의 접착층(1)의 외주부는 방수 필터의 외주부보다 내측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방수 필터의 장착 시에 다소의 위치 어긋남이 있어도, 접착층(1)이 단차부(13)에 부착될 확률이 종래보다도 낮다. 그 때문에, 작업자가 잘못하여 단차부(13)에 접착층(1)을 올린 상태로 점착하여 버리는 경우가 적어, 방수 필터의 장착 효율이 각별히 향상된다. 또한, 방수 신뢰성이 높은 음향 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방수막(2)과 프레임(4)의 크기가 다르게 하는 등에 의해, 방수막(2)의 외주부와 프레임(4)의 외주부의 위치가 다른 경우에는 최외주부가 방수 필터의 외주부이다.
방수 필터의 외주부와 접착층(1)의 외주부와의 간격은 0.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한을 0.1 ㎜로 한 것은 해당 간격이 0.1 ㎜ 미만이면, 단차부(13)에 걸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 효과가 실질적으로 발휘되지 않기 때문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 이상이다. 방수 필터의 장착 작업이 수작업에 의해 행해지는 경우는,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이다.
한편, 방수 필터의 외주부와 접착층(1)의 외주부와의 간격의 상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방수 필터의 소형화가 요구되는 중에는 실질적인 상한은 있다. 방수 필터가 만약 원형이며, 그 직경이 10 ㎜ 내지 20 ㎜ 정도라고 하는 전제를 두면, 상기 간격의 상한은 예컨대 1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이하이다. 방수 필터의 외주부와 접착층(1)의 외주부와의 간격이 지나치게 큰 경우, 즉 접착층(1)의 외경이 지나치게 작은 경우에는 케이스(11)와 방수 필터의 접착 면적이 작아져 방수 신뢰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접착 면적이 작아지는 것은, 접착층(1)의 내경이 케이스(11)의 통음 구멍(12)의 크기나 위치에 실질적으로 제약을 받기 때문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향 부품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음향 부품에 전기 음향 변환 장치의 일례인 휴대 전화용의 스피커(착신음 등의 통지음을 발하는 음파 발생 장치)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에서, 스피커의 케이스(21) 내에는, 지지체(22)에 지지된 진동체(23)가 설치되어 있다. 진동체(23)로부터 발생하는 음파는 케이스(21)로부터 방출되고, 방수막(2), 통음 구멍(12)을 경유하여 휴대 전화의 외부로 전파되어 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11)에 방수 필터를 부착한 후에 방수 필터에 전기 음향 변환 장치를 장착하는 순서로 설명하였지만, 이 순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전기 음향 변환 장치에 먼저 방수 필터를 부착하고, 이후에 케이스(11)에 장착하는 순서도 마찬가지로 실시 가능하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음향 부품에서, 단차부(13)의 형상을 변경한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2에 나타낸 음향 부품에서는, 단차부(13)는 방수 필터의 주위를 둘러싸는 돌기물(볼록형물)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지 1단의 스텝이 존재하고 있을 뿐이어도 마찬가지로 실시 가능하다.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프레임(4)을 사용하는 경우의 방수 필터의 변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착층(3)의 외주부는 방수막(2)의 외주부보다도 내측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방수막(2) 및 프레임(4)의 단부는 단차부(13)에 의해 안내(가이드)되지만, 이때 접착층(3)의 측면이 단차부(13)의 벽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착층(1)과 방수막(2)이 동일한 크기가 되는 경우도 있다. 방수 필터의 제조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접착층(1)과 방수막(2)을 동시에 펀칭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는 이 형상이 된다.
또한, 도 4b의 구성을 취하는 경우에는, 접착층(3)의 하면이 방수막(2)으로 덮이지 않는 부분이 존재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방수 필터를 케이스(11)에 장착할 때, 접착층(3)의 하면이 단차부(13)에 잘못하여 접촉함으로써, 접착층(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방수 필터의 위치 어긋남의 우려, 장착 효율의 저하의 우려가 있지만, 접착층(3)의 접착 강도를 접착층(1)의 접착 강도보다도 낮게 해 둠으로써 해소할 수 있다. 접착층(3)의 접착 강도가 낮아도 좋은 것은, 접착층(1)에는 외부로부터의 수분의 침입을 방해하는 정도의 강력하며 확실한 접착력이 필요로 되지만, 접착층(3)은 프레임(4)이 방수막(2)으로부터 박리되지 않을 정도의 접착 강도를 갖고 있으면 충분하기 때문이다.
도 5에서는, 방수막(2)의 단부만 돌출한 형태이다. 방수막(2)의 강도가 낮은 경우여도, 방수막(2)의 한면 또는 양면에 열가소성 수지제 네트와 같은 보강재를 마련함으로써, 본 형태가 실시 가능하며, 접착층(1, 3, 5)의 영향 없이 방수 필터를 케이스(11)에 접착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5에서의 방수 필터를 더욱 개량한 것이며, 방수막(2)의 외주부는, 접착층(1)측을 골로 하여 절곡되어 있다. 이 형태에서는, 접착층(1)의 측면이 방수막(2)에 의해 커버되어 있기 때문에, 접착층(1)이 단차부(13)의 벽면에 부착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방수막(2)이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같이 수축하기 쉬운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방수막(2)의 구부린 부분이 걸림부가 되어, 방수막(2)의 수축이 예방되고, 접착층(1)의 노출을 방지할 수도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향 부품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방수 필터의 제조 공정의 단면도이다. 우선,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ET로 형성된 박리 시트(31)를 준비하고, 이 박리 시트(31) 위에, 개구부(1a)를 갖는 접착층(1)을 형성한다.
다음에,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착층(1)의 위로부터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하, 「다공질 PTFE」라고 기재함)으로 형성된 방수막(2)을 접합한다.
다음에,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방수막(2)에서 방수막(2)의 미리 결정된 부분을 다이컷트롤(날붙이)(32)로 재단하고, 방수막(2)을 예컨대 원형 형상으로 성형한다. 물론, 방수막(2)의 형상은, 방수막(2) 등이 부착되는 전기 음향 변환 장치의 형상에 따라 결정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원형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7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수막(2)의 외측에 위치하는 방수막(2)의 불필요부(2x)를 제거함으로써, 접착층(1)의 외주부가 방수막(2)의 외주부보다도 내측이 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방법 외에, 접착층(1)보다 크게 형성한 방수막(2)을 미리 준비하고, 이 방수막(2)으로 접착층(1)을 덮는 방법으로도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작되는 방수 필터를 케이스(11)에 부착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음향 부품이 완성된다.
다음에,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음향 부품의 기본적 구성 요소인 접착층(1) 및 방수막(2), 음향 부품의 제조 공정에서 이용하는 박리 시트(31), 바람직하게는 이용되는 프레임(4)에 대해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접착층(1)은 프레임형으로 형성되는 것이지만, 프레임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원형, 타원형, 직사각 형상, 다각 형상의 것이어도 좋다. 프레임형 패턴을 갖는 접착층(1)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스크린 인쇄에 의한 방법이나, 접착제의 융액을 그라비어 패턴롤로 박리 시트(31)에 전사하는 방법, 혹은, 미리 프레임형으로 재단한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접착층(1)으로서 사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양면 점착 테이프에는, 부직포 코어재 양면 점착 테이프, PET 코어재 양면 점착 테이프, 발포체 코어재 양면 점착 테이프, 기재가 없는 양면 점착 테이프 등 여러가지 타입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기재가 없는 타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보강 등을 목적으로 한 기재(코어재)를 포함하지 않는 양면 점착 테이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용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접착제란 물건과 물건을 접합시키는데 이용하는 일반적인 물질을 가리키는 것으로, 점착제라고 불리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방수막(2)의 미시적 형상으로서는, 네트형, 메시형, 다공질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방수막(2)의 구성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이미드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방수성이 우수한 불소 수지, 더욱 바람직하게는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다공질 PTFE)의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장려된다. 다공질 PTFE 필름은 방수성이 우수한 것 외에, 다공질 구조로 질량이 작기 때문에, 음성을 통과시키는 용도에 적합하다.
다공질 PTFE 필름은, PTFE의 파인파우더를 성형 조제와 혼합함으로써 얻어지는 페이스트의 성형체로부터 성형 조제를 제거한 후, 고온 고속으로 연신, 더욱 필요에 따라 소성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다. 1축 연신의 경우, 노드(절첩 결정)가 연신 방향으로 직각으로 가는 섬 형상으로 되어 있어, 이 노드 사이를 연결하도록 발형으로 피브릴(절첩 결정이 연신에 의해 풀려 인출된 직쇄형의 분자 다발)이 연신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다. 그리고, 피브릴 사이, 또는 피브릴과 노드로 구분되는 공간이 빈 구멍으로 된 섬유질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2축 연신의 경우에는, 피브릴이 방사형으로 확대되고, 피브릴을 연결하는 노드가 섬 형상으로 점재하여, 피브릴과 노드로 구분된 공간이 다수 존재하는 거미집형의 섬유질 구조로 되어 있다.
방수막(2)은, 1축 연신 다공질 PTFE 필름이어도 좋고, 2축 연신 다공질 PTFE 필름이어도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2축 연신 다공질 PTFE 필름이다.
박리 시트(31)에 이용하는 재료로서 PET 이외에 선택할 수 있는 것은, 예컨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메틸펜텐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수지 필름, 글라신지, 상질지, 코팅지, 함침지, 합성지 등의 종이, 알루미늄, 스테인레스강 등의 금속박 등을 들 수 있다.
박리 시트(31)의 두께는 예컨대 1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0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와의 박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박리 시트(31)의 기재의 표면에 이형제를 형성하거나, 혹은 기재 표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 프레임 플라즈마 처리 등을 실시하여도 좋고, 프라이머층 등을 마련하여도 좋다. 프라이머층으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스티렌계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이것들의 변성물 등의 고분자 재료(소위 앵커코트제)를 사용할 수 있다.
방수막(2)은, 그 세공(細孔) 내표면에 발액성 폴리머를 피복시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특허청구범위 및 본 명세서에서 「발액제」란, 액체를 튀기는 성질 내지는 기능을 갖는 물질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하고, 「발액제」는 「발수제」, 「발유제」, 「발수발유제」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이하, 발수발유성 폴리머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방수막(2)의 세공 내표면을 발수발유성 폴리머로 피복해 둠으로써, 체지방이나 기계유, 음료, 세탁 세제 등의 여러가지 오염물이, 방수막의 세공 내에 침투 혹은 유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들 오염 물질은, 다공질 PTFE의 소수성을 저하시켜, 방수성을 손상시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발수발유성 폴리머로서는, 함불소 측쇄를 갖는 폴리머를 이용할 수 있다. 발수발유성 폴리머 및 그것을 다공질 PTFE 필름에 복합화하는 방법의 세부사항에 대해서는 WO94/22928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고, 그 일례를 하기에 나타낸다.
발수발유성 폴리머로서는, 하기 일반식 (1)
[일반식 1]
(상기 식에서, n은 3 내지 13의 정수, R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다)
로 나타내는 플루오로알킬아크릴레이트 및/또는 플루오로알킬메타크릴레이트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함불소 측쇄를 갖는 폴리머(불소화알킬 부분은 4 내지 16의 탄소 원자를 갖는 것이 바람직함)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 폴리머를 이용하여 상기 다공질 PTFE 필름의 세공 내를 피복하기 위해서는, 이 폴리머의 수성 마이크로에멀션(평균 입자 직경 0.01 내지 0.5 ㎛)을 함불소 계면 활성제(예, 암모늄퍼플루오로옥타네이트)를 이용하여 제작하고, 이것을 다공질 PTFE 필름의 세공 내에 함침시킨 후, 가열한다. 이 가열에 의해, 물과 함불소 계면 활성제가 제거되며, 함불소 측쇄를 갖는 폴리머가 용융하여 다공질 PTFE 필름의 세공 내표면을 연속 기공이 유지된 상태로 피복하여, 발수성·발유성이 우수한 방수막(2)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그 외의 발수발유성 폴리머로서, 「AF 폴리머」(듀퐁사의 상품명)나, 「사이톱(Cytop)」(아사히가라스사의 상품명)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이것들의 폴리머를 방수막(2)의 세공 내표면에 피복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플루오리너트(Fluorinert)」(스미토모스리엠사의 상품명) 등의 불활성 용제에 상기 폴리머를 용해시켜, 다공질 PTFE 필름에 함침시킨 후, 용제를 증발 제거하면 좋다.
프레임(4)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우레탄폼, 실리콘폼, 아크릴폼, 폴리에틸렌폼 등의 발포체 기재, 그 외에 PET 기재, 실리콘 기재, 나일론 기재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프레임(4)의 한면 또는 양면에 점착제를 마련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되며, 이들은 시판품(예컨대, 주식회사 로저스이노악사 제조, 상품명: Poron)으로서 입수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물론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을 받는 것이 아니며, 전·후기의 취지에 적합 가능한 범위에서 적당하게 변경을 부가하여 실시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고,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시험 제작예 1)
[방수막의 제작]
유화 중합에 의해 얻어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분말(파인파우더) 100 중량부에, 솔벤트나프타 22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페이스트 수지를 필름형으로 하고, 이 필름형의 페이스트 성형체를 솔벤트나프타의 끓는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솔벤트나프타를 증발 제거한 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융점 이하의 온도로 매초 10% 이상의 속도로 2축 연신하여, 두께가 30 ㎛이며, 내경 10 ㎜× 외경 18 ㎜의 크기를 갖고, 공공률(空孔率)이 85%인 다공질 PTFE 필름을 제작하여, 이것을 방수막(2)으로 하였다.
[방수 필터의 구성]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착층(1), 방수막(2), 접착층(3), 및, 프레임(4)을 이 순서대로 적층하였다. 접착층(1)으로는, PET 필름 기재의 양면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포한 양면 점착 테이프(스미토모스리엠사 제조, 품번: 4393, 이후 「양면 점착 테이프(α)」라고 기재함)이며, 두께가 0.2 ㎜인 것, 접착층(3)으로는, 마찬가지로 PET 필름 기재의 양면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포한 양면 점착 테이프(스미토모스리엠사 제조, 품번: ST-416P, 이후 「양면 점착 테이프(β)」라고 기재함)이며, 두께가 0.125 ㎜인 것, 그리고 프레임(4)으로서, 두께가 250 ㎛인 PET 필름을 이용하였다. 프레임(4)은, 전기 음향 변환 장치와의 사이의 스페이서로서 사용하는 것이다.
(시험 제작예 2)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착층(1), 방수막(2), 접착층(3) 및 세퍼레이터(7)를 이 순서대로 적층하였다. 방수막(2)으로는, 시험 제작예 1과 동일한 다공질 PTFE 필름을 이용하였다. 접착층(1)으로는, 양면 점착 테이프(α)이며, 두께가 0.20 ㎜인 것, 접착층(3)으로는, 양면 점착 테이프(β)이며, 두께가 0.125 ㎜인 것, 그리고 세퍼레이터(7)로서, 두께가 0.075 ㎜인 PET 필름을 이용하였다. 세퍼레이터(7)는 전기 음향 변환 장치를 방수막(2)에 장착할 때에 박리하는 것이다. 또한, 세퍼레이터(7)가 접착층(3)보다도 크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세퍼레이터(7)의 단부를 붙잡아 박리하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다.
(시험 제작예 3)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착층(1), 방수막(2), 접착층(3), 및, 프레임(4)을 이 순서대로 적층하였다. 방수막(2)으로는, 시험 제작예 1과 동일한 다공질 PTFE 필름을 이용하였다. 접착층(1)으로는, 아크릴폼 기재의 양면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포한 양면 점착 테이프(스미토모스리엠사 제조, 품번: VHB-Y4914, 이후 「양면 점착 테이프(γ)」라고 기재함)이며, 두께가 0.25 ㎜인 것, 접착층(3)으로는, 양면 점착 테이프(β)이며, 두께가 0.125 ㎜인 것을 이용하였으며, 프레임(4)(주식회사 로저스이노악사 제조, 상품명: Poron, 품번: SR-S48P, 두께 0.30 ㎜)은 전기 음향 변환 장치와의 사이의 스페이서로서 사용된다.
(시험 제작예 4)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착층(1), 방수막(2), 접착층(3) 및 세퍼레이터(7)를 이 순서대로 적층하였다. 방수막(2)으로는, 시험 제작예 1과 동일한 다공질 PTFE 필름을 이용하였다. 접착층(1)에는, 양면 점착 테이프(γ)이며, 두께가 0.25 ㎜인 것, 접착층(3)으로는, 양면 점착 테이프(β)이며, 두께가 0.125 ㎜인 것을 이용하였으며, 세퍼레이터(7)로서, 두께가 0.075 ㎜인 PET 필름을 이용하였다. 세퍼레이터(7)는 시험 제작예 2와 마찬가지로, 전기 음향 변환 장치를 접착할 때에 박리하는 것이며, 또한 접착층(3)보다도 크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세퍼레이터(7)의 단부를 붙잡아 박리하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다.
시험 제작예 1 내지 4에 기재한 것 외에, 접착층(1) 또는 접착층(3)으로는, 두께가 0.006 ㎜인 PET 필름 기재의 양면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포한 양면 점착 테이프[다이니혼 잉크 카가쿠 코교 가부시키가이샤(현 DIC 주식회사) 제조, 품번: #8606TN]이며, 총두께가 0.03 ㎜인 것, 혹은 두께가 0.05 ㎜인 PET 필름 기재의 양면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포한 양면 점착 테이프(다이니혼 잉크 카가쿠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품번: #8650S)이며, 총두께가 0.1 ㎜인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1 : 접착층
1a : 개구부
2 : 방수막
2x : 불필요부
3 : 접착층
4 : 프레임
5 : 접착층
7 : 세퍼레이터
11 : 케이스
12 : 통음 구멍
13 : 단차부
21 : 케이스
22 : 지지체
23 : 진동체
31 :박리 시트
32 : 다이컷트롤
1a : 개구부
2 : 방수막
2x : 불필요부
3 : 접착층
4 : 프레임
5 : 접착층
7 : 세퍼레이터
11 : 케이스
12 : 통음 구멍
13 : 단차부
21 : 케이스
22 : 지지체
23 : 진동체
31 :박리 시트
32 : 다이컷트롤
Claims (10)
- 통음 구멍을 갖는 케이스와, 프레임형으로 형성된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을 통해 상기 통음 구멍을 덮도록 장착된 방수 필터를 구비하는 음향 부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방수 필터를 결합시키는 단차부, 또는 상기 방수 필터의 장착 부위를 나타내는 지표가 되는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형 접착층의 외주부는 상기 방수 필터의 외주부보다도 내측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부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필터는 불소 수지로 구성되는 방수막을 포함하는 것인 음향 부품.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 수지는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인 것인 음향 부품.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필터는 상기 방수막에 프레임이 부착되어 구성되는 것인 음향 부품.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막의 외주부는 상기 프레임의 외주부보다 내측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인 음향 부품.
-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막의 외주부는 상기 접착층의 측면을 골로 하여 절곡되어 있는 것인 음향 부품.
-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막의 표면에 발액제(liquid repellent)가 첨가된 것인 음향 부품.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양면 점착 테이프인 것인 음향 부품.
- 음향 부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박리 시트 상에 접착층을 프레임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접착층을 방수 필터로 덮으며, 상기 프레임형 접착층의 외주부보다도 외측에서 상기 방수 필터를 재단하고, 상기 박리 시트를 상기 접착층으로부터 제거하며, 통음 구멍을 갖는 케이스에 상기 방수 필터의 상기 접착층의 측면을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부품의 제조 방법. - 음향 부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박리 시트 상에 접착층을 프레임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형의 접착층보다 크도록 형성된 방수 필터로 프레임형 접착층을 덮으며, 상기 박리 시트를 상기 접착층으로부터 제거하고, 통음 구멍을 갖는 케이스에 상기 방수 필터의 상기 접착층의 측면을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부품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8162382A JP5356734B2 (ja) | 2008-06-20 | 2008-06-20 | 音響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
JPJP-P-2008-162382 | 2008-06-20 | ||
PCT/JP2009/061186 WO2009154268A1 (ja) | 2008-06-20 | 2009-06-19 | 音響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30582A KR20110030582A (ko) | 2011-03-23 |
KR101231999B1 true KR101231999B1 (ko) | 2013-02-08 |
Family
ID=41434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7000941A KR101231999B1 (ko) | 2008-06-20 | 2009-06-19 | 음향 부품 및 음향 부품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8431204B2 (ko) |
EP (1) | EP2306751B1 (ko) |
JP (1) | JP5356734B2 (ko) |
KR (1) | KR101231999B1 (ko) |
CN (1) | CN102100083B (ko) |
AU (1) | AU2009261121B2 (ko) |
CA (1) | CA2728274C (ko) |
WO (1) | WO200915426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042550A (ja) * | 2010-08-16 | 2012-03-01 | Fujitsu Ltd |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用の外装パネル |
CN102118672A (zh) * | 2011-03-28 | 2011-07-06 | 苏州上声电子有限公司 | 扬声器振动膜片及扬声器 |
JP5545767B2 (ja) * | 2011-04-06 | 2014-07-09 | Nec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 防水マイク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防水型の携帯端末装置 |
JP5687565B2 (ja) | 2011-06-01 | 2015-03-18 | 日東電工株式会社 | 防水通音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防水通音部材担持体 |
JP5687566B2 (ja) * | 2011-06-01 | 2015-03-18 | 日東電工株式会社 | 防水通音部材 |
CN103703792B (zh) * | 2012-02-10 | 2016-10-05 | 株式会社坦姆科日本 | 骨传导耳机 |
JP5947655B2 (ja) * | 2012-08-02 | 2016-07-06 | 日東電工株式会社 | ポリ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多孔質膜、並びに、それを用いた通気膜および通気部材 |
KR101354817B1 (ko) * | 2012-08-30 | 2014-01-23 |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 이물질 차단이 용이한 스피커 구조 |
US20140072159A1 (en) * | 2012-09-11 | 2014-03-13 | Motorola Solutions, Inc. | Leak tolerant acoustic transducer for mobile device |
TWI481264B (zh) * | 2012-11-20 | 2015-04-11 | Qisda Corp | 抗水透音結構及電聲裝置 |
JP5856102B2 (ja) | 2012-11-21 | 2016-02-09 | 日東電工株式会社 | 通音構造、通音膜、及び防水ケース |
JP2015035801A (ja) * | 2013-07-11 | 2015-02-19 | 清水建設株式会社 | 屋外用平面スピーカ |
KR102283372B1 (ko) * | 2013-10-15 | 2021-07-30 | 도널드선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 음향 벤팅을 위한 미세 다공성 멤브레인 적층체 |
EP3065518B1 (en) * | 2013-10-30 | 2020-02-05 | Nitto Denko Corporation | Waterproof ventilation structure and waterproof ventilation member |
WO2015068357A1 (ja) * | 2013-11-07 | 2015-05-14 | 日東電工株式会社 | 防水通音膜および電子機器 |
JP6324109B2 (ja) * | 2014-02-26 | 2018-05-16 | 日東電工株式会社 | 防水通音膜の製造方法、防水通音膜及び電子機器 |
JP6758796B2 (ja) * | 2014-02-26 | 2020-09-23 | 日東電工株式会社 | 防水通音部材 |
JP6472182B2 (ja) * | 2014-07-15 | 2019-02-20 | 日東電工株式会社 | 防水部材及びその防水部材を備えた電子機器 |
KR20160075170A (ko) * | 2014-12-19 | 2016-06-29 |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 방수 음향 장치 |
JP2016158222A (ja) * | 2015-02-26 | 2016-09-01 | 日東電工株式会社 | 防水通音構造と、それを備える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用ケース |
US9510097B1 (en) * | 2015-06-03 | 2016-11-29 | Chicony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waterproof sheet thereof |
CN104936400B (zh) * | 2015-06-05 | 2018-08-21 | 常州华达科捷光电仪器有限公司 | 一种用于光电仪器的透气构件 |
CN204761633U (zh) * | 2015-06-10 | 2015-11-11 |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 发声器件 |
US20170010520A1 (en) * | 2015-07-06 | 2017-01-12 | Larry Tang | Protective Case for Electronic Camcorders for Air, Land and Underwater Use |
US9693134B2 (en) * | 2015-07-20 | 2017-06-27 | Nitto Denko Corporation | Waterproof sound-transmitting member |
US10477306B2 (en) | 2015-08-21 | 2019-11-12 | Amogreentech Co., Ltd. | Sound device |
WO2017196101A2 (ko) * | 2016-05-13 | 2017-11-16 |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 방수통음시트 |
KR102472296B1 (ko) * | 2016-07-29 | 2022-11-30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자 장치 |
IT201600131334A1 (it) * | 2016-12-27 | 2018-06-27 | Magneti Marelli Spa | Dispositivo acustico, in particolare per applicazioni in ambito automotive |
US20200148918A1 (en) * | 2017-04-18 | 2020-05-14 | Nitto Denko Corporation | Laminate and roll |
JP6522039B2 (ja) * | 2017-04-27 | 2019-05-29 | 日本ゴア株式会社 | 保護フィルム付膜片、保護フィルム付膜片の保護フィルム除去方法および電気装置の製造方法 |
CN107318059A (zh) * | 2017-08-02 | 2017-11-03 | 苏州孝义家精密金属有限公司 | 一种超薄防水透声复合模组 |
JP7253611B2 (ja) * | 2017-09-19 | 2023-04-06 | ダブリュ.エル.ゴア アンド アソシエイツ,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 硬化性サポート層を含む音響保護カバー |
DE112019006458T5 (de) * | 2018-12-28 | 2021-09-16 | Nitto Denko Corporation | Wasserundurchlässiges Element und elektronisches Gerät |
CN110415670B (zh) * | 2019-06-05 | 2022-01-28 | 新沂市承翔电子有限公司 | 一种多角度泄水的蜂鸣器 |
WO2021000115A1 (zh) * | 2019-06-29 | 2021-01-07 |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 一种扬声器箱及其装配方法 |
KR20220032060A (ko) * | 2019-07-12 | 2022-03-15 |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 보호 커버 부재 및 이것을 구비하는 부재 공급용 시트 |
KR102335705B1 (ko) * | 2019-08-16 | 2021-12-03 |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 커버 부재 및 이것을 구비하는 부재 공급 어셈블리 |
JP7039768B2 (ja) * | 2020-01-09 | 2022-03-22 | 日東電工株式会社 | 部材供給用シート |
JP7421163B2 (ja) * | 2020-02-06 | 2024-01-24 | 積水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 防水部材及び防水構造 |
CN112004182B (zh) * | 2020-08-24 | 2022-02-11 | 国光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扬声器的音膜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
US11622214B2 (en) * | 2021-03-18 | 2023-04-04 | Bose Corporation | Ear tip with wax guard |
KR20230012172A (ko) * | 2021-07-15 | 2023-01-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방수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WO2024129627A1 (en) * | 2022-12-12 | 2024-06-20 | W.L. Gore & Associates, Inc. | An acoustic device comprising a dense polyethylene membrane, an electronic devicecomprising the acoustic device, a method of making the acoustic device, and use ofa dense polyethylene membrane in an acoustic device |
EP4440144A1 (en) * | 2023-03-31 | 2024-10-02 | GN Hearing A/S | A filter device for a hearing device, a hearing devic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ilter device, and a method of assembling a hearing devic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79865A (ja) * | 1994-09-05 | 1996-03-22 | Toshiba Corp | 防水膜 |
JP2003255390A (ja) | 2002-02-28 | 2003-09-10 | Optrex Corp | 液晶表示装置 |
JP2005236573A (ja) | 2004-02-18 | 2005-09-02 | Olympus Corp | カメラ及び電子機器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74426B2 (ja) * | 1993-04-19 | 2000-08-07 |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 接着剤の塗布方法 |
US5828012A (en) * | 1996-05-31 | 1998-10-27 | W. L. Gore & Associates, Inc. | Protective cover assembly having enhanced acoustical characteristics |
JP2003055645A (ja) * | 2001-08-10 | 2003-02-26 | Nhk Spring Co Ltd | シール部位のシーリング方法 |
JP4413771B2 (ja) * | 2004-12-28 | 2010-02-10 | Hoya株式会社 | 防水機能を備えたカメラ |
JP4708134B2 (ja) * | 2005-09-14 | 2011-06-22 | 日東電工株式会社 | 通音膜、通音膜付き電子部品及びその電子部品を実装した回路基板の製造方法 |
CN201039420Y (zh) * | 2007-03-29 | 2008-03-19 | 联想(北京)有限公司 | 防水透气结构以及发声和采声设备 |
-
2008
- 2008-06-20 JP JP2008162382A patent/JP5356734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
- 2009-06-19 WO PCT/JP2009/061186 patent/WO2009154268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9-06-19 CN CN200980128919.6A patent/CN102100083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06-19 AU AU2009261121A patent/AU2009261121B2/en not_active Ceased
- 2009-06-19 KR KR1020117000941A patent/KR10123199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9-06-19 US US12/999,788 patent/US8431204B2/en active Active
- 2009-06-19 CA CA2728274A patent/CA2728274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06-19 EP EP09766716.6A patent/EP2306751B1/en not_active Not-in-forc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79865A (ja) * | 1994-09-05 | 1996-03-22 | Toshiba Corp | 防水膜 |
JP2003255390A (ja) | 2002-02-28 | 2003-09-10 | Optrex Corp | 液晶表示装置 |
JP2005236573A (ja) | 2004-02-18 | 2005-09-02 | Olympus Corp | カメラ及び電子機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0004397A (ja) | 2010-01-07 |
CA2728274C (en) | 2014-09-16 |
KR20110030582A (ko) | 2011-03-23 |
CA2728274A1 (en) | 2009-12-23 |
CN102100083A (zh) | 2011-06-15 |
US8431204B2 (en) | 2013-04-30 |
CN102100083B (zh) | 2016-06-08 |
EP2306751A4 (en) | 2013-07-31 |
AU2009261121A1 (en) | 2009-12-23 |
EP2306751A1 (en) | 2011-04-06 |
EP2306751B1 (en) | 2016-12-28 |
AU2009261121B2 (en) | 2014-05-15 |
WO2009154268A1 (ja) | 2009-12-23 |
US20110117304A1 (en) | 2011-05-19 |
JP5356734B2 (ja) | 2013-12-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31999B1 (ko) | 음향 부품 및 음향 부품 제조 방법 | |
KR101341227B1 (ko) | 통기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40018840A (ko) | 방수 통음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및 방수 통음 부재 담지체 | |
JP5947926B2 (ja) | 防水通音膜を用いた通音部材の製造方法 | |
JP5859475B2 (ja) | 通音膜、通音部材、及び電子機器 | |
CN107820462A (zh) | 使用膨胀型ptfe复合材料的振动声学罩 | |
WO2014080574A1 (ja) | 通音構造、通音膜、及び防水ケース | |
KR20210082566A (ko) | 음향 부품용 보호 부재 및 방수 케이스 | |
KR20190034243A (ko) | 방수 통음 커버, 방수 통음 커버 부재 및 음향 장치 | |
KR101490868B1 (ko) | 방수통음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 |
JP2020534753A (ja) | 硬化性サポート層を含む音響保護カバー | |
JP6522039B2 (ja) | 保護フィルム付膜片、保護フィルム付膜片の保護フィルム除去方法および電気装置の製造方法 | |
WO2024142950A1 (ja) | 防水部材、防水ケース、及び電子機器 | |
JP2022046706A (ja) | 硬化性サポート層を含む音響保護カバー | |
JP2002016371A (ja) | 耐塵・耐水膜及びその取付構造と電子機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