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0648B1 - 회전 가능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 가능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0648B1
KR101230648B1 KR1020100123176A KR20100123176A KR101230648B1 KR 101230648 B1 KR101230648 B1 KR 101230648B1 KR 1020100123176 A KR1020100123176 A KR 1020100123176A KR 20100123176 A KR20100123176 A KR 20100123176A KR 101230648 B1 KR101230648 B1 KR 101230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hinged
moving
door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3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2084A (ko
Inventor
장재홍
임현택
Original Assignee
주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산업(주) filed Critical 주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100123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0648B1/ko
Publication of KR20120062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2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0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064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도어패널의 내측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슬라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고정부; 상기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 이동부; 상기 도어패널의 일측에 설치되고, 차체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일측에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의 일측에 타측이 힌지결합되어 상기 도어패널이 상기 차체로부터 이격 가능하게 하는 승강부;를 포함하되, 상기 승강부는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이동브래킷; 일측이 스플라인축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브래킷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회전브래킷; 및 상기 이동브래킷과 소정거리 이격하여 상기 회전브래킷의 타측에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스플라인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브래킷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차체에 대하여 상기 도어패널이 이격되어, 평소에는 여닫이 방식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고, 공간이 협소하여 도어를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할 수 없는 곳에서는 미닫이 방식으로 슬라이딩시켜 개폐할 수 있는 회전 가능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회전 가능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장치{APPARATUS OF ROTATABLE SLIDING DO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식 개폐와 함께 슬라이드식 개폐도 가능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도어(door)는 일반적으로 차량의 측면과 배면에 배치되어 사람이 출입하거나 화물을 싣고 내리기 편리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자동차의 도어는 오픈구조에 따라 여러가지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먼저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전방에 세로로 경첩을 설치하여 도어를 여닫는 방식인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도어, 밴(Van) 형식의 자동차에 주로 설치되는 미닫이 방식으로, 도어에 롤러를 달아 자동차의 측면에서 미끄러지듯이 개폐되는 슬라이딩(sliding) 도어, 스포츠카와 같은 2도어 형식의 쿠페(Coupe)에 주로 설치되며 도어가 자동차의 상부로 올라가며 개방되는 시저(Scissor) 도어 및 윙(Wing) 도어 등이 있다.
현재, 대부분의 자동차는 일반적으로 여닫이 방식의 OEM 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주차공간이 협소하여 도어를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할 수 없는 곳에서는 사용상 불편이 따르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평소에는 여닫이 방식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고, 공간이 협소하여 도어를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할 수 없는 곳에서는 미닫이 방식으로 슬라이딩시켜 개폐할 수 있는, 회전 가능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장치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도어패널의 내측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슬라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고정부; 상기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 이동부; 상기 도어패널의 일측에 설치되고, 차체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일측에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의 일측에 타측이 힌지결합되어 상기 도어패널이 상기 차체로부터 이격 가능하게 하는 승강부;를 포함하되, 상기 승강부는,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이동브래킷; 일측이 스플라인축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브래킷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회전브래킷; 및 상기 이동브래킷과 소정거리 이격하여 상기 회전브래킷의 타측에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스플라인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브래킷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차체에 대하여 상기 도어패널이 이격되는 회전 가능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도어패널에 서로 이격하여 수직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지지대; 상기 한 쌍의 레일지지대의 상하 양측에 좌우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레일; 상기 한 쌍의 레일지지대를 가로질러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레일지지대에 각각 구비되는 베어링에 의해,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리드스크류; 및 상기 리드스크류의 일측에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레일과 나란히 구비되는 롤러가이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는, 상기 슬라이드레일의 레일홈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레일가이드; 상기 레일가이드의 일측에 일단이 결합되는 이동플레이트; 및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브래킷;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도어힌지에 의해 상기 차체의 일측에 수직하게 힌지결합되는 'ㄴ'자 단면형상의 힌지패널을 포함한다.
삭제
이때 상기 승강부는, 일단이 상기 이동브래킷의 타측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브래킷의 타측에 힌지결합되는 연결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 레일의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과 나란히 리드스크류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는 상기 리드스크류에 나사 결합되는 이동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장치에 의하면, 평소에는 일반적인 여닫이 방식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고, 공간이 협소하여 여닫이 방식에 의할 경우 도어의 개폐공간이 확보되지 않는 경우에는, 미닫이 방식으로 도어를 슬라이딩시켜 개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장치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장치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가이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플레이트와 슬라이드레일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장치의 회전 작동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장치의 슬라이딩 작동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여기서 내측이라 함은 자동차의 도어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탑승하는 실내 방향을 가리키고, 외측이라 함은 그 반대방향인 자동차의 외부 방향을 가리키며, 차체라 함은 자동차의 외형을 구성하는 바디프레임(body frame)을 가리킴을 미리 일러둔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장치(10)는, 도어패널의 내측에 설치되는 고정부(100)와, 고정부(100)의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 이동부(200)와, 도어패널의 일측에 설치되고 차체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회전부(300)와, 회전부(300)의 일측에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슬라이드 이동부(20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도어패널이 차체로부터 이격 가능하게 하는 승강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부(100)는 도어패널의 내측에 설치되는데, 도어패널의 내측에 서로 이격하여 수직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지지대(110)와, 한 쌍의 레일지지대(110)의 상하 양측에 좌우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레일(120)과, 한 쌍의 레일지지대(110)를 가로질러 설치되며, 한 쌍의 레일지지대(110)에 각각 구비되는 베어링(111)에 의해,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리드스크류(130)와, 리드스크류(130)의 일측에 한 쌍의 슬라이드레일(120)과 나란히 구비되는 롤러가이드(140)를 포함한다.
이때, 도어패널은 절개부가 형성되는 내측패널(21,도 7 참조)과 외측패널(미도시)로 구분될 수 있으며, 내측패널(21)과 외측패널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는데, 고정부(100)는 이 공간부 내에 설치된다.
즉, 한 쌍의 레일지지대(110)는 폭에 비해 길이가 긴 직사각형 단면 형상의 바(bar)로 이루어지며, 양단이 각각 내측으로 절곡되어 내측패널(21)의 외측에 결합된다.
또한, 한 쌍의 슬라이드레일(120)은 한 쌍의 레일지지대(110)의 내측에 결합되는데, 한 쌍의 레일지지대(110)를 가로지르도록 레일지지대(11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결합되며, 슬라이드레일(120)에는 길이방향으로 레일홈(121)이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슬라이드레일(120) 사이에는 슬라이드레일(120)과 나란히 리드스크류(130)가 설치되는데, 한 쌍의 레일지지대(110)의 내측에는 각각 베어링(111)이 구비되고, 리드스크류(130)의 양단이 이 베어링(111)에 각각 결합하여 지지됨으로써, 리드스크류(130)의 축회전이 가능하다.
이때, 리드스크류(130)의 축회전은 리드스크류(130)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5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구동모터(150)는 브래킷(151)에 의해 레일지지대(110)의 내측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각각의 슬라이드레일(120)과 리드스크류(130) 사이에는 슬라이드레일(120)과 나란히 한 쌍의 롤러가이드(140)가 설치되는데, 한 쌍의 레일지지대(110)의 상하 양측에 원호 단면 형상으로 요홈(112)을 각각 형성시키고, 이 요홈(112)에 한 쌍의 롤러가이드(140)의 양단을 각각 끼움고정하거나, 삽입 후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드 이동부(200)는 고정부(100)의 슬라이드레일(120)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슬라이드레일(120)의 레일홈(12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레일가이드(210)와, 레일가이드(210)의 일측에 일단이 결합되는 이동플레이트(220)와, 이동플레이트(220)의 일측에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23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브래킷(230)을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가이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플레이트와 슬라이드레일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여기서, 레일가이드(210)는 이동플레이트(220)가 슬라이드레일(120)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할때 발생되는 마찰과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홈(121)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바닥부(211)와, 바닥부(211)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레일홈(121)의 바깥쪽으로 노출되는 결합부(212)를 포함하며, 바닥부(211)의 일측에는 레일홈(121)의 측벽에 탄성지지되는 띠 모양의 탄성부(213)가 절개 형성된다.
이때, 레일가이드(210)의 결합부(212)에 이동플레이트(220)의 일단이 결합되는데, 더욱 상세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한 쌍으로 배치되는 슬라이드레일(120) 각각에 레일가이드(210)가 하나씩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동플레이트(220)의 상단과 하단이 결합브래킷(215)에 의해 한 쌍의 레일가이드(210)의 결합부(212)에 각각 결합된다.
이때 이동플레이트(220)는, 상하 양단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레일가이드(210)의 결합부(212)에 결합되고 중앙부는 내측으로 함몰되어 함몰부(221)가 형성되는데, 이 함몰부(221)의 외측에는 리드스크류(130)에 나사결합되는 이동블록(240)이 결합된다. 따라서, 리드스크류(130)의 정/역회전시 이동블록(240)은 리드스크류(130)를 따라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이동플레이트(220)의 외측에는 이동블록(240)의 상하 양측에 각각 중앙부가 외측으로 절곡된 롤러브래킷(230)이 결합되는데, 각각의 롤러브래킷(230)의 외측에는 한 쌍의 롤러(231)가 서로 이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이 롤러(231)들은 전술한 롤러가이드(140)에 지지되어, 이동플레이트(220)의 이동시 롤러가이드(14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300)는 'ㄴ'자 단면형상의 힌지패널(310)을 포함한다.
여기서, 힌지패널(310)은 도어패널의 일측에 설치되는데, 일측이 도어힌지(30)에 의해 차체의 일측에 수직하게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후술하는 승강부(400)의 고정브래킷(430) 내측에 결합하며, 힌지패널(310)의 일측에는 래치홈(311)이 형성되는데, 이 래치홈(311)에는 도어 개폐시 힌지패널(310)의 회전에 따라 차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도어록(door lock, 미도시)에 록킹(locking) 또는 해제되게끔 도어래치 어셈블리(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승강부(400)는 도어패널이 차체로부터 이격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일측이 회전부(300)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슬라이드 이동부(200)의 일측에 힌지결합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승강부(400)는 이동플레이트(220)의 일측에 결합되는 이동브래킷(410)과, 일측이 이동브래킷(41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회전브래킷(420)과, 이동브래킷(410)과 소정거리 이격하여 회전브래킷(420)의 타측에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회전부(300)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브래킷(430)을 포함하며, 회전브래킷(420)은 스플라인축(440)에 결합된 상태로 이동브래킷(410)의 일측에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스플라인축(440)의 회전에 의해 회전브래킷(420)이 이동브래킷(410)과 고정브래킷(430)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고정브래킷(430)에 대하여 이동브래킷(410)이 이격되고, 차체에 대한 도어패널의 이격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이동브래킷(410)은 이동플레이트(22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하나씩 결합되어 한 쌍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마찬가지로 회전브래킷(420)과 고정브래킷(430)도 이에 대응되도록 각각 한 쌍씩 이루어진다.
이동브래킷(410)은 내측과 좌측이 개방된 함체형으로서, 이동플레이트(220)의 내측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된다.
회전브래킷(420)은 이동브래킷(410) 보다 약간 더 길고 외측과 좌·우측이 개방된 함체형이며, 이동브래킷(410) 내에 수용되고, 스플라인축(440)과 제1힌지축(450)에 의해 이동브래킷(410)과 일측이 힌지 결합된다.
이때, 스플라인축(440)에는 내부에 스플라인홈이 형성되고 폭이 확장된 헤드부(442)를 가진 결합링(441)이 구비되며, 이 헤드부(442)가 회전브래킷(420)의 내부 측벽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스플라인축(440)의 회전시 결합링(441)과 함께 회전브래킷(420)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이동브래킷(410)의 하단에는 모터브래킷(491)에 의해 회전모터(490)가 결합되며, 이 회전모터(490)에는 스플라인축(440)의 일단이 결합되어, 회전모터(490)의 작동에 의해 스플라인축(440)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고정브래킷(430)은 외측과 우측이 개방된 함체형이고, 내측이 힌지패널(310)의 외측에 결합되는데, 이동브래킷(410)과 소정 거리 이격하여 이동브래킷(410)의 타측을 수용하며, 제2힌지축(460)에 의해 이동브래킷(410)의 타측에 힌지 결합된다.
이때, 회전브래킷(420)을 수용하는 이동브래킷(410)과 고정브래킷(430)은, 한 쌍의 연결편(480)에 의해 서로 힌지 결합되는데, 이 한 쌍의 연결편(480)에는 강성보강과 회전작동시 걸림방지를 위해 일측에 절곡부(48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한 쌍의 연결편(480)의 일단은 제1힌지축(450)에 의해 이동브래킷(410)의 상하 양측에 힌지결합되며, 한 쌍의 연결편(480)의 타단은 제3힌지축(470)에 의해 고정브래킷(430)의 상하 양측에 힌지결합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장치의 회전 작동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장치의 슬라이딩 작동 상태도이다.
도 7과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장치(10)의 작동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소에 도어를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하는 경우에는, 차체의 일측에 결합된 도어힌지(30)에 대하여, 도어패널과 함께 힌지패널(310)이 회전하면서 도어의 여닫이 방식 개폐가 이루어진다.
한편, 도어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하는 경우, 먼저 회전모터(490)의 작동에 의해 스플라인축(440)이 회전하고, 스플라인축(440)에 결합된 회전브래킷(420)이 회전하여 펼쳐지면서 이동브래킷(410)이 고정브래킷(430)의 외측으로 이격되고, 따라서 도어패널이 차체의 외측으로 이격된다.
이어서, 구동모터(150)의 작동에 의해 리드스크류(130)가 회전하며, 리드스크류(130)에 나사결합된 이동블록(240)이 슬라이드레일(120)을 따라 이동플레이트(220)와 함께 이동함으로써, 차체에 대하여 도어패널이 슬라이드 이동하고 도어가 미닫이 방식으로 열리게 되는 것이다.
이때, 미닫이 방식으로 닫히는 과정은 전술한 과정이 역으로 진행됨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10 : 회전 가능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장치
20 : 도어패널 30 : 도어힌지
100 : 고정부 110 : 레일지지대
120 : 슬라이드레일 130 : 리드스크류
140 : 롤러가이드 150 : 구동모터
200 : 슬라이드 이동부 210 : 레일가이드
220 : 이동플레이트 230 : 롤러브래킷
240 : 이동블록
300 : 회전부 310 : 힌지패널
400 : 승강부 410 : 이동브래킷
420 : 회전브래킷 430 : 고정브래킷
440 : 스플라인축 480 : 연결편

Claims (7)

  1. 도어패널의 내측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슬라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고정부;
    상기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 이동부;
    상기 도어패널의 일측에 설치되고, 차체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일측에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의 일측에 타측이 힌지결합되어, 상기 도어패널이 상기 차체로부터 이격 가능하게 하는 승강부;를 포함하되,
    상기 승강부는,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이동브래킷;
    일측이 스플라인축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브래킷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회전브래킷; 및
    상기 이동브래킷과 소정거리 이격하여 상기 회전브래킷의 타측에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스플라인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브래킷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차체에 대하여 상기 도어패널이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도어패널에 서로 이격하여 수직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지지대;
    상기 한 쌍의 레일지지대의 상하 양측에 좌우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레일;
    상기 한 쌍의 레일지지대를 가로질러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레일지지대에 각각 구비되는 베어링에 의해,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리드스크류; 및
    상기 리드스크류의 일측에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레일과 나란히 구비되는 롤러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는,
    상기 슬라이드레일의 레일홈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레일가이드;
    상기 레일가이드의 일측에 일단이 결합되는 이동플레이트; 및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브래킷;을 포함하는 회전 가능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도어힌지에 의해 상기 차체의 일측에 수직하게 힌지결합되는 'ㄴ'자 단면형상의 힌지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일단이 상기 이동브래킷의 타측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브래킷의 타측에 힌지결합되는 연결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레일의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과 나란히 리드스크류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는 상기 리드스크류에 나사 결합되는 이동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장치.
KR1020100123176A 2010-12-06 2010-12-06 회전 가능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장치 KR101230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176A KR101230648B1 (ko) 2010-12-06 2010-12-06 회전 가능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176A KR101230648B1 (ko) 2010-12-06 2010-12-06 회전 가능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084A KR20120062084A (ko) 2012-06-14
KR101230648B1 true KR101230648B1 (ko) 2013-02-06

Family

ID=46683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3176A KR101230648B1 (ko) 2010-12-06 2010-12-06 회전 가능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064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2292A (ja) * 1995-04-18 1996-10-29 Tatematsu Seisakusho:Kk モード切換式車両用ドア装置
JP2008094323A (ja) 2006-10-13 2008-04-24 Mitsuba Corp 車両用ドア開閉構造
JP2008202236A (ja) * 2007-02-16 2008-09-04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ドアヒンジ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2292A (ja) * 1995-04-18 1996-10-29 Tatematsu Seisakusho:Kk モード切換式車両用ドア装置
JP2008094323A (ja) 2006-10-13 2008-04-24 Mitsuba Corp 車両用ドア開閉構造
JP2008202236A (ja) * 2007-02-16 2008-09-04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ドアヒンジ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084A (ko) 201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26308B2 (ja) 車両用ドアスライダー装置
US6530619B2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sliding vehicle door
JP4447634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自動開閉装置
KR102104888B1 (ko) 차량용 오토 플러쉬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US11002054B2 (en) Sliding door mechanism
KR101886445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
JP6064332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装置
US11719030B2 (en) Fastening arrangement for vehicle sliding door
JP2010265745A (ja) スライドドア機構及び該スライドドア機構を有する車両
JP2016538441A (ja) 乗用車の側面ドア開口部用のスライド・ドア装置、スライド・ドア装置を有する乗用車
KR101230648B1 (ko) 회전 가능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장치
CN210554102U (zh) 滑移车门及车辆
CN108312933B (zh) 车辆背门
JP4670617B2 (ja) 車体後部構造
JP4972800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自動開閉装置
JP2008162382A (ja) スライドドア装置
JP4706461B2 (ja) 車体後部構造
KR20230001351A (ko) 차량용 도어 힌지 장치
JP2008155822A (ja) スライドドア装置
KR20060018350A (ko) 보조도어가 구비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JP6129653B2 (ja) 車両用開閉ボックス
KR20210085691A (ko)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
US20230114568A1 (en) Remotely located tonneau cover drive systems
US20230202271A1 (en) Door hinge device for vehicles
JP2008049946A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