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5691A -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 - Google Patents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5691A
KR20210085691A KR1020190179023A KR20190179023A KR20210085691A KR 20210085691 A KR20210085691 A KR 20210085691A KR 1020190179023 A KR1020190179023 A KR 1020190179023A KR 20190179023 A KR20190179023 A KR 20190179023A KR 20210085691 A KR20210085691 A KR 20210085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ail
hinge
stage open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9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용현
이대희
한승식
이재승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9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5691A/ko
Publication of KR20210085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6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86Specia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3Appurten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전방 및 후방에 고정되는 도어 프레임, 도어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 1 레일, 제 1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개폐되고, 도어 프레임 내부에 인입되는 제 1 도어, 제 1 도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 2 레일, 제 2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개폐되고, 제 1 도어 내부에 인입되는 제 2 도어, 제 1 도어의 일단에 고정되고, 제 1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 1 힌지부, 제 2 도어의 일단에 고정되고, 제 2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 2 힌지부 및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Flush sliding multi-stage open door}
본 발명은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 바람직하게, 차량의 도어 시스템에 히든 타입의 다단 오픈 매커니즘을 통해 개구폭의 조절이 가능하고, 측면 돌출 없이 슬라이딩 되어 도어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도어는 여러 방식이 있으나, 그 중에서도 승용차에 주로 적용되는 스윙 타입과, 중형 승합차에 주요 적용되는 슬라이딩 타입과, 승합차 및 RV 차량의 테일 게이트에 주로 적용되는 해치 백 타입을 예로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도어가 마련된 차량은 도어를 최대한 차체에 가깝게 슬라이딩시켜 오픈하도록 하여 좁은 공간에서의 탑승 및 승하차 편의성을 향상시킨 구조이다.
많은 사람이 승합할 수 있는 승합차의 경우에는 차실 개폐 도어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운동을 하면서 차실을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승합차의 슬라이딩 방식의 차실 개폐 도어는, 차실 개폐 도어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여 차실을 개방하는 반면에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차실을 폐쇄하게 되어 있어서, 승용차와 같은 힌지식 차실 개폐 도어보다 도어 개폐에 필요한 개폐 필요 공간이 작고, 좁은 개폐 필요 공간에서도 차체에 형성한 도어 개구부를 완전하게 개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하도록 하는 레일 구성상의 한계로, 완전히 슬라이딩되어 개방된 경우에도 개구폭에 제약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슬라이딩 방식을 위한 차체 하단의 롤러와 레일이 외부에 드러나 외관상 불리하고 도어가 우선적으로 측면 돌출된 이후 슬라이딩 되는 바 측면 돌출량이 과다한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4959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히든 타입의 플러시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을 제공하여 도어의 측면 돌출이 없고 외부로 레일 및 롤러가 드러나지 않는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를 제공한다.
또한, 다단 오픈 도어 방식으로 도어의 개수 변경이 가능한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전방 및 후방에 고정되는 도어 프레임; 상기 도어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 1 레일; 상기 제 1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개폐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 내부에 인입되는 제 1 도어; 상기 제 1 도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 2 레일; 상기 제 2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개폐되고, 상기 제 1 도어 내부에 인입되는 제 2 도어; 상기 제 1 도어의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 1 힌지부; 상기 제 2 도어의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 2 힌지부; 및 상기 제 1 도어 및 상기 제 2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도어 프레임의 내측에는 상기 제 1 도어의 폭에 대응되는 제 1 슬롯;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힌지부를 선행하여 회전시켜 상기 제 1 도어를 상기 도어 프레임 내측으로 인입시키고, 후행하여 상기 제 1 레일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제 1 도어가 슬라이딩되도록 구동력을 인가하는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도어의 내측에는 상기 제 2 도어의 폭에 대응되는 제 2 슬롯;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힌지부를 선행하여 회전시켜 상기 제 2 도어를 상기 제 1 도어 내측으로 인입시키고, 후행하여 상기 제 2 레일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제 2 도어가 슬라이딩되도록 구동력을 인가하는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힌지부는 상기 제 1 레일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레일 힌지부; 상기 제 1 도어의 일단에 고정되는 제 1 도어 고정부; 및 상기 제 1 레일 힌지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 1 도어 고정부에 타단이 연결되어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 1 힌지암; 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힌지부는 상기 제 2 레일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제 2 레일 힌지부; 상기 제 2 도어의 일단에 고정되는 제 2 도어 고정부; 및 상기 제 2 레일 힌지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 2 도어 고정부에 타단이 연결되어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 2 힌지암; 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레일 힌지부는 상기 제 1 레일에 인입되어 상기 제 1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 1 롤러; 및 상기 제 1 힌지암의 일단에 고정되는 제 1 힌지축; 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레일 힌지부는 상기 제 2 레일에 인입되어 상기 제 2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 2 롤러; 및 제 2 힌지암의 일단에 고정되는 제 2 힌지축; 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도어 고정부는 상기 제 1 도어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제 1 고정롤러; 및 상기 제 1 힌지암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힌지암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제 1 힌지 유닛; 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도어 고정부는 상기 제 2 도어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제 2 고정롤러; 및 상기 제 2 힌지암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힌지암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제 2 힌지 유닛; 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도어 프레임은 상기 제 1 도어가 삽입되는 제 1 슬롯;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힌지 유닛의 회전으로 상기 제 1 힌지암이 회전되면 상기 제 1 도어가 상기 제 1 슬롯의 일단으로 이동되고, 연속적으로 상기 제 1 고정롤러의 이동으로 상기 제 1 도어가 상기 제 1 슬롯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는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도어는 상기 제 2 도어가 삽입되는 제 2 슬롯; 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힌지 유닛의 회전으로 상기 제 2 힌지암이 회전되면 상기 제 2 도어가 상기 제 2 슬롯의 일단으로 이동되고, 연속적으로 상기 제 2 고정롤러의 이동으로 상기 제 2 도어가 상기 제 2 슬롯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는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 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어의 측면 돌출이 없고 외부로 레일 및 롤러가 드러나지 않는 히든타입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를 제공하여, 미래자동차 구현에 디자인 확장이 가능하고 좁은 공간에서도 도어 개폐가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다단 오픈 도어 방식으로 도어의 개수 변경이 가능한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를 제공하여, 도어 개수에 따라 개구폭의 조절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의 닫힘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의 열림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의 도어 프레임,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의 닫힘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의 도어 프레임,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의 일부 열림상태 및 완전 열림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의 제 1 레일 힌지부, 제 1 힌지암, 제 2 레일 힌지부 및 제 2 힌지암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의 제 1 도어 고정부 또는 제 2 도어 고정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의 제 1 힌지부 또는 제 2 힌지부가 회전하는 동작시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의 슬라이딩 열림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의 제 1 힌지부 또는 제 2 힌지부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 1, 제 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 1 도어(200)의 폭", "제 2 도어(300)의 폭"은 각각 제 1 도어(200)의 두께, 제 2 도어(300)의 두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높이 방향", "폭방향" 및 "길이 방향"은 차량을 기준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외측"은 폭방향으로 차량의 바깥쪽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의 닫힘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의 열림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의 도어 프레임,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의 닫힘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는,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전방 및 후방에 고정되는 도어 프레임(100), 도어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 1 레일(110), 제 1 레일(110)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개폐되고, 도어 프레임(100) 내부에 인입되는 제 1 도어(200), 제 1 도어(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 2 레일(210), 제 2 레일(210)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개폐되고, 제 1 도어(200) 내부에 인입되는 제 2 도어(300), 제 1 도어(200)의 일단에 고정되고, 제 1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는 제 1 힌지부(400), 제 2 도어(300)의 일단에 고정되고, 제 2 레일(210)을 따라 이동하는 제 2 힌지부(500) 및 제 1 도어(200) 및 제 2 도어(300)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도어 프레임(100)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전방 및 후방에 고정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차체의 중앙을 기준으로 전방 끝단 및 후방 끝단에 도어 프레임(100) 2개가 설치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100)은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의 닫힘 상태와 열림 상태에서 차체에 고정된 채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레일(110)은 도어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도어 프레임(100)의 높이 방향으로 상단 및 하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레일(110)은 도어 프레임(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도어 프레임(100)의 폭방향으로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도어(200)는 제 1 레일(110)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개폐되고, 도어 프레임(100)의 내부에 인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도어(200)는 닫힘 상태에서 차량의 외부에 드러나고, 열림 상태에서 도어 프레임(100)의 내부로 인입되어 차량의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어 프레임(100)의 내부로 완전히 인입되도록 도어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레일(210)은 제 1 도어(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제 1 도어(200)의 높이 방향으로 상단 및 하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레일(210)은 제 1 도어(2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제 1 도어(200)의 폭방향으로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도어(300)는 제 2 레일(210)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개폐되고, 제 1 도어(200)의 내부에 인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도어(300)는 닫힘 상태에서 차량의 외부에 드러나고, 열림 상태에서 제 1 도어(200)의 내부로 인입되어 차량의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1 도어(200)의 내부로 완전히 인입되도록 제 1 도어(200)의 내부 공간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힌지부(400)는 제 1 도어(200)의 일단에 고정되고, 제 1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닫힌 상태에서 도어 프레임(100)과 인접한 제 1 도어(200)의 일끝단에 고정되어 제 1 레일(110)을 따라 제 1 도어(200)를 슬라이딩 개폐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힌지부(500)는 제 2 도어(300)의 일단에 고정되고, 제 2 레일(210)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닫힌 상태에서 제 1 도어(200)와 인접한 제 2 도어(300)의 일끝단에 고정되어 제 2 레일(210)을 따라 제 2 도어(300)를 슬라이딩 개폐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제 1 도어(200) 및 제 2 도어(300)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제 1 힌지부(400) 및 제 2 힌지부(500)에 연결되어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제 1 도어(200) 또는 제 2 도어(300)의 열림 신호 또는 닫힘 신호를 제 1 힌지부(400) 또는 제 2 힌지부(500)에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100), 제 1 도어(200) 및 제 2 도어(300)는 닫힘 상태에서 차량의 외측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600)로부터 열림 신호 발생시 제 1 도어(200)는 도어 프레임(100)의 내측으로 인입되고 제 2 도어(300)는 제 1 도어(20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완전히 열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핸들조작 없이 구동되어 승하차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승하차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의 도어 프레임,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의 일부 열림상태 및 완전 열림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는, 도어 프레임(100)의 내측에는 제 1 도어(200)의 폭에 대응되는 제 1 슬롯(120)을 더 포함하고, 제어부(600)는 제 1 힌지부(400)를 선행하여 회전시켜 제 1 도어(200)를 도어 프레임(100) 내측으로 인입시키도록 구동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에 후행하여 제어부(600)는 제1 힌지부를 제 1 레일(110)을 따라 이동시켜 제 1 도어(200)가 슬라이딩되도록 구동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1 도어(200)의 내측에는 제 2 도어(300)의 폭에 대응되는 제 2 슬롯(220)을 더 포함하고, 제어부(600)는 제 2 힌지부(500)를 선행하여 회전시켜 제 2 도어(300)를 제 1 도어(200) 내측으로 인입시키도록 구동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에 후행하여 제어부(600)는 제 2 힌지부(500)를 제 2 레일(210)을 따라 이동시켜 제 2 도어(300)가 슬라이딩되도록 구동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슬롯(120)은 도어 프레임(100)의 내측에 제 1 도어(200)의 폭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제 1 슬롯(120)은 제 1 도어(200)가 도어 프레임(100)의 내부로 인입될 때 간섭이 일어나지 않으면서 도어 프레임(100)의 폭을 과도하게 크게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도어(200)가 개방되어 도어 프레임(100) 내부로 인입된 경우 도어 프레임(100)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제 1 도어(200)의 외측면과 제 1 슬롯(120)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제 1 힌지부(400)를 선행하여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도어(200)가 도어 프레임(100)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 이에 연속적으로 제어부(600)는 후행하여 제 1 힌지부(400)를 제 1 레일(110)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도어(200)가 슬라이딩되어 개방될 수 있다.
제 2 슬롯(220)은 제 1 도어(200)의 내측에 제 2 도어(300)의 폭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제 2 슬롯(220)은 제 2 도어(300)가 제 1 도어(200)의 내부로 인입될 때 간섭이 일어나지 않으면서 제 1 도어(200)의 폭을 과도하게 크게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2 도어(300)가 개방되어 제 1 도어(200) 내부로 인입된 경우 제 1 도어(200)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제 2 도어(300)의 외측면과 제 2 슬롯(220)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제 2 힌지부(500)를 선행하여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도어(300)가 제 1 도어(200)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 이에 연속적으로 제어부(600)는 후행하여 제 2 힌지부(500)를 제 2 레일(210)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도어(300)가 슬라이딩되어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는, 열림 동작시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전방과 후방으로 동시에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도어 프레임(100)의 내측으로 제 1 도어(200) 및 제 2 도어(300)가 동시에 인입될 수도 있고 제 1 도어(200)가 도어 프레임(100)의 내측으로 인입된 후 순차적으로 제 2 도어(300)가 제 1 도어(200)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어의 개수를 증감하여 차량의 개구폭을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의 제 1 레일 힌지부, 제 1 힌지암, 제 2 레일 힌지부 및 제 2 힌지암을 도시하고 있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의 제 1 도어 고정부 또는 제 2 도어 고정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는, 제 1 힌지부(400)는 제 1 레일(110)에 연결되어 제 1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레일 힌지부(410), 제 1 도어(200)의 일단에 고정되는 제 1 도어 고정부(420) 및 제 1 레일 힌지부(410)에 일단이 고정되고 제 1 도어 고정부(420)에 타단이 연결되어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 1 힌지암(43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 2 힌지부(500)는 제 2 레일(210)에 연결되어 제 2 레일(210)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제 2 레일 힌지부(510), 제 2 도어(300)의 일단에 고정되는 제 2 도어 고정부(520) 및 제 2 레일 힌지부(510)에 일단이 고정되고 제 2 도어 고정부(520)에 타단이 연결되어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 2 힌지암(53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힌지부(400)의 일단은 제 1 레일 힌지부(410)로 구성되고, 제 1 힌지부(400)의 타단은 제 1 도어 고정부(420)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레일 힌지부(410) 및 제 1 도어 고정부(420)는 제 1 힌지암(43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 1 레일 힌지부(410)는 제 1 레일(110)에 연결되어 제 1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레일 힌지부(410)는 제 1 레일(110)에 인입되어 제 1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는 제 1 롤러(411) 및 제 1 힌지암(430)의 일단에 고정되는 제 1 힌지축(412)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롤러(411)는 제 1 레일(110)에 인입되어 제 1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롤러(411)는 제 1 레일(110)을 통해 제 1 도어(200)를 이동시키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제 1 레일(110)에는 제 1 롤러(411)가 이동 가능하도록 제 1 롤러(411)의 형상과 대응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힌지축(412)은 제 1 힌지암(430)의 일단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제 1 힌지축(412)은 제 1 힌지암(430)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힌지암(43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1 도어(200)를 도어 프레임(100) 내측으로 인입시키는 경우 제 1 힌지축(412)은 제 1 힌지암(43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힌지축(412)의 양 끝단에는 제 1 롤러(411)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 1 도어 고정부(420)는 제 1 도어(200)의 일단에 고정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도어 프레임(100)과 인접한 제 1 도어(200)의 일단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도어 고정부(420)는 제 1 도어(200)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제 1 고정롤러(421) 및 제 1 힌지암(430)의 타단에 결합되어 제 1 힌지암(43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제 1 힌지 유닛(422)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제 1 고정롤러(421)는 제 1 도어(200)에 접하여 고정될 수 있다. 제 1 힌지 유닛(422)은 제 1 힌지암(430)의 타단에 결합되어 제 1 힌지암(43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힌지 유닛(422)은 제 1 회전바디와 제 1 힌지유닛축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제 1 회전바디는 제 1 힌지유닛축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제 1 힌지암(430)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회전바디는 일단에 모터가 연결되어 구동력을 인가받을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제어부(600)가 모터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경우 제 1 회전바디가 회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힌지유닛축은 제 1 회전바디와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 1 힌지 유닛(422)과 제 1 힌지암(430)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기어가 형성되어 제 1 힌지 유닛(422)이 회전하면 제 1 힌지암(430)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힌지암(430)은 제 1 레일 힌지부(410)에 일단이 고정되고 제 1 도어 고정부(420)에 타단이 연결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제 1 힌지암(430)의 일단은 제 1 힌지축(412)의 길이방향으로 중앙에 고정되고, 제 1 힌지암(430)의 타단은 제 1 힌지 유닛(422)의 길이방향으로 중앙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힌지 유닛(422)의 제 1 회전바디가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 제 1 힌지암(430)의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힌지암(430)이 제 1 회전바디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된 기어가 회전하여 제 1 도어를 도어 프레임(100)의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 2 힌지부(500)의 일단은 제 2 레일 힌지부(510)로 구성되고, 제 2 힌지부(500)의 타단은 제 2 도어 고정부(520)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레일 힌지부(510) 및 제 2 도어 고정부(520)는 제 2 힌지암(53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 2 레일 힌지부(510)는 제 2 레일(210)에 연결되어 제 2 레일(210)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레일 힌지부(510)는 제 2 레일에 인입되어 제 2 레일(210)을 따라 이동하는 제 2 롤러(511) 및 제 2 힌지암(530)의 일단에 고정되는 제 2 힌지축(512)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롤러(511)는 제 2 레일(210)에 인입되어 제 2 레일(210)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롤러(511)는 제 2 레일(210)을 통해 제 2 도어(300)를 이동시키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제 2 레일(210)에는 제 2 롤러(511)가 이동 가능하도록 제 2 롤러(511)의 형상과 대응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힌지축(512)은 제 2 힌지암(530)의 일단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제 2 힌지축(512)은 제 2 힌지암(530)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힌지암(53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2 도어(300)를 제 1 도어(200) 내측으로 인입시키는 경우 제 2 힌지축(512)은 제 2 힌지암(53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힌지축(512)의 양 끝단에는 제 2 롤러(511)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 2 도어 고정부(520)는 제 2 도어(300)의 일단에 고정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제 1 도어(200)와 인접한 제 2 도어(300)의 일단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도어 고정부(520)는 제 2 도어(300)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제 2 고정롤러(521) 및 제 2 힌지암(530)의 타단에 결합되어 제 2 힌지암(53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제 2 힌지 유닛(522)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고정롤러(521)는 제 2 도어(300)에 접하여 고정될 수 있다. 제 2 힌지 유닛(522)은 제 2 힌지암(530)의 타단에 결합되어 제 2 힌지암(53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힌지 유닛(522)은 제 2 회전바디와 제 2 힌지유닛축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제 2 회전바디는 제 2 힌지유닛축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제 2 힌지암(430)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회전바디는 일단에 모터가 연결되어 구동력을 인가받을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제어부(600)가 모터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경우 제 2 회전바디가 회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 힌지유닛축은 제 2 회전바디와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 2 힌지 유닛(522)과 제 2 힌지암(530)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기어가 형성되어 제 2 힌지 유닛(522)이 회전하면 제 2 힌지암(530)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힌지암(530)은 제 2 레일 힌지부(510)에 일단이 고정되고 제 2 도어 고정부(520)에 타단이 연결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제 2 힌지암(530)의 일단은 제 2 힌지축(512)의 길이방향으로 중앙에 고정되고, 제 2 힌지암(530)의 타단은 제 2 힌지 유닛(522)의 길이방향으로 중앙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힌지 유닛(522)의 제 2 회전바디가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 제 2 힌지암(530)의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힌지암(530)이 제 2 회전바디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된 기어가 회전하여 제 2 도어(300)를 제 1 도어(200)의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의 제 1 힌지부 또는 제 2 힌지부가 회전하는 동작시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의 슬라이딩 열림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의 제 1 힌지부 또는 제 2 힌지부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는, 도어 프레임(100)은 제 1 도어(200)가 삽입되는 제 1 슬롯(120)을 포함하고, 제 1 힌지 유닛(422)의 회전으로 제 1 힌지암(430)이 회전되면 제 1 도어(200)가 제 1 슬롯(120)의 일단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연속적으로 제 1 고정롤러(421)의 이동으로 제 1 도어(200)가 제 1 슬롯(120)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1 도어(200)는 제 2 도어(300)가 삽입되는 제 2 슬롯(220)을 포함하고, 제 2 힌지 유닛(522)의 회전으로 제 2 힌지암(530)이 회전되면 제 2 도어(300)가 제 2 슬롯(220)의 일단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연속적으로 제 2 고정롤러(521)의 이동으로 제 2 도어(300)가 제 2 슬롯(220)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100)의 내측에는 제 1 도어(200)가 삽입되는 제 1 슬롯(120)이 형성될 수 있다. 닫힘 상태에 있던 제 1 도어(200)는 제어부(600)로부터 열림 신호를 받는 경우 제 1 슬롯(120)으로 인입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제 1 힌지 유닛(422)의 회전으로 제 1 힌지암(430)이 회전되고, 제 1 도어(200)가 제 1 슬롯(120)의 일단으로 이동하여 일부 열림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연속적으로 제 1 고정롤러(421)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1 도어(200)가 제 1 슬롯(120)으로 슬라이딩되어 완전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도어(200)의 내측에는 제 2 도어(300)가 삽입되는 제 2 슬롯(220)이 형성될 수 있다. 닫힘 상태에 있던 제 2 도어(300)는 제어부(600)로부터 열림 신호를 받는 경우 제 2 슬롯(220)으로 인입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제 2 힌지 유닛(522)의 회전으로 제 2 힌지암(530)이 회전되고, 제 2 도어(300)가 제 2 슬롯(220)의 일단으로 이동하여 일부 열림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연속적으로 제 2 고정롤러(521)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2 도어(300)가 제 2 슬롯(220)으로 슬라이딩되어 완전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힌지 유닛(422)과 제 2 힌지 유닛(522)을 회동시키는 모터와는 별도의 모터에 의해 제 1 고정롤러(421) 및 제 2 고정롤러(521)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은 도어의 측면 돌출이 없고 외부로 레일 및 롤러가 드러나지 않는 히든타입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를 제공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도어 개폐가 가능하며 도어 개수에 따라 개구폭의 조절이 가능한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를 제공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기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기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도어 프레임
110: 제 1 레일
120: 제 1 슬롯
200: 제 1 도어
210: 제 2 레일
220: 제 2 슬롯
300: 제 2 도어
400: 제 1 힌지부
410: 제 1 레일 힌지부
411: 제 1 롤러
412: 제 1 힌지축
420: 제 1 도어 고정부
421: 제 1 고정롤러
422: 제 1 힌지 유닛
430: 제 1 힌지암
500: 제 2 힌지부
510: 제 2 레일 힌지부
511: 제 2 롤러
512: 제 2 힌지축
520: 제 2 도어 고정부
521: 제 2 고정롤러
522: 제 2 힌지 유닛
530: 제 2 힌지암
600: 제어부

Claims (11)

  1.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전방 및 후방에 고정되는 도어 프레임;
    상기 도어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 1 레일;
    상기 제 1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개폐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 내부에 인입되는 제 1 도어;
    상기 제 1 도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 2 레일;
    상기 제 2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개폐되고, 상기 제 1 도어 내부에 인입되는 제 2 도어;
    상기 제 1 도어의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 1 힌지부;
    상기 제 2 도어의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 2 힌지부; 및
    상기 제 1 도어 및 상기 제 2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의 내측에는 상기 제 1 도어의 폭에 대응되는 제 1 슬롯;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힌지부를 선행하여 회전시켜 상기 제 1 도어를 상기 도어 프레임 내측으로 인입시키고, 후행하여 상기 제 1 레일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제 1 도어가 슬라이딩되도록 구동력을 인가하는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어의 내측에는 상기 제 2 도어의 폭에 대응되는 제 2 슬롯;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힌지부를 선행하여 회전시켜 상기 제 2 도어를 상기 제 1 도어 내측으로 인입시키고, 후행하여 상기 제 2 레일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제 2 도어가 슬라이딩되도록 구동력을 인가하는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부는 상기 제 1 레일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레일 힌지부;
    상기 제 1 도어의 일단에 고정되는 제 1 도어 고정부; 및
    상기 제 1 레일 힌지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 1 도어 고정부에 타단이 연결되어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 1 힌지암; 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힌지부는 상기 제 2 레일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제 2 레일 힌지부;
    상기 제 2 도어의 일단에 고정되는 제 2 도어 고정부; 및
    상기 제 2 레일 힌지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 2 도어 고정부에 타단이 연결되어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 2 힌지암; 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일 힌지부는 상기 제 1 레일에 인입되어 상기 제 1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 1 롤러; 및
    상기 제 1 힌지암의 일단에 고정되는 제 1 힌지축; 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레일 힌지부는 상기 제 2 레일에 인입되어 상기 제 2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 2 롤러; 및
    제 2 힌지암의 일단에 고정되는 제 2 힌지축; 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어 고정부는
    상기 제 1 도어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제 1 고정롤러; 및
    상기 제 1 힌지암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힌지암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제 1 힌지 유닛; 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어 고정부는
    상기 제 2 도어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제 2 고정롤러; 및
    상기 제 2 힌지암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힌지암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제 2 힌지 유닛; 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은 상기 제 1 도어가 삽입되는 제 1 슬롯;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힌지 유닛의 회전으로 상기 제 1 힌지암이 회전되면 상기 제 1 도어가 상기 제 1 슬롯의 일단으로 이동되고, 연속적으로 상기 제 1 고정롤러의 이동으로 상기 제 1 도어가 상기 제 1 슬롯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는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어는 상기 제 2 도어가 삽입되는 제 2 슬롯; 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힌지 유닛의 회전으로 상기 제 2 힌지암이 회전되면 상기 제 2 도어가 상기 제 2 슬롯의 일단으로 이동되고, 연속적으로 상기 제 2 고정롤러의 이동으로 상기 제 2 도어가 상기 제 2 슬롯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는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
KR1020190179023A 2019-12-31 2019-12-31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 KR202100856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023A KR20210085691A (ko) 2019-12-31 2019-12-31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023A KR20210085691A (ko) 2019-12-31 2019-12-31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691A true KR20210085691A (ko) 2021-07-08

Family

ID=76893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9023A KR20210085691A (ko) 2019-12-31 2019-12-31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569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9594B1 (ko) 2015-12-11 2017-06-21 김도현 다단 신장되는 가이드바가 구비된 슬라이딩 도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9594B1 (ko) 2015-12-11 2017-06-21 김도현 다단 신장되는 가이드바가 구비된 슬라이딩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4607B1 (ko) 순서에 상관없이 개폐가능한 차량의 대향식 스윙도어
US7611190B1 (en) Vehicle door articulating and sliding mechanism
US7097229B1 (en) Vehicle closure system
JP6064332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装置
JP2006240611A (ja) 車両用ドアシステム
US11719030B2 (en) Fastening arrangement for vehicle sliding door
US20220412142A1 (en) Door hinge device for vehicles
US5244247A (en) Door installation arrangement for vehicle
US6234565B1 (en) Dual action bifold door assembly
US7320495B2 (en) Motor vehicle
CN114075903A (zh) 一种滑动尾门、一种车辆和一种尾门
US20200189490A1 (en) Structure of a sliding trim cover for opposite sliding doors
KR20210085691A (ko)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
US20220412137A1 (en) Door hinge device of vehicle
US11725447B2 (en) Structure for assisting opening and closing of lower door
CN115443225A (zh) 用于车辆的门系统及包括门系统的车辆
JPH0327000Y2 (ko)
KR20060018350A (ko) 보조도어가 구비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CN218489439U (zh) 用于车辆的滑动车门装置
US20240110412A1 (en) Sliding door device for vehicle
US20230202271A1 (en) Door hinge device for vehicles
US20230220719A1 (en) Door hinge device for vehicles
KR100930699B1 (ko) 차량용 도어 스토퍼
KR101230648B1 (ko) 회전 가능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장치
CN115038601A (zh) 滑动及枢转后车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