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218B1 -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및 쉴드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및 쉴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218B1
KR101229218B1 KR1020050029301A KR20050029301A KR101229218B1 KR 101229218 B1 KR101229218 B1 KR 101229218B1 KR 1020050029301 A KR1020050029301 A KR 1020050029301A KR 20050029301 A KR20050029301 A KR 20050029301A KR 101229218 B1 KR101229218 B1 KR 101229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focus
shields
optical axis
head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9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6626A (ko
Inventor
베노이스트 플로리
니콜라스 로벳
장 매티유 토렌크
Original Assignee
발레오 비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비젼 filed Critical 발레오 비젼
Publication of KR20060046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6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8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 F21S41/68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by moving screens
    • F21S41/689Flaps, i.e. screens pivoting around one of their e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7Discharge light sources
    • F21S41/172High-intensity discharg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F21S41/4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타원형 타입의 반사기와, 실질적으로 반사기의 제 1 초점에 위치된 광원과, 물체 초점이 반사기의 제 2 초점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수렴 광학 수단과, 반사기의 제 2 초점 부근에 위치되고 헤드라이트의 광학 축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배향되며 실질적으로 수평한 상부 에지를 갖는 된 제 1 쉴드와, 제 1 쉴드에 실질적으로 평행하지만 광학 수단에 보다 근접하게 위치되도록 광학 축을 따라 오프셋된 제 2 쉴드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헤드라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 2 쉴드는 실질적으로 V자 또는 U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단일 부재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제 1 쉴드에 고정되며, V자 또는 U자 형상 단면의 2개의 아암은 2개의 쉴드에 대응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및 쉴드 조립체{HEADLIGHT FOR A MOTOR VEHICLE WITH A CUT-OFF BEAM, AND A SHIELD ASSEMBLY FOR SUCH A HEADLIGHT}
도 1 및 도 2는 훈색 현상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라이트의 다이어그램으로서, 쉴드 조립체를 작동 위치에서는 실선으로 격납 위치에서는 점선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헤드라이트의 2개 쉴드의 보다 큰 축척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 :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R : 반사기
S : 광원 D : 수렴 광학 수단
L : 렌즈 Fb : 청색 초점
Fr : 적색 초점 3 : 스트립
5 : 투명 영역 C1, C2 : 쉴드
본 발명은 광 빔(light beam)의 상부 영역에서 컷오프(cut-off)를 갖는 광 빔을 제조하도록 의도된 자동차용 헤드라이트에 관한 것으로, 이 헤드라이트는,
- 타원형 타입의 반사기와,
- 실질적으로 이 반사기의 제 1 초점에 위치된 광원과,
- 물체 초점이 이 반사기의 제 2 초점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수렴 광학 수단(convergent optical means)과,
- 이 반사기의 제 2 초점 사이에 위치되고 헤드라이트의 광학 축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배향되며 실질적으로 수평한 상부 에지를 갖는 제 1 쉴드와,
- 제 1 쉴드에 실질적으로 평행하지만 제 2 초점과 광학 수단 사이에 위치되도록 이 광학 축을 따라 오프셋된 제 2 쉴드를 포함하며,
이들 쉴드는 훈색 현상(iridescence phenomena)을 제한하면서 빔 내에서 컷오프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용어 "평행(parallel)"은 넓은 의미로 소정의 수평방향 섹션을 따라 실질적으로 등거리에 있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2개의 쉴드가 평면 그리고 서로 효과적으로 평행할 수 있지만 수직방향 섹션으로 서로에 대해 경사진 벽을 가질 수도 있기 때문이므로 단어에 대한 엄격한 의미로는 평행하지는 않다. 또한, 이들은 수평방향 섹션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만곡되는데, 그 곡률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쉴드는 수평방향 섹션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모든 지점에서 분리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딥트 기능(dipped function)(헤드라이트를 아래로 배향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헤드라이트에 관한 것이다.
앞서 규정된 바와 같은 헤드라이트에 있어서, 반사기는 수색성 시스템(achromatic system)이며, 다시 말하면 광선은 이들의 색상에 대응하여 이들의 파장과 관계없이 동일한 이동을 한다. 한편, 특히 두꺼운 볼록 평면 렌즈에 의해 형성된 광학 수단은 광선의 이동이 파장에 따라 다른 고 색채 시스템(highly chromatic system)이다.
무한대(infinity) 또는 헤드라이트의 치수에 비한 먼 거리에서, 단일 쉴드의 물리적 한계점의 이미지는 광학 수단의 초점 거리 설정에 따라서 색상이 변할 것이며, 이러한 설정은 광학 축상에 광학 수단의 물체 초점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유채색의 자동차 광 빔(colored automobile lighting beam)은 반대 방향에서 다가오는 운전자를 방해하지 않기 위한 안전상의 관점이나 또는 규칙상의 관점에서도 수용가능하지 않다.
미국 특허 제 4,100,594 호는, 광학 축의 방향으로 서로 분리되는 2개의 쉴드가 광 빔의 훈색 현상을 감소 또는 제거하도록 제공된 상기 규정된 타입의 헤드라이트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2개의 쉴드는 조립체를 복잡하게 하고, 2개의 쉴드 때문만 아니라 헤드라이트에 대해 그리고 서로에 대해 이들 쉴드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 때문에 헤드라이트 내부의 체적을 증가시킨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훈색 현상을 감소 또는 제거하면서, 조립이 보다 단순하고 내부 부품의 양호한 콤팩트성을 갖는 상기 규정된 바와 같은 헤드라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논의 중인 타입의 자동차용 헤드라이트는, 2개의 아암이 2개의 쉴드에 대응하는 실질적으로 V자 또는 U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단일 부재의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해 제 2 쉴드를 제 1 쉴드에 고정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쉴드를 고정하는 수단은 단일 쉴드용으로 제공된 것까지 감소된다. 조립체가 단순화되고 그 체적이 감소된다.
이들 특징에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 2 쉴드는 불투명 횡방향 스트립(strip)과, 이 스트립 아래에 위치된 광선에 투명한 영역을 포함한다.
2개의 쉴드는 실질적으로 V자 또는 U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절취(cropping), 가압(pressing) 및 만곡(curve)된 단일 금속 부재로 제조되거나 또는 중합체 재료로 이루어진 단일 부재로 제조될 수 있다.
2개의 쉴드는 컷오프에 근접한 빔의 영역에서 광선의 선광(concentration)이 감소되는 것을 야기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실시예와 함께 이용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쉴드는 그의 상부 에지를 형성하는 불투명 횡방향 스트립과, 이 불투명 스트립 아래에, 특히 레인지 영역(range area)에서의 헤드라이트 빔의 형성에 관여하는 광선을 통과시키도록 광학 축의 각 측방으로 연장되는, 광선에 투명한 영역을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는 컷오프에 근접한 빔의 영역에서 광이 보다 강하게 집중되도록 하며, 헤드라이트의 훈색 현상을 개선시킨다. 이러한 장치는 제 2 쉴드가 제 1 쉴드에 고정되지 않더라도 유리하다.
제 2 쉴드 상의 스트립의 높이는 4㎜ 이하, 바람직하게는 3.5㎜ 이하이며, 예컨대 1.5㎜이다. 투명 영역의 높이는 적어도 1㎜,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이며, 예컨대 2㎜이다.
제 2 쉴드(광원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짐)는 불투명 재료, 특히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광선에 투명한 영역은 그의 컷오프 에지 아래의 제 2 쉴드 내에 만들어진 개구를 구성한다.
쉴드의 에지에 근접한 투명 영역의 경계는 이 에지에 평행하다. 개구는 제 2 쉴드를 구성하는 부분 내에서 절단될 수 있다.
변형예로서, 제 2 쉴드는 중합체 재료, 특히 적어도 한 면 상에서 상기 투명 영역을 제외한 부분에 불투명 피복(opaque covering)을 구비한 투명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투명 영역의 횡방향 범위는, 광이 빔의 유효 각도 범위 전체에 걸쳐서, 특히 광학 축의 각 측방으로 적어도 ±5°에 걸쳐서 빔을 형성하는 것을 보장하기에 충분하다. 투명 영역의 범위는 광학 축에 대해 비대칭일 수 있고, 일 측면이 다른 측면보다 커도 좋다.
광학 수단은 적색에 대응하는 파장을 위한 "적색" 초점과, 청색에 대응하는 파장을 위한 "청색" 초점을 허용하는 단순한 두꺼운 볼록 평면 렌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제 1 쉴드가 적색 초점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한편, 제 2 쉴드는 청색 초점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유럽의 딥트 빔(European dipped beam)" 타입의 컷오프를 갖는 빔에 대해, 각각의 쉴드의 상부 에지는 경사진 세그먼트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높이가 오프셋된 2개의 수평방향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헤드라이트는 다기능 타입, 특히 딥트/메인 빔(dipped/main beam) 듀얼 기능을 가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쉴드는 메인 빔 기능에서 격납되기 위해서 격납 가능하게 장착된다.
광원은 크세논 램프(xenon lamp)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헤드라이트용 쉴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고정되며 실질적으로 평행한 2개의 쉴드를 포함하고, 이들의 큰 치수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어 있다. 2개의 쉴드는 실질적으로 V자 또는 U자 형상으로 절취, 가압 및 만곡된 단일 금속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V자 또는 U자 형상부의 2개의 아암은 2개의 쉴드에 대응한다.
2개의 쉴드 중 하나는 전체적으로 불투명하고, 다른 하나(특히 광원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짐)는 불투명 횡방향 스트립과, 이 스트립 아래에 위치된 광선에 투명한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와는 별개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되지만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닌 실시예에 관련하여 후기에 보다 명백한 것으로 취급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타원형 모듈 타입의 자동차용 헤드라이트(P)의 다이어그램을 알 수 있다. 이 헤드라이트는 타원형 타입의 반사기(R)와, 이 반사기의 제 1 초점(A1)에 위치된 광원(S)과, 물체 초점이 반사기(R)의 제 2 초점(A2)에 근접하게 위치된 수렴 광학 수단(D)을 포함한다.
반사기(R)는 광선이 이들의 파장에 관계없이 동일한 이동을 하는 수색성 시스템이다.
한편, 두꺼운 볼록 평면 렌즈(L)에 의해 형성된 광학 수단(D)은 고 색채성이고, 다시 말하면 광선의 이동이 이들의 파장에 따라 다르다. 반사기 및 렌즈에 공통인 광학 축(X-X)을 따라 렌즈(L)의 물체 초점의 위치는 논의 중인 파장에 따라 다를 것이다. 단순함을 위해, 가시광선의 청색 및 적색 파장을 고려하여, 렌즈(L), 청색 초점(Fb) 및 적색 초점(Fr)을 규정할 수 있다. 변형예로서, 광학 수단(D)은 한 세트의 렌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청색 초점(Fb)이 반사기(R)의 제 2 초점(A2)과 합쳐지도록 렌즈(L)의 초점 거리를 설정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광원(S)으로부터 나와서 반사후에 초점(Fb)을 통과한 청색 광선(1a)은 시준(collimation)되어서 광학 축(X-X)에 평행한 렌즈(L)로부터 나온다. 한편, 초점(Fb)을 통과하는 적색 광선(2a)은 적색 초점(Fr)이 청색 초점(Fb)보다 렌즈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발산 광선(divergent ray)의 형태로 렌즈(L)로부터 나온다.
도 2는 렌즈(L)의 초점 거리 설정이 반사기(R)의 제 2 초점(A2)과 일치하도록 적색 초점(Fr)을 위치 설정하는 경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반사후에 초점(Fr)을 통과하는 적색 광선(2a)은 시준되어서 광학 축(X-X)에 평행한 렌즈(L)으로부터 나온다. 한편, 렌즈(L)로부터 나온 청색 광선(1a)은 수렴한다.
무한대 또는 헤드라이트(D)의 치수에 비한 먼 거리에서, 광학 축(X-X)에 수직인 평면에 위치되어 초점(A2)을 통과하거나 또는 그에 근접하는 쉴드의 물리적 한계점의 이미지는 렌즈의 초점 거리 설정에 따라 색상이 변할 것이다. 도 1에서의 조절의 경우에 있어서의 컷오프가 적색을 나타내는 한편, 도 2에서의 조절에 있어서의 컷오프는 청색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라이트의 색채 민감성은, 그의 상부 에지가 실질적으로 수평한 상태로 헤드라이트의 광학 축(X-X)에 횡방향으로 배향된 제 1 쉴드(C1)(도 3)와, 상부 에지가 제 1 쉴드(C1)의 상부 에지에 실질적으로 평행하지만 렌즈(L)에 근접하게 위치되도록 광학 축을 따라 오프셋된 제 2 쉴드(C2)의 사용에 의해 감소된다. 쉴드(C1, C2)의 상부 에지는 광학 축에 근접하게, 바람직하게는 약간 아래에 위치된다. 제 1 쉴드(C1)가 렌즈(L)의 적색 초점 평면(Fr)에 근접한 평면에 위치되는 한편, 제 2 쉴드(C2)는 렌즈의 청색 초점 평면(Fb)에 근접한 평면에 위치된다.
유리하게, 2개의 쉴드(C1, C2)는 그의 오목한 부분이 위를 향해 있는 실질적으로 V자 또는 U자 형상으로 절취, 가압 및 만곡된 단일 금속 부재(도 4)로 형성된다. U자 형상은 적어도 그 길이의 일부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평행한 2개의 아암을 포함하는 장치를 지칭한다. V자 또는 U자 형상 부분의 2개의 아암이 2개의 쉴드(C1, C2)에 대응하는 한편, 2개의 쉴드 사이에 기계식 연결부를 제공하는 V자 또는 U자의 기부는 각각의 쉴드의 하부 에지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제 2 쉴드(C2)는 상부 에지(4)를 결정하는 불투명 횡방향 스트립(3)과, 이 스트립 아래에 광학 축의 각 측면상에서 연장되는 광선에 투명한 영역을 포함한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쉴드(C1, C2)의 절개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훈색 없이 광 빔의 자연스런 컷오프를 얻을 수 있는 중첩된 이미지(superimposed image)를 제공한다.
제 2 쉴드(C2)에서는, 컷오프에 대응하는 상부 부분 또는 횡방향 스트립만이 빔의 훈색의 위험성을 해명하는데 관여하므로, 투명 영역(5)의 존재가 전체의 수색 특성(achromatic characteristic)을 변경하지 않는다.
한편, 투명 영역(5)은 반사기(R) 상에서의 반사 후에 영역(5)을 통과하는 도면부호(6)와 같은 광선(도 3)이 특히 레인지 영역, 즉 각 측방에서 광학 축에 근접하여 헤드라이트 전방에 위치된 영역에서의 빔(E)의 형성에 관여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헤드라이트(P)의 측광학적 성능(photometric performance)을 실질적으로 개선하고, 컷오프 부근에서 보다 집중도가 높은 지점을 얻는다. 투명 영역(5)으로 인한 개선은 변형예로서 쉴드(C1, C2)가 2개의 별개인 부재를 형성하더라도 보존된다.
제 2 쉴드(C2) 상의 스트립(3)의 높이(h)는 4㎜ 이하, 바람직하게는 3.5㎜ 이하이며, 예컨대 1.5㎜이다.
투명 영역(5)의 높이는 적어도 1㎜,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이며, 예컨대 2㎜이다. 투명 영역의 하부 에지(7)는 쉴드(C2)의 하부 에지(8)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제 2 쉴드(C2)는 불투명 재료, 특히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투명 영역(5)은 스트립(3) 아래의 제 2 쉴드 내에 절단된 개구(9) 또는 창(window)에 의해 형성된다.
"유럽의 딥트 빔" 타입의 컷오프를 형성하기 위해서, 각 쉴드(C1, C2)의 상부 에지는 경사진 세그먼트(12)에 의해 연결된 높이가 오프셋된 2개의 수평방향 세그먼트(10, 11)를 포함한다. 스트립(3)은 세그먼트(10, 11, 12)에 평행하다.
개구(5)의 횡방향 범위(T)(도 4)는 광선이 빔의 전체 유효 각도 범위 이상으로, 특히 광학 축(X-X)의 각 측방으로 횡방향으로 ±5°의 각도 범위에 걸쳐서 빔을 형성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설계된다. 개구(5)의 범위는 광학 축에 대해 비대칭일 수 있고, 한 면이 다른 한 면보다 클 수도 있다.
서로 고정되어 단일 부재의 조립체를 형성하는 2개의 쉴드(C1, C2)는, 축(X-X)에 수직이고 쉴드 아래에 위치된 횡방향 회전축(Y)을 중심으로 하여 도 3에 따른 시계방향으로, 예컨대 하측으로 기울임으로써, 2개의 쉴드를 격납되게 할 수 있는 단일 기구(single mechanism)(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헤드라이트는 다기능, 특히 듀얼 기능(dual function), 즉 쉴드가 도 3에서의 실선으로 나타낸 작동 위치에 있는 경우의 "딥트(dipped) 또는 쉴드가 점선으로 나타낸 경사 위치에 있는 경우의 "메인 빔(main beam)"일 수 있다. 변형예로서, 헤드라이트는 2개 이상의 기능, 예컨대 우측 주행 딥트 빔(dipped beam traffic on the right), 좌측 주행 딥트 빔 및 메인 빔의 3가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유리하게, 광원(S)은 크세논 램프이다.
도 4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 쉴드(C1, C2)의 상부 에지는 광학 축(X-X)에 직각인 평면에 위치된다.
단일 기능의 헤드라이트의 경우에 있어서(예컨대, 딥트 빔 기능만 가짐), 쉴드(C1, C2)의 상부 에지는 광학적 시야(optical field)의 곡률을 고려하여, 오목한 부분이 렌즈(L) 쪽을 향하는 곡선을 이룰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라이트는 컷오프에 근접한 측광학적 집중점(photometric concentration points)을 얻을 수 있고, 빔의 훈색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렌즈(L)의 초점 거리 설정은 실제로 필요 없게 되지만, 이는 하나의 쉴드만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은 쉴드가 삽입되는 헤드램프/광학 모듈(headlamp/optical module)의 종류와 무관하게 쉴드를 보호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의 헤드라이트에 따르면, 훈색 현상을 감소 또는 제거하면서 조립이 보다 단순하고 내부 부품의 양호한 콤팩트성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1)

  1. 빔의 상부 영역에 컷오프를 갖는 광 빔(light beam)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광학 축을 갖는 자동차용 헤드라이트에 있어서,
    상기 광학 축 상에 배치된 제 1 초점 및 제 2 초점을 갖는, 타원형 타입의 반사기와,
    상기 반사기의 제 1 초점에 위치된 광원과,
    물체 초점이 상기 반사기의 제 2 초점 부근에 위치되는 수렴 광학 수단과,
    상기 반사기의 제 2 초점의 부근에 위치되고 헤드라이트의 광학 축에 인접해서 배치되고 상기 광학 축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의 상부 에지를 갖는 제 1 쉴드와,
    상기 제 1 쉴드의 상부 에지에 평행하지만 상기 수렴 광학 수단에 보다 근접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광학 축을 따라 오프셋되며 상기 헤드라이트의 광학 축에 인접해서 위치되고 상기 광학 축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의 상부 에지를 갖는 제 2 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쉴드는 상기 헤드라이트의 광 빔에 컷오프를 형성하여 훈색 현상을 제한하며,
    상기 제 2 쉴드 및 제 1 쉴드는 V자 또는 U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단일 부재를 형성하며, V자 또는 U자 형상 단면의 2개의 아암이 상기 제 1 및 제 2 쉴드에 대응하고,
    상기 수렴 광학 수단은 적색에 대응하는 파장을 위한 적색 초점과, 청색에 대응하는 파장을 위한 청색 초점을 허용하는 볼록 평면 렌즈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쉴드가 적색 초점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한편, 제 2 쉴드는 청색 초점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쉴드는 V자 또는 U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절취, 가압 및 만곡된 단일 금속 부재로 제조되는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쉴드는 중합체 재료(polymer material)로 이루어진 단일 부재로 제조되는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쉴드는 상기 제 2 쉴드의 상부 에지에 배치된 불투명 횡방향 스트립과, 상기 불투명 스트립 아래에, 레인지 영역(range areas)에서의 헤드라이트의 빔의 형성에 관여하는 광선을 통과시키도록 상기 광학 축의 각 측방으로 연장되는, 광선에 투명한 투명 영역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쉴드 상의 스트립의 높이는 3.5㎜ 이하인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영역의 높이는 1.5㎜ 이상인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쉴드 상의 스트립의 높이는 4㎜ 이하인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영역의 높이는 1㎜ 이상인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쉴드는 불투명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투명 영역은 상기 제 2 쉴드의 스트립 아래에 만들어진 개구에 의해 형성되는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쉴드의 에지에 근접한 상기 투명 영역의 경계는 상기 에지에 평행한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쉴드는 상기 제 2 쉴드의 상부 에지에 배치된 불투명 횡방향 스트립과, 상기 불투명 스트립 아래에, 레인지 영역(range areas)에서의 헤드라이트의 빔의 형성에 관여하는 광선을 통과시키도록 상기 광학 축의 각 측방으로 연장되는, 광선에 투명한 투명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쉴드는, 적어도 한 면 상에, 상기 투명 영역을 제외한 부분에 불투명한 피복(covering)을 구비한 투명 재료로 제조되는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영역의 횡방향 범위는, 광선이 유효 각도 범위의 일부 또는 전부에서, 빔을 형성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는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13. 삭제
  14. 제 1 항에 있어서,
    "유럽의 딥트 빔(European dipped beam)" 타입의 컷오프를 갖는 빔에 대해, 각각의 쉴드의 상부 에지는 경사진 세그먼트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높이가 오프셋된 2개의 수평방향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15. 제 1 항에 있어서,
    자동차용 헤드라이트는 딥트 빔 및 메인 빔의 듀얼 기능을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쉴드는 딥트 빔을 생성하기 위한 제 1 위치와 메인 빔을 생성하기 위한 제 2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격납 가능하게 장착되는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크세논 램프인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17. 제 1 항에 따른 헤드라이트를 위한 쉴드 조립체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쉴드는 제 1 및 제 2 쉴드의 고정 부분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오프셋된 상태로 평행하게 서로 결합되는
    쉴드 조립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쉴드는 V자 또는 U자 형상으로 절취, 가압 및 만곡된 단일 금속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V자 또는 U자 형상부의 2개의 아암은 상기 2개의 쉴드에 대응하는
    쉴드 조립체.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쉴드 중 하나는 전체적으로 불투명하고, 다른 하나의 쉴드는 불투명 횡방향 스트립과, 상기 스트립 아래에 위치된 광선에 투명한 투명 영역을 포함하는
    쉴드 조립체.
  20. 빔의 상부 영역에 컷오프를 갖는 광 빔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광학 축을 갖는 자동차용 헤드라이트에 있어서,
    상기 광학 축 상에 배치된 제 1 초점 및 제 2 초점을 갖는, 타원형 타입의 반사기와,
    상기 반사기의 제 1 초점에 위치된 광원과,
    물체 초점이 상기 반사기의 제 2 초점 부근에 위치되는 수렴 광학 수단과,
    상기 반사기의 제 2 초점 부근에 위치되고, 헤드라이트의 광학 축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배향되며, 수평한 상부 에지를 갖는 제 1 쉴드와,
    상기 제 1 쉴드에 평행하지만, 상기 수렴 광학 수단에 보다 근접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광학 축을 따라 오프셋된 제 2 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쉴드는 상기 헤드라이트의 광 빔에 컷오프를 형성하여 훈색 현상을 제한하며,
    상기 제 2 쉴드는 불투명 횡방향 스트립과, 상기 스트립 아래에 위치된 광선에 투명한 투명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수렴 광학 수단은 적색에 대응하는 파장을 위한 적색 초점과, 청색에 대응하는 파장을 위한 청색 초점을 허용하는 볼록 평면 렌즈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쉴드가 적색 초점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한편, 제 2 쉴드는 청색 초점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쉴드 및 제 1 쉴드는 단일 부재의 조립체를 형성하는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KR1020050029301A 2004-04-09 2005-04-08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및 쉴드 조립체 KR1012292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403797 2004-04-09
FR0403797A FR2868828B1 (fr) 2004-04-09 2004-04-09 Projecteur lumineux pour vehicule automobile avec faisceau a coupure, et ensemble de cache pour un tel project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6626A KR20060046626A (ko) 2006-05-17
KR101229218B1 true KR101229218B1 (ko) 2013-02-01

Family

ID=34896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9301A KR101229218B1 (ko) 2004-04-09 2005-04-08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및 쉴드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47602B2 (ko)
EP (1) EP1584862A1 (ko)
JP (1) JP2005302724A (ko)
KR (1) KR101229218B1 (ko)
CN (1) CN100559068C (ko)
FR (1) FR28688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13094B1 (fr) 2007-02-22 2009-05-15 Valeo Vision Sa Projecteur pour vehicule automobile.
FR2936591B1 (fr) 2008-09-30 2014-09-12 Valeo Vision Sas Module optique pour vehicule automobile apte a eclairer selectivement une zone
FR2944857B1 (fr) * 2009-04-24 2017-02-03 Valeo Vision Dispositif optique pour vehicule automobile.
AT509830B1 (de) * 2010-04-22 2012-07-15 Zizala Lichtsysteme Gmbh Scheinwerfer für fahrzeuge
JP5535252B2 (ja) * 2012-02-08 2014-07-02 シャープ株式会社 投光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導光部材
JP6158549B2 (ja) * 2012-06-26 2017-07-05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KR101344427B1 (ko) * 2012-09-06 2013-12-23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차량용 램프
FR3028003B1 (fr) * 2014-10-30 2019-08-02 Aml Systems Projecteur automobile multimodules a miroirs mobiles actionnes par un moteur unique
KR101651660B1 (ko) 2016-05-04 2016-08-30 한국광기술원 색분리 현상 방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수송기기용 전조등
CN109996990B (zh) * 2016-10-14 2021-12-28 科思创德国股份有限公司 用于减少彩色边纹的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9601A (ja) * 1982-11-11 1984-06-08 ウエストフエ−リツシエ・メタル・インドウストリ−・コムマンデイト・ゲゼルシヤフト・ヒユツク・ウント・コムパニ− 自動車用の下向き前照灯
JPH0729402A (ja) * 1993-07-12 1995-01-31 Stanley Electric Co Ltd プロジェクタ型ヘッドランプ
JPH11283405A (ja) * 1998-02-20 1999-10-15 Robert Bosch Gmbh 車両用前照灯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45488E (fr) * 1934-11-28 1935-09-12 Système de phare non éblouissant pour automobiles et autres applications
AU505317B2 (en) * 1976-08-23 1979-11-15 Thorn Electrical Industries Limited Suppression of colour fringing in lamps
FR2566878B1 (fr) 1984-06-27 1986-07-18 Cibie Projecteurs Perfectionnements aux projecteurs automobiles emettant un faisceau coupe, notamment un faisceau de croisement
DE3528820C2 (de) * 1985-08-10 1994-02-24 Bosch Gmbh Robert Abblendlicht- oder Nebellichtscheinwerfer für Kraftfahrzeuge
DE3718642C1 (de) * 1987-06-04 1988-10-20 Friemann & Wolf Gmbh Abgeblendeter Fahrzeugscheinwerfer fuer Grubenfahrzeuge
FR2754039B1 (fr) * 1996-10-02 1998-12-18 Valeo Vision Projecteur du genre elliptique pour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cache de coupure perfectionn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 cache
FR2811408B1 (fr) 2000-07-07 2002-10-18 Valeo Vision Projecteur du genre elliptique notamment pour eclairage de route a photometrie basse amelioree
US6796696B2 (en) * 2000-12-05 2004-09-28 Stanley Electric Co., Ltd. Vehicle light with movable reflector portion and shutter portion for selectively switching an illuminated area of light incident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vehicle light during driving
FR2831497B1 (fr) * 2001-10-30 2004-07-09 Valeo Vision Dispositif d'eclairage de type elliptique pour vehicule automobile
JP3798723B2 (ja) * 2002-04-08 2006-07-1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FR2852082B1 (fr) * 2003-03-03 2006-01-20 Valeo Vision Projecteur pour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cache mobile equipe de moyens d'accrocha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9601A (ja) * 1982-11-11 1984-06-08 ウエストフエ−リツシエ・メタル・インドウストリ−・コムマンデイト・ゲゼルシヤフト・ヒユツク・ウント・コムパニ− 自動車用の下向き前照灯
JPH0729402A (ja) * 1993-07-12 1995-01-31 Stanley Electric Co Ltd プロジェクタ型ヘッドランプ
JPH11283405A (ja) * 1998-02-20 1999-10-15 Robert Bosch Gmbh 車両用前照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868828A1 (fr) 2005-10-14
US20050225996A1 (en) 2005-10-13
KR20060046626A (ko) 2006-05-17
US7347602B2 (en) 2008-03-25
CN100559068C (zh) 2009-11-11
JP2005302724A (ja) 2005-10-27
CN1702372A (zh) 2005-11-30
FR2868828B1 (fr) 2007-03-16
EP1584862A1 (fr) 2005-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9218B1 (ko)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및 쉴드 조립체
JP4782064B2 (ja) 車両用灯具ユニット
JP5510805B2 (ja) 自動二輪車用プロジェクタ型ヘッドランプ
US9222638B2 (en) Vehicular headlamp
US20020085387A1 (en) Vehicle light with movable reflector portion and shutter portion for selectively switching an illuminated area of light incident on a predetermined protion of the vehicle light during driving
JPH0410165B2 (ko)
US20130242585A1 (en) Light module of a lighting device of a motor vehicle
US7244056B2 (en) Vehicle lamp
JP4606021B2 (ja) 横方向光源を備えた自動車両用ヘッドライト
JP4527621B2 (ja) 車両用灯具
CN103807715A (zh) 用于机动车前大灯的光模块
US7341367B2 (en) Vehicle headlamp
JPH06309904A (ja) 車輌用前照灯
JP2012084330A (ja) 車両用灯具
JPH01187702A (ja) プロジェクタ型の前照灯
US6971778B2 (en) Headlight for Vehicles
JP2001093311A (ja) 暗視装置用ヘッドランプ
JP5170651B2 (ja) 車両前照灯用光学ユニット
JP4960747B2 (ja) 車両前照灯
JPH046081Y2 (ko)
JP2003059317A (ja) 車輌用前照灯装置
JPS63304501A (ja) プロジェクタ型の自動車用前照灯
CN110454743B (zh) 车灯
JPH0652704A (ja) 自動車用ヘッドライト
JPH01186701A (ja) プロジェクタ型の前照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