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5138B1 - 트윈 벨트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트윈 벨트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5138B1
KR101225138B1 KR1020110139409A KR20110139409A KR101225138B1 KR 101225138 B1 KR101225138 B1 KR 101225138B1 KR 1020110139409 A KR1020110139409 A KR 1020110139409A KR 20110139409 A KR20110139409 A KR 20110139409A KR 101225138 B1 KR101225138 B1 KR 101225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rive
shaft
moto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9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관
Original Assignee
유니베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베어(주) filed Critical 유니베어(주)
Priority to KR1020110139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1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2Arrangements or mountings of driving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4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rollers which are moved, e.g. over a supporting surface, by the traction element to effect conveyance of loads or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0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consisting essentially of struts, ties, or like structural elements
    • B65G21/06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consisting essentially of struts, ties, or like structural elements constructed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4Gearing between driving motor and 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65G39/09Arrangements of bearing or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20Arrangements of rollers attached to moving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를 순환시켜서 벨트 위의 재료나 물품을 연속해서 운반하는 트윈 벨트 타입의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의 작동을 위한 구동원인 모터 등을 프레임의 내측 공간을 활용하여 배치하는 등 설치 공간을 축소할 수 있고, 프레임측에 모터를 직접 설치하여 부품수 또한 줄일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컨베이어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설치 공간 축소에 따른 레이아웃 설계시의 유리함을 도모할 수 있고, 부품수 축소에 따른 구조의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고장이나 파손 등의 우려없이 장치를 보호할 수 있는 한편, 벨트의 작동을 위한 구동 롤러를 커플링 구조로 조합시킨 형태로 개선하여, 타이밍 벨트 등과 같은 구동 벨트가 끊어져도 교체가 쉽도록 함으로써, 유지보수 및 관리 측면에서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는 트윈 벨트 컨베이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트윈 벨트 컨베이어{Twin belt conveyer}
본 발명은 트윈 벨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벨트를 순환시켜서 벨트 위의 재료나 물품을 연속해서 운반하는 트윈 벨트 타입의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는 기계산업을 비롯하여 기타 건설, 운송업, 자동화 라인, 공장이나 물류창고 등에서 매우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보통 컨베이어는 벨트 컨베이어, 롤러 컨베이어, 스크루 컨베이어, 체인 컨베이어 등 종류가 다양하며,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er)이다.
이러한 벨트 컨베이어는 폭이 넓고 이음매 없는 고리모양의 벨트를 롤러의 양단 사이에 순환시키고, 그 위에 재료 또는 물품을 실어 운반하는 연속식 운반기계의 일종이다.
일반적인 벨트 컨베이어는 프레임, 벨트, 벨트의 양측을 지지하고 회전가능한 구동 및 종동 롤러, 벨트의 처짐을 방지하고 원활한 회전을 위한 아이들러 등으로 이루어지고, 순환하는 벨트 위에 물품 등을 적재하여 한 지점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다른 지점으로 물품 등을 쉽게 이송할 수 있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또한, 벨트 컨베이어에는 구동 롤러를 회전시켜주기 위한 구동장치가 구비되며, 이러한 구동장치의 동력을 구동 롤러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재, 예를 들면 풀리나 벨트, 그리고 체인 등이 갖추어져 있다.
그리고, 여러 타입의 벨트 컨베이어 중에서 분리된 2개의 벨트를 운용하는 타입으로 이루어진 트윈 벨트 컨베이어 또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타입의 벨트 컨베이어는 일반 평벨트에서 이송할 수 없는 각종 돌출형상의 제품 또는 PCB 기판 등을 이송하거나, 또는 팔레트나 지그 등에 부품을 탑재한 상태에서 이송하는 경우, 또 이송 중의 부품을 핸드 로봇 등을 이용하여 로딩하여 조립하는 공정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벨트 컨베이어의 일 예로서, 국내 등록특허 10-0602203호에서는 평벨트 타입으로 되어 있는 벨트 컨베이어의 대표적인 예를 제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컨베이어 프레임의 양 끝에 피동부가 구성되고, 컨베이어 프레임의 길이 중간에 구동부 및 컨베이어 프레임 전 길이에 걸쳐 벨트가 설치되며, 모터 및 구동 롤러의 설치를 위해 프레임 측면에 모터 베이스와 구동부 브라켓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벨트 컨베이어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벨트 컨베이어는 구동 롤러와 모터 등으로 구성되는 구동부가 컨베이어 프레임의 외측 하부에 설치되는 관계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등 레이아웃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다.
예를 들면, 휴대폰 등에 사용되는 전기 및 전자 부품 등의 자동 조립 생산라인에서는 벨트 컨베이어를 상하 복층형으로 설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에 구동부가 프레임의 외측 하부에 돌출되는 상태로 설치되면 설치 공간이 높아지게 되는 등 벨트 컨베이어의 배치와 관련한 레이아웃 설계시 어려움이 있다.
또한, 벨트 컨베이어의 구동부가 프레임 외측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운반이나 작업 중에 충돌 및 충격이 가해지는 사례가 종종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장치의 고장이나 파손의 우려가 커지면서 유지 보수 및 관리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벨트 컨베이어의 작동을 위한 구동원인 모터 등을 프레임의 내측 공간을 활용하여 배치하는 등 설치 공간을 축소할 수 있고, 프레임측에 모터를 직접 설치하여 부품수 또한 줄일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컨베이어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설치 공간 축소에 따른 레이아웃 설계시의 유리함을 도모할 수 있고, 부품수 축소에 따른 구조의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고장이나 파손 등의 우려없이 장치를 보호할 수 있는 트윈 벨트 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벨트의 작동을 위한 구동 롤러를 커플링 구조로 조합시킨 형태로 개선하여, 타이밍 벨트 등과 같은 구동 벨트가 끊어져도 교체가 쉽도록 함으로써, 유지보수 및 관리 측면에서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는 트윈 벨트 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트윈 벨트 컨베이어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트윈 벨트 컨베이어는 기본적으로 프레임, 모터, 구동 롤러 및 종동 롤러, 상기 구동 롤러 및 종동 롤러에 걸쳐 설치되는 동시에서 서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2개의 벨트를 포함하는 한편, 특히 상기 모터는 프레임의 내측에 조성되는 공간에 배치되는 동시에 프레임의 안쪽 벽면에 지지되는 구조로 프레임 폭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 롤러는 모터의 한쪽 옆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프레임측에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있는 구동 샤프트의 양단부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의 안쪽 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전동장치에 의해 모터와 구동 롤러를 가지는 구동 샤프트 간의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모터 등 구동수단이 차지하는 공간을 프레임 내측의 여유 공간에 확보할 수 있고, 따라서 벨트 컨베이어의 전체적인 사이즈 및 공간 점유율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트윈 벨트 컨베이어의 전동장치는 모터의 축에 장착되는 구동 풀리와, 구동 롤러를 가지는 구동 샤프트에 장착되는 종동 풀리와, 상기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 사이에 걸쳐져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벨트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윈 벨트 컨베이어는 벨트의 장력을 조절해주는 텐션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의 텐션 롤러는 구동 샤프트의 한쪽 옆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프레임측에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있는 텐션 샤프트상에 설치되고, 조작기구에 의해 프레임 길이방향으로 위치가 조절되는 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트윈 벨트 컨베이어의 구동 샤프트는 중간의 커플링에 의해 결합되어 분해 및 결합이 가능한 2개의 샤프트 조합형으로 구성하여, 타이밍 벨트 절단시 커플링을 분해하여 벨트 교체작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트윈 벨트 컨베이어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모터 등의 구동부가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므로서, 전체적인 설치 공간을 축소할 수 있고, 특히 프레임 하부로 돌출되는 부분을 삭제함에 따라 전기 및 전자 부품 등의 자동 조립 생산라인에서 상하 복층형으로 설치할 때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등 레이아웃 설계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구동부가 별도의 브라켓이나 베이스 없이 프레임에 직접 설치되므로서, 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 등 벨트 컨베이어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구동부 등이 프레임 외측으로 노출되거나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충돌이나 충격으로부터 장치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벨트를 작동시켜주는 구동 롤러가 커플링 구조를 통해 분해 및 결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타이밍 벨트가 끊어져도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윈 벨트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윈 벨트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윈 벨트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 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 선 단면도
도 6은 도 3의 C-C 선 단면도
도 7은 도 3의 D-D 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윈 벨트 컨베이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윈 벨트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트윈 벨트 컨베이어는 프레임(10)의 내부 공간에 모터 등과 같은 구동수단을 내장시킨 타입으로서, 프레임(10)의 측면쪽이나 하부쪽으로 모터 등이 돌출되어 있지 않은 구조이므로, 프레임(10)의 상하 높이 뿐만 아니라 전후 폭 자체가 그대로 컨베이어의 상하 높이 및 전후 폭을 이루게 되고, 결국 컨베이어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갖는다.
여기서, 순환궤적을 그리며 부품 등을 운반하는 벨트(14a,14b)의 경우, 프레임(10)의 전후 폭방향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2개의 벨트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미설명 부호 23은 커버 플레이트, 30은 벨트 가이드바, 31과 13b는 종동 샤프트와 종동 풀리를 각각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윈 벨트 컨베이어의 각 구성부품들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내측에 공간부(27)를 조성하고 있는 프레임(10)이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10)에는 롤러 수단에 의해 순환궤적을 그리며 돌아가는 2개의 벨트(14a,14b)가 설치된다.
즉, 상기 프레임(10)의 선단부와 후단부에는 상단에 각각 종동 샤프트(31)가 구비되고, 이때의 종동 샤프트(32)는 양단에 베어링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종동 롤러(13a,13b)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종동 샤프트(32)는 프레임 전후 폭방향을 가로질러 수평 배치되면서 그 양단이 프레임(10)측에 볼트 체결을 통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즉, 2개의 벨트(14a,14b)를 돌려주기 위하여 종동 샤프트(31)의 양단부에 각각 하나씩의 종동 롤러(13a,13b)가 장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의 좌우 길이 중간 정도의 위치에는 구동 롤러(12)가 구비되고, 이때의 구동 롤러(12)는 프레임 전후 폭방향을 가로질러 수평 배치되면서 양단이 프레임(10)측에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구동 샤프트(28)의 양쪽 단부에 각각 일체식으로 설치되어 샤프트와 함께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여기서도 상기 구동 롤러(12)는 각각의 벨트(14a,14b)를 돌려주기 위하여 샤프트 양단에 각각 하나씩 장착되는 2개로 구성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상기 구동 샤프트(28)의 일측에는, 즉 구동 롤러(12)의 바로 안쪽 위치에는 전동장치(15)의 종동 풀리(18)가 장착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구동 샤프트(28)는 분리된 2개의 샤프트, 즉 제1구동 샤프트(28a)와 제2구동 샤프트(28b)를 조합한 형태로 되어 있으며, 이때의 각 샤프트는 커플링(29)에 의해 서로 동축선상으로 조립되어 하나의 일체식 샤프트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구동 샤프트(28a)와 제2구동 샤프트(28b)는 커플링(29)에 의해 결합되는 끝부분이 일정 거리를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한편, 커플링(29)은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의 구조물로 커플링(29)의 양 끝부분에 제1구동 샤프트(28a)와 제2구동 샤프트(28b)의 끝부분이 커플링(29)의 양쪽 내측으로 각각 끼워지는 형태로 제1 및 제2구동 샤프트(28a)(28b)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 샤프트(28)는 중간을 연결하고 있는 커플링(29)을 제거하면 쉽게 2개로 분리될 수 있게 되고, 결국 타이밍 벨트 등으로 이루어진 구동 벨트(29)가 끊어져서 교체를 해야 되는 경우에 구동 샤프트(28)의 분리된 제1구동 샤프트(28a)와 제2구동 샤프트(28b) 사이의 커플링(29)이 설치되어 있는 공간을 통해 벨트 교체작업이 이루어짐으로써, 기타 다른 부분들을 해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없이 손쉽게 벨트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의 선단부와 후단부에는 하단에 프레임 전후 폭방향을 가로질러 걸쳐지는 구조로 고정 설치되는 샤프트가 마련되고, 이때의 샤프트의 양단부에는 내측에 다수의 베어링이 개재되어 있는 2개씩의 아이들러(24a,24c)가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형태로 장착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 샤프트(28)의 한쪽 옆에는 이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또 하나의 샤프트가 구비되고, 이때의 샤프트에도 마찬가지로 양단부에 2개의 아이들러(24b)가 장착되고, 각 아이들러(24b)는 다수의 베어링을 개재한 채로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벨트(14a,14b)는 프레임 선후단에 위치되는 2개의 종동 롤러(13a,13b), 프레임 중간쯤에 위치되는 구동 롤러(12), 그리고 다수의 아이들러(24a,24b,24c)에 걸쳐져 소정의 궤적을 그리면서 순환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아이들러(24a,24b,24c)가 장착되어 있는 샤프트의 경우에는 프레임측에 장공을 통해 끼워지면서 프레임 길이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하여, 프레임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 롤러(12)를 가지는 구동 샤프트(28)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있는 아이들러(24b) 및 샤프트는 후술하는 텐션 롤러(22) 및 구동 롤러(12)와 함께 삼각형 배치구조를 이루게 되고, 이러한 삼각형 배치구조를 따라 벨트(14a,14b)가 걸쳐지게 되므로서, 벨트(14a,14b)에 적절한 장력이 부여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10)의 내측에 확보되어 있는 공간부(27)에 전동장치(15), 모터(11) 등을 설치하여 컨베이어 구조를 콤팩트하게 구성한 예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모터(11)는 프레임(10)의 내측에 조성되는 공간부(27) 내에 배치되고, 이렇게 배치되는 모터(11)는 프레임 전후 폭방향을 따라 나란한 수평자세를 유지하면서 프레임(10)의 안쪽 벽면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즉, 상기 모터(11)의 몸체 앞부분이 프레임(10)의 안쪽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모터 블럭(16)에 체결구조를 통해 지지되는 상태의 수평 자세로 설치된다.
그리고, 이렇게 설치되는 모터(11)의 축은 그 끝이 모터 블럭(16)측에 베어링을 매개로 지지되며, 이렇게 지지되는 모터축에 후술하는 전동장치(15)의 구동 풀리(17)가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모터(11)의 동력을 구동 롤러(12)측으로 전달하는 수단으로 전동장치(15)가 마련된다.
이러한 전동장치(15)는 프레임(10)의 안쪽 측면쪽에 위치되며, 서로 나란하게 위치되어 있는 모터(11)와 구동 롤러(12)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전동장치(15)는 벨트 전동방식, 체인 전동방식, 기어 전동방식 등 다양한 형태를 적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벨트 전동방식을 적용한 예를 제시한다.
즉, 상기 전동장치(15)는 구동 풀리(17) 및 종동 풀리(18), 그리고 타이밍 벨트 등으로 이루어진 구동 벨트(19)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풀리(17)는 모터(11)의 축에, 상기 종동 풀리(18)는 구동 롤러(12)를 가지는 구동 샤프트(28)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구동 벨트(19)는 구동 풀리(17)와 종동 풀리(18) 사이에 걸쳐지게 된다. 이때, 상기 종동 풀리(18)는 구동 풀리(17)와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된 제1 구동샤프트(28a)에서 구동 롤러(12)와 커플링(29) 사이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11)의 동력은 프레임(10) 내부에 설치된 전동장치(15)의 벨트 전동방식에 의해 구동 롤러(12)에 전달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벨트(14a,14b)의 처짐 등을 방지하면서 진행을 안내하는 수단으로 벨트 가이드(30)가 구비된다.
상기 벨트 가이드(30)는 길다란 띠 모양의 판으로서, 프레임(10)의 내측 벽면을 따라가면서 프레임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즉 벨트(14a,14b)의 진행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이 상태에서 프레임(10)의 내측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블럭(32)의 윗면에 얹혀지면서 스크류 체결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러한 밸트 가이드(30)는 상면에 벨트(14a)(14b)의 저면이 수용되는 형태로 안착되는 벨트 안착홈(30a)과, 측면에 커버 플레이트(23)의 폭 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로 끼워지는 레일홈(30b)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레일홈(30b)은 레일홈(30b)을 이루는 하면이 레일홈(30b)을 이루는 상면보다 외측으로 일정 길이 더 연장되어 커버 플레이트(23)의 저면을 안정적으로 받쳐주는 형태로 지지해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벨트(14a,14b)와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는 벨트 가이드(30)가 벨트(14a,14b)의 저면을 받쳐줌으로써, 벨트(14a,14b)에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원활한 벨트(14a,14b)의 진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간단한 구조로 벨트 장력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구동 롤러(12)의 한쪽 옆에는, 정확하게는 함께 삼각형 배치구조를 이루는 아이들러(24b)의 맞은편 위치에는 프레임(10)의 전후 폭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어 프레임측에 양단이 지지되는 텐션 샤프트(20)가 마련되고, 이때의 텐션 샤프트(20)의 양단부에는 베어링과 함께 회전가능한 구조의 텐션 롤러(22)가 각각 장착된다.
이때, 상기 텐션 샤프트(20)가 지지되는 프레임 부분은 슬롯(25)으로 이루어지고, 이때의 슬롯(25)은 텐션 롤러(22)를 포함하는 텐센 샤프트(20)의 프레임 길이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해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텐션 샤프트(20)의 일측에는 이 텐센 샤프트(20)와 접촉가능한 볼트 등의 조작기구(21)가 수평자세로 위치되며, 이때의 조작기구(21)는 프레임(10)상에 일체 형성되어 있는 지지대(26)에 나사결합되는 구조로 장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조작기구(21)를 조작하여, 예를 들면 너트를 푼 상태에서 볼트와 같은 조작기구(21)를 돌려서 텐션 샤프트(20)를 밀게 되면, 상기 텐션 샤프트(20)가 상기 슬롯(25)을 따라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동시에 텐션 롤러(22)가 프레임 길이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어, 결국 이때의 텐션 롤러(22)에 걸쳐져 있는 벨트(14)의 장력도 조절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조작기구(21)의 맞은편에는 스프링(미도시) 등의 반력수단이 텐션 롤러(22)를 가지는 텐션 샤프트(20)의 다른 한쪽(조작기구에 대응되는 쪽)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는 그 내측으로 설치되는 모터(11) 등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커버 플레이트(23)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23)는 길다란 직사각형의 판 모양으로 이루어져 벨트(14a,14b)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을 제외한 프레임(10)의 전체 폭과 종동 롤러(13a,13b)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을 양단 일부를 제외한 전체 길이를 커버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게 되며, 프레임(10)의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각 벨트 가이드(30)의 안쪽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그 전후 폭 단부를 이용하여 벨트 가이드(30)에 얹혀져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렇게 벨트(10)의 상부가 커버 플레이트(23)에 의해 덮혀지게 됨과 아울러 구동롤러(12), 종동롤러(13a,13b), 구동 샤프트(28), 텐션 샤프트(20), 텐션 롤러(22), 지지대(27), 조작기구(21) 및 벨트 가이드(30)를 비롯한 각종 구성요소들이 프레임의 내측에 조성되는 공간에 배치되므로서, 모터(11)의 보호 등은 물론, 컨베이어를 상하 적층형으로 설계할 때 위아래 컨베이어 간을 구획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윈 벨트 컨베이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복수의 트윈 벨트 컨베이어를 상하 적층형 타입으로 구성한 예를 보여준다.
예를 들면, 2대의 트윈 벨트 컨베이어를 위아래로 적층 배치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컨베이어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트윈 벨트 컨베이어는 종전과 같이 구동부가 프레임 하측으로 돌출되는 등의 구조가 기본적으로 삭제되므로서, 여러 대의 컨베이어를 적층 배치하는 경우에도 전체 컨베이어가 차지하는 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전기 및 전자 부품(100) 등의 자동 조립 생산라인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등 공장 레이아웃 설계시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컨베이어의 구동부 등을 프레임 내측에 탑재한 새로운 타입의 컨베이어를 구현함으로써, 설치 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장치를 보호할 수 있는 등 전반적인 컨베이어 운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 : 프레임 11 : 모터
12 : 구동 롤러 13a,13b : 종동 롤러
14a,14b : 벨트 15 : 전동장치
16 : 모터 블럭 17 : 구동 풀리
18 : 종동 풀리 19 : 구동 벨트
20 : 텐션 샤프트 21 : 조작기구
22 : 텐션 롤러 23 : 커버 플레이트
24a,24b,24c : 아이들러 25 : 슬롯
26 : 지지대 27 : 공간부
28 : 구동 샤프트 29 : 커플링
30 : 벨트 가이드 31 : 종동 샤프트
32 : 가이드 블럭

Claims (7)

  1. 프레임(10), 모터(11), 구동 롤러(12) 및 종동 롤러(13a,13b), 상기 구동 롤러(12) 및 종동 롤러(13a,13b)에 걸쳐 설치되는 동시에 서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2개의 벨트(14a,14b)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11)는 프레임(10)의 내측에 조성되는 공간에 배치되는 동시에 프레임(10)의 안쪽 벽면에 체결된 모터 블록(16) 상에 베어링을 매개로 모터 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조로 프레임(10)의 폭방향을 따라 수평자세로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 롤러(12)는 모터(11)의 한쪽 옆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프레임(10)측에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중간의 커플링(29)에 의해 결합되어 서로 분해 및 결합 가능한 제1구동 샤프트(28a) 및 제2구동 샤프트(28b)로 이루어지는 구동 샤프트(28)의 양단부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10)의 안쪽 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전동장치(15)에 의해 모터(11)와 구동 롤러(12)를 가지는 구동 샤프트(28) 간의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되,
    상기 구동 샤프트(28)의 한쪽 옆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프레임(10)측에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있는 텐션 샤프트(20)상에 텐션 롤러(22)가 설치되고,
    상기 텐션 샤프트(20)가 지지되는 프레임 부분에 슬롯(25)이 형성되어 프레임에 일체 형성된 지지대(26)에 나사결합된 조작기구(21)를 돌려서 텐션 샤프트(20)를 밀면 상기 텐션 샤프트(20)가 상기 슬롯(25)를 따라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여 상기 텐션 롤러(22)가 프레임 길이방향으로 움직이게 됨으로써 벨트(14a,14b)의 장력이 조절되며,
    상기 구동롤러(12), 종동롤러(13a,13b), 구동 샤프트(28), 텐션 샤프트(20), 텐션 롤러(22), 지지대(27), 조작기구(21) 및 하기 벨트 가이드(30)는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에 조성되는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10)의 양 측벽 상부를 따라가면서 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각 벨트(14a,14b)의 저면을 받쳐주면서 벨트(14a,14b)의 진행을 안내하는 벨트 가이드(30) 및
    상기 각 벨트 가이드(30)의 안쪽 면에 길게 형성된 슬라이드 레일홈(30b)에 끼워지는 형태로 지지되어 프레임(10)의 상부를 커버하는 것으로서, 상기 2개의 벨트(14a,14b)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을 제외한 프레임(10)의 폭을 갖는 판 형태로 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커버 플레이트(2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구동 샤프트(28a) 및 제2구동 샤프트(28b)는 상기 커플링(29)에 의해 결합되는 끝부분이 일정 거리를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커플링(29)은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의 구조물로 커플링(29)의 양 끝부분에 제1 및 제2 구동샤프트(28a)(28b)의 끝부분이 상기 커플링(29)의 양쪽 내측으로 각각 끼워지는 형태로 제1 및 제2 구동샤프트(28a)(28b)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동장치(15)는 상기 모터 블록(16)에 지지되는 모터 축에 장착되는 구동 풀리(17)와, 상기 구동 풀리(17)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 제1구동 샤프트(28a)에서 상기 구동 롤러(12)와 상기 커플링(29) 사이에 장착되는 종동 풀리(18)와, 상기 구동 풀리(17)와 종동 풀리(18) 사이에 걸쳐지는 구동 벨트(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트윈 벨트 컨베이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10139409A 2011-12-21 2011-12-21 트윈 벨트 컨베이어 KR101225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409A KR101225138B1 (ko) 2011-12-21 2011-12-21 트윈 벨트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409A KR101225138B1 (ko) 2011-12-21 2011-12-21 트윈 벨트 컨베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5138B1 true KR101225138B1 (ko) 2013-01-22

Family

ID=47842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9409A KR101225138B1 (ko) 2011-12-21 2011-12-21 트윈 벨트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513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685B1 (ko) * 2013-05-10 2013-08-29 (주)선진종합 벨트 처짐 방지와 고속 이송을 위한 동력 전달 구조를 가지는 벨트컨베이어장치
KR20150073367A (ko) * 2013-12-23 2015-07-01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이송장치
KR20170070237A (ko) * 2014-10-22 2017-06-21 미들섹스 제네랄 인더스트리즈, 이이앤씨 깨끗한 환경들을 위한 대량의 컨베이어 이송 장치
KR101784229B1 (ko) 2016-12-29 2017-10-11 김봉심 개선된 컨베이어 장치
CN107555091A (zh) * 2017-09-15 2018-01-09 苏州欣航微电子有限公司 一种用于带式输送机的半自动输送装置
KR20180001628U (ko) * 2016-11-23 2018-05-31 김광수 컨베이어 중간 구동장치
CN110758999A (zh) * 2019-10-15 2020-02-07 中国矿业大学(北京) 一种并联永磁电机智能直驱式带式输送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0108U (ko) * 1979-09-04 1981-04-14
JP2002193423A (ja) * 2000-12-26 2002-07-10 Maruyasu Kikai Kk ベルトコンベア
KR20090007145U (ko) * 2008-01-10 2009-07-15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컨베이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0108U (ko) * 1979-09-04 1981-04-14
JP2002193423A (ja) * 2000-12-26 2002-07-10 Maruyasu Kikai Kk ベルトコンベア
KR20090007145U (ko) * 2008-01-10 2009-07-15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컨베이어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685B1 (ko) * 2013-05-10 2013-08-29 (주)선진종합 벨트 처짐 방지와 고속 이송을 위한 동력 전달 구조를 가지는 벨트컨베이어장치
KR20150073367A (ko) * 2013-12-23 2015-07-01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이송장치
KR101638503B1 (ko) 2013-12-23 2016-07-11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이송장치
KR20170070237A (ko) * 2014-10-22 2017-06-21 미들섹스 제네랄 인더스트리즈, 이이앤씨 깨끗한 환경들을 위한 대량의 컨베이어 이송 장치
KR102521513B1 (ko) * 2014-10-22 2023-04-14 미들섹스 제네랄 인더스트리즈, 이이앤씨 깨끗한 환경들을 위한 대량의 컨베이어 이송 장치
KR20180001628U (ko) * 2016-11-23 2018-05-31 김광수 컨베이어 중간 구동장치
KR101784229B1 (ko) 2016-12-29 2017-10-11 김봉심 개선된 컨베이어 장치
CN107555091A (zh) * 2017-09-15 2018-01-09 苏州欣航微电子有限公司 一种用于带式输送机的半自动输送装置
CN110758999A (zh) * 2019-10-15 2020-02-07 中国矿业大学(北京) 一种并联永磁电机智能直驱式带式输送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5138B1 (ko) 트윈 벨트 컨베이어
JP6706745B2 (ja) 移載装置
KR101559146B1 (ko) 방향전환을 위한 오토 디버터
US8474596B2 (en) Transfer conveying apparatus
US20060254883A1 (en) Chain-type conveyor having direction-changing roller
JP6140468B2 (ja) 被搬送物の方向転換装置
US9156618B2 (en) Plastic, modular and self-engaging bristle brush
JP6639613B2 (ja) 靴底の輸送機構
JP2007269495A (ja) パレットコンベアのための摩擦駆動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70055782A (ko) 컨베이어 벨트 주행 자동 조절장치
KR102108468B1 (ko) 복합물 이송용 컨베이어
US11685612B2 (en) Motorized transfer apparatus for conveyors of bulk objects
JP4217975B2 (ja) 搬送装置
JP2011251795A (ja) 搬送装置
CN109516119B (zh) 一种糖块链条输送装置
JPH1111632A (ja) ワーク搬送装置
JPH0948513A (ja) コンベヤ
CN209939609U (zh) 电池包输送机构及换电站
KR20080091567A (ko) 팔레트의 수평 이송식 컨베이어
JP5438318B2 (ja) 製品キャリアを前送りする装置のための構造要素及びそのような構造要素を備える装置
KR100525620B1 (ko) 파레트 순환 작업대
KR20200004064A (ko) 직각 방향의 전환구조를 갖는 컨베이어
KR20240010924A (ko) 다열 벨트 컨베이어
CN112573081B (zh) 一种智能控制用转运换向装置
JP5161659B2 (ja) 荷の移載装置及び自動倉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