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3367A -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3367A
KR20150073367A KR1020130160978A KR20130160978A KR20150073367A KR 20150073367 A KR20150073367 A KR 20150073367A KR 1020130160978 A KR1020130160978 A KR 1020130160978A KR 20130160978 A KR20130160978 A KR 20130160978A KR 20150073367 A KR20150073367 A KR 20150073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belt
shafts
drive
dri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0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8503B1 (ko
Inventor
이대래
김유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130160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503B1/ko
Publication of KR20150073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3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구동축, 상기 구동축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축, 상기 복수의 구동축 각각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구동축을 연결시켜주는 커플링, 및 상기 구동축과 상기 종동축을 감싸면서 구비되는 벨트를 포함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송장치{Transport Apparatus}
본 발명은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벨트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는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공정은 웨이퍼 절단, 칩 접착, 성형 및 최종검사 등의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 공정간 전용 장비 또는 장치에 공급될 반도체를 이송시키기 위해, 반도체를 박스에 수납하여 이송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박스들을 이송하기 위해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20-0451956에 개시된 것과 같은 컨베이어 타입의 이송장치를 사용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이송장치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구동축과 이에 연결되는 베어링의 정렬을 맞추거나 조립 공차를 조절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억지로 맞추면 구동축 끝단에 응력이 집중되어 구동축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구동축이 휘어져 베어링이 손상될 수 있고, 이에 소음이나 분진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송장치 조립시 구동축과 종동축이 평형을 이루지 못해 벨트의 사행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벨트 조절부를 이용하여 종동축의 평행을 맞추기 위해 종동축의 일단의 위치만 조절하면 종동축이 경사지게 되어 벨트가 한쪽으로 쏠릴 수 있다. 즉, 벨트의 장력을 유지하면서 벨트의 사행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동축과 종동축의 평행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20-0451956
본 발명은 구동축 또는 이와 연결되는 베어링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종동축을 평행하게 밀고 당길 수 있는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유지보수가 용이한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송장치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축, 상기 복수의 구동축 각각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구동축을 연결시켜주는 커플링, 및 상기 구동축과 상기 종동축을 감싸면서 구비되는 벨트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축의 상기 벨트와 접촉하는 부분이 라운드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커플링은 유연성을 가진다.
상기 벨트는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벨트는 상기 복수의 구동축을 각각 감싸면서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송장치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구동축과 연동되는 종동축, 상기 종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종동축을 지지하면서 이동시키는 지지대, 상기 구동축 및 상기 종동축을 감싸면서 구비되는 벨트, 및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고 상기 지지대의 위치를 조절하는 벨트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벨트조절부는, 하부가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지지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종동축의 연장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상기 종동축과 연결된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종동축의 일단 또는 양단과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와 상기 종동축이 상기 벨트조절부에 의해 함께 이동한다.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송장치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구동축과, 상기 복수의 구동축을 연결해주는 커플링, 상기 복수의 구동축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을 따라 회전하는 복수의 종동축, 상기 복수의 종동축과 결합되어 상기 종동축을 지지하면서 이동시키는 복수의 지지대, 상기 복수의 구동축 및 상기 복수의 종동축을 각각 감싸면서 구비되는 복수의 벨트, 및 상기 복수의 지지대와 연결되는 복수의 벨트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지지대는 상기 복수의 종동축을 각각 지지해준다.
상기 복수의 종동축은 각각 별도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는 복수의 구동축을 포함하고, 각각의 구동축은 커플링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구동축을 분해거나 설치할 때 이송장치를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 간단히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구동축의 분해조립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유연성을 가진 커플링이 구동축들을 연결시켜 구동축과 구동축 사이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커플링이 휘어지면서 제작 또는 조립 오차에 의해 구동축이나 베어링에 걸리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구동축이나 베어링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이나 분진이 감소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따른 이송장치는 종동축을 평행한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벨트를 조절할 때 종동축이 경사지게 되어 벨트가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벨트의 장력을 유지하면서 벨트의 사행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동축과 종동축의 평행을 유지시켜, 벨트의 갈림에 의한 분진발생 및 쏠림에 의한 협착이 개선될 수 있다. 이에, 이송장치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구동축을 나타내는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종동축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종동축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송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송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송장치(100)의 구동축(12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송장치(100)는, 이송물을 이송시키는 장치로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구동축(120)과, 상기 구동축(120)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120)의 회전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축(130), 상기 복수의 구동축(110) 각각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구동축(110)을 연결시켜주는 커플링(140), 및 상기 구동축(120)과 상기 종동축(130)을 감싸면서 구비되는 벨트(1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동축(120)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구동축(12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후술될 벨트(110)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서 구동축(120)은 제1 구동축(121)과 제2 구동축(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축(121)은 일단이 후술될 일측의 이송프레임(160)을 관통하여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기(17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구동축(121)의 일단에는 제1 베어링(121a)이 구비되어 일측의 이송프레임(160)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제2 구동축(122)은 일단이 제1 구동축(121)의 타단을 마주보고, 타단은 이송프레임(16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구동축(122)의 타단에는 제2 베어링(122a)이 구비되어 타측의 이송프레임(160)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커플링(140)은 제1 구동축(121)과 제2 구동축(122)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커플링(140)은 일단이 제1 구동축(121)의 타단과 결합되고, 타단이 제2 구동축(122)의 일단과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제1 구동축(121)과 제2 구동축(122)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구동축(121)이 구동기(170)에 의해 회전을 하면 커플링(140)이 제1 구동축(121)의 회전력을 제2 구동축(122)에 전달하여 제2 구동축(122)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커플링(140)은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커플링(140)이 유연성을 가지면, 제1 구동축(121)과 제2 구동축(122) 사이에 비틀림이 발생하더라도 커플링(140)이 휘어져 비틀림으로 인해 제1 구동축(121)과 제2 구동축(122)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장치(100)를 조립하는 경우, 구동축(120)과 베어링(121a,122a)을 정렬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구동축(120)을 억지로 베어링(121a,122a)에 끼워 이송장치(100)를 작동시키면, 구동축(120)의 모서리부분에 응력이 집중되어 구동축(120)에 균열에 발생하거나 베어링(121a,122a)이 손상될 수 있다. 그러나, 커플링(140)이 유연성을 가지고 있어 상기의 응력을 흡수하기 때문에, 구동축(120)이나 베어링(121a,122a)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구동축(121)과 제2 구동축(122)으로부터 커플링(140)을 분리하면, 제1 구동축(121)과 제2 구동축(122)을 이송프레임(160)으로부터 분리하기가 용이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구동축(121) 또는 제2 구동축(122)이 파손되어 수리나 교체시 제1 구동축(121) 또는 제2 구동축(122)을 용이하게 분리조립할 수 있다. 또한, 구동축(120)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더라도 전체를 교환하지 않고 파손된 부분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구동축(120)의 후술될 벨트(110)와 접촉하는 부분이 라운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구동축(120)의 벨트(110)와 접촉하는 부분만 원호처럼 볼록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즉, 크라운처리될 수 있다). 구동축(120)의 이러한 형상으로 형성되면, 벨트(110)가 구동축(120)에 의해 움직이면서 원심력에 의해 구동축(120)의 볼록한 부분의 중심부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벨트(110)의 사행이 발생하더라도 구동축(120)의 형상 때문에, 벨트(110)가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그러나, 구동축(120)과 커플링(140)의 구조와 형상 배치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또한, 구비되는 구동축(120)의 개수도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송장치(100)의 종동축(130)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송장치(100)의 종동축(130)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a 또는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송장치(10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축(120)과, 상기 구동축(120)과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구동축(120)과 연동되는 종동축(130), 상기 종동축(130)과 연결되어 상기 종동축(130)을 지지하면서 이동시키는 지지대(190), 상기 구동축(120) 및 상기 종동축(130)을 감싸면서 구비되는 벨트(110), 및 상기 지지대(190)와 연결되고 상기 지지대(190)의 위치를 조절하는 벨트조절부(150)를 포함한다. 또한, 이송장치(100)는 상기 구동축(120)과 연결되는 구동기(170)와, 한 쌍의 이송프레임(160), 및 텐션롤러(1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종동축(130)은 구동축(120)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하나만 구비되거나 구동축(120)이 구비되는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종동축(13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벨트(110)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축(120)이 제1 구동축(121)과 제2 구동축(122)을 포함하면, 종동축(130)은 단일로 형성되거나 제1 종동축(131)과 제2 종동축(132)을 포함할 수 있다. 종동축(130)이 두 개가 구비되는 경우, 제1 종동축(131)은 일단이 후술될 제1 지지대(191)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제2 종동축(132)은 일단이 제1 종동축(131)의 일단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제2 지지대(192)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종동축(130)의 구조와 형상 및 구비되는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지지대(190)는, 제1 종동축(131)과 결합되는 제1 지지대(191)와, 제2 종동축(132)과 결합되는 제2 지지대(19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90)는 종동축(130)의 하측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종동축(130)의 연장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종동축(130)과 결합된다. 만약 지지대(190)가 수직되지 않고 기울어져서 종동축(130)을 지지한다면, 지지대(190)가 종동축(190)을 지지해주는 방향과 종동축(130)에 작용하는 위치 에너지의 방향이 달라 지지대(190)가 종동축(130)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주지 못할 수 있다. 반대로, 지지대(190)가 수직되는 방향으로 종동축(130)을 지지해준다면, 지지대(190)가 종동축(130)을 지지해주는 방향과 종동축(130)의 위치 에너지가 서로 마주보면서 작용하기 때문에, 지지대(190)가 효과적으로 종동축(130)을 지지해줄 수 있다.
이때, 지지대(190)는 종동축(130)의 일단 또는 양단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대(190)가 종동축(130)의 일단에만 결합되면 외팔모양으로 형성되어 종동축(130)을 지지해줄 수 있다. 따라서, 지지대(190)가 종동축(130)의 양단과 결합되어 양팔로 종동축(130)을 지지할 때보다 더 좁은 공간에서도 지지대(190)를 설치할 수 있어 공간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90)가 벨트(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지지대(190)가 이동하면 이와 결합된 종동축(130)도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종동축(130)의 일단만 지지대(190)와 결합되어 있어 종동축(130)의 타단도 일단을 따라 함께 이동하여 종동축(130)이 평행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하지만, 지지대(190)가 종동축(130)의 일단만 지지해주기 때문에, 종동축(130)의 타단이 기울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후술될 이송프레임(160)에 종동축(130)의 타단을 지지할 수 있는 가이드 홈(161)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지지대(190)의 이동방향으로 가이드 홈(161)이 형성되어 종동축(130)의 타단을 지지해주면서, 종동축(130)의 타단이 지지대(161)의 이동방향으로만 이동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지지대(190)가 종동축(130)의 양단과 결합되어 종동축(130)을 이동시키는 경우, 지지대(190)가 종동축(130)의 일단만 지지해줄 때보다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지지대(190)가 종동축(130)의 양단부를 지지해주면, 공간의 효율성은 감소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설비를 작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지지대(190)의 구조와 형상 및 배치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그리고, 벨트조절부(150)는 종동축(130)과 일대일 대응되게 제공되어, 지지대(190)와 종동축(130)이 벨트조절부(150)에 의해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즉, 한 개의 종동축(130) 하나 당 하나의 벨트조절부(150)로서 종동축(130) 위치를 벨트(110)의 이동방향에 수직하게 제어함으로써, 종래 기술에서 종동축(130) 양측에서 별도로 종동축(130)의 위치를 독립적으로 변화시킴에 따라 벨트(110)가 사행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지지대(190)와 연결되어 지지대(19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벨트조절부(150)는 고정부재(152)와 조절부재(151)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152)는 지지대(190)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그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52)는 사각통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서는 고정부재(152)가 구동축(120)과 종동축(130) 사이에 구비되어 종동축(130)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152)를 바닥에 고정하기 위해 볼트로 바닥면과 체결할 수 있다. 그러나, 고정부재(152)의 형상과 구조 및 배치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조절부재(151)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긴 막대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구비되는 고정부재(152)의 개수만큼 구비되어 각각의 고정부재(152)와 연결될 수 있다. 조절부재(151)는 벨트(1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지지대(190)와 고정부재(152) 사이에 구비되어, 지지대(190)와 고정부재(15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조절부재(151)는 벨트(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이와 연결된 지지대(190)를 벨트(110)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지대(190)와 결합된 종동축(130)도 벨트(110)의 이동방향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양단부가 평행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종동축(130)의 양단이 평행하지 못해 이를 감싸는 벨트(110)가 갈림에 의해 분진을 발생시키거나 쏠림에 의해 협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지지대(191,192)의 위치를 별도로 조절할 수 있어 상황에 맞게 각각의 지지대(191,19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부재(151)의 일단이 지지대(190)에 결합되고, 타단이 고정부재(152)를 관통할 수 있다. 이때, 조절부재(151)의 타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내부에 상기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텐션볼트(153)가 조절부재(151)의 타단에 체결될 수 있다. 즉, 텐션볼트(153)가 지지대(192)와 고정부재(152) 사이에 배치되어 일면이 고정부재(152)와 접촉할 수 있다. 이에, 텐션볼트(153)를 조이면, 조절부재(151)가 구동축(12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와 결합된 지지대(190)를 구동축(120)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반대로, 텐션볼트(153)를 풀어주면, 고정부재(152)와 지지대(190) 사이가 멀어질 수 있다. 따라서, 조절부재(151)에 의해 종동축(130)의 위치가 변하여 이를 감싸는 벨트(110)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90)가 이동하면서 종동축(130) 전체를 이동시키기 때문에, 종래의 방법으로 종동축(130)의 일단과 타단을 별도를 이동시켜 벨트(110)를 조절할 때보다 안정적으로 벨트(110)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종동축(130)의 양단부가 평행한 상태에서 지지대(190)에 의해 이동하기 때문에, 종동축(130)의 일단과 타단의 위치가 불균형을 이루어 벨트(110)가 사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조절부재(151)의 구조와 형상 및 지지대(190)와 고정부재(15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벨트(11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구동축(120)과 종동축(130)을 감싸면서 구비된다. 이에, 벨트(110)는 구동축(120)의 회전하면 구동축(120)의 회전력을 종동축(130)에 전달해 회전시키면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벨트(110) 상에 이송물을 올려두면 벨트(110)가 이동하면서 이송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벨트(110)는 구동축(120)이 구비되는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즉, 하나의 통벨트 대신 복수개의 띠벨트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구동축(121)과 제1 종동축(131)을 감싸는 벨트(110)와 제2 구동축(122)과 제2 종동축(132)을 감싸는 벨트(11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통벨트에서 띠벨트를 이용하기 때문에, 벨트(110)의 제작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벨트(110)의 폭이 좁아졌기 때문에, 벨트(110)의 사행이 발생할 위험성이 감소할 수 있다. 그러나, 구비되는 벨트(11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텐션롤러(180)는 벨트(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군데군데 배치되고, 벨트(110)와 접촉할 수 있다. 이에, 텐션롤러(180)는 벨트(110)의 텐션을 부여하거나 텐션을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송프레임(160)은 벨트(110)를 사이에 두고, 벨트(110)의 양측에 한 쌍이 구비된다. 또한, 이송프레임(160)의 내부에는 구동기(170) 등의 부품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소정의 배선(미도시)이 수납될 수 있다. 이때, 이송프레임(160)의 내부에 종동축(130)의 일부가 수납될 수 있는 가이드 홈(16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서 이송프레임(160)의 가이드 홈(161)은 벨트(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종동축(130)의 타단을 지지해주면서 종동축(130)이 벨트(1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만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즉, 일측 이송프레임(160)의 가이드 홈(160)에는 제1 종동축(131)의 타단이 수납될 수 있고, 타측 이송프레임(160)의 가이드 홈(161)에는 제2 종동축(132)의 타단이 수납될 수 있다.
가이드 홈(161)이 벨트(11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형성되기 때문에, 종동축(130)이 벨트조절부(150)에 의해 이동할 때, 벨트(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종동축(130)의 일단만 외팔로 형성된 지지대(190)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한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지만, 종동축(130)의 타단이 이송프레임(160)의 가이드 홈(161)에 의해 지지되어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송프레임(160)의 구조와 배치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송장치(100)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송장치(100)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송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동축(120)과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종동축(130)을 함께 구비할 수 있다. 즉,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구동축(120)과, 상기 복수의 구동축(120)을 연결해주는 커플링(140), 상기 복수의 구동축(120)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120)을 따라 회전하는 복수의 종동축(130), 상기 복수의 종동축(130)과 결합되어 상기 종동축(130)을 지지하면서 이동시키는 복수의 지지대(190), 상기 복수의 구동축(120) 및 상기 복수의 종동축(130)을 각각 감싸면서 구비되는 복수의 벨트(110), 및 상기 복수의 지지대(190)와 연결되는 복수의 벨트조절부(180)를 포함한다. 이에, 복수의 지지대(190)가 복수의 종동축(130)을 각각 지지해줄 수 있어, 복수의 종동축(130)이 각각 별도로 위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이송장치(10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배치하거나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이송장치 110: 벨트
120: 구동축 130: 종동축
140: 커플링 150: 벨트조절부
170: 구동기

Claims (11)

  1.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구동축;
    상기 구동축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축;
    상기 복수의 구동축 각각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구동축을 연결시켜주는 커플링; 및
    상기 구동축과 상기 종동축을 감싸면서 구비되는 벨트;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상기 벨트와 접촉하는 부분이 라운드형태로 형성되는 이송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은 유연성을 가지는 이송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벨트는 상기 복수의 구동축을 각각 감싸면서 설치되는 이송장치.
  5.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과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구동축과 연동되는 종동축;
    상기 종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종동축을 지지하면서 이동시키는 지지대;
    상기 구동축 및 상기 종동축을 감싸면서 구비되는 벨트; 및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고 상기 지지대의 위치를 조절하는 벨트조절부;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벨트조절부는, 하부가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지지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종동축의 연장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상기 종동축과 연결되는 이송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종동축의 일단 또는 양단과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와 상기 종동축이 상기 벨트조절부에 의해 함께 이동하는 이송장치.
  9.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구동축;
    상기 복수의 구동축을 연결해주는 커플링;
    상기 복수의 구동축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을 따라 회전하는 복수의 종동축;
    상기 복수의 종동축과 결합되어 상기 종동축을 지지하면서 이동시키는 복수의 지지대;
    상기 복수의 구동축 및 상기 복수의 종동축을 각각 감싸면서 구비되는 복수의 벨트; 및
    상기 복수의 지지대와 연결되는 복수의 벨트조절부;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대는 상기 복수의 종동축을 각각 지지해주는 이송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종동축은 각각 별도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송장치.
KR1020130160978A 2013-12-23 2013-12-23 이송장치 KR101638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978A KR101638503B1 (ko) 2013-12-23 2013-12-23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978A KR101638503B1 (ko) 2013-12-23 2013-12-23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3367A true KR20150073367A (ko) 2015-07-01
KR101638503B1 KR101638503B1 (ko) 2016-07-11

Family

ID=53786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0978A KR101638503B1 (ko) 2013-12-23 2013-12-23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85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32705A (zh) * 2020-03-30 2020-06-26 太原科技大学 一种新型长距离封闭型输送机张紧装置
KR102272913B1 (ko) * 2020-01-23 2021-07-06 (주)일신오토클레이브 전기식 액추에이터를 이용하는 초고압 나노소재용 분산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7622U (ja) * 1992-03-23 1993-10-22 中央発條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カップリング
JPH08301425A (ja) * 1995-05-09 1996-11-19 Murata Mach Ltd 物品搬送コンベア
JP2003237925A (ja) * 2002-02-13 2003-08-27 Ishikawajima Constr Mach Co コンベヤベルトのテークアップ装置
KR200451956Y1 (ko) 2008-10-07 2011-01-27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이송장치
KR101225138B1 (ko) * 2011-12-21 2013-01-22 유니베어(주) 트윈 벨트 컨베이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7622U (ja) * 1992-03-23 1993-10-22 中央発條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カップリング
JPH08301425A (ja) * 1995-05-09 1996-11-19 Murata Mach Ltd 物品搬送コンベア
JP2003237925A (ja) * 2002-02-13 2003-08-27 Ishikawajima Constr Mach Co コンベヤベルトのテークアップ装置
KR200451956Y1 (ko) 2008-10-07 2011-01-27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이송장치
KR101225138B1 (ko) * 2011-12-21 2013-01-22 유니베어(주) 트윈 벨트 컨베이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913B1 (ko) * 2020-01-23 2021-07-06 (주)일신오토클레이브 전기식 액추에이터를 이용하는 초고압 나노소재용 분산장치
CN111332705A (zh) * 2020-03-30 2020-06-26 太原科技大学 一种新型长距离封闭型输送机张紧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8503B1 (ko) 2016-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64381B2 (ja) 半導体素子テストハンドラの素子搬送装置
JP6140468B2 (ja) 被搬送物の方向転換装置
KR101960679B1 (ko) 가이드휠을 장착한 롤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팰릿 이송 시스템
US20080152465A1 (en) Transportation apparatus and tension adjustment method of belt in the same
KR101638503B1 (ko) 이송장치
JP2014152024A (ja) 被搬送物の方向転換装置
KR100978853B1 (ko) 기판 이송 장치 및 그의 사이드 롤러 구동 방법
KR101583475B1 (ko) 탄성수단을 이용한 기판 이송 안내 장치
KR101479871B1 (ko) 벤딩기
JP5990914B2 (ja) 搬送装置
KR100560959B1 (ko) 기판이송축의 처짐방지용 마그네트 베어링이 구비된기판반송장치
JP6439379B2 (ja) 基板加工装置
KR101504970B1 (ko) 운송장치
JP2013249172A (ja) 搬送装置
JP2009107802A (ja) 搬送計量装置
KR102400552B1 (ko) 기판 이송 스테이지, 이를 포함하는 스크라이빙 장치 및 기판 이송 방법
KR101145199B1 (ko) 이송장치
KR101401541B1 (ko) 기판 이송장치
JP2015136262A (ja) ケーブル搬送装置
TWI750006B (zh) 皮帶輸送系統及其皮帶偏斜調整裝置
KR101894476B1 (ko) 기판 정렬 투입장치
KR20140051765A (ko) 틀어짐을 보정하는 8축 이송로봇
KR102223593B1 (ko) 스테이지 경사 조절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기판 분단 장치
JP2016518294A (ja) ロールを用いた原紙の左右張力の自動均衡合わせ装置
CN212100834U (zh) 传输装置及分拣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