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956Y1 -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이송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1956Y1 KR200451956Y1 KR2020080013393U KR20080013393U KR200451956Y1 KR 200451956 Y1 KR200451956 Y1 KR 200451956Y1 KR 2020080013393 U KR2020080013393 U KR 2020080013393U KR 20080013393 U KR20080013393 U KR 20080013393U KR 200451956 Y1 KR200451956 Y1 KR 20045195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veyor belt
- transfer
- side wall
- pair
- support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2—Individual load-carri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 B65G17/08—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the surface being formed by the traction el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8—Chains or like traction elements; Connections between traction elements and load-carriers
- B65G17/40—Chains acting as load-carri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65G2203/0275—Damage on the load carri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2—Chain pin re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이송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이송장치는, 피이송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부; 및 이송부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이송부의 작동을 위한 배선이 수납되는 배선수납부를 구비한 이송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피이송물을 용이하게 이송시키기 위한 본연의 기능은 수행하면서도 단순하고도 효율적인 구조로 이송부의 작동을 위한 배선이 적절하게 수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리되지 못하고 장치의 외측으로 늘어진 배선 등으로 인해 주변 구조물 또는 주변의 작업자와의 간섭이 발생되어 안전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이송물을 용이하게 이송시키기 위한 본연의 기능은 수행하면서도 단순하고도 효율적인 구조로 이송부의 작동을 위한 배선이 적절하게 수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리되지 못하고 장치의 외측으로 늘어진 배선 등으로 인해 주변 구조물 또는 주변의 작업자와의 간섭이 발생되어 안전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송장치란 피이송물을 이송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피이송물이란 반도체 PCB 수납용 메거진을 가리킨다. 메거진이란 일정한 박스(box) 형상의 구조물로서 그 내부에는 층별로 다수의 반도체 PCB가 수납된다.
통상의 반도체 공정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면, 반도체 공정은 웨이퍼(wafer) 절단(Sawing), 칩 접착(Die Attatch), 성형(Molding) 및 최종검사(Final Test)의 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각 공정간 전용 장비(장치)에 공급될 메거진을 이송시키기 위해 이송장치가 사용된다. 다시 말해, 이송장치는 공정간, 특히 후공정간 피이송물인 메거진을 운반하는 장치이다.
한편, 메거진을 이송하는 이송장치로는 스테이지 타입의 이송장치와, 롤러 타입의 이송장치와, 컨베이어 타입의 이송장치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들 이송장치는 나름대로의 장단점을 가지고 반도체 공정에 선택 적용되고 있다.
이송장치 중에서 특히, 컨베이어 타입의 이송장치는, 폐루프 형태로 이루어진 컨베이어 벨트의 양단에 구동 및 피동 스프로켓을 장착하고, 구동 스프로켓에 동력전달원인 모터를 장착하여 모터에 의한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 운동에 기초하여 메거진을 이송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컨베이어 타입의 이송장치는, 반도체 공정에서 해당 공정에 맞게 널리 사용되고 있다. 롤러 타입의 이송장치 역시, 컨베이어 벨트를 다수의 롤러로 적용한 것 외에는 컨베이어 타입의 이송장치와 구조 및 동작이 거의 유사하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이송장치의 경우에는, 피이송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극히 단순한 구조, 즉 피이송물이 실질적으로 접촉되어 이송되는 컨베이어 벨트나 혹은 롤러와, 이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등을 적용한 단순 구조를 개시하고 있을 뿐, 예컨대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모터에 연결하는 전력선, 이송장치의 주변에 마련될 수 있는 실린더로의 유압을 전달하기 위한 유압선, 센서 등의 연결을 위한 연결선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송부와 연결되거나 혹은 피이송물의 이송과 관련된 여러 부품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배선(이하, 이들의 선을 통틀어 배선이라 함)을 수납시키기 위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배선 처리에 다소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정리되지 못한 배선으로 인해 주변 구조물 또는 주변의 작업자와의 간섭이 발생되어 안전사고로 이어질 우려가 높은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피이송물을 용이하게 이송시키기 위한 본연의 기능은 수행하면서도 단순하고도 효율적인 구조로 이송부의 작동을 위한 배선이 적절하게 수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리되지 못하고 장치의 외측으로 늘어진 배선 등으로 인해 주변 구조물 또는 주변의 작업자와의 간섭이 발생되어 안전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피이송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이송부의 작동을 위한 배선이 수납되는 배선수납부를 구비한 이송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프레임은, 상기 이송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이송부의 양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측벽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측벽프레임을 연결지지하는 연결지지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프레임 각각은, 적어도 일면이 개방된 고정프레임부; 상기 고정프레임부의 개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고정프레임부와의 사이에 상기 배선수납부를 형성하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부와 상기 커버부 중 어느 하나에는 후크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후크가 맞물림 결합되는 후크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는 상기 고정프레임부를 향한 상기 커버부의 내면 양측에 상기 고 정프레임부를 향해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측벽프레임에서, 상기 이송부의 최상단 표면보다 상방으로 더 높게 배치된 구간은 상기 이송부를 통한 상기 피이송물의 이송 시 상기 피이송물의 경로이탈을 방지시키는 경로이탈방지구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측벽프레임에는 다수의 더미공간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피이송물이 접촉되어 이송되는 폐루프 형상의 컨베이어 벨트;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양단에 결합되는 구동 및 피동 스프로켓; 및 상기 구동 스프로켓에 결합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지지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벽프레임이 접하는 영역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연결지지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벽프레임에 각각 대면하는 다수의 브래킷; 및 상기 다수의 브래킷을 통해 상기 연결지지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벽프레임에 각각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지지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벽프레임에는 상기 체결볼트가 체결되는 볼트 체결용 슬롯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지지프레임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내부에서 상면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폐루프 형상의 컨베이어 벨트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지지프레임의 단부 영역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지지프레임의 단부 영역에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접촉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파손되는 것을 저지 하는 벨트 가이드용 단부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벨트 가이드용 단부캡에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접촉되는 영역은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와 접촉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텐션을 유지시키는 다수의 텐션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이송프레임은 압출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피이송물은 반도체 PCB 수납용 메거진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피이송물을 용이하게 이송시키기 위한 본연의 기능은 수행하면서도 단순하고도 효율적인 구조로 이송부의 작동을 위한 배선이 적절하게 수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리되지 못하고 장치의 외측으로 늘어진 배선 등으로 인해 주변 구조물 또는 주변의 작업자와의 간섭이 발생되어 안전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면 대비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될 피이송물이란, 반도체 PCB 수납용 메거진을 가리키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고정프레임부에 대해 커버부가 개방된 상태의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는, 피이송물인 반도체 PCB 수납용 메거진(미도시)을 이송시키는 이송부(100, 도 1 참조)와, 이송부(100)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메거진의 이송과 관련된 부품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소정의 배선(미도시)이 수납되는 배선수납부(150a)를 구비한 이송프레임(150)을 포함한다.
우선, 본 실시예에서 이송부(100)는, 컨베이어 타입으로 마련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이송부(100)는, 실질적으로 메거진이 접촉되어 이송되는 폐루프 형상의 컨베이어 벨트(111)와, 컨베이어 벨트(111)의 양단에 결합되는 구동 및 피동 스프로켓(112,113)과, 구동 스프로켓(112)에 결합되어 컨베이어 벨트(111)의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14)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모터(114)에 전원이 인가되어 모터(114)가 동작되면, 모터(114)의 회전 동력은 구동 스프로켓(112)으로 전달된 후, 최종적으로 구동 스프로켓(112)과 피동 스프로켓(113)에 폐루프 형상으로 권취된 컨베이어 벨트(111)로 전달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111)에 놓인 메거진은 컨베이어 벨트(111)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이송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이송부(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반도체 PCB가 수납된 메거진 을 이송시키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데, 메거진은 그 자체적인 중량도 높지만 그 내부에 많은 수의 반도체 PCB가 수납된 경우, 전체적인 중량이 더더욱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 단순히 컨베이어 벨트(111)에 의해 메거진을 지지시켜 메거진을 이송시키게 되면, 컨베이어 벨트(111)가 메거진의 전체 하중에 의해 늘어나거나 처질 수 있다. 이를 저지하기 위해, 이송부(100)에는 컨베이어 벨트(111)와 접촉되어 컨베이어 벨트(111)의 텐션을 유지시키는 다수의 텐션롤러(115, 도 1 확대 참조)가 더 구비된다.
다수의 텐션롤러(115)는 컨베이어 벨트(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컨베이어 벨트(111)의 군데군데 배치되어 컨베이어 벨트(111)에 텐션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이송프레임(150)은, 이송부(100)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메거진의 이송과 관련된 부품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소정의 배선(미도시)이 수납되는 장소로 사용된다. 물론, 이러한 역할 외에도 이송프레임(150)은 이송부(100)를 지지하거나, 본 실시예의 이송장치를 다른 장치, 혹은 다른 구조물과 연결하기 위한 장소로 활용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를 주로 참조하면, 이러한 이송프레임(150)은, 이송부(100)를 사이에 두고 이송부(100)의 양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측벽프레임(160)과, 한 쌍의 측벽프레임(160)을 연결지지하는 연결지지프레임(170)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이송프레임(150)은 압출성형에 의해 압출재로 제작된다. 이처럼 이송프레임(150)이 압출재로 제작됨에 따라 연속 생산이 가능하고, 원하는 길이 및 형상에 적응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이송프레임(150)의 각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우선 한 쌍의 측벽프레임(160)은, 이송부(100)를 사이에 두고 이송부(100)의 양측에 각각 마련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한 쌍의 측벽프레임(160)에 모두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이러한 한 쌍의 측벽프레임(160)은, 적어도 일면이 개방된 고정프레임부(161)와, 고정프레임부(161)의 개방부(16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프레임부(161)와의 사이에 배선수납부(150a)를 형성하는 커버부(163)를 구비한다.
고정프레임부(161)에 대한 커버부(163)의 착탈 결합을 위해, 고정프레임부(161)의 개방부(162) 영역에는 후크걸림부(161a)가 형성되고, 고정프레임부(161)를 향한 커버부(163)의 내면 양측에는 고정프레임부(161)를 향해 돌출되게 후크(163a)가 마련된다. 이러한 후크(163a)와 후크걸림부(161a)의 구조로 인해, 커버부(163)는 고정프레임부(161)의 개방부(162) 영역에서 착탈될 수 있다.
하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고정프레임부(161)에 후크(163a)를, 그리고 커버부(163)에 후크걸림부(161a)를 형성해도 무방하다. 뿐만 아니라 고정프레임부(161)에 대한 커버부(163)의 착탈 결합 구조는 이와 같은 후크 조립식에서 벗어나 압입식, 혹은 볼트결합식 구조로 변경 적용되어도 좋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도 4와 같이, 고정프레임부(161)의 개방부(162)에 대해 커버부(163)를 분리한 후, 배선수납부(150a)에 배선 등을 수납하고, 도 3과 같이, 다시 고정프레임부(161)의 개방부(162)에 대해 커버부(163)를 결합시킴으로써, 종래와 같이 정리되지 못하고 장치의 외측으로 늘어진 배선 등으로 인해 주변 구조물 또는 주변의 작업자와의 간섭이 발생되어 안전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나아가 심플하고도 콤팩트한 외관을 제공하여 제품으로서의 가치를 종래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배선이라 함은, 주로 이송부(100)의 일 구성인 모터(115)에 전원을 연결하기 위해 모터(115)에 연결한 전력선이 될 수 있으나, 이에 더하여 이송장치의 주변에 마련될 수 있는 실린더(미도시)로의 유압을 전달하기 위한 유압선, 센서(미도시) 등의 연결을 위한 연결선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송부(100)와 직접 연결되거나 혹은 피이송물인 메거진의 이송과 관련된 부품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배선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배선수납부(150a)의 공간이 충분하다면, 배선 외에도 이송장치와 관련된 소규모 부품이나 물건 등을 수납할 수도 있을 것이다.
계속해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송부(100)의 양측에 마련된 한 쌍의 측벽프레임(160)은, 그 상부의 구간이 이송부(100)의 최상단 표면인 컨베이어 벨트(111)의 표면보다 더 높게 배치되어 있다.
이처럼 한 쌍의 측벽프레임(160)에서 이송부(100)의 최상단 표면인 컨베이어 벨트(111)의 표면보다 상방으로 더 높게 배치된 구간은, 이송부(100)를 통한 메거진의 이송 시 메거진의 경로이탈을 방지시키는 경로이탈방지구간(H, 도 3 참조)을 형성한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측벽프레임(160)을 이송부(100)의 양측에 설치함에 있어, 한 쌍의 측벽프레임(160)의 상부 영역 즉 경로이탈방지구간(H)만큼이 이송부(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이송부(100)의 벽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이송부(100)를 통한 메거진의 이송 시 메거진의 경로이탈을 방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경로이탈방지구간(H)은 대략 80 mm 내지 90 mm 정도의 높이를 갖도록 설계된다. 즉 컨베이어 벨트(111)의 표면에서부터 한 쌍의 측벽프레임(160)의 상단부 영역까지의 높이가 대략 80 mm 내지 90 mm 정도가 되도록 함으로써 경로이탈방지구간(H)을 형성하고 있다. 이정도의 높이로서 경로이탈방지구간(H)을 형성하게 되면, 메거진의 이송 시 메거진이 경로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본연의 역할 외에도 메거진이 쓰러지는 것을 저지할 수 있으며, 설사 메거진이 기울어져 메거진 내에 수납된 PCB에 충격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제품에 손상을 주지 않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될 필요가 없으므로 경로이탈방지구간(H)의 높이는 위의 수치에 반드시 국한될 필요는 없다.
한 쌍의 측벽프레임(160)에서, 배선수납부(150a)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다수의 더미공간부(150b,510c,150d)가 더 형성된다.
이 더미공간부(150b,510c,150d)들 중 어느 하나는 다른 배선을 수납시키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될 수도 있고, 혹은 본 이송장치를 다른 이송장치, 혹은 주변의 구조물과 결합, 연결시키기 위한 장소로 이용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고안의 권 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더미공간부(150b,510c,150d)들이 반드시 형성될 필요는 없는 것이다.
한편, 연결지지프레임(170)은, 이송부(100)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측벽프레임(160)을 연결하면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연결지지프레임(170)을 통해 한 쌍의 측벽프레임(160)이 연결지지될 수 있도록 연결지지프레임(170)은 대략 'ㄷ'자 구조를 갖는 판 구조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연결지지프레임(170)에서 대부분의 넓은 면은 컨베이어 벨트(111)와 나란하게 배치되지만, 양단부에서 절곡된 부분은 한 쌍의 측벽프레임(160)에 접면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연결지지프레임(170)과 한 쌍의 측벽프레임(160)이 접할 경우, 연결지지프레임(170)과 한 쌍의 측벽프레임(160)이 접하는 영역에는 연결지지프레임(170)과 한 쌍의 측벽프레임(160)에 각각 대면하는 다수의 브래킷(172)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적용되고 있는 브래킷(172)은 대략 'ㄱ'자 구조를 갖는데, 상면은 연결지지프레임(170) 측에, 측면은 한 쌍의 측벽프레임(160) 측에 접면되며, 이 상태에서 다수의 체결볼트(174)가 체결됨으로써 브래킷(172)으로 하여금 연결지지프레임(170)이 한 쌍의 측벽프레임(160)을 연결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구조상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연결지지프레임(170)과 한 쌍의 측벽프레임(160)에는 체결볼트(174)가 체결되는 볼트 체결용 슬롯 부(174a,174b)가 더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측벽프레임(160)을 연결지지하는 연결지지프레임(170)의 위치에 대해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서 연결지지프레임(170)은 컨베이어 벨트(100)의 내부에서 그 상면이 컨베이어 벨트(10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폐루프 형상의 컨베이어 벨트(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연결지지프레임(170)은 한 쌍의 측벽프레임(160)을 연결지지하는 역할 외에도 컨베이어 벨트(100)가 메거진의 중량에 의해 처지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을 겸하게 된다.
한편,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이송프레임(150)은 압출성형에 의해 압출재로 제작되므로, 이송프레임(150)의 일 구성인 연결지지프레임(170) 역시 압출재로 제작된다.
이처럼 연결지지프레임(170)이 압출재로 제작되는 경우, 연속 제작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기는 하지만, 압출성형의 특성 상 연결지지프레임(170)의 단부는 매끄럽지 않은 표면을 형성하게 된다. 만약, 연결지지프레임(170)의 단부가 날카로운 표면을 형성하는 경우, 연결지지프레임(170)이 컨베이어 벨트(100)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컨베이어 벨트(100)를 지지하게 되면, 컨베이어 벨트(100)가 연결지지프레임(170)의 단부에 접촉되어 파손되거나 손상될 우려가 높다.
이에, 이러한 현상을 저지시키기 위해, 벨트 가이드용 단부캡(180)이 더 마련된다. 도 1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 가이드용 단부캡(180)은 연결지지프레임(170)의 단부에 결합되어 컨베이어 벨트(100)가 파손되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벨트 가이드용 단부캡(180)에서 컨베이어 벨트(100)가 접촉되는 영역은 라운딩 처리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100)의 파손을 저지함과 아울러 컨베이어 벨트(100)의 안정적이고도 용이한 가이드 역할을 겸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이송장치의 작용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컨베이어 타입의 이송부(100)와, 이송부(100)의 양측에 이송프레임(150)을 결합시켜 장치를 조립한 후, 도 4와 같이, 고정프레임부(161)의 개방부(162)에 대해 커버부(163)를 분리한다.
그런 다음, 배선수납부(150a)에 배선 등을 수납하고, 도 3과 같이, 다시 고정프레임부(161)의 개방부(162)에 대해 커버부(163)를 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배선을 정리하게 되면, 종래와 같이 정리되지 못하고 장치의 외측으로 늘어진 배선 등으로 인해 주변 구조물 또는 주변의 작업자와의 간섭이 발생되어 안전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나아가 심플하고도 콤팩트한 외관을 제공하여 제품으로서의 가치를 종래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업이 완료된 후, 모터(114)에 전원이 인가되어 모터(114)가 동작되면, 모터(114)의 회전 동력은 구동 스프로켓(112)으로 전달된 후, 최종적으로 구동 스프로켓(112)과 피동 스프로켓(113)에 폐루프 형상으로 권취된 컨베이어 벨트(111)로 전달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111)에 놓인 메거진은 컨베이어 벨트(111)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이송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피이송물인 메거진을 용이하게 이송시키기 위한 본연의 기능은 수행하면서도 단순하고도 효율적인 구조로 이송부(100)의 작동을 위한 배선이 적절하게 수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리되지 못하고 장치의 외측 으로 늘어진 배선 등으로 인해 주변 구조물 또는 주변의 작업자와의 간섭이 발생되어 안전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연결지지프레임(170)이 대략 'ㄷ'자 형태의 판 구조체로 적용되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연결지지프레임(170a)이 봉 형태로 적용되고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연결지지프레임(170a)이 봉 형태로 적용된다 하더라도, 한 쌍의 측벽프레임(160)을 연결지지하는 역할과, 컨베이어 벨트(111)를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데에는 아무런 무리가 없다.
특히, 본 실시예와 같이 연결지지프레임(170a)이 봉 형태로 적용되는 경우라면,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컨베이어 벨트(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길게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컨베이어 벨트(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헐적으로 몇 군데 마련하는 것으로도 충분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고정프레임부에 대해 커버부가 개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송부 111 : 컨베이어 벨트
150 : 이송프레임 150a : 배선수납부
160 : 측벽프레임 161 : 고정프레임부
163 : 커버부 170 : 연결지지프레임
172 : 브래킷 174 : 체결볼트
180 : 벨트 가이드용 단부캡 240 : 개별구동모터
Claims (14)
- 피이송물이 접촉되어 이송되는 폐루프 형상의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양단에 결합되는 구동 및 피동 스프로켓과, 상기 구동 스프로켓에 결합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구비하며, 피이송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상기 이송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이송부의 양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측벽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벽프레임을 연결지지하는 연결지지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이송부에 인접하게 마련되고 상기 이송부의 작동을 위한 배선이 수납되는 배선수납부를 구비한 이송프레임; 및상기 연결지지프레임의 단부 영역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지지프레임의 단부 영역에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접촉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파손되는 것을 저지하는 벨트 가이드용 단부캡을 포함하며,상기 벨트 가이드용 단부캡에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접촉되는 영역은 라운딩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측벽프레임 각각은,적어도 일면이 개방된 고정프레임부;상기 고정프레임부의 개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고정프레임부와의 사이에 상기 배선수납부를 형성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 제3항에 있어서,상기 고정프레임부와 상기 커버부 중 어느 하나에는 후크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후크가 맞물림 결합되는 후크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 제4항에 있어서,상기 후크는 상기 고정프레임부를 향한 상기 커버부의 내면 양측에 상기 고정프레임부를 향해 돌출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한 쌍의 측벽프레임에서, 상기 이송부의 최상단 표면보다 상방으로 더 높게 배치된 구간은 상기 이송부를 통한 상기 피이송물의 이송 시 상기 피이송물의 경로이탈을 방지시키는 경로이탈방지구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한 쌍의 측벽프레임에는 다수의 더미공간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연결지지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벽프레임이 접하는 영역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연결지지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벽프레임에 각각 대면하는 다수의 브래킷; 및상기 다수의 브래킷을 통해 상기 연결지지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벽프레임에 각각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 제9항에 있어서,상기 연결지지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벽프레임에는 상기 체결볼트가 체결되는 볼트 체결용 슬롯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연결지지프레임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내부에서 상면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폐루프 형상의 컨베이어 벨트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이송부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와 접촉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텐션을 유지시키는 다수의 텐션롤러를 더 포함하며,상기 이송프레임은 압출성형에 의해 제작되며,상기 피이송물은 반도체 PCB 수납용 메거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13393U KR200451956Y1 (ko) | 2008-10-07 | 2008-10-07 | 이송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13393U KR200451956Y1 (ko) | 2008-10-07 | 2008-10-07 | 이송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3976U KR20100003976U (ko) | 2010-04-15 |
KR200451956Y1 true KR200451956Y1 (ko) | 2011-01-27 |
Family
ID=44244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13393U KR200451956Y1 (ko) | 2008-10-07 | 2008-10-07 | 이송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1956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73367A (ko) | 2013-12-23 | 2015-07-01 |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 이송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4125U (ja) * | 1992-07-24 | 1994-02-22 | 村田機械株式会社 | コンベア |
JPH10273212A (ja) * | 1997-03-25 | 1998-10-13 | Samsung Electron Co Ltd | 半導体ディバイステスト用ハンドラーシステム |
JP2000247423A (ja) * | 1999-03-02 | 2000-09-12 | Toyo Kanetsu Kk | コンベヤフレーム |
KR20040058861A (ko) * | 2002-12-27 | 2004-07-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벨트 컨베이어용 알루미늄 프로파일 |
-
2008
- 2008-10-07 KR KR2020080013393U patent/KR20045195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4125U (ja) * | 1992-07-24 | 1994-02-22 | 村田機械株式会社 | コンベア |
JPH10273212A (ja) * | 1997-03-25 | 1998-10-13 | Samsung Electron Co Ltd | 半導体ディバイステスト用ハンドラーシステム |
JP2000247423A (ja) * | 1999-03-02 | 2000-09-12 | Toyo Kanetsu Kk | コンベヤフレーム |
KR20040058861A (ko) * | 2002-12-27 | 2004-07-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벨트 컨베이어용 알루미늄 프로파일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73367A (ko) | 2013-12-23 | 2015-07-01 |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 이송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3976U (ko) | 2010-04-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48515B2 (en) | Storage conveyor | |
KR101225138B1 (ko) | 트윈 벨트 컨베이어 | |
US4671402A (en) | Free flow conveyor | |
KR200451956Y1 (ko) | 이송장치 | |
KR100962362B1 (ko) | 기판세정장치 | |
US8365900B2 (en) | System for removably blocking a drawing-abutting element of a case or carton to a cogged belt, and a conveyor obtained with the system | |
KR100963430B1 (ko) | 축적식 파트 피더 | |
CN114435921B (zh) | 一种产线避让输送设备 | |
KR20130027750A (ko) | 체인구동장치 | |
CN211496118U (zh) | 一种集装箱整体式装车用自适应上料机构 | |
KR200455345Y1 (ko) | 컨베이어 프레임 | |
ATE299120T1 (de) | Palettenladeturm | |
JP2008115005A (ja) | スラットコンベヤ | |
CN214526049U (zh) | 输送线 | |
IT202100001676A1 (it) | Apparecchiatura motorizzata di trasferimento per trasportatori di oggetti in massa | |
CN210943720U (zh) | 一种翻转存料装置 | |
CN210823997U (zh) | 一种刀柄钢壳上料传送机构 | |
KR100620246B1 (ko) | 콘버레터 | |
KR920009294B1 (ko) | 콘베이어 시스템에서의 파렛트 운반장치 | |
KR200491773Y1 (ko) | 마찰저항 저감형 식용란 이송장치 | |
CN210258921U (zh) | 压勺入盖机的上盖供给装置及压勺入盖机 | |
JPH10101217A (ja) | 形材の噛合せ搬送方法 | |
JP3217893U (ja) | コンベヤーベルトの案内装置およびこの案内装置を備えたベルトコンベヤー | |
CN209815105U (zh) | 一种包布机传送装置 | |
CN109956269B (zh) | 一种物流机台的驱动机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