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5620B1 - 파레트 순환 작업대 - Google Patents

파레트 순환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5620B1
KR100525620B1 KR10-2004-0003721A KR20040003721A KR100525620B1 KR 100525620 B1 KR100525620 B1 KR 100525620B1 KR 20040003721 A KR20040003721 A KR 20040003721A KR 100525620 B1 KR100525620 B1 KR 100525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belt
lifting
timing gear
pa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3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5971A (ko
Inventor
오선록
Original Assignee
오선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선록 filed Critical 오선록
Priority to KR10-2004-0003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5620B1/ko
Publication of KR20050075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5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5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56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1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 B65G15/1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2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a series of co-operating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67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Abstract

본 발명은 2열의 횡형 컨베이어의 양측 공간까지 파레트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파레트 순환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을 구성하는 양측 수직대의 상부에 사이 간격부를 두고 2열로 장착되어 있으며, 각각의 양측에는 횡형 이송모터의 회전을 통해 밸트를 횡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밸트축이 구비되고 이 양측 밸트축의 주위에는 상부와 외측이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횡형 컨베이어와; 상기 각각의 횡형 컨베이어의 외측인 상기 양측 수직대의 외측에 구비되어 실린더를 통해 승강되는 수직 승강대와; 상기 수직 승강판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간부인 밸트축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상부에는 파레트를 종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구동축이 포함되는 종형 이송밸트가 구비된 승강 이송판과; 상기 양측 수직대에 중간에 구비된 종형 이송모터와; 상기 종형 이송모터와 상기 각각의 승강 이송판에 구비된 구동축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각각의 승강 이송판이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 이송판의 구동축을 회전시켜 종형 이송밸트를 종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 전달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레트 순환 작업대{Pallet circulation conveyer}
본 발명은 파레트 순환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2열의 횡형 컨베이어의 양측 공간까지 파레트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파레트 순환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공장에서는 조립할 제품(이하, 편의상 "조립품"이라 칭함)을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는 작업대가 널리 사용된다.
즉 상기 작업대는 조립품이 올려지는 파레트를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크게 밸트를 이용하여 파레트를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방식과 파레트를 구동롤러를 통해 이동시키는 롤링 방식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 방식의 작업대는, 하나의 열로 구성된 일렬방식의 작업대와 전,후방 열로 파레트가 순환되게 하는 순환방식의 파레트가 알려져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은 상기 컨베이어 방식의 작업대 중 파레트를 순환시키는 작업대(이하, 편의상 "순환 작업대"라 칭함)를 개량한 것이다.
이에, 도 9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파레트 순환 작업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종래에 따른 작업대의 종형 이송수단을 개략 도시한 사시도로서, 종래의 파레트 순환 작업대는, 상호 수평으로 구비되어 파레트(P)를 일측 방향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2열의 횡형 컨베이어(100)와, 이 2열의 횡형 컨베이어(100)의 양측부 안쪽으로 구비되어 횡방향으로 이동되는 파레트(P)를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종방향 이송수단(20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횡형 컨베이어(100)는, 이송대의 일측 또는 타측에 구비되어 있는 모터(101)와 이 모터(101)의 구동을 통해 이송되어 파레트(P)를 이송시키는 밸트(10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종방향 이송수단(200)는, 2열의 횡방향 이동대의 양측부 안쪽에 4개소가 각각 구비되어 횡방향으로 이송되는 파레트(P)를 종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종방향 이송부(20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종방향 이송부(201)는 횡형 컨베이어(100)를 구성하는 전,후방 밸트(102)의 사이에 구비되어 있는 테이블(202)과, 이 테이블(202)의 양측에 구비되어 파레트(P)를 종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모터(203)에 의해 이동되는 양측 밸트(204)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순환 작업대는 조립품이 올려지는 파레트(P)를 연속적으로 순환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 조립품이 올려지는 파레트(P)를 2열로 구성된 횡형 컨베이어(100)와 그 양측부 안쪽으로 구비되어 있는 종방향 이송부(200)를 통해 파레트(P)를 연속적으로 순환시키게 되는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조립품이 올려진 파레트(P)가 하나의 횡형 컨베이어(100)의 최초에 위치에서 횡형 컨베이어(100)의 작동을 통해 일측으로 이송되고, 일측으로 이송된 파레트(P)가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종방향 이송부(201)를 통해 상기 타 횡형 컨베이어(100)로 이송되며, 타 횡형 컨베이어(100)로 이송된 파레트(P)는 타측으로 이송된 다음 타측에 구비되어 있는 종방향 이송부(200)를 통해 다시 최초의 위치인 횡형 컨베이어(100)의 시작위치로 이송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순환 이송을 반복하면서 파레트(P)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조립품의 조립을 완성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파레트(P)의 이송은 횡형 컨베이어(100)와 종방향 이송부(200)를 구성하는 각각의 밸트 구동을 통해 파레트(P)를 이송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작업대는 파레트(P)를 이송시킬 수 있다는 목적은 달성할 수 있으나, 종래의 작업대를 사용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먼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각각의 횡방향 작업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측부의 한쪽에는 밸트(102)를 이송시키기 위한 모터(101)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며, 상기 횡형 컨베이어(100)의 양측에는 밸트(102)를 걸기 위한 밸트축(103)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횡형 컨베이어(10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있는 종방향 이송부(201)의 테이블(202)이 상기 밸트축(103)의 간섭을 피해야만 파레트(P)를 종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음에 따라서, 부득이 종방향 이송부(201)를 횡형 컨베이어(100)의 안쪽에 구비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상기 종방향 이송부(201)가 횡형 컨베이어(100)의 내측에 구비될 수밖에 없음에 따라서, 횡형 컨베이어(100)의 양측 공간으로는 파레트(P)를 이송시킬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조립 작업중 횡형 컨베이어의 양측 공간을 사용할 수 없음에 따라서, 이웃하는 작업대로 조립품을 옮길 경우에 작업자의 동선 거리가 길어짐으로서 전체 조립라인에 있어서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횡형 컨베이어의 양측 공간을 사용할 수 없음에 따라, 횡형 컨베이어의 적재되는 파레트의 개수가 감소하게 된다. 그러므로 횡방향의 길이에 비해 파레트의 적재 개수가 적어지게 되면 그만큼 조립품의 적재량도 줄어들게 됨으로서 조립 생산성을 저하게 시키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 파레트의 개수에 비해 횡형 컨베이어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짐에 따라서 작업대의 설치시 공간에 제약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순환 작업대를 구성하는 횡형 컨베이어의 양측까지 파레트를 이송시켜 횡형 컨베이어에 있어 양측 손실공간을 없애고자 하는 파레트 순환 작업대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을 구성하는 양측 수직대의 상부에 사이 간격부를 두고 2열로 장착되어 있으며, 각각의 양측에는 횡형 이송모터의 회전을 통해 밸트를 횡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밸트축이 구비되고 이 양측 밸트축의 주위에는 상부와 외측이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횡형 컨베이어와; 상기 각각의 횡형 컨베이어의 외측인 상기 양측 수직대의 외측에 구비되어 실린더를 통해 승강되는 수직 승강대와; 상기 수직 승강판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간부인 밸트축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상부에는 파레트를 종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구동축이 포함되는 종형 이송밸트가 구비된 승강 이송판과; 상기 양측 수직대에 중간에 구비된 종형 이송모터와; 상기 종형 이송모터와 상기 각각의 승강 이송판에 구비된 구동축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각각의 승강 이송판이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 이송판의 구동축을 회전시켜 종형 이송밸트를 종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 전달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 작업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요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 작업대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이에 본 발명의 순환 작업대는, 프레임(1)을 구성하는 양측 수직대(11)의 상부에 사이 간격부(2)를 두고 2열로 장착되어 있으며, 각각의 양측에는 횡형 이송모터(31)의 회전을 통해 밸트(33)를 횡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밸트축(32)이 구비되고 이 양측 밸트축(32)의 주위에는 상부와 외측이 개방된 공간부(34)가 형성되어 있는 횡형 컨베이어(3)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순환 작업대는, 상기 각각의 횡형 컨베이어(3)의 외측인 상기 양측 수직대(11)의 외측에 구비되어 실린더(41)를 통해 승강되는 수직 승강대(4)와, 상기 수직 승강대(4)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간부(34)인 밸트축(32)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상부에는 파레트(P)를 종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구동축(52)이 포함되는 종형 이송밸트(51)가 구비된 승강 이송판(5)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순환 작업대는, 상기 양측 수직대(11)에 중간에 구비된 종형 이송모터(6)와, 이 종형 이송모터(6)와 상기 각각의 승강 이송판(5)에 구비된 구동축(52)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각각의 승강 이송판(5)이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 이송판(5)의 구동축(52)을 회전시켜 종형 이송밸트(51)를 종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 전달수단(7)도 포함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동력 전달수단(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양측 수직대(11)에 구비된 종형 이송모터(6)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구동 타이밍기어(71)와, 상기 양측 전,후방 수직 승강대(4)에 구비되어 수직 승강대(4)와 연동 승강되는 승강 타이밍기어부(72)와, 상기 양측 전,후방 승강 이송판(5)의 구동축(52)에 구비되어 있는 회전 타이밍기어(73), 및 상기 구동 타이밍기어(71)에 중간이 맞물려 있으며 상기 승강 타이밍기어부(72)에 걸려 통과한 다음 상기 전,후방 승강 이송판(5)에 각각에 구비된 회전 타이밍기어(73)에 권취되어 상기 승강 이송판(5)이 승강될 경우 장력을 유지하여 구동 타이밍기어(71)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 타이밍기어(73)로 전달하는 단일의 타이밍밸트(7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승강 타이밍기어부(72)는, 상기 전,후방 수직 승강대(4)의 바깥쪽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 타이밍기어(71)로부터 인출되는 타이밍밸트(74)가 걸리는 제1 타이밍기어(721)와, 상기 제1 타이밍기어(721)의 안쪽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후방 승강 이송판(5)에 구비된 회전 타이밍기어(73)를 통과한 타이밍밸트(74)가 상호 연결되면서 걸리는 제2 타이밍기어(72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타이밍기어(71)의 하부 양측에는 타이밍밸트(74)와 구동 타이밍기어(71)의 맞물리는 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밀착롤러(75)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순환작업대는 조립품이 올려지는 파레트를 연속적으로 순환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 조립품이 올려지는 파레트(P)를 2열로 구성된 횡형 컨베이어(3)와 그 양측에 구비된 승강 이동판(5)을 통해 파레트(P)를 연속적으로 순환시키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조립품이 올려진 파레트(P)가 하나의 횡형 컨베이어(3)의 최초에 위치에서 횡형 컨베이어(3)의 작동을 통해 일측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일측으로 이송된 파레트(P)는, 일측 전,후방 구비되어 있는 승강 이송판(5)의 승강과 종형 이송밸트(51)의 회전을 통해 상기 다른 하나의 횡형 컨베이어(3)의 일측으로 이송되며, 다른 하나의 횡형 컨베이어(3)로 이송된 파레트(P)는 타측으로 이송된다. 또한 타측으로 이송된 파레트(P)는, 2열 횡형 컨베이어(3)의 타측 전,후방 구비된 승강 이송판(5)의 승강과 종형 이송밸트(51)의 회전을 통해 다시 최초의 위치인 횡형 컨베이어(3)의 시작위치로 이송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순환 이송을 반복하면서 파레트(P)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조립품의 조립을 완성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2열로 구비되어 있는 횡형 컨베이어(3)의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승강 이동판(5)의 작동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상기 작업대에 있어서 일측부의 파레트(P) 이송상태를 예를 설명하면,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먼저 파레트(P)가 전방에 위치되어 있는 횡형 컨베이어(3)의 일 측부에 도착할 경우에는 횡형 컨베이어(3)의 작동이 정지된다.
다음, 양측 수직대의 외측에 구비되어 있는 전,후방 수직 승강대(4)를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실린더(41)를 통해 동시에 상승시키게 되면, 수직 승강대(4)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승강 이송판(5)도 횡형 컨베이어(3)의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공간부(34)의 상부로 상승되게 된다. 그러면 횡형 컨베이어(3)의 일측에 도착되어 있는 파레트(P)가 전방의 승강 이송판(5)의 상부에 올려지면서 상승된다.
그리고 상기 양측 수직대(11)에 구비된 종형 이송모터(6)를 구동시켜 동력전달 수단(7)을 통해 전,후방에 구비되어 있는 승강 이송판(5)의 종형 이송밸트(51)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전방 승강 이송판(5)의 상부에 올려져 있던 파레트(P)가 후방의 승강 이송판(5)으로 이송되고 이와 같이 파레트(P)가 후방에 도착하게 되면 상기 종형 이송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다음 상기 전,후방 수직 승강대(4)의 하부에 구비된 실린더(41)를 다시 하강시키게 되면, 전,후방 승강 이송판(5)도 연동되어 하강되고, 이에 따라 후방 승강 이송판(5)에 올려진 파레트(P)는 후방의 횡형 컨베이어(3)에 올려지게 된다.
그리고 다시 전,후방 횡형 컨베이어(3)를 작동시키게 되면 후방 횡형 컨베이이어(3)로 이송된 파레트(P)가 타측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일측부의 작동은 작업대에 있어서 양측에서 동시에 수행됨에 따라서, 작업대에 올려진 파레트(P)가 연속적으로 순환 이동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 전달수단(7)은, 단일의 타이밍밸트(74)가 상기 횡형 이송모터(31)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구동 타이밍기어(71)와 승강 타이밍기어부(72) 및 회전 타이밍기어(73)에 권취되어 있음에 따라서, 상기 타이밍밸트(74)는 상기 승강 타이밍기어부(72) 및 회전 타이밍기어(73)의 승강과 관계없이 구동의 전달이 가능한 것이다.
다시말해 상기 승강 타이밍기어부(72)는, 상기 전,후방 수직 승강대(4)의 바깥쪽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 타이밍기어(71)로부터 인출되는 타이밍밸트(74)가 걸리는 제1 타이밍기어(721)와, 상기 제1 타이밍기어(721)의 안쪽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후방 승강 이송판(5)에 구비된 회전 타이밍기어(73)를 통과한 타이밍밸트(74)가 상호 연결되면서 걸리는 제2 타이밍기어(722)로 구성됨에 따라서, 상기 제1,2 타이밍 기어(721,722)와 상기 회전 타이밍기어(73)가 상승 되더라도 각각의 기어를 연결하는 타이밍밸트(74)가 단일로 연결되어 있음으로서 회전 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승강 이송판이 승강된 상태에서 구동 타이밍기어(71)의 동력을 승강 이송판(5)에 구비된 회전 타이밍기어(73)로 정밀하게 전달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순환 작업대를 구성하는 횡형 컨베이어(3)의 양측까지 파레트(P)를 이송시켜 횡형 컨베이어(3)에 있어 양측의 손실공간을 없앰으로서, 이웃하는 작업대로 조립품을 옮길 경우에 작업자의 동선 거리를 짧아지게 함에 따라 전체 조립라인에 있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횡형 컨베이어의 양측 공간에도 파레트(P)를 적재할 수 있음에 따라서 횡형 컨베이어의 적재되는 파레트(P)의 개수를 늘릴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양측 수직대(11)의 외측과 수직 승강판(4)의 내측 사이에는 수직 승강판(4)의 수직 승강을 정밀하게 안내하는 승강 가이드수단(8)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승강 가이드수단(8)은, 상기 양측 수직대(11)의 내측에 구비되어 있는 수직 가이드대(81)와 상기 수직 승강대(4)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 가이드대(81)를 타고 승강되는 가이드 브라켓(82)으로 구성된다.
또 상기 2열의 횡형 컨베이어(3)의 간격부(2) 양측에는, 하나의 횡형 컨베이어(3)로부터 다른 하나의 횡형 컨베이어(3)로 이송되는 파레트(P)의 양측을 롤링 이송시키는 양측 롤러 가이드(211)로 구성된 가이드부(21)가 더 구비됨으로서, 파레트(P)의 종방향 이동을 정밀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횡형 컨베이어(3)의 양측에 구비된 공간부(34)의 외측단 상부에는 이송되는 파레트(P)를 이송을 단속하는 단속대(35)가 더 구비되어 있고, 이 단속대(35)에는 상기 횡형 이송모터(31)의 구동을 단속하는 센서(351)가 더 구비됨으로서, 작업대의 작동중 파레트(P)가 횡형 컨베이어(3)의 외측으로 이탈되어 조립품이 손상되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작업대를 나타낸 것으로, 도 8a는 사시도를, 도 8b는 개략 측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2열의 횡형 컨베이어(3)의 간격부(2) 양측에는, 하나의 횡형 컨베이어(3)로부터 다른 하나의 횡형 컨베이어(3)로 이송되는 파레트(P)를 간격부(2)에서 더 이송시킬 수 있도록 간격 이송판(9)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간격 이송판(9)의 상부에는 구동축(92)이 포함되는 종형 이송밸트(9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축(92)에는 구동 타이밍기어(71)와 타이밍밸트(922)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 타이밍기어(92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간격 이송판(9)은 간격부의 간격이 넓을 경우에 장착하는 것으로서, 상기 2열의 횡형 컨베이어(3)의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승강 이동판(5)이 상승된 상태에서 파레트(P)가 간격부(2)를 통과하는 시점에서 상기 간격 이송판(9)에 구비되어 있는 타이밍 밸트(922)가 상기 종형 이송모터(6)에 구비된 구동 타이밍 기어(71)의 회전을 통해 종방향으로 회전됨으로서, 상기 간격 이송판(9)에 올려진 파레트(P)를 종방향으로 전달 이송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말해 상기 2열의 횡형 컨베이어(3)의 사이에 구비된 간격부(2)의 간격이 넓을 경우에도 하나의 컨베이어(3)로부터 다른 하나의 컨베이어(3)로 파레트(P)를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순환 작업대를 구성하는 횡형 컨베이어의 양측까지 파레트를 이송시켜 횡형 컨베이어에 있어 양측의 손실공간을 없앰으로서, 이웃하는 작업대로 조립품을 옮길 경우에 작업자의 동선 거리를 짧게 함으로서 전체 조립라인에 있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횡형 컨베이어의 양측 공간에도 파레트를 적재할 수 있음에 따라 횡형 컨베이어의 적재되는 파레트의 개수를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 작업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요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 작업대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이동판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이동판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측면 개략도.
도 7은 도 1의 B부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작업대를 나타낸 것으로,
도 8a는 사시도를,
도 8b는 개략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9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파레트 순환 작업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0은 종래에 따른 작업대의 종형 이송수단을 개략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11 : 수직대
2 : 간격부
21 : 가이드부
211 : 롤러 가이드
3 : 횡형 컨베이어
31 : 횡형 이송모터
32 : 밸트축
33 : 밸트
34 : 공간부
35 : 단속대
351 : 센서
4 : 수직 승강대
41 : 실린더
5 : 승강 이송판
51 : 종형 이송밸트
52 : 구동축
6 : 종형 이송모터
7 : 동력 전달수단
71 : 구동 타이밍기어
72 : 승강 타이밍기어부
721 : 제1 타이밍기어, 722 : 제2 타이밍기어
73 : 회전 타이밍기어
74 : 타이밍밸트
75 : 밀착롤러
8 : 승강 가이드수단
81 : 수직 가이드대
82 : 가이드 브라켓
9 : 간격 이송판
91 : 종형 이송밸트
92 : 구동축
921 : 회전 타이밍기어, 922 : 타이밍밸트

Claims (8)

  1. 프레임(1)을 구성하는 양측 수직대(11)의 상부에 사이 간격부(2)를 두고 2열로 장착되어 있으며, 각각의 양측에는 횡형 이송모터(31)의 회전을 통해 밸트(33)를 횡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밸트축(32)이 구비되고 이 양측 밸트축(32)의 주위에는 상부와 외측이 개방된 공간부(34)가 형성되어 있는 횡형 컨베이어(3)와;
    상기 각각의 횡형 컨베이어(3)의 외측인 상기 양측 수직대(11)의 외측에 구비되어 실린더(41)를 통해 승강되는 수직 승강대(4)와;
    상기 수직 승강대(4)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간부(34)인 밸트축(32)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상부에는 파레트(P)를 종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구동축(52)이 포함되는 종형 이송밸트(51)가 구비된 승강 이송판(5)과;
    상기 양측 수직대(11)에 구비된 종형 이송모터(6)와;
    상기 종형 이송모터(6)와 상기 각각의 승강 이송판(5)에 구비된 구동축(52)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각각의 승강 이송판(5)이 상승된 상태에서 승강 이송판(5)의 구동축(52)을 회전시켜 종형 이송밸트(51)를 종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 전달수단(7)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레트 순환 작업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수단(7)은,
    양측 수직대(11)에 구비된 종형 이송모터(6)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구동 타이밍기어(71)와, 상기 양측 전,후방 수직 승강대(4)에 구비되어 수직 승강대(4)와 연동 승강되는 승강 타이밍기어부(72)와, 상기 양측 전,후방 승강 이송판(5)의 구동축(52)에 구비되어 있는 회전 타이밍기어(73), 및 상기 구동 타이밍기어(71)에 중간이 맞물려 있으며 상기 승강 타이밍기어부(72)에 걸려 통과한 다음 상기 전,후방 승강 이송판(5)에 각각에 구비된 회전 타이밍기어(73)에 권취되어 상기 승강 이송판(5)이 승강될 경우 장력을 유지하여 구동 타이밍기어(71)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 타이밍기어(73)로 전달하는 단일의 타이밍밸트(7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레트 순환 작업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타이밍기어부(72)는,
    상기 전,후방 수직 승강대(4)의 바깥쪽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 타이밍기어(71)로부터 인출되는 타이밍밸트(74)가 걸리는 제1 타이밍기어(721)와, 상기 제1 타이밍기어(721)의 안쪽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후방 승강 이송판(5)에 구비된 회전 타이밍기어(73)를 통과한 타이밍밸트(74)가 상호 연결되면서 걸리는 제2 타이밍기어(72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레트 순환 작업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타이밍기어(71)의 하부 양측에는 타이밍밸트(74)와 구동 타이밍기어(71)의 맞물리는 면적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밀착롤러(75)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레트 순환 작업대.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수직대(11)의 외측과 수직 승강판(4)의 내측 사이에는 수직 승강판(4)의 수직 승강을 정밀하게 안내하는 승강 가이드수단(8)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레트 순환 작업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가이드수단(8)은,
    상기 양측 수직대(11)의 내측에 구비되어 있는 수직 가이드대(81)와 상기 수직 승강대(4)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 가이드대(81)를 타고 승강되는 가이드 브라켓(8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레트 순환 작업대.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형 컨베이어(3)의 양측에 구비된 공간부(34)의 외측단 상부에는 이송되는 파레트(P)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속대(35)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단속대(35)에는 상기 횡형 이송모터(31)의 구동을 단속하는 센서(351)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레트 순환 작업대.
  8.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열의 횡형 컨베이어(3)의 간격부(2) 양측에는, 하나의 횡형 컨베이어(3)로부터 다른 하나의 횡형 컨베이어(3)로 이송되는 파레트(P)를 간격부(2)에서 더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부에 구동축(92)이 포함되는 종형 이송밸트(91)가 구비된 간격 이송판(9)이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축(92)에는 상기 구동 타이밍기어(71)와 타이밍밸트(922)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 타이밍기어(921)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레트 순환 작업대.
KR10-2004-0003721A 2004-01-19 2004-01-19 파레트 순환 작업대 KR100525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721A KR100525620B1 (ko) 2004-01-19 2004-01-19 파레트 순환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721A KR100525620B1 (ko) 2004-01-19 2004-01-19 파레트 순환 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5971A KR20050075971A (ko) 2005-07-26
KR100525620B1 true KR100525620B1 (ko) 2005-11-02

Family

ID=37263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3721A KR100525620B1 (ko) 2004-01-19 2004-01-19 파레트 순환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56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9716A (ko) * 2010-07-20 2012-02-02 한솔테크닉스(주) 작업 테이블
CN104690593B (zh) * 2015-02-15 2017-05-10 金石机器人常州股份有限公司 加工装配物流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5971A (ko) 2005-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6273B2 (ja) パレット作業台循環搬送装置
CN110834934A (zh) 一种曲轴式垂直提升机构及工作方法
KR101221337B1 (ko)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장치
CN212686616U (zh) 循环升降机
KR101225138B1 (ko) 트윈 벨트 컨베이어
KR20230093047A (ko) 판유리 생산 라인 입체 이송 장치 및 방법
CN107640718A (zh) 生产线及其转送系统
KR100702220B1 (ko) 컨베이어 장치
JPH07172538A (ja) コンベヤ装置
KR100525620B1 (ko) 파레트 순환 작업대
CN207158714U (zh) 一种生产线及其转送系统
JP2016204154A (ja) 昇降搬送システム、移載装置
RU250060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 заготовок с транспортиру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на транспортировочный элемент
CN211997792U (zh) Pcb板上料机
CN113104608A (zh) 一种高效日用瓷装卸窑机
CN108861331B (zh) 连续式升降机及其输送方法
JP3582827B2 (ja) パレット利用の荷搬送装置
CN112607352A (zh) 一种板材平移机构及平移方法
KR20080091567A (ko) 팔레트의 수평 이송식 컨베이어
JP4006832B2 (ja) 搬送装置
JPH07157039A (ja) コンベヤ装置
CN216510884U (zh) 一种托盘循环运输装置
CN220925263U (en) Ferry device
CN215047108U (zh) 一种高效日用瓷装卸窑机
CN219155726U (zh) 一种换向传动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