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3560B1 - 이차 전지 캔의 이물질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캔의 이물질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3560B1
KR101223560B1 KR1020100060118A KR20100060118A KR101223560B1 KR 101223560 B1 KR101223560 B1 KR 101223560B1 KR 1020100060118 A KR1020100060118 A KR 1020100060118A KR 20100060118 A KR20100060118 A KR 20100060118A KR 101223560 B1 KR101223560 B1 KR 101223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ck
suction pipe
secondary battery
opening
foreign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9974A (ko
Inventor
유대욱
김문수
임채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0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3560B1/ko
Priority to US12/904,979 priority patent/US20110314627A1/en
Priority to CN201010551738.9A priority patent/CN102299364B/zh
Publication of KR20110139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3Cleaning the external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5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by s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이차 전지를 제조하는 공정 도중, 캔에서 개구의 끝부분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차 전지 캔의 이물질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캔의 이물질 제거 장치는, 전극 조립체를 내장한 캔을 탑재하는 퍽, 및 상기 캔의 일측을 형성하는 개구의 끝부분에 공기 흐름을 형성하여 상기 끝부분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흡입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차 전지 캔의 이물질 제거 장치 {APPARATUS REMOVING FOREIGN MATERIAL ON CAN OF RECHARGEABLE BATTERY}
본 기재는 이차 전지를 제조하는 공정 도중, 캔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차 전지 캔의 이물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써 이차 전지의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원통형 이차 전지는 구조상 각형 이차 전지나 파우치형 이차 전지보다 큰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이차 전지의 제조 공정은 세퍼레이터의 양면에 양극과 음극을 배치하여 권취함으로써 완성되는 전극 조립체를 일측 개구로 원통형 캔에 삽입하고, 전해액을 주입한 후, 캔의 개구에 캡 조립체를 설치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차 전지 제조 공정은 캔에 전극 조립체를 삽입하고, 다음 공정으로 이동할 때, 캔의 개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캔 내부로 들어가는 이물질은 양극과 음극을 단락 시키거나 전해액의 작용을 방해하는 등 제품 불량을 유발할 수 있다.
이물질 제거 장치는 지그(jig)를 캔의 개구로 삽입하여, 캔의 내면과 끝부분에 접촉하면서 캔을 고정한 상태에서 캔의 외면 및 캔 내부에 부압을 작용시켜 이물질을 제거한다. 따라서 이물질 제거 장치는 캔에서 개구의 끝부분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지 못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이차 전지를 제조하는 공정 도중, 캔에서 개구의 끝부분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차 전지 캔의 이물질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캔의 이물질 제거 장치는, 전극 조립체를 내장한 캔을 탑재하는 퍽, 및 상기 캔의 일측을 형성하는 개구의 끝부분에 공기 흐름을 형성하여 상기 끝부분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흡입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캔의 이물질 제거 장치는, 상기 퍽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및 상기 컨베이어 상에 놓여지는 상기 퍽의 상방에 제공되어 상기 흡입관을 잡아 주는 흡입관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캔의 이물질 제거 장치는, 상기 흡입관 홀더를 상기 캔의 상기 개구를 향하여 승강시키는 승강 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관의 내경은 상기 캔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캔이 원통형이고, 상기 흡입관이 하강하여 상기 개구의 끝부분에 공기 흐름을 형성할 때, 상기 흡입관과 상기 캔은, 상기 캔의 원통 길이 방향을 따라 일직선 상에 위치하고, 적어도 상기 원통 길이 방향으로 중첩되는 범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흡입관은 상기 개구의 끝부분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끝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흡입관의 내면과 상기 끝부분의 외면은 서로의 사이에 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캔의 이물질 제거 장치는, 상기 흡입관의 하방으로 공급되는 상기 캔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캔의 측면을 향하여 전진/후진하여 상기 캔의 측면을 지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캔의 측면을 지지하는 캔 지지부와, 상기 캔 지지부를 장착하고 상기 퍽의 측면을 지지하는 퍽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캔의 이물질 제거 장치는, 상기 퍽 지지부의 하측 및 상기 퍽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상에 제공되어, 상기 퍽의 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컨베이어 상에서 상기 퍽을 이송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퍽에 탑재된 캔에 대하여 흡입관으로 개구의 끝부분에 공기 흐름을 형성함으로써, 개구의 끝부분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캔의 이물질 제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차 전지 캔의 이물질 제거 장치에서 가이드로 퍽을 잡은 상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상태에 이어서 스토퍼로 캔을 잡은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상태에 이어서 흡입관으로 이물질을 흡입하는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캔의 개구와 흡입관 사이에 공기 흐름을 형성하는 상태도이다.
도 6은 가이드로 퍽들을 잡고 캔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단계의 상태도이다.
도 7은 가이드로 퍽들을 잡고 캔의 이물질을 흡입한 후, 가이드로 퍽을 이송하는 단계의 상태도이다.
도 8은 퍽을 이송한 후, 퍽으로부터 가이드를 분리하는 단계의 상태도이다.
도 9는 가이드를 분리한 후, 가이드를 새로운 퍽으로 리턴 하는 단계의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캔의 이물질 제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캔의 이물질 제거 장치(1)(이하, "이물질 제거 장치"라 한다)는 캔(2)을 탑재하는 퍽(puck)(3) 및 퍽(3)에 탑재된 캔(2)의 개구 끝부분(E)에 공기 흐름을 형성하는 흡입관(4)을 포함한다.
일례로써, 캔(2)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 원통형 캔(2)을 예로 들어 이물질 제거 장치(1)를 설명한다. 각형 캔(미도시)에도 본 실시예의 이물질 제거 장치(1)를 적용할 수 있다.
캔(2)은 전극 조립체(5)를 내장하고 있지만 전극 조립체(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캡 조립체(미도시)를 체결하지 않은 상태이다. 즉 캔(2)은 개구를 개방한 상태로 이물질 제거 장치(1)에 투입된다. 따라서 이물질 제거 장치(1)에서 전극 조립체(5)에 연결되는 탭(6)은 캔(2)의 개구 밖으로 돌출된다.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전극 조립체(5)는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양면에 양극과 음극을 적층하여 원통으로 권취함으로써 형성된다. 양극과 음극은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집전체, 및 집전체에 도포되는 활물질층을 포함한다. 또한 집전체는 활물질층이 형성된 코팅부, 및 활물질층이 형성되지 않은 무지부를 형성한다. 양극의 무지부는 양극 집전판에 연결되고, 음극의 무지부는 음극의 집전판에 연결된다. 예를 들면, 음극 집전판은 캔에 연결되고, 양극 집전판은 탭으로 캡 조립체에 연결될 수 있다. 반대로, 음극 집전판은 탭으로 캡 조립체에 연결되고, 양극 집전판은 캔에 연결될 수 있다. 캔(2)은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니켈 도금 강과 같은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의 이물질 제거 장치(1)는 전극 조립체(5)를 내장한 상태로 퍽(3)에 지지되어 공급되는 캔(2)의 개구 끝부분(E)에 부착된 이물질을 흡입관(4)으로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흡입관(4)에는 부압이 작용한다. 이물질 제거 장치(1)는 퍽(3)을 이송하는 컨베이어(7)와, 흡입관(4)을 퍽(3)의 상방에 잡아 주는 흡입관 홀더(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7)는 퍽들(3)을 이송하여 퍽들(3) 각각에 지지되는 캔들(2)을 이물질 제거 장치(1)로 이송한다. 즉 컨베이어(7)는 캔들(2)을 이물질 제거 장치(1)로 공급하고, 이물질 제거된 캔들(2)을 이물질 제거 장치(1)로부터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는 작동을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한다.
흡입관 홀더(8)는 퍽(3)의 상방에 제공되는 흡입관(4)을 잡아 줌으로써, 흡입관(4)에 작용하는 부압을 캔(2)의 개구에 작용시켜서, 개구의 끝부분(E)에서 공기 흐름을 형성시킬 수 있게 한다. 이때, 흡입관(4)과 캔(2)의 개구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 흐름을 강하게 형성하기 위하여, 흡입관(4)과 캔(2)의 간격(C)(도 5 참조)을 좁히거나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이물질 제거 장치(1)는 흡입관 홀더(8)를 캔(2)의 개구 끝부분(E)에 대하여 승강시키는 승강 실린더(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 실린더(9)는 퍽(3)에 수직으로 탑재된 캔(2)을 향하여 수직으로 설치되어, 흡입관 홀더(8)에 연결된다. 승강 실린더(9)의 신장 또는 수축 작동으로 흡입관 홀더(8) 및 흡입관(4)이 캔(2)의 개구 끝부분(E)을 향하여 하강 또는 상승한다.
즉 승강 실린더(9)의 작동으로 흡입관(4)과 캔(2)은 서로의 사이에 공기 흐름을 형성하여 개구의 끝부분(E)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한다. 흡입관(4)과 캔(2)을 상호 접근 또는 이격시키는 구성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캔(2)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흡입관(4)을 하강 또는 상승시키는 구성으로 가능하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흡입관(4)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캔(2)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구성으로 가능하다.
흡입관(4)의 형상은 캔(2)의 원통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흡입관 홀더(8)의 흡입관(4)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예서 캔(2)이 원통으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흡입관(4)이 원통으로 형성되며, 흡입관 홀더(8)가 원통을 잡을 수 있도록 흡입관(4)의 외면에 밀착되는 원형 곡면을 가진다. 또한 캔이 각형인 경우, 흡입관은 캔에 대응하여 각형으로 형성되고, 흡입관 홀더는 각형을 잡을 수 있도록 흡입관의 외면에 밀착되는 각형 면을 가질 수 있다(미도시).
도 2는 도 1의 이차 전지 캔의 이물질 제거 장치에서 가이드로 퍽을 잡은 상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상태에 이어서 스토퍼로 캔을 잡은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이물질 제거 장치(1)는 흡입관(4)의 하방으로 공급되는 캔(2)의 측면을 지지하는 스토퍼(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1)는 캔(2)의 양측에 분리되고 서로 대칭 구조로 배치되어, 캔(2)의 측면을 향하여 각각 전진 또는 후진한다.
스토퍼(11)는 서로 전진하여 캔(2)을 지지하므로 흡입관(4)의 부압으로 캔(2)에 부착된 이물질을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스토퍼(11)는 후진하여 캔(2)의 지지를 해제하므로 이물질 제거된 캔(2) 및 퍽(3)의 이송을 가능하게 한다. 스토퍼(11)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구성은 공지의 액츄에이터(미도시)로 가능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더 구체적으로 보면, 스토퍼(11)는 캔(2)의 측면을 지지하는 캔 지지부(11a)와, 캔 지지부(11a)를 장착하고 퍽(3)의 측면을 지지하는 퍽 지지부(11b)를 포함한다. 캔 지지부(11a)가 캔(2)의 측면을 지지 또는 해제할 때, 퍽 지지부(11b)는 퍽(3)의 측면을 지지 또는 해제한다. 이와 같이, 캔 지지부(11a)와 캔 지지부(11a)가 일체로 작동하므로 퍽(3)과 이에 탑재된 캔(2)이 일체로 정지 또는 이동될 수 있다.
캔 지지부(11a)는 캔(2)의 볼록한 외면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면을 가지고 넓은 마찰 면적으로 캔(2)을 지지한다. 퍽 지지부(11b)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퍽(3)의 볼록한 외면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면을 가지고 넓은 마찰 면적으로 퍽(3)을 지지한다. 또한 퍽 지지부(11b)는 복수의 오목면을 형성하여, 1개 퍽(3)의 캔(2)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동안, 주위에 배치되는 복수의 퍽들(3)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이물질 제거 장치(1)는 퍽(3)의 측면을 지지하여 컨베이어(7) 상에서 퍽(3)을 이송하는 가이드(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캔(2)을 탑재한 퍽(3)은 상호 마찰력을 가지고 컨베이어(7)의 진행에 따라 이송된다. 가이드(12)는 이물질 제거 장치(1)로 공급된 퍽(3)을 이물질 제거 장치(1) 밖으로 이송한다.
가이드(12)는 퍽 지지부(11b)의 하측 및 퍽(3)을 이송하는 컨베이어(7) 상에 제공된다. 가이드(12)는 퍽(3)의 측면을 지지하여 이물질 제거 장치(1) 밖의 컨베이어(7) 상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작동된다. 가이드(12)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퍽(3)의 볼록한 외면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면을 가지고 넓은 마찰 면적으로 퍽(3)을 지지한다. 가이드(12)는 복수의 오목면을 형성하여, 1개 퍽(3)의 캔(2)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동안, 주위에 배치되는 복수의 퍽들(3)을 지지할 수 있다.
하나의 퍽(3)에 대하여, 이물질 제거 진행시, 퍽(3)의 상측은 스토퍼(11)의 퍽 지지부(11b)에 의하여 지지되고, 퍽(3) 이송시, 퍽(3)의 하측은 가이드(12)에 의하여 지지된다. 스토퍼(11)는 가이드(12)의 작동을 방해하지 않고, 가이드(12)는 스토퍼(11)의 작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호 작동한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가이드(12)가 퍽(3)을 지지할 때, 스토퍼(11)가 퍽(3)과 캔(2)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3에서와 같이, 스토퍼(11)가 퍽(3)과 캔(2)을 지지할 때, 가이드(12)가 퍽(3)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2 및 도 3은 흡입관(4)이 작동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흡입관(4)은 캔(2)의 상방에서 상승되어 이격 상태를 유지한다.
도 4는 도 3의 상태에 이어서 흡입관으로 이물질을 흡입하는 상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흡입관(4)이 하강하여 캔(2)의 상방에서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스토퍼(11)는 퍽(3)과 캔(2)을 지지한다.
흡입관(4)과 캔(2)의 개구 끝부분(E) 사이에 공기 흐름을 형성하기 위하여, 흡입관(4)에 캔(2)이 삽입될 수 있다. 반대로, 흡입관이 이중 구조로 형성되어 캔의 외부를 감싸면서 캔 내에 삽입될 수도 있다(미도시).
도 5는 도 4에서 캔의 개구와 흡입관 사이에 공기 흐름을 형성하는 상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흡입관(4)의 내경(D1)은 캔(2)의 외경(D2)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흡입관(4)과 캔(2)은 캔(2)의 원통 길이 방향(z축 방향, 도 5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직선 상에 위치하고, 또한 z축 방향으로 중첩되는 범위(L)를 포함한다. 즉 흡입관(4)은 개구의 끝부분(E) 외측에 배치되어 끝부분(E)을 중첩 범위(L)만큼 수용한다. 따라서 흡입관(4)의 내면과 끝부분(E)의 외면은 서로의 사이에 간격(C)을 형성한다.
흡입관(4)에 작용하는 부압은 간격(C)을 통하여 공기 흐름을 형성한다. 이때, 중첩되는 범위(L) 및 여기에 형성되는 간격(C)은 공기 흐름을 강화시킨다. 따라서 흡입관(4)의 내면과 개구 끝부분(E)의 외면 사이에 공기 흐름을 형성하고, 이에 더하여, 개구의 내부와 끝부분(E)의 내면에 이어지는 공기 흐름을 형성한다. 즉 개구의 내면과 외면을 포함하는 끝부분(E)에 부착된 이물질을 흡입관(4)으로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물질 제거 장치(1)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정 동안, 일 방향(x축 방향)으로 진행되는 컨베이어(7)와 고정된 퍽(3) 사이에는 미끄럼이 발생된다. 즉 이물질 제거 장치(1)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동아, 컨베이어(7)의 구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물질이 제거된 캔(2) 및 퍽(3)은 가이드(12)에 의하여 컨베이어(7)로 이송되어 다음 공정으로 진행된다.
이하에서, 가이드(12)의 작동으로 캔(2)을 탑재한 퍽(3)의 이송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이드(12)는 다양한 구동 장치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12)를 구동하는 장치에 대한 구체적 설명을 생략하고, 여기서는 가이드(12)의 구동에 따라 퍽(3)이 이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6은 가이드로 퍽들을 잡고 캔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단계의 상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이드(12)는 시작 위치(SP)를 기준으로 하여, 서로 마주하여 이격된 상태(가상선)에서 퍽(3)을 향하여 이동되어 퍽(3)을 지지한다. 예를 들면, 가이드(12)는 복수의 오목홈들로 제1, 제2, 제3, 제4 퍽(P1, P2, P3, P4)을 지지한다.
이때, 제1, 제2, 제3, 제4 퍽(P1, P2, P3, P4) 중 적어도 한 퍽(3)에 탑재된 캔(2)으로부터 이물질 제거가 진행된다. 본 실시예는 한 퍽(3)의 캔(2)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예시하지만, 흡입관(4)을 복수로 구비하여 복수 퍽(3)의 캔(2)에서 이물질을 제거할 수도 있다(미도시).
도 7은 가이드로 퍽들을 잡고 캔의 이물질을 흡입한 후, 가이드로 퍽을 이송하는 단계의 상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가이드(12)는 제1, 제2, 제3, 제4 퍽(P1, P2, P3, P4)을 지지하면서 시작 위치(SP)의 가상선 상태에서 실선 상태로 퍽 피치(PP)만큼 컨베이어(7) 상에서 이송한다.
도 8은 퍽을 이송한 후, 퍽으로부터 가이드를 분리하는 단계의 상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가이드(12)는 퍽 피치(PP)만큼 이송한 위치에서, 퍽(3)을 지지하는 상태(가상선)에서 퍽(3)으로부터 이격된다. 예를 들면, 가이드(12)는 이송된 제1, 제2, 제3, 제4 퍽(P1, P2, P3, P4)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때, 제1, 제2, 제3, 제4 퍽(P1, P2, P3, P4)은 각각 퍽 피치(PP)만큼 이송된 위치에서 컨베이어(7) 상에 놓인다.
도 9는 가이드를 분리한 후, 가이드를 새로운 퍽으로 리턴 하는 단계의 상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가이드(12)는 퍽(3)으로부터 이격되면서, 가상선 상태에서 실선 상태로 퍽 피치(PP)만큼 리턴된다. 이때, 가이드(12)는 이물질이 제거된 캔(2)을 탑재한 제4 퍽(P4)을 대신하여, 신규로 공급되는 제5 퍽(P5)과 제1, 제2, 제3 퍽(P1, P2, P3)에 대향하여 지지할 준비를 한다.
이물질 제거 장치(1)는 가이드(12)를 도 6 내지 도 9와 같은 단계로 반복 제어하고, 스토퍼(11)를 도 2 내지 도 3과 같은 단계로 반복 제어하며, 흡입관(4)을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반복 제어하면서 캔(2)의 개구 끝부분(E)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 이차 전지 캔의 이물질 제거 장치 2 : 캔
3 : 퍽(puck) 4 : 흡입관
5 : 전극 조립체 6 : 탭
7 : 컨베이어 8 : 흡입관 홀더
9 : 승강 실린더 11 : 스토퍼
11a : 캔 지지부 11b : 퍽 지지부
12 : 가이드 C : 간격
D1 : 내경 D2 : 외경
E : 끝부분 L : 중첩되는 범위
P1, P2, P3, P4, P5 : 제1, 제2, 제3, 제4, 제5 퍽

Claims (10)

  1. 전극 조립체를 내장한 캔을 탑재하는 퍽; 및
    상기 캔의 일측을 형성하는 개구의 끝부분에 흡입되는 공기 흐름을 형성하여 상기 끝부분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흡입관
    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관의 내경은 상기 캔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캔이 원통형이며, 상기 흡입관이 하강하여 상기 개구의 끝부분에 공기 흐름을 형성할 때,
    상기 흡입관은 상기 개구의 끝부분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끝부분을 수용하고,
    상기 흡입관의 내면과 상기 끝부분의 외면은 서로의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여, 서로 이격되며
    상기 흡입관과 상기 캔은,
    상기 캔의 원통 길이 방향을 따라 일직선 상에 위치하고, 적어도 상기 원통 길이 방향으로 중첩되는 범위를 형성하며,
    상기 흡입관은,
    부압으로 상기 끝부분의 외면에 공기 흐름을 형성하고, 상기 개구의 내부와 상기 끝부분의 내면에 같은 방향의 공기 흐름을 형성하는 이차 전지 캔의 이물질 제거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퍽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및
    상기 컨베이어 상에 놓여지는 상기 퍽의 상방에 제공되어 상기 흡입관을 잡아 주는 흡입관 홀더
    를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 캔의 이물질 제거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 홀더를 상기 캔의 상기 개구를 향하여 승강시키는 승강 실린더
    를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 캔의 이물질 제거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의 하방으로 공급되는 상기 캔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캔의 측면을 향하여 전진/후진하여 상기 캔의 측면을 지지하는 스토퍼
    를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 캔의 이물질 제거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캔의 측면을 지지하는 캔 지지부와,
    상기 캔 지지부를 장착하고 상기 퍽의 측면을 지지하는 퍽 지지부
    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캔의 이물질 제거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퍽 지지부의 하측 및 상기 퍽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상에 제공되어, 상기 퍽의 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컨베이어 상에서 상기 퍽을 이송하는 가이드
    를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 캔의 이물질 제거 장치.
KR1020100060118A 2010-06-24 2010-06-24 이차 전지 캔의 이물질 제거 장치 KR101223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118A KR101223560B1 (ko) 2010-06-24 2010-06-24 이차 전지 캔의 이물질 제거 장치
US12/904,979 US20110314627A1 (en) 2010-06-24 2010-10-14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erials on can of rechargeable battery
CN201010551738.9A CN102299364B (zh) 2010-06-24 2010-11-16 用于去除可充电电池的罐上的异物的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118A KR101223560B1 (ko) 2010-06-24 2010-06-24 이차 전지 캔의 이물질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974A KR20110139974A (ko) 2011-12-30
KR101223560B1 true KR101223560B1 (ko) 2013-01-17

Family

ID=45351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118A KR101223560B1 (ko) 2010-06-24 2010-06-24 이차 전지 캔의 이물질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314627A1 (ko)
KR (1) KR101223560B1 (ko)
CN (1) CN1022993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589B1 (ko) * 2018-01-22 2020-05-29 세메스 주식회사 이차 전지 세정 장치
KR20200033022A (ko) 2018-09-19 2020-03-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조립체 제조용 권취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1323A (ja) * 2003-04-10 2004-11-04 Sony Corp 電池製造装置
JP2005019272A (ja) 2003-06-27 2005-01-20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制御弁式鉛蓄電池の安全弁室の洗浄方法及び洗浄装置
KR20060027249A (ko) * 2004-09-22 2006-03-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의 접속리드 용접장치
KR20100013678A (ko) * 2008-07-31 2010-02-10 이익재 이물질 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8419A (en) * 1916-03-10 1916-09-19 John M Clark Means for controlling dangerous gases in submarines and other craft.
US1360265A (en) * 1919-05-29 1920-11-30 Katherine Mcneff Brown Receptacle-cleaner
US1537340A (en) * 1924-04-15 1925-05-12 Niagara Searchlight Company In Process for assembling battery cells
US1880257A (en) * 1930-07-21 1932-10-04 James A Rheinstrom Method of cleaning bottles
US2172509A (en) * 1935-08-02 1939-09-12 Pneumatic Scale Corp Receptacle cleaning machine
US2237699A (en) * 1937-05-25 1941-04-08 Karl Kiefer Machine Company Bottle filling and cleaning device
US2319532A (en) * 1941-04-29 1943-05-18 Willard Storage Battery Co Liquid dispensing apparatus
US2354308A (en) * 1942-05-27 1944-07-25 Pneumatic Scale Corp Container cleaning machine
US2637872A (en) * 1948-07-24 1953-05-12 Colgate Palmolive Peet Co Suction cleaning device for collapsible tubes
US2644188A (en) * 1952-03-26 1953-07-07 White Cap Co Pneumatic container cleaning apparatus
US2883815A (en) * 1956-06-25 1959-04-28 Gen Dry Batteries Company Automatic battery making machine
US2917768A (en) * 1957-05-08 1959-12-22 Fearn Foods Inc Air cleaning machine for containers
US3354917A (en) * 1964-01-06 1967-11-28 Union Carbide Corp Constant volume, vacuum-air, liquid impregnating dispenser
US3911972A (en) * 1971-05-27 1975-10-14 Ernst Hubers Method of filling containers enclosing solid matter with an accurate amount of liquid
US3722663A (en) * 1971-06-14 1973-03-27 Nalbach J Eng Co Inc Stabilizing apparatus for lightweight containers
US3802050A (en) * 1972-06-02 1974-04-09 Emat Co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dry cell batteries
US5279017A (en) * 1991-08-15 1994-01-18 Kraft Food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particles from containers
US5308237A (en) * 1992-07-06 1994-05-03 Star Container, Inc. Container ejection system
JPH07105918A (ja) * 1993-10-01 1995-04-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への上蓋供給装置
US5479762B1 (en) * 1994-05-06 1997-07-15 Dowbrands Lp Carrier puck
US5532075A (en) * 1994-07-06 1996-07-02 Alexander Manufacturing Corporation Small battery cell
JP3882212B2 (ja) * 1995-09-19 2007-02-14 宇部興産株式会社 電池の電解液供給方法および装置
JP3338302B2 (ja) * 1996-09-06 2002-10-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円筒型電池の搬送用保持具
US5881429A (en) * 1996-11-06 1999-03-16 Kalish Canada Inc. Portable container cleaning station
US5992477A (en) * 1997-07-05 1999-11-30 Tiegel Manufacturing Co. Battery acid filler machine and method
US5971041A (en) * 1998-06-22 1999-10-26 Kalish Canada Inc. Container filling apparatus with walking nozzles bank
ITPN20000016A1 (it) * 2000-03-09 2001-09-09 Sipa Spa Dispositivo per allineamento bottiglie
FR2821768B1 (fr) * 2001-03-08 2003-06-20 Adil Instr Tete de lavage et d'extraction pour appareil de lavage de microplaques et appareil correspondant
DE50303574D1 (de) * 2002-03-08 2006-07-06 Epco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infüllen flüchtiger flüssigkeiten in gehäuse elektrischer bauelemente und zum verschliessen der gehäuse
DE10307052A1 (de) * 2003-02-20 2004-09-02 Elektro-Maschinen Und Apparatebau Rink Gmbh Aufbereitungsvorrichtung
US7849872B2 (en) * 2007-08-13 2010-12-14 Greatbatch Ltd. Keyed fluid connector and fluid dispensing system
US8147616B2 (en) * 2007-10-22 2012-04-03 Stokely-Van Camp, Inc. Container rinsing system and method
US7980046B2 (en) * 2008-02-20 2011-07-19 H2Local, Inc. Apparatus for cleaning, filling, and capping a container
US8047241B2 (en) * 2008-03-26 2011-11-01 Hibar Systems, Ltd. Method for filling electrolyte into battery cell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US7845148B2 (en) * 2008-04-15 2010-12-07 Psr Automation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nsertion of uniquely shaped packaging elements
US8047359B2 (en) * 2009-05-21 2011-11-01 Integration And Automation Solutions, Inc. Reduced noise container carri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1323A (ja) * 2003-04-10 2004-11-04 Sony Corp 電池製造装置
JP2005019272A (ja) 2003-06-27 2005-01-20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制御弁式鉛蓄電池の安全弁室の洗浄方法及び洗浄装置
KR20060027249A (ko) * 2004-09-22 2006-03-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의 접속리드 용접장치
KR20100013678A (ko) * 2008-07-31 2010-02-10 이익재 이물질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974A (ko) 2011-12-30
US20110314627A1 (en) 2011-12-29
CN102299364B (zh) 2014-12-03
CN102299364A (zh) 201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46899B2 (ja) 電池の組立システム、電池素子本体の位置決め搬送装置
KR101287415B1 (ko) 소형 폴리머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KR102208159B1 (ko) 배터리케이스의 자동 크리닝 장치
KR20170117681A (ko) 전지셀에 접착테이프를 부착 가능한 테이핑 장치
KR101849421B1 (ko) 배터리 셀의 절연 테이프 자동 부착 장치
KR102099571B1 (ko) 테이프 부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테이프 부착 방법
CN216335185U (zh) 一种电池模组抓取装置和电池制造设备
KR102414044B1 (ko) 전지 셀에 부착 가능한 접착 테이프용 테이핑 장치 및 테이핑 방법
KR101738724B1 (ko) 유닛셀 이송 시스템
KR101208998B1 (ko) 전극판 이송장치
KR101223560B1 (ko) 이차 전지 캔의 이물질 제거 장치
WO2012137919A1 (ja) 電池用電極部材のための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KR101287414B1 (ko) 소형 폴리머 이차전지 제조 시스템의 전극 적층장치
JPWO2014188607A1 (ja) 積層装置及び積層方法
KR101805954B1 (ko) 유닛셀 공급장치
JP2019102401A (ja) 積層電極体の製造装置
KR101221009B1 (ko) 전극체의 상면 테이핑 장치 및 상면 테이핑 방법
CN115207478A (zh) 锂电池电芯垫片全自动清洗检测生产线
JP2016173927A (ja) 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KR20150102771A (ko) 레이저를 이용한 전극 커팅 장치 및 그 전극 공급 방법
CN212161781U (zh) 一种真空吸盘及硅片运送装置
JP6063132B2 (ja) 筒状部材の洗浄装置および洗浄方法
KR101724140B1 (ko) 박형실리콘 태양전지 비파손 이송장치
KR102347486B1 (ko) 2차 전지 이물질 제거용 피딩장치
CN218456079U (zh) 焊接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