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998B1 - 전극판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전극판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998B1
KR101208998B1 KR1020100131236A KR20100131236A KR101208998B1 KR 101208998 B1 KR101208998 B1 KR 101208998B1 KR 1020100131236 A KR1020100131236 A KR 1020100131236A KR 20100131236 A KR20100131236 A KR 20100131236A KR 101208998 B1 KR101208998 B1 KR 101208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sorption plate
plate
adsorption
electrode plat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1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9904A (ko
Inventor
김선재
홍지준
Original Assignee
(주)열린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열린기술 filed Critical (주)열린기술
Priority to KR1020100131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998B1/ko
Publication of KR20120069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9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65H3/0808Suction grippers
    • B65H3/0816Suction grippers separating from the top of pi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 B65H2301/4232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from top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assisting separation or preventing double fe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전극판 이송장치는, 하나의 수평면상에 나란하게 배열되되 상호 마주보는 측이 이격되며, 전극판을 흡착시킬 수 있도록 공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착수단이 저면에 각각 하나 이상씩 구비되는 제1 흡착플레이트 및 제2 흡착플레이트;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가 상호 마주보는 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끝단이 하나의 힌지축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가 상호 마주보는 측의 반대편 측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를 회동시키는 회동수단;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 및 제2 흡착플레이트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극판 이송장치를 이용하면, 전극판의 손상 우려 없이 적층된 다수 개의 전극판을 이송시킬 수 있고, 한 번에 하나의 전극판만을 흡착하여 이송시킬 수 있으며, 겹쳐져 흡착된 전극판을 분리시키기 위한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극판 이송장치{Apparatus for transferring electrode plate}
본 발명은 얇은 플레이트 형상의 전극판을 흡착하여 이송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둘 이상의 전극판이 겹쳐져 흡착되더라도 겹쳐진 전극판을 분리시킨 후 하나의 전극판만을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극판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로, 최근들어 고에너지 밀도의 비수전해액을 이용한 고출력 이차 전지가 개발되고 있으며, 하나의 전지 셀이 팩 형태로 포장된 저 용량 전지의 경우 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은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대 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 예컨대,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의 경우에는 상기 전지 셀을 수십 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대용량의 이차 전지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이차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띠 상의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절연체인 분리막(separator)을 개재하여 이를 와류 상으로 감아 전극군(또는, 젤리롤)을 형성한 원통형과, 양극판과 음극판이 교번으로 적층되되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마다 분리막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전극판적층체를 케이스에 내장 설치한 스택형이 있다. 이때 상기 언급한 원통형 이차전지와 스택형 이차전지 중에서, 제품의 두께를 줄일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방전용량이 큰 스택형 이차전지의 활용 및 개발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한편,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전극판(양극판 및 음극판)은 두께가 매우 얇기 때문에, 전극판 이송 시 클램프 등으로 전극판을 집어 들게 되면 상기 전극판이 손상될 우려가 매우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전극판을 흡착 방식으로 들어 이동시키는 전극판 이송장치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전극판 이송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전극판 이송장치의 측면도이다.
종래의 전극판 이송장치(20)는, 가이드레일(21)과, 상기 가이드레일(21)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블럭(25)과, 상기 이송블럭(25)의 하측에 위치되며 저면에 전극판(10) 흡착을 위한 흡착노즐(24)이 구비되는 흡착플레이트(23)와, 이송블럭(22)에 결합되어 흡착플레이트(23)를 승강시키는 흡착플레이트 승강실린더(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흡착플레이트(23)에는 흡착노즐(24) 입구측에 진공을 형성하기 위한 공기흡입관(미도시)이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전극판 이송장치(20)를 이용하여 적층된 다수 개의 전극판(40)을 하나씩 이송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흡착플레이트(23)를 하강시켜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전극판(10)의 상면에 흡착노즐(24) 끝단이 접촉시킨 후 흡착노즐(24) 입구측에 진공을 형성시켜 상기 전극판(10)이 흡착노즐(24)에 흡착되도록 하고, 흡착플레이트(23)를 상승 및 수평이동시켜 흡착노즐(24)에 흡착된 전극판(10)이 설정 지점에 위치되도록 한 후 흡착노즐(24)에 형성되었던 진공을 해제시켜 상기 전극판(10)이 흡착플레이트(23)와 분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포함되는 전극판 이송장치(20)를 이용하면, 전극판(10)을 들어올리기 위하여 별도의 클램프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클램프로 전극판(10)을 집어 드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전극판(10)의 손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전극판(10)은 두께가 매우 얇을 뿐만 아니라 표면이 매끈하므로, 복수 개의 전극판(10)이 적층되었을 때 이웃하는 전극판(10)이 완전히 밀착되어 쉽게 분리되지 아니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흡착 방식으로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전극판(10)을 들어 올렸을 때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전극판(10)만 들어 올려지는 것이 아니라 그 다음에 위치하는 전극판(10)까지 함께 들어 올려지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전극판의 손상 우려 없이 적층된 다수 개의 전극판을 이송시킬 수 있고, 한 번에 하나의 전극판만을 흡착하여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극판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극판 이송장치는, 하나의 수평면상에 나란하게 배열되되 상호 마주보는 측이 이격되며, 전극판을 흡착시킬 수 있도록 공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착수단이 저면에 각각 하나 이상씩 구비되는 제1 흡착플레이트 및 제2 흡착플레이트;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가 상호 마주보는 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끝단이 하나의 힌지축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가 상호 마주보는 측의 반대편 측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를 회동시키는 회동수단;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 및 제2 흡착플레이트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동수단은, 양측이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의 상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에 인장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 간의 간격을 조정하는 조정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와 제2 흡착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에 양측이 결합된다.
상기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는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회동수단은, 양측이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의 저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에 인장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가 서로 마주보는 끝단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의 회동각을 한정하는 조정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의 저면에는 하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의 저면에 형성된 돌출부와 제2 흡착플레이트의 저면에 형성된 돌출부에 양측이 결합된다.
상기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는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조정캠은,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 사이에서 승강 가능한 수직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가 상호 마주보는 측단과 대응되는 지점에 하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좁아지는 방향의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조정캠은,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이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 사이에서 자전 가능한 구조로 장착된다.
상기 흡착부에 흡착된 이후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의 회동에 의해 만곡된 전극판의 저면으로 기체를 측방 분사하는 기체분사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힌지축을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극판 이송장치를 이용하면, 전극판의 손상 우려 없이 적층된 다수 개의 전극판을 이송시킬 수 있고, 한 번에 하나의 전극판만을 흡착하여 이송시킬 수 있으며, 겹쳐져 흡착된 전극판을 분리시키기 위한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극판 이송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극판 이송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극판 이송장치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전극판 이송장치 제2 실시예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전극판 이송장치 제3 실시예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극판 이송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극판 이송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극판 이송장치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극판 이송장치는 전극판(1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흡착 방식으로 전극판(10)을 들어 올리도록 구성되되, 전극판(10)을 흡착하여 들어 올릴 때 흡착된 전극판(10)의 저면에 또 다른 전극판(10)이 붙어 함께 들어 올려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전극판 이송장치는, 흡착방식으로 전극판(10)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전극판(10)을 흡착시킬 수 있을 만큼의 공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착수단(130)이 저면에 각각 하나 이상씩 구비되는 제1 흡착플레이트(110) 및 제2 흡착플레이트(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로부터 각각 연장된 제1 연장부(210)와 제2 연장부(220)의 끝단이 하나의 힌지축(230)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가 상기 힌지축(230)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가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면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전극판(10)을 휠 수 있는데,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의 흡착수단(130)에 전극판(10)이 두 겹 이상 흡착되었을 때 전극판(10)을 휘게 되면 상측에 위치하는 전극판(10)(흡착수단(130)에 흡착된 전극판(10))과 하측에 위치하는 전극판(10)의 곡률반경 차이로 인하여 하측에 위치하는 전극판(10)의 상면이 상측에 위치하는 전극판(10)의 저면 상에서 미끄러지게 되므로, 상측에 위치하는 전극판(10)으로부터 하측에 위치하는 전극판(10)을 떨어뜨릴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가 상호 마주보는 측의 반대편 측(본 실시예에서는 제1 흡착플레이트(110)의 우측, 제2 플레이트의 좌측)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전극판(10)이 가운데 부위가 아래로 볼록하도록 휘어지는 경우에도 하측 전극판(10)의 상면과 상측 전극판(10)의 저면 간에 미끄럼운동이 발생되므로 하측 전극판(10)이 상측 전극판(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가 상호 마주보는 측의 반대편 측(본 실시예에서는 제1 흡착플레이트(110)의 우측, 제2 플레이트의 좌측)이 하강하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전극판(10)이 가운데 부위가 위로 볼록하도록 휘어지는 경우에도 하측 전극판(10)의 상면과 상측 전극판(10)의 저면 간에 미끄럼운동이 발생되어 하측 전극판(10)이 상측 전극판(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두 겹의 전극판(10)이 가운데 부위가 위로 볼록하도록 휘어지는 경우에는, 하측 전극판(10)의 좌우측 상면이 자체 복원탄성력에 의하여 상측 전극판(10)의 좌우측 저면에 밀착되어 하측 전극판(10)이 상측 전극판(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아니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는, 상호 마주보는 측의 반대편 측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즉, 전극판(10)을 아래로 볼록하게 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두 겹의 전극판(10) 휨량이 기준치 미만이면 두 겹의 전극판(10)이 분리되는 효과가 저감되고, 두 겹의 전극판(10) 휨량이 과도한 경우에는 전극판(10)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전극판(10)을 휘기 위한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의 회동각도는 전극판(10)의 재질 및 기타 여러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제1 흡착플레이트(110) 및 제2 흡착플레이트(120)에 흡착된 전극판(10)을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제1 흡착플레이트(110) 및 제2 흡착플레이트(120)를 이송시키기 위한 별도의 이송수단(미도시)이 구비되어야 하는데,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110) 및 제2 흡착플레이트(120)는 고정되지 아니하고 움직이는 구성요소이므로 상기 이송수단이 제1 흡착플레이트(110) 및 제2 흡착플레이트(120)를 잡아 이송하도록 구성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상기 이송수단은 제1 흡착플레이트(110) 및 제2 흡착플레이트(120)의 회동에 관계없이 위치가 일정하게 고정되는 힌지축(230)을 이송시키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이송대상을 특정위치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은 다양한 구조로 제안되고 상용화되어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의 회동은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가 수동으로 회동되면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의 회동각도가 일정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생산속도가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전극판 이송장치는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를 일정한 각도만큼 자동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회동수단(300)이 추가로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상기 회동수단(300)이 회전각도 제어가 가능한 모터와 다수 개의 기어 등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회전수 제어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모터가 필수적으로 요구될 뿐만 아니라 상기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추가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해지고 장치의 제조원가가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회동수단(300)은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에 서로 반대 방향의 회전력을 탄성적으로 인가하기 위한 탄성부재(310)와,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가 서로 마주보는 끝단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의 최대 회동각을 제한하는 조정캠(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탄성부재(310)만으로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에 상호 반대방향의 회전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탄성부재(310)는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의 상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에 인장탄성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극판 이송장치의 작동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탄성부재(310)가 인장된 상태로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의 상면에 양측이 연결되면,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는 상호 마주보는 반대 측단(이하 '외측단'이라 약칭함)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탄성부재(310)로부터 회전력을 지속적으로 인가받는다. 이때,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에는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의 내측단 간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는데,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의 내측단 사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캠(320)이 끼워져 있으므로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는 회전되지 못하고 고정된 상태 즉,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조정캠(320)은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 사이에서 승강 가능한 수직바 형상으로 형성되되,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가 상호 마주보는 측단(이하 '내측단'이라 약칭함)과 접촉되는 지점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좁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조정캠(320)이 상승되면 상기 조정캠(320)은 제1 흡착플레이트(110) 및 제2 흡착플레이트(120)의 내측단과 이격되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는 내측단이 조정캠(320)에 접촉될 때까지 외측단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의 흡착수단(130)에 흡착된 전극판(10)은 가운데 부위가 하향으로 볼록하도록 휘어지게 된다. 따라서 2장의 전극판(10)이 겹쳐진 상태로 흡착수단(130)에 흡착되더라도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의 회동에 의해 휘어지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 위치하는 전극판(10)은 상측에 위치하는 전극판(10)으로부터 떨어져 자중에 의해 낙하하게 된다.
그러나 상측 전극판(10)과 하측 전극판(10) 사이에 진공압 또는 정전기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2겹의 전극판(10)을 휘더라도 하측 전극판(10)이 상측 전극판(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아니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극판 이송장치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흡착수단(130)에 흡착된 전극판(10)의 저면으로 즉, 상측 전극판(10)과 하측 전극판(10) 사이로 기체를 측방 분사하는 기체분사부(40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체분사부(400)가 추가로 구비되면, 하측 전극판(10)이 상측 전극판(10)으로부터 떨어지지 아니하더라도 고압의 기체를 상측 전극판(10)과 하측 전극판(10) 사이로 불어 넣을 수 있으므로, 하측 전극판(10)을 보다 확실하게 상측 전극판(10)으로부터 분리시켜 낙하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고압의 기체를 분사하는 방식으로 상측 전극판(10)과 하측 전극판(10)을 분리하게 되면, 전극판(10)의 손상 우려 없이 여러 겹으로 붙어 있는 전극판(10)을 하나씩 분리시킬 수 있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한편, 제1 흡착플레이트(110) 및 제2 흡착플레이트(120)의 회전중심이 되는 힌지축(230)으로부터 탄성부재(310)가 제1 흡착플레이트(110) 및 제2 흡착플레이트(120)를 잡아당기는 힘까지의 수직거리가 클수록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110) 및 제2 흡착플레이트(120)는 용이하게 회동되므로,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의 상면에는 상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310)는 제1 흡착플레이트(110)의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의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에 양측이 각각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흡착플레이트(110) 및 제2 흡착플레이트(120)가 위치되는 지점과 힌지축(230)이 위치되는 지점이 동일한 높이를 가지게 되면, 제1 흡착플레이트(110) 및 제2 흡착플레이트(120)가 회동될 때 제1 흡착플레이트(110)의 내측단과 제2 흡착플레이트(120)의 내측단 간의 간격 변화량이 매우 적으므로, 조정캠(320)을 이용하여 제1 흡착플레이트(110) 및 제2 흡착플레이트(120)의 회동각도를 정확하게 제어하는데 어려움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전극판 이송장치는, 제1 연장부(210) 및 제2 연장부(220)가 제1 흡착플레이트(110) 및 제2 흡착플레이트(120)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후 하나의 힌지축(230)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흡착플레이트(110) 및 제2 흡착플레이트(120)의 회전중심이 되는 힌지축(230)과 제1 흡착플레이트(110) 및 제2 흡착플레이트(120)의 내측단 간의 간격이 크게 확보되면,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의 회동각도 따른 제1 흡착플레이트(110)의 내측단과 제2 흡착플레이트(120)의 내측단 사이의 간격 변화량이 커지게 되므로, 제1 흡착플레이트(110) 및 제2 흡착플레이트(120)의 회동각도를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전극판 이송장치 제2 실시예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조정캠(320)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운동에 따라 제1 흡착플레이트(110) 및 제2 흡착플레이트(120) 내측단 간의 간격을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축과 단축을 갖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이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에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조정캠(320)이 판캠 구조로 구성되면,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 사이에서 자전됨에 따라 제1 흡착플레이트(110)의 내측단과 제2 흡착플레이트(120)의 내측단 사이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캠(320)의 장축방향 외주면이 제1 흡착플레이트(110) 및 제2 흡착플레이트(120)의 내측단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제1 흡착플레이트(110) 및 제2 흡착플레이트(120)가 회동하지 못하고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조정캠(320)이 90도 회전하여 단축방향 외주면이 제1 흡착플레이트(110) 및 제2 흡착플레이트(120)의 내측단에 접촉되면 제1 흡착플레이트(110) 및 제2 흡착플레이트(1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단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캠(320)이 판캠 구조를 갖는 경우, 조정캠(320) 동작을 위해 확보되어야 할 공간이 매우 줄어들게 되며, 별도의 제어 없이도 제1 흡착플레이트(110) 및 제2 흡착플레이트(120)의 회동방향이 주기적으로 바뀌면서 반복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전극판 이송장치 제3 실시예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310)가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의 외측단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탄성부재(310)는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의 외측단이 하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310)는 양측이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의 저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에 인장탄성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정캠(320)은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의 내측단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의 회동을 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조정캠(320)은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110) 및 제2 흡착플레이트(120)의 내측단과 접촉되는 부위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바, 도 8에 도시된 상태에서 조정캠(320)이 하강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의 내측단은 조정캠(320)에 의해 밀려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는 외측단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장부(210)와 제2 연장부(220)가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후 힌지축(23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면, 조정캠(320)이 하강되어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의 내측단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질 때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는 외측단이 하강하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조정캠(320) 하강 시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가 외측단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1 연장부(210)와 제2 연장부(220)가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연장된 후 힌지축(230)에 회동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상태에서 조정캠(320)이 상승하게 되면,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는 탄성부재(310)의 탄성력에 의해 외측단이 하강하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도 8에 도시된 상태로 복귀된다. 이때, 상기 탄성수단에 의해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가 보다 원활하게 회동되기 위해서는 상기 탄성수단의 탄성력 인가지점이 제1 흡착플레이트(110) 및 제2 흡착플레이트(120)의 회전축 즉, 힌지축(230)으로부터 보다 멀리 위치되어야 하므로,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의 저면에는 하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310)는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110)의 저면에 형성된 돌출부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의 저면에 형성된 돌출부에 양측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구조로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가 회동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조정캠(320)은 타원형 판캠 형상(도 6 및 도 7 참조)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정캠(320)이 타원형 판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조정캠(320)은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가 수평으로 배열되었을 때 단축방향 외주면이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의 내주면에 각각 접촉되도록 장착되어, 90도 회전되었을 때 장축방향 외주면이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의 내주면을 밀어 벌림으로써 제1 흡착플레이트(110)와 제2 흡착플레이트(120)를 도 9에 도시된 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10 : 제1 흡착플레이트 120 : 제2 흡착플레이트
130 : 흡착수단 210 : 제1 연장부
220 : 제2 연장부 230 : 힌지축
300 : 회동수단 310 : 탄성부재
320 : 조정캠 400 : 기체분사부

Claims (11)

  1. 삭제
  2. 하나의 수평면상에 나란하게 배열되되 상호 마주보는 측이 이격되며, 전극판을 흡착시킬 수 있도록 공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착수단이 저면에 각각 하나 이상씩 구비되는 제1 흡착플레이트 및 제2 흡착플레이트;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가 상호 마주보는 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끝단이 하나의 힌지축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가 상호 마주보는 측의 반대편 측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를 회동시키는 회동수단;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 및 제2 흡착플레이트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회동수단은, 양측이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의 상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에 인장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 간의 간격을 조정하는 조정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판 이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와 제2 흡착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에 양측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판 이송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는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판 이송장치.
  5. 하나의 수평면상에 나란하게 배열되되 상호 마주보는 측이 이격되며, 전극판을 흡착시킬 수 있도록 공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착수단이 저면에 각각 하나 이상씩 구비되는 제1 흡착플레이트 및 제2 흡착플레이트;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가 상호 마주보는 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끝단이 하나의 힌지축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가 상호 마주보는 측의 반대편 측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를 회동시키는 회동수단;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 및 제2 흡착플레이트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회동수단은, 양측이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의 저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에 인장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가 서로 마주보는 끝단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의 회동각을 한정하는 조정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판 이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의 저면에는 하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의 저면에 형성된 돌출부와 제2 흡착플레이트의 저면에 형성된 돌출부에 양측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판 이송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는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판 이송장치.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캠은,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 사이에서 승강 가능한 수직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가 상호 마주보는 측단과 대응되는 지점에 하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좁아지는 방향의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판 이송장치.
  9.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캠은,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이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 사이에서 자전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판 이송장치.
  10. 하나의 수평면상에 나란하게 배열되되 상호 마주보는 측이 이격되며, 전극판을 흡착시킬 수 있도록 공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착수단이 저면에 각각 하나 이상씩 구비되는 제1 흡착플레이트 및 제2 흡착플레이트;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가 상호 마주보는 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끝단이 하나의 힌지축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가 상호 마주보는 측의 반대편 측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를 회동시키는 회동수단;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 및 제2 흡착플레이트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
    상기 흡착부에 흡착된 이후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의 회동에 의해 만곡된 전극판의 저면으로 기체를 측방 분사하는 기체분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판 이송장치.
  11. 하나의 수평면상에 나란하게 배열되되 상호 마주보는 측이 이격되며, 전극판을 흡착시킬 수 있도록 공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착수단이 저면에 각각 하나 이상씩 구비되는 제1 흡착플레이트 및 제2 흡착플레이트;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가 상호 마주보는 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끝단이 하나의 힌지축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가 상호 마주보는 측의 반대편 측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와 제2 흡착플레이트를 회동시키는 회동수단;
    상기 제1 흡착플레이트 및 제2 흡착플레이트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힌지축을 이송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판 이송장치.
KR1020100131236A 2010-12-21 2010-12-21 전극판 이송장치 KR101208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236A KR101208998B1 (ko) 2010-12-21 2010-12-21 전극판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236A KR101208998B1 (ko) 2010-12-21 2010-12-21 전극판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904A KR20120069904A (ko) 2012-06-29
KR101208998B1 true KR101208998B1 (ko) 2012-12-06

Family

ID=46687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1236A KR101208998B1 (ko) 2010-12-21 2010-12-21 전극판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9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4668B1 (ko) 2021-10-15 2022-06-02 주식회사 우원기술 이차전지용 전극판 로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39237B (zh) * 2016-09-25 2018-05-15 东莞市联洲知识产权运营管理有限公司 一种激光切割钢板收集箱自动送料提升输送机构
CN108163587B (zh) * 2017-12-29 2019-10-18 苏州宁林光电科技有限公司 胶片自动上料装置
JP6988541B2 (ja) * 2018-02-15 2022-01-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セパレータ吸着装置
KR102563821B1 (ko) * 2021-06-24 2023-08-07 주식회사 디에이테크놀로지 이차전지의 전극 분리 및 이송용 픽앤플레이스 장치
KR102575083B1 (ko) * 2021-10-20 2023-09-04 송해길 비전 카메라를 위한 부품 정렬 시스템
CN115157883A (zh) * 2022-07-05 2022-10-11 南阳柯丽尔科技有限公司 打印机吸片机构以及打印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0736U (ko) 1984-10-30 1986-05-29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0736U (ko) 1984-10-30 1986-05-29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4668B1 (ko) 2021-10-15 2022-06-02 주식회사 우원기술 이차전지용 전극판 로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904A (ko) 201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8998B1 (ko) 전극판 이송장치
KR101738724B1 (ko) 유닛셀 이송 시스템
KR101040704B1 (ko) 이차전지용 스택 제작장치
EP2816634A1 (en) Battery cell storage apparatus and storage apparatus transport system
KR20140124970A (ko) 리튬이차전지 극판 이송 장치
KR20190105855A (ko) 단위셀 정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조립체 제조 방법
KR102096934B1 (ko) 각형 이차전지의 극판 적층 장치용 버큠 벨트 컨베이어
WO2016002798A1 (ja) 二次電池の電極板の供給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773241B1 (ko) 정렬 장치
KR101291063B1 (ko) 2차 전지 내부 셀 스택 적층 장치 및 방법
JP6610279B2 (ja) 電極積層装置
KR101805954B1 (ko) 유닛셀 공급장치
KR20220154584A (ko)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KR102119110B1 (ko) 2차 전지 셀의 다단 적층 이송용 장치
KR102521066B1 (ko) 단위셀의 이송방법 및 이송장치
KR20210045182A (ko) 2차전지 제조장치용 픽업 앤 플레이스 장치
US11652231B2 (en) Secondary battery cell supply apparatus for process of folding secondary battery cell
KR102389191B1 (ko) 전지 팩 제조 장치 및 전지 팩 제조 방법
KR102439126B1 (ko) 단위셀의 이송방법 및 이송장치
US20110314627A1 (en)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erials on can of rechargeable battery
KR20220119728A (ko) 이차전지의 전극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US20230307689A1 (en) Transfer Device for Unit Cell
CN220189710U (zh) 用于对准制造二次电池的堆叠电极组件的设备
KR100874386B1 (ko) 각형 전지의 제조방법
KR101794382B1 (ko) 유닛셀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