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3678A -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3678A
KR20100013678A KR1020080075306A KR20080075306A KR20100013678A KR 20100013678 A KR20100013678 A KR 20100013678A KR 1020080075306 A KR1020080075306 A KR 1020080075306A KR 20080075306 A KR20080075306 A KR 20080075306A KR 20100013678 A KR20100013678 A KR 20100013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torage container
suction
pipe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2440B1 (ko
Inventor
이익재
Original Assignee
이익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익재 filed Critical 이익재
Priority to KR1020080075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2440B1/ko
Publication of KR20100013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2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2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20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093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는, 안치부재에 안치된 하나 이상의 저장용기; 저장용기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분리하도록 노즐에서 저장용기의 내부로 크린에어를 분사하는 크린에어 공급수단과; 크린에어 공급수단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공기흡입부재로 고압의 에어를 흡입하는 이물질 흡입수단; 및 이물질 흡입수단을 상기 저장용기로 접근하거나 분리되도록 상,하로 구동되는 승강구동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컵이나 콘과 같은 저장용기에서 내용물을 담기 전에 미리 고압으로 에어를 흡입하여 용기에 담겨진 이물질을 미리 제거하므로 제조물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지닌다. 또한, 저장용기 내부에 깨끗하게 정화된 크린에어를 불어주거나 음이온을 발생하는 노즐을 이용하여 음이온을 공급하므로 내용물을 담기 전 미리 저장용기를 살균하여 저장용기에 담겨진 내용물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장점을 지닌다.
Figure P1020080075306
자장용기, 이물질, 크린에어, 고압에어, 진공흡입,

Description

이물질 제거장치 {DIFFERENT THING REMOVAL DEVICE}
본 발명은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컵이나 콘과같은 저장용기에서 내용물을 담기 전에 미리 고압의 에어를 불어주거나 흡입하여 용기에 담겨진 이물질을 미리 제거하도록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이나 콘과 같이 내용물을 담는 저장용기는 종이 혹은 프라스틱재를 이용하여 내부에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부를 구비한 상태로 제작하여 사용되었다.
저장용기는 아이스크림, 요거트 또는 기타 내용물을 포장하는 제조회사에서 내용물을 담기 전에 미리 용기제조회사에서 제조된 것을 구입하여 주로 사용하였다.
예를 들어서 아이스크림 제조회사에서 사용되는 컵이나 콘 형상의 저장용기는 미리 제조된 것을 대량으로 구입하여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하고, 이송된 저장용기에 정량공급장치로 아이스크림을 정량으로 공급하고 컨베이어로 이송하여 후속공 정에서 포장하므로 아이스크림을 제조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제조방식은 미리 제조된 저장용기를 컨베이어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머리카락 혹은 먼지 등의 이물질이 저장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 이물질이 내용물과 함께 그대로 담겨서 제조되므로 소비자가 먹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발견되어 제품 품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지닌다.
또한, 용기제조회사에서 저장용기를 제조하면서 이물질이 용기 내부에 부착되어 제거되지 않는 경우 식품제조회사에서 저장용기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시스템을 잘 관리하여도 저장용기에 원래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지는 못하므로 이 역시 제품 품질의 저하를 초래하는 단점을 지닌다.
따라서, 컵이나 콘과 같은 저장용기에 내용물이 담겨지기 전에 미리 이물질 을 제거하므로 이물질의 혼입을 미연에 방지하는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안할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본 발명은 컵이나 콘과 같은 저장용기에서 내용물을 담기 전에 미리 고압으로 에어를 흡입하여 용기에 담겨진 이물질을 미리 제거하므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저장용기 내부에 깨끗하게 정화된 크린에어를 불어주거나 음이온을 발생하는 노즐을 이용하여 음이온을 공급하므로 내용물을 담기 전 미리 저장용기를 살균하므로 저장용기에 담겨진 내용물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는, 안치부재에 안치된 저장용기; 상기 저장용기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분리하도록 저장용기에 내부로 크린에어를 분사하는 크린에어 공급수단과; 상기 크린에어 공급수단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공기흡입부재로 고압의 에어를 흡입하는 이물질 흡입수단; 및 상기 이물질 흡입수단을 상기 저장용기로 접근하거나 분리되도록 상,하로 구동되는 승강구동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크린에어 공급수단은, 상기 저장용기의 중앙부분에서 크린에어를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의 일측 부에 결합 고정되어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에 연결된 분기관에 에어를 공급하는 크린에어공급관과; 상기 크린에어 공급관으로 공급되는 에어에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와; 상기 필터에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물질 흡입수단은, 상기 저장용기의 상부에 안치홈부가 접촉되어 내부공간을 밀봉하고, 에어 흡입시 저장용기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하는 에어유입공이 형성된 흡입부재와; 상기 흡입부재를 상측에서 걸림턱으로 걸어주어 상기 흡입부재가 상기 저장용기에 접촉, 분리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돌출관과; 상기 돌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부재가 저장용기에 접촉시 흡입부재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완충하도록 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관이 고정되는 메인관에 연결되어 에어를 흡입하도록 하는 에어흡입관과; 상기 에어흡입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흡입부재로 에어를 흡입하거나 에어의 흡입정지시 관로를 절환하는 삼방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즐은, 음이온이 다량 배출되는 음이온 발생노즐을 사용하고, 상기 돌출관은 흡입되는 이물질이 수평부분에 남아있도록 "ㄱ "자로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는, 안치부재에 안치된 저장용기; 상기 저장용기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공기흡입부재로 고압의 에어를 흡입하여 제거하는 이물질 흡입수단; 및 상기 이물질 흡입수단을 상기 저장용기로 접근하거나 분리되도록 상,하로 구동되는 승강구동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물질 흡입수단은, 상기 저장용기에 돌출부가 바닥면에 접촉되고, 상기 돌출부에 다수 형성된 개방홈부를 통하여 흡입되는 고압의 공기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흡입부재와; 상기 흡입부재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용기의 상측 부분을 덮어주고, 에어 흡입시 저장용기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유입공이 형성된 커버부재와; 상기 흡입부재가 결합 고정되고, 흡입되는 이물질이 수평부분에 남아있도록 "ㄱ "자로 절곡 형성되는 돌출관과; 상기 돌출관이 고정되는 메인관에 연결되어 에어를 흡입하도록 하는 에어흡입관과; 상기 에어흡입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흡입부재로 에어를 흡입하거나 에어의 흡입정지시 관로를 절환하는 삼방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구동수단은, 상기 이물질흡입 수단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양측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에 이동축이 고정되어 지지프레임에 대해 상,하로 구동되게 동력을 발생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를 사용하면, 컵이나 콘과 같은 저장용기에서 내용물을 담기 전에 미리 고압으로 에어를 흡입하여 용기에 담겨진 이물질을 미리 제거하므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지닌다.
또한, 저장용기 내부에 깨끗하게 정화된 크린에어를 불어주거나 음이온을 발생하는 노즐을 이용하여 음이온을 공급하므로 내용물을 담기 전 미리 저장용기를 살균하므로 저장용기에 담겨진 내용물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지닌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구성을 살펴 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이물질 흡입수단이 저장용기로 이동하는 상태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이물질 흡입수단이 저장용기에 크린에어를 분사하고 이물질을 흡입하는 상태 확대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이물질 흡입수단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는, 저장용기(6), 크린에어 공급수단(60), 이물질 흡입수단(30), 승강구동수단(10)을 포함한다.
크린에어 공급수단(60)은, 저장용기(6)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분리하도록 노즐(72)에서 저장용기(6)의 내부로 크린에어를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크린에어 공급수단(60)은, 연결관(70), 크린에어공급관(66), 필터(64), 공기공급부재(62)를 포함한다.
연결관(70)은, 저장용기(6)의 중앙부분에서 크린에어를 분사하는 노즐(72)이 일측 단부에 결합 고정되어 상측으로 연장 형성 되어진다.
노즐(72)은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배출공(74)이 하측에서 양간 경사지게 분기되어져 분사되는 크린에어가 저장용기(6)의 바닥면에서 퍼지면서 분사되도록 구성된다.
노즐(72)은, 저장용기(6)에 있는 이물질 중에 바이러스등과 같은 세균을 살균하도록 음이온이 다량 배출되는 음이온 발생노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노즐(72)은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것이라면 어떠한 노즐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노즐(72)은 상기 연결관에 볼트 방식으로 체결되거나 끼움 방식으로 걸려져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타 다른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크린에어 공급관(66)은, 연결관(70)에 연결된 분기관(68)에 에어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필터(64)는, 크린에어 공급관(66)으로 공급되는 에어에서 이물질을 걸러주어 크린에어를 형성하도록 한다. 크린에어(clean air)는 이물질이 걸러지는 청정에어를 의미한다.
공기공급부재(64)는, 필터(64)에 고압이 에어를 발생하여 공급시키도록 하고, 원심력을 이용하여 고압을 발생하는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물질 흡입수단(30)은, 크린에어 공급수단(60)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공기흡입부재(50)로 고압의 에어를 흡입하여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이물질 흡입수단(30)은, 흡입부재(40), 돌출관(34), 탄성부재(42), 에어흡입관(66), 삼방밸브(48)을 포함한다.
흡입부재(40)는, 저장용기(6)의 상부에 안치홈부(44)가 접촉되어 저장용기(6)의 내부공간을 밀봉하고, 에어 흡입시 저장용기(6)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하는 에어유입공(38)이 형성된다.
에어유입공(38)에서 유입되는 공기는, 공기흡입부재(50)에서 흡입되는 공기보다 적은 량이므로 저장용기(6)가 찌그러지지 않을 정도로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어진다.
즉, 이물질을 제거한 후, 공기흡입부재(50)의 가동이 정지되는 경우, 에어유입공(38)으로 에어가 유입되므로 순식간에 저장용기(6) 내부에 진공이 해소되도록 한다.
이것은, 삼방밸브(48)가 절환되어 외부와 관로가 연결되므로 저장용기(6)의 진공을 해소하는 것과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진공 해제 작업을 배가시켜 준다.
에어유입공(38)은, 돌출관(34)에 접촉되는 흡입부재(40)의 내벽면에 원형 또는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에어를 유입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관(34)는, 흡입부재(40)를 상측에서 걸림턱(36)으로 걸어주어 상기 흡입부재(40)가 상기 저장용기(6)에 접촉, 분리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하고, 상기 연결관(70)이 중심부분에 설치된다.
돌출관(34)은 수직으로 형성되는 상태를 도면에 도시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돌출관(34)을 "ㄱ "자로 절곡 형성하여 흡입되는 이물질이 수평부분에 남아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내부에 설치된 연결관(70) 역시 "ㄱ "자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관(34)의 관로의 형상을 다양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물질 흡입수단(30)으로 이물질을 흡입하면서 정지할 때, "ㄱ "자 형상의 돌출관(34)의 내에 남아 있는 이물질은 수평부분에 잔류하므로 저장용기(6)로 이물 질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고, 수평부분에 잔류된 이물질은 후속 흡입공정에서 재차 흡입되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탄성부재(42)는, 돌출관(34)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부재(40)가 저장용기(6)에 접촉시, 흡입부재(40)가 돌출관(34)의 외주면에서 상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완충되도록 구성된다.
탄성부재(42)는,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탄성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에어흡입관(46)은, 한번에 접촉되는 저장용기(6)의 갯수 만큼 형성되는 돌출관(34)이 일체로 고정되는 하나의 메인관(32)에 연결되어 에어를 흡입하도록 구성된다.
삼방밸브(48)는, 에어흡입관(46)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흡입부재(50)로 에어를 흡입하는 경우, 외부와의 연결은 차단하고 공기흡입부재(50)와 연결되게 하여 저장용기(6)가 진공을 유지하게 하고, 공기흡입부재(50)로 에어의 흡입을 정지하는 경우, 관로를 절환하여 공기흡입부재(50)와의 연결은 차단하고 외부와 연결되게 하여 저장용기(6)의 진공 상태를 해소하도록 구성된다.
공기흡입부재(50)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임의 대로 저장용기(6)에 가하여지는 진공압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공기흡입부재(50)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량을 조절하는 공기배출조절밸브(52)를 더 구비하도록 한다.
공기흡입부재(50)는 블로워(blower)를 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승강구동수단(10)은, 이물질 흡입수단(30)을 저장용기(6)로 접근하 거나 분리되도록 상,하로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승강구동수단(10)은, 이동부재(18), 가이드레일(20), 실린더(12)를 포함한다.
이동부재(18)은, 이물질 흡입수단(30)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이드레일(20)은 이동부재(18)의 양측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실린더(12)는, 이동부재(18)의 일측에 이동축(14)이 고정되어 지지프레임(16)에 대해 상,하로 구동되게 동력을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승강구동수단(10)은 실린더방식 이외에도 모터 및 기어 구동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작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2)로 안치부재(4)에 안치된 저장용기(6)를 이송하도록 한다. 저장용기(6)는 가로와 세로로 다수개 씩 배치된 하나 이상의 안치부재(4)에 안치되어 이송되며, 이송방식이 권리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2)를 구동하여 이동축(14)에 고정된 이동부재(18)를 가이드레일(20)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시켜 흡입부재(40)의 안치홈부(44)를 저장용기(6)의 상측면에 밀착시킨다.
이때, 흡입부재(40)가 저장용기(6)에 접촉되면서, 배면에 설치된 탄성부재(42)에서 충격을 흡수하도록 약간 오므려지고, 흡입부재(40)가 상측으로 약간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공급부재(62)에서 고압의 에어를 원 심력으로 발생하여 토출하여 필터(64)에 이물질을 걸러주므로 크린에어로 전환하고, 이 크린에어를 크린에어 공급관(60)을 거쳐 분기관(68)에서 다수 분리하고, 메인관(32)과 돌출관(34)의 내부에 설치된 연결관(70)을 거쳐 이동시킨다.
그리고, 연결관(70)을 따라 이동한 크린에어는, 노즐(72)의 에어배출공(74)에서 분기 되어져 저장용기(6)의 바닥면에 고압으로 분사되므로 내부에 묻어 있는 머리카락 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분리하게 된다.
한편, 이와 거의 동시에 공기흡입부재(50)에서 고압으로 공기를 흡입하면, 저장용기(6)의 내부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고압으로 흡입하여 메인관(32) 및 돌출관(34) 및 삼방밸브(48)의 관로를 거쳐 고압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므로 저장용기(6)에 있는 이물질을 흡입 제거하게 된다.
삼방밸브(48)는 외부와는 연결이 차단되도록 절환된다.
한편, 흡입되는 에어에 의하여 저장용기(6)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흡입부재(40)의 에어유입공(38)으로 에어가 미세하게 유입된다.
그리고, 이물질 완전하게 배출되는 경우, 공기흡입부재(50)의 작동을 정지하고, 삼방밸브(48)의 관로를 절환하여 공기흡입부재(50)와의 연결은 차단하고 외부와 연결하도록 하여 진공 상태의 저장용기(6)에 에어가 유입되도록 하여 진공을 해제한다.
그와 더불어, 흡입부재(40)에 있는 에어유입공(38)으로 에어가 유입되도록 하여 신속하게 진공 상태를 해제하여 실린더(12)의 복귀에 의하여 흡입부재(40)가 상측으로 이동하더라도 저장용기(6)가 진공 흡착 상태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물질이 제거된 저장용기(6)는, 다음 공정으로 컨베이어(2)를 따라 서 이송된다.
한편, 적용되는 저장용기(6)의 사양이 달라지는 경우, 공기흡입부재(50)의 일측에 고정된 공기배출조절밸브(52)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공기흡입부재(50)에서 흡입하는 에어의 량을 조절하므로 저장용기(6)에 가하여지는 진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를 지속적으로 반복하면서 저장용기(6)를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구성을 살펴 본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이물질 흡입수단이 저장용기로 이동하는 상태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에 따른 이물질 흡입수단이 저장용기에서 이물질을 흡입하는 상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6에 따른 이물질 흡입수단의 요부확대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는, 저장용기(6), 이물질 흡입수단(130), 승강구동수단(110)을 포함한다.
이물질 흡입수단(130)은, 저장용기(6)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공기 흡입부재(146)로 고압의 에어를 흡입하여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이물질 흡입수단(130)은, 흡입부재(136), 커버부재(142), 돌출관(134), 에어흡입관(142), 삼방밸브(144)를 포함한다.
흡입부재(136)은, 저장용기(6)에 하부로 돌출된 돌출부(135)가 바닥면에 접촉되고, 돌출부(135)에 다수 형성된 개방홈부(138)를 통하여 흡입되는 고압의 공기로 이물질을 제거한다.
돌출부(135)와 개방홈부(138)은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지지만, 형상에 구애받지 않으며, 적어도 2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4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커버부재(142)는, 흡입부재(136)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용기(6)의 상측 부분을 덮어주고, 에어 흡입시 저장용기(6)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유입공(141)이 형성된다.
에어유입공(141)에서 유입되는 공기는, 공기흡입부재(146)에서 흡입되는 공기보다 적은 량이므로 저장용기(6)가 찌그러지지 않을 정도로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어지게 된다.
즉, 이물질을 제거한 후, 공기흡입부재(146)의 가동이 정지되는 경우, 에어유입공(141)으로 에어가 유입되므로 순식간에 저장용기(6) 내부에 진공이 해소되도록 한다.
이것은, 삼방밸브(144)가 절환되어 외부와 관로가 연결되므로 저장용기(6)의 진공을 해소하는 것과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진공 해제 작업을 배가시켜 준다.
에어유입공(141)은, 형상에 구애받지는 않지만,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돌출관(134)은, 흡입부재(136)가 외주에 결합 고정되고, 흡입되는 이물질이 수평부분에 남아있도록 "ㄱ "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형상에 한정 받지 않고 다양한 실시예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에어흡입관(142)은, 한번에 접촉되는 저장용기(6)의 갯수 만큼 형성되는 돌출관(134)이 일체로 고정되는 하나의 메인관(132)에 연결되어 에어를 흡입하도록 구성된다.
삼방밸브(48)는, 에어흡입관(142)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흡입부재(146)로 에어를 흡입하는 경우, 외부와의 연결은 차단하고 공기흡입부재(146)와 연결되게 하여 저장용기(6)가 진공을 유지하게 하고, 공기흡입부재(146)로 에어의 흡입을 정지하는 경우, 관로를 절환하여 공기흡입부재(146)와의 연결은 차단하고 외부와 연결되게 하여 저장용기(6)의 진공 상태를 해소하도록 구성된다.
공기흡입부재(146)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임의 대로 저장용기(6)에 가하여지는 진공압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공기흡입부재(146)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량을 조절하는 공기배출조절밸브(148)를 더 구비하도록 한다.
공기흡입부재(146)는 블로워(blower)를 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다른 실시예의 구성에서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연결관(70), 크린에어공급관(66), 필터(64), 공기공급부재(62)를 포함하는 크린에어 공급수단(6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강구동수단(110)은, 이물질 흡입수단(130)을 저장용기(6)로 접근하거나 분리되도록 상,하로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승강구동수단(110)은, 이동부재(118), 가이드레일(120), 실린더(112)를 포함한다.
이동부재(118)은, 이물질 흡입수단(130)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이드레일(120)은 이동부재(118)의 양측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실린더(112)는, 이동부재(118)의 일측에 이동축(114)이 고정되어 지지프레임(116)에 대해 상,하로 구동되게 동력을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승강구동수단(110)은 실린더방식 이외에도 모터 및 기어 구동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작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2)로 안치부재(4)에 안치된 저장용기(6)를 이송하도록 한다. 저장용기(6)는 가로와 세로로 다수개 씩 배치된 하나 이상의 안치부재(4)에 안치되어 이송되며, 이송방식이 권리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12)를 구동하여 이동축(114)에 고정된 이동부재(118)를 가이드레일(120)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시켜 흡입부재(134)를 저장용기(6)의 내부 바닥면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커버부재(140)는, 저장용기(6)의 상측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덮어준다.
이때, 흡입부재(136)의 돌기부(135)가 저장용기(6)의 바닥면에 접촉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흡입부재(146)에서 고압으로 공기를 흡입하면, 돌기부(135) 사이에 형성된 개방홈부(138)를 통하여 에어가 유입되면서 저장용기(6)의 내부에 존재해 있는 이물질을 고압으로 흡입하여 메인관(132), 돌출관(134) 및 삼방밸브(144)의 관로를 거쳐 고압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므로 저장용기(6)에 있는 이물질을 흡입 제거하게 된다.
삼방밸브(144)는 외부와는 연결이 차단되도록 관로가 절환된다.
한편, 흡입되는 에어에 의하여 저장용기(6)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부재(140)의 에어유입공(141)으로 에어가 미세하게 유입된다.
그리고, 이물질 완전하게 배출되는 경우, 공기흡입부재(146)의 작동을 정지하고, 삼방밸브(144)의 관로를 절환하여 공기흡입부재(146)와의 연결은 차단하고 외부와 연결하도록 하여 진공 상태의 저장용기(6)에 에어가 유입되도록 하여 진공을 해제한다.
그와 더불어, 커버부재(140)에 있는 에어유입공(141)으로 에어가 유입되도록 하여 신속하게 진공 상태를 해제하여 실린더(112)의 복귀에 의하여 흡입부재(140)가 상측으로 이동하더라도 저장용기(6)가 진공 흡착 상태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물질이 제거된 저장용기(6)는, 다음 공정으로 컨베이어(2)를 따라 서 이송되어진다.
한편, 적용되는 저장용기(6)의 사양이 달라지는 경우, 공기흡입부재(146)의 일측에 고정된 공기배출조절밸브(148)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공기흡입부재(146)에서 흡입하는 에어의 량을 조절하므로 저장용기(6)에 가하여지는 진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를 지속적으로 반복하면서 저장용기(6)를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이물질 흡입수단이 저장용기로 이동하는 상태단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이물질 흡입수단이 저장용기에 크린에어를 분사하고 이물질을 흡입하는 상태 확대단면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이물질 흡입수단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정면도.
도 7은 도 6에 따른 이물질 흡입수단이 저장용기로 이동하는 상태 단면도.
도 8은 도 6에 따른 이물질 흡입수단이 저장용기에서 이물질을 흡입하는 상태 단면도.
도 9는 도 6에 따른 이물질 흡입수단의 요부확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컨베이어 4 : 안치부재
10,110 : 승강구동수단 12,112 : 실린더
14,114 : 이동축 16,116 : 지지프레임
18,118 : 이동부재 20,120 : 가이드레일
30,130 : 이물질 흡입수단 32,132 : 메인관
34,134 : 돌출관 36 : 걸림턱
38 : 에어유입공 40 : 흡입부재
42 : 탄성부재 44 : 안치홈부
46 : 에어흡입관 48 : 삼방밸브
50 : 공기흡입부재 60 : 크린에어 공급수단
62 : 공기공급부재 64 : 필터
66 : 크린에어공급관 68 : 분기관
70 : 연결관 72 : 노즐
74 : 에어배출관 135 : 돌출부
136 : 이물질 흡입부재 138 : 개방홈부
140 : 커버부재 141 ; 공기유입공
142 : 에어흡입관 144 : 삼방밸브
146 : 공기흡입부재

Claims (6)

  1. 안치부재에 안치된 저장용기;
    상기 저장용기에 있는 이물질을 분리하도록 저장용기의 내부로 크린에어를 분사하는 크린에어 공급수단과;
    상기 크린에어 공급수단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공기흡입부재로 고압의 에어를 흡입하는 이물질 흡입수단; 및
    상기 이물질 흡입수단을 상기 저장용기로 접근하거나 분리되도록 상,하로 구동되는 승강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크린에어 공급수단은, 상기 저장용기의 중앙부분에서 크린에어를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에 일측 부가 결합 고정되어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과 연결된 분기관에 에어를 공급하는 크린에어 공급관과;
    상기 크린에어 공급관으로 공급되는 에어에 이물질을 걸러주어 크린에어로 만드는 필터와;
    상기 필터에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흡입수단은, 상기 저장용기의 상부에 안치홈부가 접촉되어 내부공간을 밀봉하고, 에어 흡입시 저장용기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하는 에어유입공이 형성된 흡입부재와;
    상기 흡입부재를 상측에서 걸림턱으로 걸어주어 상기 흡입부재가 상기 저장용기에 접촉, 분리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하고, 상기 연결관이 중심부분에 설치되는 돌출관과;
    상기 돌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부재가 저장용기에 접촉시 흡입부재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완충하도록 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돌출관이 고정되는 메인관에 연결되어 에어를 흡입하도록 하는 에어흡입관과;
    상기 에어흡입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흡입부재로 에어를 흡입하거나 에어의 흡입정지시 관로를 절환하는 삼방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음이온이 다량 배출되는 음이온 발생노즐을 사용하고, 상기 돌 출관은 흡입되는 이물질이 수평부분에 남아있도록 "ㄱ "자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5. 안치부재에 안치된 저장용기;
    상기 저장용기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공기흡입부재로 고압의 에어를 흡입하는 이물질 흡입수단; 및
    상기 이물질 흡입수단을 상기 저장용기로 접근하거나 분리되도록 상,하로 구동되는 승강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흡입수단은, 상기 저장용기에 돌출부가 바닥면에 접촉되고, 상기 돌출부에 다수 형성된 개방홈부를 통하여 흡입되는 고압의 공기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흡입부재와;
    상기 흡입부재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용기의 상측 부분을 덮어주고, 에어 흡입시 저장용기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유입공이 형성된 커버부재와;
    상기 흡입부재가 결합 고정되고, 흡입되는 이물질이 수평부분에 남아있도록 "ㄱ "자로 절곡 형성되는 돌출관과;
    상기 돌출관이 고정되는 메인관에 연결되어 에어를 흡입하도록 하는 에어흡입관과;
    상기 에어흡입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흡입부재로 에어를 흡입하거나 에어의 흡입정지시 관로를 절환하는 삼방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KR1020080075306A 2008-07-31 2008-07-31 이물질 제거장치 KR101102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306A KR101102440B1 (ko) 2008-07-31 2008-07-31 이물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306A KR101102440B1 (ko) 2008-07-31 2008-07-31 이물질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678A true KR20100013678A (ko) 2010-02-10
KR101102440B1 KR101102440B1 (ko) 2012-01-05

Family

ID=42087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306A KR101102440B1 (ko) 2008-07-31 2008-07-31 이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2440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560B1 (ko) * 2010-06-24 2013-01-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캔의 이물질 제거 장치
KR101310314B1 (ko) * 2012-12-18 2013-09-23 주윤경 정전기 제거 기능을 갖는 직립형 세병 장치
KR20150087976A (ko) * 2014-01-23 2015-07-31 이익재 정전기를 갖는 이물질 제거장치
KR20180025705A (ko) * 2016-09-01 2018-03-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청소장치
EP3232147A4 (en) * 2014-12-08 2018-08-08 Toyo Seikan Co., Ltd. Container-interior drying device and container-interior drying method
KR101957229B1 (ko) * 2017-12-27 2019-03-12 주식회사 삼보케미칼 용기 에어 세척장치
CN109530335A (zh) * 2018-12-28 2019-03-29 湖南科伦制药有限公司 一种自带密封功能管口微粒清理装置
KR20190047843A (ko) *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씨케이엘 포장 용기 클리닝 장치
WO2020067796A1 (ko) * 2018-09-27 2020-04-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용기 내 이물 제거 장치
CN110947721A (zh) * 2019-12-23 2020-04-03 汕头市东方科技有限公司 一种罐内异物吹吸装置
CN112157091A (zh) * 2020-10-28 2021-01-01 张正军 一种生物制药用试管清洗装置
CN112756353A (zh) * 2020-12-04 2021-05-07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固体火箭发动机壳体内表面的除尘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1749A (ko) 2015-05-08 2016-1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진공청소 장치
KR102428902B1 (ko) * 2020-12-29 2022-08-03 주식회사 상화 포터필터 자동 세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3245B2 (ja) * 1995-06-22 2000-09-04 喜弘 井上 積重容器の除塵装置
JP2002308231A (ja) * 2001-04-19 2002-10-23 Hokkai Can Co Ltd プラスチック製ボトルの清浄化装置
JP3968754B2 (ja) * 2003-08-18 2007-08-29 株式会社マンダム 容器のクリーニング装置
JP4106371B2 (ja) * 2005-05-20 2008-06-25 株式会社浅野研究所 容器製造装置、スクラップ除去装置、容器製造方法およびスクラップ除去方法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560B1 (ko) * 2010-06-24 2013-01-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캔의 이물질 제거 장치
KR101310314B1 (ko) * 2012-12-18 2013-09-23 주윤경 정전기 제거 기능을 갖는 직립형 세병 장치
KR20150087976A (ko) * 2014-01-23 2015-07-31 이익재 정전기를 갖는 이물질 제거장치
EP3232147A4 (en) * 2014-12-08 2018-08-08 Toyo Seikan Co., Ltd. Container-interior drying device and container-interior drying method
US10352333B2 (en) 2014-12-08 2019-07-16 Toyo Seikan Co., Ltd. Container-interior drying device and container-interior drying method
CN107792023B (zh) * 2016-09-01 2021-05-04 起亚自动车株式会社 清洁装置
KR20180025705A (ko) * 2016-09-01 2018-03-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청소장치
CN107792023A (zh) * 2016-09-01 2018-03-13 起亚自动车株式会社 清洁装置
US10029656B2 (en) 2016-09-01 2018-07-24 Kia Motors Corporation Cleaning apparatus
KR20190047843A (ko) *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씨케이엘 포장 용기 클리닝 장치
KR101957229B1 (ko) * 2017-12-27 2019-03-12 주식회사 삼보케미칼 용기 에어 세척장치
WO2020067796A1 (ko) * 2018-09-27 2020-04-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용기 내 이물 제거 장치
CN109530335A (zh) * 2018-12-28 2019-03-29 湖南科伦制药有限公司 一种自带密封功能管口微粒清理装置
CN110947721A (zh) * 2019-12-23 2020-04-03 汕头市东方科技有限公司 一种罐内异物吹吸装置
CN112157091A (zh) * 2020-10-28 2021-01-01 张正军 一种生物制药用试管清洗装置
CN112756353A (zh) * 2020-12-04 2021-05-07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固体火箭发动机壳体内表面的除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2440B1 (ko) 201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2440B1 (ko) 이물질 제거장치
CN103193001B (zh) 一种无菌灌装机
KR100424432B1 (ko) 용기의 세척장치
US20090173049A1 (en) Packing Machine, in Particular Encompassing a Deep Drawing Machine
CN108498046B (zh) 洗碗机器
AU2013232373B2 (en) Container rinsing system and method
US11577950B2 (en) Device for treating containers
JP5881298B2 (ja) 異物除去装置
CN202671181U (zh) 充填机的容器清洗装置
KR20110002455U (ko) 포장용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1417491B1 (ko) 크린 도포 시스템 및 클린 도포 건
KR20120034090A (ko) 가네트 블라스팅 장치
JP6103665B1 (ja) ガス置換包装機
KR100969348B1 (ko) 탈자 장치
KR101853862B1 (ko) 화장품 용기용 트레이 세척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908066B2 (en) Defoamer assembly for use with a filler and method therefor
KR101631890B1 (ko) 지류 살균장치
JP3968754B2 (ja) 容器のクリーニング装置
CN219126130U (zh) 环形多工位洗菜机
CN215827158U (zh) 一种可对瓶身清理的医疗圆瓶用贴标装置
CN212789214U (zh) 一种液体食品包装机械的吸嘴灭菌装置
CN208699083U (zh) 新型饲料分装装置
CN207175448U (zh) 一种制剂产品灌装瓶体的清洁装置
KR20130056968A (ko) 표면 세정장치
KR200272117Y1 (ko) 용기의 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