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9348B1 - 탈자 장치 - Google Patents

탈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9348B1
KR100969348B1 KR1020090011345A KR20090011345A KR100969348B1 KR 100969348 B1 KR100969348 B1 KR 100969348B1 KR 1020090011345 A KR1020090011345 A KR 1020090011345A KR 20090011345 A KR20090011345 A KR 20090011345A KR 100969348 B1 KR100969348 B1 KR 100969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unit
magnetic
ionizers
ioniz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길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티에스 filed Critical (주)에이치티에스
Priority to KR1020090011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93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금속캔의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기와 정전기를 제거함으로써 금속캔의 이물질을 확실하게 제거하고, 금속캔을 소독할 수 있는 탈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자 장치는, 금속캔의 자기를 제거하기 위한 자기 제거부; 상기 자기 제거부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금속캔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부; 및 상기 자기 제거부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금속캔의 정전기를 제거하고, 상기 금속캔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정전기 제거 청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 자기, 제거, 소독, 살균

Description

탈자 장치{DEMAGNETIZER}
본 발명은 탈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금속캔에 남아 있는 잔류자기를 제거할 수 있는 탈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료나 기타 음식물을 수용 및 보존하기 위한 용기로 사용되는 캔은 휴대, 운반 및 보관하기가 용이하고 쉽게 파손되지 않는 장점과 더불어 사용 후 회수하여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경제성으로 인하여 다양한 형태로 출시되고 매우 폭 넓게 사용되고 있어 현대 사회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재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캔은 통상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를 이루도록 바닥면과 원통형의 벽면으로 이루어지고, 뚜껑은 금속으로 밀봉하거나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금속제 캔은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 또는 철재 금속판에 드로잉(drawing) 이나 아이어닝(ironing)등의 가공을 다단계로 실시함으로써 형성되며, 음료용 용기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 바닥이 있는 통형체에 실시되는 가공 공정으로는, 개구부의 직경을 다단계로 축소하는 네크인 가공 공정, 네크인 가공에 의해 형성된 입구부의 개구단을 절삭하여 바닥이 있는 통형체의 높이를 조정하는 트리머 공정, 입구부에 나사 형상 을 성형하는 나사 형성 공정, 입구부의 개구단부를 직경방향 외방으로 절곡하는 컬부 형성 공정, 컬부의 외표면을 직경방향 내방으로 눌러, 이 외표면을 찌그러뜨리는 슬롯가공 공정 등이 있으며, 이들 각 공정에 따른 가공 툴에 의해 바닥이 있는 통형체에 성형 가공이 실시되어 캔이 제조된다.
캔 중에서도 분유캔은 유아들의 분유를 담기 위한 것인데, 일반적으로 철 재질로서 철판을 가공 및 접합하여 제조하고, 플라스틱 뚜껑이 구성되는 형태이다. 하지만, 철판을 분유캔으로 가공하는 과정, 특히 절단 과정에서 철판이 자기를 가지게 되고, 완성된 분유캔 또한 자기 및 정전기를 가지게 됨으로써 가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철가루 또는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분유캔에 붙는 현상이 발생한다. 분유캔에 붙은 이물질은 강한 바람에도 잘 제거되지 않을 정도록 잘 떨어지지 않으며, 분유캔의 내용물과 섞여 판매되는 경우 유아들이 섭취하게 되어 유아들의 건강에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며, 제품을 생산 또는 판매하는 회사의 입장에서 매우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금속캔의 자기를 제거할 수 있는 탈자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캔의 생산 과정에서 금속캔을 소독할 수 있는 탈자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캔의 생산 과정에서 금속캔의 정전기를 제거할 수 있는 탈자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탈자 장치는, 금속캔의 자기를 제거하기 위한 자기 제거부; 상기 자기 제거부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금속캔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부; 및 상기 자기 제거부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금속캔의 정전기를 제거하고, 상기 금속캔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정전기 제거 청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탈자 장치에 따르면, 금속캔의 생산 과정에서 금속캔에 발생하는 자기와 정전기를 제거함으로써 일반적인 방법으로 제거가 쉽지 않은 금속성 이물질과 기타 정전기로 인한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고, 금속캔의 소독 또한 가능하여 매우 위생적인 금속캔의 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자 장치의 정면 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자 장치의 평면 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자 장치의 우측 투시도, 및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자 장치의 좌측 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자 장치는 자기 제거부(200), 살균 청소부(300), 하부 프레임(100), 및 집진부(400)를 포함한다. 자기 제거부(200)는 직육면체의 중간에 사각의 관통공(201)이 형성되는 형상으로 하부 프레임(100)상의 일측에 위치하며, 하부 프레임(100)상의 타측에는 살균 청소부 케이스(101)가 위치하는데, 살균 청소부 케이스(101)는 내부의 관찰이 가능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베이어 벨트(500)는 자기 제거부(200)의 관통공(201)과 살균 청소부 케이스(101)를 관통하도록 위치하며, 모터(501)에 의하여 구동되어 컨 베이어 벨트(500)상에 위치하는 금속캔(103)을 자기 제거부(200)와 살균 청소부 케이스(101)를 관통하여 이동시키고, 살균 청소부 케이스(101)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102)를 통하여 처리가 끝난 금속캔(103)을 외부로 배출한다. 살균 청소부(300)는 살균 청소부 케이스(101) 상부의 내측에 자외선 살균램프(301)와 복수의 이오나이저(IONIZER)(30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자외선 살균램프(301)는 컨베이어 벨트(500) 측을 향하여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오나이저(302)는 자외선 살균램프(301)를 중심으로 자외선 살균램프(301)의 양 측부에 각각 3개씩 배열되어 위치하며,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온을 발생시켜 공기와 함께 분출시킬 수 있는 블로워 타입 이오나이저(BLOWER TYPE IONIZER)(302)이다. 이때 자외선 살균램프(301)를 중심으로 각각 마주보는 이오나이저(302)들로부터 분출되는 이온화 공기를 컨베이어 벨트(500)상에서 이동하는 금속캔(103)의 내부로, 그리고 서로 교차할 수 있도록 불어넣을 수 있는 간격과 각도로 이오나이저(302)가 위치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살균램프(301)를 중심으로 각각 마주보는 총 4개의 이오나이저(302)들이 이송되는 금속캔(103) 내부로 동시에 이온화 공기를 분출할 수 있는 간격과 각도로 위치한다. 아울러 금속캔(103) 바닥면의 내측과 금속캔(103) 측면의 내측이 만나는 모서리를 향하여 이온화 공기를 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베이어 벨트(500)의 양 측부에는 이송 가이드(502)가 위치하여 컨베이어 벨트(500)상에서 이동하는 금속캔(103)을 컨베이어 벨트(50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고, 금속캔(103)의 살균 청소가 용이하도록 금속캔(103)을 컨베이어 벨트(500)의 중심 부근에 위치시킨다. 집진부(400)는 살균 청소부(300)에 의하여 금속캔(103)으로부터 발생되는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것으로 살균 청소부 케이스(101) 내부의 컨베이어 벨트(500) 하부에 집진 덕트(401)가 구성되고, 집진 덕트(401)하부에 배기관(402)이 연결되며, 배기관(402) 타단부에 구성되는 도시되지 않은 배기팬에 의하여 발생되는 흡입압력에 의하여 살균 청소부 케이스(101) 내부로부터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한다.
한편, 자기 제거부(200)와 자외선 살균램프(301), 및 이오나이저(302)의 원리 및 세부 구성은 이미 널리 주지된 관용기술에 불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자 장치의 운전 과정을 살펴보면, 외부의 컨베이어 벨트(600)를 통하여 이송되는 금속캔(103)이 컨베이어 벨트(500)로 이송되고, 금속캔(103)은 자기 제거부(200)의 관통공(201)을 통과하여 이동하는데, 금속캔(103)이 자기 제거부(200)를 지나면서 금속캔(103)의 자기가 제거된다. 자기 제거부(200)를 지난 금속캔(103)은 살균 청소부(300)로 이송되고, 살균 청소부(300)의 자외선 살균램프(301)는 상부가 뚫려있는 금속캔(103)의 상부를 향하여 자외선을 방사함으로써 금속캔(103)의 내외부를 살균한다. 이오나이저(302)는 금속캔(103) 내부를 향하여 이온화 공기를 강하게 분출하여 금속캔(103)을 이온 중화시킴으로써 정전기를 제거하고, 금속캔(103) 표면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금속캔(103)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는 금속캔(103)을 이온 중화시켜 정전기를 제거함으로써 정전기력에 의해 구속되어 강한 바람으로도 쉽게 떨어지지 않는 이물질 이 금속캔(103)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고, 강한 분출 공기로 이물질을 금속캔(103)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다. 또한, 철가루 등의 금속 이물질도 함께 분리되는 데 자기 제거부(200)에 의해 자기가 제거된 상태이므로 금속캔(103)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때, 마주보는 각각의 이오나이저(302)로부터 분출되는 이온화 공기가 서로 교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온화 공기가 금속캔(103) 표면에 골고루 도달하여 정전기 제거와 이물질 제거가 보다 용이하도록 한다. 금속캔(103)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은 살균 청소부 케이스(101) 하부의 집진 덕트(401)로부터 흡입되고, 배기관(40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거나 도시되지 않은 포집부에 포집된다. 살균 청소부 케이스(101)는 배출구(102), 그리고 자기 제거부(200)로부터 이송되는 금속캔(103)이 통과하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이송구를 제외하고 외부와 단절되어 막혀있는데 이는 금속캔(103)으로 분리된 이물질이 외부로 날아기는 것을 방지하고, 집진부(400)로의 흡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탈자 장치는 금속캔(103)의 처리 순서가 중요한데, 이물질 제거 처리 전에 반드시 자기 제거 처리를 먼저하여야 금속 성분 이물질의 용이한 분리가 가능하다. 한편, 이오나이저(302)로부터 분출되는 이온화 공기의 압력은 처리하는 금속캔(103)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며, 통상적으로 작은 사이즈의 캔보다 큰 사이즈의 캔에서 보다 큰 분출 압력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생산되는 캔의 경우 보통 1.5Kgbar 내지 8Kgbar 정도의 분출 압력으로 사용되며, 일실시예에 따르면, 집진부(400)의 공기 흡입 압력은 통상적으로 이오나이저(302)의 이온화 공기 분출 압력의 1.5배 내지 3배로 사용된다. 하나의 금속캔(103)에 4개의 이오나이 저(302)가 이온화 공기를 동시에 분출할 때, 각각의 이오나이저(302)로부터 분출되는 공기 압력은 일실시예에 따르면 높이 15cm, 지름 13cm, 체적 750ml의 원통형 캔의 경우 4 내지 8Kgbar, 바람직하게는 6Kgbar이며,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높이 13cm, 지름 10cm, 체적 350ml의 원통형 캔의 경우 1 내지 5Kgbar, 바람직하게는 3Kgbar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자 장치에는 제어부가 구성되어, 수동 모드를 통하여 각 구성요소의 운전을 수동으로 제어하거나, 자동 모드를 통하여 각 구성요소의 제어를 자동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오나이저(302)를 제어할 수 있는 구동부 및 이송되는 금속캔(103)의 사이즈 및 형상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부를 구성하고, 자동제어를 통하여 처리하고자하는 금속캔(103)의 종류에 따라 이오나이저(302)의 위치와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최적의 이물질 제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어부, 구동부, 및 측정부의 원리 및 세부 구성은 이미 널리 주지된 관용기술에 불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자 장치의 정면 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자 장치의 평면 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자 장치의 우측 투시도, 및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자 장치의 좌측 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1: 살균 청소부 케이스 200: 자기 제거부
300: 살균 청소부 301: 자외선 살균 램프
302: 이오나이저 400: 집진부
500: 컨베이어 벨트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금속캔의 자기를 제거하기 위한 자기 제거부;
    자외선 살균 램프를 가지고, 상기 자기 제거부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금속캔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부; 및
    상기 자기 제거부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금속캔의 정전기를 제거하고, 상기 금속캔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정전기 제거 청소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정전기 제거 청소부는, 둘 이상의 이오나이저가 구성되어 이온화 공기를 상기 금속캔으로 분출함으로써, 상기 금속캔의 정전기를 제거하고, 상기 금속캔 표면의 이물질을 상기 금속캔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며,
    상기 금속캔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여 위치하는 상기 이오나이저는, 상기 금속캔의 바닥면의 내측과 상기 금속캔 측면의 내측이 만나는 모서리를 향하여 각각 이온화 공기를 분출하고, 분출되는 상기 이온화 공기는 서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집진 덕트가 구성되고, 상기 금속캔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이물질을 상기 집진 덕트로 흡입하여 제거하기 위한 집진부
    를 더 포함하는 탈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오나이저는 상부가 관통되어 있는 금속캔의 내부로 이온화 공기를 불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자 장치.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캔을 상기 자기 제거부, 살균부 및 정전기 제거 청소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를 더 포함하는 탈자 장치.
  8. 삭제
KR1020090011345A 2009-02-12 2009-02-12 탈자 장치 KR100969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345A KR100969348B1 (ko) 2009-02-12 2009-02-12 탈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345A KR100969348B1 (ko) 2009-02-12 2009-02-12 탈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9348B1 true KR100969348B1 (ko) 2010-07-09

Family

ID=42645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345A KR100969348B1 (ko) 2009-02-12 2009-02-12 탈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93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53579A (zh) * 2015-10-29 2016-01-20 天津市国民制药机械有限公司 一种中药材的除尘灭菌设备
KR20190080550A (ko)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진산테크윈 자동화 탈자시스템
CN110828102A (zh) * 2019-11-13 2020-02-21 王辰阳 一种汽车部件消磁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7618A (ja) * 1995-10-24 1997-05-06 Hitachi Ltd 浄化装置
KR200272117Y1 (ko) 2001-12-15 2002-04-13 최영철 용기의 세척장치
KR20020072117A (ko) * 2001-03-09 2002-09-14 오원 속 빈 가래떡 제조장치 및 방법
KR20050103120A (ko) * 2004-04-24 2005-10-27 잘만테크 주식회사 전원공급장치
KR100876581B1 (ko) 2007-07-27 2008-12-31 홍기영 용기의 이물질 자동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7618A (ja) * 1995-10-24 1997-05-06 Hitachi Ltd 浄化装置
KR20020072117A (ko) * 2001-03-09 2002-09-14 오원 속 빈 가래떡 제조장치 및 방법
KR200272117Y1 (ko) 2001-12-15 2002-04-13 최영철 용기의 세척장치
KR20050103120A (ko) * 2004-04-24 2005-10-27 잘만테크 주식회사 전원공급장치
KR100876581B1 (ko) 2007-07-27 2008-12-31 홍기영 용기의 이물질 자동 제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53579A (zh) * 2015-10-29 2016-01-20 天津市国民制药机械有限公司 一种中药材的除尘灭菌设备
KR20190080550A (ko)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진산테크윈 자동화 탈자시스템
KR102017077B1 (ko) * 2017-12-28 2019-09-02 주식회사 진산테크윈 자동화 탈자시스템
CN110828102A (zh) * 2019-11-13 2020-02-21 王辰阳 一种汽车部件消磁装置
CN110828102B (zh) * 2019-11-13 2021-09-14 王辰阳 一种汽车部件消磁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41620B2 (ja) 容器処理装置
US11577950B2 (en) Device for treating containers
US9155434B2 (en) Device for connecting vacuum cleaner bag
KR100969348B1 (ko) 탈자 장치
US11166472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pasteurizing and/or sterilizing particulate material, and cartridge
EP2825323B1 (en) Container rinsing system and method of its assembling
TW201348104A (zh) 隔離物品的裝置及方法
JP2006035060A (ja) ペットボトル分別システム
CN114502470B (zh) 用于制造带有冲泡产品的滤袋的包装机器
US11852902B2 (en) Cleaner for cleaning grippers for ophthalmic lenses
JP2000229267A (ja) 選別コンベア装置
EP3310192B1 (en) Device and method for washing leafy vegetables
CN112204693A (zh) 用于对颗粒物料进行灭菌和/或消毒的设备和过程
JP2021526958A (ja) 空気洗浄装置及び容器を洗浄するシステム
US20220193696A1 (en) Sealing station with centrifugal separator
CN215550905U (zh) 一种灭菌效果好的食品包装袋吹膜设备
CN219855514U (zh) 一种废料回收传送装置
CN114401830A (zh) 抽吸单元和抽吸装置
JP4032710B2 (ja) バルク包装用セパレートシートの洗浄殺菌方法及びその装置
CN207678798U (zh) 一种柑橘预消毒系统
BR102018013856A2 (pt) sistema e método de separação dos componentes de ao menos uma cápsula para preparo de bebidas
RU226182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терилизации закупоривающих элемен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