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890B1 - 지류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지류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1890B1
KR101631890B1 KR1020140065635A KR20140065635A KR101631890B1 KR 101631890 B1 KR101631890 B1 KR 101631890B1 KR 1020140065635 A KR1020140065635 A KR 1020140065635A KR 20140065635 A KR20140065635 A KR 20140065635A KR 101631890 B1 KR101631890 B1 KR 101631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ing
vacuum chamber
housing
bracket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5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8892A (ko
Inventor
윤종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내츄럴앤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내츄럴앤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내츄럴앤미
Priority to KR1020140065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890B1/ko
Publication of KR20150138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8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류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진공챔버가 형성된 하우징과, 일측에 살균대상물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안착부의 일측을 통과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안착부 사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안착부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한 쌍의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브라켓과, 일측이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브라켓을 진동하는 진동수단과, 일측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진공챔버 내부로 살균액을 분사하여 확산되도록 하는 살균액 분사부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진공챔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진공챔버를 진공상태로 형성하면서 상기 진공챔버 내의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부를 포함하되, 상기 진동수단은 상기 브라켓의 하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편심되게 결합되고, 복수개가 각각 다른 방향으로 편심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동반회전하면서 상기 브라켓의 저면 일측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브라켓의 저면을 상방으로 가압하는 캠부재 및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력제공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류 살균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진공분위기 하에서 살균대상물이 안착된 브라켓을 진동함과 동시에 진공챔버 내부로 미세한 살균액을 분사하여 살균입자가 진동되는 살균대상물에 점착되어 살균대상물을 살균함으로써 도서 및 화폐와 같은 종이재에 부착된 미세먼지의 탈거효율 뿐 아니라 살균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미세먼지 탈거 및 종이재 살균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는 지류 살균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지류 살균장치{Sterilizing device for paper}
본 발명은 지류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서 및 화폐와 같은 종이재에 부착된 미세먼지의 탈거효율 뿐 아니라 살균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미세먼지 탈거 및 종이재 살균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는 지류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서나 지폐등의 유가증권은 다양한 환경에 노출됨에 따라 많은 이용자들에 의해 접히고 구겨지게 되고, 접힌 자리에 세균 및 곰팡이 등의 병원체가 번식하게 되는데, 이러한 도서나 유가증권은 오염된 상태로 여러사람을 거치면서 유통되고 있다.
한편, 상기한 도서를 정리하거나 지폐를 계수하는 과정에서 미세먼지가 도서 및 지폐의 표면으로부터 탈거되어 비산되고, 주위에 위치하는 사람이 비산된 미세먼지를 흡입하게 되면서 호흡기 장애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공개실용신안 95-10936호와 같이 화폐, 즉 종이재를 소독하기 위한 지류(紙類) 살균장치가 개발되어 공지된 바 있다.
도1은 종래의 지류 살균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러한, 종래의 지류 살균장치(100)는 자외선 차단막이 형성된 투명 케이스(110) 내부에 화폐, 도서등과 같은 살균대상종이재가 안착된 안착플레이트(120)를 배치하고, 투명 케이스(11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안착플레이트(120) 방향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등(130)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지류 살균장치(100)는 수납플레이트에 수납된 살균대상종이재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살균대상종이재에 묻어있는 세균을 살균한다.
그러나, 종래의 지류 살균장치(100)는 복수장의 종이재가 적층되게 안착되는 경우 서로 겹쳐지는 영역에는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아 살균효율이 낮을 뿐 아니라 자외선이 직접 조사되는 영역과 그 주변영역간 살균효율에 있어서 큰 편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지류 살균장치(100)는 일측에 공기공급수단(140)을 더 설치하여 살균대상종이재 방향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살균대상종이재에 부착된 미세먼지를 탈거하고 있으나, 압축공기가 살균대상종이재와 살균대상종이재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종이재와 종이재 사이의 공기압이 외부의 공기압보다 낮아지면서 복수개의 살균대상종이재가 서로 붙게되어 자외선에 의한 살균효율이 보다 낮아질 뿐 아니라 겹쳐진 부분에 위치하는 미세먼지가 제대로 탈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서 및 화폐와 같은 종이재에 부착된 미세먼지의 탈거효율 뿐 아니라 살균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미세먼지 탈거 및 종이재 살균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는 지류 살균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진공챔버가 형성된 하우징과, 일측에 살균대상물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안착부의 일측을 통과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안착부 사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안착부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한 쌍의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브라켓과, 일측이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브라켓을 진동하는 진동수단과, 일측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진공챔버 내부로 살균액을 분사하여 확산되도록 하는 살균액 분사부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진공챔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진공챔버를 진공상태로 형성하면서 상기 진공챔버 내의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부를 포함하되, 상기 진동수단은 상기 브라켓의 하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편심되게 결합되고, 복수개가 각각 다른 방향으로 편심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동반회전하면서 상기 브라켓의 저면 일측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브라켓의 저면을 상방으로 가압하는 캠부재 및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력제공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류 살균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또한, 일측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진공챔버 내부로 향액 분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진동수단, 상기 살균액 분사부 및 상기 집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진동수단, 상기 살균액 분사부 및 상기 집진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살균대상물에 부착된 정보태그로부터 상기 살균대상물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살균대상물 정보에 따라 상기 진동수단과, 상기 살균액 분사부 및 상기 집진부의 동작을 자동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외부몸체와, 상기 외부몸체의 내부에 상하좌우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 일측에 살균대상물이 안착되는 내부몸체와, 상기 외부몸체의 내면 상단부 일측에 설치되고, 하부 일측에 상기 외부몸체의 내측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몸체가 상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내부몸체의 일측이 상기 제1 경사면에 접촉되는 제1 안내부재 및 상기 제1 안내부재와 대향되는 상기 외부몸체의 내면 중 하단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부 일측에 상기 외부몸체의 내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제2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몸체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내부몸체의 일측이 상기 제2 경사면에 접촉되는 제2 안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진공분위기 하에서 살균대상물이 안착된 브라켓을 진동함과 동시에 진공챔버 내부로 미세한 살균액을 분사하여 살균입자가 진동되는 살균대상물에 점착되어 살균대상물을 살균함으로써 도서 및 화폐와 같은 종이재에 부착된 미세먼지의 탈거효율 뿐 아니라 살균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미세먼지 탈거 및 종이재 살균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는 지류 살균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종래의 지류 살균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류 살균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류 살균장치의 측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진유닛에 의해 진공챔버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캠부재에 의해 안착부가 진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살균액 분사부 및 향액 분사부로부터 분사된 살균액 및 향액에 의해 살균대상물이 살균, 탈취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류 살균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8a 및 도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류 살균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류 살균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류 살균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2 내지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류 살균장치(1)는 하우징(10)과, 브라켓(20)과, 진동수단(30)과, 살균액 분사부(40)와, 향액분사부와, 집진부(60) 및 제어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0)은 대략 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후술하는 살균대상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1)가 형성되며, 내부에 진공챔버(12)가 형성된다.
이러한 하우징(10)은 내부에 살균대상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함과 아울러 수용된 살균대상물이 진공분위기하에서 살균될 수 있도록 밀폐공간, 즉 진공챔버(12)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브라켓(20)은 일측에 살균대상물이 안착되는 안착부(21)와, 하우징(10)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일측이 안착부(21)의 일측을 통과하는 가이드부재(22) 및 가이드부재(22)와 안착부(21) 사이, 하우징(10)과 안착부(21)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한 쌍의 완충부재(2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후술하는 진동수단(3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상면에 안착되는 살균대상물이 동반 진동되도록 하여 살균대상물에 부착된 미세먼지가 탈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안착부(21)는 대략 직육면체의 용기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살균대상물이 수용, 안착되며, 하우징(10)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러한 안착부(21)는 후술하는 진동수단(3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상면에 안착되는 살균대상물이 동반 진동되도록 하여 살균대상물에 부착된 미세먼지가 탈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부재(22)는 대략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부가 하우징(10)의 내면 일측에 고정결합되고, 일측이 안착부(21)의 일측을 통과하여 안착부(21)가 상하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안착부(21)의 일측을 지지하여 안착부(21)가 안정적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완충부재(23)는 일반적인 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한 쌍이 하우징(10)의 내면과 안착부(21)의 저면 사이 및 가이드부재(22)와 안착부(21)의 상면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안착부(21)가 상하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안착부(21)가 하우징(10)의 내면 일측에 충돌하면서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진동수단(30)은 브라켓(20)의 하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31)과, 회전축(31)에 각각 다른 방향으로 편심결합되는 복수개의 캠부재(32)와, 회전축(31)의 일측에 연결되어 회전축(3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력제공수단(3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안착부(21)를 진동하여 안착부(21)에 안착된 살균대상물이 진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회전축(31)은 대략 원형의 봉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우징(10)의 진공챔버(12) 중 브라켓(20)의 하방에 원주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하면서 외면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캠부재(32)가 동반 회전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캠부재(32)는 대략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개가 회전축(31)의 외면 일측에 각각 다른방향으로 편심결합되어 회전축(31)이 회전하는 경우 동반 회전하며, 회전하는 과정에서 일측이 안착부(21)의 저면 일측에 접촉되는 경우 복수개가 각각 다른 시점에서 안착부(21)의 저면을 상방으로 가압하여 안착부(21)가 진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회전력제공수단(33)은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33a)와, 모터(33a)의 축과, 회전축(31)을 연결하여 모터(33a)의 회전력을 회전축(31)으로 전달하는 회전력전달수단(33b)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회전축(3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전동수단이 회전축(31)과, 캠부재(32) 및 회전력제공수단(33)으로 구성되어 캠부재(32)에 의해 안착부(21)가 진동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진동수단(30)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진동모터(33a)등과 같이 안착부(21)를 진동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적용이 가능하다.
살균액 분사부(40)는 살균액 저장부(41)와, 하우징(10)의 진공챔버(12) 상부에 배치되는 살균액 분사노즐(42) 및 살균액 분사노즐(42)과 살균액 저장부(41)를 연결하는 제1 연결관(4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진공챔버(12)로 미세한 입자를 갖는 살균액을 분사하여 분사된 살균액에 의해 살균대상물이 살균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향액 분사부(50)는 향액 저장부(51)와, 하우징(10)의 진공챔버(12) 상부 타측에 배치되는 향액 분사노즐(52) 및 향액 분사노즐(52)과 향액 저장부(51)를 연결하는 제2 연결관(5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진공챔버(12)로 미세한 입자를 갖는 향액을 분사하여 분사된 향액에 의해 살균대상물을 탈취하는 역할을 한다.
집진부(60)는 하우징(10)의 일측에 설치되고 진공챔버(12)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베큠장치(61)와, 베큠장치(61)에 의해 진공챔버(12)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로 일측에 설치되는 집진유닛(6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하우징(10)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하우징(10)의 내부, 즉 진공챔버(12)를 진공상태로 형성함과 아울러 살균대상물로부터 탈거된 미세먼지를 집진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집진유닛(62)은 집진필터가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한 베큠장치(61)와, 집진유닛(62)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임이 자명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구성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어부(70)는 하우징(10)의 일측에 설치되고, 진동수단(30)과, 살균액 분사부(40)와, 향액 분사부(50) 및 집진부(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구성의 전원공급과 더불어 구동시간등과 같은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어부(70)는 바코드 또는 RFID 인식모듈과 같은 정보인식모듈(7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살균대상물의 정보, 일예로 도서의 경우 도서의 중량, 페이지수등과 같은 정보를 인식하고 이에 따라 상기한 구성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진유닛에 의해 진공챔버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캠부재에 의해 안착부가 진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살균액 분사부 및 향액 분사부로부터 분사된 살균액 및 향액에 의해 살균대상물이 살균, 탈취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류 살균장치(1)의 동작을 첨부된 도4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투입구(11)를 통해 살균대상물이 브라켓(20)에 안착되고, 투입구(11)를 닫아 진공챔버(12)가 밀폐되면, 집진유닛(62)의 베큠유닛이 구동되면서 진공챔버(12)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진공챔버(12)를 진공상태로 형성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회전력제공수단(33)의 모터(33a)가 구동되면서 모터(33a)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이 회전력전달수단(33b)을 통해 회전축(31)으로 전달되고,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축(31)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축(31)의 외면에 결합된 복수개의 캠부재(32)가 동반회전하게 된다.
이에 복수개의 캠부재(32)가 각각 다른 시점에서 안착부(21)의 저면을 상방으로 가압하여 안착부(21)가 상하방향으로 진동하게 되고, 안착부(21)가 상하방향으로 진동함에 따라 안착부(21)의 상면에 안착된 살균대상물이 동반하여 진동함으로써 그 진동력에 의해 살균대상물의 표면에 부착된 미세먼지가 살균대상물로부터 탈거된 후 비산된다.
그리고, 비산된 미세먼지는 베큠장치(61)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와 함께 베큠장치(61)로 이동되고, 이동된 미세먼지는 공기의 배출로 일측에 설치된 집진유닛(62)에 의해 집진된다.
이후, 살균액 분사부(40) 및 향액 분사부(50)로부터 각각 미세한 입자의 살균액과 향액이 분사되고, 분사된 살균액과 향액은 진공분위기 하에서 진공챔버(12) 내로 빠르게 확산된다.
이와 같이 확산된 미세입자의 살균액과 향액은 진동되고 있는 살균대상물의 표면에 부착되어 살균대상물을 살균함과 아울러 탈취 또는 향을 추가하게 되는데 ,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살균대상물이 적층되게 배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진동에 의해 순간적으로 살균대상물과 살균대상물 사이에 이격공간이 발생되고, 그 이격공간으로 살균액과 향액이 유입되면서 살균대상물의 살균효율과 탈취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류 살균장치(1)는 확산된 살균액의 미세입자 및 향액의 미세입자를 통해 복수개의 살균대상물을 동시에 살균 및 탈취하게 됨으로써 그 살균 및 탈취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류 살균장치(1)의 동작은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살균대상물이 도서인 경우 도서에 부착된 RFID태그로부터 도서의 중량, 페이지스와 같은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도서 정보에 따라 구동시간, 살균액 및 향액의 분사량등 살균대상물의 살균작업 또는 탈취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류 살균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8a 및 도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류 살균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7, 도8a 및 도8b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2 내지 도6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살균효율 및 탈취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것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전 실시예와 달리 브라켓(20)의 안착부(21)가 외부몸체(21a)와, 내부몸체(21b)와, 제1 안내부재(21c) 및 제2 안내부재(21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외부몸체(21a)는 대략 용기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우징(10)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 가이드부재(22)가 통과하는 것으로, 진동수단(3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후술하는 내부몸체(21b)가 동반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내부몸체(21b)는 외부몸체(21a)와 같이 대략 용기형상으로 형성되고, 외부몸체(21a)의 내부에 상하좌우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살균대상물이 수용된다.
이러한, 내부몸체(21b)는 내부에 살균대상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외부몸체(21a)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유동됨과 동시에 후술하는 제1 및 제2 안내부재(21d)에 의해 상하좌우방향으로 유동되어 살균대상물이 상하방향 뿐 아니라 좌우방향으로도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살균효율 및 탈취효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안내부재(21c)는 외부몸체(21a)의 내면 중 상단부 일측에 설치되고, 하부 일측에 외부몸체(21a)의 내측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제1 경사면이 형성되며, 내부몸체(21b)가 상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내부몸체(21b)의 상단부 일측이 제1 경사면에 접촉됨에 따라 내부몸체(21b)가 제1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어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안내부재(21d)는 제1 안내부재(21c)와 대향되는 외부몸체(21a)의 내면 중 하단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부 일측에 외부몸체(21a)의 내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제2 경사면이 형성되며, 내부몸체(21b)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내부몸체(21b)의 하단부 일측이 제2 경사면에 접촉됨에 따라 내부몸체(21b)가 제2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어 타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류 살균장치(1)의 동작을 첨부된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진동수단(30)이 구동됨에 따라 캠부에 의해 외부몸체(21a)가 상하방향으로 진동되는 경우 외부몸체(21a)에 수용된 내부몸체(21b) 또한 동반하여 상하방향으로 유동된다.
이때, 내부몸체(21b)가 상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도8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몸체(21b)의 상단부가 제1 경사면에 접촉되면서 내부몸체(21b)가 제1 경사면을 따라 일측방향으로 이동되고, 내부몸체(21b)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도8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몸체(21b)의 하단부가 제2 경사면에 접촉되면서 내부몸체(21b)가 제2 경사면을 따라 타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상하진동과 함께 좌우방향으로 진동된다.
이에 내부몸체(21b)에 수용된 살균대상물 또한 상하방향 뿐 아니라 좌우방향으로 동시에 유동되면서 살균대상물의 사이사이로 살균액과 향액이 보다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그 외의 구조는 전술한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지류 살균장치 10 : 하우징
11 : 투입구 12 : 진공챔버
20 : 브라켓 21 : 안착부
21a : 외부몸체 21b : 내부몸체
21c : 제1 안내부재 21d : 제2 안내부재
22 : 가이드부재 23 : 완충부재
30 : 진동수단 31 : 회전축
32 : 캠부재 33 : 회전력제공수단
33a : 모터 33b : 회전력전달수단
40 : 살균액 분사부 41 : 살균액 저장부
42 : 살균액 분사노즐 43 : 제1 연결관
50 : 향액 분사부 51 : 향액 저장부
52 : 향액 분사노즐 53 : 제2 연결관
60 : 집진부 61 : 베큠장치
62 : 집진유닛 70 : 제어부
71 : 정보인식모듈

Claims (5)

  1. 내부에 진공챔버가 형성된 하우징과;
    일측에 살균대상물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안착부의 일측을 통과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안착부 사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안착부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한 쌍의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브라켓과;
    일측이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브라켓을 진동하는 진동수단과;
    일측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진공챔버 내부로 살균액을 분사하여 확산되도록 하는 살균액 분사부;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진공챔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진공챔버를 진공상태로 형성하면서 상기 진공챔버 내의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부를 포함하되,
    상기 진동수단은
    상기 브라켓의 하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편심되게 결합되고, 복수개가 각각 다른 방향으로 편심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동반회전하면서 상기 브라켓의 저면 일측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브라켓의 저면을 상방으로 가압하는 캠부재; 및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력제공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류 살균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진공챔버 내부로 향액 분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류 살균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진동수단, 상기 살균액 분사부 및 상기 집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진동수단, 상기 살균액 분사부 및 상기 집진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살균대상물에 부착된 정보태그로부터 상기 살균대상물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살균대상물 정보에 따라 상기 진동수단과, 상기 살균액 분사부 및 상기 집진부의 동작을 자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류 살균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외부몸체와;
    상기 외부몸체의 내부에 상하좌우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 일측에 살균대상물이 안착되는 내부몸체와;
    상기 외부몸체의 내면 상단부 일측에 설치되고, 하부 일측에 상기 외부몸체의 내측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몸체가 상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내부몸체의 일측이 상기 제1 경사면에 접촉되는 제1 안내부재; 및
    상기 제1 안내부재와 대향되는 상기 외부몸체의 내면 중 하단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부 일측에 상기 외부몸체의 내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제2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몸체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내부몸체의 일측이 상기 제2 경사면에 접촉되는 제2 안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류 살균장치.
KR1020140065635A 2014-05-30 2014-05-30 지류 살균장치 KR101631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635A KR101631890B1 (ko) 2014-05-30 2014-05-30 지류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635A KR101631890B1 (ko) 2014-05-30 2014-05-30 지류 살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892A KR20150138892A (ko) 2015-12-11
KR101631890B1 true KR101631890B1 (ko) 2016-06-21

Family

ID=55020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5635A KR101631890B1 (ko) 2014-05-30 2014-05-30 지류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18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42892B (zh) * 2020-08-24 2022-02-01 河南中医药大学 一种用于图书馆的图书除菌防腐装置
CN112190744A (zh) * 2020-10-16 2021-01-08 重庆莘默达科技有限公司 一种档案消毒整理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175B1 (ko) 2009-09-25 2010-06-15 주식회사 아이브이에스 걸이 형 도서소독기
KR101021262B1 (ko) * 2010-12-24 2011-03-11 주식회사 다올아이티 도서 소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029B1 (ko) * 2010-07-08 2012-12-11 에코미스트 주식회사 책 소독장치
KR101275536B1 (ko) * 2011-05-31 2013-06-20 김종석 책 소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175B1 (ko) 2009-09-25 2010-06-15 주식회사 아이브이에스 걸이 형 도서소독기
KR101021262B1 (ko) * 2010-12-24 2011-03-11 주식회사 다올아이티 도서 소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892A (ko) 2015-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14558U (ja) 空気清浄器
US20150359914A1 (en) Bill sterilizer equipped with counting machine
JP5366027B2 (ja) 空気清浄器
CN101861116A (zh) 自动的流体分配器
KR101631890B1 (ko) 지류 살균장치
KR101463554B1 (ko) 초음파 및 미산성수를 이용한 식품의 세척 및 살균 장치
KR101095351B1 (ko) 능동적인 오염물질 제거가 가능한 지폐 계수기용 다중 정화장치
KR101985602B1 (ko) 수증기를 이용한 온풍 겸용 공기청정기
CN111824638A (zh) 一种垃圾回收箱及其回收利用方法
KR20160015083A (ko) 공기 청정기
KR20120111868A (ko) 책 소독 장치, 책 소독 시스템 및 책 소독 방법
KR101988023B1 (ko) Uv를 이용한 필터 살균장치
WO2011001455A1 (en) A compact electrical appliance for processing foods and differentiating and disinfecting kitchen waste
CN102188727A (zh) 杀菌真空清洁器
KR20140124216A (ko) 자동 신발청소로봇
KR101317475B1 (ko) 음식물쓰레기 위생 수거장치
KR20180132290A (ko) 가습과 자외선에 의한 살균 및 광촉매와 전기집진기능을 겸비한 공기살균기
KR101154822B1 (ko) 진공청소기
KR20180002308A (ko) 클린 장치
CN208642228U (zh) 用于餐厨降解设备有机垃圾高效杀菌的除臭装置
TWM511329U (zh) 圖書除菌裝置
KR102475881B1 (ko) 고양이 배변용 모래 세척장치
KR20150012470A (ko) 가열 집진 지폐계수기
KR102269334B1 (ko) 지폐 소독기
KR101551411B1 (ko) 현금 계수기용 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