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2470A - 가열 집진 지폐계수기 - Google Patents

가열 집진 지폐계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2470A
KR20150012470A KR1020130088013A KR20130088013A KR20150012470A KR 20150012470 A KR20150012470 A KR 20150012470A KR 1020130088013 A KR1020130088013 A KR 1020130088013A KR 20130088013 A KR20130088013 A KR 20130088013A KR 20150012470 A KR20150012470 A KR 20150012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roller
bill
bill counter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8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순홍
Original Assignee
(주) 엠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엠씨엠 filed Critical (주) 엠씨엠
Priority to KR1020130088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2470A/ko
Publication of KR20150012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24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7/00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 G06M7/02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wherein objects ahead of the sensing element are separated to produce a distinct gap between successive objects
    • G06M7/06Counting of flat articles, e.g. of sheets of pap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50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가열 집진 지폐계수기는 지폐에 살균액이나 향원액을 도포하기 위하여 내부에 액제를 담을 수 있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지폐계수기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제1 로울러와 제2 로울러의 회전속도차를 이용하여 지폐에 인장력을 가한 상태에서 가열을 하는 가열부와, 지폐에 진동을 가함으로써 먼지를 분리해내고 이를 흡입팬 및 필터에 의해 걸러내는 집진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가열 집진 지폐계수기에 의하면, 지폐에 진동을 가함으로써 먼지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먼지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로울러의 상대속도차에 의해 지폐를 잡아당긴 상태에서 가열을 함으로써 다림질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가열 집진 지폐계수기{STERILIZING AND DUST COLLECTING BILL COUNTER}
본 발명은 가열 집진 지폐계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폐를 가열하여 살균시키고 지폐에 의해 발생되는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지폐계수기에 관한 것이다.
지폐는 현대 경제 사회의 근간을 이루는 기본적인 가치 교환수단으로서, 다수의 사람들이 서로 주고 받으면서 사용되기 때문에 세균 및 각종 이물질에 의해 오염된 상태로 유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렇게 다수의 사람들에 의해 유통되는 과정에서 지폐에 일반적인 오염균이 부착됨은 물론이고, 최근 문제되고 있는 조류 독감 바이러스나 원인불명 바이러스의 오염 매개체로서 사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지폐에 서식하는 각종 오염균이나 이물질을 정기적으로 제거하여 사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나, 현실적으로 지폐를 살균하거나 클리닝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보편화되어 있지 않으므로 지폐와 관련된 장치를 통해 부수적으로 지폐를 클리닝하는 방법들이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방법 중 지폐계수기를 이용하여 지폐를 살균하는 방법이 있다. 지폐계수기는 은행 등에서 창구 직원의 실수를 줄이기 위해 자동으로 지폐를 계수하기 위한 장치로서, 지폐를 호퍼에 놓으면 자동으로 매수를 세며 스태커로 이송시킨 후 완료되면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폐계수기 내부에서 지폐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지폐를 가열시키거나 살균액을 분사함으로써 지폐를 살균하거나 클리닝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지폐가 단순한 가치 교환의 수단을 넘어 상징적인 증여의 표시로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의 증가 및 신용카드의 사용으로 인해 지폐를 사용하는 횟수가 감소하는 반면, 실질적으로 지폐를 사용하는 계기가 설날에 쓰이는 세뱃돈이나 결혼식의 축의금 또는 상갓집의 부조금과 같은 상징적인 증여의 형태로 변하고 있다.
이렇게 지폐가 상징적인 증여의 표시로 사용되는 경우, 지폐가 구겨지거나 더럽혀지면 사람들이 사용하기를 꺼리는 문제점이 생긴다. 따라서, 지폐의 상태를 양호하게 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도출되며, 그 중 한가지 방법은 지폐에 향기를 입히는 것이다.
지폐에 향기를 입히게 되면 지폐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이미지를 각인시키기 때문에, 지폐의 액면 가치를 넘는 효용성을 가질 수 있다. 더구나, 지폐에 향기를 입혀서 제공하는 은행으로서는 고객에 대하여 향기 마켓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경쟁력을 제고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지폐 소독 지폐계수기가 국내 등록 특허번호 제실0124064호로 출원된 내용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의 지폐 수납함(2)에 지폐를 수납시키면 지폐 공급 로울러(3)를 회전시키면 지폐가 상기 고무판(4)과 밀착되어 가이드 로울러(5)쪽으로 이동된다.
이어서 상기 가이드 로울러(5)로 이동된 지폐는 수평 가이드부(6a)를 거쳐 구동 로울러(8)의 외주연에 설치된 제1보조 로울러(10)와 제2보조 로울러(11) 그리고 제3보조 로울러(12)에 압축되면서 통과하게 되고, 상기 구동 로울러(8)의 내부의 히터부(9)에 의해 지폐를 눌러 다림질 하여 지폐를 펴주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폐가 각 보조 로울러(10)(11)(12)를 통과할 때 상기 상부 곡면 가이드부(13)에는 자외선 소독기(14)가 설치되어 지폐가 통과할 때 지폐에 기생하는 병원균을 살균 소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지폐소독 지폐계수기는 별도의 자외선 살균장치를 부가해야 하기 때문에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고, 자외선 살균작용을 하기 위해 많은 전력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지폐소독 지폐계수기는 지폐에 향기를 입힐 수 있는 구성에 적합하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발향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자외선 살균장치는 일정시간 자외선을 조사해야만 살균효과가 나타남에 반해, 빠른 속도로 통과하는 지폐에 분포하는 병원균을 살균시키기에는 부적법한 문제점이 있다.
더구나, 종래의 지폐소독 지폐계수기는 지폐의 이동에 의해 발생되는 먼저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폐에 발향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는 살균 구조 및 집진 구조를 가지는 지폐계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열 집진 지폐계수기는 내부에 내용물을 포함하는 카트리지가 지폐계수기 본체의 외부에 형성된 카트리지 장착부에 선택적으로 연결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지폐계수기에 있어서, 상기 지폐계수기 본체 내부의 지폐 이동경로에 구비되고, 상기 지폐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지폐를 가열하는 가열부와, 지폐에 진동을 가해 이물질을 탈리하는 집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가열부는 지폐를 이동시키는 로울러에 상대적인 속도차를 발생시킨 상태에서 지폐를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가열부는 상기 지폐 이동경로의 지폐 유입 방향에 위치하는 제1 로울러와, 상기 지폐 이동경로의 지폐 배출 방향에 위치하는 제2 로울러와, 상기 제1 로울러 및 상기 제2 로울러 사이에 위치하고, 지폐를 가열하는 가열로울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로울러의 회전속도가 상기 제2 로울러의 회전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더 느린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가열부는 지폐에 열을 가할 수 있는 탄성있는 소재로 구성되고, 일단이 상기 지폐 이동경로에 고정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폐 이동경로의 상방에 위치하는 가열판과, 상기 가열판에 연결되는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가 회전하면 상기 가열판의 자유단이 상기 지폐 이동경로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이 정지하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집진부는 상기 지폐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 로울러와, 상기 진동 로울러에 의해 탈리된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팬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집진부는 상기 흡입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 내의 먼지를 걸러내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가열 집진 지폐계수기에 의하면, 지폐에 진동을 가함으로써 먼지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먼지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로울러의 상대속도차에 의해 지폐를 잡아당긴 상태에서 가열을 함으로써 다림질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지폐계수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열 집진 지폐계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개략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가열 집진 지폐계수기의 카트리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가열 집진 지폐계수기의 카트리지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카트리지의 작동상태를 보인 일부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가열 집진 지폐계수기의 카트리지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도 7의 카트리지의 작동상태를 보인 일부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가열 집진 지폐계수기의 가열부를 상세하게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가열 집진 지폐계수기의 가열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가열 집진 지폐계수기의 집진부를 보인 구성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하기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온전히 완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기보다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들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또는 층 상에 배치되는 또는 연결되는 것으로서 설명되는 경우 상기 요소는 상기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적으로 배치되거나 연결될 수도 있으며, 다른 요소들 또는 층들이 이들 사이에 게재될 수도 있다. 이와 다르게,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적으로 배치되거나 연결되는 것으로서 설명되는 경우, 그들 사이에는 또 다른 요소가 있을 수 없다. 다양한 요소들, 조성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부분들과 같은 다양한 항목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들이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항목들은 이들 용어들에 의하여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사용된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또한, 달리 한정되지 않는 이상, 기술 및 과학 용어들을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갖는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는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통상적인 사전들에서 한정되는 것들과 같은 상기 용어들은 관련 기술과 본 발명의 설명의 문맥에서 그들의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것이며, 명확히 한정되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외형적인 직감으로 해석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 예(들)의 개략적인 도해들인 단면 도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해들의 형상들로부터의 변화들, 예를 들면, 제조 방법들 및/또는 허용 오차들의 변화들은 예상될 수 있는 것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해로서 설명된 영역들의 특정 형상들에 한정된 바대로 설명되는 것은 아니라 형상들에서의 편차들을 포함하는 것이며, 도면들에 설명된 영역들은 전적으로 개략적인 것이며 이들의 형상들은 영역의 정확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도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지폐계수기는 지폐에 도포하기 위한 소독액이나 향원액과 같은 액제 또는 기화성이 강한 기화제 등을 담기 위한 카트리지가 지폐계수기의 외부에서 연결되거나 해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에 의해 카트리지를 교환하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지폐계수기에 적용될 수 있는 가열 및 집진 구조를 제공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가열 집진 지폐계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카트리지(200)가 지폐계수기 본체(100)의 외부에서 연결되는 구조의 일실시예를 나타난 것으로서, 상기 카트리지(200)가 지폐계수기 본체(100) 외부에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면,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카트리지(200) 연결구조는 상기 지폐계수기 본체(100)의 외부에 형성된 카트리지 장착부(110)를 통해 상기 카트리지(200)가 연결되는 구조이다.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110)는 슬롯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110)에 상기 카트리지(200)를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카트리지(200)가 지폐계수기 본체(100)에 연결된다.
상기 카트리지(200)는 원터치방식 또는 훅(hook) 고정방식으로 슬롯 형태의 카트리지 장착부(110)에 탈착가능하도록 연결되는데, 슬롯 형태의 카트리지 장착부(110) 내부에 카트리지(200)를 삽입하면 훅(도시되지 않음)이 내부의 고리에 걸려 상기 카트리지(200)가 고정되고, 다시 카트리지(200)를 눌러 훅 고정을 해제하면 상기 카트리지(200)가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200)가 연결되는 카트리지 장착부(110)의 위치는 지폐(M)가 배출되는 배출구(120)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지폐계수기 본체(100)의 상단에 지폐(M)가 삽입되는 지폐유입구(130)를 통해 지폐(M)가 삽입되면, 지폐 이동경로(140)를 통해 상기 배출구(120)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110)가 지폐(M)가 배출되는 배출구(120)에 인접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카트리지(200)가 배출구(120)에 인접하여 연결되면, 지폐(M)가 배출되기 직전에 지폐(M)에 액제 처리가 가능하므로 살균 후 기화처리가 용이하고, 향원액 도포 후 발향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지폐계수기 본체(100) 내부에서 별도의 가열 로울러(330)를 이용하여 지폐(M)를 다림질하는 공정이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가열 로울러(330)에 의한 다림질 공정 이후에 위치되는 배출구(120)에 인접하여 액제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카트리지(200)가 지폐계수기 본체(100) 전면에서 연결되면 사용자가 편의에 의해 언제라도 카트리지(200)를 교환하거나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110)는 상기 지폐계수기 본체(100)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트리지(200)는 내부에 소독액이나 향원액과 같은 액제 또는 기화성이 강한 겔 상태의 물질이나 고체류 등과 같은 내용물을 포함하기 위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200)는 외부 케이스(210); 상기 외부 케이스(210) 내부에 구비되고 액제 등을 담기 위한 담제부(220); 및 상기 담제부(220)에 담긴 액제 등을 지폐(M)에 가하기 위한 어댑터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케이스(210) 내부에 구비되는 담제부(220)는 스폰지와 같은 소재로 구성되어 액제를 흡수한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댑터부(230)는 상기 담제부(220)에 담긴 액제를 지폐계수기 본체(100)를 통과하는 지폐(M)에 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는 상기 어댑터부(230)의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어댑터부(230)의 구성이 도 5에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어댑터부(230)는 담제부(220)에 담겨진 액제를 지폐(M)에 가할 수 있는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댑터부(230)는 회전 롤러(231)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회전 롤러(231)의 회전에 의해 액제를 지폐(M)에 도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200)는 상기 담제부(220)로부터 유입되는 액제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232)와, 상기 필터(232)를 통과한 액제를 임시로 보관하고, 어댑터부(230)와 접촉하는 롤러 접촉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댑터부(230)는 상기 롤러 접촉부(233)와 접촉하여 상기 롤러 접촉부(233)에 보관된 액제를 지폐(M)에 도포하는 회전 롤러(2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 접촉부(233)는 탄성있는 소재로 형성되고, 내부에 액제가 담아질 수 있는 다공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롤러(231)는 회전하면서 상기 롤러 접촉부(233)에 있는 액제를 묻혀 지폐계수기 본체(100)를 통과하는 지폐(M)에 도포한다.
즉, 상기 지폐(M)는 지폐계수기 내부로 진입하면서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가열 로울러(0)와 같은 구성부품에 의해 이동력을 가진 상태로 지폐 이동경로(140)를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지폐(M)의 이동력을 그대로 이용하여 상기 회전 롤러(231)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롤러(231)의 액제 도포 효과를 상승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 롤러(231)의 일부에 돌기(234)가 형성되거나 편심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롤러(231)에 형성된 돌기(234)는 상기 회전 롤러(231)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롤러 접촉부(233)에 보다 밀착한 상태로 회전하므로 액제의 도포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롤러(231)는 탄성부(235)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탄성 있게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롤러(231)의 중심축(O)에 판스프링 형태의 탄성부(235)가 연결됨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탄성 있게 이동가능하다.
즉, 도 6a와 같이 지폐 이동경로(140)를 통해 지폐(M)가 이동하기 이전에는 상기 회전 롤러(231)가 원위치에 위치하나, 도 6b와 같이 지폐 이동경로(140)를 통해 지폐(M)가 이동하면, 상기 지폐(M)의 두께로 인해 상기 회전 롤러(231)가 상방으로 이동한 상태로 회전한다. 그리고, 지폐(M)가 완전히 통과하면, 상기 탄성부(235)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 롤러(231)가 지폐(M)와 접촉하는 순간에만 롤러 접촉부(233)와 더욱 밀착되기 때문에, 상기 롤러 접촉부(233)에 있는 액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지폐(M)에 도포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지폐 이동경로(140)에서 상기 회전 롤러(231)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지폐(M)의 원활한 이동을 서포트하기 위한 보조 롤러(1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상기 어댑터부(230)가 카트리지(200)에 구비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상기 어댑터부(230)는 상기 지폐계수기 본체(100)에서 상기 카트리지(200)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어댑터부(230)는 상기 카트리지(200) 및 상기 지폐계수기 본체(10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도 7에는 상기 어댑터부(230)의 회전 롤러(231)가 상기 지폐계수기 본체(100)의 지폐 이동경로(140)에 위치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필터(232)와 롤러 접촉부(233)는 카트리지(200)의 외부 케이스(21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 롤러(231)는 상기 지폐계수기 본체(100) 내부에서 상기 카트리지(200)의 롤러 접촉부(233)와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 롤러(231)는 지폐계수기 본체(100) 상에 고정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카트리지(200)의 롤러 접촉부(233)와 접촉하여 액제를 지폐(M)에 도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지폐계수기 본체(100)에 연결된 회전 롤러(231)에도 탄성부(235)가 연결되어, 지폐(M)의 이동여부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탄성있게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9에는 상기 지폐 이동경로(140)에 위치한 가열부(3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가열부(300)는 상기 지폐 이동경로(140)를 따라 이동하는 지폐(M)에 인장력을 가한 상태에서 가열함으로써 지폐에 다림질 효과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열부(300)는 지폐의 인입방향에 위치한 제1 로울러(310)와, 지폐의 배출방향에 위치한 제2 로울러(320)와, 상기 제1 로울러(310) 및 상기 제2 로울러(320) 사이에 위치하여 지폐를 가열하는 가열 로울러(3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로울러(310) 및 상기 제2 로울러(320)에 의해 지폐가 통과하는 사이에 상기 가열 로울러(330)가 지폐의 전후면을 가열함으로써 살균 작용을 실시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로울러(310)의 이동속도(v1)은 상기 제2 로울러(320)의 이동속도(v2)보다 상대적으로 더 느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로울러(320)가 상대적으로 더 빠른 속도에 의해 지폐(M)를 이동시키기 때문에 지폐(M)에 순간적으로 인장력이 발생하고, 지폐(M)에 인장력이 발생된 상태에서 상기 가열 로울러(330)에 의해 지폐(M)의 양면을 가열하기 때문에 다림질 효과가 발생한다.
도 10에는 상기 가열부(30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부(300)는 탄성있는 가열판(340)에 연결되어 있는 회전체(340)의 회전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지폐(M)를 가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열부(300)는 상기 지폐 이동경로(140)에 연결되어 있는 가열판(340)을 포함한다. 상기 가열판(340)은 일단이 상기 지폐 이동경로(140)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이 자유단으로써 상기 지폐 이동경로(140)의 상부에 이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판(340)은 외부전력에 의해 열을 가할 수 있는 탄성있는 스틸 소재로 구성되어 외력에 의해 일정 방향으로 구부러진 뒤,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 자리로 복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열판(340)의 중단 부분에는 회전체(35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회전체(350)는 지폐(M)가 인입되면 회전하기 시작하여 회전력에 의해 상기 가열판(340)의 자유단이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지폐 이동경로(140)의 지폐 유입방향에는 지폐의 유입을 감지하는 제1 센서부(361)가 구비되고, 지폐 배출방향에는 지폐의 배출을 감지하는 제2 센서부(363)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지폐 이동경로(140)를 따라 지폐가 유입되면 상기 제1 센서부(361)가 지폐의 유입을 감지하여 상기 회전체(350)를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체(350)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가열판(340)의 자유단이 하방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외부전력에 의해 가열된 가열판(340) 사이로 지폐(M)가 통과하면서 지폐를 살균하게 된다. 그리고, 지폐(M)가 완전히 배출되면 상기 제2 센서부(363)에 의해 지폐의 배출을 감지하여 상기 회전체(350)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가열판(340)의 자유단이 다시 상방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
도 11에는 지폐(M)의 먼지를 탈리시켜 분리하는 집진부(4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집진부(400)는 지폐가 유입되는 지폐유입구(13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집진부(400)는 지폐에 진동을 가함으로써 지폐에 묻은 먼지를 탈리하는 진동로울러(410)와, 상기 진동로울러(410)에 의해 탈리된 먼지를 흡입하여 처리하는 흡입팬(420)을 포함한다.
상기 진동로울러(410)는 일면에 다수개의 고무돌기(411)가 형성되어 지폐유입구(130)로 유입되는 지폐(M)를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로울러(410)는 진동자 등을 이용하거나 편심축을 이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진동로울러(410)에 의해 내부로 유입되는 지폐(M)를 진동시켜 먼지를 탈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진동로울러(410)에 의해 탈리된 먼지(D)는 흡입팬(420)에 의해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팬(420)의 후단에는 필터(430)가 구비되어 흡입된 공기 중의 먼지(D)를 걸러낸 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지폐계수기 본체 110 : 카트리지 장착부
120 : 배출구 130 : 지폐유입구
140 : 지폐 이동경로 200 : 카트리지
210 : 외부케이스 220 : 담제부
230 : 어댑터부 231 : 회전롤러
232 : 필터 233 : 롤러접촉부
234 : 돌기 235 : 탄성부
300 : 가열부 310 : 제1 로울러
320 : 제2 로울러 330 : 가열 로울러
340 : 가열판 350 : 회전체
400 : 집진부 410 : 진동 로울러
420 : 흡입팬 430 : 필터

Claims (7)

  1. 지폐계수기 본체의 외부에 형성된 카트리지 장착부에 선택적으로 연결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지폐계수기에 있어서,
    상기 지폐계수기 본체 내부의 지폐 이동경로에 구비되고, 상기 지폐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지폐를 가열하는 가열부와,
    지폐에 진동을 가해 이물질을 탈리하는 집진부를 포함하는
    가열 집진 지폐계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지폐를 이동시키는 로울러에 상대적인 속도차를 발생시킨 상태에서 지폐를 가열하는
    가열 집진 지폐계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지폐 이동경로의 지폐 유입 방향에 위치하는 제1 로울러와,
    상기 지폐 이동경로의 지폐 배출 방향에 위치하는 제2 로울러와,
    상기 제1 로울러 및 상기 제2 로울러 사이에 위치하고, 지폐를 가열하는 가열로울러를 포함하는
    가열 집진 지폐계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울러의 회전속도가 상기 제2 로울러의 회전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더 느린
    가열 집진 지폐계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지폐에 열을 가할 수 있는 탄성있는 소재로 구성되고, 일단이 상기 지폐 이동경로에 고정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폐 이동경로의 상방에 위치하는 가열판과,
    상기 가열판에 연결되는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가 회전하면 상기 가열판의 자유단이 상기 지폐 이동경로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이 정지하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는
    가열 집진 지폐계수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상기 지폐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 로울러와,
    상기 진동 로울러에 의해 탈리된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팬을 포함하는
    가열 집진 지폐계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상기 흡입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 내의 먼지를 걸러내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가열 집진 지폐계수기.
KR1020130088013A 2013-07-25 2013-07-25 가열 집진 지폐계수기 KR201500124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013A KR20150012470A (ko) 2013-07-25 2013-07-25 가열 집진 지폐계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013A KR20150012470A (ko) 2013-07-25 2013-07-25 가열 집진 지폐계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470A true KR20150012470A (ko) 2015-02-04

Family

ID=52488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8013A KR20150012470A (ko) 2013-07-25 2013-07-25 가열 집진 지폐계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247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70148S1 (en) * 2014-09-17 2016-11-01 Yong Hoon HWANG Headwear cap with size adjustment strap
USD770733S1 (en) * 2014-09-17 2016-11-08 Yong Hoon HWANG Headwear cap with size adjustment strap
CN113361675A (zh) * 2021-06-15 2021-09-07 四川九洲电器集团有限责任公司 数纸组件及数纸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70148S1 (en) * 2014-09-17 2016-11-01 Yong Hoon HWANG Headwear cap with size adjustment strap
USD770733S1 (en) * 2014-09-17 2016-11-08 Yong Hoon HWANG Headwear cap with size adjustment strap
CN113361675A (zh) * 2021-06-15 2021-09-07 四川九洲电器集团有限责任公司 数纸组件及数纸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60441B (zh) 干燥设备
KR20150012470A (ko) 가열 집진 지폐계수기
JP7128363B2 (ja) 衣類ケア設備
KR20180088994A (ko) 물­필터 플라즈마 공기청정기
KR101095351B1 (ko) 능동적인 오염물질 제거가 가능한 지폐 계수기용 다중 정화장치
CN101352575A (zh) 钞票点验消毒机及其消毒方法
KR100655177B1 (ko) 다기능 의류살균건조기
KR101988023B1 (ko) Uv를 이용한 필터 살균장치
KR20160109074A (ko) 소독형 지폐계수기
KR20160024479A (ko) 소독기능을 향상시킨 소독형 지폐계수기
KR101631890B1 (ko) 지류 살균장치
CN1111130C (zh) 纸币清洁消毒方法和纸币清洁消毒机
JP6475044B2 (ja) 除菌装置及び除菌方法
KR101342132B1 (ko) 카트리지가 구비된 지폐계수기
US20210308294A1 (en) System performing inactivation of microorganisms on paper notes in atm with pulsed light technology
CN205174591U (zh) 空气过滤器的自洁净装置
KR20160024481A (ko) 소독기능이 향상된 지폐계수기용 카트리지
KR20140068499A (ko) 소량 지폐 전용 소독기
CN2717441Y (zh) 喷雾钞票消毒机
KR20140035118A (ko) 악취 및 공기 정화방법 및 그 장치
JP2008064430A (ja) 水位表示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加湿装置並びに空気清浄機
KR20030000280A (ko) 지폐소독장치
KR101365748B1 (ko) 핸드 드라이어 및 통합필터
JP7227620B2 (ja) タッチペン用除菌装置
CN217767476U (zh) 一种具有杀菌功能的点钞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