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1411B1 - 현금 계수기용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현금 계수기용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1411B1
KR101551411B1 KR1020150036150A KR20150036150A KR101551411B1 KR 101551411 B1 KR101551411 B1 KR 101551411B1 KR 1020150036150 A KR1020150036150 A KR 1020150036150A KR 20150036150 A KR20150036150 A KR 20150036150A KR 101551411 B1 KR101551411 B1 KR 101551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er
unit
air
cash
cash cou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6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래
Original Assignee
(주)케이탑텍
김창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탑텍, 김창래 filed Critical (주)케이탑텍
Priority to KR1020150036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14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1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1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D11/008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에 사용되는 현금 계수기를 상부에 장착한 상태에서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현금 계수기의 작동 과정에 연동되어 작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먼지 등 오염물질을 확실하게 흡입 제거할 수 있는 현금 계수기용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현금 계수기용 정화장치는, 직육면체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며, 현금 계수기가 상면에 놓여지는 계수기 장착대; 상기 계수기 장착대 정면에 설치되며, 상기 계수기 정하방 방향으로 정화된 공기를 분사하는 정화공기 분사부; 상기 하우징 내부 중 상기 계수기 장착대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현금 계수기 주변의 오염된 공기를 흡수하는 오염 공기 흡수부; 상기 하우징 내부 중 상기 오염 공기 흡수부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오염 공기 흡수부를 통하여 흡수된 오염된 공기에서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링부; 상기 하우징 내부 중 상기 필터링부 상측 또는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오염 공기 흡수부를 통하여 오염된 공기를 흡수하고, 필터링부를 통하여 정화된 정화된 공기를 상기 정화공기 분사부 방향으로 보내는 송풍부; 상기 현금 계수기가 정지 중에는 상기 송풍부를 저속으로 구동하고, 상기 현금 계수기가 구동 중에는 상기 송풍기를 고속으로 구동하는 제어부; 및 상기 현금 계수기의 구동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감지 정보를 제공하는 계수기 구동 감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현금 계수기용 정화장치{THE AIR-CLEANING APPARATUS FOR A CASH COUNTER}
본 발명은 현금 계수기용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에 사용되는 현금 계수기를 상부에 장착한 상태에서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현금 계수기의 작동 과정에 연동되어 작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먼지 등 오염물질을 확실하게 흡입 제거할 수 있는 현금 계수기용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은행 등 현금을 대량으로 취급하는 기관 및 장소에서는 필수적으로 현금 계수기를 사용하게 된다. 현금 계수기(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금(2)을 상측에 오려 놓으면 이를 낱장 별로 계수하여 하측에서 수취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현금 계수기(1)는 필연적으로 현금 계수 과정에서 현금을 개별적으로 구분하여 흔들고 계수기 내에서 이동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현금에 묻어 있는 많은 먼지와 오염 물질이 현금으로부터 분리되어 공기 중으로 비산한다.
따라서 현금 계수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이러한 오염물질을 직접 흡입할 수 밖에 없는 위험에 노출되며, 사무 환경 자체가 매우 악화되는 것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095351호 등에서는 현금 계수기 사용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정화하기 위한 정화 장치에 대한 기술들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들은 덮개가 구비되어 현금 계수기의 사용에 많은 불편을 초래하며, 현금 계수기와 연동 또는 흉화된 구조를 가지지 못해서 실제로 현금 계수기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제대로 흡입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존에 사용되는 현금 계수기를 상부에 장착한 상태에서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현금 계수기의 작동 과정에 연동되어 작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먼지 등 오염물질을 확실하게 흡입 제거할 수 있는 현금 계수기용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현금 계수기용 정화장치는, 직육면체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며, 현금 계수기가 상면에 놓여지는 계수기 장착대; 상기 계수기 장착대 정면에 설치되며, 상기 계수기 정하방 방향으로 정화된 공기를 분사하는 정화공기 분사부; 상기 하우징 내부 중 상기 계수기 장착대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현금 계수기 주변의 오염된 공기를 흡수하는 오염 공기 흡수부; 상기 하우징 내부 중 상기 오염 공기 흡수부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오염 공기 흡수부를 통하여 흡수된 오염된 공기에서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링부; 상기 하우징 내부 중 상기 필터링부 상측 또는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오염 공기 흡수부를 통하여 오염된 공기를 흡수하고, 필터링부를 통하여 정화된 정화된 공기를 상기 정화공기 분사부 방향으로 보내는 송풍부; 상기 현금 계수기가 정지 중에는 상기 송풍부를 저속으로 구동하고, 상기 현금 계수기가 구동 중에는 상기 송풍기를 고속으로 구동하는 제어부; 및 상기 현금 계수기의 구동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감지 정보를 제공하는 계수기 구동 감지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현금계수기용 정화장치에서, 상기 계수기 장착대에는 상기 현금 계수기 하면에 형성된 공기 통과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계수기 장착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다수개의 오염공기 흡수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현금계수기용 정화장치에는, 상기 계수기 장착대에 설치되며, 장착되는 현금 계수기의 바닥면 형태에 따라 설치 간격이 변화되면서 상기 현금 계수기를 고정하는 계수기 고정지그;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정화공기 분사부는, 상기 계수기 장착대보다 높은 위치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현금 계수기의 양측 전방에서 상기 현금 계수기 방향으로 정화된 공기를 분사하는 측상방 분사부; 상기 계수기 장착대 정면에 상기 계수기 장착대보다 높은 위치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현금 계수기 방향 상측으로 정화된 공기를 분사하는 전상방 분사부; 및 상기 계수기 장착대 정면에 상기 계수기 장착대와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며, 상기 현금 계수기 방향으로 정화된 공기를 분사하는 전하방 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필터링부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필터링부 설치홈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설치되는 필터설치구; 상기 필터설치구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오염공기 흡수부에 의하여 흡수된 오염공기로부터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는 헤파필터; 및 상기 필터설치구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오염공기 흡수부에 의하여 흡수된 오염공기로부터 악취물질을 제거하는 탄소탈취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송풍부는, 상기 필터링부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오염공기 흡수부를 통하여 오염공기를 흡수하는 흡수팬; 및 상기 필터링부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필터링부를 통과한 정화 공기를 상기 정화공기 분사부로 보내는 정화공기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송풍부에는, 상기 송풍부를 통하여 분사되는 정화된 공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공기에 포함된 세균을 살균하는 자외선 살균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계수기 구동 감지부는, 상기 현금 계수기에 설치되는 지폐 감지부에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현금계수기용 정화장치에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상기 현금 계수기의 전측면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현금계수기의 계수 동작 중에는 상기 현금 계수기의 전측면을 폐쇄하고, 상기 현금 계수기의 계수 동작 완료 후에는 상기 현금 계수기의 전측면을 개방하는 계수기 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현금계수기용 정화장치는 기존에 사용하던 현금계수기를 구조 변경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현금 계수기 사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 등을 완벽하게 흡입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화장치는 현금계수기의 동작과 연동되어 구동 제어되므로, 현금 계수기 작동시에 집중적으로 오염물질을 흡수하고, 살균하여 완벽한 사용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금계수기용 정화장치에 현금계수기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금계수기용 정화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금계수기용 정화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링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분리사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상방 분사부 및 자외선 살균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금계수기용 정화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금계수기용 정화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금계수기용 정화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현금 계수기용 정화장치(100)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 계수기 장착대(120), 정화공기 분사부(130), 오염공기 흡수부(140), 필터링부(150), 송풍부(160), 제어부(도면에 미도시) 및 계수기구동 감지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하우징(110)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면과 전면은 일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다른 구성요소들이 설치될 수 있는 일정한 내부 공간을 가진다.
다음으로 상기 계수기 장착대(120)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에 설치되며, 현금 계수기(1)가 상면에 놓여지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계수기 장착대(120)에 현금 계수기(1)가 견고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상태를 가지는 것이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계수기 장착대(120)에는 계수기 고정지그(122)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수기 고정지그(12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계수기 장착대(120)에 설치되며, 이 계수기 장착대(120)에 장착되는 현금 계수기(1)의 바닥면 형태에 따라 설치 간격이 변화되면서 장착된 상기 현금 계수기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다. 현재 시중에서 사용되는 현금 계수기는 일반적으로 크기가 비슷한 것이지만, 미세한 크기 및 구조는 상이하다. 따라서 다양한 현금 계수기에 대한 범용성을 가지기 위하여 상기 계수기 고정지그(122)는 충분한 여유 간격을 가지고 설치 간격이 변화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수기 고정지그(122)의 구체적인 구조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일정한 리니어 가이드를 타고, 수평 이동할 수 있는 이동블럭과 상기 이동 블럭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고정편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계수기 장착대(120)에는 도 2, 3,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현금 계수기(1) 하면에 형성된 공기 통과공(도면에 미도시)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계수기 장착대(12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다수개의 오염공기 흡수공(124)이 형성된다. 이 오염공기 흡수공(124)을 통하여 상기 현금 계수기(1)에서 현금 계수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포함한 공기가 흡수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오염공기 흡수공(124)은 작은 크기로 다수개의 흡수공이 균일하게 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오염공기 흡수공(124)이 형성되는 위치는 현금 계수기(1)가 장착되는 위치와 중첩되며, 상기 현금 계수기(1) 하면에 공기 통과공(도면에 미도시)이 형성된 경우에는, 이 공기 통과공 형성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가 바람직하다.
한편 현금 계수기(1) 하면에 공기 통과공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금 계수기(1)가 장착된 상태에서 오염공기 흡수공(124)이 노출되도록 상기 현금 계수기(1) 설치 위치보다 전측으로 상기 오염공기 흡수공(124)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정화공기 분사부(130)는 도 2, 3,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계수기 장착대(120) 정면 방향에 설치되며, 상기 계수기 정하방 방향으로 정화된 공기를 분사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정화공기 분사부(130)를 구체적으로 측상방 분사부(132), 전상방 분사부(134) 및 전하방 분사부(136)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먼저 상기 측상방 분사부(132)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 상부에 상기 계수기 장착대(120)보다 높은 위치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장착된 상기 현금 계수기(1)의 양측 전방에서 상기 현금 계수기 방향으로 정화된 공기를 분사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측상방 분사부(13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의 양측에 각각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측면에서 현금 계수기(1) 방향으로 사선으로 정화된 공기를 분사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전상방 분사부(134)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계수기 장착대(120) 정면에 상기 계수기 장착대(120)보다 높은 위치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현금 계수기(1) 방향 상측으로 정화된 공기를 분사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상방 분사부(134)는 현금 계수기(1)에서 계수된 현금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부분이 하측으로 처지는 곡선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전하방 분사부(136)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계수기 장착대(120) 정면에 상기 계수기 장착대(120)와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며, 상기 현금 계수기(1) 방향으로 정화된 공기를 분사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전하방 분사부(136)는 상기 계수기 장착대(120)의 바닥 높이에서 정화된 공기를 상측으로 분사하여 상기 계수기 장착대(120) 바닥 부분에 분포되는 오염물질을 부상시키고, 후술하는 오염공기 흡수부(140)를 통하여 흡수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오염공기 흡수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 내부 중 상기 계수기 장착대(120)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현금 계수기(1) 주변의 오염된 공기를 흡수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오염 공기 흡수부(140)에는 빈 공간만이 형성되고, 후술하는 송풍부(160)에 의하여 하측 방향으로 공기가 이동되는 효과에 의하여 상기 현금 계수기 방향의 공기가 흡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흡수팬(142)이 더 구비되어 상기 흡수팬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현금 계수기 방향의 공기가 흡수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필터링부(150)는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 내부 중 상기 오염 공기 흡수부(140)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오염 공기 흡수부(140)를 통하여 흡수된 오염된 공기에서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구성요소이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링부(150)는 필터 설치구(152), 헤파 필터(154) 및 탄소탈취부(15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필터 설치구(152)는 상기 헤파필터(154)와 탄소탈취부(156)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하우징(110)에 형성된 필터링부 설치홈(도면에 미도시)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설치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필터설치구(152)는 사용 과정에서는 상기 헤파필터(154)와 탄소탈취부(156)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10)에 결합된 상태로 사용되고, 필터를 교체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필터설치구(152)를 서랍을 여는 것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외부로 슬라이딩시켜서 연 상태에서 필터를 교환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헤파필터(15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설치구(152)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오염공기 흡수부(140)에 의하여 흡수된 오염공기로부터 오염물질을 필터링(filtering)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헤파필터(hepa filetr, 154)는 상기 필터설치구(152)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조되며, 상기 필터설치구(152)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공기를 차단하도록 설치되어 통과하는 공기중에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탄소탈취부(15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설치구(152)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오염공기 흡수부(140)에 의하여 흡수된 오염공기로부터 악취물질을 제거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소탈취부(156)는 표면적이 큰 미세 기공을 가지는 탄소 나노 구조를 가지는 활성탄 필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송풍부(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 내부 중 상기 필터링부(150) 상측 또는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오염 공기 흡수부(140)를 통하여 오염된 공기를 흡수하고, 필터링부(150)를 통하여 정화된 정화된 공기를 상기 정화공기 분사부(130) 방향으로 보내는 구성요소이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송풍부(160)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공기 송풍팬(162)과 송풍 통로(164)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정화공기 송풍팬(16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링부(150)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필터링부(150)를 통과한 정화 공기를 상기 정화공기 분사부(130)로 보내는 구성요소이다. 이 송풍팬(162)의 송풍력에 의하여 상기 정화공기 분사부(130)를 통하여 정화된 공기가 분사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송풍 통로(164)는 상기 송풍팬(162)에 의하여 보내지는 정화된 공기를 상기 정화공기 분사부(130) 방향으로 안내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정화공기 분사부(130)는 측상방 분사부(132), 전상방 분사부(134) 및 전하방 분사부(136)로 나뉘어져 구성되므로, 상기 송풍 통로(164)도 3가지 분사부에 각각 정화된 공기를 보낼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송풍부(160)에는, 상기 송풍부(160)를 통하여 분사되는 정화된 공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공기에 포함된 세균을 살균하는 자외선 살균부(18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살균부(180)는 상기 송풍 통로(164) 중 아무 곳에서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상방 분사부(132)로 정화된 공기를 안내하는 제3 송풍 통로(168)에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도면에 미도시)는 본 실시예에 따른 현금계수기용 정화장치(100)를 구동제어하는 구성요소로서, 특히, 상기 현금 계수기(1)가 정지 중에는 상기 송풍부(160)를 저속으로 구동하고, 상기 현금 계수기(1)가 구동 중에는 상기 송풍부(160)를 고속으로 구동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현금계수기(1)가 가동될 때 집중적으로 오염물질 등을 흡수하여 제거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계수기 구동 감지부(170)는 상기 현금 계수기(1)의 구동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감지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계수기 구동 감지부(170)는 상기 현금 계수기(1)의 구동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계수기 장착대(120)에 설치되며, 상기 현금 계수기(1)의 구동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 여부를 감지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계수기 구동 감지부(170)는, 현금 계수기가 작동하는 시작 신호인 지폐 유무 신호를 직접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현금 계수기(1)에 설치되는 지폐 감지부에 연동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현금계수기용 정화장치에는 알람 램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알람 램프(101)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현금계수기용 정화장치가 구동하고 있는 경우, 구동 중임을 표시할 수 있도록 특정한 색의 램프를 점등하는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현금계수기용 정화장치에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질 감지 센서(19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질 감지 센서(192)는 정화장치 주변의 공기의 오염 정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그 감지 정보를 제어부에 제공하여 상기 송풍부(160)을 구동 강도를 제어하게 된다. 즉, 오염 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상기 송풍부(160)를 강하게 구동시켜 빠른 정화가 가능하도록 하고, 오염 정도가 양호한 경우에는 상기 송풍부(160)를 약하게 구동시켜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송풍부(160)의 구동 정보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90)에 그 동작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현금계수기용 정화장치(100)는 상기 계수기 구동 감지부(170)과 공기질 감지 센서(192)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현금 계수기 주변의 공기를 완변하게 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10)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당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현금계수기용 정화장치(200)를 책상 위가 아니라 바닥에 놓고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현금계수기용 정화장치(100)에는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에 상기 현금 계수기의 전측면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현금계수기의 계수 동작 중에는 상기 현금 계수기의 전측면을 폐쇄하고, 상기 현금 계수기의 계수 동작 완료 후에는 상기 현금 계수기의 전측면을 개방하는 계수기 커버(도면에 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계수기 커버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현금 계수기가 설치되는 공간을 외부와 차단할 수 있으므로, 현금 계수기의 사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외부 비산을 방지한 상태에서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금 계수기용 정화장치
110 : 하우징 120 : 계수기 장착대
130 : 정화공기 분사부 140 : 오염공기 흡수부
150 : 필터링부 160 : 송풍부
170 : 계수기구동 감지부

Claims (9)

  1. 직육면체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며, 현금 계수기가 상면에 놓여지는 계수기 장착대;
    상기 계수기 장착대 정면에 설치되며, 상기 계수기 정하방 방향으로 정화된 공기를 분사하는 정화공기 분사부;
    상기 하우징 내부 중 상기 계수기 장착대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현금 계수기 주변의 오염된 공기를 흡수하는 오염 공기 흡수부;
    상기 하우징 내부 중 상기 오염 공기 흡수부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오염 공기 흡수부를 통하여 흡수된 오염된 공기에서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링부;
    상기 하우징 내부 중 상기 필터링부 상측 또는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오염 공기 흡수부를 통하여 오염된 공기를 흡수하고, 필터링부를 통하여 정화된 공기를 상기 정화공기 분사부 방향으로 보내는 송풍부;
    상기 현금 계수기가 정지 중에는 상기 송풍부를 저속으로 구동하고, 상기 현금 계수기가 구동 중에는 상기 송풍부를 고속으로 구동하는 제어부;
    상기 현금 계수기의 구동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감지 정보를 제공하는 계수기 구동 감지부;를 포함하는 현금계수기용 정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기 장착대에는 상기 현금 계수기 하면에 형성된 공기 통과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계수기 장착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다수개의 오염공기 흡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계수기용 정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기 장착대에 설치되며, 장착되는 현금 계수기의 바닥면 형태에 따라 설치 간격이 변화되면서 상기 현금 계수기를 고정하는 계수기 고정지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계수기용 정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공기 분사부는,
    상기 계수기 장착대보다 높은 위치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현금 계수기의 양측 전방에서 상기 현금 계수기 방향으로 정화된 공기를 분사하는 측상방 분사부;
    상기 계수기 장착대 정면에 상기 계수기 장착대보다 높은 위치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현금 계수기 방향 상측으로 정화된 공기를 분사하는 전상방 분사부;
    상기 계수기 장착대 정면에 상기 계수기 장착대와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며, 상기 현금 계수기 방향으로 정화된 공기를 분사하는 전하방 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계수기용 정화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부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필터링부 설치홈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설치되는 필터설치구;
    상기 필터설치구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오염공기 흡수부에 의하여 흡수된 오염공기로부터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는 헤파필터;
    상기 필터설치구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오염공기 흡수부에 의하여 흡수된 오염공기로부터 악취물질을 제거하는 탄소탈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계수기용 정화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는,
    상기 필터링부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오염공기 흡수부를 통하여 오염공기를 흡수하는 흡수팬;
    상기 필터링부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필터링부를 통과한 정화 공기를 상기 정화공기 분사부로 보내는 정화공기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계수기용 정화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에는,
    상기 송풍부를 통하여 분사되는 정화된 공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공기에 포함된 세균을 살균하는 자외선 살균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계수기용 정화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기 구동 감지부는,
    상기 현금 계수기에 설치되는 지폐 감지부에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계수기용 정화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상기 현금 계수기의 전측면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현금계수기의 계수 동작 중에는 상기 현금 계수기의 전측면을 폐쇄하고, 상기 현금 계수기의 계수 동작 완료 후에는 상기 현금 계수기의 전측면을 개방하는 계수기 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계수기용 정화장치.
KR1020150036150A 2015-03-16 2015-03-16 현금 계수기용 정화장치 KR101551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150A KR101551411B1 (ko) 2015-03-16 2015-03-16 현금 계수기용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150A KR101551411B1 (ko) 2015-03-16 2015-03-16 현금 계수기용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1411B1 true KR101551411B1 (ko) 2015-09-08

Family

ID=54247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6150A KR101551411B1 (ko) 2015-03-16 2015-03-16 현금 계수기용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14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76830A (zh) * 2018-07-18 2018-11-09 浙江然鹏电子有限公司 一种点钞机散热装置
KR102340406B1 (ko) * 2021-03-03 2021-12-17 박대규 티켓 투입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771B1 (ko) 2009-03-25 2009-06-11 주식회사 딘스하이텍 지폐계수기용 집진장치
KR101095351B1 (ko) 2011-08-16 2011-12-16 박충근 능동적인 오염물질 제거가 가능한 지폐 계수기용 다중 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771B1 (ko) 2009-03-25 2009-06-11 주식회사 딘스하이텍 지폐계수기용 집진장치
KR101095351B1 (ko) 2011-08-16 2011-12-16 박충근 능동적인 오염물질 제거가 가능한 지폐 계수기용 다중 정화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76830A (zh) * 2018-07-18 2018-11-09 浙江然鹏电子有限公司 一种点钞机散热装置
KR102340406B1 (ko) * 2021-03-03 2021-12-17 박대규 티켓 투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5299B1 (ko) 에어 워셔
KR100577214B1 (ko) 환기겸용 공기청정기
KR102031772B1 (ko) 공기 청정기
KR100961693B1 (ko) 필터 없는 완전 밀폐식 자체 순환형 시약장
JP2006035204A (ja) 空気清浄機のフィルター殺菌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006820B1 (ko) 공기 청정기
KR101344776B1 (ko) 시약장
KR101551411B1 (ko) 현금 계수기용 정화장치
KR101095351B1 (ko) 능동적인 오염물질 제거가 가능한 지폐 계수기용 다중 정화장치
KR100859376B1 (ko) 정수기
JP2008167902A (ja) 脱臭装置
KR101450563B1 (ko) 공기조화기
KR101532936B1 (ko) 복합전기집진 구조를 갖는 인테리어형 클린흡연부스
KR101761383B1 (ko) 자외선 엘이디가 구비된 공기청정기
KR101880051B1 (ko) 자외선 엘이디가 구비된 공기청정기
KR102125170B1 (ko) 물품 부착 미세 먼지 제거 및 항균 기능을 가진 다기능 iot 작동 방식의 공기 청정기
KR20160135471A (ko) 제균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
KR20170031934A (ko) 공기청정기
KR200321509Y1 (ko) 향발생수단이 구비된 공기청정기
KR20180002308A (ko) 클린 장치
KR20230024598A (ko) 이동식 집진기
KR20040078740A (ko) 워터필터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KR100552949B1 (ko) 공기 청정기
KR20200133573A (ko) 살균 기능을 구비한 공기 순환 장치
KR101926375B1 (ko) 살균기능이 구비된 제습형 공기 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