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1749A - 진공청소 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청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1749A
KR20160131749A KR1020150064758A KR20150064758A KR20160131749A KR 20160131749 A KR20160131749 A KR 20160131749A KR 1020150064758 A KR1020150064758 A KR 1020150064758A KR 20150064758 A KR20150064758 A KR 20150064758A KR 20160131749 A KR20160131749 A KR 20160131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plate
side plate
vacuum
hold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4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현정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4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1749A/ko
Priority to US14/879,038 priority patent/US9750379B2/en
Publication of KR20160131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7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진공청소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청소 장치는 일단부에는 공기와 이물질을 함께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된 진공흡입관, 상기 진공흡입관의 상기 흡입구와 대응하는 중심부홀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는 홀더플레이트, 상기 흡입측플레이트와 설정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홀더플레이트, 및 상기 홀더플레이트와 상기 홀더플레이트 사이의 거리가 탄성적으로 조절되도록 상기 흡입측플레이트와 상기 홀더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스프링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청소 장치{APPARATUS FOR VACUUM CLEANING}
본 발명은 진공청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생산라인 상에 설치되어 생산되는 제품에 발생되는 각종 오염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진공청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 장치는 공기의 압력차를 이용한 기구이며, 일반 가정에서뿐만 아니라 먼지 등의 각종 오염물질이 다량으로 발생되는 산업현장에서도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진공청소 장치가 적용되는 일례로 차체의 생산라인 상에 설치되는 청소 시스템(vacuum system)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청소 시스템은 차체가 여러 생산라인을 거치면서 표면에 발생되는 먼지, 칩, 스페터 및 기름기 등의 각종 오염물질 제거하는 것이며, 이러한 오염물질은 도장작업 시, 도장불량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주로 도장작업 전 청소 시스템을 통해 제거하는 작업이 선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청소 시스템에 의하면, 청소작업의 수행 시, 로봇의 암이 이동하면서 차체의 표면이나 바닥면과 진공청소 장치를 접촉시킬 때, 차체의 표면에 스크래치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서, 청소 시스템에 적용되는 진공청소 장치가 청소작업의 수행 시, 접촉에 따른 스크래치 발생을 억제시키고, 울퉁불퉁한 바닥이나 경사진 바닥을 보다 효과적으로 청소하여, 작업효율의 상승과 함께 작업사이클 타임을 단축시켜 전체적인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울툴불퉁한 바닥면이나 경사진 바닥면에 유연하게 밀착되어 이물질을 흡입하고 제거하여 작업환경을 개선하고, 차체의 스크래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진공청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 장치는 일단부에는 공기와 이물질을 함께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된 진공흡입관, 상기 진공흡입관의 상기 흡입구와 대응하는 중심부홀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는 흡입측플레이트, 상기 흡입측플레이트와 설정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홀더플레이트, 및 상기 흡입측플레이트와 상기 홀더플레이트 사이의 거리가 탄성적으로 조절되도록 상기 흡입측플레이트와 상기 홀더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스프링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공흡입관은 상기 흡입측플레이트의 상기 중심부홀을 통해서 공기와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상기 흡입구는 상기 중심부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유닛은 상기 진공흡입관의 둘레를 따라서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유닛은 적어도 2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유닛은 일단부는 상기 흡입측플레이트에 볼조인트를 통해서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홀더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로드, 상기 로드가 상기 홀더플레이트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링, 및 상기 홀더플레이트와 상기 흡입측플레이트 사이의 거리가 늘어나도록 상기 로드를 따라서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로드의 외측에 배치되는 코일타입의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홀더플레이트는 로봇의 로봇암에 연결되어 설정된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측플레이트에서 상기 홀더플레이트의 반대측 면에는 상기 중심부홀의 외측 둘레를 따라서 고무재질의 흡입패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볼조인트는 상기 흡입측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일측에 볼홈이 형성된 볼하우징, 및 상기 로드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볼하우징의 상기 볼홈에 삽입되는 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 장치는 일단부에는 공기와 이물질을 함께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된 진공흡입관, 상기 진공흡입관의 상기 흡입구와 대응하는 중심부홀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는 흡입측플레이트, 상기 흡입측플레이트와 설정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홀더플레이트, 일단부는 상기 흡입측플레이트에 볼조인트를 통해서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홀더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로드, 상기 로드가 상기 홀더플레이트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링, 및 상기 홀더플레이트와 상기 흡입측플레이트 사이의 거리가 늘어나도록 상기 로드를 따라서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조인트는 상기 흡입측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일측에 볼홈이 형성된 볼하우징, 및 상기 로드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볼하우징의 상기 볼홈에 삽입되는 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하우징은 상기 진공흡입관의 둘레를 따라서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진공흡입관은 상기 흡입측플레이트의 상기 중심부홀을 통해서 공기와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상기 흡입측플레이트에서 상기 홀더플레이트의 반대측 면에는 상기 중심부홀의 외측 둘레를 따라서 탄성재질의 흡입패드가 설치되고, 상기 흡입패드는 지면의 형태를 따라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 장치는 스프링유닛을 통해서 흡입측플레이트와 고무흡입패드가 유연하게 경사지도록 함으로써, 울퉁불퉁한 바닥면과 경사진 바닥면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유닛은 로드와 이에 장착되는 스프링을 통해서 보다 신장과 수축을 용이하게 하고, 볼조인트를 통해서 스위블(swivel)하게 배치되어 보다 유연하게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청소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진공청소 장치에서 각도보상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 장치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 장치의 볼조인트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4,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 장치가 작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도면에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린더 장치가 상기한 청소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을 하기로 하며, 이에 한정을 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분야 및 장소 등에서 다양한 형태로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청소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진공청소 장치는 고무흡입패드(120), 흡입측플레이트(142), 볼조인트(115), 스프링유닛(130), 홀더플레이트(144), 진공흡입관(110), 및 로봇암(100)을 포함한다.
상기 로봇암(100)은 로봇(미도시)에 의해서 미리 설정된 루트를 움직이거나 회전될 수 있고, 상기 로봇은 구비되지 않고, 작업자가 직접 상기 로봇암(100)을 움직일 수 있다.
상기 고무흡입패드(120)와 상기 흡입측플레이트(142)를 통해서 상기 진공흡입관(110)의 일단은 공기와 이물질을 동시에 흡입하고, 상기 진공흡입관(110)의 타단에는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미도시) 등이 배치되고, 상기 고무흡입패드(120)는 상기 흡입측플레이트(142)의 하부면과 바닥면(400) 사이에 일정한 갭을 형성한다.
상기 스프링유닛(130)은 상기 홀더플레이트(144)를 기준으로 상기 흡입측플레이트(142)의 움직임을 유연하게 하여, 경사진 바닥면(400)이나 울퉁불퉁한 바닥면에 상기 흡입측플레이트(142)와 상기 고무흡입패드(120)가 유연하게 밀착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스프링유닛(130)은 상기 홀더플레이트(144)와 상기 흡입측플레이트(142) 사이의 거리를 유연하게 하여 충격을 흡수하고, 바닥면(400)에 스크래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진공청소 장치에서 각도보상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스프링유닛(130)은 로드(200), 및 스프링(210)을 포함하고, 상기 로드(200)의 하단부는 상기 볼조인트(115)를 통해서 상기 흡입측플레이트(142)의 상부면과 연결되고, 상단부는 상기 홀더플레이트(144)를 관통하고, 상기 로드(200)의 상단부에는 스토퍼링(220)이 체결된다.
상기 로드(200)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스프링(210)이 배치되고, 상기 홀더플레이트(144)와 상기 흡입측플레이트(142) 사이의 거리가 늘어나도록 탄성적으로 이들을 지지하고, 상기 스토퍼링(220)은 상기 로드(200)가 상기 홀더플레이트(144)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 장치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흡입측플레이트(142)는 원형으로 그 중심부에 중심부홀(250)이 형성된다. 상기 중심부홀(250)을 통해서 상기 진공흡입관(110)이 공기와 이물질을 함께 흡입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볼조인트(115)는 상기 흡입측플레이트(142)의 상부면에서 3개가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유닛(130)도 적어도 2개, 바람직하게는 3개가 배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 장치의 볼조인트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볼조인트(115)는 상기 로드(20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볼(300), 상기 볼(300)이 삽입되어 스위블(swivel)하게 배치되는 볼하우징(310)을 포함하고, 상기 볼하우징(310)은 상기 흡입측플레이트(142)의 상부면에 고정된다.
도 4,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 장치가 작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울퉁불퉁한 개단식 바닥면(400)을 상기 흡입측플레이트(142)가 지날 때 상기 스프링유닛(130)의 하나는 수축되고, 다른 하나는 신장되어 상기 흡입측플레이트(142)가 경사지게 배치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울퉁불퉁한 바닥면(400)을 청소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바닥면(400)이 평평하더라도, 상기 로봇암(100)과 상기 홀더플레이트(144)가 바닥면에 대해서 경사지게 배치되더라도, 상기 스프링유닛(130)의 하나는 신장되고, 다른 하나는 수축되어 상기 흡입측플레이트(142)가 바닥면에 유연하게 밀착된다.
도 6을 참조하면, 평평한 바닥면(400)에서 상기 로봇암(100)과 상기 홀더플레이트(144)가 경사지게 배치되더라도, 상기 스프링유닛(130)의 하나는 신장되고, 다른 하나는 수축되어 상기 흡입측플레이트(142)가 바닥면에 유연하게 밀착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0: 로봇암 110: 진공흡입관
115: 볼조인트 120: 고무흡입패드
130: 스프링유닛 142: 흡입측플레이트
144: 홀더플레이트 200: 로드
210: 스프링 220: 스토퍼링
300: 볼 310: 볼하우징
400: 바닥면

Claims (14)

  1. 일단부에는 공기와 이물질을 함께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된 진공흡입관;
    상기 진공흡입관의 상기 흡입구와 대응하는 중심부홀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는 흡입측플레이트;
    상기 흡입측플레이트와 설정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홀더플레이트; 및
    상기 흡입측플레이트와 상기 홀더플레이트 사이의 거리가 탄성적으로 조절되도록 상기 흡입측플레이트와 상기 홀더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스프링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진공흡입관은 상기 흡입측플레이트의 상기 중심부홀을 통해서 공기와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상기 흡입구는 상기 중심부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스프링유닛은 상기 진공흡입관의 둘레를 따라서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스프링유닛은 적어도 2개가 배치되는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스프링유닛은
    일단부는 상기 흡입측플레이트에 볼조인트를 통해서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홀더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로드;
    상기 로드가 상기 홀더플레이트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링; 및
    상기 홀더플레이트와 상기 흡입측플레이트 사이의 거리가 늘어나도록 상기 로드를 따라서 배치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로드의 외측에 배치되는 코일타입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홀더플레이트는 로봇의 로봇암에 연결되어 설정된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 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흡입측플레이트에서 상기 홀더플레이트의 반대측 면에는 상기 중심부홀의 외측 둘레를 따라서 고무재질의 흡입패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 장치.
  9. 제5항에서,
    상기 볼조인트는 상기 흡입측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일측에 볼홈이 형성된 볼하우징; 및
    상기 로드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볼하우징의 상기 볼홈에 삽입되는 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 장치.
  10. 일단부에는 공기와 이물질을 함께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된 진공흡입관;
    상기 진공흡입관의 상기 흡입구와 대응하는 중심부홀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는 흡입측플레이트;
    상기 흡입측플레이트와 설정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홀더플레이트;
    일단부는 상기 흡입측플레이트에 볼조인트를 통해서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홀더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로드;
    상기 로드가 상기 홀더플레이트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링; 및
    상기 홀더플레이트와 상기 흡입측플레이트 사이의 거리가 늘어나도록 상기 로드를 따라서 배치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볼조인트는 상기 흡입측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일측에 볼홈이 형성된 볼하우징; 및
    상기 로드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볼하우징의 상기 볼홈에 삽입되는 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볼하우징은 상기 진공흡입관의 둘레를 따라서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 장치.
  13. 제11항에서,
    상기 진공흡입관은 상기 흡입측플레이트의 상기 중심부홀을 통해서 공기와 이물질을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 장치.
  14. 제10항에서,
    상기 흡입측플레이트에서 상기 홀더플레이트의 반대측 면에는 상기 중심부홀의 외측 둘레를 따라서 탄성재질의 흡입패드가 설치되고, 상기 흡입패드는 지면의 형태를 따라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 장치.
KR1020150064758A 2015-05-08 2015-05-08 진공청소 장치 KR2016013174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758A KR20160131749A (ko) 2015-05-08 2015-05-08 진공청소 장치
US14/879,038 US9750379B2 (en) 2015-05-08 2015-10-08 Vacuum cleaner for vehicle manufacturing production l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758A KR20160131749A (ko) 2015-05-08 2015-05-08 진공청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749A true KR20160131749A (ko) 2016-11-16

Family

ID=57222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758A KR20160131749A (ko) 2015-05-08 2015-05-08 진공청소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50379B2 (ko)
KR (1) KR2016013174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09216A (zh) * 2017-07-24 2017-11-03 大连现代辅机开发制造有限公司 缸盖凸轮轴盖油道负压清洗装置及方法
CN111616642A (zh) * 2020-05-08 2020-09-04 上海宇源机械有限公司 一种手持横扫式万向双支轮真空吸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76677B (zh) * 2019-08-26 2020-12-18 商丘师范学院 一种双面美术印花装置
CN110420932B (zh) * 2019-08-27 2021-08-17 无锡领先针测电子有限公司 一种干式超声波清洗头及清洗机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3693A (en) * 1979-06-15 1981-04-28 Mekelburg Clayton G Vacuum cleaner head
FR2685022B1 (fr) * 1991-12-13 1994-03-25 Neu Process International Sa Nettoyage des voies, en particulier pour les reseaux metropolitains .
US5983446A (en) * 1998-01-16 1999-11-16 Hsia; Chih-Yu Multiple suction nozzle vacuum heads
ATE420751T1 (de) 2003-11-21 2009-01-15 Mitsuboshi Diamond Ind Co Ltd Vakuumsaugkopf und vakuumsaugvorrichtung und tisch, der diese/n verwendet
EP1983879B1 (en) * 2006-02-13 2015-11-11 Black & Decker Inc. Power mop with exposable scrub brush
KR101102440B1 (ko) 2008-07-31 2012-01-05 이익재 이물질 제거장치
KR20100039948A (ko) 2008-10-09 2010-04-19 삼성전기주식회사 기판 이송 장치
KR100932775B1 (ko) 2009-09-01 2009-12-21 한국뉴매틱(주) 진공컵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09216A (zh) * 2017-07-24 2017-11-03 大连现代辅机开发制造有限公司 缸盖凸轮轴盖油道负压清洗装置及方法
CN111616642A (zh) * 2020-05-08 2020-09-04 上海宇源机械有限公司 一种手持横扫式万向双支轮真空吸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24383A1 (en) 2016-11-10
US9750379B2 (en) 2017-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31749A (ko) 진공청소 장치
EP4368084A3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CN105710766B (zh) 一种除尘机械手打磨装置
KR20140125162A (ko) 진공흡착 장치
CN103358318A (zh) 机器人手臂
CN105436177A (zh) 带吸盘式自动翻转装置的玻璃清洗机
CN105436178A (zh) 带自动翻转功能的玻璃清洗机
CN205341441U (zh) 带自动翻转功能的玻璃清洗机
KR101637275B1 (ko) 진공청소 장치
KR101749303B1 (ko) 진공챔버의 틈새 세척용 장치
WO2017175583A2 (ja) 負圧吸着自走ロボット装置
CN107721190B (zh) 自动涂覆玻璃底涂系统
CN106684429B (zh) 一种电池模块自动打标清洗机构
CN211589555U (zh) 具有清洗功能的光学镜片研磨机
CN205802342U (zh) 一种可去除残渣的茶叶皮带输送带
US20120176677A1 (en) Device for mechanical cleaning the spectacles glasses
KR20140005451U (ko) 먼지 비산 방지용 간이 커버
CN110774089B (zh) 一种圆形玻璃边角智能抛光装置
TWI503183B (zh) Cleaning equipment and cleaning methods
CN210755842U (zh) 一种激光加工高效除尘装置
JP2016019936A (ja) ロール清掃装置
CN203764571U (zh) 一种平台清扫机
CN220215888U (zh) 一种用于焊针表面夹持式除污机构
CN207206416U (zh) 一种机械抓手固定装置
CN212142713U (zh) 便于快速固定的移动式医用超净工作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