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286B1 - 마크로-메조 기공을 갖는 금속촉매/지지체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수소가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마크로-메조 기공을 갖는 금속촉매/지지체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수소가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286B1
KR101218286B1 KR1020110038056A KR20110038056A KR101218286B1 KR 101218286 B1 KR101218286 B1 KR 101218286B1 KR 1020110038056 A KR1020110038056 A KR 1020110038056A KR 20110038056 A KR20110038056 A KR 20110038056A KR 101218286 B1 KR101218286 B1 KR 101218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catalyst
support
macro
polystyrene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8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9839A (ko
Inventor
좌용호
김세일
이영인
최요민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38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286B1/ko
Publication of KR20120119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9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 G01N31/1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ataly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 B01J23/4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of the platinum group metals
    • B01J23/42Platin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 B01J23/4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of the platinum group metals
    • B01J23/44Pallad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6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2Fuels; Explos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조-마크로 기공을 형성함으로써 활성면적을 높이고, 분자들의 확산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수소의 산화반응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금속촉매/지지체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함으로써 극미량의 촉매로도 효과적인 성능을 얻을 수 있고 소형화할 수 있는 수소센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촉매/지지체 복합체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다.
스티렌과 증류수의 혼합 용액을 만드는 단계; 상기 혼합 용액에 포타슘퍼설페이트를 추가하여 폴리스티렌 용액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폴리스티렌 용액을 건조하여 콜로이드 결정 형태로 만드는 단계; 금속촉매/지지체 복합체를 위한 전구체를 합성하는 단계; 상기 콜로이드 결정을 상기 금속촉매/지지체 복합체 전구체 용액에 침지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촉매/지지체 복합체 전구체에 침지한 콜로이드 결정을 건조 및 하소하여 폴리스티렌 콜로이드 결정을 제거하는 단계.

Description

마크로-메조 기공을 갖는 금속촉매/지지체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수소가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METAL CATALYST/SUPPORT HAVING MACRO-MESO PORES AND HYDROGEN SENSOR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메조-마크로 기공을 갖는 금속촉매/지지체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수소가스 센서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조-마크로 기공을 형성함으로써 활성면적을 높이고, 분자들의 확산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수소의 산화반응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금속촉매/지지체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함으로써 극미량의 촉매로도 효과적인 성능을 얻을 수 있고 소형화할 수 있는 수소센서에 대한 것이다.
현재 친환경적인 대체 에너지로서 수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수소는 대기 중의 산소와 결합할 때 자연발화하거나 폭발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수소의 생산, 보관, 사용과정에서 수소 누설에 대한 안전 관련 대책이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수소가스 센서는 향후 대체 에너지의 안전 분야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간주된다.
한편, 종래 수소센서는 반도체식, 접촉연소식, 열전식 등이 있으며, 이중 접촉연소식과 열전식 수소센서는 백금계 촉매 표면에서 일어나는 수소의 산화반응에 의한 온도변화를 통해 수소를 감지한다. 일반적으로 백금계 촉매의 분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공성 알루미나 담체에 백금계 촉매를 분산시켜 응답특성 및 감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분자의 확산속도를 촉진하기 위해 제올라이트 씨앗 결정을 처리한 규조토를 이용하여 메조기공을 갖는 제올라이트를 합성하거나, 제올라이트 합성 혼합물에 싸이클릭다이암모늄을 첨가하여 결정화 이후 메조기공 및 마크로 기공이 포함된 제올라이트를 합성하는 연구가 진행된 바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은 백금계 촉매를 다공성 알루미나 담체에 분산시킴으로써 촉매의 활성표면을 증가시키기는 했으나, 메조 기공을 가지는 알루미나는 분자의 확산속도가 느려 내부 깊숙한 곳의 촉매와의 반응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분자의 확산속도를 촉진하기 위해 제올라이트 씨앗 결정을 처리한 규조토를 이용하여 메조기공을 갖는 제올라이트를 합성하거나, 제올라이트 합성 혼합물에 싸이클릭다이암모늄을 첨가하여 결정화한 이후 메조기공 및 마크로 기공이 포함된 제올라이트를 합성하는 방법은, 마크로 기공의 크기 조절이 어렵고 규칙적인 배열을 갖는 기공을 형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수소가스의 누설을 감지하기 위한 열전식 수소센서에 적용한다. 발열촉매 표면에서 일어나는 수소의 산화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열에너지가 열전소자를 통해 전기적 신호로 전달되며 이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수소의 양을 감지한다. 또한 잉크젯프린트를 이용함으로써 센서를 소형화 한다.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마크로-메조기공을 갖는 금속촉매/지지체 복합체의 합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소센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촉매/지지체 복합체 제조 방법은 아래 단계로 이루어진다.
스티렌과 증류수의 혼합 용액을 만드는 단계;
상기 혼합 용액에 포타슘퍼설페이트를 추가하여 폴리스티렌 용액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폴리스티렌 용액을 건조하여 콜로이드 결정 형태로 만드는 단계;
금속촉매/지지체 복합체를 위한 전구체를 합성하는 단계;
상기 콜로이드 결정을 상기 금속촉매/지지체 복합체 전구체 용액에 침지하는 단계;
상기 금속촉매/지지체 복합체 전구체에 침지한 콜로이드 결정을 건조 및 하소하여 폴리스티렌 콜로이드 결정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크로-메조 기공을 갖는 금속촉매/지지체 복합체 제조방법.
일반적으로 Pt/알루미나 복합체를 합성하는 방법은 알루미나를 먼저 합성한 후에 Pt 전구체 용액에 함침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복합체를 형성하는데, 알루미나를 만든 뒤 함침을 해야 하므로 공정이 길어진다. 본 발명은 알루미나를 만드는 과정 중에 Pt 전구체 용액을 혼합함으로써 Pt/알루미나 복합체를 한 번에 합성한다.
또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폴리스티렌 콜로이드 결정을 주형제로 하고 이를 제거함으로써 규칙적인 배열을 가지는 마크로 기공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마크로 기공과 지지체 고유의 메조기공이 함께 형성되어 작용하는 마크로-메조 기공을 가지는 금속촉매/지지체를 합성할 수 있다.
폴리스티렌 용액에는 폴리스티렌이 비드 형태로 존재하는데, 이 비드의 크기는 반응 시간과 연관이 있다. 마크로 기공의 크기는, 콜로이드 결정의 크기, 따라서 비드의 크기와 관련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반응 시간, 포타슘퍼설페이트의 양, 증류수와 스티렌의 비율 등을 조절하여 비드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마크로 기공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금속촉매 및 지지체로 사용되는 물질은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바람직한 한 실시예에서 금속촉매는 백금이나 팔라듐, 지지체는 표면적이 넓은 다공성 물질,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나로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금속촉매/지지체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은 공정을 통해 수소센서를 만드는 방법을 제공한다.
스티렌과 증류수의 혼합 용액을 만드는 단계;
상기 혼합 용액에 포타슘퍼설페이트를 추가하여 폴리스티렌 용액을 합성하는 단계;
전술한 폴리스티렌 용액을 기판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폴리스티렌이 도포된 기판을 건조한 후, 금속촉매/지지체 복합체의 전구체를 같은 위치에 도포하는 단계;
기판을 건조시키는 단계; 및
건조된 기판을 하소하여 폴리스티렌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크로-메조 기공을 갖는 금속촉매/지지체가 형성된 수소센서 제조방법.
폴리스티렌이나 금속촉매/지지체 복합체의 전구체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기판 위에 도포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잉크젯 프린팅, 스크린 프린팅, 스핀코팅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때 도포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한 후 과잉으로 남아있는 전구체는 닦아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합성된 마크로-메조 기공의 금속촉매/지지체는 도포 방법을 이용하여 원하는 부분에 작은 영역으로 도포됨으로써 극소량의 촉매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성능을 얻을 수 있고, 따라서 소형화가 가능한 수소센서를 제작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알루미나 담체에 발열 촉매를 고분산시켜 활성 면적을 증가시키고, 금속촉매/지지체 복합체에 마크로-메조기공을 형성함으로써 분자 확산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빠른 응답특성, 고민감성을 가지는 금속촉매/지지체를 합성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합성된 마크로-메조 기공의 금속촉매/지지체는 잉크젯 프린트를 이용하여 원하는 부분에 작은 영역으로 프린팅함으로써 극소량의 촉매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성능을 얻을 수 있고, 소형화가 가능한 수소센서를 제작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폴리스티렌 비드를 이용하여 합성된 마크로-메조기공을 갖는 금속촉매(Pt)/지지체(alumina) 복합체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폴리스티렌 비드를 이용하지 않고 합성되어 메조 기공만을 가지는 금속촉매(Pt)/지지체(alumina) 복합체의 비교예를 나타내는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잉크젯 프린트로 프린팅된 폴리스티렌 비드의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폴리스티렌 비드를 이용하여 합성된 마크로-메조기공을 갖는 금속촉매(Pt)/지지체(alumina) 복합체의 수소 산화반응에 의한 발열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폴리스티렌 비드를 이용하지 않고 합성되어 메조 기공만을 갖는 금속촉매(Pt)/지지체(alumina) 복합체의 수소 산화반응에 의한 발열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아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폴리스티렌의 합성
먼저 마크로 기공을 형성하는 폴리스티렌 비드를 제조하였다. 10ml의 스티렌을 0.1M의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 10ml로 5회 세척하고, 이어 증류수 10ml로 5회 세척하였다. 동시에 증류수 100ml를 삼구플라스크에서 넣고 질소 분위기에서 70oC로 가열하였다. 다음으로, 미리 세척한 스티렌 10ml를 70oC의 증류수에 넣고 교반하였다. 이어서, 포타슘퍼설페이트 0.04g을 스티렌과 증류수 혼합 용액에 넣고 질소분위기에서 70oC를 유지하며 28시간 동안 교반하여, 폴리스티렌이 비드 형상으로 존재하는 용액을 합성하였다.
2. 금속촉매/지지체 복합체의 전구체 합성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촉매로서 백금을, 지지체로서는 알루미나를 채택하여 제조하였다.
알루미늄이소프로폭사이드(C9H21O3Al) 2.0425g을 80oC의 18ml의 증류수에 넣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여기에 10 wt.%의 질산(HNO3)을 첨가하여 혼합물의 pH를 5.5로 유지시키고 90oC의 온도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온도를 낮추고 염화백금산(H2PtCl6) 1.303ml를 첨가한 후 한 시간 동안 교반하여, 금속촉매/지지체 복합체를 위한 전구체를 합성하였다.
3. 마크로-메조기공을 가지는 금속촉매(Pt)/지지체(alumina) 복합체 합성
위에서 합성된 폴리스티렌 용액을 4000rpm에서 3시간 동안 원심분리한 뒤 건조하여 콜로이드 결정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콜로이드 결정을, 앞서 합성한 금속촉매/지지체 복합체의 전구체에 1시간 침지하였다. 그 후 콜로이드 결정을 금속촉매/지지체 복합체의 전구체에서 꺼내고 주변에 과잉으로 남아 있는 전구체를 닦아낸 뒤 100oC에서 12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건조 후 600oC에서 6시간 동안 하소하여 주형제인 폴리스티렌 콜로이드 결정을 제거하여 Pt/알루미나 복합체를 형성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폴리스티렌 비드를 이용하여 합성된 마크로-메조기공을 갖는 금속촉매(Pt)/지지체(alumina) 복합체의 전자현미경 사진이고, 도 2는 폴리스티렌 비드를 이용하지 않고 합성되어 메조 기공만을 가지는 금속촉매(Pt)/지지체(alumina) 복합체의 비교예를 나타내는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사진에서 육안으로 명확하게, 본 발명의 복합체가 마크로-메조 기공이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4. 수소가스센서의 제작
본 발명의 금속촉매/지지체 복합체를 수소센서에 적용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하였다.
폴리스티렌 용액을 만드는 방법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다. 합성된 폴리스티렌 용액(비드 크기 350nm)을 잉크젯 프린트(dimatix ink-jet printer)를 이용하여 기판(Si/SiO2 water)에 프린팅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잉크젯 프린트로 프린팅된 폴리스티렌 비드의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도 3으로부터 원하는 영역에 작은 크기로 패터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폴리스티렌이 프린팅된 기판을 건조하였고, 합성된 금속촉매/지지체 복합체의 전구체를 같은 위치에 프린팅하였다. 프린팅한 상태로 1시간 동안 유지한 후 과잉으로 남아있는 전구체를 닦아내었다. 이어서, 기판을 100oC에서 12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주형제를 제거하고, 600oC에서 6시간 동안 하소하여 Pt/알루미나 복합체가 형성된 수소센서를 제조하였다.
이후 폴리스티렌이 프린팅된 기판을 건조하였고, 합성된 금속촉매/지지체 복합체의 전구체를 같은 위치에 프린팅하였다. 프린팅한 상태로 1시간 동안 유지한 후 과잉으로 남아 있는 전구체를 닦아내었다. 이어서, 기판을 100oC에서 12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주형제를 제거하고, 600oC에서 6시간 동안 하소하여 Pt/알루미나 복합체를 형성한다.
이후 기판 표면에 열전소자를 증착하고, 전극을 연결하여 열전식 수소 가스센서를 제조하였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폴리스티렌 비드를 이용하여 합성된 마크로-메조기공을 갖는 금속촉매(Pt)/지지체(alumina) 복합체의 수소 산화반응에 의한 발열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5는 폴리스티렌 비드를 이용하지 않고 합성되어 메조 기공만을 갖는 금속촉매(Pt)/지지체(alumina) 복합체의 수소 산화반응에 의한 발열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 및 도 5의 그래프의 Y축 스케일과 값으로부터 본 발명의 복합체의 발열 특성이 훨씬 우수함을 알 수 있다.

Claims (10)

  1. 스티렌과 증류수의 혼합 용액을 만드는 단계;
    상기 혼합 용액에 포타슘퍼설페이트를 추가하여 폴리스티렌 용액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폴리스티렌 용액을 건조하여 콜로이드 결정 형태로 만드는 단계;
    금속촉매/지지체 복합체를 위한 전구체를 합성하는 단계;
    상기 콜로이드 결정을 상기 금속촉매/지지체 복합체 전구체 용액에 침지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촉매/지지체 복합체 전구체에 침지한 콜로이드 결정을 건조 및 하소하여 폴리스티렌 콜로이드 결정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크로-메조 기공을 갖는 금속촉매/지지체 복합체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촉매가 백금 또는 팔라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크로-메조 기공을 갖는 금속촉매/지지체 복합체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가 알루미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크로-메조 기공을 갖는 금속촉매/지지체 복합체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촉매/지지체 복합체를 위한 전구체가 알루미늄이소프로폭사이드(C9H21O3Al) 및 염화백금산(H2PtCl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크로-메조 기공을 갖는 금속촉매/지지체 복합체 제조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마크로-메조 기공을 갖는 금속촉매/지지체 복합체.
  6. 열전소자, 전극, 촉매를 포함하는 수소센서 제조방법에 있어서,
    스티렌과 증류수의 혼합 용액을 만드는 단계;
    상기 혼합 용액에 포타슘퍼설페이트를 추가하여 폴리스티렌 용액을 합성하는 단계;
    전술한 폴리스티렌 용액을 기판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폴리스티렌이 도포된 기판을 건조한 후, 금속촉매/지지체 복합체의 전구체를 같은 위치에 도포하는 단계;
    기판을 건조시키는 단계; 및
    건조된 기판을 하소하여 폴리스티렌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크로-메조 기공을 갖는 금속촉매/지지체를 포함하는 수소센서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도포가 잉크젯 프린팅, 스크린 프린팅 또는 스핀 코팅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크로-메조 기공을 갖는 금속촉매/지지체가 형성된 수소센서 제조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금속촉매가 백금 또는 팔라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크로-메조 기공을 갖는 금속촉매/지지체가 형성된 수소센서 제조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가 알루미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크로-메조 기공을 갖는 금속촉매/지지체가 형성된 수소센서 제조방법.
  10.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금속촉매/지지체를 포함하는 수소센서.

KR1020110038056A 2011-04-22 2011-04-22 마크로-메조 기공을 갖는 금속촉매/지지체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수소가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1218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056A KR101218286B1 (ko) 2011-04-22 2011-04-22 마크로-메조 기공을 갖는 금속촉매/지지체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수소가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056A KR101218286B1 (ko) 2011-04-22 2011-04-22 마크로-메조 기공을 갖는 금속촉매/지지체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수소가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839A KR20120119839A (ko) 2012-10-31
KR101218286B1 true KR101218286B1 (ko) 2013-01-03

Family

ID=47287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8056A KR101218286B1 (ko) 2011-04-22 2011-04-22 마크로-메조 기공을 갖는 금속촉매/지지체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수소가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2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36736A (zh) * 2017-08-25 2019-12-03 韩国电力公社 酸性气体捕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8646A (ko) * 2004-05-12 2005-11-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고밀도 나노와이어 수소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08815A (ko) * 2006-07-21 2008-01-24 한국화학연구원 백금 전구체를 주형제로 이용한 메조기공을 갖는 백금 담지 티타니아-실리카의 제조방법
JP2009516204A (ja) * 2005-10-28 2009-04-16 アドバンスト ケミカル テクノロジーズ フォー サステイナビリティ 水素センサ
KR20090093098A (ko) * 2008-02-28 2009-09-0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 및 나노와이어 수소센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8646A (ko) * 2004-05-12 2005-11-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고밀도 나노와이어 수소센서 및 그 제조방법
JP2009516204A (ja) * 2005-10-28 2009-04-16 アドバンスト ケミカル テクノロジーズ フォー サステイナビリティ 水素センサ
KR20080008815A (ko) * 2006-07-21 2008-01-24 한국화학연구원 백금 전구체를 주형제로 이용한 메조기공을 갖는 백금 담지 티타니아-실리카의 제조방법
KR20090093098A (ko) * 2008-02-28 2009-09-0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 및 나노와이어 수소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839A (ko) 201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54861B (zh) 用于制备高度氮掺杂中孔碳复合材料的方法
JP6483161B2 (ja) 担持触媒並びに金属ナノ粒子で覆われた多孔質の黒鉛化された炭素材料の製造方法
Pandarus et al. A new class of heterogeneous platinum catalysts for the chemoselective hydrogenation of nitroarenes
JP5986187B2 (ja) マクロ多孔性チタン化合物モノリスとその製造方法
JP3932478B2 (ja) 貴金属細孔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543556A (ja) 水素製造用炭酸コバルト触媒及びその製造方法
JP6007342B2 (ja) カルコゲナイド系ナノ線を利用した熱化学ガスセンサー及びその製造方法
US9795954B2 (en) Preparation method of catalyst comprising a ruthenium-containing catalyst layer formed on the body surface
JP2013518710A5 (ko)
CN105771972A (zh) 一种原子层沉积修饰的限域催化剂的制备方法及其应用
Violi et al. Gold nanoparticles supported in zirconia–ceria mesoporous thin films: a highly active reusable heterogeneous nanocatalyst
JP4692921B2 (ja) 単分散球状カーボン多孔体
KR20130014364A (ko) 금속 구조체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Odrozek et al. Amine-stabilized small gold nanoparticles supported on AlSBA-15 as effective catalysts for aerobic glucose oxidation
CN114653370B (zh) 金属氧化物基金属单原子催化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80051263A (ko) 무기 입자의 제조방법
KR101218286B1 (ko) 마크로-메조 기공을 갖는 금속촉매/지지체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수소가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JP4900794B2 (ja) メソポーラス無機材料及びそのメソポーラス無機材料を担持した吸着フィルタの製造方法
JP2009233575A (ja) 酸化タングステン管状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光触媒
CN104437474A (zh) 有序介孔碳材料负载铂催化剂及其在芳香硝基化合物催化氢化中的应用
Wichner et al. Preventing sintering of Au and Ag nanoparticles in silica-based hybrid gels using phenyl spacer groups
Costa Bassetto et al. Print-Light-Synthesis of Ni and NiFe-nanoscale catalysts for oxygen evolution
KR101675457B1 (ko) 다공성 탄소물질을 이용한 금속 함유 입자 형성방법
WO2013065898A1 (ko) 나노와이어 제조방법, 나노와이어 패턴 형성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나노와이어
RU2619945C1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икелевого катализатор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