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1266B1 -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1266B1
KR101211266B1 KR1020107009999A KR20107009999A KR101211266B1 KR 101211266 B1 KR101211266 B1 KR 101211266B1 KR 1020107009999 A KR1020107009999 A KR 1020107009999A KR 20107009999 A KR20107009999 A KR 20107009999A KR 101211266 B1 KR101211266 B1 KR 101211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er
filter
air
dust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9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7703A (ko
Inventor
아끼히꼬 사까시따
쯔요시 요꼬미조
모리미찌 오까다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57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7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실내팬의 흡입측에 공기필터가 배치된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에 있어서, 이 공기필터에 포착된 먼지를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하게 또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실내유닛(13)에, 실내팬(39)의 흡입측에 위치하는 공기필터(40)에 포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제거수단(50)과, 상기 공기필터(40)를 상기 먼지제거수단(50)에 밀어붙이도록 이 공기필터(40)의 프레임(42)을 누르는 필터누름수단(70)을 구성시킨다. 상기 공기필터(40)와 상기 먼지제거수단(50) 및 필터누름수단(70)을 상대이동 가능하게 구성시킨다.

Description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필터에 포착된 먼지를 제거하도록 구성된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기 흡입구에 공기필터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에 있어서, 이 공기필터에 포착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먼지제거수단을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실내유닛에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1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공기필터에 대해, 먼지제거수단으로서의 청소브러시가 확실하게 접촉되면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공기필터의 필터부에 청소브러시가 확실하게 밀어붙여지도록, 상기 공기필터의 프레임은 그 리브 및 외곽이 청소브러시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어지도록 형성되며, 이 공기필터의 리브와 외곽 사이에 상기 청소브러시가 배치된다.
더 상세하게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필터(140)의 필터부(141)에 포착된 먼지를 청소브러시(151)에 의해 확실하게 또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이 필터부(141)를 청소브러시(151)에 밀어붙이는 필터누름수단(170)이 배치된다. 이 필터누름수단(170)은 공기필터(140)의 폭방향으로 이어지는 지지판(171)과, 이 지지판(171) 하면에 배치된 누름부(172)를 구비한다. 상기 공기필터(140)에는, 상기 필터누름수단(170)의 누름부(172)와 필터부(141)의 접촉을 저해하지 않도록, 이 필터누름수단(170)의 이동방향으로 이어지는 종형 리브(142)만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청소브러시 등 먼지제거수단에 의해 상기 공기필터에서 제거된 먼지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2에 개시된 바와 같이 먼지포집부 내에 저류된다.
또 특허문헌3에는,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원형 공기필터를 회전브러시에 밀어붙이는 기구(機構)로서, 이 공기필터를 사이에 두고 회전브러시와 대향하는 위치에 망(net) 누름체를 배치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 망 누름체는 공기필터의 방사상 리브에 접촉되면 선회되어 들어올려지는 한편, 이 방사상 리브가 통과하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제자리로 돌아와 공기필터를 회전브러시에 밀어붙이도록 구성된다.
특허문헌1:일본 특허공개 2007-107762호 공보 특허문헌2:일본 특허공개 2005-83721호 공보 특허문헌3:(일본 특허공개 2007-130628호 공보)
그런데 전술한 특허문헌1에 개시된 공기조화장치에서는, 공기필터의 필터부가 청소브러시에 대해 확실하게 밀어붙여지도록, 이 공기필터의 프레임 일부를 구성하는 리브가 청소브러시의 이동방향으로 이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이 공기필터 청소브러시의 이동방향 강성은 상기 리브에 의해 높일 수 있으나, 이 리브만으로는 공기필터의 청소브러시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강성을 높일 수 없다. 그러면 공기필터 전체로서 강성이 그다지 높지 않는 구성이 되어, 상기 청소브러시를 필터부에 밀어붙이면 이 필터부가 휘어지거나 주름지거나 하며, 이 청소브러시에 의해 필터부에 포착된 먼지를 확실하게 또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가 생긴다.
이에 반해, 상기 특허문헌3과 같이 리브를 2방향으로 형성하여 강성을 확보함과 더불어, 공기필터를 브러시 쪽으로 밀어붙이기 위한 필터누름수단이 리브와 간섭되지 않도록 이 필터누름수단이 들어올려지는 기구를 구성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구는 복잡하며, 장치 전체의 원가상승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여러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실내팬의 흡입측에 공기필터가 배치된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에 있어서, 이 공기필터에 포착된 먼지를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하게 또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공기조화장치(10)의 실내유닛(13)에서는, 먼지제거수단(50)에 대해 공기필터(40)를 밀어붙이도록, 이 공기필터(40)의 프레임(42)을 누르는 필터누름수단(70)을 구성시킴으로써, 이 프레임(42)을 구성하는 리브(44, 45)의 형상을 공기필터(40) 전체의 강성을 향상할 수 있는 형상으로 할 수 있음과 더불어, 이 리브(44, 45)와 필터누름수단(70)과의 간섭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발명에서는, 케이싱(34) 내에, 실내열교환기(37)와, 실내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이 실내측으로 토출하는 실내팬(39)과, 이 실내팬(39)의 흡입측에 배치된 공기필터(40)을 구비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을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필터(40)에 포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제거수단(50)과, 상기 공기필터(40)를 상기 먼지제거수단(50)에 밀어붙이도록, 이 공기필터(40)의 프레임(42)을 누르는 필터누름수단(70)을 구비하며, 상기 공기필터(40)와 상기 먼지제거수단(50) 및 필터누름수단(70)이 상대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공기필터(40)는 필터누름수단(70)에 의해 프레임(42)이 눌려 필터부(41)가 먼지제거수단(50) 쪽에 밀어붙여지므로, 이 필터부(41)에 포착된 먼지를 이 먼지제거수단(50)에 의해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필터부(41)를 직접 먼지제거수단(50) 쪽에 밀어붙이는 종래 구성과 같이 프레임(42) 형상의 제약을 받는 일이 없으므로, 공기필터(40) 전체로서 강성을 높일 수 있는 프레임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프레임(42)의 일부를 구성하는 리브(44, 45)를, 예를 들어 상기 공기필터(40) 및 먼지제거수단(50)의 이동방향으로 이어지는 제 1 리브(44)만이 아닌, 이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어지는 제 2 리브(45)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누름수단(70)으로 프레임(42)을 누름으로써, 이 필터누름수단(70)이 필터부(41)를 직접 먼지제거수단(50) 쪽으로 밀어붙이는 종래 구성과 같이 이 필터누름수단(70)과 프레임(42)이 간섭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공기필터(40)의 프레임(42)은, 외곽(43)과, 그 안쪽에 상기 공기필터(40) 및 먼지제거수단(50)의 이동방향으로 이어지도록 배치된 제 1 리브(44)를 구비하며, 상기 필터누름수단(70)은 상기 제 1 리브(44)에 접촉되어 상기 공기필터(40)를 먼지제거수단(50)에 밀어붙이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2 발명).
이와 같이 공기필터(40) 프레임(42)의 제 1 리브(44)에 필터누름수단(70)을 접촉시킴으로써, 외곽(43)에만 접촉시키는 경우에 비해 이 공기필터(40) 필터부(41)를 먼지제거수단(50)에 대해 보다 확실하게 밀어붙일 수 있으며, 이 필터부(41)에 포착된 먼지를 먼지제거수단(50)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또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 상기 공기필터(40)의 프레임(42)은 상기 제 1 리브(44)와 교차하는 제 2 리브(45)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3 발명). 이와 같이 제 1 리브(44)와 교차하는 제 2 리브(45)를 배치함으로써 공기필터(40) 전체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이로써, 이 공기필터(40)의 필터부(41)를 직접 먼지제거수단(50)에 밀어붙이지 않아도, 리브(44) 등을 누름으로써 이 필터부(41)를 먼지제거수단(50)에 대해 보다 확실하게 밀어붙일 수 있다. 따라서 이 공기필터(40)에 포착된 먼지를 상기 먼지제거수단(40)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또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리브(45)는 상기 필터누름수단(70) 쪽으로의 돌출 높이가 상기 제 1 리브(44)의 돌출 높이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제 4 발명). 이로써 필터누름수단(70)이 제 1 리브(44)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대이동 해도, 이 필터누름수단(70)이 제 2 리브(45)와 간섭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필터누름수단(70)은 상기 공기필터(40) 쪽으로 절곡된 일단측에서 이 공기필터(40) 프레임(42)에 접촉되는 판상의 누름부(72)를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제 5 발명). 이로써 판상 누름부(72)의 일단측을 공기필터(40) 프레임(42)에 대해 항상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이 공기필터(40)를 먼지제거수단(50)에 대해 항상 밀어붙인 상태로 할 수 있으며, 이 공기필터(40)에 포착된 먼지를 먼지제거수단(50)에 의해 보다 활실하게 또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부(72) 상방에는, 이 누름부(72)를 피복하도록 보호부재(11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6 발명).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보수점검작업 시 등에 작업자가 누름부(122)에 잘못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 누름부(122)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누름부(122)가 판상 부재인 경우, 누름부(122)에 접촉하면 이 누름부(122)가 변형되어 공기필터(40) 누름부로서의 기능이 손상되나, 전술한 바와 같이 상방에 보호부재(110)를 배치함으로써, 상방으로부터의 접촉으로 인한 누름부(122) 변형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누름수단(75)은 상기 공기필터(40)를 폭방향으로 횡단하도록 배치된 판상부재(76)로 구성되며, 상기 판상부재(76)는 그 긴 변측의 한쪽이 상기 공기필터(40) 프레임(42) 쪽에 밀어붙여지도록 힘이 가해져도 된다(제 7 발명).
이로써, 공기필터(40) 프레임(42)을 누르기 위한 필터누름수단(75)을 판상부재(76)로 구성할 수 있으며, 프레임(42)의 각 리브(44)에 대해 누름부(72)를 배치하는 경우에 비해 부품점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작업 경감을 도모할 수 있어, 원가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공기필터(80)는 평면에서 보아 거의 원 형상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이 공기필터(80) 프레임(82)을 구성하는 외곽(83) 및 리브(84)도 평면에서 보아 거의 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공기필터(80)와 상기 먼지제거수단(95) 및 필터누름수단(100)이 상대적으로 회전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8 발명).
이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원 형상인 외곽(83) 및 리브(84)를 갖는 원 형상의 공기필터(80)를 구비하며, 이 공기필터(80)와 먼지제거수단(95) 및 필터누름수단(100)이 상대적으로 회전이동 가능한 구성에서도, 상기 제 1에서 제 7 발명의 구성을 적용함으로써, 이들 발명과 마찬가지의 작용이 얻어진다. 따라서 필터누름수단(100)에 의해 공기필터(80)를 먼지제거수단(95)에 밀어붙여, 이 공기필터(80)에 포착된 먼지를 먼지제거수단(95)에 의해 확실하게 또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조화장치(10)의 실내유닛(13) 내 공기필터(40)에 포착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먼지제거수단(50)에 대해 이 공기필터(40)를 밀어붙이도록 이 공기필터(40) 프레임(42)을 누르는 필터누름수단(70)을 배치하며, 상기 공기필터(40)와 먼지제거수단(50) 및 필터누름수단(70)을 상대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이 공기필터(40)를 먼지제거수단(50)에 밀어붙이면서 이 공기필터(40)에 포착된 먼지를 먼지제거수단(50)에 의해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누름수단(70)에 의해 공기필터(40) 프레임(42)을 누르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이 프레임(42)을 공기필터(40) 전체의 강성을 높일 수 있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더불어, 종래 구성과 같이 필터누름수단(70)을 프레임(42)과의 간섭을 피하는 구성으로 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이 공기필터(40)에 포착된 먼지를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하게 또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 2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필터누름수단(70)은 상기 공기필터(40) 프레임(42)의 제 1 리브(44)에 접촉하여 이 공기필터(40)를 먼지제거수단(50)에 밀어붙이도록 구성되므로, 외곽만을 누르는 경우에 비해 이 공기필터(40)를 보다 확실하게 먼지제거수단(50)에 밀어붙일 수 있어, 이 공기필터(40)에 포착된 먼지를 보다 확실하게 또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 3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공기필터(40) 프레임(42)은 상기 제 1 리브(44)와 교차하는 제 2 리브(45)를 구비하므로, 이 공기필터(40) 전체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필터(40) 프레임(42)의 제 1 리브(44)를 필터누름수단(70)으로 누름으로써, 이 공기필터(40) 전체를 먼지제거수단(50) 쪽으로 보다 확실하게 밀어붙일 수 있어, 이 공기필터(40)에 포착된 먼지를 이 먼지제거수단(50)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또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 제 4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2 리브(45)는 필터누름수단(70) 쪽으로의 돌출 높이가 제 1 리브(44)의 돌출 높이 이하이므로, 이 제 1 리브(44)에 접촉한 상태에서 필터누름수단(70)이 상대이동 한 경우에, 이 필터누름수단(70)이 제 2 리브(45)와 간섭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누름수단(70)과 공기필터(40)를 원활하게 상대이동 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5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필터누름수단(70)은, 절곡된 일단측이 공기필터(40) 프레임(42)에 접하는 판상 누름부(72)를 구비하므로, 이 일단측에 의해 공기필터(40) 프레임(42)을 항상 먼지제거수단(50)에 밀어붙일 수 있다. 따라서 공기필터(40)에 포착된 먼지를 상기 먼지제거수단(50)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또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 제 6 발명에 따르면, 상기 누름부(122) 상방에는 보호부재(110)가 배치되므로, 이 누름부(122)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공기필터(40)를 먼지제거수단(50) 쪽으로 확실하게 밀어붙일 수 있다.
또한 제 7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필터누름수단(75)은 공기필터(40)를 폭방향으로 횡단하도록 배치된 판상 부재(76)로 구성되므로, 부품점수 삭감을 도모할 수 있어, 원가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 8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공기필터(80), 그 외곽(83) 및 리브(84)가 평면에서 보아 거의 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 공기필터(80)와 먼지제거수단(95) 및 필터누름수단(100)이 상대적으로 회전운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구성에, 상기 제 1에서 제 7 발명의 구성을 적용함으로써, 이들 발명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도, 공기필터(80)를 먼지제거수단(95)에 밀어붙여, 이 공기필터(80)에 포착된 먼지를 상기 먼지제거수단(95)에 의해 확실하게 또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실내유닛을 구비한 공기조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배관계통도이다.
도 2는 케이싱 내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실내에서 본 실내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공기필터 주변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변형예에 관한 공기필터 주변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공기필터 주변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선 단면도이다.
도 9는 그 밖의 실시형태에 관한 실내유닛의 누름부 주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공기필터 주변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XI-XI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 그 적용물 또는 그 용도의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제 1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에 관한 실내유닛(13)을 구비한 공기조화장치(10)에 관한 것이다. 이 공기조화장치(10)에서는 실내유닛(13)이 실내공간의 천장에 설치된다. 여기서, 이하에서는 먼저 본 실시형태에 관한 공기조화장치(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다음에 실내유닛(13)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체구성>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공기조화장치(10)는 실외유닛(11)과 실내유닛(13)을 구비한다. 실외유닛(11)에는 압축기(30), 실외열교환기(35), 팽창밸브(36), 사방밸브(33) 및 실외팬(12)이 배치된다. 실내유닛(13)에는 실내열교환기(37) 및 실내팬(39)이 배치된다.
상기 실외유닛(11)에서 압축기(30) 토출측은 사방밸브(33)의 제 1 포트(P1)에 접속된다. 압축기(30) 흡입측은 사방밸브(33)의 제 3 포트(P3)에 접속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35)는 크로스핀식의 핀튜브형 열교환기로 구성된다. 실외열교환기(35) 일단은 사방밸브(33)의 제 4 포트(P4)에 접속된다. 실외열교환기(35) 타단은 액측 폐쇄밸브(15)에 접속된다.
상기 실외팬(12)은 실외열교환기(35) 근방에 배치된다. 이 실외열교환기(35)에서는 실외팬(12)에 의해 공급되는 실외공기와 이 열교환기(35) 내를 유통하는 냉매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실외열교환기(35)와 액측 폐쇄밸브(15) 사이에는 개방도 가변의 팽창밸브(36)가 배치된다. 또 사방밸브(33)의 제 2 포트(P2)는 가스측 폐쇄밸브(16)에 접속된다.
상기 사방밸브(33)는, 제 1 포트(P1)와 제 2 포트(P2)가 서로 연통하며 제 3 포트(P3)와 제 4 포트(P4)가 서로 연통하는 제 1 상태(도 1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와, 제 1 포트(P1)와 제 4 포트(P4)가 서로 연통하며 제 2 포트(P2)와 제 3 포트(P3)가 서로 연통하는 제 2 상태(도 1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상태)가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 공기조화장치(10)에서는 사방밸브(33)가 제 1 상태인 경우에 난방운전이 실행되며, 사방밸브(33)가 제 2 상태인 경우에 냉방운전이 실행된다. 난방운전에서는, 냉매회로(18)에서 실외열교환기(35)가 증발기로서 기능하며 실내열교환기(37)가 응축기로서 기능하는 증기압축식 냉동사이클이 실행된다. 한편, 냉방운전에서는, 냉매회로(18)에서 실외열교환기(35)가 응축기로서 기능하며 실내열교환기(37)가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증기압축식 냉동사이클이 실행된다.
<실내유닛의 구성>
이하, 상기 실내유닛(13)의 구성을 도 2에서 도 5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실내유닛(13)은 케이싱 본체(26)와 화장패널(27)을 갖는 실내 케이싱(34)을 구비한다. 이 실내 케이싱(34) 내에는 실내열교환기(37), 드레인팬(38), 실내팬(39), 공기필터(40), 먼지제거수단(50), 먼지저류용기(60) 및 필터누름수단(70)이 배치된다.
상기 케이싱 본체(26)는 하측이 개방된 거의 직방체의 상자형으로 형성된다. 케이싱 본체(26) 내면에는 단열재(17)가 적층된다. 또 케이싱 본체(26)는 하부가 천장판(1)의 개구로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도록, 천장 위의 천장면으로부터 매달려 지지된다.
상기 화장패널(27)은 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된다(도 3 참조). 화장패널(27)을 평면에서 본 형상은, 케이싱 본체(26)를 평면에서 본 형상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상기 화장패널(27)은 밀봉부재(19)를 끼운 상태에서 케이싱 본체(26) 하측을 피복하도록 장착된다. 이로써 상기화장패널(27)은 케이싱 본체(26)에 장착된 상태에서 실내 쪽으로 노출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화장패널(27)에는 1개의 흡입구(22)와 4개의 토출구(23)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22)는 화장패널(27) 중앙부에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슬릿상의 흡입그릴(29)(그릴부)이 끼워진다. 상기 각 토출구(23)는 가늘고 긴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화장패널(27)의 각 변을 따르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각 토출구(23)에는 풍향조정판(23a)이 설치된다(도 2 등 참조). 이 풍향조정판(23a)은, 선회함으로써 풍향(토출방향)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내팬(39)은, 이른바 터보팬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내팬(39)은 케이싱 본체(26) 중앙부근에 배치되며, 흡입구(22) 상측에 위치한다. 실내팬(39)은 팬모터(39a)와 임펠러(39b)를 구비한다. 팬모터(39a)는 케이싱 본체(26)의 천장판에 고정된다. 임펠러(39b)는 팬모터(39a)의 회전축에 연결된다. 실내팬(39) 하측에는 흡입구(22)로 연통하도록 벨마우스(25)가 배치된다. 이 벨마우스(25)는, 케이싱(34) 내에서 실내열교환기(37)의 상류측 공간을 실내팬(39)측과 흡입그릴(29)측으로 구획한다. 상기 실내팬(39)은 벨마우스(25)를 통해 하측으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둘레방향으로 토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37)는 크로스핀식의 핀튜브형 열교환기로 구성된다. 실내열교환기(37)는 평면에서 보아 "ㅁ"자형으로 형성되며, 실내팬(39)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실내열교환기(37)에서는 실내팬(39)에 의해 공급되는 실내공기(토출공기)와 이 열교환기(37) 내를 유통하는 냉매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상기 드레인팬(38)은 실내열교환기(37) 하측에 배치된다. 드레인팬(38)은 실내열교환기(37)에서 공기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생기는 드레인수를 받기 위한 것이다. 드레인팬(38)에는 드레인수를 배수시키기 위한 드레인 펌프가 설치된다(도시 생략). 드레인팬(38)은 드레인 펌프를 설치한 곳으로 드레인수가 모아지도록 기울기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필터(40)는, 상세함은 후술하나, 평면에서 보아 거의 장방형의 시트상으로 형성되며, 벨마우스(25) 하측(입구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필터(40)는 케이싱(34) 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먼지제거수단(50)은 상기 공기필터(40)에 포착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먼지제거수단(50)은 도 2,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러시부재인 회전브러시(51)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브러시(51)는 막대형의 샤프트부와, 샤프트부 주위의 복수의 털로 구성된 브러시부를 구비한다. 회전브러시(51)는, 공기필터(40) 하측에 위치하도록, 후술하는 먼지저류용기(60)의 브러시용 개구(61) 내에 배치된다. 상기 회전브러시(51)는, 상기 먼지저류용기(60)와 함께 공기필터(40)에 대응해 이동하며, 브러시부가 이 공기필터(40)에 접촉됨으로써 먼지를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세함은 후술하나, 상기 공기필터(40)는 이 공기필터(40) 상방에 배치된 필터누름수단(70)에 의해, 하면(실내측 면)이 상기 회전브러시(51)에 밀어붙여지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이 공기필터(40)에 포착된 먼지를 회전브러시(51)의 브러시부에 의해 확실하게 또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먼지저류용기(60)는 회전브러시(51)에 의해 제거된 공기필터(40)의 먼지를 일단 저류하기 위한 것이다. 먼지저류용기(60)는 약간 가늘고 긴 직방체형 용기이며, 상기 공기필터(40) 하방에 이 공기필터(40)를 횡단하도록 배치된다(도 2 등 참조). 또 상기 필터용 먼지저류용기(60)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이어지는 브러시용 개구(61)가 형성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이 브러시용 개구(61) 내에 상기 회전브러시(51)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도 2,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회전브러시(51)는, 그 브러시부의 일부가 용기 밖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브러시용 개구(61) 내에 배치된다.
또 상기 실내유닛(13)은 상기 먼지저류용기(60) 및 필터누름수단(70)을 수평방향(도 2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이동기구를 갖는다. 이 이동기구는, 예를 들어 모터에 구동 연결된 2개의 풀리에 벨트가 매달려 이루어지며, 이 벨트 외주면에 일체형성된 돌기부에 의해 상기 먼지저류용기(60) 및 필터누름수단(70)을 걸어 맞추고 반송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먼지저류용기(60) 및 필터누름수단(70)을 공기필터(49)에 대해 이동시키도록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 공기필터(40)를 먼지저류용기(60) 및 필터누름수단(70)에 대해 이동시키도록 해도 된다.
-공기필터의 구성 및 필터누름부의 구성-
상기 공기필터(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거의 장방형 시트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먼지를 포착하기 위한 필터부(41)와, 이 필터부(41)를 유지하기 위한 프레임(42)을 구비한다. 이 프레임(42)은, 상기 필터부(41) 외주에 위치하며 공기필터(40) 외주부를 구성하는 외곽(43)과, 이 외곽(42) 내에 상기 먼지저류용기(60) 및 필터누름수단(70)의 이동방향으로 이어지도록 배치된 종형 리브(44)(제 1 리브)와, 이 종형 리브(44)에 직교되도록 배치된 횡형 리브(45)(제 2 리브)를 구비한다. 여기서, 이 실시형태에서 상기 외곽(43)의 길이부분은 상기 종형 리브(44)와 거의 같은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이 공기필터(40)에, 프레임(42)의 일부로서 종형 리브(44) 및 횡형 리브(45)를 형성함으로써, 종형 리브만이 형성된 구성(도 10 참조) 에 비해, 이 공기필터(40) 전체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즉, 공기필터 프레임으로서 종형 리브밖에 형성하지 않을 경우, 이 종형 리브가 이어지는 방향의 강성을 높일 수 있기는 하되, 이 종형 리브가 이어지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강성은 높일 수 없어, 공기필터 전체로서 강성을 그다지 높일 수 없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횡형 리브(45)도 형성함으로써, 종형 리브(44)가 이어지는 방향만이 아닌, 그 직교방향의 강성도 높일 수 있어, 공기필터(40) 전체로서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이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종형 리브(44)를 필터누름수단(70)에 의해 누른 경우라도, 공기필터(40) 전체의 강성에 의해 필터부(41)를 회전브러시(51)에 확실하게 밀어붙일 수 있으며, 이 필터부(41)에 포착된 먼지를 이 회전브러시(51)에 의해 확실하게 또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공기필터(40)의 종형 리브(44)는, 후술하는 필터누름수단(70)의 누름부(72)가 접촉 가능한 폭을 갖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이 필터누름수단(70) 쪽으로의 돌출 높이가 상기 횡형 리브(45)와 동일하거나 또는 보다 높게 되도록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필터누름수단(70)이 상기 종형 리브(44)에 접촉되면서 이동하는 경우, 이 필터누름수단(70) 누름부(72)가 횡형 리브(45)와 간섭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필터누름수단(70)은, 공기필터(40) 폭방향으로 이어지며 이 공기필터(40)의 폭 치수보다 긴 지지판(71)과, 이 지지판(71)에 지지된 복수의 누름부(72, 72, …)를 구비한다. 이 누름부(72)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판형 부재의 일단측이 단면에서 보아 거의 반원형상이 되도록 하방으로 볼록하게 굴곡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공기필터(40)의 종형 리브(44) 및 외곽(43)의 길이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굴곡된 일단측이 이 종형 리브(44) 및 외곽(43)의 길이부분 상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지지판(71)에 장착 고정된다. 즉, 상기 누름부(72)는 타단측에서 상기 지지판(71)에 고정되는 한편, 단면에서 보아 거의 반원형상으로 굴곡된 일단측 굴곡부(72a)에서 상기 공기필터(40)의 종형 리브(44) 및 외곽(43)의 길이부분에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누름부(72)를 타단측에서 지지판(71)에 고정하고, 자유단인 일단측을 하방으로 볼록해지도록 굴곡시킴으로써, 이 일단측을 상기 종형 리브(44) 및 외곽(43)의 길이부분에 대해 확실하게 접촉시켜 이 종형 리브(44) 및 외곽(43)의 길이부분을 확실하게 하방으로 누를 수 있다.
또 상기 필터누름수단(70)은, 도시하지 않은 연결부에 의해, 상기 먼지저류용기(60)와 접속되며, 이 먼지저류용기(60)와의 사이에 상기 공기필터(40)를 개재한 상태에서 이 먼지저류용기(60)와 함께 공기필터(4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상기 공기필터(40)를 상기 먼지저류용기(60)의 브러시용 개구(61)에 배치된 회전브러시(51)에 대해 밀어붙이면서 상대이동 시킬 수 있으며, 이 공기필터(40)에 포착된 먼지를 이 회전브러시(51)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또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필터청소동작>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10)는, 냉난방을 하는 통상운전과, 공기필터(40)를 청소하는 필터청소운전이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먼저 통상운전에서는 압축기(30), 실외팬(12) 및 실내팬(39)이 구동된다. 실내유닛(13)에서는 실내공기가 흡입구(22)로부터 흡입되고 벨마우스(25)를 통과한 후 실내팬(39)으로부터 토출된다. 이 토출공기는 실내열교환기(37)의 냉매와 열교환하여 냉각 또는 가열된 후, 각 토출구(23)로부터 실내로 공급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필터(40)는 벨마우스(25)의 유입구를 피복하는 위치에 배치되므로, 흡입구(22)로부터 흡입된 실내공기는 벨마우스(25)로 유입되기 전에 공기필터(40)를 통과하며, 그때 이 공기필터(40)에 먼지가 포착된다.
다음은, 필터청소운전(필터청소동작)에 대하여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필터청소운전에서는, 공기필터(40)에 포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필터먼지 제거동작이 수행된다.
먼저, 필터청소운전에서는 실내팬(39)이 정지된다. 그리고 필터먼지 제거동작으로서, 먼지저류용기(60) 및 필터누름수단(70)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기구(도시 생략)기 구동되며, 이 먼지저류용기(60) 및 필터누름수단(70)이 공기필터(40)를 사이에 둔 상태에서, 이 공기필터(4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도 2의 예에서는 오른쪽 방향).
이때, 상기 필터누름수단(70)은 각 누름부(72)가 공기필터(40)의 각 종형 리브(44) 및 외곽(43)의 길이부분 상면에 접촉되면서 이동하므로, 이 각 누름부(72)에 의해 공기필터(40)를 이 공기필터(40) 하방에 위치하는 회전브러시(51)에 밀어붙이면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이 회전브러시(51)는 상기 공기필터(40)의 실내측 면에 대해 보다 확실하게 접촉할 수 있으므로, 이 공기필터(40)에 포착된 먼지는 회전브러시(51)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또 효율적으로 제거된다. 이 회전브러시(51)에 의해 제거된 먼지는 먼지저류용기(60) 내에 저류된다.
여기서 상기 먼지저류용기(60) 내에 저류된 먼지는, 흡입그릴(29)을 열어 이 먼지저류용기(60)를 케이싱(34) 내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쉽게 회수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효과-
이상과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는 실내유닛(13)에 실내팬(39) 흡입측에 위치하는 공기필터(40)에 포착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먼지제거수단(50)을 구성함과 더불어, 이 공기필터(40) 프레임(42)의 종형 리브(44) 및 외곽(43)의 길이부분을 하방으로 눌러, 필터부(41)를 먼지제거수단(50)의 회전브러시(51)에 밀어붙이는 필터누름수단(70)을 구성하므로, 공기필터(40)에 포착된 먼지를 회전브러시(51)에 의해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필터누름수단(70)에 의해, 상기 공기필터(40)의 종형 리브(44) 및 외곽(43)의 길이부분을 하방으로 눌러 필터부(41)를 회전브러시(51) 쪽으로 밀어붙이도록 하므로, 필터부(41)를 회전브러시(51)에 직접 밀어붙이는 종래의 구성과 같이 리브 구조의 제약을 받거나 필터누름수단(70)을 복잡한 구성으로 하는 일없이, 횡형 리브(45)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상기 공기필터(40) 전체의 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이 공기필터(40)를 필터누름수단(70)에 의해 회전브러시(51)에 더욱 확실하게 밀어붙일 수 있게 된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누름수단(70)은 그 누름부(73)에 의해 상기 공기필터(40)의 종형 리브(44)를 하방으로 누르도록 구성되므로, 이 공기필터(40)의 필터부(41) 전체를 회전브러시(51)에 대해 보다 확실하게 밀어붙일 수 있어, 이 필터부(41)에 포착된 먼지를 회전브러시(51)에 의해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필터(40)의 횡형 리브(45)는, 상기 필터누름수단(70) 쪽으로의 돌출 높이가 종형 리브(44)의 돌출 높이 이하이므로, 이 종형 리브(44)에 필터누름수단(70)의 누름부(72)가 접촉된 상태에서 이 필터누름수단(70)이 상대이동 해도, 이 누름부(72)가 상기 횡형 리브(45)와 간섭되는 것을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누름부(72)는, 일단측이 단면 거의 반원형이 되도록 하방으로 볼록하게 굴곡되며, 그 굴곡부(72a)에서 상기 공기필터(40)의 종형 리브(44) 및 외곽(43)의 길이부분에 접촉되도록 지지판(71)에 장착되므로, 이 누름부(72)에 의해 종형 리브(44) 및 외곽(43)의 길이부분을 보다 확실하게 하방으로 누를 수 있고, 이로써 회전브러시(51)에 대해 공기필터(40) 필터부(41)를 보다 확실하게 밀어붙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부(41)에 포착된 먼지를 상기 회전브러시(51)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또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
도 6에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변형예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는 필터누름수단의 구성이 다르다.
구체적으로 이 변형예에서는, 공기필터(40)의 폭방향 길이보다 길게 또 이 공기필터(40)를 폭방향으로 횡단하도록 형성된 거의 장방형의 판상부재(76)에 의해 필터누름수단(75)이 구성된다. 즉, 상기 판상부재(76)는 긴 변측의 한쪽이 상기 공기필터(40) 종형 리브(44)에 접촉하는 한편, 긴 변측의 다른 쪽이 스프링부재(77, 77)를 개재하여 실내유닛(13)에 지지되도록 배치된다. 또 상기 판상부재(76)의 길이방향 양 측면 중, 상기 긴 변측의 다른 쪽에 가까운 부분에는, 이 판상부재(76)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76a, 76a)가 각각 형성되며, 이 돌출부(76a, 76a)가 상기 실내유닛(13)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상기 공기필터(40)의 종형 리브(44)에 접촉하는 상기 판상부재(76)의 긴 변측 한쪽에는, 이 판상부재(76)의 길이방향에 걸쳐 두께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76b)가 형성된다. 이 절곡부(76b)는, 횡단면에서 보아 거의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이 거의 원호형상인 절곡부(76b)의 외주측 부분이 상기 종형 리브(44)에 대해 접촉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상기 판상부재(76)는 상기 스프링부재(77, 7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긴 변측의 다른 한쪽이 상방으로 끌어올려지고, 이로써 이 판상부재(76)의 긴 변측 한쪽이 상기 공기필터(40) 종형 리브(44)에 밀어붙여진다. 따라서 전술한 구성에 의해, 상기 공기필터(40)의 종형 리브(44)를 확실하게 하방으로 눌러 회전브러시(51)에 밀어붙일 수 있으며, 이 공기필터(40) 하면(실내측 면)에 포착된 먼지를 회전브러시(51)에 의해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판상부재(76)를 상기 공기필터(40)의 복수의 종형 리브(44)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각 종형 리브(44)에 대해 누름부(72)를 구성시킬 필요가 없어지며, 부품점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각 종형 리브(44)의 위치에 맞추어 누름부(72)를 정밀도 좋게 장착할 필요도 없어지므로, 조립작업을 경감할 수 있으며, 원가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도 7 및 도 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필터(80)가 평면에서 보아 거의 원형인 점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다를 뿐이므로,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며, 상이한 부분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공기필터(80)는 평면에서 보아 거의 원형인 필터부(81)와 이 필터부(81)를 유지하기 위한 프레임(82)을 구비한다. 이 프레임(82)은 평면에서 보아 거의 원형인 외곽(83)과, 이 외곽(83) 안쪽에 동심원상으로 복수(도 7의 예에서는 3개) 배치되며 평면에서 보아 거의 원형인 원형 리브(84, 84, …)와, 이 외곽(83) 및 원형 리브(84)를 지름방향으로 연결하듯이, 평면에서 보아 거의 십자형으로 이어지는 지름방향 리브(85)를 구비한다. 이 지름방향 리브(85)는 상방(후술하는 필터누름수단 쪽)으로의 돌출높이가 상기 원형 리브(84) 및 외곽(83)의 돌출 높이와 동등하거나 또는 이들보다 낮게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공기필터(80)가 가운데에 위치하도록, 이 공기필터(80) 하방에는 먼지저류용기(90)가 배치되는 한편, 이 먼지저류용기(90)에 대응하여 이 공기필터(80) 상방에는 필터누름수단(100)이 배치된다. 상기 먼지저류용기(90) 및 필터누름수단(100)은 모두 상기 공기필터(80) 반지름과 거의 마찬가지의 길이를 가지며, 이들의 일단측이 이 공기필터(80) 중심 쪽에 위치하고 타단측이 이 공기필터(80) 바깥둘레 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는 반대로, 상기 먼지저류용기(90) 및 필터누름수단(100)이 케이싱 본체(26)에 고정되며, 상기 공기필터(80)가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공기필터(80)는 그 중심 쪽 혹은 외주 쪽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이로써 이 공기필터(80)에 포착된 먼지가 상기 먼지저류용기(90)의 브러시용 개구(91) 내에 배치된 회전브러시(96)에 의해 제거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도 상기 회전브러시(96)가 공기필터(80)에 포착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먼지제거수단(95)을 구성한다.
여기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먼지저류용기(90) 및 필터누름수단(100)이 케이싱 본체(26)에 고정되며, 상기 공기필터(80)가 회전되도록 구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공기필터(80)가 케이싱 본체(26)에 고정되며 상기 먼지저류용기(90) 및 필터누름수단(100)이 회전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공기필터(80) 상방에 위치하는 필터누름수단(100)의 누름부(102)가 이 공기필터(80)의 각 원형 리브(84) 및 외곽(83)에 접촉되도록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먼지저류용기(90)에 대응하여 상기 공기필터(80) 지름방향으로 이어지는 지지판(101)에, 이 공기필터(80)의 원형 리브(84)에 대응하도록 상기 누름부(102)가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브러시(96) 지지판(101) 및 누름부(102)의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실시형태의 효과-
이상과 같이,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실내팬(39) 흡입측에 위치하는 공기필터(80)를 평면에서 보아 원형으로 한 구성에서, 이 공기필터(80)가 가운데에 위치하도록, 필터누름수단(100) 및 먼지저류용기(90)를 그 상하에 각각 배치하여, 이 필터누름수단(100)의 누름부(102)에 의해, 상기 공기필터(80)의 원형 리브(84) 및 외곽(83)을 하방으로 누르도록 하므로, 이 공기필터(80)의 필터부(81)를 상기 먼지저류용기(90)의 브러시용 개구(91) 내에 배치된 회전브러시(96)에 밀어붙일 수 있으며, 이 회전브러시(96)에 의해 필터부(81)에 포착된 먼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상기 필터누름수단(100) 누름부(102)에 의해 상기 공기필터(80)의 리브(84)를 하방으로 누르도록 하므로, 이 공기필터수단(100)에 리브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기구를 구성하는 일없이, 이 공기필터(80)에 지름방향 리브(85)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져, 이 공기필터(80) 전체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누름수단(100)에 의해 상기 공기필터(80)의 필터부(81)를 회전브러시(96)에 의해 확실하게 밀어붙이는 것이 가능해지며, 이 필터부(81)에 포착된 먼지를 회전브러시(96)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또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 상기 공기필터(80)의 리브(84, 85) 중 지름방향 리브(85)는 그 돌출 높이가, 상기 필터누름수단(100) 누름부(102)가 접촉하는 원형 리브(84)나 외곽(83)의 돌출 높이와 동등 또는 이들보다 낮게 형성되므로, 이 누름부(102)가 원형 리브(84)에 접촉하면서 상기 공기필터(80)가 회전하는 경우, 이 누름부(102)가 지름방향 리브(85)와 간섭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필터누름수단(100)과 공기필터(80)를 원활하게 상대이동 시킬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필터누름수단(70, 100)의 누름부(72, 102)를, 일단측이 단면 거의 반원형이며 하방으로 볼록해지도록 절곡된 판상 부재로 구성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기필터(40, 80)의 리브(44, 84)나 외곽(43, 83)을 누르는 것이 가능한 구성이면, 어떤 구성이라도 된다.
구체적으로 누름부는, 판상 부재를 U자형으로 절곡시키고, 그 절곡부 쪽이 공기필터(40, 80)의 리브(44, 84)나 외곽(43, 83)에 접촉되도록 이 판상 부재의 양 단부를 지지판(71, 101)에 고정시키는 구성이라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판상 부재의 절곡부 쪽에 의해, 공기필터(40, 80)의 리브(44, 84)나 외곽(43, 83)을 회전브러시(51, 96) 쪽으로 밀어붙일 수 있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판상부재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고무 등 탄성부재로 형성해도 된다. 즉, 탄성부재를 단면 거의 "D"자형으로 형성하여, 그 볼록 쪽이 공기필터(40, 80)의 리브(44, 84)나 외곽(43, 83)에 접촉되도록 이 탄성부재를 지지판(71, 101)에 장착해도 된다.
또 누름부는, 지지판(71, 101)에 일단측이 접속된 스프링의 타단측에 누름부재를 배치한 것이라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이 스프링에 의해 누름부재를 공기필터(40, 80)의 리브(44, 84)나 외곽(43, 83)에 보다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으며, 필터부(41, 81)를 보다 확실하게 회전브러시(51, 96) 쪽으로 밀어붙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공기필터(40, 80)로부터 제거한 먼지를 먼지저류용기(60, 90) 내에 저류하도록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 먼지저류용기(60, 90)와는 별도로, 케이싱(34) 외측에, 용량이 더 큰 먼지포집상자를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먼지포집상자를 배치함으로써, 먼지회수 빈도를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또 상기 먼지포집상자 내로 먼지를 반송할 경우에는, 예를 들어 실내팬(39)의 바람 등을 이용하여 케이싱(34) 밖으로 반송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필터누름수단(70, 100)의 누름부(72, 102) 상방에 보호부재로서의 차양부(110)를 배치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터누름수단(120)의 누름부(122) 상방에, 이 누름부(122)를 상방에서 피복하도록 지지부재(121)의 측면에서 측방으로 향해 판상의 차양부(110)를 돌출 형성해도 된다. 이 차양부(110)는 상면에서 보아 상기 누름부(122)와 거의 겹쳐지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누름부(122)에 대해, 작업자가 위쪽에서부터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스프링부재로서의 이 누름부(122)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9의 예에서는, 누름부(122)가 지지부재(121)로의 접속부(122a)와, 이 접속부(122a)로부터 비스듬히 하방으로 이어지는 본체부(122b)와, 이 본체부(122b) 선단에 형성된 공기필터 리브와의 접촉부(122c)로 구성되며, 상기 접속부(122a)가 지지판(121) 상면에 접속되므로, 상기 차양부(110)는 본체부(122b)의 베이스 끝(base end)을 삽입 관통 가능한 삽입구가 지지부재(121)와의 사이에 형성되도록, 상면에서 보아 거의 역 "ㄷ"자형으로 형성되며, 그 상면 및 하면에는 복수의 보강용 리브가 세워 배치된다. 여기서 도 9 중의 부호 122d는 볼트구멍이며, 부호 123은 지지부재(121)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재이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필터누름수단(75)을, 공기필터(40)를 폭방향으로 횡단하는 판상부재(76)로 구성하나,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도 마찬가지로 판상부재로 필터누름수단을 구성해도 된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내팬의 흡입측에 그릴부가 배치된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에 특별히 유용하다.
10 : 공기조화장치 13 : 실내유닛
26 : 케이싱 본체 34 : 케이싱
37 : 실내열교환기 39 : 실내팬
40, 80 : 공기필터 41 : 필터부
42, 82 : 프레임 43, 83 : 외곽
44 : 종형 리브(제 1 리브) 45 : 횡형 리브(제 2 리브)
50, 95 : 먼지제거수단 51, 96 : 회전브러시
60 : 먼지저류용기 70, 75, 100, 120 : 필터누름수단
72, 102, 122 ; 누름부 72a : 굴곡부
76 : 판상부재 76a : 절곡부
84 : 원형 리브(리브) 85 : 지름방향 리브
110 : 차양부(보호부재)

Claims (8)

  1. 케이싱(34) 내에, 실내열교환기(37)와, 실내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이 실내측으로 토출하는 실내팬(39)과, 이 실내팬(39)의 흡입측에 배치된 공기필터를 구비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에 있어서,
    상기 공기필터에 포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제거수단과,
    상기 공기필터를 상기 먼지제거수단에 밀어붙이도록, 이 공기필터의 프레임을 누르는 필터누름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공기필터와 상기 먼지제거수단 및 필터누름수단이 상대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공기필터의 프레임은, 외곽과, 그 안쪽에 상기 공기필터 및 먼지제거수단의 이동방향으로 이어지도록 배치된 제 1 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필터누름수단은, 상기 제 1 리브에 접촉되어 상기 공기필터를 먼지제거수단에 밀어붙이도록 구성되고,
    상기 공기필터의 프레임은, 상기 제 1 리브와 교차하는 제 2 리브(45)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2 리브(45)는, 상기 필터누름수단 쪽으로의 돌출 높이가 상기 제 1 리브의 돌출 높이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누름수단은, 상기 공기필터 쪽으로 절곡된 일단측에서 이 공기필터의 프레임에 접촉하는 판상의 누름부(7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72) 상방에는, 이 누름부(72)를 피복하도록 보호부재(11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누름수단은, 상기 공기필터를 폭방향으로 횡단하도록 배치된 판상부재(76)로 구성되며,
    상기 판상부재(76)는 그 긴 변측의 한쪽이 상기 공기필터의 프레임 쪽에 밀어붙여지도록 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
  8. 청구항 1, 5, 6 및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필터는 평면에서 보아 원 형상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이 공기필터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외곽 및 제 1 리브도 평면에서 보아 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공기필터와 상기 먼지제거수단 및 필터누름수단이 상대적으로 회전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
KR1020107009999A 2007-10-25 2008-09-30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 KR1012112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77854 2007-10-25
JPJP-P-2007-277854 2007-10-25
JP2008015629 2008-01-25
JPJP-P-2008-015629 2008-0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7703A KR20100057703A (ko) 2010-05-31
KR101211266B1 true KR101211266B1 (ko) 2012-12-11

Family

ID=40579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9999A KR101211266B1 (ko) 2007-10-25 2008-09-30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529653B2 (ko)
EP (1) EP2221550A4 (ko)
JP (1) JP4281847B1 (ko)
KR (1) KR101211266B1 (ko)
CN (1) CN101836050B (ko)
AU (1) AU2008315266B2 (ko)
WO (1) WO20090540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00603B2 (ja) * 2012-04-02 2016-09-28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US9427685B2 (en) * 2012-09-20 2016-08-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uction filter media overmolded integrally with tray
KR102034300B1 (ko) * 2013-02-05 2019-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DE102013006961A1 (de) * 2013-04-23 2014-10-23 Kampmann Gmbh Vorrichtung zur Klimatisierung von Räumen
KR101707617B1 (ko) 2015-09-30 2017-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81907B1 (ko) 2015-10-23 2018-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17101853A (ja) * 2015-11-30 2017-06-08 株式会社コーワ フィルター清掃機構及び空気調和機
JP7490330B2 (ja) * 2018-06-27 2024-05-27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フィルタ清掃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機
CN109556218A (zh) * 2018-10-27 2019-04-02 袁彦丰 一种智能净化的新风系统
US11571647B2 (en) * 2020-05-15 2023-02-07 Suzhou Guoli Clean Technology Co., Ltd. Gel-sealed air supply box
CN111905476B (zh) * 2020-07-10 2022-04-12 湖北天基生物能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自洁式化工废气处理用颗粒物净化装置
CN112845481B (zh) * 2021-01-07 2022-03-25 山东风顺制冷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环保设备风向双向调节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7762A (ja) * 2005-10-11 2007-04-26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0375B2 (ja) * 2002-06-27 2008-07-02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JPWO2004079270A1 (ja) * 2003-03-04 2006-06-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エアフィルタの自動清掃機能付き室内ユニット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2005024135A (ja) * 2003-06-30 2005-01-27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JP2005083721A (ja) 2003-09-11 2005-03-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JP4449450B2 (ja) * 2003-12-25 2010-04-14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US7544223B2 (en) * 2004-09-02 2009-06-09 Fujitsu General Limited Air conditioner
JP4513957B2 (ja) * 2004-09-03 2010-07-28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US8038517B2 (en) * 2005-09-13 2011-10-18 Fujitsu General Limited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JP4849207B2 (ja) * 2005-09-13 2012-01-11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JP4757730B2 (ja) * 2005-10-12 2011-08-24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4939080B2 (ja) * 2006-02-28 2012-05-2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室内機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機
JP4843479B2 (ja) 2006-12-26 2011-12-21 シャープ株式会社 フィルタ清掃装置
EP2233854B1 (en) * 2007-12-19 2016-04-13 Daikin Industries, Ltd.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JP5338322B2 (ja) * 2008-01-11 2013-11-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7762A (ja) * 2005-10-11 2007-04-26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21550A4 (en) 2016-12-14
US8529653B2 (en) 2013-09-10
CN101836050B (zh) 2015-04-29
EP2221550A1 (en) 2010-08-25
KR20100057703A (ko) 2010-05-31
CN101836050A (zh) 2010-09-15
AU2008315266B2 (en) 2011-06-23
JP4281847B1 (ja) 2009-06-17
AU2008315266A1 (en) 2009-04-30
US20100258267A1 (en) 2010-10-14
WO2009054094A1 (ja) 2009-04-30
JP2009198156A (ja) 2009-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1266B1 (ko)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
EP2762791B1 (en) Air conditioner with filter cleaning arrangement and method of filter cleaning
KR101148752B1 (ko)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
US8282695B2 (en) Air conditioner
KR101173367B1 (ko)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
KR101101613B1 (ko)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
CN111664510A (zh) 空调
US20110154587A1 (en) Filter cleaning device
WO2010143230A1 (ja) 空気調和機
JP6239369B2 (ja) 空気調和機のエアフィルタ清掃機構
EP2426429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device
JP2010286142A (ja) 空気調和装置のフィルタ掃除ユニット
JP5489890B2 (ja) エアフィルタ自動清掃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5574890B2 (ja) 空気調和機
JP4813923B2 (ja) 室内機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機
JP2008180507A (ja) 空気調和機
JP2014074503A (ja) 空気調和機
JP5591212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5700065B2 (ja) 除湿機のドレンタンク
JP4367007B2 (ja) 空気調和機
JP4586969B2 (ja) 空気調和機
JP7037869B2 (ja) 空気調和装置
JP6218700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4905368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2015049010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