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6985B1 - 설탕 스크럽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설탕 스크럽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6985B1
KR101206985B1 KR1020050021372A KR20050021372A KR101206985B1 KR 101206985 B1 KR101206985 B1 KR 101206985B1 KR 1020050021372 A KR1020050021372 A KR 1020050021372A KR 20050021372 A KR20050021372 A KR 20050021372A KR 101206985 B1 KR101206985 B1 KR 101206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sugar
group
wax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1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9865A (ko
Inventor
오주영
최수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50021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6985B1/ko
Publication of KR20060099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9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6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08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saw-blades of endless cutter-type, e.g. chain saws, i.e. saw chains, strap saws
    • B28D1/086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saw-blades of endless cutter-type, e.g. chain saws, i.e. saw chains, strap saws consisting of strap saw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탕 스크럽을 다량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탕 스크럽을 비수계 화장료에 함유시킴으로써 피부 보습, 혈행 촉진, 피부 노폐물 및 각질 제거가 우수하면서도 경시 안정성 및 퍼짐성이 좋아 사용 감이 우수한 설탕 스크럽을 다량 함유한 마사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설탕 스크럽, 피부 보습, 혈행 촉진, 마사지, 화장료 조성물

Description

설탕 스크럽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UGAR-SCRUB}
도 1은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제조 즉시 설탕 스크럽 입자를 측정한 전자 현미경 사진.
도 2는 실시예 1의 조성물을 50℃에서 1개월 보관 후 설탕 스크럽 입자를 측정한 전자 현미경 사진.
본 발명은 다량의 설탕 스크럽을 비수계 화장료에 함유시킴으로써 피부 보습, 혈행 촉진, 피부 노폐물 및 각질 제거가 우수하면서도 경시 안정성 및 퍼짐성이 좋아 사용감이 우수한 설탕 스크럽을 다량 함유한 마사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웰빙(well-being) 바람과 함께 건강하고 아름다운 신체에 대한 의식이 높아짐에 따라 주변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천연 스크럽, 즉 소금이나 설탕에 의한 마사지를 이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그러나 설탕 등 천연 스크럽 만으로 몸에 마사지할 경우 울퉁불퉁한 스크럽 입자에 의해 연약한 피부에 상처 등 트러블을 유 발할 수 있고 국소마사지는 문제가 없으나 몸 전체에 마사지할 경우 퍼짐성이 나빠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특허 공개공보 제 1996-21004에는 소금을 다량 함유하되 물을 사용하지 않은 비수 유화 폴리올 화장료가 제안되었다.
또한, 대한민국특허 공개공보 제2001-68571호, 제2001-81350호, 제2001-81351호, 제2001-81352호, 제2001-83426호, 및 제2001-0083427호는 민트, 로즈, 레몬밤, 라벤다, 캐모마일, 및 로즈마리를 각각 함유한 마사지 소금 조성물을 언급하고 있다.
미합중국특허 공개공보 제2004-197290호 및 등록공보 제6,638,519호는 설탕 및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여 보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언급하고 있으나, 이때 사용된 설탕 및 이의 유도체는 물에 용해된 상태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아직까지 설탕 스크럽을 이용한 마사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언급된 바는 없다. 최근 설탕 스크럽을 이용한 마사지 조성물이 일부 여성들 사이에 사용되고 있으나, 그 형태는 소량의 물에 분산시킨 상태로 장시간 방치하는 경우 물에 용해되어 사용시마다 다시 만들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설탕의 경우는 상기 언급된 기술의 마사지 소금 조성물과 같이 적용할 수 있으나, 설탕의 특성상 소금과 달라 폴리올에 일부 녹을 수 있으며 40℃ 이상의 고온에서 제품을 오래도록 유지시키는 데에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설탕 스크럽을 다량 함유하여 피부 보습, 혈행촉진, 피부 노폐물 및 각질의 세정과 제거 기능이 증대되면서도, 비수계 액정유화 및 틱소트로픽(Thixotropic) 고분자를 이용하여 고온에서의 경시 안정성 및 퍼짐성이 좋아 사용감 또한 편리한 설탕 스크럽을 다량 함유한 마사지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설탕 스크럽 10 내지 35 중량부,
b) 탄소수 6 내지 22개인 1가 고급 알코올, 왁스 및 오일을 포함하는 유상 성분 3 내지 20 중량부,
c) 폴리올 및 폴리아크릴산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상 성분 30 내지 80 중량부,
d)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3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각 성분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고온에서의 경시 안정성 및 퍼짐성이 우수하여 마사지 조성물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a) 설탕 스크럽
설탕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며, 분자식이 C12H22O11의 자당(蔗糖, Sucrose)으로서 글루코스(Glucose) 한 분자에 프룩토스(Fructose) 한 분자가 글리코시딕(Glycosidic)결합에 의해 연결된 디사카라이드(Disaccharide) 구조를 갖는다.
Figure 112005013542116-pat00001
이와 같은 설탕으로 피부에 마사지할 경우 설탕의 강한 흡습 작용 및 스크럽 입자의 물리적 마찰로, 피부 건조를 막아 윤기를 주며 피부노폐물 및 각질을 탈리시키고, 혈행을 촉진시켜 피부를 탄력 있게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설탕은 정백당, 갈설탕 및 흑설탕 등 통상적으로 알려진 설탕이 가능하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마사지 효과를 주기 위해 표면에 다소 요철이 있는 사각형 또는 주상형의 스크럽인 것을 사용하며, 피부와 접촉시 적절한 크기를 갖도록 150 내지 1,500 ㎛인 것을 사용한다. 만약 설탕 스크럽의 크기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화장료 조성물에 분산시 용해가 일어나 스크럽 감이 약화될 우려가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피부에 접촉시 껄끄러움 등의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설탕 스크럽은 10 내지 35 중량부로 사용하며, 만약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마사지 효과가 충분하지 못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발림성이 나빠져 사용감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설탕 스크럽은 온도에 따라 용해도가 증가하는데, 예를 들면 20℃에서 물 100g당 200g의 설탕이 녹는 반면, 50℃에서는 260g의 설탕이 용해된다. 그러나 이온결합만 존재하여 폴리올에 전혀 녹지 않는 소금 스크럽과 달리, 설탕 스크럽의 경우 설탕의 글루코오스와 폴리올의 친수성기 사이의 수소결합으로 인하여 폴리올만의 비수계 상태에서도 고온에서 설탕 입자가 일부 녹을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스크럽 감이 약화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고급 알코올, 왁스, 오일을 포함하는 유상 성분, 폴리올 등 수상 성분,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비수계 액정 유화에 설탕 스크럽을 분산시키는 경우, 상기 설탕 스크럽이 용해되지 않고 오래도록 마사지 감과 경시안정성을 유지한다.
b) 유상 성분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상 성분은 0.5 내지 5 중량부의 고급 알코올, 0.5 내지 5 중량부의 왁스, 및 2 내지 18 중량부의 오일을 사용한다.
고급 알코올은 탄소수 6 내지 22인 1가 알코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탄소수 16 내지 22인 세틸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및 바틸알코올 중에서 1종 이상 선택이 가능하고 병용할 수 있다.
왁스는 녹는점이 50 내지 90℃ 이하의 비즈왁스, 파라핀왁스, 캐스터왁스, 마이크로스탈라인왁스, 세레신왁스, 멀티왁스 및 칸델릴라왁스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가능하다.
오일은 에몰리엔트 효과 및 사용감을 조정해주는 역할을 하며, 상온에서 액체상태로 존재하는 하이드로카본류, 에스터류, 트리글리세라이드류, 실리콘류 및 다가알코올류가 단독 도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예로, 천연 식물 오일인 호호바유, 경화야자유, 아보카드유, 올리브유, 아몬드유, 마카더미아넛유, 메도우폼유, 팜유, 야자유, 피마자유 등과 탄화 수소류인 스쿠알란, 유동파라핀 등과 합성오일류인 옥틸도데칸올, 트리옥타노인, 이소세틸팔미테이트, 이소세틸미리스테이트, 세틸옥타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카프리레이트, 디이소프로필세바케이트, 디이소스테아릴 아디페이트, 디이소프로필마디페이트, 트리메칠롤프로판트리옥타노에이트, 트리메칠롤프로판트리리소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디메치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화능과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혼합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고급 알코올, 왁스 및 오일을 포함하는 유상 성분은 3 내지 20 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5 내지 15 중량부로 사용하며, 만약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제품의 경도유지, 설탕의 용해도 증가 및 좋은 사용감을 기대하기 어렵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지나치게 미끈거리고, 상대적으로 설탕 스크럽 함유가 적어지는 단점이 있다.
c) 수상 성분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상 성분은 폴리올 0.03 내지 1 중량부와, 폴리아크릴산 중합체 30 내지 80 중량부를 사용하며, 충분한 보습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한다.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트리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솔미톨, 마니톨, 폴리에틸렌글리콜, 메틸글루세스 및 글리세레스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이 가능하다. 이중 폴리올은 글리세린을 포함하여 1종 이상을 함유해야 하고 이중 글리세린 함량은 반드시 사용 폴리올 함량의 50중량% 이상이어야 한다.
폴리아크릴산 중합체는 고온에서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퍼짐성이 양호한 사용감을 보이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폴리아크릴산 중합체로는 높은 항복 응력, 틱소트로픽(Thixotropic), 폴리올에 쉽게 수화되고 무기염에 강한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s Copolymer), 아크릴레이트/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A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상 성분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30 내지 80 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40 내지 75 중량부로 사용하며, 만약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충분한 보습 효과를 부여할 수 없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이 저하되며, 설탕 스크럽을 용해시켜 스크럽감을 저하시킨다.
d) 계면활성제
본 발명에선 계면활성제로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유상 성분과 수상 성분으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 및 분산성을 증가시킨다.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로는 디메치콘올, 디메치콘코폴리올 및 실리콘글리콜코폴리올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가능하다.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는 실리콘글리콜코폴리머, 라우릴메치콘코폴리올, 또는 사이클로메치콘디메치콘코폴리올 중에서 1종 이상과,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모노올레인산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탄, 모노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칠렌소르비탄(20.이.오),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칠렌소르비탄(20.이.오), 및 피이지40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 2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3 내지 7 중량부로 사용하며, 만약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화장료 조성물의 분산 안정성이 저하되어 설탕 스크럽이 수상 성분에 용해되거나 상분리가 발생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가격이 상승하며, 그 효과면에서 무의미하다.
이외에,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각종 목적을 위해 알칼리제, 점증제, 향료, 색소, 방부제 및 안료 등 첨가제를 더욱 함유할 수 있다.
알칼리제는 고분자 중합체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트리에탄올아민,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아미노메칠프로판올, 테트라하이드록시 프로필에칠렌디아민 등의 사용가능하다.
점증제는 최적의 점도, 안정성, 마무리 사용감을 부여하며, 통상적으로 잔탄검, 벤토나이트,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및 셀룰로즈 유도체 중에서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안료는 이산화티탄, 탈크(talc), 마이카(mica), 산화철, 카올린(kaolin), 울 트라마린(ultramarine), 산화크롬, 산화아연, 실리카, 유기 안료들 중 적절한 화장 효과를 고려하여 1종 이상의 안료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방부제는 파라-히드록시벤조산의 알킬 에스테르, 히단토인 유도체, 프로피온산염, 및 각종 4차 암모늄 화합물, 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methylparaben,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프로필 파라벤 (propylparaben,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 데히드로아세트산 나트륨 및 벤질 알코올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일례로 수용성 다당류를 포함한 모든 수상 성분을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하여 혼합하고, 75~80 ℃까지 가열 및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유상 성분 및 기타 첨가제 성분을 첨가하여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설탕 스크럽을 함유하여 설탕의 강한 흡습작용 및 스크럽 입자의 물리적 마찰로, 피부건조를 막아 윤기를 주며 피부노폐물 및 각질을 탈리시키고, 혈행을 촉진시켜 피부를 탄력있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유상 성분, 수상 성분 및 계면활성제를 특정하여 상기 설탕 스크럽에 화장료 조성물 내 용해되지 않고 안정하게 분산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화장료 조성물은 마사지에 사용되며, 투명 또는 반투명의 에멀젼 제형 또는 그외 적절한 제형으로 제조가능하며, 마사지 효과, 사용감 및 피부 안정성이 매우 우수하며, 물로 쉽게 씻어낼 수 있는 타입으로 제공하여 사용이 간단하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5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수상부, 유상부, 설탕부를 각각 계량한 다음, 수상부와 유상부를 각각 검조와 유상조에서 78℃에서 용해시킨 다음, 검조를 메인 믹서에 이송하고 유상부를 조금씩 메인 믹서에 이송시키면서 호모믹서 2500rpm으로 78℃를 유지시키면서 10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55℃에서 첨가부를 더 투입한 후 약 5분간 교반한 다음, 40℃까지 냉각시켜 본 발명의 설탕 스크럽을 다량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조성(중량%) 실시예
1 2 3 4 5
유상성분 고급 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3.0 - 2.0 3.0 2.5
베헤닐알코올 - 3.0 1.5 - 0.5
왁스 비즈왁스 2.0 3.0 2.0 3.0 -
파라핀왁스 1.0 - - 2.0 5.0
세테라레스 3.0 2.0 3.0 3.0 2.0
오일 레시틴 0.1 0.5 0.5 - 0.2
스쿠알란 3.0 5.0 - 2.0 2.0
계면활성제 사이클로메치콘 2.0 - 5.0 3.0 3.0
방부제 프로필파라벤 0.1 0.1 0.1 0.1 0.1
수상성분 보습제 글리세린 55.0 55.6 25.2 38.1 58.7
프로필렌글리콜 10.0 20.0 25.0 10.0 -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1 ) 0.1 0.2 0.1 0.1 0.2
방부제 메틸파라벤 0.1 0.1 0.1 0.1 0.1
알칼리제 트리에탄올아민 0.1 - - 0.1 0.1
설탕 스크럽 (평균400㎛) 20.0 10.0 35.0 25.0 25.0
향료 0.5 0.5 0.5 0.5 0.5
제올라이트 - - - 10.0 -
카라멜 - - - - 0.1
1) Acrylates/C10-C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 Carbopol ETD 2020 (Noveon)
비교예 1 내지 9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의 조성에 따라 수상부, 유상부, 설탕부를 각각 계량한 다음, 수상부와 유상부를 각각 검조와 유상조에서 78℃에서 녹인 다음, 검조를 메인믹서에 이송하고 유상부를 조금씩 메인믹서에 이송시키면서 호모믹서 2000내지 3000rpm으로 75~78℃를 유지시키면서 10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50~55℃에서 첨가부를 더 투입한 후 약 5분간 교반한 다음, 40℃까지 냉각시켜 비교예 1 내지 9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조성(중량%) 비교예
1 2 3 4 5 6 7 8 9


유상
성분
고급 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3.0 - 2.0 3.0 3.0 5.0 2.0 2.0 -
베헤닐알코올 - 3.0 1.5 - - - 1.0 1.5 -
왁스 비즈왁스 3.0 1.5 2.0 3.0 3.0 - - 2.0 5.0
파라핀왁스 - 1.5 - 2.0 - - - - 3.0
세테라레스 3.0 2.0 3.0 3.0 2.0 3.0 1.5 0.5 3.0
오일 레시틴 - 0.5 0.5 - - - 1.0 - -
스쿠알란 5.0 3.0 - 2.0 3.0 10.0 - - 3.0
계면활성제 사이클로메치콘 - 2.0 5.0 3.0 1.0 - - 3.0 2.0
방부제 프로필파라벤 0.1 0.1 0.1 0.1 0.1 0.1 0.1 0.1 0.1
보습제 1,3-부틸렌글리콜 - - - - - - 5.0 - -

수상
성분
보습제 글리세린 70.1 35.6 65.6 33.1 27.1 40.9 53.4 55.1 33.1
프로필렌글리콜 10.0 10.0 20.0 10.0 40.0 20.0 15.0 10.0 25.0
점증제 잔탄검 - - 0.1 - - - 0.2 - -
보습제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1 ) 0.1 0.2 - 0.1 0.15 0.2 - 0.2 0.1
방부제 메틸파라벤 0.1 0.1 0.1 0.1 0.1 0.1 0.1 0.1 0.1
알칼리제 트리에탄올아민 - - 0.1 0.1 0.1 0.2 0.2 - 0.1
정제수 - - - 20.0 - - - - -
설탕 스크럽(평균400um) 5.0 40.0 20.0 20.0 20.0 20.0 20.0 25.0 25.0
향료 0.5 0.5 0.5 0.5 0.5 0.5 0.5 0.5 0.5
1) Acrylates/C10-C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 Carbopol Ultrez 21 (Noveon)
실험예 1: 설탕 스크럽 형태
상기 실시예1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내에 함유된 설탕 스크럽을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였으며,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은 화장료 0.2조성물을 제조 즉시 측정한 것이고, 도 2는 50℃에서 1개월 보관 후,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고온에서 시간 경과에 따라 설탕 스크럽의 크기나 모양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분산 안정성 및 장기 보존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피부 혈류량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피부 혈행촉진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피부 혈류량 변화를 관찰한 후,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방법은 성인 남, 여 각각 10명의 팔의 하박부에 지름 3㎝ 크기의 원을 그리도록 30초간 마사지한 후 적용부위의 피부혈류량 변화를 관찰하였다. 측정은 피부혈류량 측정장치(Laser Doppler Flowmeter, Perimed社, Model Periflux, 스웨덴)를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1에 의거하여 제품 사용 전, 후의 혈류량을 측정하였다.
Figure 112005013542116-pat00002
도포전 평균값(A)
(mY)
도포후 평균값(B)
(mY)
혈류량 상승률
(%)
실시예 1 30 41 36.6
실시예 2 29 37 27.6
실시예 3 29 43 48.2
실시예 4 30 42 40.0
실시예 5 30 43 43.3
비교예 1 32 35 9.4
비교예 4 29 33 13.8
비교예 5 31 38 22.6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설탕 스크럽을 다량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의 실시예가 비교예에 비하여 혈류량 상승률이 큼을 알 수 있다.
설탕 스크럽의 함유량이 동일할 경우 글리세린의 비율이 높을수록 또한 혈류량 상승률이 높으며 정재수가 포함될 경우 설탕 스크럽 함유량이 높더라도 피부혈류량이 급격히 낮아짐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설탕 스크럽 입자가 많을수록 물리적으로 피부를 자극하고, 폴리올 특히 글리세린의 함량이 높을수록 발열효과가 높기 때문이며 정제수가 일부 포함될수록 발열효과가 떨어져 혈류량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실험예 3: 보습력 평가
보습력은 각질층의 수분보유량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 5ml를 취하여 팔 안쪽에 5cm×5cm 부위를 1분간 문지른 다음 30초간 기다렸다가 10초간 흐르는 물에 씻었다. 1일 4시간 간격으로 2회 씻은 다음 마지막 사용 2시간 후 수분 보유량을 측정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4에 나타내었다. 이때 측정기기는 스키콘(Skicon) 200을 사용하였고, 시험은 25℃, 상대습도 50%의 항온 항습실에서 실시하여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수분 보유율을 산출하였으며, 수분 보유율이 클수록 보습력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Figure 112005013542116-pat00003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4 비교예 7
평가전(A) 61 58 60 59 60 62
평가후(B) 105 98 110 85 87 80
수분 보유율(%) 172 169 183 144 145 129
상기 표4를 참조하면, 설탕 스크럽을 다량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의 실시예가 비교예에 비하여 수분 보유율이 높음을 볼 수 있다. 이는 마사지시 녹은 설탕 및 다량의 폴리올, 유상 성분에 의하여 피부의 수분보유량이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예 4: 발림성 / 헹굼성 /각질제거/ 온열감 / 피부유연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가정유치조사(Home Used Test)를 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남녀 30명에 대해 목욕 또는 샤워 후 전신에 샘플을 골고루 마사지하고 5분 후 따뜻한 물로 씻어내도록 하였다. 피부 발림성, 헹굼성, 각질 제거력, 온열감, 피부유연 효과 등을 5점 척도로 평가토록 한 후 평균값을 구하였다.
(5점 척도)
Figure 112005013542116-pat00004
평가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발림성 3.7 3.7 3.6 3.6 3.2 3.2 3.6 3.7 3.5 3.3
헹굼성 3.6 3.7 3.6 3.7 3.4 3.6 3.5 3.6 2.9 3.6
각질
제거
3.7 3.6 3.9 3.0 3.8 3.7 3.8 3.7 3.7 3.7
온열감 3.8 3.7 3.9 3.3 3.7 3.7 2.7 3.3 3.6 3.5
피부유연 3.7 3.6 3.7 3.2 3.7 3.2 3.6 3.3 3.7 3.2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들은 각 항목에서 모두 3.6점 이상의 높은 만족도를 보인반면, 비교예들은 항목에 따라 3.3 이하의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이에 비하여,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은 각질제거 점수가 낮은 것은 설탕 스크럽이 적어 물리적 마찰력이 적기 때문이며, 비교예 2의 그것은 발림성 점수가 낮은 것은 반대로 설탕 스크럽이 너무 많아 마찰력이 증가하여 피부에 마사지시 퍼짐성이 나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비교예 3의 발림성 및 피부유연의 만족도가 낮은 것은 마사지시 틱소트로픽이 적기 때문이며, 비교예 4는 정재수가 포함되어 온열감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또한, 비교예 5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대적으로 발열효과가 우수한 글리세린의 비율이 작아 온열감이 감소하였으며, 비교예 6은 오일성분이 너무 많아 헹굼성이 떨어지고, 비교예 7은 에몰리언트 효과를 부여하는 오일성분이 없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낮았던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예 5: 경시 안정성 평가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제품들의 경시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각각 투명용기에담아 저온(0℃), 실온(25℃), 고온(50℃)에서 3개월간 방치 후, 하기 기준에 따라 경시 안정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안정성 판단기준)
◎: 분리되지 않고, 설탕 스크럽을 그대로 유지함.
○: 분리되지 않고, 상층부에 액이 조금 고임.
△: 분리되지 않았으나, 면이 거칠고 설탕 스크럽이 조금 녹음.
×: 분리되고, 설탕 스크럽이 많이 녹음.
실온(25℃) 고온(50℃) 저온(0℃)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
비교예 4 ×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
비교예 8 ×
비교예 9 ×
상기 표 6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5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교예 1내지 9의 그것보다 경시안정성이 우수하였으며 특히, 고온에서의 경시안정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설탕 스크럽을 함유하여 설탕의 강한 흡습작용 및 스크럽 입자의 물리적 마찰로, 피부건조를 막아 윤기를 주며 피부노폐물 및 각질을 탈리시키고, 혈행을 촉진시켜 피부를 탄력있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유상 성분, 수상 성분 및 계면활성제를 특정하여 상기 설탕 스크럽에 화장료 조성물 내 용해되지 않고 안정하게 분산시키며, 투명 또는 반투명의 에멀젼 제형 또는 그외 적절한 제형으로 제조가능하며, 마사지 효과, 사용감 및 피부 안정성이 매우 우수하며, 물로 쉽게 씻어낼 수 있는 타입으로 제공하여 사용이 간단하다.

Claims (14)

  1. a) 설탕 스크럽 10 내지 35 중량부; 및
    b) 폴리올 및 폴리아크릴산 중합체 30 내지 80 중량부
    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솔미톨, 마니톨, 폴리에틸렌글리콜, 메칠글루세스 및 글리세레스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이며,
    상기 폴리아크릴산 중합체는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s Copolymer), 아크릴레이트/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A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 및 폴리아크릴산 중합체 40 내지 75 중량부를 포함하는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설탕 스크럽; 및 b) 폴리올 및 폴리아크릴산 중합체;와 함께, c) 탄소수가 6 내지 22개인 1가 고급 알코올, 왁스 및 오일; 및 d)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며,
    a) 설탕 스크럽 10 내지 35 중량부; 및
    b) 폴리올 및 폴리아크릴산 중합체 30 내지 80 중량부;
    c) 탄소수가 6 내지 22개인 1가 고급 알코올, 왁스 및 오일 3 내지 20 중량부; 및
    d)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2 내지 10 중량부
    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솔미톨, 마니톨, 폴리에틸렌글리콜, 메칠글루세스 및 글리세레스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이며,
    상기 폴리아크릴산 중합체는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s Copolymer), 아크릴레이트/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A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고급 알코올은 세틸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및 바틸알코올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상기 왁스는 비즈왁스, 파라핀왁스, 캐스터왁스, 마이크로스탈라인왁스, 세레신왁스, 멀티왁스 및 칸델릴라왁스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오일은 하이드로카본류, 에스터류, 트리글리세라이드류, 실리콘류 및 다가알코올류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상기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는 디메치콘올, 디메치콘코폴리올 및 실리콘글리콜코폴리올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실리콘글리콜코폴리머, 라우릴메치콘코폴리올, 또는 사이클로메치콘디메치콘코폴리올 중에서 1종 이상과,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모노올레인산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탄, 모노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칠렌소르비탄(20.이.오),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칠렌소르비탄(20.이.오), 및 피이지40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탕 스크럽은 입경이 150 내지 1,5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추가로 알칼리제, 점증제, 향료, 색소, 방부제 및 안료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
KR1020050021372A 2005-03-15 2005-03-15 설탕 스크럽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206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372A KR101206985B1 (ko) 2005-03-15 2005-03-15 설탕 스크럽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372A KR101206985B1 (ko) 2005-03-15 2005-03-15 설탕 스크럽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865A KR20060099865A (ko) 2006-09-20
KR101206985B1 true KR101206985B1 (ko) 2012-11-30

Family

ID=37630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1372A KR101206985B1 (ko) 2005-03-15 2005-03-15 설탕 스크럽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698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12854A1 (ko) 2013-01-21 2014-07-24 부경약품 ㈜ 미세 니들, 이의 제조용 몰드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7091010A1 (ko) * 2015-11-25 2017-06-01 주식회사 파이안에스테틱스 수용성 미세 니들 분말과 이를 함유하는 비수계 화장제 조성물
JP2018535236A (ja) * 2015-11-25 2018-11-29 パイアン エステティ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水溶性微細ニードル粉末とこれを含有する非水系化粧剤組成物
EP3363427A4 (en) * 2015-10-15 2019-05-01 Paean Aesthetics Inc COSMETIC COMPOSITION WITH WATER SOLUBLE SCRUBBING PARTICLES WITH POLYPEPTIDE AND / OR CELL CULTURE
US10675228B2 (en) 2017-06-23 2020-06-09 Guk Hee LEE Skin massage gel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EP3854375A1 (en) 2020-01-23 2021-07-28 Paean Aesthetics Inc Micro-spicule composition to control its shap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732B1 (ko) * 2007-05-08 2009-07-22 한국콜마 주식회사 재결정화된 설탕입자들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KR101117564B1 (ko) * 2009-06-12 2012-03-1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소금 및/또는 설탕을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KR101619085B1 (ko) * 2009-09-30 2016-05-11 (주)아모레퍼시픽 마사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97644B1 (ko) * 2011-10-14 2014-05-29 이은영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 제조방법
KR101449495B1 (ko) * 2012-08-29 2014-10-15 주식회사코리아코스팩 씨오투 슈가 스크럽과 씨오투 슈가스크럽 제조방법
US10912724B2 (en) 2017-11-30 2021-02-09 L'oreal Compositions for removing nail polish
CN114869789A (zh) * 2021-02-05 2022-08-09 株式会社资生堂 去角质用磨砂膏
KR20230035829A (ko) * 2021-09-06 2023-03-14 코스맥스 주식회사 다량의 설탕을 포함하며 거품이 나는 크림 타입의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702103A (ko) * 1995-02-10 1998-07-15 레이서 제이코버스 코넬리우스 개인용 케어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함유하는 와이퍼 제품
KR19990047799A (ko) * 1997-12-05 1999-07-05 서경배 저점도의 유중수적형 화장료 조성물
KR20000009651A (ko) * 1998-07-27 2000-02-15 성재갑 피지 조절능 및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실리콘유화형 수용성젤 화장료 조성물
US6531433B1 (en) * 2000-08-21 2003-03-11 Abyssal Cosmetics, Inc. Non-aqueous scrub comprising water soluble carbohydrates
KR20060015920A (ko) * 2004-08-16 2006-02-21 주식회사 태평양 설탕을 함유한 피부 스크럽용 화장료 조성물
KR20060040877A (ko) * 2004-11-05 2006-05-11 주식회사 네슈라화장품 활성성분으로서 가열처리된 활성탄이 함유된 화장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702103A (ko) * 1995-02-10 1998-07-15 레이서 제이코버스 코넬리우스 개인용 케어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함유하는 와이퍼 제품
KR19990047799A (ko) * 1997-12-05 1999-07-05 서경배 저점도의 유중수적형 화장료 조성물
KR20000009651A (ko) * 1998-07-27 2000-02-15 성재갑 피지 조절능 및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실리콘유화형 수용성젤 화장료 조성물
US6531433B1 (en) * 2000-08-21 2003-03-11 Abyssal Cosmetics, Inc. Non-aqueous scrub comprising water soluble carbohydrates
KR20060015920A (ko) * 2004-08-16 2006-02-21 주식회사 태평양 설탕을 함유한 피부 스크럽용 화장료 조성물
KR20060040877A (ko) * 2004-11-05 2006-05-11 주식회사 네슈라화장품 활성성분으로서 가열처리된 활성탄이 함유된 화장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기사(2004.03.19) *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12854A1 (ko) 2013-01-21 2014-07-24 부경약품 ㈜ 미세 니들, 이의 제조용 몰드 및 이의 제조 방법
EP3363427A4 (en) * 2015-10-15 2019-05-01 Paean Aesthetics Inc COSMETIC COMPOSITION WITH WATER SOLUBLE SCRUBBING PARTICLES WITH POLYPEPTIDE AND / OR CELL CULTURE
WO2017091010A1 (ko) * 2015-11-25 2017-06-01 주식회사 파이안에스테틱스 수용성 미세 니들 분말과 이를 함유하는 비수계 화장제 조성물
JP2018535236A (ja) * 2015-11-25 2018-11-29 パイアン エステティ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水溶性微細ニードル粉末とこれを含有する非水系化粧剤組成物
US11464953B2 (en) * 2015-11-25 2022-10-11 Paean Aesthetics Inc. Water-soluble microneedle spicules and non-aqueous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US10675228B2 (en) 2017-06-23 2020-06-09 Guk Hee LEE Skin massage gel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EP3854375A1 (en) 2020-01-23 2021-07-28 Paean Aesthetics Inc Micro-spicule composition to control its shap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865A (ko) 2006-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6985B1 (ko) 설탕 스크럽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421749B1 (ko) 개인용 케어 조성물
JPH026321B2 (ko)
US20070292459A1 (en) Halloysite microtubule processes, structures, and compositions
MXPA06012179A (es) Composiciones para el cuidado personal que depositan agentes beneficos hidrofilos.
KR20060008973A (ko) 겔-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습윤 피부 처리 조성물
JPH11506126A (ja) スキンケア組成物
CN103816165B (zh) 一种治疗痤疮的组合物
ES2307014T3 (es) Emulsiones claras de aceite en agua.
KR101521265B1 (ko) 투명 또는 반투명 겔 형상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JP5822427B2 (ja) アスコルビン酸またはサリチル酸化合物を含む化粧用組成物
ES2308439T3 (es) Composiciones para el cuidado de la piel que contienen acidos salicilicos.
PL189774B1 (pl) Przeciwpotowa kompozycja kosmetyczna w postaci kremu lub kompozycji na kulce
US20030095991A1 (en) Treatment for skin
JP4837484B2 (ja) 液状油性ボディオイル組成物
KR102269198B1 (ko) 피부 각질 박리용 배니싱 크림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H11263721A (ja) 水中油型ゴマージュ化粧料
JP3479048B2 (ja) 化粧料及び不織布含浸化粧料
KR100740732B1 (ko) 유사-비이온성 복합계면활성제를 이용한 메이크업 클렌징조성물
JP2000247860A (ja) マッサージ化粧料
MXPA03002869A (es) Composiciones para limpieza de la piel y tratamiento del acne.
ES2203584T3 (es) Composicion en forma de emulsion de agua en aceite con una velocidad de cizallamiento evolutiva.
JPH10139625A (ja) W/o型乳化化粧料
JP4798645B2 (ja) W/o型乳化組成物
JP2019196338A (ja) 保湿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