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7799A - 저점도의 유중수적형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저점도의 유중수적형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7799A
KR19990047799A KR1019970066319A KR19970066319A KR19990047799A KR 19990047799 A KR19990047799 A KR 19990047799A KR 1019970066319 A KR1019970066319 A KR 1019970066319A KR 19970066319 A KR19970066319 A KR 19970066319A KR 19990047799 A KR19990047799 A KR 19990047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ter
cosmetic composition
weight
low visco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6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5796B1 (ko
Inventor
김중수
이영하
Original Assignee
서경배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배,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서경배
Priority to KR1019970066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5796B1/ko
Publication of KR19990047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7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5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57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Abstract

본 발명은 저점도의 유중수적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휘발성 실리콘 오일과 에스테르계나 트리글리세라이드계의 극성오일이 혼합된 오일상에 실리콘계 친유형 계면활성제를 배합하고, 수상에 아크릴계 유기 점증제를 배합하여 점증시킴으로써, 유중수적형 화장료의 지속성 및 내수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수중유적형 화장료의 사용감에 상응하는 사용성을 나타내는 저점도의 안정성이 우수한 유중수적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점도의 유중수적형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저점도의 유중수적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휘발성 실리콘 오일과 에스테르계나 트리글리세라이드계의 극성오일이 혼합된 오일상에 실리콘계 친유형 계면활성제를 배합하고, 수상에 아크릴계 유기 점증제를 배합하여 점증시킴으로써, 유중수적형 화장료의 지속성 및 내수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수중유적형 화장료의 사용감에 상응하는 사용성을 나타내는 저점도의 안정성이 우수한 유중수적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중수(油中水)형 화장료는 수상이 입자의 형태로 오일상에 분산되어져 있는 에멀젼형태로, 연속상이 오일이므로 내수성이 우수하여 물이나 땀에 의해 잘 씻겨지지 않는 선제품이나 메이컵베이스에 주로 사용되고 있고, 불안정한 피부활성물질의 배합을 가능케할 뿐만 아니라, 지속효과 및 피부보습효과가 수중유(水中油)형 화장료에 비해서 매우 우수하다. 그러나, 외상이 유성성분이므로 피부에 도포시 무겁고 끈적거리는 등 사용감이 불쾌하고, 다량의 유성성분이 사용됨으로 가격면에서도 크게 불리한 점을 안고 있다.
또한, 안정성 측면에서 볼 때, 오일 분자들이 유화계면에서 계면활성제에 대해 경쟁적인 계면 흡착성을 갖고 있어 계면활성제의 기능을 저하시키고, 계면막에 침투함으로써 계면막을 약화시켜 유화계의 안정도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쉽게 오일상이 분리된다든가, 수중유형으로 전상되는 등 에멀젼의 안정도가 급격히 하락하여 만족할 만한 실용적인 제형을 얻을 수가 없었다.
이에, 유중수적형 화장료에서 있어서, 수중유적형 화장료의 사용감에 상응하는 사용성을 목적으로 하고, 유화계의 안정성을 도모하고자, 오일의 함량을 한정하고, 오일상에 배합되는 계면활성제의 종류를 한정하고 오일점증제를 배합하는 등의 방법이 모색되어 왔다.
또다른 일례로서, 한국특허출원 공개 제 95-26504호는, 수중유적형 화장료의 사용감을 목적으로 오일의 함량을 줄이고 내상인 물의 양(80% 이상)을 늘리는 한편, 수상에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및 그의 유도체를 배합하여 안정화시키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수중유적형의 사용감에는 못미치는 사용성을 나타내며, 더욱이 다량의 수상성분들이 인위적인 기계적인 힘에 의해 표면적이 넓혀져 고점도로 에멀젼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대부분 제형이 크림으로만 한정되어 제품의 다양성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또한, 고점도의 크림타입은 제조시 쉽게 수중유적형 에멀젼으로 전상이 이루어지고, 너무 많은 내상으로 유화기기의 작동을 어렵게하여 혼합이 되지 않아 에멀젼화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뿐만 아니라,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점도가 떨어져 경시변화가 심하게 일어나, 제품으로서의 가치를 떨어뜨릴 우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유중수적형 화장료의 지속성 및 내수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수중유적형 화장료의 사용감에 상응하는 사용성을 나타내는 저점도의 안정성이 우수한 유중수적형 에멀젼을 연구하던 중, 수상에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등의 아크릴계 유기 점증제를 배합하는 한편, 실리콘류 및 에스테르계의 오일상에 친유성 및 내수성이 강한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를 배합하여 수상 입자를 오일상 내에 보유함으로써 오일상으로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어 다량의 내상을 사용하여도 저점도의 유중수적형 에멀젼화가 가능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중수적형 화장료의 지속성 및 내수성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수중유적형 화장료의 사용감에 상응하는 사용성을 나타내는 저점도의 안정성이 우수한 유중수적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중수적형 화장료 조성물은,
친유형 계면활성제와, 휘발성 실리콘 오일과 에스테르계나 트리글리세라이드계의 극성오일이 혼합된 오일상 5~20중량%와;
아크릴계 유기 점증제와, 이의 중화제 및 폴리올을 함유하는 수상 80~95중량%로 이루어진 유중수적형 화장료로서,
상기한 친유형 계면활성제는 HLB값이 2~6인 실리콘계 친유형 계면활성제로서 0.5~10.0중량%의 양으로 배합되고;
상기한 아크릴계 유기 점증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아크릴레이트/C10~30의 알킬아크릴레이트 가교 중합체 및 글리세릴폴리메타크릴레이트/프로필렌글리콜 가교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서, 0.1~2.0중량%의 양으로 배합되고;
상기한 중화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암모늄 및 트리에탄올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서, 조성물의 pH가 5.0~7.5로 되도록 배합되며;
상기한 폴리올은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및 솔비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서, 1.0~50중량%의 양으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유중수적형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유중수적형 에멀젼으로, 오일상에 배합되는 친유형 계면활성제는, HLB값이 2~6인 디메치콘코폴리올로서, 저점도, 저분자량으로 실리콘 주쇄 혹은 측쇄에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가 첨가된 것이다. 이들중에서, 특히 디메치콘코폴리올이 가장 저점도의 효과를 나타내므로 바람직하다.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5~10.0중량%, 바람직하게는 1.0~5.0중량%의 범위로 배합된다.
또한, 오일상을 구성하는 비극성 오일인 휘발성 실리콘 오일과, 극성 오일인 에스테르계나 트리글리세라이드계 오일은 제형에 따라 1:99~99:1의 중량비 범위내에서 적의하게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극성 오일로는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스테아레이트,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옥틸팔미테이트, 알킬(14,16,18) 2-에틸헥사노에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옥틸도데칸올, 헥실라우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오일상은 조성물 총 중량의 5~20중량%로 사용할 수 있으며, 2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감이 무거워지게 되고, 5중량% 미만인 경우 에멀젼의 형성이 어렵거나 고점도의 크림이 형성되어 제조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수상성분으로는, 투명 혹은 반투명한 외관을 갖기 위해서 비교적 굴절율 값이 작은 오일로 이루어진 외상에 비해, 비교적 굴절율이 큰 폴리올 등을 사용한다. 여기에 아크릴계 유기 점증제를 첨가하고, 이를 중화시켜 pH 5.0~7.5로 조절한다.
종래의 유중수적형 에멀젼은 그 자체의 사용감 단점을 어느정도 보완하여 수중유적형과 같은 사용감을 유지하지만, 제조시 고점도의 크림만이 제조되어 유화기기에 무리함을 주고 제형을 형성하는데 많은 시간이 든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여 동일량의 수성성분과 유성성분의 사용으로도 제조가 간편하고 저점도이면서도 투명 혹은 반투명의 제형이 가능하여 제형상의 다양함을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두 액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실온에서의 제조가 가능하다. 따라서, 열에 약한 피부활성물질인 비타민 A 팔미테이트 등의 혼합이 가능하고, 가열이나 냉각의 공정이 필요없는 간편한 제조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중수적형 화장료 조성물의 구성 및 그의 작용효과를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4 및 비교예 1~4>
원 료 명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유성성분 사이클로메치콘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옥틸팔미테이트유동파라핀메틸페닐폴리실록산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탄(HLB=4.7)디메치콘코폴리올(HLB =4.0)사이클로메치콘&디메치콘코폴리올(HLB=2.8)유기성 헥토라이트향료 8.02.02.0----3.0--적량 8.02.02.0-----3.0-적량 8.02.02.0----3.0--적량 8.04.0-----3.0--적량 6.0--4.02.03.03.0---적량 6.0--4.02.03.03.0---적량 8.02.0--2.0--3.0-0.5적량 8.02.0--2.0---3.00.5적량
수성성분 정제수글리세린1,3-부틸렌글리콜방부제카르복시비닐폴리머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 가교중합체염화나트륨수산화칼륨 to 1004.04.00.50.5--0.2 to 1004.04.00.50.5--0.2 to 1004.04.00.5-0.5-0.2 to 10025.025.00.50.5--0.2 to 1004.04.00.51.0--0.4 to 1004.04.00.5-1.0-0.4 to 1008.0-0.5--1.0- to 1008.0-0.5--1.0-
<제조방법>
(1) 유성성분들을 균일하게 혼합하였고,
(2) 별도로 정제수에 나머지 수성성분들을 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으며,
(3) (1)에 (2)를 교반하에 실온상태에서 서서히 투입하여, 투명 혹은 백색의 에멀젼을 얻었다.
<시험예 1> 외관 및 사용성 비교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20~40대의 여성 50명을 대상으로 관능평가법으로 상대 비교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구 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외관도포시 감촉도포후 감촉퍼짐성유연성 ◎◎◎◎◎ ◎◎◎◎◎ ◎◎◎◎◎ ◎○○◎◎ ○○○△○ ○○○△○ ○△△×○ ○△△×○
(주) ◎ : 매우 좋다, ○ : 좋다, △ : 보통이다, × : 나쁘다
위의 표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유중수적형 화장료가, 종래의 것보다 훨씬 사용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점도 비교
실시예 및 비교예의 유중수적형 에멀젼을 제조한 후, 제조한 그 다음날 30℃에서의 점도를 비교하였다. 점도는 브루크필드(BROOKFIELD) LVDVⅡ+에 의해 2분간, 12rpm에서 측정한 수치이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점도(cps) 3,500 5,000 3,500 4,000 27,000 25,000 30,000 35,000
위의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유중수적형 화장료는 유동성이 우수하고 사용이 편리한 저점도의 에멀젼 형태임을 알 수 있으며, 반면 비교예 5의 유중수적형 화장료는 크림의 외관을 갖는 상당히 높은 점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안정도 비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은 유중수적형 화장료에 대하여, 온도 변화에 따른 조성물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구 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실온 1개월3개월 ◎◎ ◎◎ ◎◎ ◎◎ ◎◎ ◎◎ ◎◎ ◎◎
0℃ 1개월3개월 ◎◎ ◎◎ ◎◎ ◎◎ ◎◎ ◎◎ ◎◎ ◎◎
37℃ 1개월3개월 ◎◎ ◎◎ ◎◎ ◎◎ ◎○ ◎○ ◎△ ◎△
45℃ 1개월3개월 ◎◎ ◎◎ ◎◎ ◎◎ ◎○ ◎○ △× △×
(주) ◎ : 아주 양호, ○ : 양호, △ : 보통, × : 분리
이상의 시험예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여러 제형으로 구성하여 실시예로서 제시한다.
<실시예 5> 영양로션
원 료 명 함량(중량%)
사이클로메치콘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디메치콘코폴리올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향료글리세린1,3-부틸렌글리콜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파라옥시안삭향산에스텔카르복시비닐폴리머수산화칼륨정제수 9.03.02.03.02.0적량5.05.00.20.10.30.1to 100
<실시예 6> 에센스
원 료 명 함량(중량%)
사이클로메치콘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디메치콘코폴리올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향료글리세린1,3-부틸렌글리콜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파라옥시안삭향산에스텔카르복시비닐폴리머수산화칼륨정제수 8.05.02.03.01.0적량20.020.00.20.10.50.2to 100
<실시예 7> 선로션
원 료 명 함량(중량%)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사이클로메치콘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디메치콘코폴리올향료이산화티탄글리세린1,3-부틸렌글리콜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파라옥시안삭향산에스텔카르복시비닐폴리머수산화칼륨정제수 5.08.01.03.0적량3.03.02.00.20.10.30.15to 100
<실시예 8> 핸드로션
원 료 명 함량(중량%)
사이클로메치콘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디메치콘디메치콘코폴리올실리카향글리세린1,3-부틸렌글리콜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파라옥시안삭향산에스텔카르복시비닐폴리머수산화칼륨정제수 6.02.06.03.01.0적량5.08.00.20.10.30.15to 100
<실시예 9> 파운데이션
원 료 명 함량(중량%)
사이클로메치콘디메치콘코폴리올친유처리 이산화티탄적색산화철황색산화철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향료글리세린1,3-부틸렌글리콜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파라옥시안삭향산에스텔카르복시비닐폴리머수산화칼륨정제수 12.02.54.00.50.50.5적량3.02.00.20.10.20.1to 100
이상의 실시예 및 시험예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유중수적형 화장료의 지속성 및 내수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수중유적형 화장료의 사용감에 상응하는 사용성을 나타내는 저점도의 안정성이 우수한 유중수적형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Claims (2)

  1. 오일상에 휘발성 실리콘 오일과 에스테르계나 트리글리세라이드계의 극성오일이 혼합된 유중수적형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친유형 계면활성제와, 휘발성 실리콘 오일과 에스테르계나 트리글리세라이드계의 극성오일이 혼합된 오일상 5~20중량%와;
    아크릴계 유기 점증제와, 이의 중화제 및 폴리올을 함유하는 수상 80~95중량%로 이루어진 유중수적형 화장료로서,
    상기한 친유형 계면활성제는 HLB값이 2~6인 실리콘계 친유형 계면활성제로서 0.5~10.0중량%의 양으로 배합되고;
    상기한 아크릴계 유기 점증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아크릴레이트/C10~30의 알킬아크릴레이트 가교 중합체 및 글리세릴폴리메타크릴레이트/프로필렌글리콜 가교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서, 0.1~2.0중량%의 양으로 배합되고;
    상기한 중화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암모늄 및 트리에탄올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서, 조성물의 pH가 5.0~7.5로 되도록 배합되며;
    상기한 폴리올은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및 솔비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서, 1.0~50중량%의 양으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적형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실리콘계 친유형 계면활성제는 디메치콘코폴리올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적형 화장료 조성물.
KR1019970066319A 1997-12-05 1997-12-05 저점도의 유중수적형 화장료 조성물 KR100245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6319A KR100245796B1 (ko) 1997-12-05 1997-12-05 저점도의 유중수적형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6319A KR100245796B1 (ko) 1997-12-05 1997-12-05 저점도의 유중수적형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7799A true KR19990047799A (ko) 1999-07-05
KR100245796B1 KR100245796B1 (ko) 2000-04-01

Family

ID=19526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6319A KR100245796B1 (ko) 1997-12-05 1997-12-05 저점도의 유중수적형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57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487B1 (ko) * 2002-03-28 2006-11-14 애경산업(주) 보습력이 증진된 고분자 실리콘 겔 화장료 조성물
KR101206985B1 (ko) * 2005-03-15 2012-11-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설탕 스크럽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WO2013039353A1 (ko) * 2011-09-16 2013-03-21 (주)아모레퍼시픽 내상점증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4612A (ko) * 2004-09-14 2006-03-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자외선 차단 화장료 함침 시트
KR102556558B1 (ko) * 2022-07-28 2023-07-19 한국콜마주식회사 자가 유화 유도제 및 자가 유화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KR102556559B1 (ko) * 2022-07-28 2023-07-19 한국콜마주식회사 자가 유화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487B1 (ko) * 2002-03-28 2006-11-14 애경산업(주) 보습력이 증진된 고분자 실리콘 겔 화장료 조성물
KR101206985B1 (ko) * 2005-03-15 2012-11-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설탕 스크럽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WO2013039353A1 (ko) * 2011-09-16 2013-03-21 (주)아모레퍼시픽 내상점증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US11040224B2 (en) 2011-09-16 2021-06-22 Amorepacific Corporation Inner phase thickened water-in-oil cosmetic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5796B1 (ko) 200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5469A (en) Water-in-oil emulsion type cosmetics
EP0373661B1 (en) Water-in-oil type emulsion cosmetic
CA1278521C (en) Composition for personal care product comprising alkoxylated fatty alcohol and polysiloxane
EP1064909B1 (en) High internal aqueous phase water-in-oil type 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KR100802322B1 (ko) 유중수형 에멀젼 액상루즈 조성물
MXPA06011962A (es) Composiciones para el cuidado de la piel.
EP0930866A1 (de)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gele auf der basis von mikroemulsionen
JPH06256136A (ja) 透明又は半透明化粧料
US5599800A (en) 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 of gel-like appearance, containing no gelling agent, which may be used in cosmetics and dermatology
JP2001172503A (ja) 弾性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の粒子の水性分散物を含む組成物、及びその化粧的使用
JP2003534360A (ja) 低乳化剤複合エマルジョン
KR20160065658A (ko)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0508978B1 (ko) 오일 겔화제로서 스테아로일 이눌린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유화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KR100245796B1 (ko) 저점도의 유중수적형 화장료 조성물
KR100406345B1 (ko) 알콜내유형유화조성물
JP2007511512A (ja) 透明オイルゲル化システム
JP2001002521A (ja) 転相感の優れた高内水相油中水型乳化化粧料
GB2275419A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ilicone gum
CA2086689A1 (en) Cosmetic or dermatological composition containing a diol ester
US6174535B1 (en) Hydrated honey gel polymeric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JPH04312512A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EP4031096A1 (en) Gel composition with high oil content, the preparation method and the use of the same
US20020037302A1 (en) Composition in the form of a water-in-oil emulsion with a variable shear rate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S61171407A (ja) 乳化型化粧料
JPH10167948A (ja) 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