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039353A1 - 내상점증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상점증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039353A1
WO2013039353A1 PCT/KR2012/007384 KR2012007384W WO2013039353A1 WO 2013039353 A1 WO2013039353 A1 WO 2013039353A1 KR 2012007384 W KR2012007384 W KR 2012007384W WO 2013039353 A1 WO2013039353 A1 WO 201303935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ater
cosmetic composition
oil
present
inner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738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경남
최경호
최영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SG11201400462YA priority Critical patent/SG11201400462YA/en
Priority to CN201280044788.5A priority patent/CN103796632A/zh
Priority to US14/344,392 priority patent/US20140288191A1/en
Publication of WO201303935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39353A1/ko
Priority to US16/511,664 priority patent/US11040224B2/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7Galactomannans, e.g. gua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91Graft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10General cosme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il-in-water-in-oil cosmetic composition, more specifically to a water-in-oil cosmetic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formulation stability and thixotropy properties, including a thickener for controlling the flowability of the water phase. It is about.
  • ⁇ 3> In general, the resistance of hands and skin when applying cosmetics to the skin is pointed out as a negative factor such as stiffness or stuffiness. After all, the ease of application when applying the skin is recognized a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o determine the quality of cosmetics.
  • the thixotropic effect mentioned above is light application property in moisturizing cream, etc., and makeup uniformity such as foundation is a coating uniformity and thin film of pigment that expresses skin color. This can be indicated by blocking efficiency.
  • Water-in-oil type flow regulators developed to date can be largely divided into inorganic flow regulators and organic flow regulators.
  • inorganic flow regulators smectite obtained from clay can be applied to continuous oils.
  • the treated organic smectite may be mentioned.
  • the organic flow control agent include low melting wax, dextrin palmitate, and trihydroxystearin.
  • emulsion formulations it is largely divided into oil-in-water cosmetics and water-in-oil cosmetics.
  • the trauma In the case of water-based cosmetics, the trauma is water. In the case of water-in-oil cosmetics, the trauma is oil. In general, only the trauma is increased to control the hardness and viscosity of the appearance properties of the formulation. To date, littl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formulation properties, stability, and usability through the increase in the internal wound of emulsion do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dispersants or waxes in water-in-oil emulsion makeup formulations, and controls the flowability of the aqueous phase through an increase in internal wounds that causes the aqueous phase of the water-in-oil cosmetic to increase.
  • the formulation stability can be increased, and thixotropy properties are excellent, and a cosmetic composition that provides a light feeling such as liquid and has a purpose is to be manufactured.
  •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stability over time through the use of a thickening agent to control the flow of the water phase, the object is to provide a water-in-oil emulsion makeup cosmetic composition having a soft feeling such as fresh cream. do.
  • the thickener may be at least one of sodium polyacrylate starch and polyacrylate crosspolymer-6.
  • the composition may be one having thixotropy.
  • the composition may be a makeup cosmetic composition.
  • thixotropy is improved by improving the change in formulation stability with time due to the resistance to water flow that controls the flow of the aqueous phase, and by controlling the size of the emulsifier by the internal wound increase. ) It has excellent initial applicability, excellent durability, and can provide a soft feeling like fresh cream and a light feeling like liquid.
  • FIG. 1 is a SEM photograph (a) and a particle size distribution graph (b) of sodium polyacrylate starch included in a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thixotropy characteristics of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 to 5 are electron micrographs of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smetic composition, wherein the cosmetic composition is water-in-oil type outer and inner phase, sodium polyacrylate starch, poly arctic crosspolymer-6, xanthan gum and locust bean gum in the inner phase It provides a water-in-oil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thicken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Water-soluble thickeners are classified into inorganic thickeners composed of inorganic metal oxides and organic thickeners composed of water-soluble polymers.
  • a water-soluble inorganic thickener having a high possibility of generating skin allergy is not used, and a water-soluble organic thickener of a polysaccharide is used.
  • the thickener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fine polyacrylate starch, a polyacrylate cross puller-6, xanthan gum and locust bean gum, and more preferably sodium polyacrylate starch. And polyacrylate crosspolymer-6, most preferably sodium polyacrylate starch.
  • any substance that increases viscosity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1 shows SEM photographs (a)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 graphs (b) of sodium polyacrylate starch.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mastersizer of sodium polyacrylate starch, (b) the average particle size was lm.
  • the thickener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0.01 to 5.0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amount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0.05 to 1.0% by weight. If the amount is less than 0.01% by weight, the effect of the increase is insignificant, and when the amount is more than 5.0% by weight, the viscosity of the aqueous phase is excessively increased to form a solid solid gel and become sticky, and lose the properties of the makeup cosmetics. When the pigment is entangled or becomes incomplete, the stability becomes unstable.
  •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ixotropy.
  • Thixotropy is also called thixotropy, and as mentioned above, the flowability is increased by friction, but the flowability is decreased when friction is extinguished.
  • thixotropy whe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skin, the flowability is increased due to friction with the skin, so that it is smoothly spread well and has excellent spreadability and usability,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skin, the flowability is low and the durability is excellent.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easy to manufacture, but also relatively light in use and excellent in sustainability because it controls flow through an increase in internal resistance without using a dispersant and a wax.
  • pigments can be divided into aqueous and oil-based dispersions, depending on the dispersion phase of the pigment.
  • pigments coated with alkyl silanes or dimethicone are dispersed in the oil-based oil.
  • the pigment since the pigment is located outside the emulsion, it is more stable than dispersed in the aqueous phase, which is an inner phase.
  • aqueous dispersion which is an internal phase other than oil phase dispersion
  • uniform pigment dispersion is possible with more pigment dispersion.
  • research has been reported to improve the bone phenomena through the aqueous dispersion, which is an internal wound when the swelling phenomenon is prominent by the oil phase dispersion.
  • the pigment is dispersed in water, and the pigment for this purpos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o use a pigment coated with silica. This is because the surface of the pigment has a hydrophilic property due to the coating of silica, thus ensuring dispersibility.
  •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formulation, and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s desired.
  • Skin Lotion Skin Softener, Skin Toner, Astringent, Lotion, Milk Lotion, Moisture Lotion, Nutrition Lotion, Massage Cream, Nutrition Cream Prepared in one or more formulatio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oisturizing cream, hand cream, foundation, makeup base, primer, essence, nutrition essence, pack, soap, cleansing product, cleansing lotion, cleansing cream, body lotion and body cleanser And, preferably, it may be a foundation, makeup base or prim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arrier component is animal fiber, vegetable fiber, wax, paraffin, starch, tracant, salulose derivative, polyethylene glycol, silicone, bentonite, silica, talc or oxide. Zinc and the like can be used.
  • E.g.,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hamo silicate or polyamide powder may be used, an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prays, may additionally include propellants such as chlorofluorohydrocarbons, propane / butane or dimethyl ether. .
  • a solvent, a solvating agent or an emulsifying agent is used as a carrier component, such as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benzyl benzoate, Propylene glycol, 1,3-butyl glycol oil, fatty acid esters of glycerol, polyethylene glycol or fatty acid esters of sorbitan.
  • the carrier component is water, ethanol or pro
  • Liquid diluents such as ethylene glycol,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s,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s and suspending agents such as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s, microcrystalline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ide, bentonite, agar Or tracant and the like.
  •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agent
  • a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agent as a carrier component, an aliphatic alcohol sulfate, an aliphatic alcohol ether sulfate, a sulfosuccinic acid monoester, an isethionate, an imidazolinium derivative, methyltaurate, and sarcosy Nates, fatty acid amide ether sulfates, alkylamidobetaines, aliphatic alcohols, fatty acid glycerides, fatty acid diethanolamides, vegetable oils, linolin derivatives or ethoxylated glycerol fatty acid esters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al additive and components included in a general cosmetic composition.
  • the functional additive may include a compon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soluble vitamins, oil-soluble vitamins, polymer peptides, polymer polysaccharides, sphingolipids and seaweed extract.
  • a component contained in a general cosmetic composition may be blended with the functional additive as necessary.
  • ingredients included include fats and oils, humectants, emollients, surfactants, organic and inorganic pigments, organic powders, UV absorbers, preservatives, fungicides, antioxidants, plant extracts, pH adjusters, alcohols, pigments, flavors, blood circulation Accelerators, reducing agents, limiting agents, purified water and the like.
  • Comparative Example 1 is a control group without a water phase thickener
  • Examples 1 to 4 were prepared using a water phase thickener.
  • the evaluation of the emulsion stability was measured for one week of stability in a temperature-controlled shaking incubator. One temperature cycle was carried out for 8 hours at-C, 30 ° C, and 45 ° C. Each day was measured for 7 days with 1 cycle per day to determine whether oil separation, banding, or precipitation occurred. The results were calculated based on a total of five data for all samples. If all five times were correct, 0, 1 or 2 times ⁇ , and 3 times or more were marked with X. The pigment dispersibility was judg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dispersion at the time of aqueous dispersion of the dye, and evaluated on the same basis as the emulsion stability.
  • Hardness was measured via 500DX, Sun Scientific). Stability was measured by comparing the hardness after the production and the change in hardness after 1 week.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 Comparative Example 1 is a control group without a water phase thickener, and the most stable Example 4 was used because the degree of change in emulsification stability and hardness was small with time.
  • the thixotropic effect, ease of application, and application uniformity of the foundation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were observed.
  • the thixotropic effect was determined based on the result of measuring RHE0METERAR2000 (TA, INSTRUMENT. ENGLAND), which is shown in Table 4 and FIG. 2. Coating uniformity and ease of application were judged by scoring a perfect score of 5 points through a specialized panel test.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belo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상에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스타치,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6, 잔탄검 및 로커스트 콩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점증제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따르면, 수상의 흐름성을 제어하는 내상점증에 의해 시간에 따른 제형 안정도 변화를 개선하고, 내상점증에 의해 유화입자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요변성(Thixotropy) 특성이 우수하여 초기 발림성이 우수하고, 지속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생크림과 같은 부드러운 사용감과 동시에, 리퀴드와 같은 가벼운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명세서】 '
【발명의 명칭】
내상점증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기술분야]
<1> 본 발명은 내상점증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 으로 수상부의 흐름성을 조절하는 점증제를 내상에 포함하는, 제형 안정성 및 요변 성 (Thixotropy) 특성이 우수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2> 화장품 분야에서 제형의 흐름성을 조절하는 기술은 지속적으로 개발, 발전되 어온 기술 중의 하나이다. 화장품에서 흐름성의 조절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은 도포 전 보존 상태에서는 낮은 흐름성을 갖다가 도포 시 마찰이 가해지면서 높은 흐름성을 갖는 유체로 변화하고 다시 마찰이 소멸되었을 때 흐름성이 없어지면서 화장료로서 여러가지 기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화장료가 마찰에 의해 흐름 성이 높아졌다가 마찰이 소멸되었을 때 흐름성이 낮아지는 현상을 요변성
(thixotropy) 효과라고 한다.
<3> 일반적으로 화장품을 피부에 도포할 때 손과 피부에서 느껴지는 저항은 뻑뻑 함이나 답답함 등의 부정적인 요소로 지적되고 있다. 결국 피부 도포시 도포용이성 은 화장품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로 인식되어 있다. 앞서 말한 요변성 효과는 보습크림 등에서는 가벼운 발림성으로, 파운데이션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에서는 피부색을 표현하는 피그먼트의 도포균일성과 얇은 화장막으로, 자외 선 차단제에서는 자외선 차단 성분의 도포균일성에 기인한 높은 자외선 차단 효율 로 나타날 수 있다.
<4> 현재까지 개발된 유중수형 흐름조절제는 크게 무기계 흐름조절제와 유기계 흐름조절제로 나눌 수 있으며, 무기계 흐름조절제로는 클레이 (clay)에서 얻어지는 스멕타이트 (smectite)를 연속상인 오일류에 적용할 수 있도록 표면처리한 유기스멕 타이트를 들 수 있고, 유기계 흐름조절제로는 저융점 왁스, 덱스트린팔미테이트, 트리히드록시스테아린 등을 들 수 있다.
<5> 유화 제형의 경우 크게, 수중유 화장료와 유중수 화장료로 나누어진다. 수증 유 화장료의 경우 외상이 물로 되어 있고, 유중수 화장료의 경우는 외상이 유상으 로 되어있다. 일반적으로 외상에만 점증을 진행하여 제형의 외관 물성인 경도와 점 도를 조절한다. 현재까지 에멀견의 내상에 점증을 통한 제형 물성 및 안정도, 사용 감에 대한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는 실정이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적 과제】
<6>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중수 유화형 메이크업 제형에서 분산제나 왁스를 사용하지 않고, 유중수 화장료의 내상인 수상에 점증을 시키는 내상점증을 통해 수상의 흐름성을 제어하여 제형 안정도를 높일 수 있으며, 요변성 (Thixotropy) 특성이 우수하여 크림이면서 리퀴드와 같은 가벼운 사용감을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을쎄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상 의 흐름성을 조절하는 점증제를 사용한 내상점증을 통해 시간에 따른 안정도가 우 수하며, 생크림과 같은 부드러운 사용감을 갖는 유중수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 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술적 해결방법】
<7>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상에 소듐 폴리아크릴레이 트 스타치,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6, 잔탄검 및 로커스트 콩검으로 이루 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점증제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8>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스타치 및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6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9>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0 중량 %로 함유될 수 있다.
<ιο>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 상기 조성물은 요변성 (Thixotropy)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유리한 효과】
<12>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따르면 , 수상의 흐름성을 제어하는 내 상점증에 의해 시간에 따른 제형 안정도 변화를 개선하고, 내상점증에 의해 유화입 자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요변성 (Thixotropy) 특성이 우수하여 초기 발림성이 우수 하고, 지속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생크림과 같은 부드러운 사용감과 동시에, 리퀴 드와 같은 가벼운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13>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소듐 폴리아 크릴레이트 스타치의 SEM사진 (a) 및 입도분포 그래프 (b)이다. <H>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요변성 (Thixotropy) 특 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15>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16>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잔자가 본 발 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17>
<18>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중수형으로 외 상 및 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상에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스타치, 폴리아크 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6, 잔탄검 및 로커스트 콩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점증제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19>
<20> 본 발명에 따른 유중수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의 흐름성을 제어하는 내상점증에 의해 시간에 따른 제형 안정도' 변화가 최소화됨을 확인하였 다.
<21>
<22> 수용성 점증제로는 무기금속 산화물로 구성되는 무기 점증제와 수용성 고분 자 물질로 이루어지는 유기 점증제로 나뉜다. 본 발명에서는 피부 알러지를 생성시 킬 가능성이 큰 수용성 무기 점증제는 사용하지 않고 , 고분자 다당질의 수용성 유 기 점증제를 사용한다.
<23>
<24> 상기 점증제는 소듬 폴리아크릴레이트 스타치,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풀리 머 -6, 잔탄검 및 로커스트 콩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 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스타치 및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 폴리머 -6 중 하나 이상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스타 치일 수 있다. 그러나 점성을 상승시키는 물질이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 니다. 도 1은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스타치의 SEM사진 (a) 및 입도분포 그래프 (b) 를 나타낸다.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스타치의 mastersizer 측정 결과 (b) 평균 입 자 크기가 l m로 나타났다. <26> 상기 점증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0 중량 %로 함유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0 중량 %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0.01 중 량% 미만시에는 점증의 효과가 미미하고, 5.0 중량 % 초과시에는 수상의 점도가 지 나치게 상승하여 단단한 고형 젤의 형태를 띠며 끈적임이 심해져서 메이크업 화장 료의 속성을 잃어버리게 되며, 유화시 피그먼트가 엉기거나 불완전한 유화 상태로 되어 안정도가 불안해진다.
<27>
<28>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요변성 (Thixotropy)을 가진다. 요변성은 틱소트로 피라고도 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마찰에 의해 흐름성이 높아졌다가 마찰이 소멸되 었을 때 흐름성이 낮아지는 성질을 말한다. 요변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시 피부와의 마찰로 흐름성이 높아져 부드럽게 잘 펴발려져 발림성 및 사용감이 우수하고, 피부 도포 이후에는 흐름성이 낮아져 지속성이 우수하다. 특히 본 발명은 분산제 및 왁스를 사용하지 않고 내상점증을 통하여 흐름성을 제어하기 때문에, 제조가 간편할 뿐 아니라, 상대적으로 사용감이 가볍고 지속성이 우수하 다.
<29>
<30> 유중수 에멀견에서 안료는 안료의 분산상에 따라 수계 분산과 유계 분산으로 나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중수 에멀견에서는 알킬 실란이나 디메치콘으로 코팅 된 안료를 외상인 유계에 분산을 시킨다. 이 경우 에멀젼 바깥 부분에 안료가 위치 하므로 내상인 수계에 분산하는 것보다 안정하다. 하지만, 유상 분산 외의 내상인 수계 분산을 하였을 경우, 더 많은 색소의 분산과 함께 균일한 색소의 분산이 가능 하다. 실제로 유상 분산에 의해서 골낌 현상이 두드러질 때 내상인 수계 분산을 통 해서 이러한 골 현상을 개선하는 연구가 보고된 바 있다.
<31>
<32>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안료를 수계 분산하는 것이며, 이를 위한 안료는 특 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실리카가 코팅된 안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실 리카의 코팅에 의해서 안료 표면은 친수성의 성질을 갖게 되며, 따라서 분산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33>
<34>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 로션 ,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 맛사지크림 ,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프라이머, 에센스, 영양에 센스, 팩, 비누, 클렌징품,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이 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는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또는 프라이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35>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 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샐를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36>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
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슴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 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 본, 프로판 /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37>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 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 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 글리콜 오일, 글리세를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 산 에스테르가 있다.
<38>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
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회석제ᅳ 에록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를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 성 셀를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39>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자 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록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40>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 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 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41>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또한, 상기 기능성 첨가물과 더불어 필요에 따 라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포함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넁감제, 제한 (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42>
<43> 이하의 실시를 통하여 본 발명이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단,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들만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 다.
<44>
<45> [실시예 1 내지 4및 비교예 1]
<46>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비교예 1, 실시예 1 내지 4 의 유중수 유화 제형을 통 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은 수상 점증제가 없는 대조군이며, 실시예 1내지 4는 수상 점증제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47> ᅳ
<48> 【표 1】
Figure imgf000009_0001
<49>
<50> [시험예 1] 수상 점증제의 종류에 따른 안정도 테스트
<51>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을 이용하여, 사용한 수용성 점증제의 종 류에 따른 유화 안정도 및 시간에 따른 경도 변화를 평가하였다.
<52> 유화 안정도에 대한 평가는 온도 조절이 가능한 쉐이킹 인큐베이터에서 일주 일 동안의 안정도를 측정하였다. 한번의 온도 사이클은 - C, 30 °C, 45°C는 각 8 시간씩 돌며 진행되었고, 1일 1사이클로 7일을 측정하여 오일 분리, 띠 생김, 석출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지 측정을 하였다. 모든 시료에 대해서 총 5회의 데이터를 기 본으로 결과를 산출하였으며 , 5회 모두 이상이 없을 경우 0, 1~2회 Δ, 3회 이상시 X로 표기하였다. 색소 분산성에 대해서는 색소의 수계 분산시의 분산 정도에 따라 판단하였으며 상기의 유화 안정도와 동일한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53> 시간에 따른 경도 변화율은 제조 후 30°C 항온조에 보관관 후 RheometerCCR-
500DX, Sun Scientific)를 통해 경도를 측정하였다. 제조 후 경도와 1주일 후의 경 도 변화율을 통해 안정도를 비교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54>
<55> 【표 2】
Figure imgf000010_0001
<56>
<57> 상기 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수계 점증을 실시하지 않은 비교예 1만 안정도 가 불안정하며, 실시예 1 내지 4는 전체적으로 안정도를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 다. 또한 상대적으로 실시예 1 및 2(잔탄검, 로커스트 콩검)에 비하여, 실시예 3 및 4(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스타치,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6)에 의한 점 증 시 더욱 안정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간에 따른 경도 변화율의 경우에도 실시예 3 및 4의 경우가 경도 하락이 없이 가장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58>
<59> [시험예 2] 전자 현미경 사진
<60> 상기 비교예 1, 실시예 3 및 실시예 4의 전자 현미경 사진을 촬영하였다. 그 결과를 비교예 1, 실시예 3 및 실시예 4 각각 도 3,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6i> 도 3 내지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 4의 경우 유화입자가 Bi-modal로 형성하여 쉽게 무너지는 사용감을 구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62>
<63> [제조예] 파운데이션의 제조
<64> 상기 비교예 1 및 실시예 4에 안료를 추가하여 (하기 표 3의 조성으로) 유중 수 유화 파운데이션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은 수상 점증제가 없는 대조군이며, 유화안정도와 시간에 따른 경도변화율이 적어 가장 안정한 실시 예 4를 사용하였다.
<65>
<66> 【표 3]
Figure imgf000011_0001
<67>
<68> [실험예 3] 틱소트로피 효과, 도포용이성 및 도포균일성 실험
<69>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파운데이션의 틱소트로피 효과, 도포용이성 및 도포 균일성을 관찰하였다. 틱소트로피 효과는 RHE0METERAR2000(TA, INSTRUMENT. ENGLAND)를 측정한 결과 기준으로 판단하였고, 이를 하기 표 4 및 도 2에 나타내었 다. 도포균일성 및 도포용이성은 전문패널 테스트를 통하여 5점을 만점으로 스코어 링하여 판단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70>
<71> 【표 4】
Figure imgf000011_0002
<72>
<73> 상기 표 4 및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비교예 1을 이용한 파운데이션에 비해 실시예 4를 이용한 파운데이션이 틱소트로피 효과가 더 우수하였으며, 도포 용이성 및 균일성 면에서도 우수한 결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청구의 범위】
【청구항 11
내상에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스타치,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6, 잔탄검 및 로커스트 콩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점증제를 포 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스타치 및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 리머 -6 중 하나 이상인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3】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0 중량 %로 함유되는 유 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요변성 (Thixotropy)을 가지는 것인 유증수형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인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PCT/KR2012/007384 2011-09-16 2012-09-14 내상점증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WO2013039353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G11201400462YA SG11201400462YA (en) 2011-09-16 2012-09-14 Inner phase thickened water-in-oil cosmetic composition
CN201280044788.5A CN103796632A (zh) 2011-09-16 2012-09-14 内相增稠的油包水化妆品组合物
US14/344,392 US20140288191A1 (en) 2011-09-16 2012-09-14 Inner phase thickened water-in-oil cosmetic composition
US16/511,664 US11040224B2 (en) 2011-09-16 2019-07-15 Inner phase thickened water-in-oil cosmetic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633A KR101526640B1 (ko) 2011-09-16 2011-09-16 내상점증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2011-0093633 2011-09-16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4/344,392 A-371-Of-International US20140288191A1 (en) 2011-09-16 2012-09-14 Inner phase thickened water-in-oil cosmetic composition
US16/511,664 Continuation US11040224B2 (en) 2011-09-16 2019-07-15 Inner phase thickened water-in-oil cosmetic composi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39353A1 true WO2013039353A1 (ko) 2013-03-21

Family

ID=47883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7384 WO2013039353A1 (ko) 2011-09-16 2012-09-14 내상점증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140288191A1 (ko)
KR (1) KR101526640B1 (ko)
CN (2) CN103796632A (ko)
SG (1) SG11201400462YA (ko)
WO (1) WO20130393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78785B (zh) * 2014-05-16 2018-03-27 上海家化联合股份有限公司 一种增稠剂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KR101681073B1 (ko) * 2015-06-24 2016-12-02 주식회사 나우코스 리피드 캡슐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A2988808C (en) 2015-06-29 2021-05-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uperabsorbent polymers, waxes, oils, and starch powders for use in skincare compositions
EP3423161A1 (en) 2016-03-03 2019-01-09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OF CLEANING HAIR USING A LOW pH HAIR CARE COMPOSITION
JPWO2018124043A1 (ja) * 2016-12-28 2019-10-31 小林製薬株式会社 外用組成物
KR102359438B1 (ko) 2017-01-13 2022-02-09 (주)아모레퍼시픽 스타치 유도체 및 고함량의 분체를 포함하는 수분산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US20180221256A1 (en) 2017-02-06 2018-08-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are Composition
FR3064458B1 (fr) * 2017-03-31 2019-04-19 Chanel Parfums Beaute Article de cosmetique muni d'une maille
CN111065372A (zh) 2017-08-31 2020-04-24 株式会社资生堂 化妆品基剂及使用其的皮肤化妆品
KR101985171B1 (ko) * 2017-11-29 2019-06-03 코스맥스 주식회사 친수성 겔화제 및 폴리올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US11026870B2 (en) 2018-04-30 2021-06-08 L'oreal System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leansing and detoxifying keratin fibers
KR102246863B1 (ko) * 2019-05-31 2021-04-30 주식회사 메가코스 변성 스타치를 포함하는 저자극, 피부각질 제거용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20210030530A (ko) * 2019-09-09 2021-03-18 (주)아모레퍼시픽 가변적인 점도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210032142A (ko) * 2019-09-16 2021-03-24 (주)아모레퍼시픽 가용화된 안료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632028B (zh) * 2022-03-30 2023-09-05 广州优肌源化妆品有限公司 一种提拉紧致面霜及其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4331A (en) * 1991-09-12 1993-10-19 Chanel, Inc. Skin cream composition
KR19990047799A (ko) * 1997-12-05 1999-07-05 서경배 저점도의 유중수적형 화장료 조성물
KR20070052486A (ko) * 2005-11-17 2007-05-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올리브 오일을 이용한 단일 공정 w/o/w 다중 유화물의화장료 조성물
KR20090074877A (ko) * 2008-01-03 2009-07-08 (주)아모레퍼시픽 실리콘/실리카 복합 파우더를 함유한 유중수 메이크업화장료 조성물
KR20110056877A (ko) * 2009-11-23 2011-05-31 (주)아모레퍼시픽 수상 검을 사용하는 유중수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524575D0 (en) * 1995-12-01 1996-01-31 Unilever Plc Thickener for cosmetic composition
US6235297B1 (en) * 1999-06-07 2001-05-22 Revlon Consumer Products Corporation Methods for treating skin with 3-hydroxy benzoic acid and related compositions
US8691372B2 (en) * 2007-02-15 2014-04-0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rticles comprising high melt flow ionomeric compositions
WO2009042732A1 (en) 2007-09-26 2009-04-02 Dow Corning Corporation Personal care compositions containing hydrophobic silicone-organic gel blends
US10143645B2 (en) * 2010-05-05 2018-12-04 L'oreal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acrylic thicken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4331A (en) * 1991-09-12 1993-10-19 Chanel, Inc. Skin cream composition
KR19990047799A (ko) * 1997-12-05 1999-07-05 서경배 저점도의 유중수적형 화장료 조성물
KR20070052486A (ko) * 2005-11-17 2007-05-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올리브 오일을 이용한 단일 공정 w/o/w 다중 유화물의화장료 조성물
KR20090074877A (ko) * 2008-01-03 2009-07-08 (주)아모레퍼시픽 실리콘/실리카 복합 파우더를 함유한 유중수 메이크업화장료 조성물
KR20110056877A (ko) * 2009-11-23 2011-05-31 (주)아모레퍼시픽 수상 검을 사용하는 유중수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092A (ko) 2013-03-26
SG11201400462YA (en) 2014-08-28
CN103796632A (zh) 2014-05-14
KR101526640B1 (ko) 2015-06-08
CN108938460A (zh) 2018-12-07
US11040224B2 (en) 2021-06-22
US20190336797A1 (en) 2019-11-07
US20140288191A1 (en) 2014-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39353A1 (ko) 내상점증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TWI450731B (zh) 濕潤肌膚用身體化妝料
KR20160077756A (ko)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JP2010507671A (ja) ポリアルキルシルセスキオキサン粉末エマルションを含んだ水系スキンケア組成物およびその作製方法
CN110227041A (zh) 水分散体,化妆学或皮肤病学制剂及其用途
KR20140104603A (ko) 수중유형 에멀젼 형태의 분사형 보습 화장료 조성물
KR101227822B1 (ko)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CN102573763A (zh) 一种具有增强的剂型稳定性的水包油型化妆品组合物
TWI762720B (zh) 妝前化妝品組成物及其製備方法
JP2017178855A (ja) シワ及び/又は毛穴の隠蔽用の外用組成物
CN110248640A (zh) 具有uv防晒滤光剂2-乙基己基水杨酸酯和4-叔丁基-4′-甲氧基二苯甲酰甲烷的感官上有吸引力的水分散体
JP7002461B2 (ja) ゲル状組成物
CN110227040B (zh) 一款可以出水的蜡基棒状化妆品及制备方法
KR20100056061A (ko) 오일 분산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3791855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olubilized pigmen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JP6752057B2 (ja) 肌質改善剤用安定組成物
KR102575779B1 (ko) 직쇄형 유화제 및 표면이 코팅된 안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WO2020017371A1 (ja) 皮膚外用ジェル製剤
KR20150108193A (ko) 겔 타입의 아이라이너 조성물
JP2000290153A (ja) 皮膚外用剤
KR20200036133A (ko) 천연유래 유화제와 방부제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190064212A (ko) 고형 지질 입자를 포함하는 립틴트용 화장료 조성물
WO2022130964A1 (ja) 乳化化粧料
KR102390010B1 (ko) 구아검 유래의 고분자를 이용한 저자극성 화장료 조성물
JP2001199865A (ja) 美白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3185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344392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9/07/2014)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3185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